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292B1 -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 - Google Patents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1292B1 KR102301292B1 KR1020160005561A KR20160005561A KR102301292B1 KR 102301292 B1 KR102301292 B1 KR 102301292B1 KR 1020160005561 A KR1020160005561 A KR 1020160005561A KR 20160005561 A KR20160005561 A KR 20160005561A KR 102301292 B1 KR102301292 B1 KR 1023012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ength
- nylon
- yarn
- fib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7—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including aramid fibre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6—Sewing-cottons or the like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8—Tyre cord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aple fibres
-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07B1/025—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comprising high modulus, or high tenacity, polymer filaments or fibres, e.g. liquid-crystal polymers
-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07B2205/2046—Polyamides, e.g. nylon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일론 66의 초고강도(Super-High Tenacity, SHT) 섬유의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파단 부위 탄성율이 40d/g 이하로 제조하여 높은 강력 이용률을 발현할 수 있는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는 원사 제조 공정 조건을 조절함으로서 파단 부위의 탄성율이 낮고, 원사 강도는 높으며, 절단 신도가 높은 섬유를 제조할 수 있어 자동차용 에어백용 직물이나 재봉사, 로프, 호스 보강재 등 산업용 섬유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나일론 66의 초고강도(Super-High Tenacity, SHT) 섬유의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파단 부위 탄성율이 40d/g 이하로 제조하여 높은 강력 이용률을 발현할 수 있는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에 관한 것이다.
나일론 66은 헥사메틸렌 디아민과 아디프산을 축중합시킴으로서 제조되는 폴리아미드로, 의료용 및 산업용 섬유, 플라스틱 성형품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우수한 특성을 바탕으로 자동차 에어백용 직물, 재봉사, 산업용 로프 등 산업자재 용도로 그 수요가 광범위하게 요구되고 있는 소재이다. 순수 나일론 66 칩을 사용하여 원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헥사메틸렌 디아민과 아디프산 사이의 반응 및 여러 부반응에 의해 프리폴리머 내부에 겔상 물질(gel-like material)이 생성되어, 이후의 후속 공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렇게 중합물 내부에 존재하는 겔이 고상 중합단계에서 환상 또는 3차원화 방식으로 계속 성장하게 되고 용융 및 방사단계에서 더욱 성장, 발전하는 동시에 새로운 겔이 생성되어 용융상 필라멘트 내부에 구정(spherulite)를 발생기킨다. 이러한 겔 발생이 많으면 방사 팩 및 노즐 필터에 포집되어 필터 교체 주기 단축 등의 방사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일부 크기가 작은 겔은 미연신사에 포함되어 연신공정에서 연신성을 저하시켜 핀사 발생이 많아지게 되어 이후 자동차 에어백용 직물등의 제직 공정에서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문제가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파단 부위의 기울기 즉 파단부위의 탄성율을 40g/d 이하로 한정한 원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산업용 고강도 나일론 66 섬유에 있어서, 파단 부위의 탄성율이 40g/d 이하이고, 이완율은 4 내지 5%이고, 이완영역의 온도는 240 내지 2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를 제공한다. 이때 원사 강도는 11g/d 이상이고 절단신도가 15 내지 28%, D/C의 강력 이용율은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는 원사 제조 공정 조건을 조절함으로서 파단 부위의 탄성율이 낮고, 원사 강도는 높으며, 절단 신도가 높은 섬유를 제조할 수 있어 자동차용 에어백용 직물이나 재봉사, 로프, 호스 보강재 등 산업용 섬유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나일론 66 원사는 최종 원사의 강도가 11g/d 이상, 절단신도가 15%이상을 가지면서 D/C의 강력 이용률은 85%이상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며, 파단 부위의 탄성율은 40g/d 이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일론 66의 2.8~3.6 수준이며, 중합물의 상대점도가 높을수록 고강도 발현에 유리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는 압출기에서 용융시킨 용융물을 방사구금을 통과시켜 방사한 후 다단 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연신-열고정-이완을 동시에 행하는 스핀-드로우 공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반복 단위를 85몰% 이상 함유하는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를 방사구금을 통하여 용융 압출하는 단계, (B) 방사구금 아래에서 냉각기체를 사용하여 냉각 고화시키고 미연신사를 인취하는 단계, (C) 상기 미연사를 다단 연신, 열처리 및 이완을 거쳐 연신사를 권취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중합물은 최소한 85몰%의 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반복 단위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단위만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대신에 임의의 폴리아미드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는 주로 지방족이다.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나일론 66); 폴리(e-카프로아미드) (나일론 6); 및 그들의 공중합체 등의 널리 사용되는 나일론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나일론 66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타 나일론 중합체는 나일론 12, 나일론 46, 나일론 6·10 및 나일론 6·12이다.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칩은, 열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최종 중합체 중의 구리 금속으로서의 잔존량이 50 내지 80 ppm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첨가할 수 있는데, 이 양이 50 ppm보다 적으면 방사시 열안정성이 떨어져서 열분해가 일어나고, 80 ppm보다 많으면 필요 이상의 구리 금속이 이물질로 작용하여 방사시 문제가 된다.
