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269B1 -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 - Google Patents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269B1
KR102301269B1 KR1020190027542A KR20190027542A KR102301269B1 KR 102301269 B1 KR102301269 B1 KR 102301269B1 KR 1020190027542 A KR1020190027542 A KR 1020190027542A KR 20190027542 A KR20190027542 A KR 20190027542A KR 102301269 B1 KR102301269 B1 KR 10230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isplays
display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638A (ko
Inventor
김미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2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26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동영상 앨범은 과거에 수행한 행동과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일끝단을 하나의 묶음 형태로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디스플레이마다 구비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Video album, book and manual with video implementation}
본 발명은 동영상 구현 기술에 관한 것으로, 움직이는 동적 영상인 동영상을 책 형태로 보여주는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진 앨범은 인화지에 인쇄된 전통적인 형태의 사진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인화지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소개됨에 따라 사진, 동영상 등의 다양한 유형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앨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앨범 형태는 2차원 평면 형태의 이미지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형태로 동영상을 보여주지 않으며, 만약 동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표시소자가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4800호(2013.08.0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켜고 파일을 찾는 과정없이 움직이는 동적 영상인 동영상을 책 형태로 보여주는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은 과거에 수행한 행동과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일끝단을 하나의 묶음 형태로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마다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표시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별로 조도 및 상기 일끝단에 발생되는 굴곡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 디스플레이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상기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출력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굴곡 상태를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간의 끼인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끼인각 중 가장 큰 끼인각을 가지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상기 펼치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별로 서로 다른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되면 처음부터 다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책은 사상, 감정 및 지식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한 글과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일끝단을 하나의 묶음 형태로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마다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사용설명서는 제품 설명과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일끝단을 하나의 묶음 형태로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마다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켜고 파일을 찾는 과정없이 움직이는 동적 영상인 동영상을 책 형태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구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별로 별도의 터치패널이나 배터리 등 주변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시스템 구조가 간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중앙 제어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앨범이 덮여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앨범이 펼쳐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앨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앨범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앨범이 덮여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앨범이 펼쳐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앨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동영상 앨범(100)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켜고 파일을 찾는 과정없이 움직이는 동적 영상인 동영상을 책 형태로 보여준다. 동영상 앨범(100)은 디스플레이별로 별도의 터치패널이나 배터리 등 주변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시스템 구조가 간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중앙 제어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동영상 앨범(100)은 센서부(40), 제어부(60) 및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고, 본체(10), 인터페이스부(20), 전원부(30), 통신부(50), 저장부(80) 및 배터리(90)를 더 포함한다.
본체(10)는 센서부(40) 및 디스플레이부(70) 이외의 구성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써, 포함되는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본체(10)는 디스플레이부(70)가 하나의 묶음 형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는 본체(10)에 구비되고,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0)는 외부 장치로부터 동영상 정보 및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는 다양한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USB(Universal Serial Bus), RS-232(recommended standard-232C),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스마트폰, 데스크톱, 랩톱, 핸드헬드PC 등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전원부(30)는 본체(10)에 구비되고, 동영상 앨범(100)의 전원을 제어한다. 전원부(30)는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되어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한다.
센서부(40)는 디스플레이부(70)에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70)의 상태정보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태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73) 중 어느 디스플레이(73)가 펼쳐진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센서부(40)는 광센서(40a) 및 굴곡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광센서(40a)는 빛의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각 디스플레이(73)마다 구비된다. 광센서(40a)는 디스플레이(73)별 조도를 감지한다. 굴곡센서는 디스플레이(73)가 접히거나 펴지는 휘는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각 디스플레이(73)의 일끝단마다 구비된다. 굴곡센서는 디스플레이(73)별 일끝단에 발생되는 굴곡 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굴곡센서는 어두운 장소에서 동영상 앨범(100)이 구동될 때 발생되는 부정확한 광센서의 값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통신부(50)는 본체(10)에 구비되고,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50)는 외부 장치로부터 동영상 정보 및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0)는 다양한 규격의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센서부(4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펼치진 부분의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재생한다. 이때 제어부(60)는 센서부(40)로부터 감지된 정보가 조도인 경우, 조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 디스플레이가 복수의 디스플레이(70) 중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60)는 센서부(40)로부터 감지된 정보가 굴곡 상태인 경우, 굴곡 상태를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간의 끼인각(θ)을 산출하고, 산출된 끼인각 중 가장 큰 끼인각을 가지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복수의 디스플레이(70) 중 펼치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60)는 조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출력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는 측정된 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보다 낮은 경우, 디스플레이의 출력 밝기를 기준 밝기보다 낮춰 사용자가 눈부심 현상을 최소화하고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조도는 일반적으로 낮에 적용되는 조도 값일 수 있다.
