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982B1 -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982B1
KR102300982B1 KR1020170051244A KR20170051244A KR102300982B1 KR 102300982 B1 KR102300982 B1 KR 102300982B1 KR 1020170051244 A KR1020170051244 A KR 1020170051244A KR 20170051244 A KR20170051244 A KR 20170051244A KR 102300982 B1 KR102300982 B1 KR 102300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appliance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link
user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078A (ko
Inventor
한네스 큄메를레
에발트 바이어
호르디 알바레스 라벤토스
카이 슈미트
피에르 메츠너
슈테펜 바이쓰
게르트 크나페
올리버 차벨
Original Assignee
에.게.오. 에렉트로-게래테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7013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30098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게.오. 에렉트로-게래테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게.오. 에렉트로-게래테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2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05B1/0266Cookto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3Oven, coo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6Cook-top or cookw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은 조리 기기와는 분리되고, 조리 기기와 모바일 단말 양쪽 모두는 제어기 및 BLE 통신 디바이스를 가지며, 그 방법은, 수행되는 다음의 단계들, 즉 조리 기기 및 단말을 스위치 온 하는 단계, 조리 기기 상의 또는 단말 상의 특정된 사용자 프로세스에 의하여 양자 간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조리 기기 상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프로세스에 의하여 통신 링크의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리 기기 상의 통신 링크의 확인 시의 양자의 통신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 링크의 신호 강도가 저장되고 사용 동안 모니터링된다. 신호 강도가 규정된 신호 강도 한계 값 미만으로 떨어지면, 모바일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커맨드들이 차단된다.

Description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조리 기기{METHOD FOR CONTROLLING A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 기기와는 분리된 모바일 단말,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폰 (mobile phone) 또는 태블릿 컴퓨터를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 19802558 A1이 원격 제어를 사용하여 호브 (hob) 를 조리 기기로서 제어하는 실시를 개시한다. 원격 제어는, 예를 들어, IR 송신 링크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조리 기기 상의 조리 프로세스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되는 것을 허용하는 처음에 언급된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또한 이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과 제 18 항의 특징들을 갖는 이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조리 기기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및 바람직한 구성들은 추가의 청구항들의 요지이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 경우, 그 특징들 중 일부는 방법에 대해서만 또는 조리 기기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그러나, 이에 상관없이, 그것들은 방법 및 조리 기기 양쪽 모두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의도된다. 청구항들의 표현 (wording) 은 분명한 참조에 의하여 상세한 설명의 내용으로 만들어진다.
그 방법은 조리 기기, 특히 호브가 조리 기기와는 분리된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제어되는 것을 허용한다. 조리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디바이스 또는 다른 기능성 유닛을 갖는다. 동일하게, 그것은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커맨드들의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엘리먼트, 유리하게는 다수의 이러한 사용자 엘리먼트들을 갖는 사용자 장치를 가진다. 이것들은 기계적으로 동작 가능하거나 또는 아니면 터치 센서들로서 알려진 것일 수도 있다. 더욱이, 조리 기기는 제어기,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 및 필요한 경우,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표시자를 갖는다.
모바일 단말은 자체의 통신 디바이스, 제어기 및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커맨드들의 입력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를 갖는다. 모바일 단말 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유리하게는 알려진 대로의 터치 센서들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는, 예를 들어, 모바일 폰들 또는 태블릿 컴퓨터들과 같은 모바일 단말들에 대해 본질적으로 표준 실시 (standard practice) 이다.