상기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칩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섬유화한다.
단계 (A)에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칩을 팩 및 노즐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270 내지 310℃의 방사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의 방사 드래프트비(최초 권취롤러 위에서의 선속도/노즐에서의 선속도)로 저온 용융방사함으로써 열분해에 의한 중합체의 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방사 드래프트비가 20보다 작으면 필라멘트 단면 균일성이 나빠져 연신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200을 초과하면 방사 중 필라멘트 파손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원사를 생산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팩내의 여과 체류시간을 3 내지 30초로 조정하는 것이 중요한 인자이다. 만일 팩내의 여과 체류시간이 3초 미만이면 이물질의 여과 효과가 불충분하며, 30초이상이면 과도한 팩압 증가로 인하여 열분해가 심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압출기 스크루의 L/D(길이/직경)을 10 내지 4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스쿠루의 L/D가 10미만이면 균일한 용융이 어렵고, 40을 초과하면 과도한 전단응력에 의한 분자량 저하가 심하여 물성이 떨어진다.
단계 (B)에서, 상기 단계 (A)의 용융방출사를 냉각구역을 통과시켜 급냉고화시킨다.
냉각구역에서는 냉각공기를 불어주는 방법에 따라 오픈 냉각(open quenching)법, 원형 밀폐 냉각(circular closed quenching)법 및 방사형 아웃플로우 냉각(radial outflow quenching)법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오픈 냉각(open quenching)법이 바람직하다. 이어, 냉각구역(3)을 통과하면서 고화된 방출사(4)를 유제 부여장치(5)에 의해 0.5 내지 1.0%로 오일링할 수 있다.
단계(C)에서, 미연신사의 바람직한 방사속도는 200 내지 1,000m/분이다.
단계 (D)에서, 첫 번째 연신 롤러(6)를 통과한 사를 스핀드로(spin draw) 공법으로 일련의 연신 롤러(7, 8, 9 및 10)를 통과시키면서 총연신비 4.0배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4.5 내지 6.5 으로 연신시킴으로써 최종 연신사를 얻는다.
한편 스핀-드로우 공법에 의해 나일론 66 고강력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황산 상대점도가 2.7 내지 3.4인 나일론 66 공중합 칩을 압출기에서 용융시키고, 기어 펌프를 통하여 방사구금까지 이송한 다음, 압출시켜 냉각 고화시킨 후, 유제 부여장치를 이용하여 유제를 부여하고 방사속도 400 내지 1,000m/분으로 방사한 후 여러 쌍의 고데트 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연신-열고정-이완시킨다. 이때, 제1 고데트 롤러와 제2 고데트 롤러 사이의 프리드로우 연신비는 1.01 내지 1.08로 하고, 제2 고데트 롤러와 제3 고데트 롤러 사이의 1단 연신비는 2.5 내지 3.5, 제3 고데트 롤러와 제4 고데트 롤러 사이의 2단 연신비는 1.5 내지 2.5로 하여 전체 연신비가 4.0 내지 6.0의 수준으로 되게 연신한 후 0 내지 6%의 수준으로 이완 공정을 적용한 2,100 내지 4,000m/분의 속도로 권취한다. 제1 고데트 롤러의 온도는 상온이고, 제2 고데트 롤러의 온도는 상온 내지 90℃, 제3 고데트 롤러의 온도는 120 내지 200℃, 제4 고데트 롤러의 온도는 180 내지 230℃, 제5 고데트 롤러의 온도는 상온 내지 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원사 제조 공정 중 이완율을 4 내지 12%로 하고, 이완온도를 150 내지 280℃로 설정하고 Spin Draft 및 연신비에 따라 파단 부위의 탄성율을 40g/d 이하로 제조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강력 이용률은 특히 원사의 파단 부위의 기울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제조되는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의 파단 부위 탄성율은 40d/g 이하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나일론 66 고강력사는 항공기 타이어 또는 특수 산업용 자재로서 사용 가능하다.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아니된다.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에서 분석 항목별 측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상대점도(I.V.)
황산(90%)에 시료 0.1g을 농도가 0.4g/100ml 되도록 90분간 용해시킨 후 우베로데(Ubbelohde) 점도계에 옮겨담아 30℃ 항온조에서 10분간 유지시키고, 점도계와 흡인장치(aspirator)를 이용하여 용액의 낙하 초수를 구했다. 용매의 낙하 초수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한 다음, 하기 수학식에 의해 R.V.값을 계산하였다.
R.V. = 시료의 낙하 초수/용매의 낙하 초수
(2) 강신도
인스트론(Instron) 5565(인스트론사제, 미국)를 이용하여, ASTM D 885의 규정에 따라 표준 상태(20℃, 65% 상대습도)하에서 24시간 이상 방치한 후 250mm의 시료 길이, 300mm/분의 인장속도 및 80turns/m의 조건으로 강신도를 측정하였다.
