KR102303426B1 -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426B1
KR102303426B1 KR1020180128563A KR20180128563A KR102303426B1 KR 102303426 B1 KR102303426 B1 KR 102303426B1 KR 1020180128563 A KR1020180128563 A KR 1020180128563A KR 20180128563 A KR20180128563 A KR 20180128563A KR 102303426 B1 KR102303426 B1 KR 102303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spout
stick
outle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805A (ko
Inventor
권오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Priority to PH1201900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PH12019000013A1/en
Publication of KR20200028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Pouch) 타입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파우트를 개폐하는 마개에 구비된 스틱이 파우치의 내부로 출입할 때 스틱에 묻어나는 화장품이 균일하게 묻어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러한 것의 제조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A pouch type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파우치를 사용하여 스틱이 사용되는 화장품의 용기로 대용가능토록 한 것으로, 특히 스파우트를 개폐토록 하는 마개에 스틱이 구비되어 스틱이 파우치의 내부로 출입되면서 파우치 본체 속에 담긴 화장품을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마개에 장착된 스틱이 스파우트의 유출구로 출입할 경우에 스틱에 묻어나는 화장품이 균일하게 묻어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러한 것을 제조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대부분 정형되어진 상태에서 유출구가 구비되는 유리병이나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져 유출구는 마개로 개폐되어진다.
그러나 특히 마스카라 등의 색조화장품일 경우에는 상기 마개는 손잡이로 사용되면서 마개의 내측으로는 선단에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패드체나 브러쉬가 구비되는 스틱(Stick)을 장착하여 상기 용기 속에 충전된 화장품(예, 립글로스, 마스카라 등등)을 상기 스틱의 패드체나 브러쉬에 묻혀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리병이나 플라스틱 용기에 탈착되는 스틱이 장착된 마개의 단점은 마개에 장착된 스틱의 길이가 마개를 닫은 상태에서 스틱의 형태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단에 구비된 패드체나 브러쉬가 통상 용기의 바닥에 밀착되거나 또는 약간 이격되어지게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의 정형되어진 용기의 깊이보다 짧게 이루어짐으로 항상 용기의 바닥과 모서리 부분에 일정량 이상의 화장품이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스틱이 상기의 용기에서 유출구로 출입될 경우에 스틱의 선단에 구비된 패드체나 브러쉬에 묻어나는 화장품이 유출구의 내벽과 상단에 묻어나게 되면서 용기의 유출구의 내벽이 지저분하게 되고 또한 이 상태에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 화장품이 고화되어질 경우에는 스틱의 선단에 구비된 패드체나 브러쉬에 균일한 화장품이 묻어나지 못하게 되면서 화장을 할 경우에 원하는 정도로 화장을 할 수 없거나 또는 패드체나 브러쉬에 묻어나는 화장품이 균일하지 못하여 원하는 상태로의 화장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의 유출구의 내부에 패드체나 브러쉬에 묻어나는 화장품을 훑어낼 수 있는 속마개를 장착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속마개가 통상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지고, 용기는 유리나 플라스틱 일 경우에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과 팽창으로 유출구에 삽입결합된 속마개가 임의적인 분리가능성이 존재하고, 또는 긴밀한 밀착이 유지되지 못할 경우에는 그 사이로 액상의 화장품이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속마개의 조립구조를 견고하고 치밀하게 결합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럴 경우에는 화장품 용기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서 불필요한 제품가격의 상승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상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비닐지로 합지되어 제작되는 파우치형태를 용기로 사용하고, 이러한 파우치 형태의 용기에 유출구가 구비되는 스파우트를 장착하여 스틱이 장착된 마개로 유출구를 개폐토록 함으로서 원가절감은 물론 화장품의 잔류량을 발생치 않토록 한 것이고, 동시에 스파우트의 유출구로 출입하는 스틱의 패드체나 브러쉬에 묻어나는 화장품을 훑어낼 수 있도록 속마개를 