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928B1 -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928B1
KR102301928B1 KR1020190153001A KR20190153001A KR102301928B1 KR 102301928 B1 KR102301928 B1 KR 102301928B1 KR 1020190153001 A KR1020190153001 A KR 1020190153001A KR 20190153001 A KR20190153001 A KR 20190153001A KR 102301928 B1 KR102301928 B1 KR 10230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device
curved
protrusion
curved surfac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599A (ko
Inventor
신우열
권현기
Original Assignee
신우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열 filed Critical 신우열
Priority to KR1020190153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928B1/ko
Priority to CN202080042409.3A priority patent/CN113939254A/zh
Priority to US17/619,948 priority patent/US20220354725A1/en
Priority to PCT/KR2020/013874 priority patent/WO2021107393A1/ko
Publication of KR2021006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1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between the skin and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6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ultidimens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척추의 정형과 관련된 향상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는, 사람의 등과 허리부분을 지지하여 압력을 가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로서, 복수의 제1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제1돌기가 배치된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1몸체, 제1몸체와 연결되되, 복수의 제2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제2돌기가 배치된 면이 제1몸체의 곡면과 다른 곡면으로 형성된 제2몸체,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사이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가요성연결체, 및 제1몸체 또는 제2몸체의 돌기가 없는 바닥면에 결합되어 제1몸체 또는 제2몸체를 지지하며 지지점을 중심으로 제1몸체 또는 제2몸체를 시소 운동시키는 착탈식구름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Exercise device for orthotic therapy for spine}
본 발명은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척추의 정형과 관련된 향상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신체 각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 관절의 과도한 사용, 잘못된 자세유지 등 다양한 원인 행위가 일상적으로 반복되며 만성적인 통증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증은 쉽게 해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신체 전체를 지탱하는 척추 측의 불균형이나 그로 인한 통증 등은 일상 생활을 어렵게 할 정도로 개인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머리를 받치고 있는 목과 등, 허리로 이어지는 척추 쪽에서 발생하는 각종 근육통과 신경통, 척추 측만, 디스크 등은 수술로도 치료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극심한 고통을 주므로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알려진 대응방안 중 하나는 운동을 통해 척추의 이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종래 이를 위한 다양한 운동법이나 보조기구, 교정구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2888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운동기구 등을 이용하여 이러한 대응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알려진 운동기구나 교정구들은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공간도 크게 차지하여 이를 가정 등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매우 곤란하였다. 또한 실제 운동효과도 기대보다 못하여 효과 면에서 부족한 점도 많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2888호, (2012. 05. 09), 명세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척추의 정형과 관련된 향상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는, 사람의 등과 허리부분을 지지하여 압력을 가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로서, 복수의 제1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돌기가 배치된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되되, 복수의 제2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돌기가 배치된 면이 상기 제1몸체의 곡면과 다른 곡면으로 형성된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사이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가요성연결체; 및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의 돌기가 없는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를 지지하며 지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를 시소 운동시키는 착탈식구름바를 포함한다.