제어부(60)는 각 디스플레이(73)마다 서로 다른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동영상을 독립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펼쳐진 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만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밍제어를 통해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출력 밝기를 높여주면서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는 해당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되면 처음부터 다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73)의 동영상이 재생이 완료됨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73)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어부(60)는 해당 동영상을 처음부터 반복재생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는 과거에 수행한 행동과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73) 중 일끝단이 하나의 묶음 형태로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73)를 포함하고, 표지(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는 표지(71)를 맨 앞뒤에 구비시켜 겉장 역할을 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73)를 표지(71) 사이에 구비시켜 속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표지(71)는 두꺼운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 또는 이물질로부터 디스플레이(73)를 보호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지(71)는 방수 재질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73)는 플레시블 기판(73a) 및 표시소자(73b, 73c)를 포함한다.
플렉시블 기판(73a)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단면 또는 양면 기판일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73a)은 일끝단이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제어부(70)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을 표시소자(73b, 73c)로 전달한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73a)은 일끝단이 굴곡센서과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분에 조도센서와 연결되어 기판의 굴곡 상태 및 입사되는 광의 조도를 측정한다.
표시소자(73b, 73c)는 플렉시블 기판(73a)의 적어도 일면에 연결된다. 이때 표시소자(73b, 73c)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표시소자(73b, 73c)는 서로 다른 동영상을 재생하고, 재생되는 동영상은 독립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이때 표시소자(73b, 73c)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표시소자(73b, 73c)는 플렉시블 기판(71)과 마찬가지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80)는 동영상 앨범(100)이 구동되기 위한 알고리즘이 포함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저장부(80)는 인터페이스부(20) 및 통신부(50)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정보 및 제어신호가 저장된다. 저장부(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90)는 동영상 앨범(100)이 구동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인 전원을 각 구성으로 공급한다. 배터리(90)는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일 수 있다. 배터리(90)는 전원부(30)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을 공급한다.
상술된 설명 및 도면에서는 동영상 앨범(100)에 관련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동영상 책(미도시) 및 동영상 사용설명서(미도시)에도 해당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동영상 책은 동영상 앨범(100)과 동일한 구성에 출력되는 동영상만 사상, 감정 및 지식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하는 글과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시켜 적용할 수 있고, 동영상 사용설명서는 동영상 앨범(100)과 동일한 구성에 출력되는 동영상만 제품 설명과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시켜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앨범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동영상 앨범(100)의 구동방법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켜고 파일을 찾는 과정없이 동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구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앨범(100)은 디스플레이별로 별도의 터치패널이나 배터리 등 주변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시스템 구조가 간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중앙 제어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S110단계에서, 동영상 앨범(100)은 전원 온(on) 신호가 입력된다. 동영상 앨범(100)은 사용자에 의해 전원 온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를 통해 동영상 앨범(100)은 각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을 시작한다.
S120단계에서, 동영상 앨범(100)은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감지한다. 동영상 앨범(100)은 조도 및 디스플레이의 일끝단에서 발생되는 굴곡 상태를 감지하여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감지한다. 즉 동영상 앨범(1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조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동영상 앨범(100)은 굴곡 상태를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간의 끼인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끼인각 중 가장 큰 끼인각을 가지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펼치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라고 판단하다.