그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갖는다. 먼저, 조리 기기와 모바일 단말은 스위치 온되거나 또는 그것들은 온 되어야 한다. 때때로, 적용가능 프로그램 또는 앱으로서 알려진 것이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시작되는 것이 필요하다. 두 개의 디바이스들 간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리 기기 상의 및/또는 모바일 단말 상의 특정된 사용자 프로세스가 그 다음에 이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 유리하게는, 특정된 사용자 프로세스는 모바일 단말 상에서 일어나며, 예를 들어 그것은 이전에 설명된 프로그램 또는 앱의 시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시될 수 있다. 통신 링크의 설정은 그 다음에 조리 기기 상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프로세스에 의하여 확인된다. 이는 유리하게 조리 기기의 전술한 사용자 엘리먼트를 동작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통신 링크의 이 설정을 인식하는 것과 통신 링크가 신중히 설정되도록 보장한다. 유리하게, 이 확인은 규정된 (prescribed) 확인 시간 내에 이루어지며, 그렇지 않으면 통신 링크는 다시 끊어지거나 또는 설정되지 않는다.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조리 기기 상의 통신 링크의 확인 시의 조리 기기 및 모바일 단말의 통신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 링크의 신호 강도가, 유익하게는 조리 기기의 제어기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통신 링크가 존재하는 동안 또는 조리 기기가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동안, 모바일 단말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된 사용자 커맨드들의 신호 강도 또는 조리 기기 상의 통신 링크의 현재 신호 강도가 모니터링된다. 이는 디바이스들 양쪽 모두에 대해 또한 수행될 수 있지만, 유리하게는 적어도 조리 기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리 기기는 사용자에 의한 그 모바일 단말 상의 사용자 커맨드들의 입력에 의해 모바일 단말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열 디바이스 또는 다른 기능성 유닛이 자신의 전력 또는 변경된 다른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거나, 스위치 온 될 수 있거나 또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이는 모바일 단말 및 호브 자체 양쪽 모두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통신 링크의 현재 신호 강도를 모니터링하는 동안 특정 정도 미만으로 떨어짐이 식별된다면, 다시 말해서 그 신호 강도가 통신 링크 자체로부터 및/또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조리 기기로의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규정된 신호 강도 한계 값 미만으로 떨어진다면, 적어도, 모바일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커맨드들은 조리 기기 상에서 차단되거나 또는 때때로 심지어 조리 기기와 단말 간의 통신 링크가 접속해제된다. 이 안전 기능은 모바일 단말을 가진 사용자가 조리 기기로부터 너무 멀리 이동한 경우가 식별될 수 있고 식별되어야 함을 의미된다. 그 이유는 그때에 조리 기기와의 아마도 더 이상의 시각적 접촉이 없거나 또는 더 이상의 비제한된 시각적 접촉이 없다는 문제가 있고 따라서 조리 기기가 동작하는 방법을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안전상의 이유로, 모바일 단말로부터 조리 기기로의 사용자 커맨드들은 차단되고 다음으로 통신 링크의 접속해제도 가능하게 수행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은 호브가 가장 최근에 안전하게 동작된 상태에서 계속 동작하기 위한 규정 (provision) 을 가질 수도 있으며, 즉 가열 디바이스의 전력을 감소되게 하거나 또는 완전히 셧 다운되게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단말을 사용하여 이제 더 이상 제어될 수 없다. 그러나, 조리 기기 자체 상에서는, 정상적인 제어가 제한 없이 계속 가능하다. 이는 물론, 사용자가 조리 기기 근처에 다시 서 있어야 되는 것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에서, 조리 기기와 모바일 단말 간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특정된 사용자 프로세스에 대해 충분하게 될 단일 사용자 커맨드 또는 단일 사용자 엘리먼트의 동작에 대한 규정이 있을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 상의 프로그램 또는 앱의 단순한 시작이 이 경우의 적용가능 사용자 커맨드로서 충분할 수 있지만, 늦어도 그것이 적용가능한 경우 그래픽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단말 상의 특정 사용자 커맨드를 필요로 할 때까지는 충분할 수 있고,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커맨드가 입력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 구성에서, 조리 기기와 모바일 단말 간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특정된 사용자 프로세스에 필요할 조리 기기 상의 사용자 엘리먼트의 동작 및 모바일 단말 상의 사용자 엘리먼트의 동작에 대한 규정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비록 복잡도가 다소 증가하더라도, 사용자 안전은 동시에 뚜렷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서, 통신 링크의 설정 및/또는 통신 링크의 접속해제의 확인은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에게는 통신 링크와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 의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옵션이 설정되었다는 것이 또한 신뢰성 있게 알려진다. 이러한 표시는 적어도 모바일 단말 상에서, 유리하게는 또한 조리 기기 상에서 일어날 수 있다. 가청 표시자가, 예를 들어 단일 또는 다수의 신호 톤의 형태로 짧아야 한다. 대조적으로, 시각적 표시자가, 예를 들어 통신 링크가 설정되었고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단말 상의 및/또는 호브 상의 적용가능 광 표시자에 의해, 또한 영구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성에서 조리 기기의, 특히 또한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제어되는 또는 제어 가능한 가열 디바이스 또는 기능성 유닛의 스테이터스가 모바일 단말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는 통신 링크의 신호 강도가 허용되는 것보다 더 많이 변화하는 경우 또한 일어날 수 있다. 그런고로, 사용자가 호브 상에서 또한 표시되고 특히, 단말에 의한 조리 기기의 안전하고 편리한 제어에 유리한 모든 정보를 모바일 단말 상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처음에 언급된 종래 기술과 그것을 위한 수많은 옵션들을 설명하는 알려진 다른 종래 기술이 또한 참조된다. 