상기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는,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상호위치가 상기 가요성연결체의 굴절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는 볼록한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오목한 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연결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곡면의 굴절방향이 서로 반전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의 곡면은 사람의 허리 측에, 상기 제2몸체의 곡면은 등 측에 각각 면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연결체는 상기 제1몸체의 곡면과 상기 제2몸체의 곡면을 연속된 면으로 연결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는, 상기 가요성연결체와, 상기 제1몸체의 곡면을 형성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제2몸체의 곡면을 형성하는 제2곡면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는, 곡면을 형성하며 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에 결합되며 돌기가 없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각각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곡면부와 상기 바닥부는,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고정홈의 쌍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와 상기 바닥부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고정홈의 쌍이 형성되지 않은 타 측에 서로 대향되는 한 점에서 마주보며 결합하여 고정점을 형성하는 고정점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구름바는,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과 접하지 않는 외주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구름바는,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과 접하는 일 면에서 상기 착탈식구름바와 수직하게 돌출된 원통형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는,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결합돌기를 수용하는 원통형결합홈, 및 상기 원통형결합홈과, 상기 원통형결합돌기의 외측에, 서로 맞물려 상기 착탈식구름바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착탈식구름바를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연결하는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의 사이에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연결하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중앙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간인 공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는, 상기 제1돌기의 사이 및 상기 제2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둘 이상의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연결하는 길이방향과는 교차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연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장소에 크게 구애되지 않고 매우 편리하게 척추 정형과 관련된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운동기구는 간단한 구조로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상, 보관상의 이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특히 척추 및 주변부의 수축 및 신장을 유도하는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구조 일부를 변경하거나 자유롭게 배치를 바꾸어가며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운동법을 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향상된 운동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신체 굴곡에 밀착하여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되며 그를 통해 신체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 등도 손쉽게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운동기구의 착탈식구름바의 착탈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운동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운동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운동기구의 측면도로 가요성연결체의 굴절에 따른 형상변화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운동기구의 가요성연결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확대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1b는 도 1의 운동기구의 작동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운동기구의 착탈식구름바의 착탈과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운동기구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운동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운동기구의 측면도로 가요성연결체의 굴절에 따른 형상변화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외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서로 다른 몸체[제1몸체(10) 및 제2몸체(20)]가 가요성연결체(30)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가요성연결체(30)를 중심으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상대적으로 움직이며 위치를 바꿀 수 있다(도 6참조). 이러한 구조로부터, 본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신체에 밀착하였을 때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고 변형되며 허리와 등과 같은 신체의 서로 다른 지점과 지속적으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변형되며 척추 측으로 다양한 방식의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중 어느 하나가 착탈식구름바(40)에 결합되어 비대칭상태로 놓이면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자세변경을 유도한다. 