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725B1 -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 Google Patents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725B1
KR102019725B1 KR1020190048612A KR20190048612A KR102019725B1 KR 102019725 B1 KR102019725 B1 KR 102019725B1 KR 1020190048612 A KR1020190048612 A KR 1020190048612A KR 20190048612 A KR20190048612 A KR 20190048612A KR 102019725 B1 KR102019725 B1 KR 102019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line
tape measure
conductor
ir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연우
Original Assignee
(주)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이 filed Critical (주)에스이
Priority to KR102019004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84Tape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functions other than measuring lengths
    • G01B2003/109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금이 새겨진 자가 롤(미도시)에 감긴 상태로 케이스에 내장되는 공지의 줄자와, 상기 자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구에 천공되되 자의 0 눈금에 위치하는 통공과, 상기 통공에는 측정줄이 연결되며, 측정줄의 다른 끝단에는 도체가 연결되고, 상기 도체는 줄자의 케이스 일측면에 형성된 자석에 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측정줄은 도체 내부의 중앙에 형성된 축에 일단이 고정된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본 발명의 효과로는 끈줄자와 철줄자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철줄자의 장점과 끈줄자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진단을 위한 길이측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곡면에 형성된 균열의 길이 또는 굴곡진 물체의 길이도 쉽게 또 편리하게 잴 수 있으며, 끈줄자와 철줄자가 서로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어 철줄자가 갖는 단점과 끈줄자가 갖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Tape Measure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본 발명은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의 안전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줄자에 유연한 측정줄을 형성함으로써 곡면에 형성되는 균열 및 굴곡진 물체의 길이를 잴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적으로 형성된 자연구조물 및 토목, 건축 등으로 형성된 인공구조물 특히 대형건물이나 교량 등은 설계에서 부터 준공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감리와 준공 후의 정기적인 안전진단을 통해 지속적인 안전성을 검증받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특히 토목구조물과 건축구조물, 인공구조물, 자연구조물을 포함하는 모든 구조물은 안전진단을 무사히 통과한 후에도 사용 중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순식간에 붕괴되어 대형 참사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을 항상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붕괴와 대형 참사 등을 막기 위해서는 변위, 장애, 이상 등이 발견되는 즉시 보수하거나 만약에 대비하여 인명 대피, 사용 중지 등의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감시 및 경보 체계를 항상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갑작스러운 재난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도 및 균열, 제방 및 교량의 뒤틀림 및 처짐과 같은 구조물의 다양한 형태 변형이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경우도 왕왕있다.
이처럼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 작업시 길이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줄자가 사용되는데, 주로 줄자는 곡선길이를 측정하는 끈줄자와, 직선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철줄자가 사용된다.
그러나 끈줄자의 경우 강도가 없기 때문에 한쪽을 고정해서 잡아줘야 측정이 가능하므로 2인이 같이 작업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높이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한 사람이 의자나 사다리를 놓고 올라가서 한쪽 끝을 고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좁은 공간의 깊이는 측정 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줄자의 경우 수평면 바닥을 측정할 경우 스토퍼를 이용해서 일측을 고정시켜 측정할 수 있으나 경사된 길이나 수직으로 높이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는 자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꺾이게 되어 측정이 불가능함으로 철줄자 역시 2인이 같이 작업해야 하는 단점과 좁은 공간의 깊이는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 10-2009-0063074
본 발명의 목적은, 끈줄자와 철줄자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철줄자의 장점과 끈줄자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진단을 위한 길이측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는, 눈금이 새겨진 자가 롤(미도시)에 감긴 상태로 케이스에 내장되는 공지의 줄자와, 상기 자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구에 천공되되 자의 0 눈금에 위치하는 통공과, 상기 통공에는 측정줄이 연결되며, 측정줄의 다른 끝단에는 도체가 연결되고, 상기 도체는 줄자의 케이스 일측면에 형성된 자석에 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측정줄은 도체 내부의 중앙에 형성된 축에 일단이 고정된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끈줄자와 철줄자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철줄자의 장점과 끈줄자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진단을 위한 길이측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면에 형성된 균열의 길이 또는 굴곡진 물체의 길이도 쉽게 또 편리하게 잴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끈줄자와 철줄자가 서로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어 철줄자가 갖는 단점과 끈줄자가 갖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측정줄의 도체가 자석에 부착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을 측정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상태 참고도로써, (가)도는 곡면의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부를 보이기 위한 것이고, (나)도는 측정줄을 이용해서 균열의 길이를 재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이며, (다)도는 균열의 길이를 측정한 측정줄을 다시 자에 대봄으로써 균열의 길이를 확인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측정줄의 도체가 자석에 부착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측정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상태 참고도로써, (가)도는 곡면의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부를 보이기 위한 것이고, (나)도는 측정줄을 이용해서 균열의 길이를 재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이며, (다)도는 균열의 길이를 측정한 측정줄을 다시 자에 대봄으로써 균열의 길이를 확인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100)는 눈금이 새겨진 자(120)가 롤(미도시)에 감긴 상태로 케이스(110a)에 내장되는 공지의 줄자(110)와, 상기 자(120)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구(121)에 천공되되 자(120)의 0 눈금에 위치하는 통공(121a)과, 상기 통공(121a)에는 측정줄(130)이 연결되며, 측정줄(130)의 다른 끝단에는 도체(150)가 연결되고, 상기 도체(150)는 줄자(110)의 케이스(110a) 일측면에 형성된 자석(113)에 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측정줄(130)은 도체(150) 내부의 중앙에 형성된 축에 일단이 고정된 코일스프링(140)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120)는 얇은 판체로 이루어져 롤에 감긴 상태인데, 상기 롤은 코일스프링에 의해 당기더라도 복원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자(120)의 일측에는 측정의 편리함을 위해 걸이구(121)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걸이구(121)에 통공(121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통공(121a)은 측정줄(130)의 일단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며, 자(120)의 0 눈금에 위치하므로 측정줄(130)을 이용한 길이 측정에 있어 기준점이 된다.
측정줄(130)의 다른 끝단에는 도체(150)가 연결되는데, 엄밀하게는 도체(150) 내부의 코일스프링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도체(150)의 내부에는 역시 도체(150) 중앙에 형성된 축과 상기 축에 일단이 고정된 코일스프링이 내장된 상태이므로 측정줄(130)을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코일스프링에 의해 복원되는 구조이다.
상기 줄자(110)는 단순한 자로만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일반적인 자의 사용방법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측정줄(130)을 이용한 길이측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석(113)으로 부터 도체(150)를 떼어내서 걸이구(121)와 측정줄(130)을 원하는 위치에 대고 길이를 잰 다음에 다시 측정줄(130)의 일단, 아마도 손으로 쥐고 있는 부분의 측정줄(130)을 자(120)에 대보게 되면 기준점은 0눈금이므로 다른 부분의 길이가 작업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길이가 될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110: 공지의 줄자
113: 자석
120: 자
121a: 통공
130: 측정줄
140: 코일스프링
150: 도체
A: 균열