따라서, 자동 조리 프로그램들이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실행하는 것과 사용자 커맨드들을 조리 기기에게, 프로그램에 의한 제안 및 사용자에 의한 각각의 확인과 함께 반자동으로 또는 아니면 자동으로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런고로, 사용자가 쉽게 결정된 조리 프로그램들, 개개의 데이터 및 단말에 의해 규정된 파라미터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판독한 후의 조리 기기의 정상적인 수동 사용보다 뛰어난 장점으로서, 단말 상에 제안된 사용자 커맨드가 사용자에 의해 간단히 확인될 수 있다. 예로서, 따라서 단말이 조리 프로그램 동안 호브에 대해 조리 레벨 "7"을 제안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단순히 확인될 필요가 있다. 이는 호브 자체 상에 조리 레벨 "7"을 설정해야 하는 것보다 확실히 더 간단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통신 링크가 과도하게 낮거나 또는 과도하게 떨어진 신호 강도 때문에 접속해제된 후, 다시 말해서 처음에 언급된 신호 강도 한계 값 미만으로 떨어진 경우, 심지어 신호 강도가 갱신된 근접의 결과로서 그 다음에 다시 상승하더라도, 통신 링크가 자동으로 복원되지 않는 규정이 있을 수도 있다. 통신 링크는 특정 사용자 절차에 의해서만 복원 가능하며, 처음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 특정 사용자 절차는 통신 링크를 처음 설정하는 또는 확인하는 방법에 유리하게 대응한다. 이는 심지어 모바일 단말에 의한 조리 기기의 의식적인 제어와 통신 링크의 접속해제 후에도, 통신 링크의 접속해제는 사용자 오류들 또는 위험한 상황들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의식적으로 그리고 신중하게 복원되도록 보장한다.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커맨드들을 차단하기 위한 또는 심지어 통신 링크를 접속해제하기 위한 7 또는 8 dBm 최대치, 바람직하게는 5 dBm 최대치를 초과하는 신호 변화 또는 신호 감소에 대한 규정이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신호 강도 한계 값이 조리 기기 상의 통신 링크의 확인 시에 신호 강도의 50% 이하라는 규정이 있을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신호 강도 한계 값은 통신 링크의 확인 시에 상기 신호 강도의 20% 이하이다. 따라서, 통신 링크가 확인되는 경우에 신호 강도가 신호 강도의 20% 미만이면, 제어기가 개입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서, 통신 링크의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규정된 확인 시간은 10 초 이하일 수도 있으며, 그것은 유리하게는 3 초 이하이다. 이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로부터의 요청 다음에 조리 기기 상의 통신 링크의 설정을 확인해야 하기까지 사용자가 너무 오래 기다릴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성에서, 조리 기기에의 통신 링크가 준비된 모바일 단말을 자발적으로 찾는 조리 기기가 따르게 될, 전술한 규정된 확인 시간보다 더 긴 시간 동안, 통신 링크의 설정을 확인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 엘리먼트의 동작에 대한 규정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런 시간은, 예를 들어, 전술한 규정된 확인 시간보다 5 초 더 길게 지속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단말에의 통신 링크에게 접속해제될 것을 조리 기기에 의해 프롬프트하기 위해, 훨씬 더 긴, 예를 들어, 10초를 초과하는 또는 20초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이 사용자 엘리먼트의 동작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통신 링크가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 특히 BLE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는 더 낮은 신호 강도들의 사용을 수반하는데, 이는 일부 경우들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더 낮은 신호 강도들로, 신호 강도에서의 저하는, 위에서 설명된 통신 링크의 접속해제를 수행할 수 있기 위하여 필요한 대로, 더 큰 정도로 발생할 수 있고 그런고로 더 잘 알아차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리 기기와 모바일 단말 간에 10 m를 초과하는 거리와 명확한 뷰 (clear view) 가 있는 임의의 경우, 예를 들어, 안전상의 이유로, 통신 링크가 접속해제되는 것이 필요하다. 대안적으로, 상이한 또는 유사한 무선 링크가, 예를 들어 지그비 (ZigBee) 표준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에서, 모바일 단말 상의 조리 기기에 대한 사용자 커맨드의 수행의 결과로서 설정되는 통신 링크와 조리 기기 상의 통신 링크의 설정의 후속하는 확인의 경우에, 이 개시 사용자 커맨드가 조리 기기 상에서 또한 즉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더 빠른 사용자 프로세스가, 언급된 단계들의 이전에 설명된 시퀀스의 결과로서, 수 초 내에,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말하자면, 사용자가 사용자 커맨드를 실제로 원하고 또한 제어하는 것이 또한 확실하다면 필연적일 수 있다. 따라서, 조리 기기 상의 통신 링크의 설정의 확인 다음에, 사용자 커맨드를 모바일 단말 상에 다시 한번 직접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것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익하게도, 조리 기기는 단순히 전술한 호브이며, 다시 말해서 다수의 가열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네 개의 조리 구역 (cooking zone) 들을 위한 네 개의 가열 디바이스들을 갖는다. 이들 네 개의 조리 구역들은 그 다음에 모바일 단말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필요하면, 짧은 규정된 시간 동안 생성되는 과도한 전력을 수반하지만, 그 전력은 연속 전력으로서 설정된 채로 남아 있을 수는 없는, 가열 디바이스들에 대한 부스트 전력 레벨들로서 알려진 것 또는 타이머의 프로그래밍과 같은 추가의 셋팅들이 이루어지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들 및 추가의 특징들은 청구항들 뿐만 아니라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도 분명하며, 그 개개의 특징들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위한 서브컴비네이션들의 형태로 그리고 상이한 분야들에서 다수 개로 또는 그것들 자체에 의해 구현되며 본원에서 보호가 주장되는 유리하고 독립적인 보호가능 실시형태들일 수 있다. 개개의 구역들 및 부제목으로의 본 출원의 분할은 그것 하에 이루어진 진술들의 일반적인 유효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도면들에서 개략적으로 묘사되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모바일 폰을 단말로서 갖는 호브의 사용의 개략적인 묘사를 도시하고,
도 2는 방법의 시퀀스 및 제어기의 동작을 묘사하기 위하여 상태 머신의 묘사를 도시한다.