이를 통해 특히, 한 자세로 가만히 있는 정적인 방식이 아닌, 착탈식구름바(40)를 중심으로 하는 시소운동이 동반된 매우 동적인 방식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바꾸며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의 서로 다른 부분이 가요성연결체(30)로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고, 또한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한 측에 비대칭적으로 결합하여 불안정상태를 유발하는 착탈식구름바(40)를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이들 구조의 복합작용에 의한 상승된 효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사람의 등과 허리부분을 지지하여 압력을 가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로서, 복수의 제1돌기(100a)가 돌출되어 있고 제1돌기(100a)가 배치된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1몸체(10), 제1몸체(10)와 연결되되, 복수의 제2돌기(200a)가 돌출되어 있고 제2돌기(200a)가 배치된 면이 제1몸체(10)의 곡면과 다른 곡면으로 형성된 제2몸체(20),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가요성연결체(30), 및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돌기가 없는 바닥면에 결합되어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를 지지하며 지지점을 중심으로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를 시소 운동시키는 착탈식구름바(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몸체(10)는 볼록한 면을 포함하고, 제2몸체(20)는 오목한 면을 포함하여,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곡면의 굴절방향이 서로 반전될 수 있고(도 6참조), 제1몸체(10)의 곡면은 사람의 허리 측에, 제2몸체(20)의 곡면은 등 측에 각각 면하여 지지될 수 있다(도 9참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기초로, 이하 본 발명의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의 구조 및 기능 등 여러 특징들을 각 도면들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척추 측에 자극을 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척추 주변의 신체부위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특히 사람의 등과 허리부분을 지지하여 압력을 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등과 허리 부분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다. 본 발명은 등과 허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그 주변부 등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흉추가 위치하는 부분과 요추가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 또는 그 주변부에 해당하는 부분 등에 걸쳐서 본 발명의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를 적절히 배치하고 척추 측으로 자극을 가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제1몸체(10)는 복수의 제1돌기(100a)가 외면에 돌출되어 있다. 도 1 내지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100a)가 배치된 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이 곡면이 형성된 면은 사람의 신체와 면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몸체(10)는 볼록한 면을 포함하며 제2몸체(20)는 오목한 면을 포함하여 이들이 상호 연결되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으로 입체적으로 변화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곡면은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굴절방향이 서로 반전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은 척추의 길이방향과도 일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척추의 굴곡에 대응하는 입체적인 곡면 형상으로 척추를 지지하여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제2몸체(20) 역시 복수의 제2돌기(200a)가 외면에 돌출되어 있다. 제2돌기(200a)가 배치된 면 역시 곡면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곡면이 형성된 면은 사람의 신체와 면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제2몸체(20)는 오목한 면을 포함하여 제1몸체(10)의 볼록한 면과 연결될 수 있다(도 6 참조). 즉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후술하는 가요성연결체(30)를 통해 연결되되 서로 다른 곡면으로 형성되어 입체적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입체적인 형상의 곡면을 이용하여 사람의 신체에 보다 밀착하여 자극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볼록한 면이 포함된 제1몸체(10)의 곡면은 사람의 허리 측에, 오목한 면이 포함된 제2몸체(20)의 곡면은 사람의 등 측에 각각 면하여 보다 면밀히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제1몸체(10)의 제1돌기(100a)와, 제2몸체(20)의 제2돌기(200a)는 각 몸체의 곡면 상에 다수가 배치된다. 이들은 돌출되어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가 신체에 지지될 때 신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돌기(100a) 및 제2돌기(200a)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되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각 돌기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돌기와 다른 방향을 갖도록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돌기(100a) 및 제2돌기(200a)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위치에 따라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돌기(100a)와 제2돌기(200a)는 길이방향으로 말단부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폭방향[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도 7의 가로방향일 수 있다]으로는 둘 다 오목한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한 돌기는 상대적으로 길게, 바깥쪽에 위치한 돌기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도 7참조). 특히 제1몸체(10)의 경우, 전술한 길이방향으로는 볼록한 면을 포함하고, 폭방향으로는 오목한 면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는 이들이 서로 조합된 말안장면과 같은 입체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돌기(100a)와 제2돌기(200a)는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판(100b, 200b)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돌기(100a)의 사이 및 제2돌기(200a)의 사이에 형성되어 둘 이상의 제1돌기(100a) 및 제2돌기(200a)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판(100b, 200b)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판(100b, 200b)은 이와 같이 각각 제1돌기(100a)와 제2돌기(200a)를 상호 연결시키되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도 5의 세로방향]과는 교차하여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돌기(100a) 및 제2돌기(200a)는 연결판(100b, 200b)으로 연결되어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으며 특히 연결판(100b, 200b)이 배열된 방향으로는 외력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보다 견고하게 형상을 유지하며 신체를 지지하고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연결판(100b, 200b)의 배열방향은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열된 연결판(100b, 200b)이 적어도 일부 있을 수 있다. 