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905B1 - 화재감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화재감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905B1
KR102302905B1 KR1020190129278A KR20190129278A KR102302905B1 KR 102302905 B1 KR102302905 B1 KR 102302905B1 KR 1020190129278 A KR1020190129278 A KR 1020190129278A KR 20190129278 A KR20190129278 A KR 20190129278A KR 102302905 B1 KR102302905 B1 KR 102302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ion
fire
sensor
detection sens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812A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벨
Priority to KR102019012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9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Abstract

화재감지 조립체는 화재감지의 제어를 위한 제어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수용공간을 기밀하게 차폐하는 덮개부를 갖는 조립본체 및 일부 영역에서 본체부의 일영역에 접촉결합되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본체부의 일영역과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감지본체부와 감지본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갖는 감지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감지 조립체{Fire Detection Assembly}
본 발명은 화재감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화재감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는 감지센서가 긴 막대형상으로 마련되어 감지본체에 결합되어 있다. 화재를 효율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센서는 길게 형성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화재감지기의 감지센서는 감지본체에 결합되어 있으나 외부충격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파손 가능성이 높다. 감지센서가 파손되면 화재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감지센서를 소형화하였으나 소형화된 감지센서가 감지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가운데 화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감지본체와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 감지본체에 부딪치는 공기는 유동방향이 굴곡되어 소형화된 감지센서를 지나치게 되므로 화재에 의한 공기흐름이 감지센서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감지센서에서의 화재 감지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감지가 원활하도록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는 화재감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조립체는, 화재감지의 제어를 위한 제어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일부 영역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에 접촉결합되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과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감지본체부와, 상기 감지본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갖는 감지몸체를 포함한다. 감지몸체가 조립본체로부터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감지몸체와 조립본체 사이로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 시에도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흐름이 감지센서 주변으로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화재감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일영역에 결합면을 갖는 입체형상이며,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결합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대향면; 상기 대향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결합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결합부; 및 상기 대향면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보호하는 센서보호부를 가지면 감지본체부가 이격간격을 형성하며 본체부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화재감지센서로의 공기유동이 원할하게 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촉결합부는, 상호 이격간격을 갖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상기 한 쌍의 접촉결합부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면 화재감지력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면 화재감지센서를 양측에서 효율적으로 외부충격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보호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의 공기의 유동을 위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유동슬롯과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면 센서보호부에 의해 화재감지센서로의 원활한 공기유동이 방해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몸체가 조립본체로부터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감지몸체와 조립본체 사이로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 시에도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흐름이 감지센서 주변으로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화재감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화재감지 조립체로의 공기흐름 예시도.
도 3 은 감지몸체의 예시도.
도 4는 센서보호부의 변형 예시도.
도 5는 접촉결합부의 변형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감지 조립체(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조립체(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화재감지 조립체(1)로의 공기흐름 예시도이며, 도 3 은 감지몸체(20)의 예시도이고, 도 4는 센서보호부(213)의 변형 예시도이며, 도 5는 접촉결합부(212)의 변형 예시도이다.
화재감지 조립체(1)는 조립본체(10)와 감지몸체(20)를 갖는다.
조립본체(10)는 본체부(11)와 덮개부(12)를 갖는다. 본체부(11)는 화재감지의 제어를 위한 제어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본체부(11)는 일영역에 결합면을 갖는 입체형상이다. 본체부(11)는 적어도 하나의 면부를 갖는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덮개부(12)는 본체부(11)의 수용공간을 기밀하게 차폐한다. 덮개부(12)는 본체부(11)의 일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본체부(11) 내부의 수용공간을 기밀하게 한다. 덮개부(12)와 본체부(11)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감지몸체(20)는 본체부(11)의 결합면에 결합된다. 감지몸체(20)는 감지본체부(21)와 화재감지센서(22)를 갖는다.
감지본체부(21)는 일부 영역에서 본체부(11)의 일영역의 결합면에 접촉결합되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본체부(11)의 일영역과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감지본체부(21)는 대향면(211), 접촉결합부(212) 및 센서보호부(213)를 갖는다.
