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729B1 - 러프 터레인 크레인 - Google Patents

러프 터레인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729B1
KR102299729B1 KR1020177018833A KR20177018833A KR102299729B1 KR 102299729 B1 KR102299729 B1 KR 102299729B1 KR 1020177018833 A KR1020177018833 A KR 1020177018833A KR 20177018833 A KR20177018833 A KR 20177018833A KR 102299729 B1 KR102299729 B1 KR 102299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rough terrain
undercarriage
lower frame
exhaust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7676A (ko
Inventor
카즈야 오모리
후미츠구 쿠사카
켄타 미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ublication of KR2017009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 B01D53/9454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a single prime mover for both crane 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과제] 콤팩트하고 우수한 기동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배기 정화 장치 및 승강용 스텝이 콤팩트하게 레이아웃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은 프런트 액슬(14) 및 리어 액슬(15)을 갖는 하부 주행체(11)와, 디젤 엔진(20)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38)에 연결되어 배기가 송급되는 DOC(31), DOC(31)의 하류에 배치된 DRT(33) 및 DRT(33)의 하류에 배치된 SCR(32)을 갖는 배기 정화 장치(30)와, 승강용 스텝(46)을 구비하고 있다. DOC(31), DRT(33) 및 SCR(32)은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과 소정 거리만큼 이간된 가상 수평면(45)상에 병렬 배치되어 있다. 승강용 스텝(46)은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과 배기 정화 장치(3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47)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러프 터레인 크레인{ROUGH TERRAIN CRANE}
본 발명은 배기 정화 장치 및 승강 스텝을 탑재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차체에 대한 이들의 레이아웃에 관한 것이다.
러프 터레인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사륜 구동, 또한 사륜 조타가 가능한 주행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우수한 기동성 및 부정지 주행성을 발휘한다. 러프 터레인 크레인은 단일의 운전석 또는 조종부를 갖고, 오퍼레이터가 운전석으로부터 차량 주행 및 차량에 탑재된 크레인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는 특수한 성능을 갖는다. 러프 터레인 크레인은 이러한 특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콤팩트 설계가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차체 전체 길이가 짧게 설계됨과 아울러 차체 후방에 엔진(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이 배치되고, 펜더 주위에 승강 스텝이나 후술하는 배기 정화 장치 등이 배치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디젤 엔진의 배기 중에는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이하 「PM」이라고 칭한다)이나 질소 산화물(이하, 「NOx」라고 칭한다)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는 이들 물질이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배기 정화 장치는 PM을 포집하기 위한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Diesel Particulate Filter: 이하, 「DPF」라고 칭한다), NOx를 제거하기 위한 산화 촉매 장치(Diesel Oxidation Catalyst: 이하, 「DOC」라고 칭한다), 환원제 공급 장치(Decomposition Reactor Tube: 이하, 「DRT」라고 칭한다) 및 선택 환원형 촉매 장치(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이하, 「SCR」이라고 칭한다)를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이들이 조합됨으로써 소요 스펙의 배기 정화 장치가 구성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2-149535호 공보 특허 제4286888호 공보
그런데, 대형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서는 프런트 액슬 또는 리어 액슬이 복수축 구조로 되어 있으며, 게다가 아우트리거 및 붐이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되는 것을 전제로 한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 있다. 프런트 액슬 또는 리어 액슬이 복수축 구조로 되는 이유는 오로지 축중이 일정 이하로 억제되기 때문이다. 또한,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아우트리거나 붐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되는 이유는 대형 러프 터레인 크레인이 사용되는 국가 또는 지역의 법제에 의한 것이다. 즉, 어떤 국가나 지역에서는 공도를 주행하는 차량에 엄격한 중량 제한(축중 제한)이 걸려 있으며, 그 때문에 대형 러프 터레인 크레인이 공도 상을 이동할 때에는 차체, 아우트리거 및 붐이 각각 트레일러 반송을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아우트리거나 붐이 착탈되는 것을 전제로 한 대형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서는 배기 정화 장치나 승강용 스텝 등의 보조 기계류의 레이아웃 설계에 있어서 펜더 주위의 공간의 자유도가 낮다. 즉, 대형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서는 보다 중량이 큰 짐을 리프팅하기 위하여 붐이나 아우트리거 이외에 카운터 웨이트 등도 대형화하는 한편,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특징인 콤팩트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차체(특히 차폭)의 사이즈 업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사정이 있기 때문에 배기 정화 장치 등이 설치되어야 할 공간이 좁아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아우트리거나 붐이 착탈 가능한 대형 러프 터레인 크레인으로서, 콤팩트하고 우수한 소선회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배기 정화 장치 및 승강용 스텝이 콤팩트하게 레이아웃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이 달성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은 프런트 액슬 및 리어 액슬을 갖는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부에 배치된 붐 장치와, 주행 및 유압 액추에이터를 통한 붐 조작을 행하는 단일 조종부를 갖고, 상기 하부 주행체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아우트리거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단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액슬을 구동하고, 또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엔진과, 승강용 스텝을 갖는다. 