길이방향으로 말단부에 위치할수록, 연결판(100b, 200b)은 더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연결판(100b, 200b)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1돌기(100a) 및 제2돌기(200a)들은 각각이 일종의 소그룹을 이루어 연결판(100b, 200b)이 정렬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00b, 200b)의 방향이 달라지면 이들이 배열된 방향도 바뀔 수 있고, 폭의 변동에 따라 서로 연결된 돌기의 수도 증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와 연결판(100b, 200b)을 결합한 구조로 지지력을 보강하고 다양한 패턴으로 돌기들을 배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를 포함하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에는 일부분에 돌기가 배열되지 않은 공간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에는 제1돌기(100a) 및 제2돌기(200a)의 사이에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으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중앙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간인 공동부(11, 21)가 형성될 수 있다. 공동부(11, 21)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가 신체에 지지되었을 때, 사용자의 척추와 중첩되어 척추뼈가 있는 부분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척추뼈가 돌기에 의해 직접 가압되는 것을 막고 척추뼈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공동부(11, 21)의 너비나 전체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돌기가 형성된 곡면부와, 바닥부가 상호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는 곡면부[제1곡면부(110) 및 제2곡면부(210)]와, 곡면부에 결합되며 돌기가 없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제1바닥부(120) 및 제2바닥부(220)]를 각각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0)는 제1곡면부(110)와 제1바닥부(120)의 결합으로, 제2몸체(20)는 제2곡면부(210)와 제2바닥부(220)의 결합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닥부(120)와 제2바닥부(220)는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시 바닥 등 평평한 부분에 지지될 수 있다. 가요성연결체(30)는 제1곡면부(110)와 제2곡면부(21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가요성연결체(30)로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가 각각 곡면부와 바닥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 곡면부와 바닥부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131, 231)와 홈부(132, 232)의 쌍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결합부(13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곡면부와 바닥부는, 결합돌기(131, 231)와 홈부(132, 232)의 쌍이 형성되지 않은 타 측에 서로 대향되는 한 점에서 마주보며 결합하여 고정점을 형성하는 고정점결합부(140, 240)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분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라이딩결합부(130, 230)와 고정점결합부(140, 240)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 각각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결합부(130, 230)는 예를 들어, 제1곡면부(110) 및 제2곡면부(210) 측에서 각각 제1바닥부(120) 및 제2바닥부(220)를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131, 231)와, 제1바닥부(120) 및 제2바닥부(220)에 전술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공 형태의 홉부(132, 23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결합돌기(131, 231)를 홉부(132, 23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여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각각의 곡면부와 바닥부를 매우 편리하게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후에는 한 지점에서 고정점을 형성하는 형태의 고정점결합부(140, 240)를 이용하여 각 곡면부와 바닥부의 쌍을 매우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점결합부(140, 240)는, 예를 들어, 곡면부와 바닥부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쌍을 이루어 배열된 통공부(141, 142, 241, 242)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응하는 통공부의 쌍(예, 141, 142) 사이에 나사(미도시)와 같은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견고한 고정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하는 구조와, 한 점에서 고정점을 형성하는 고정구조를 복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편리하면서도 견고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착탈식구름바(40)는 이러한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에 착탈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식구름바(40)는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돌기가 없는 바닥면에 결합되어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를 지지하며 지지점을 중심으로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를 시소 운동시킨다(도 10 및 도 11참조). 착탈식구름바(40)에 의해 유도되는 시소 운동과, 후술하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가요성연결체(30)의 굴절작용이 복합되어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 전체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동되며 효과적인 방식으로 신체를 자극할 수 있다. 가요성연결체(3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착탈식구름바(4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바의 형태로 형성되며 곡면 형상의 외주면(40a)을 포함한다. 착탈식구름바(40)의 외주면(40a)은 구르기 쉽게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착탈식구름바(40)는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바닥면[전술한 제1바닥부(120)와 제2바닥부(220)가 형성하는 평면일 수 있다]과 접하지 않는 외주면(40a)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착탈식구름바(40)는 볼록한 외주면(40a)으로 지면 등에 지지되었을 때 용이하게 구를 수 있다. 외주면(40a)의 곡면은 착탈식구름바(40)가 용이하게 구를 수 있는 한도 내에서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다.