대향면(211)은 본체부(11)의 일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며 본체부(11)의 결합면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면(211)은 본체부(11)의 결합면에 대향하게 배치된다. 대향면(211)은 평면일 수도 있고 본체부(11)의 결합면을 마주보고 볼록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접촉결합부(212)는 대향면(211)에서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다. 접촉결합부(212)는 대향면(211)에서 본체부(11)의 결합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접촉결합부(212)는 대향면(21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대향면(211)에 대하여 계단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접촉결합부(212)는 계단상의 말단면은 본체부(11)의 결합면에 면접촉하며 체결볼트 내지 체결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된다. 접촉결합부(212)는 본체부(11)의 결합면에 면접촉하지 않고 결합될 수도 있다.
센서보호부(213)는 대향면(211)의 배면으로부터 본체부(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화재감지센서(22)를 보호한다. 센서보호부(213)는 화재감지센서(2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보호부(213)는 화재감지센서(22)로의 공기의 유동을 위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유동슬롯(213-1)과 관통공(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보호부(213)는 화재감지센서(22)로의 공기의 유동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보호부(213)는 또한 소방법 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다.
센서보호부(213)는 한 쌍의 화재감지센서(22)를 보호하기 위하여 한 쌍의 화재감지센서(22) 사이와 한 쌍의 화재감지센서(22)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감지본체부(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화재감지센서(22) 사이의 센서보호부(213)가 감지본체부(21)로부터 가장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한 쌍의 화재감지센서(22)의 외측에 배치되는 센서보호부(213)는 가운데 배치된 센서보호부(213)보다는 낮게 형성된다. 또한 3개의 센서보호보(213)의 말단을 연결하는 선을 그었을 때 화재감지센서(22)보다 높게 그어질 수 있도록 센서보호부(212)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감지센서(22)는 감지본체부(21)의 일부 영역에 본체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화재를 감지한다. 화재감지센서(22)는 열감지센서로 마련되며, 한 쌍의 접촉결합부(212)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화재감지 조립체(1)로의 공기흐름 예시도이다.
도 2 (a)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가 이격간격 없이 결합된 상태의 예시이다. 주변 공기가 유동되는 경우 하단영역에 배치된 조립본체(11)에 부딪치는 공기는 아래 또는 위를 향해 그 흐름을 바꾸게 된다. 이에 의해 다른 공기의 흐름도 감지본체(21)를 향해 유동하던 공기도 그 흐름을 바꿀 수도 있게 된다. 조립본체(11)에 부딪치는 공기 중 조립본체(11) 하단에 부딪치는 공기는 조립본체(11) 상단에 부딪치는 공기와 합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큰 흐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감지본체(21)를 향해 좌측으로 유동하던 공기와 섞이면 그 공기의 방향은 감지본체(21)를 향하기 것보다는 좌상방을 향해 이동할 수도 있게 된다. 이렇듯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가 이격간격 없는 경우의 공기흐름은 감지몸체(20)의 상측에 배치된 화재감지센서(22)가 화재를 감지하는데 좋지 않은 흐름이 된다.
도 2 (b)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가 이격간격을 갖고 결합된 상태의 예시이다. 조립본체(11)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유동하던 공기는 조립본체(11)에 부딪친 후 흐름을 상방과 하방으로 바꾸게 된다. 상방으로 흐름을 바꾼 공기흐름은 조립본체(11)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다가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의 이격간격을 따라 빠르게 이동된다. 이는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의 이격간격이 다른 주변의 공간보다 좁은 공간이므로 빠르게 이동되어 흐름을 맞추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조립본체(11)에 부딪친 후 상방으로 이동되던 공기흐름은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의 사이 이격간격으로 이동되었으므로 감지본체(21)를 향해 좌측으로 유동하던 공기의 방향을 바꾸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화재감지센서(22)로의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되며 화재 발생 시 유동되는 공기를 화재감지센서(22)가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화재를 정확하고 빠르게 판별할 수 있다.
도 4는 센서보호부(213)의 변형 예시도이다.
센서보호부(213)의 단면 형상이 유선형으로 마련되어 센서보호부(213)들 사이를 공기가 유동하는 경우 적체되지 않고 부드럽게 유동하게 되므로 화재감지센서(22)가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화재를 정확하고 빠르게 판별할 수 있다.
도 5는 접촉결합부(212)의 변형 예시도이다.
접촉결합부(212)의 단면형상이 유선형으로 마련되었으며, 중간 영역이 연장되어 형성되지 않고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 사이의 이격간격으로 공기의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의 조립본체(11)는 직육면체로 나타나 있지만 공기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중간 영역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유동슬롯(213-1)은 센서보호부(213)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 사이의 이격간격으로부터 상측으로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화재감지 조립체(1)로 인하여, 감지몸체(20)가 조립본체(10)로부터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 사이로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 시에도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흐름이 화재감지센서(22) 주변으로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화재감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감지본체부(21)가 이격간격을 형성하며 본체부(11)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화재감지센서(22)로의 공기유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22)는 한 쌍의 접촉결합부(212)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화재감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센서보호부(213)가 화재감지센서(2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어 화재감지센서(22)를 양측에서 효율적으로 외부충격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다. 유동슬롯(213-1)과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센서보호부(213)에 의해 화재감지센서(22)로의 원활한 공기유동이 방해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1 : 화재감지 조립체 10 : 조립본체
11 : 본체부 12 : 덮개부
20 : 감지몸체 21 : 감지본체부
22 : 화재감지센서 211 : 대향면
212 : 접촉결합부 213 : 센서보호부