상기 엔진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에 연결되어 배기가 송급되는 산화 촉매 장치, 상기 산화 촉매 장치의 하류에 배치된 환원제 공급 장치 및 상기 환원제 공급 장치의 하류에 배치된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를 갖는 배기 정화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산화 촉매 장치, 환원제 공급 장치 및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는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간된 가상 수평면상에 병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용 스텝은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면과 상기 배기 정화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아우트리거가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대형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서는 붐 장치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도 대형화하기 때문에 배기 정화 장치 및 승강용 스텝을 배치해야 할 공간, 즉 하부 주행체의 상면과 카운터 웨이트의 하면 사이의 공간이 좁아진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하면 산화 촉매 장치, 환원제 공급 장치 및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가 상기 가상 수평면상에 병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구성되는 배기 정화 장치의 수직 방향, 즉 하부 주행체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억제된다. 따라서, 승강용 스텝의 레이아웃 설계에 있어서 상기 소정 거리가 용이하게 확보되고, 승강용 스텝은 배기 정화 장치와 함께 하부 주행체의 상면에 콤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2) 상기 환원제 공급 장치는 상기 산화 촉매 장치 또는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세로 방향을 따라 직렬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산화 촉매 장치 및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가로 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병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산화 촉매 장치 및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가 병렬로 배치되지만 환원제 공급 장치가 산화 촉매 장치 또는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와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 직렬로 접합되기 때문에 배기 정화 장치가 탑재되기 위하여 필요한 차폭 방향의 치수도 억제된다.
(3)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 대하여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30° 이하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배기관이 경사짐으로써 이에 연결되는 배기 정화 장치의 차폭 방향의 돌출이 억제된다. 즉, 배기 정화 장치가 탑재되기 위해 필요한 차폭 방향의 치수가 한층 더 억제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 정화 장치 및 승강용 스텝이 하부 주행체의 상면과 카운터 웨이트의 하면 사이에 적층 상태로 콤팩트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대형 러프 터레인 크레인이어도 아우트리거나 붐의 착탈 기능 및 콤팩트하고 우수한 소선회성능이 손상될 일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하부 주행체에 있어서의 배기 정화 장치 및 디젤 엔진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하부 주행체에 있어서의 배기 정화 장치 및 디젤 엔진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하부 주행체에 있어서의 배기 정화 장치 및 디젤 엔진 주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측면도이며, 승강용 스텝의 주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적당히 도면이 참조되면서 설명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일실시형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가 변경되어도 좋은 것은 말할 것까지도 없다.
[전체 구성과 특징점]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사시도이다.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은 하부 주행체(11)와 하부 주행체(11)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작업체(12)를 갖는다.
하부 주행체(11)는 하부 프레임(13)을 갖고, 하부 프레임(13)에 프런트 액슬(14) 및 리어 액슬(15)이 설치되어 있다. 프런트 액슬(14) 및 리어 액슬(15)의 구동원이 되는 디젤 엔진(20)(도 2, 3 참조)이 하부 프레임(13)의 후단부 상측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디젤 엔진(20)은 엔진 본체(도시 생략) 및 이를 덮는 엔진 커버(49)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 커버(49)도 포함하여 디젤 엔진(20)이라고 칭해진다.
프런트 액슬(14) 및 리어 액슬(15)의 차륜(16, 17)은 디젤 엔진(20)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미션을 통해 구동되고, 또한 도시되지 않은 유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타된다.
하부 프레임(13)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프런트 아우트리거(18) 및 리어 아우트리거(19)가 장비되어 있으며, 상부 작업체(12)의 가동 시에 차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차량 외측에 돌출된다. 프런트 아우트리거(18)는 하부 프레임(13)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프레임(1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리어 아우트리거(19)는 하부 프레임(13)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프레임(1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또한, 프런트 아우트리거(18) 및 리어 아우트리거(19)와 하부 프레임(13)의 연결은 핀 그 외 기지의 수단이 채용된다.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나, 상부 작업체(12)에 설치된 유압 액추에이터(29)나, 상부 작업체(12)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유압 액추에이터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펌프(도시 생략)가 하부 프레임(13)에 설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는 디젤 엔진(20)에 의해 구동된다.
상부 작업체(12)는 상부 작업체(12)의 안정된 작업을 위해 후단에 카운터 웨이트(28)(도 2 참조)를 갖는 선회대(22)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대(22)는 하부 프레임(13)에 선회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붐 장치(23)가 붐 근원 지점 핀(도시 생략)을 통해 선회대(22)에 연결되어 있다. 붐 장치(23)는 붐 근원 지점 핀에 의해 기복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붐 장치(23)는 유압 액추에이터(29)가 신축함으로써 기복한다. 신축 붐(24)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유압 액추에이터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가 작동됨으로써 신축한다. 붐 장치(23)는 유압 모터(도시 생략)로 구동되는 윈치(27)를 구비하고 있으며, 윈치(27)가 작동함으로써 워크가 승강된다.