유출구의 내측에 추가로 장착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였으나 스파우트의 유출구에 속마개를 장착할 경우에 속마개와 스파우트의 유출구의 내벽의 사이로 화장품이 끼이게 되고 또한 수축팽창에 따른 틈새의 발생으로 화장품이 누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고, 특히 파우치에 충전되는 화장품이 파우치가 가압될 경우에는 가압력에 의하여 이러한 틈새로 화장품이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은 물론 끼워진 속마개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KR 20-0414842 Y1 KR 10-2016-0124593 A1 KR 10-2011-0013790 A1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연성을 갖게 비닐지로 제작되는 파우치본체에 유출구가 노출되게 장착되는 스파우트의 노출된 유출구에 스틱이 장착된 마개가 개폐되면서 출입할 경우에 스틱의 패드체나 브러쉬에 묻어나는 화장품이 항상 균일하게 묻어날 수 있으면서도 화장품의 유출이 없고 이러한 것의 제조도 용이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파우트의 유출구의 중앙에 구비되는 관통관의 하단에만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테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테를 하향 경사지게 돌출토록 함으로서 훑어내림이 더욱 우수하면서 훑어내림된 화장품이 낙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향경사지는 돌출테를 하향만곡돌출토록 함으로서 패드체나 브러쉬에 묻어나는 화장품의 훌터냄이 용이하면서 돌출테에 묻어나는 화장품이 하방으로 용이한 낙하가 가능토록 한 것이고 패드체나 브러쉬가 돌출테의 중앙에 구비되는 관통홀에 진입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테를 선단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돌출테의 형태변형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스파우트가 장착되는 파우치 본체를 구획라인에 의하여 복수로 구비토록 하여 동시 사용되는 화장품의 휴대 및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파우치본체에 장착되는 스파우트를 경사지게 장착하여 파우치 본체가 사각형일 경우에 모서리에 존재할 수 있는 화장품의 잔류량의 사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파우치 형태로 인하여 휴대나 보관의 용이성이 발생하는 것이고, 스파우트의 유출구의 중앙에 구비되는 관통관의 하단에만 돌출테를 일체로 형성하여 스틱의 패드체나 브러쉬에 묻어나는 화장품의 훌터냄이 용이하면서도 파우치가 가압될 경우에도 틈새가 없어 화장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이러한 돌출테를 만곡되거나 경사지게 형성토록 함으로서 훑어낸 화장품의 낙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수단이 형성된 마개를 스파우트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서 개봉상태의 확인이 외부에서 가능토록 하여 소비자의 구매에 안정감을 제공토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사용상태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스파우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스파우트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파우치 본체가 복수로 구비된 일 실시 예의 단면도.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파우치 본체에 스파우트가 또 다른 상태로 구비된 일 실시 예의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파우치 본체가 다층비닐지로 구비된 상태의 일 실시 예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직사각형 형태로 예시된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개봉상태 확인이 가능한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틱이 스파우트의 관통관을 관통하여 돌출테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파우치 본체에 담긴 내용물(화장품)을 스틱이 스파우트의 돌출테에서 출입되면서 사용시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돌출테를 예시한 일 실시 예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림시 터짐방지와 인쇄의 용이성 및 충전된 화장품의 손상등은 물론 제조의 경제성을 감안하여 통상 다층의 비닐지로 이루어져 일정한 유연성을 구비하는 파우치 본체(10)와, 상기 파우치 본체(10)의 상단에 융착되는 일정면적의 융착부(21)를 구비하고 마개(30)가 탈착가능한 유출구(22)가 구비되는 스파우트(20)와, 상기 스파우트(20)의 유출구에 탈착되는 스틱(31)이 구비된 마개(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틱(31)의 길이는 파우치 본체(10)의 수용부(14)의 크기에 따라 액상이나 겔상으로 충전되는 화장품에 스틱의 선단에 구비되는 패드체나 브러쉬(32)가 충분하게 담겨질 수 있는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반드시 수용부(14)의 내공간의 깊이보다는 