도 1은 매우 고도로 개략적인 방식으로 조리 기기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호브 (11) 를 묘사한다. 상기 호브의 상단 또는 호브 플레이트 (12) 는 다수의 가열 디바이스들 (13) 을 갖고 이들은 전력이 공급 및 구동되고, 그러므로, 호브에 있는 전력 구동 회로 (15) 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전력 구동 회로 (15) 는 호브 (11) 의 제어기 (17) 에 접속된다. 제어기 (17) 는 전체 호브 (11) 에 대한 중앙 제어기일 수도 있고, 예로서,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엘리먼트 (18) 와 또한 호브 (11) 맨 위의 시각적 표시자 (19) 를 구동할 수 있다. 당연히, 현대 조리 기기들 및 호브들에서 표준적인 바처럼, 현대 설계의 실질적으로 더 많은 사용자 엘리먼트들 및 시각적 표시자들에 대한 규정이 또한 있을 수도 있다.
제어기 (17) 는 블루투스 표준, 유리하게는 심지어 BLE 표준에 따라, 다시 말해서 저 전력에서 동작하는, 안테나 (22) 와 함께 통신 디바이스 (21) 에 접속된다. 이는 신호 강도의 모니터링에 의해 더 나을 가능성이 있는, 전술한 목적의 거리 유형 결정 또는 수 미터, 예를 들어 5 m 내지 10 m의 범위에서의 특정 최소 거리 또는 제한 거리의 결정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그것은 지그비 표준 또는 다른 유사한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로서 모바일 폰 (25) 을 도시한다. 모바일 폰 (25) 은 스마트폰의 형태이고 표준 제어기 (27) 뿐만 아니라 안테나 (30) 와 함께 통신 디바이스 (29) 를 또한 포함하는데, 이는 블루투스 표준 또는 유리하게는 BLE 표준에 따라 또한 설계된다.
본원에서 볼 수 있는 묘사에서, 모바일 폰 (25) 은 호브 (11) 로부터 거리 d 내에 위치되거나 또는, 더 정확히 말하면, 안테나들 (22 및 30) 은 서로로부터 이 거리에 있다. 그러나, 호브 (11) 및 모바일 폰 (25) 의 알려진 제한된 디바이스 치수들 때문에, 이는 무관하다.
