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899B1 -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899B1
KR102302899B1 KR1020210035487A KR20210035487A KR102302899B1 KR 102302899 B1 KR102302899 B1 KR 102302899B1 KR 1020210035487 A KR1020210035487 A KR 1020210035487A KR 20210035487 A KR20210035487 A KR 20210035487A KR 102302899 B1 KR102302899 B1 KR 102302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base plate
length
tapeline
tape mea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주)한맥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맥기술 filed Critical (주)한맥기술
Priority to KR1020210035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56Tape end arrangements, e.g. end-hoo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71Separate means for supporting or affixing 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길이 정보를 확인할 때 기성품의 줄자를 균열을 따라 인출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통해 줄자의 눈금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균열의 길이를 알려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는, 구조물의 표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균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 눈금부(20)와; 상기 베이스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균열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줄자(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종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줄자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줄자가 상기 줄자 지지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균열과 동일한 형태로 꺽여 배선됨으로써 눈금을 통해 상기 균열의 길이를 알려주고, 상기 줄자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종횡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줄자를 지지하는 다수의 돌기형 터닝핀(11)을 포함하고, 상기 줄자는 끝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형 터닝핀에 고정되어 줄자 케이스(32)에서 줄(31)을 고정하는 고정핀(3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Safety diagnosis device for checking the crack length of a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성품의 줄자를 이용하여 균열의 길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건조 수축이나 과다한 응력의 발생 또는 재료적인 문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균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균열 중에는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영향이 없는 균열도 있으나, 어떤 균열은 구조물의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하고 종국적으로는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균열의 발생 여부를 조사하여야 하고 특히 진행 중인 균열은 정밀하고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특허문헌으로, 등록특허 제10-2019725호는 눈금이 새겨진 자가 롤에 감긴 상태로 케이스에 내장되는 공지의 줄자와, 상기 자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구에 천공되되 자의 0 눈금에 위치하는 통공과, 상기 통공에는 측정줄이 연결되며, 측정줄의 다른 끝단에는 도체가 연결되고, 상기 도체는 줄자의 케이스 일측면에 형성된 자석에 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측정줄은 도체 내부의 중앙에 형성된 축에 일단이 고정된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로서, 자석으로 부터 도체를 떼어내서 걸이구와 측정줄을 원하는 위치에 대고 길이를 잰 다음에 다시 측정줄의 일단, 아마도 손으로 쥐고 있는 부분의 측정줄을 자에 대보게 되면 기준점은 0눈금이므로 다른 부분의 길이가 작업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길이가 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측정줄로 균열의 길이와 맞춘 후 그 길이를 줄자의 눈금으로 확인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균열길이 측정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등록특허 제10-201972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길이 정보를 확인할 때 기성품의 줄자를 균열을 따라 인출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통해 줄자의 눈금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균열의 길이를 알려주는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는, 구조물의 표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균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 눈금부와; 상기 베이스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균열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줄자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종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줄자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줄자가 상기 줄자 지지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균열과 동일한 형태로 꺽여 배선됨으로써 눈금을 통해 상기 균열의 길이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줄자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종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줄자의 줄을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터닝핀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툴을 이용하여 균열의 높이와 폭을 측정함과 아울러 기성품인 줄자를 이용하여 균열의 길이도 측정하고 특히, 별도의 측정줄로 길이를 측정하고 이 측정줄의 측정값을 줄자로 확인하는 종래 방법을 탈피하여 줄자의 눈금을 이용하여 직접 길이를 측정하므로 측정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1인의 작업자가 양 손을 이용하여 균열의 길이 등을 측정하고 한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측정 직후 측정 값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작업을 하지 않고 연속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판을 투명으로 하는 경우, 베이스판을 균열 위(앞)에 겹친 후 줄자를 정확하게 균열을 따라 배열할 수 있으므로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측정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를 이용한 측정 방법의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에 적용된 베이스판의 절첩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에 적용된 베이스판의 연결형을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100)는,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1)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구조물의 표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10), 베이스판(10)에 형성되며 균열(1)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측정 눈금부(20), 베이스판(10)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며 균열(1)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줄자(30)를 포함하며, 줄자(30)를 이용하여 균열(1)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베이스판(10)은 균열(1)의 높이와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적정 면적의 판재이며 줄자(30)의 줄(31)이 균열(1)과 동일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돌기형 터닝핀(11)을 포함한다.