착탈식구름바(40)는 도 3과 같이 분리하여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 어느 곳에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착탈식구름바(40)는 일 측으로 돌출된 원통형결합돌기(410)와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에 형성된 원통형결합홈(150, 250)의 상호결합으로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 어느 곳에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탈식구름바(40)는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바닥면과 접하는 일 면에서 착탈식구름바(40)와 수직하게 돌출된 원통형결합돌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구름바(40)와 수직하게 돌출되었다는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구름바(4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돌출된 것을 의미한다. 원통형결합홈(150, 250)이 형성된 면은 전술한 착탈식구름바(40)의 외주면(40a)과는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면은 곡면이 아닌 평면 형태로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원통형결합홈(150, 2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의 바닥면[제1바닥부(120) 및 제2바닥부(220)가 형성하는 평면]에는 각각 원통형결합돌기(410)를 수용하는 원통형결합홈(150, 250)이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결합홈(150, 250)은 내경이 원통형결합홈(150, 250)의 외경보다는 작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착탈식구름바(40)는 원통형결합돌기(410)를 이용하여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에 형성된 어느 원통형결합홈(150, 250)과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된 후에는 스톱퍼(151, 251, 411) 구조를 이용하여 착탈식구름바(40)를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정렬시키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원통형결합홈(150, 250)과, 원통형결합돌기(410)의 외측에, 서로 맞물려 착탈식구름바(40)의 회전을 제한하고 착탈식구름바(40)를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고정하는 스톱퍼(151, 251, 41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스톱퍼(151, 251, 411)는 원통형결합돌기(410) 측의 스톱퍼(411)와, 원통형결합홈(150, 250) 측의 스톱퍼(151, 251)가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결합돌기(410) 측의 스톱퍼(411)는 원통형결합돌기(410)의 외측에 직경방향으로 튀어나온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통형결합홈(150, 250) 측의 스톱퍼(151, 251)는 원통형결합홈(150, 250) 둘레에 상기 스톱퍼(411)와 맞닿을 수 있게 적어도 일부가 각진 형태로 가공된 제1바닥부(120) 또는 제2바닥부(220)의 일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원통형결합돌기(410) 측의 스톱퍼(411)에는 외측으로 더 돌출된 확장편(412)이 형성될 수 있고, 원통형결합홈(150, 250) 둘레의 스톱퍼(151, 251)가 위치하지 않은 측에는 확장편(412)이 삽입되는 외측인입구(152, 25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외측인입구(152, 252)와 확장편(412)이 마주보도록 정렬시켜, 착탈식구름바(40)의 원통형결합돌기(410)를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원통형결합홈(150, 250)에 삽입하고, 원통형결합돌기(410)를 축으로 착탈식구름바(40)를 회전시키면, 외측인입구(152, 252) 안에 삽입된 확장편(412)이 회전되어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바닥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원통형결합돌기(410) 측의 스톱퍼(411)가 원통형결합홈(150, 250) 측의 스톱퍼(151, 251)에 맞닿는 때 착탈식구름바(40)의 회전이 중단되며, 착탈식구름바(4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톱퍼(411, 151, 152)를 이용한 구조로 착탈식구름바(40)를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에 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바닥면과 접하는 착탈식구름바(40)의 일 면에는, 원통형결합돌기(410)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삽입돌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결합홈(150, 250) 둘레의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 바닥면에는, 삽입돌부(4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돌부(413)를 수용하는 곡선 형상의 외홈(153, 253)이 형성될 수 있다. 외홈(153, 253)은 삽입돌부(413)를 수용하여 그 안에서만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삽입돌부(413)가 형성된 착탈식구름바(40)의 회전을 제한하고 해당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스톱퍼(411, 151, 152)구조와 함께, 외홈(153, 253)과 삽입돌부(413)가 형성된 구조를 복합 적용하여 착탈식구름바(40)를 보다 견고하게 원하는 위치에 정렬시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착탈식구름바(40)는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에서 원통형결합돌기(410)를 축으로 결합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연결체(30)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에 연결된다.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가요성연결체(30)를 형성하여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상호 위치를 다이나믹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도 6참조). 즉, 전술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상호위치는 가요성연결체(30)의 굴절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착탈식구름바(40)에 의한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시소운동에 의해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상호배치를 더욱 자연스럽게 바꾸어 줄 수 있다(도 10 및 도 11참조). 