도 2에 따른 상태 머신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시퀀스를 다소 개략적으로 도시하거나, 또는 상기 시퀀스는 그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처음에, 호브 (11) 와 모바일 폰 (25) 은 온되고, 제어 목적으로,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기 (mobile telephone) (25) 상의 사용자 제어를 기초로 서로 접속하도록 의도된다. 접속할 준비가 된 디바이스가 호브 (11) 에 의해 발견되지 않는다면, 우향 화살표는 그 시점에 접속이 대기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호브 (11) 상의 사용자 엘리먼트 (18) 는 그 다음에, 예를 들어 5 초와 10 초 사이의 시간 동안 "P"로서 동작되어, 호브는 접속 설정을 위한 모드에 진입하고 모바일 단말로의 접속을 설정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이 5 분의 시간 내에 가능하지 않다면, 제어기는 타임아웃 후에 복귀하고, 말하자면, 필요한 경우, 사용자 엘리먼트 (18) 가 새로운 검색을 위해 다시 동작되는 것을 기다린다. 모바일 폰 (25) 으로의 접속이 그것의 우측의 박스처럼 성공적이면, 통신 링크의 설정은 시작되고 좌측상단의 큰 박스로 이동한다. 통신 링크의 설정은 다음의 이벤트들 중 하나가 발생하는 한 시도된다. 사용자 엘리먼트 (18) 는, 예를 들어 10 초보다 더 긴 시간 동안 다시 "P"로서 푸시되며, 그러면 모바일 폰 (25) 으로의 접속은, 만곡된 상향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접속해제된다. 모바일 폰 (25) 상의 가능한 확인은 통신 링크를 확인하며, 그 다음에 통신 링크는 좌측하단의 박스로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엘리먼트 (18) 가 0.3 초를 초과하는 동안 동작한다면, 방법은 우측의 박스로, 다시 말해서 중앙하단으로 이동한다. 통신 링크는 그 다음에 설정되었고 호브 (11) 는, 우측하단의 박스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화기 (25) 를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호브의 열판들이 스위치 온 및 오프되는 것과, 예를 들어, 그것의 전력들이 조정 및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언급된 신호 강도 한계 값 (RSSImax) 미만인 호브 (11) 상의 통신 디바이스 (21) 에서의 신호 강도 (RSSI) 가 있는 한, 통신 링크는 액티브이고 호브 (11) 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호브 (11) 는, 특히 가열 디바이스들 (13) 의 전력 조정, 스위칭 온 및 스위칭 오프를 포함하는, 모바일 폰 (25) 으로부터 확인된 모든 기능들 또는 적어도 많은 기능들 중 어느 한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무선 프로토콜들에 대해, 이것은 상이한 이름을 가진 신호 강도 한계 값이 될 것이다.
그러나, 통신 링크가 모바일 폰 (25) 에 의해 확인되지 않는다면, 그 방법은 좌측하단의 박스로 복귀한다. 비록 두 개의 디바이스들이 그때 서로 접속되지만, 이는 통신 링크가 원하는 유용성을 위해 기능하도록 하지는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링크는 예를 들어 10 초를 초과하는 긴 기간 동안 사용자 엘리먼트의 동작에 의해 이 상태에서 또한 다시 접속해제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접속 자체가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폰 (25) 으로부터의 사용자 커맨드들이 차단된다. 10 초를 초과하는 동안 사용자 엘리먼트를 동작시킴으로써, 모든 알려진 및 접속된 외부 디바이스들을 디커플링시키거나 또는 접속해제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호브 (11) 는 그 다음에 더 이상의 외부 사용이 가능하지 않은 그리고 또한 더 이상의 스테이터스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상태에 진입한다. 커플링 프로세스 또는 접속 프로세스의 새로운 개시만이 통신 디바이스 (21) 를 재활성화시킨다.
통신 링크의 확인 시, 호브 (11) 에서의 또는 통신 디바이스 (21) 에서의 신호 강도 (RSSI) 는 측정된다. 더욱이, 전술한 신호 강도 한계 값 (RSSImax) 이,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통신 링크의 확인 시, 예를 들어, 신호 강도의 50% 이하 또는 심지어 20% 이하로서 정의된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5 dBm 또는 7 dBm를 초과하는 신호 변화가 커맨드들을 차단하거나 또는 통신 링크를 접속해제시킬 수 있다. 이 신호 강도는 연속적으로 측정된다. 신호 강도가 상당히 변화하지 않는 한, 예를 들어 모바일 폰 (25) 을 가진 사용자가 호브 (11) 에 가깝거나 또는 적어도 모바일 폰 (25) 이 호브 (11) 에 가깝다는, 다시 말해서 거리 d가 짧다는 것 때문에, 통신 링크는 유지되고, 호브 (11) 는 모바일 폰 (25) 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모바일 폰 (25) 이 호브 (11) 옆에 정적으로 위치되는 동안 사용자가, 예를 들어, 방 밖으로를 포함하여 더 멀리 이동하면, 이는 통신 링크가 접속해제되는 것 또는 커맨드들이 차단되는 것을 초래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호브 (11) 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없지만, 동시에 그 사용자는 또한 임의의 사용자 커맨드들을 입력할 수 없거나 또는 그것의 동작 상태를 변경시킬 수 없다.