터닝핀(11)은 균열(1)의 불규칙적이고 다양한 꺽임에 맞춰 줄자(30)의 줄(31)을 고정할 수 있도록 종횡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터닝핀(11)은 베이스판(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단일 제조를 통해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베이스판(10)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끼움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닝핀(11)은 줄자(30)의 줄(31)이 균열(1)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방향전환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방향전환 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기본으로 하고 줄자(30)의 줄(31)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에도 사용된다.
터닝핀(11)은 줄(31)이 이탈되지 않도록 줄(31)의 높이보다 높거나 줄(31)의 1/2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예로서, 줄(31)이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터닝핀(11)의 위쪽 단부에 줄(31)을 베이스판(10)쪽으로 눌러 지지하는 지지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베이스판(10)은 구조물의 표면이 울퉁불퉁할 때 흔들림으로 균열(1)의 측정 값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레벨링 볼트(12)가 포함된다. 베이스판(10)은 바람직하게 4각형이고 이 때 레벨링 볼트(12)는 4곳의 모서리에 각각 나사 체결된다.
레벨링 볼트(12)는 구조물에 흡착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조물에 행거핀을 부착할 수 있는 경우 베이스판(10)은 상기 행거핀에 걸려 고정되는 행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10)은 투명과 불투명 모두가 가능하지만, 투명의 경우 균열(1) 위에 겹쳐 놓고 균열(1)을 보면서 줄자(30)의 줄(31)을 정확하게 균열(1)을 따라 배열할 수 있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베이스판(10)은 투명과 불투명의 재질에 따라 아크릴,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된다.
베이스판(10)의 투명은 베이스판(10) 전체가 투명인 것, 투명부와 불투명부가 조합된 것 모두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전진단장치(100)는 1인의 작업자가 한 손으로 베이스판(10)을 잡아 구조물에 고정하고 다른 손으로 줄자(30)의 줄(31)을 당기면서 균열(1)을 따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후 자유로운 한 손을 이용하여 측정 값을 바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베이스판(10)은 균열(1)의 측정 값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부(13)는 베이스판(10) 그 자체일 수 있고 또는 베이스판(10)에 부착되는 기성품인 포스트잇 등이 가능하다.
베이스판(10)은 작업자가 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손잡이가 포함될 수 있다.
높이측정 눈금부(20)는 베이스판(10)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균열(1)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을 제공한다.
높이측정 눈금부(20)의 시작은 예를 들어 최상단 우측{줄자(30)에서 먼 곳}에 있는 터닝핀(11)의 위치이다.
줄자(30)는 눈금이 있는 줄(31)이 줄자 케이스(32) 안에 외부로 인출되도록 감긴 기성품이며, 줄(31)이 줄자 케이스(32)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줄(31)의 단부에는 고정핀(33)이 포함된다.
고정핀(33)은 터닝핀(11)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터닝핀(11)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구조이다.
터닝핀(11)을 이용하여 줄(31)을 고정하는 것은 균열(1)의 길이에 관계없이 줄(31)을 균열(1)의 길이에 맞춰 고정 즉 균열(1)의 아래쪽 끝부분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줄자(30)는 베이스판(10)에 고정되어 사용되지만, 필요 시 베이스판(10)에서 분리되어 단독 사용되고 파손 시 교체도 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예를 들어, 베이스판(10)에 U 형태의 브래킷을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줄자(30)를 이용하여 균열(1)의 길이를 측정하는 작업과 거의 동시의 작업으로 균열(1)의 폭도 측정할 수 있도록 폭측정 눈금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폭측정 눈금부(40)는 베이스판(10)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표시되며 이 때, 줄(31)의 어느 부분에서도 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폭측정 눈금부(40)의 시작은 예를 들어 최상단 우측{줄자(30)에서 먼 곳}에 있는 터닝핀(11)의 위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를 이용한 균열의 길이 점검 방법은 다음과 같다(도 3 참고).
1. 베이스판 거치.