가요성연결체(30)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서로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가 굴절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요성연결체(30)는 특정 구조나 재질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 굴절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연결체(30)는 제1몸체(10)의 곡면과 제2몸체(20)의 곡면을 연속된 면으로 연결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가요성연결체(30)와, 제1몸체(10)의 곡면을 형성하는 제1곡면부(110)와, 제2몸체(20)의 곡면을 형성하는 제2곡면부(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가요성연결체(3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운동기구의 가요성연결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확대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가요성연결체를 각 몸체의 돌기가 형성된 측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8의 (b)는 가요성연결체를 각 몸체의 바닥면 측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가요성연결체(30)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 연결된 곡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요성연결체(30)는 탄성적으로 복원되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재질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를 굴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연결체(30)는 제1몸체(10)의 제1곡면부(110)와 제2몸체(20)의 제2곡면부(210)를 연속된 면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제1곡면부(110)로부터 가요성연결체(30)를 지나 제2곡면부(210)까지 이어지는 유려하고 입체적인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요성연결체(30)는 제1곡면부(110) 및 제2곡면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것처럼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가요성연결체(30)를 별도 형성하여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 결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것처럼, 가요성연결체(30)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와 연결되지 않은 양측 말단부에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 외측만입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만입부(310)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에서 가요성연결체(30)를 통과하는 곡면의 양을 줄여 가요성연결체(30)의 움직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말안장면과 같은 복합된 곡면의 경우 그 형상으로 인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으로 굴절되기 쉽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1몸체(10)로부터 이어지는 폭방향의 곡면을 제거하여 보다 원활하게 굴절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외측만입부(310)를 두어 면적을 축소함으로써 가요성연결체(30)가 발휘하는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연결체(30)가 없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는 이격되며 따라서 해당 공간을 이용하여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움직임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0a 내지 도 11b는 도 1의 운동기구의 작동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기능적 특징을 갖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의 사용례와 작동방식 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사람의 등과 허리부분을 지지하여 돌기[제1돌기(100a) 및 제2돌기(200a)]를 이용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척추는 통상의 경추(A), 흉추(B), 요추(C), 그리고 천추(D)와 미추(E)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특히, 흉추(B)의 적어도 일부, 요추(C)의 적어도 일부, 및 요추(C)에서 이어지는 천추(D)와 미추(E)에 해당하는 부분까지도 지지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사람이 누운 상태에서 허리와 등 부분에 배치되어, 사람의 하중에 대응하는 자극을 자연스럽게 사용자에게 가할 수 있다. 전술한 제1몸체(10)의 곡면과 제2몸체(20)의 곡면은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방향(도면의 척추 길이방향)으로 서로 반전되며 연결되어 있어 사람의 허리부분과 허리에서 연결되는 등부분의 역시 반전된 곡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즉, 제1몸체(10)의 곡면은 사람의 허리 측에, 제2몸체(20)의 곡면은 등 측에 각각 면하여 지지된 상태로 해당부위에 밀착하여 효과적인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예 역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므로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의 사용방식이 이에 따라 제한될 필요는 없다. 즉 본 사용례 역시 예시적인 것이므로 예시된 방식과 또 다른 형태로도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를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자극을 가해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와 같이 사람이 누운 상태로, 지면에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를 놓고 착탈식구름바(40)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사용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먼저,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면,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착탈식구름바(40)를 제1몸체(10) 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착탈식구름바(40)는 지면(G)에 접촉하여 볼록한 외주면(40a)에 의해 쉽게 구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이 결합된 위치를 중심으로 제1몸체(10)를 지지하되 지지점을 중심으로 제1몸체(10)를 시소 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제1몸체(10)에 연결된 가요성연결체(30)가 도 10a와 같이 펼쳐지거나, 또는 도 10b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접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절되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위치가 대응하여 바뀔 수 있다. 