짧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파우치 본체(10)는 다층으로 합지되어진 비닐지를 자동라인에서 생산되어지고, 상단은 스파우트(20)의 융착부(21)가 내입되어 융착되게 개구되어지는 것이고, 이외의 좌우측이나 하단은 통상 열이나 초음파나 고주파등에 의하여 실링되어 일정한 폭의 접착라인(15)이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파우치 본체(10)의 개구된 부분에 내입되어 융착되는 스파우트(20)는 일정면적의 융착부(21)와 그 상측으로는 유출구(22)가 노출되고, 상기 유출구(22)에는 마개(30)로 개폐되어지고, 상기 마개(30)의 하단에는 개봉시 파손되면서 개봉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실링수단(33)이 구비되어질 수 있는 것이어서 종래와 같이 외부에서 개봉상태의 확인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또 다른 포장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파우트(20)의 유출구(22)는 융착부(21)의 중앙을 관통하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스틱(31)의 출입이 용이토록 관통관(23)으로 구비되어 상하로 연통되어지는 것이고, 이때 상기 관통관(23)의 하단에만 내측으로 관통관(23)보다 내경이 작은 관통홀(25)이 구비되는 돌출테(24)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진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속마개를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없고 파우치 본체(10)가 가압될 경우에도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어 누설 등의 우려가 존재치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의 선단에 구비되는 패드체나 브러쉬(32)에 묻어나는 화장품(2)을 균일하게 묻어나게 되는 것은 하면서 스틱(31)에 뭍어 있는 화장품(2)을 훑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돌출테(24)에 구비되는 관통홀(25)은 스틱(31)이 출입할 경우에 선 접축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출입시 부하를 최소로 받게 되면서 작동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스틱(31)이 면접촉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스틱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됨으로 온도변화에 형태변형이 발생되어 휘어짐에 의한 출입시 저항력이 크게 이루어지는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관통홀(25)의 직경은 마개(30)에 장착되는 스틱(31)의 굵기와 동일하게 또는 약간크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틱(31)의 선단에 패드체나 브러쉬(32)가 장착된 상태에서 패드체나 브러쉬(32)의 외경이 스틱(31)의 굵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스틱의 선단의 직경이 후단보다 작게 형성됨으로 패드체나 브러쉬(32)에 묻어나는 화장품(2)을 스틱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선단의 직경에 의하여 패드체나 브러쉬를 훌터낼 경우에도 일정한 양의 화장품이 패드체나 브러쉬에 묻어나게 되면서 항상 정확한 양으로 훌터낼 수 있게 되면서, 스틱(31)에 화장품이 묻어나지 않게 됨으로, 종래와 같이 유출구(22)의 관통관(23)의 내벽이나 상단에 화장품이 묻어나면서 고화되어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테(24)를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향경사돌출테(24a)로 돌출토록 하여 스틱(31)의 패드체나 브러쉬(32)에 묻어나는 화장품(2)의 훌터내림이 더욱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스틱(31)의 출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테의 외측경사면(26)에 의하여는 훑어내린 화장품(2)이 하방으로 낙하도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것이고, 내측경사면(27)으로는 스틱(31)의 선단에 장착된 패드체나 브러쉬(31)의 구겨짐이 없이 관통관(23)보다 좁아진 관통홀(25)로의 삽입도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향경사지는 하향경사돌출테(24a)를 하향만곡되게 돌출되게 하향만곡돌출테(24b)로 형성함으로서 패드체나 브러쉬(31)에 묻어나는 화장품(2)의 훌터냄이 더욱더 용이하면서 하향만곡돌출테(24b)에 묻어나는 화장품(2)이 하방으로 용이한 낙하가 가능토록 한 것이고, 스틱의 패트체나 브러쉬가 관통홀(25)로 진입도 더욱더 우수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테(24,24a,24b)를 관통관(23)에서 연장되어 선단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어지는 돌출테(24,24a,24b)의 형태변형을 방지토록 하면서도 관통홀로 출입되는 스틱의 패드체나 브러쉬에 작은 압력이 전달토록 하여 패드체나 브러쉬의 훼손 등을 방지하게 되고, 얇은 두께로 인하여 유연성을 제공토록 하여 스틱(31)의 평활도의 차이가 발생될 경우에도 삽입과 훑어내림이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파우트(20)가 장착되는 파우치본체(10)를 