신호 강도가 전술한 신호 강도 한계 값 미만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너무 크게 변화하면, 통신 링크는 접속해제되고 적어도 모바일 폰 (25) 을 사용하여 호브가 제어되는 것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모바일 폰 (25) 으로부터 호브 (11) 로의 사용자 커맨드들은 그러면 제어기 (17) 에 의해 단순히 차단된다. 다음으로, 통신 링크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커맨드들을 차단시키는 것은 통신 링크가 복원되기가 또는 사용자 커맨드들이 더 이상 차단되지 않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그러면 사용자 엘리먼트 (18) 가 다시 "P"로서, 예를 들어 다시 5 초보다 더 짧은 시간 동안 동작되는 것을 단순히 요구한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다시 자신이 이제 호브 (11) 에 가까이 있고 다시 제어한다는 것을 시그널링한다. 그러나, 심지어 모바일 폰에 의한 외부 제어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더라도, 호브 (11) 의 설정된 전력 또는 실행 타이머와 같은 스테이터스 정보가 모바일 폰 (25) 상에 계속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신호 강도 한계 값 (RSSImax) 미만의 저하 때문인 사용자 커맨드들의 이러한 차단으로, 본 방법은 하단 맨 우측의 박스로부터 하단 맨 좌측의 박스로 복귀한다. 예를 들어, 5 분, 10 분 또는 20 분 내의 추가의 안전 기능으로서 또한 필요할 수도 있는 3 초보다 더 짧은 시간 동안의 "P"와 같은 사용자 엘리먼트 (25) 의 설명된 새로운 동작의 결과로서, 본 방법은 모바일 폰 (25) 에 의하여 하단 맨 우측의 박스로 그런고로 호브 (11) 의 이전의 제어가능성으로 다시 이동한다.

Claims (18)

  1.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조리 기기와는 분리되고,
    상기 조리 기기는,
    - 적어도 하나의 가열 디바이스,
    -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커맨드들의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엘리먼트,
    - 제어기,
    -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를 갖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 자체의 통신 디바이스,
    - 제어기,
    -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커맨드들의 입력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를 갖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조리 기기를 스위치 온 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을 스위치 온 하는 단계,
    - 특정된 사용자 프로세스에 의하여 상기 조리 기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조리 기기 상의 상기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프로세스에 의하여 통신 링크의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조리 기기 상의 상기 통신 링크의 확인 시에 상기 조리 기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간의 상기 통신 링크의 신호 강도를 저장하는 단계,
    - 상기 통신 링크가 존재하는 동안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된 사용자 커맨드들의 신호 강도의 또는 상기 조리 기기 상의 상기 통신 링크의 현재 신호 강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모바일 단말 상의 사용자 커맨드들의 입력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하여 상기 조리 기기를 사용하는 단계,
    - 상기 통신 링크의 및/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조리 기기로의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의 상기 신호 강도가 규정된 신호 강도 한계 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커맨드들을 차단하거나 및/또는 상기 조리 기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 간의 상기 통신 링크를 접속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강도 한계 값은 상기 조리 기기 상의 상기 통신 링크의 확인 시의 상기 신호 강도의 50% 이하인,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사용자 프로세스는 상기 조리 기기 상에 그리고/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 상에 있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신호 사용자 커맨드 또는 단일 사용자 엘리먼트의 동작이 상기 조리 기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 간에 상기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특정된 사용자 프로세스에 충분한,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 양쪽 모두 상의 단일 사용자 엘리먼트의 동작은 상기 조리 기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 간에 상기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특정 사용자 프로세스에 충분한,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의 확인 및/또는 상기 통신 링크의 접속해제는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의 상기 설정의 확인 및/또는 상기 통신 링크의 상기 접속해제는 적어도 상기 모바일 단말 상에서 표시되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의 스테이터스가 상기 모바일 단말 상에 표시되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의 스테이터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제어 가능한 기능성 유닛 또는 상기 가열 디바이스에 관련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상에 표시되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가 과도하게 떨어진 신호 강도 때문에 접속해제된 후, 상기 통신 링크는 상기 통신 링크의 첫 번째 설정에 대응하는 방법에 의해서만 복원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규정된 신호 강도 한계 값으로서 최대 7 dBm를 초과하는 신호 변화가 상기 통신 링크를 접속해제시키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 한계 값은 상기 조리 기기 상의 상기 통신 링크의 확인 시에 상기 신호 강도의 20% 이하인,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규정된 확인 시간은 10 초 이하인,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규정된 확인 시간은 3 초 이하인,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 설계되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BLE 표준에 따라 설계되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상기 모바일 단말 상의 상기 조리 기기에 대한 사용자 커맨드의 수행의 결과로서 설정되며,
    상기 조리 기기 상의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의 뒤따르는 확인에 후속하여, 개시 사용자 커맨드가 또한 상기 조리 기기 상에서 즉시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18.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제어기를 갖는, 조리 기기.