Claims (1)

  1. 눈금이 새겨진 자가 롤(미도시)에 감긴 상태로 케이스에 내장되는 공지의 줄자와,
    상기 자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구에 천공되되 자의 0 눈금에 위치하는 통공과,
    상기 통공에는 측정줄이 연결되며,
    측정줄의 다른 끝단에는 도체가 연결되고,
    상기 도체는 줄자의 케이스 일측면에 형성된 자석에 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측정줄은 도체 내부의 중앙에 형성된 축에 일단이 고정된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KR1020190048612A 2019-04-25 2019-04-25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KR10201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612A KR102019725B1 (ko) 2019-04-25 2019-04-25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612A KR102019725B1 (ko) 2019-04-25 2019-04-25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725B1 true KR102019725B1 (ko) 2019-09-09

Family

ID=6795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612A KR102019725B1 (ko) 2019-04-25 2019-04-25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7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899B1 (ko) 2021-03-18 2021-09-16 (주)한맥기술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KR102602551B1 (ko) 2023-02-27 2023-11-15 주식회사 에스엠이앤티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성능평가 시 사용 가능한 균열측정 휴대용 줄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382A (ko) * 2000-05-10 2001-11-23 김광원 줄자
KR200414406Y1 (ko) * 2006-01-20 2006-04-19 강대진 축척자 내장형 휴대용 줄자
JP2007278947A (ja) * 2006-04-10 2007-10-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高所作業用メジャー
JP3185168U (ja) * 2012-09-28 2013-08-01 仲陽企業有限公司 デュアルシステム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382A (ko) * 2000-05-10 2001-11-23 김광원 줄자
KR200414406Y1 (ko) * 2006-01-20 2006-04-19 강대진 축척자 내장형 휴대용 줄자
JP2007278947A (ja) * 2006-04-10 2007-10-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高所作業用メジャー
JP3185168U (ja) * 2012-09-28 2013-08-01 仲陽企業有限公司 デュアルシステム測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899B1 (ko) 2021-03-18 2021-09-16 (주)한맥기술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KR102602551B1 (ko) 2023-02-27 2023-11-15 주식회사 에스엠이앤티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성능평가 시 사용 가능한 균열측정 휴대용 줄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903B1 (ko) 교량 현장 재하 시험을 위한 변위계 설치 시스템
KR102019725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WO20171257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 physical condition of a pole-type structure using impact testing
JP6366588B2 (ja) 基準に対する構造物の動的変位をリアルタイムで測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CN107300432B (zh) 一种用于实现现场自适应索力测量的方法和装置
KR102059934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CN208296741U (zh) 墙体模板平整度、垂直度测量及控制装置
KR101179667B1 (ko) 크랙 측정기
KR1020449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변위량 측정기
CN112252179A (zh) 一种桥梁无损检测设备
KR100856734B1 (ko) 현수 시스템의 케이블 장력 측정을 위한 표준 실험 장치
CN208075838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检测工具
GB2543114A (en) Determination of a physical condition of a pole-type structure
CN207019819U (zh) 一种索力测量技术的实现装置
KR102046375B1 (ko)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탐촉자 보조기구
CN205748362U (zh) 建筑工程竖向结构垂直度偏差测量靠尺
KR102044656B1 (ko) 레이저 수평 수직 조사장치 결합을 위한 수평 받침대
JP6554065B2 (ja) 金属構造物の劣化状態評価方法および評価システム
KR102046369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CN106123844A (zh) 一种钢构件变形检测仪器及使用方法
KR102046379B1 (ko)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탐촉자 보조기구
CN107816925A (zh) 薄壁空心构件无破损厚度检测仪
KR102059933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CN110940501A (zh) 一种装配式建筑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2225777B1 (ko) 투명관을 이용한 방풍용 변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