접착라인과 동일한 폭으로 또는 다른 폭으로 구획라인(16)에 의하여 절첩가능하면서 화장품의 분리수용이 가능하게 수용부를 복수로 구비토록 하여 같이 사용되는 화장품의 휴대 및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제작되는 파우치본체(10)에 장착되는 스파우트(20)를 상단의 모서리에서 경사지게 장착하여 스틱(31)이 파우치 본체(10)가 사각형일 경우에 모서리에 위치토록 함으로서 화장품의 잔류량의 사용이 완전하게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파우치 본체가 복수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절첩되는 구획라인에 의하여 휴대의 용이성은 물론 모서리로 잔류되는 화장품이 모여지도록 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도 제공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상기 파우치본체(10)는 다수의 비닐시트가 합지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파우치본체(10)의 외피는 특히 인쇄성과 투명성 등이 우수한 PET필름(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PET필름의 이면으로는 인쇄면이 잘 보이도록 하거나 내용물의 훼손방지 및 미세한 누설방지를 위하여 은백색의 알루미늄층(12)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알루미늄층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화장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면에는 파우치 본체의 수용부(14)를 형성하기 위한 접착라인(15)의 형성과 또는 내용물의 보호를 위하여 PE필름의 합지나 티다이방식에 의한 PE코팅층(13)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적층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하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것이고, 그 내용물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화장품 용기 2:화장품
10:파우치 본체 11:PET필름
12:알루미늄층 13:PE필름 또는 PE코팅층
14:수용부 15:접착라인
16:구획라인 20:스파우트
21:융착부 22:유출구
23:관통관 24,24a,24b:돌출테
25:관통홀 26:외측 경사면
27:내측 경사면
30:마개 31:스틱
32:패드체나 브러쉬 33:실링수단

Claims (8)

  1. 화장품이 담기는 수용부를 구비한 비닐지로 제작되는 파우치 본체;
    상기 파우치 본체가 융착되는 융착부와 상기 융착부 위로 스틱을 구비하고 있는 마개가 탈착되는 유출구 및 상기 유출구를 관통하는 관통관을 구비하고 있는 스파우트;
    상기 스파우트의 유출구로부터 탈착돠는 스틱의 선단에 패드체나 브러쉬를 구비하고 있는 마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파우트는 관통관의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테가 일체로 사출성형되고,
    상기 돌출테는 사출성형시 형태변형이 방지되면서 관통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관통홀이 관통관 하단에 구비되게 융착부의 하단면에서부터 관통관 하단으로 점차 얇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돌출테는 점차 얇게 연장 형성되면서 관통홀이 스틱과 선접촉하여 안정적인 스틱의 삽입과 훑어내림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가 파우치 본체와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 본체에 형성된 구획라인에 의하여 수용부가 복수로 이루어지는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가 파우치 본체와 융착된 상태에서 파우치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는 스파우트가 상단 모서리에 경사지게 장착되어지는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4. 화장품이 담기는 수용부를 구비한 비닐지로 제작되는 파우치 본체;
    상기 파우치 본체가 융착되는 융착부와 상기 융착부 위로 스틱을 구비하고 있는 마개가 탈착되는 유출구 및 상기 유출구를 관통하는 관통관을 구비하고 있는 스파우트;
    상기 스파우트의 유출구로부터 탈착돠는 스틱의 선단에 패드체나 브러쉬를 구비하고 있는 마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개에 장착된 스틱이 출입되는 스파우트의 관통관의 하단에 관통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관통홀이 구비되게 돌출테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상기 돌출테에 의해 스틱의 패드체나 브러쉬에 묻어나는 화장품을 훑어내어 균일하게 사용되게 하고,