Claims (5)

  1. 화재감지 조립체에 있어서,
    화재감지의 제어를 위한 제어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일부 영역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에 접촉결합되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과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감지본체부와, 상기 감지본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갖는 감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일영역에 결합면을 갖는 입체형상이며,
    상기 감지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결합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대향면;
    상기 대향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결합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결합부; 및
    상기 대향면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보호하는 센서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결합부는, 상호 이격간격을 갖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상기 한 쌍의 접촉결합부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의 공기의 유동을 위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유동슬롯과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조립체.
KR1020190129278A 2019-10-17 2019-10-17 화재감지 조립체 KR102302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278A KR102302905B1 (ko) 2019-10-17 2019-10-17 화재감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278A KR102302905B1 (ko) 2019-10-17 2019-10-17 화재감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812A KR20210045812A (ko) 2021-04-27
KR102302905B1 true KR102302905B1 (ko) 2021-09-17

Family

ID=7572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278A KR102302905B1 (ko) 2019-10-17 2019-10-17 화재감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9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2320A (ja) * 2012-04-17 2013-10-28 Hochiki Corp 感知器システム、感知器及び取外治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538A (ko) * 2015-10-26 2018-07-04 호치키 코포레이션 경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2320A (ja) * 2012-04-17 2013-10-28 Hochiki Corp 感知器システム、感知器及び取外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812A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2947B2 (ja) センサ用プロテ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
EP2023112A2 (en) Air pressure sensor
KR102302905B1 (ko) 화재감지 조립체
JP6396678B2 (ja) 電池パック
CN104608703A (zh) 障碍物检测装置
CN108370647A (zh) 压力均衡元件和包含压力均衡元件的壳体
JP2018063982A (ja) 電子装置
CN109474841A (zh) 具有散热功能的机顶盒
US20200295548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2008175745A (ja) エアフローメータ
JP6037229B2 (ja) 漏電検出引外しユニット
JP5218361B2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2016070198A (ja) 圧縮機
CN106774723A (zh) 一种数据恢复备份柜
KR200355561Y1 (ko) 센서보호용 보강대를 구비한 화재감지장치
JP5780262B2 (ja) 電子・電気機器用筐体
JPWO2018025434A1 (ja) 圧力センサおよび圧力センサモジュール
JP4830518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5190328B2 (ja) 感知器
CN112285687B (zh) 雷达系统
KR102154210B1 (ko)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499149B1 (ko) 차동식 열감지기
CN102842462B (zh) 电磁接触器
CN105190821A (zh) 漏电检测脱扣单元
JP6660552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