(3) 파단 부위 탄성율
파단 부위 탄성율은 강신도 곡선에서, 절단신도 값에서 2를 뺀 값과 절단신도 값 사이 구간의 기울기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4) D/C 강력 이용율
D/C 강력 이용율(%) = D/C 강력/(원사 강력 × Ply 수) × 100
실시예 1
구리 금속을 각각 80ppm 포함하는 상대점도(RV) 3.4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칩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296℃의 온도에서 20의 방사 드래프트비로 용융방사하였다. 이때 팩내 여과 체류시간은 17초이고, 사용된 압출기의 스쿠루는 L/D가 35로 조정하였고, 2개의 유니트를 갖는 스태틱 믹서를 팩의 중합체 도관 내에 설치하여 용융방사되는 중합체를 고르게 혼합시켰다. 이어, 방출사를 길이 600mm의 냉각구역을 통과시켜 고화시킨 다음 방사 유제로 오일링하였다. 이 미연신사를 470m/분의 방사속도로 권취하고, 2단 연신시켰다. 총 연신비 6.0으로 열고정(이완 온도)하고 8% 이완시킨 다음 권취하여 1890d 데니어의 최종 연신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Spin Draft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연신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1 | 실시예1 | |
상대점도(R.V.) | 3.0 | 3.0 |
섬도(denier) | 1890 | 1890 |
Spin Draft | 30 | 20 |
연신비 | 6.15 | 6.0 |
강도(d/g) | 9.6 | 11 |
절단신도(%) | 13.5 | 18.2 |
D/C 강력 이용률(%) | 80 | 89 |
파단부위 탄성율(g/d) | 41 | 35 |
상기 실시예1은 비교예1에 비하여 강도 11g/d의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를 얻었으며, 절단 신도 및 강력 이용률도 비교예1과 비교하여 우수한 수준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파단부위 탄성율의 경우에도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해 낮은 값을 보여 종합적으로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하여 높은 강력 이용률을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출원에서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2)
- 산업용 고강도 나일론 66 섬유에 있어서,
파단 부위의 탄성율이 40g/d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의 원사 강도는 11g/d 이상이고 절단신도가 15 내지 28%, 딥코드(D/C)의 강력 이용율은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5561A KR102301292B1 (ko) | 2016-01-15 | 2016-01-15 |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5561A KR102301292B1 (ko) | 2016-01-15 | 2016-01-15 |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5877A KR20170085877A (ko) | 2017-07-25 |
KR102301292B1 true KR102301292B1 (ko) | 2021-09-14 |
Family
ID=5942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5561A KR102301292B1 (ko) | 2016-01-15 | 2016-01-15 |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1292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2924B1 (ko) | 2003-10-22 | 2004-12-23 | 주식회사 효성 | 비피복 에어백용 저수축 폴리아미드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50519A (ja) * | 1987-07-31 | 1988-03-03 | Toray Ind Inc | ポリヘキサメチレンアジパミド繊維 |
KR0160463B1 (ko) * | 1996-03-28 | 1998-12-01 | 백영배 | 고무제품 보강재용 폴리아미드사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00021790A (ko) | 2008-08-18 | 2010-02-26 | 주식회사 효성 | 산업용 나일론 66 고강력 원사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6
- 2016-01-15 KR KR1020160005561A patent/KR1023012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2924B1 (ko) | 2003-10-22 | 2004-12-23 | 주식회사 효성 | 비피복 에어백용 저수축 폴리아미드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5877A (ko) | 2017-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6235B1 (ko) | 크리이프 특성이 우수한 산업용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 제조방법 | |
KR100402839B1 (ko) | 고강력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 |
KR20120072860A (ko) |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고모듈러스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의 제조방법 | |
KR20070016469A (ko) | 고무보강용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의 제조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 |
KR101602385B1 (ko) |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딥코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 |
KR102361350B1 (ko) | 나일론 66 고강력 섬유 제조방법 | |
KR20150097126A (ko) |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딥코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 |
KR102111334B1 (ko) | 나일론 원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01292B1 (ko) |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 | |
KR20100021790A (ko) | 산업용 나일론 66 고강력 원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394653B1 (ko) | 고강도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65748B1 (ko) | 초고강도 나일론 원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979352B1 (ko) | 고강력 및 강력이용률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원사의 제조방법 | |
KR20180085846A (ko) | 강력 이용률이 높은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 | |
KR101225583B1 (ko) | 중공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 | |
KR101888065B1 (ko) |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 제조방법 | |
KR0140230B1 (ko) | 치수 안정성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 |
KR20110078415A (ko) | 고강력 폴리에스터 원사 및 타이어코드의 제조방법 | |
KR101551421B1 (ko) | 타이어용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의제조방법 | |
KR20170091968A (ko) | 내피로도가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코드의 제조방법 | |
KR101664933B1 (ko) |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고모듈러스 폴리에스터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 | |
KR102241107B1 (ko) | 캡플라이 코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28513B1 (ko) | 캡플라이 코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007331B1 (ko) |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 및 이를 포함하는폴리에스테르 타이어 코오드 | |
KR102387207B1 (ko) | 캡플라이 코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