KR1020170051244A 2016-04-22 2017-04-20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조리 기기 KR102300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6912.8A DE102016206912B4 (de) 2016-04-22 2016-04-22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ochgerätes und Kochgerät
DE102016206912.8 2016-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78A KR20170121078A (ko) 2017-11-01
KR102300982B1 true KR102300982B1 (ko) 2021-09-09

Family

ID=5870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244A KR102300982B1 (ko) 2016-04-22 2017-04-20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60362B2 (ko)
EP (1) EP3236709B1 (ko)
JP (1) JP6830851B2 (ko)
KR (1) KR102300982B1 (ko)
CN (1) CN107305358B (ko)
DE (1) DE102016206912B4 (ko)
ES (1) ES2818724T3 (ko)
PL (1) PL323670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9334A1 (ja) * 2013-08-28 2015-03-0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制御方法、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提供方法
DE102017220815B4 (de) * 2017-11-22 2019-06-19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ochgeräts mit einem externen Steuergerät, Kochgerät und System
DE102017220814A1 (de) * 2017-11-22 2019-05-23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ochgeräts mit einem externen Steuergerät, Kochgerät und System
JP7175189B2 (ja) * 2018-12-28 2022-11-18 大阪瓦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20106254A (ja) * 2018-12-28 2020-07-09 大阪瓦斯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20220404023A1 (en) * 2019-11-27 2022-12-22 BSH Hausgeräte GmbH Domestic appliance system
DE102019219808A1 (de) * 2019-12-17 2021-06-17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ochgeräts und Kochgerät
US20230058879A1 (en) * 2020-02-05 2023-02-23 Gorenje, d.o.o.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oking device
DE102021212395A1 (de) 2020-11-03 2022-05-05 Wilhelm Bruckbauer 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Steuergerät zum Steuern eines Gargeräts und Gargerätesystem
DE102020213804A1 (de) * 2020-11-03 2022-05-05 Wilhelm Bruckbauer 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Steuergerät zum Steuern eines Gargeräts und Gargerätesystem
PL4019849T3 (pl) * 2020-12-28 2023-10-09 Mondragon Componentes, S. Coop. Sposób sterowania płytą grzejną za pomocą urządzenia przenośnego
USD1000205S1 (en) 2021-03-05 2023-10-03 Tramontina Teec S.A. Cooktop or portion thereof
USD1000206S1 (en) 2021-03-05 2023-10-03 Tramontina Teec S.A. Cooktop or portion thereof
CN114002975A (zh) * 2021-10-19 2022-02-01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灶的控制系统及方法
EP4368894A1 (de) 2022-11-08 2024-05-15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ochsystems sowie kochfeld und gargeschirr
DE102023200410B3 (de) 2023-01-19 2024-05-29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pplung mittels Funkverbindung zwischen einem Haushaltsgerät und einem Externgerät, und Haushaltsgerä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4778A1 (en) * 2001-01-18 2002-07-18 Cannon Joseph M. Bluetooth connection quality indicator
DE102013006082A1 (de) * 2013-04-09 2014-10-09 Jaksch Küchentechnik GmbH Stellvorrichtung für Kochgerät
DE102014215778A1 (de) * 2014-08-08 2016-02-11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geräts mit einer haushaltsgeräteexternen Bedieneinheit sowie Haushalt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2558A1 (de) 1998-01-23 1999-07-29 Ego Elektro Geraetebau Gmbh Steuerung für ein Elektrowärmegerät
EP1636950A1 (en) * 2003-06-06 2006-03-22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by switching between short-range and long-range radio technologies
ATE394850T1 (de) * 2003-06-30 2008-05-15 Research In Motion Ltd Verarbeiten von befehlen für ein funkmodem wärend datenverbindungen
DE102004044957B4 (de) * 2004-09-16 2007-04-19 Infineon Technologies Ag Medium-Zugriffs-Steuerungs-Einheit, Mobilfunk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Abbilden mittels einer Mobilfunkeinrichtung zu übertragender Daten
DE102004048254B4 (de) * 2004-10-04 2006-11-16 Raytac Corporation, Zhough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Wireless-Local-Area-Network-Signalen
DE102005041273B4 (de) * 2005-08-31 2014-05-08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Verfahren zum rechnergestützten Bilden von Systeminformations-Medium-Zugriffs-Steuerungs-Protokollnachrichten, Medium-Zugriffs-Steuerungs-Einheit und Computerprogrammelement
DE102006000937B4 (de) * 2006-01-05 2011-05-12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von einer ersten Kommunikationseinrichtung zu einer zweiten Kommunikationseinrichtung, Kommunikationseinrichtung und Computerprogrammelement