즉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상호위치가 가요성연결체(30)의 굴절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가 허리부분을 움직이거나 지면(G)을 발이나 팔 등으로 밀어내며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고 이를 통해 매우 역동적으로 허리와 등을 가압하여 척추 부분에 자극을 줄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척추 후관절돌기 등의 부위를 교정하고 통증을 제거하거나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착탈식구름바(40)를 제2몸체(2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착탈식구름바(40)는 지면(G)에 접촉하여 볼록한 외주면(40a)에 의해 쉽게 구를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신이 결합된 위치를 중심으로 제2몸체(20)를 지지하되 지지점을 중심으로 제2몸체(20)를 시소 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역시, 제2몸체(20)와도 연결된 가요성연결체(30)가 도 11a와 같이 펼쳐지거나, 또는 도 11b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접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절되며,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의 위치가 대응하여 바뀔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역시 사용자가 허리부분을 움직이거나 지면(G)을 발이나 팔 등으로 밀어내며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고 이를 통해 매우 역동적으로 허리와 등을 가압하여 척추 부분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도 10a 및 10b의 경우와, 도 11a 및 11b의 경우는 각각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큰 부분이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로 바뀌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움직임과 가동위치의 변화를 유도하여 척추의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한 새로운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경우 착탈식구름바(40)에 의한 시소 운동에 따라 가요성연결체(30)가 접히거나 또는 펼쳐지며 각 몸체의 제1돌기(100a)과 제2돌기(200a)의 방향도 크게 바뀌게 되므로 보다 넓은 범위에 다양한 형태의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를 이용하여 척추의 정형과 관련된 여러 형태의 운동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도 크지 않아 휴대가 용이하므로 장소를 옮겨 다니며 사용할 수도 있고 가정에서도 별도의 설치과정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척추 정형용 운동기 구 10: 제1몸체
11, 21: 공동부 20: 제2몸체
30: 가요성연결체 40: 착탈식구름바
40a: 외주면 100a: 제1돌기
100b, 200b: 연결판 110: 제1곡면부
120: 제1바닥부 130, 230: 슬라이딩결합부
131, 231: 결합돌기 132, 232: 홈부
140, 240: 고정점결합부 141, 142, 241, 242: 통공부
150, 250: 원통형결합홈 151, 251, 411: 스톱퍼
152, 252: 외측인입구 153, 253: 외홈
200a: 제2돌기 210: 제2곡면부
220: 제2바닥부 310: 외측만입부
410: 원통형결합돌기 412: 확장편
413: 삽입돌부 A: 경추
B: 흉추 C: 요추
D: 천추 E: 미추
G: 지면

Claims (13)

  1. 사람의 등과 허리부분을 지지하여 압력을 가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로서,
    복수의 제1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돌기가 배치된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되되, 복수의 제2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돌기가 배치된 면이 상기 제1몸체의 곡면과 다른 곡면으로 형성된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사이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가요성연결체; 및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의 돌기가 없는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를 지지하며 지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를 시소 운동시키는 착탈식구름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는, 곡면을 형성하며 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에 결합되며 돌기가 없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각각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연결체는 상기 제1몸체의 곡면을 형성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제2몸체의 곡면을 형성하는 제2곡면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가요성연결체로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상호위치가 상기 가요성연결체의 굴절에 따라 변동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볼록한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오목한 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연결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곡면의 굴절방향이 서로 반전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곡면은 사람의 허리 측에, 상기 제2몸체의 곡면은 등 측에 각각 면하여 지지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연결체는 상기 제1몸체의 곡면과 상기 제2몸체의 곡면을 연속된 면으로 연결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연결체와, 상기 제1곡면부와, 상기 제2곡면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와 상기 바닥부는,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고정홈의 쌍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와 상기 바닥부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고정홈의 쌍이 형성되지 않은 타 측에 서로 대향되는 한 점에서 마주보며 결합하여 고정점을 형성하는 고정점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구름바는,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과 접하지 않는 외주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구름바는,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과 접하는 일 면에서 상기 착탈식구름바와 수직하게 돌출된 원통형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결합돌기를 수용하는 원통형결합홈, 및