    상기 파우치 본체는 구획라인에 의하여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스파우트가 파우치 상단 모서리에 대칭되게 장착되는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가 융착되는 파우치 본체의 외피는 인쇄성이 우수한 PET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PET필름의 이면으로는 인쇄면이 잘 보이도록 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층이 구비되고, 상기 알루미늄층의 이면에는 접착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또는 내용물의 보호를 위하여 PE필름이나 PE코팅층이 형성되고, 상단에 융착되는 스파우트의 유출구에 장착되는 마개에 실링수단이 구비되어지는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테는 하향경사지게 하향경사돌출테로 형성되는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테는 하향만곡된 하향만곡돌출테로 형성되는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0180128563A 2018-09-07 2018-10-25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303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H12019000013A PH12019000013A1 (en) 2018-09-07 2019-01-10 Pouch-type cosmetic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285 2018-09-07
KR20180107285 2018-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05A KR20200028805A (ko) 2020-03-17
KR102303426B1 true KR102303426B1 (ko) 2021-09-23

Family

ID=7000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563A KR102303426B1 (ko) 2018-09-07 2018-10-25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3426B1 (ko)
PH (1) PH1201900001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2950A1 (en) * 2001-07-20 2003-09-18 Bouix Herve F. Pouch container cosmetic package
JP4601984B2 (ja) * 2004-03-31 2010-12-22 扶桑薬品工業株式会社 複室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842Y1 (ko) 2006-01-25 2006-04-27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치 타입 색조 화장품 용기
KR101007127B1 (ko) * 2008-07-21 2011-01-10 김상순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
KR20110013790A (ko) 2009-08-03 2011-02-10 권석웅 슬러시가 포장되는 비닐팩의 배출구
KR101707731B1 (ko) 2015-04-20 2017-02-17 정규열 쐐기 결합 방식의 기밀 구조를 갖는 마스카라 도포구
KR101932323B1 (ko) * 2016-10-21 2019-03-20 김형일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2950A1 (en) * 2001-07-20 2003-09-18 Bouix Herve F. Pouch container cosmetic package
US7398898B2 (en) 2001-07-20 2008-07-15 Color Access, Inc. Pouch container cosmetic package
JP4601984B2 (ja) * 2004-03-31 2010-12-22 扶桑薬品工業株式会社 複室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9000013A1 (en) 2020-06-29
KR20200028805A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0153A1 (en) Container
CA2905117C (en) Container
EP3053841B1 (en) Delamination container
JP2015513501A (ja) エアゾール容器
JP5633201B2 (ja) 詰替え容器
JP5699458B2 (ja) 詰替え容器
JP6484901B2 (ja) 詰替え容器
WO2013013310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
KR102303426B1 (ko)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JP2011020735A (ja) 詰替え容器
KR101934591B1 (ko) 용액상의 화장품을 포장토록 하는 화장용 포대
JP6186823B2 (ja) 詰替え容器
KR20190000803U (ko) 파우치형 화장품
KR101922136B1 (ko) 용액 상의 화장품을 포장토록 하는 화장용 포대
JP7090989B2 (ja) 包装容器に取り付けられる中空体及び前記中空体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JP6888385B2 (ja) 液体用紙容器
JP6746206B2 (ja) 二重容器
IT202000018568A1 (it) Assieme tappo – contenitore per l’erogazione selettiva del contenuto, nonche’ kit comprendente tale assieme
JP2016069032A (ja) パウチ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IT202000018574A1 (it) Assieme tappo – contenitore per l’erogazione selettiva del contenuto, nonche’ kit comprendente tale assieme
JPH10101101A (ja) 詰替用液体収納容器
MX2011012848A (es) Dispositivo de apertura para popotes de contenedor de alimento liquido.
FR2999393A1 (fr) System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