ES2498746T3 (es) * 2009-06-30 2014-09-25 Orange Procedimiento de comando de una entidad de una red distante a partir de una red local
KR20110052434A (ko) * 2009-11-11 201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네트워크 연결방법
US8407773B1 (en) * 2010-01-27 2013-03-26 Google Inc. Data and application access combined with communication services
TWM445818U (zh) * 2011-12-07 2013-01-21 Chien Hui Chuan 藍牙可控的電器裝置
DE102012214797A1 (de) * 2012-08-21 2014-02-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geräts, Hausgeräte-Datenübertragungsmodul, Servicegeräte-Datenübertragungsmodul und Datenübertragungsmodulset
US10912131B2 (en) * 2012-12-03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bluetooth low energy device
DE102012112858A1 (de) * 2012-12-21 2014-06-26 Ration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Gargeräts und Gargerät mit Temperaturfühler
US9331862B2 (en) 2013-11-06 2016-05-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for determining proximity of a mobile device and an appliance and for operating the same
DE102013226390A1 (de) * 2013-12-18 2015-06-18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Umschalten von Haushaltsgeräten zwischen einem Zuhause-Modus und einem Nicht-Zuhause-Modus, tragbare Bedienvorrichtung, System und Computerprogrammprodukt
DE102014203582A1 (de) * 2014-02-27 2015-08-27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Fernsteuerung und/oder Fernüberwachung des Betriebs eines Haushaltsgeräts mit Hilfe eines Kommunikationsgeräts
US20150325118A1 (en) * 2014-05-09 2015-11-12 Looq System Inc Remote control adapter and adaptation method
DE102014007177A1 (de) 2014-05-15 2015-11-19 Diehl Ako Stiftung & Co. Kg System zum Steuern wenigstens eines Hausgerätes
CN104199319A (zh) * 2014-08-01 2014-12-1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通过终端控制烹饪器具的方法和终端
CN105116762A (zh) * 2015-06-25 2015-1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烹饪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5376700B (zh) * 2015-11-23 2019-01-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免费Wi-Fi网络的接入装置和方法
CN105450865A (zh) * 2015-12-01 2016-03-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实现Wi-Fi管理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4778A1 (en) * 2001-01-18 2002-07-18 Cannon Joseph M. Bluetooth connection quality indicator
DE102013006082A1 (de) * 2013-04-09 2014-10-09 Jaksch Küchentechnik GmbH Stellvorrichtung für Kochgerät
DE102014215778A1 (de) * 2014-08-08 2016-02-11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geräts mit einer haushaltsgeräteexternen Bedieneinheit sowie Haushalts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06912A1 (de) 2017-10-26
US9860362B2 (en) 2018-01-02
PL3236709T3 (pl) 2020-12-28
DE102016206912B4 (de) 2020-09-10
CN107305358B (zh) 2021-07-20
JP6830851B2 (ja) 2021-02-17
KR20170121078A (ko) 2017-11-01
CN107305358A (zh) 2017-10-31
EP3236709B1 (de) 2020-07-08
JP2017201780A (ja) 2017-11-09
US20170310810A1 (en) 2017-10-26
ES2818724T3 (es) 2021-04-13
EP3236709A1 (de)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982B1 (ko)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조리 기기
US1104162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oking appliance using an external control device, cooking appliance and system
CN109564002B (zh) 炉灶、抽油烟机及其控制方法
CN110651483B (zh) 通信控制系统、空调机
EP3176983A2 (en) Methods of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CN107526633B (zh) 用电设备的节能控制方法、装置、节能系统及存储介质
CN113864833A (zh) 通信感应烹饪台和在所述台上的通信烹饪设备的搜索和监测方法
CN114556023B (zh) 用于操作烹饪系统的方法、以及炉灶和炊具
JP2017011626A (ja) 照明コントローラ、及び照明器具の制御方法
CN104132430A (zh) 控制方法、装置及空调遥控器
CN113841012B (zh) 包括感应式烹饪炉的烹饪系统
US2021018079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appliance
CN205281158U (zh) 一种家用电器的空载探测判断装置
EP3836746A1 (en) Control delegation in an automated loop cooking process
JP6073142B2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CN109869757B (zh) 加热平台的控制方法、加热平台的控制系统及加热平台
JP3054842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20146108A1 (en) Input and/or control system for a household appliance, method for operating a household appliance and/or for providing a household appliance with input and household appliance
CN115443396A (zh) 一种烹饪装置的控制方法
CN113544436B (zh) 家用电器的输入和/或控制系统、操作家用电器和/或为家用电器提供输入的方法以及家用电器
JP7178285B2 (ja) 通信システム
JP7316846B2 (ja) 加熱システム、加熱装置、及び、携帯端末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70068749A (ko) 유도가열 전기밥솥의 인버터 회로 구동제어장치
JP2020118373A (ja) 加熱調理器
JP2018169104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