작업자는 한 손으로 베이스판(10)의 상부를 잡고 베이스판(10)이 투명인 경우 균열(1) 위에 겹쳐지도록 베이스판(10)을 거치하고, 베이스판(10)이 불투명인 경우 베이스판(10)을 균열(1)의 옆에 상하 방향을 따라 거치한다. 이하에서는 베이스판(10)이 투명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2. 균열의 높이 측정.
베이스판(10)에 상하로 형성된 높이측정 눈금부(20)의 시작을 균열(1)의 위에 맞추고 균열(1)의 아래 끝과 일치되는 눈금으로 균열(1)의 높이를 측정한다.
3. 균열의 길이 측정.
모든 터닝핀(11) 중에서 균열(1)의 형상에 맞춰 균열(1)의 시작점{줄자(30)에서 가까운 부분}과 방향이 바뀌는 부분 및 끝점과 일치되는 곳의 터닝핀을 선택하고 나머지 손{베이스판(10)을 잡지 않은 손}으로 줄(31)을 잡고 당겨 줄자 케이스(32)에서 인출하고 줄(31)을 배열한다. 도 3은 균열(1)의 형상에 맞춰 4개의 터닝핀(11-1,11-2,11-3,11-4)을 선택하여 줄(31)을 배열한 것이다.
즉, 줄(31)을 당기면서 첫 번째 터닝핀(11-1)에 감아 균열(1)을 따라 배열하다가 두 번째 터닝핀(11-2)에 감아 균열(1)을 따라 방향을 전환하고 계속해서 세 번때 터닝핀(11-3)에 감아 균열(1)을 따라 방향을 전환한 후 균열(1)의 끝과 일치되는 네 번째 터닝핀(11-4)으로 배열한 후 마지막으로 줄(31)의 고정핀(33)을 네 번째 터닝핀(11-4)에 끼워 고정한다.
이렇게 되면, 줄(31)을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감는 제품이더라도 줄(31)의 끝이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줄(31)에서 손을 떼더라도 줄(31)은 인출 상태를 유지한다.
줄(31)의 눈금을 확인하며 그 길이는 균열(1)의 길이가 되는 것이다. 즉, 균열(1)이 직선을 벗어나 지그재그 형태이더라도 줄(31)이 균열(1)과 동일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균열(1)의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한다.
4. 균열의 폭 측정.
폭측정 눈금부(40)의 눈금 확인을 통해 균열(1)의 폭을 측정한다. 전체적인 폭을 측정하는 것은 물론, 이웃하는 2개의 터닝핀 예를 들어 첫 번째와 두 번째 터닝핀(11-1,11-2) 사이의 폭도 측정할 수 있다. 즉, 균열(1)의 폭을 눈금으로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터닝핀들 사이의 간격을 눈금으로 확인하여 균열(1)의 폭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작업을 통해 측정한 균열(1)의 높이, 길이, 폭을 기록부(13)에 기록한다.
균열(1)의 측정을 완료한 후 줄(31)의 고정핀(33)을 터닝핀(11)에서 분리하고 줄(31)을 터닝핀(11)의 앞쪽으로 꺼내면 줄(31)은 자유상태가 되며, 줄(31)에서 힘을 빼게 되면 스프링을 통해 줄(31)가 줄자 케이스(32) 안으로 삽입되면서 감겨 수납된다.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베이스판(10)을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경첩(10-3)을 통해 2개의 판재(10-1,10-2)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또한,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길이가 긴 균열의 측정도 가능하도록 베이스판(10A,10B)을 2개 이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베이스판(10A,10B)의 상하 양쪽에 이웃하는 것들과 서로 결합되는 형태의 암수형 연결부(14,1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암수형 연결부(14,15)는 서로 끼움으로 결합되는 것 또는 별도의 연결봉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 때, 2개의 베이스판(10A,10B)이 사용될 때 줄자(30)는 하나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은 베이스판(10)의 길이 확장을 위한 구성이다.