S130단계에서, 동영상 앨범(100)은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재생한다. 동영상 앨범(100)은 각 디스플레이마다 서로 다른동영상을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동영상을 독립적으로 재생되도록 한다. 이때 동영상 앨범(100)은 펼쳐진 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만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S140단계에서, 동영상 앨범(100)은 전원 오프(off)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동영상 앨범(100)은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을 종료하고,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S120단계로 분기하여 S120단계를 재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본체
20: 인터페이스부
30: 전원부
40: 센서부
40a: 광센서
50: 통신부
60: 제어부
70: 디스플레이부
71: 표지
73: 디스플레이
73a: 플렉시블 기판
73b: 제1 표시소자
73c: 제2 표시소자
80: 저장부
90: 배터리
100: 동영상 앨범

Claims (10)

  1. 동영상을 재생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일끝단을 하나의 묶음 형태로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마다 복수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별로 조도 및 상기 일끝단에 발생되는 굴곡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감지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판단하고, 상기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에 기 설정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가 굴곡 상태인 경우,
    상기 굴곡 상태를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간의 끼인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끼인각 중 가장 큰 끼인각을 가지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상기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표시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가 조도인 경우,
    상기 조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 디스플레이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상기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출력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별로 서로 다른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되면 처음부터 다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9. 삭제
  10. 제품 설명과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일끝단을 하나의 묶음 형태로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마다 복수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별로 조도 및 상기 일끝단에 발생되는 굴곡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감지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판단하고, 상기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에 기 설정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가 굴곡 상태인 경우,
    상기 굴곡 상태를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간의 끼인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끼인각 중 가장 큰 끼인각을 가지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상기 펼쳐진 부분의 디스플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사용설명서.
KR1020190027542A 2019-03-11 2019-03-11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 KR102301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42A KR102301269B1 (ko) 2019-03-11 2019-03-11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42A KR102301269B1 (ko) 2019-03-11 2019-03-11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38A KR20200108638A (ko) 2020-09-21
KR102301269B1 true KR102301269B1 (ko) 2021-09-13

Family

ID=7270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542A KR102301269B1 (ko) 2019-03-11 2019-03-11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2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387B1 (ko) * 2013-05-24 2014-11-21 한국전기연구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책자 형태로 다수 개 구비하는 모바일 책형 응용 장치
JP2017207842A (ja) 2016-05-17 2017-1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800U (ko) 2013-07-12 2013-08-08 주식회사 나노브릭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앨범
KR101598699B1 (ko) * 2014-07-01 2016-03-0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책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4892B1 (ko) * 2014-12-18 2021-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18371A (ko) * 2017-08-14 2019-02-22 선은미 전자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387B1 (ko) * 2013-05-24 2014-11-21 한국전기연구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책자 형태로 다수 개 구비하는 모바일 책형 응용 장치
JP2017207842A (ja) 2016-05-17 2017-1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38A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5308B1 (en) Digital picture display frame
JP4633207B2 (ja) 画像表示装置
US7986368B2 (en) Digital photo frame with photographing function
US20100321533A1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70181771A1 (en) Digital display insert for photo frames
US20090102807A1 (en) Book-shap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editing video using book-shaped display apparatus
JP2000284760A (ja) 情報表示装置
JPH1083146A (ja) 電子式写真立て
US20150301789A1 (en) Photograph frame having sound source output function, and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which produces sound source output source data to be input in photograph frame
KR102301269B1 (ko)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동영상 앨범, 책 및 사용설명서
JP2011197463A (ja) 電子カレンダー
CN102404524A (zh) 一种视频菜单设置方法、装置及3d电视
JP5889124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6243137A (ja) フォトスタンド
CN103390381A (zh)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WO2006016694A1 (ja) 多機能画像表示装置
JP2009300591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10197710A (ja) 画像表示装置
KR101090735B1 (ko) 광고제공 디지털 액자
CN201114336Y (zh) 用于显示数码图片的电子显示装置
JP2010033135A (ja) 画像表示装置
JP2010197711A (ja) 画像表示装置
JP2007156559A (ja) 電子機器
KR200183654Y1 (ko) 휴대용 컬러 압축 정지화상 표시장치
JP2005310019A (ja) 処理対象画像指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