    상기 원통형결합홈과, 상기 원통형결합돌기의 외측에, 서로 맞물려 상기 착탈식구름바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착탈식구름바를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연결하는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의 사이에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연결하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중앙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간인 공동부를 포함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의 사이 및 상기 제2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둘 이상의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연결하는 길이방향과는 교차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연결판을 더 포함하는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KR1020190153001A 2019-11-26 2019-11-26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KR102301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01A KR102301928B1 (ko) 2019-11-26 2019-11-26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CN202080042409.3A CN113939254A (zh) 2019-11-26 2020-10-12 脊椎矫形用运动器具
US17/619,948 US20220354725A1 (en) 2019-11-26 2020-10-12 Spinal orthopedic exercise equipment
PCT/KR2020/013874 WO2021107393A1 (ko) 2019-11-26 2020-10-12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01A KR102301928B1 (ko) 2019-11-26 2019-11-26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599A KR20210064599A (ko) 2021-06-03
KR102301928B1 true KR102301928B1 (ko) 2021-09-14

Family

ID=7612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001A KR102301928B1 (ko) 2019-11-26 2019-11-26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54725A1 (ko)
KR (1) KR102301928B1 (ko)
CN (1) CN113939254A (ko)
WO (1) WO2021107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689A (ko) * 2021-08-19 2023-02-28 (주)메드사피엔스 물리치료용 척추교정 운동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375B1 (ko) * 2016-12-26 2017-05-30 이규환 척추재활 및 복근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48075Y (zh) * 1995-08-31 1997-02-26 邱建清 改良结构的多功能韵律板
JP3374272B2 (ja) * 1997-11-13 2003-02-04 誠 松岡 上肢、骨格牽引並びに経絡調整器具
KR20000031231A (ko) * 1998-11-04 2000-06-05 김병재 척추교정기
CN2429044Y (zh) * 2000-06-29 2001-05-09 李建魁 脊背适形睡眠保健垫
JP2002085516A (ja) * 2000-09-13 2002-03-26 Keisaku Arashiro 健康具
KR200266031Y1 (ko) * 2001-10-20 2002-02-27 진용근 허리 운동구
CN2584154Y (zh) * 2002-12-18 2003-11-05 常清洲 凸面形分离式牵引床板
JP2005218818A (ja) * 2004-02-05 2005-08-18 Yoshio Yamamoto 腰の伸展支持運動具
JP2006102256A (ja) * 2004-10-06 2006-04-20 Hiroyoshi Takahashi 矯正装置
KR100758929B1 (ko) * 2006-11-22 2007-09-14 박성주 척추 신경 활성기
KR200436307Y1 (ko) * 2007-05-22 2007-07-26 김지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0970474B1 (ko) * 2008-02-12 2010-07-16 김희경 척추 강화 장치
KR101142888B1 (ko) 2009-11-09 2012-05-09 윤창로 허리통증 해소와 척추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120129304A (ko) * 2011-05-19 2012-11-28 이만수 다기능 운동기구
CN102988126A (zh) * 2012-11-12 2013-03-27 杨德昭 S形剖面两面使用两种曲度腰椎治疗板
TWM468231U (zh) * 2013-09-03 2013-12-21 Chin-Hui Chiang 具人體工學曲線的床組
JP6378983B2 (ja) * 2014-09-09 2018-08-22 株式会社エヌシィシィ ストレッチ運動用具
TWM505952U (zh) * 2015-04-30 2015-08-01 Chia Lin Sport Co Ltd 腰靠健身器
CN204766436U (zh) * 2015-06-29 2015-11-18 贵州古益通医药科技有限公司 脊椎有氧运动理疗器
KR200482062Y1 (ko) * 2015-09-11 2016-12-20 이광은 스트레칭 기구 패키지
KR101688498B1 (ko) * 2015-10-13 2016-12-21 임대호 지압기구
KR20170071927A (ko) * 2015-12-16 2017-06-26 채찬 척추 교정장치
KR101965626B1 (ko) * 2016-10-13 2019-04-04 신우열 경추교정장치
CN207076049U (zh) * 2017-07-07 2018-03-09 江门市新会区发达运动用品有限公司 多功能瑜伽腰垫
CN209644414U (zh) * 2019-01-14 2019-11-19 北京悦米科技有限公司 座椅靠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375B1 (ko) * 2016-12-26 2017-05-30 이규환 척추재활 및 복근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39254A (zh) 2022-01-14
KR20210064599A (ko) 2021-06-03
US20220354725A1 (en) 2022-11-10
WO2021107393A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561B2 (en)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US11160725B2 (en) Combined mobility and stability apparatus
US8114132B2 (en) Dynamic interspinous process device
KR100837108B1 (ko) 척추 고정용 플렉시블 로드
KR101780277B1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US20180338853A1 (en) Lifting belt
KR20170090389A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CN109803622B (zh) 颈椎矫正装置
KR102029765B1 (ko) 경추 교정기
US20050165450A1 (en) Passive back extensor device to treat trigger point - back pain
KR102301928B1 (ko)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US20150045835A1 (en) Spinal Fixing Device
US20090105619A1 (en) Sporting Equipment
JP6195802B2 (ja) 関節包内矯正具
KR101955369B1 (ko) 기능성 골반교정기기
CA1304642C (en) Vertebrae and rib manipulation device
JP7488567B2 (ja) マッサージ具
CN113305805A (zh) 一种被动式双框架仿生外骨骼背部装置
WO2024014504A1 (ja) 指圧器具セ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10128547A (ko) 지압용 목 베개
US20230329968A1 (en) Pressure release and massage tool
KR100750631B1 (ko) 척추 견인교정 기구
TWM503211U (zh) 整脊盤體結構
KR20220076696A (ko) 척추 측만 및 곡만 교정기
RU118552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сп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