10 : 베이스판, 11 : 터닝핀
12 : 레벨링 볼트, 13 : 기록부
20 : 높이측정 눈금부,
30 : 줄자, 31 : 줄
32 : 줄자 케이스, 33 : 고정핀
40 : 폭눈금 측정부,

Claims (4)

  1. 구조물의 표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균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 눈금부(20)와;
    상기 베이스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균열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줄자(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종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줄자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줄자가 상기 줄자 지지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균열과 동일한 형태로 꺽여 배열됨으로써 눈금을 통해 상기 균열의 길이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자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종횡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줄자를 지지하는 다수의 돌기형 터닝핀(11)을 포함하고, 상기 줄자는 끝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형 터닝핀에 고정되어 줄자 케이스에서 인출된 줄을 고정하는 고정핀(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균열이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부를 포함하여 상기 균열 앞에 겹쳐진 상태에서 균열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 좌우 횡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균열의 폭을 알려주는 폭측정 눈금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KR1020210035487A 2021-03-18 2021-03-18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KR102302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487A KR102302899B1 (ko) 2021-03-18 2021-03-18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487A KR102302899B1 (ko) 2021-03-18 2021-03-18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899B1 true KR102302899B1 (ko) 2021-09-16

Family

ID=7792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487A KR102302899B1 (ko) 2021-03-18 2021-03-18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3470A (zh) * 2023-02-24 2024-02-06 西安建科大智慧运维科技有限公司 一种钢结构疲劳裂缝识别方法及系统
CN117523470B (zh) * 2023-02-24 2024-06-07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钢结构疲劳裂缝识别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96B1 (ko) * 2007-06-14 2007-11-27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교량의 교각 크랙길이 안전진단용 점검장치
JP2010014413A (ja) * 2008-07-01 2010-01-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寸法測定治具
KR102019725B1 (ko) 2019-04-25 2019-09-09 (주)에스이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KR102069122B1 (ko) * 2019-09-04 2020-01-2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구조 안전진단용 균열길이 측정장치
KR102074435B1 (ko) * 2019-09-03 2020-02-06 주식회사 다담엔지니어링 시설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계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96B1 (ko) * 2007-06-14 2007-11-27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교량의 교각 크랙길이 안전진단용 점검장치
JP2010014413A (ja) * 2008-07-01 2010-01-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寸法測定治具
KR102019725B1 (ko) 2019-04-25 2019-09-09 (주)에스이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KR102074435B1 (ko) * 2019-09-03 2020-02-06 주식회사 다담엔지니어링 시설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계측장치
KR102069122B1 (ko) * 2019-09-04 2020-01-2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구조 안전진단용 균열길이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3470A (zh) * 2023-02-24 2024-02-06 西安建科大智慧运维科技有限公司 一种钢结构疲劳裂缝识别方法及系统
CN117523470B (zh) * 2023-02-24 2024-06-07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钢结构疲劳裂缝识别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435B1 (ko) 시설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계측장치
KR102302899B1 (ko)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JP6121711B2 (ja) 渦電流探傷装置および渦電流探傷方法
JP2003257262A (ja) 電線切断長チューニング用治具
JPS6367514A (ja) 核燃料集合体の外部寸法関係測定装置
CN110174036A (zh) 一种楼板厚度测量器
CN211123137U (zh) Ict光感测试治具
CN102149263B (zh) 一种机箱布线装置及其方法
JP6224461B2 (ja) ゲージ検査治具
CN210180438U (zh) 一种建筑工程监理用检测装置
CN103851983A (zh) 一种定位销长度检测机
JP7410761B2 (ja) 寸法測定治具
JP5735347B2 (ja) 外側寸法測定機
JP5964642B2 (ja) 鉄筋端部測定装置及び鉄筋端部測定方法
CN210108312U (zh) 一种厚度测试仪用具有固定结构的基座
CN105841595A (zh) 测平面度工装
JP2011214956A (ja) スランプ測定器具およびスランプ測定方法
KR102607751B1 (ko) 시설물 균열의 진행여부 측정이 용이한 안전진단용 균열폭 측정기
CN220982921U (zh) 高架地板压力检测装置
KR20150000391U (ko) 선박구조물의 대각선 길이측정용 직각자
CN216132420U (zh) 一种道路裂缝检测仪
CN215114271U (zh) 一种螺纹千分尺校对用量杆校准用辅助夹持装置
CN212933222U (zh) 用于投影设备的定位装置
CN218765366U (zh) 一种钢筋扫描仪用辅助装置
CN219609253U (zh) 一种钢筋直径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