붐 장치(23)는 상부 작업체(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하부 주행체(11)의 운전 및 상부 작업체(12)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단일 조종부(26)가 하부 주행체(11)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11)의 운전이란, 예를 들면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을 주행시키기 위한 차륜(16, 17)의 구동 및 조타이다. 상부 작업체(12)의 조작이란, 예를 들면 유압 액추에이터(29) 및 신축 붐(24)에 내장된 유압 액추에이터를 통한 붐 장치(23)의 기복 및 신축(붐 조작)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특징으로 하는 점은 디젤 엔진(20)에 인접하여 배기 정화 장치(30)가 뒤에 상세히 설명되는 레이아웃으로 탑재되어 있으며, 또한 후술하는 승강용 스텝(46)이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과 배기 정화 장치(3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47)에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배기 정화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배면도이다. 배기 정화 장치(30)는 디젤 엔진(2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공급을 받아 이를 정화하는 장치이다. 배기 정화 장치(30)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보아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30)는 디젤 엔진(20)에 인접하여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정화 장치(30)에 커버(34)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34)는 배기 정화 장치(30)가 비나 먼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하부 주행체(11)에 있어서의 배기 정화 장치(30) 및 디젤 엔진(20)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부 주행체(11)에 있어서의 배기 정화 장치(30) 및 디젤 엔진(20)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하부 주행체(11)에 있어서의 배기 정화 장치(30) 및 디젤 엔진(20) 주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은 배기 정화 장치(30) 및 디젤 엔진(20)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에 따라서는 커버(34)나 엔진 커버(49)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30)는 산화 촉매 장치(이하, 「DOC」라고 칭해진다)(31)와, 소정의 환원제(본 실시형태에서는 요소수)를 저류한 요소수 탱크(50)와, 요소수를 통해 배기 중의 산화질소를 환원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이하, 「SCR」이라고 칭해진다)(32)와, SCR(32)에 상기 요소수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 장치(이하, 「DRT」라고 칭해진다)(33)를 구비하고 있다.
디젤 엔진(20)으로부터의 배기는 우선 DOC(31)에 공급되고, 순차적으로 DRT(33) 및 SCR(32)을 통과하여 배기가스로서 머플러(37)로부터 대기로 배출된다. 즉, DRT(33)는 DOC(31)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으며, SCR(32)은 DRT(33)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머플러(37)는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의 소리를 저감하는 것(소위 소음 장치)으로서, SCR(32) 또는 그 일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DOC(31)는 디젤 엔진(20)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38)에 연결되어 있다.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관(38)의 DOC(31)측의 단부는 배기관(38)의 디젤 엔진(20)측의 단부보다 고위치이다. 이에 의해 배기관(38)은 배기 정화 장치(30)에 대하여 수평선(41)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경사의 각도는 30°이다. 또한, 상기 경사의 각도는 30° 이하이면 좋다.
DOC(31)의 구조는 기지이다. DOC(31)는 배기 중에 포함되는 미연 연료(HC 등)나 일산화탄소(CO)의 처리 및 배기 중의 일산화질소(NO)를 이산화질소(NO2)로 산화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DOC(31)는 배기 온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CO를 이산화탄소(CO2)로 산화시키고, HC를 연소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내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DOC(31)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케이싱의 외형 형상은 원기둥 형상이다. DOC(31)의 중심축선은 차량의 전후 방향, 즉 하부 프레임(13)의 세로 방향(39)을 따르고 있다. 배기관(38)으로부터 나온 배기는 DOC(31)를 세로 방향(39)의 전방으로 흐른다.
SCR(32)은 배기 중에 환원제를 공급하여 질소산화물(NOx)을 환원하고, 최종적으로 배기를 질소(N2)와 물(H2O)의 혼합기로 변환하여 대기 중에 방출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DRT(33)는 배기 중의 NOx를 환원하기 위하여 요소수를 공급한다. DRT(33)가 배기 중에 요소수를 분사하면 가수분해되어서 암모니아(NH3)가 생성되고, 이 NH3에 의해 NOx가 환원된다. 또한, SCR(32)의 구조 및 DRT(33)의 구조도 기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DRT(33)는 원통 형상 파이프(42)와, 원통 형상 파이프(42)에 연속된 공급 밸브(43)를 구비하고 있고, 요소수 탱크(50)로부터 요소수를 도입한다. 공급 밸브(43)는 요소수 탱크(50)에 파이프(53)를 통해 접속되고 있으며, 소정의 압력으로 요소수를 원통 형상 파이프(42) 내에 분사한다. DRT(33)는 DOC(31)와 세로 방향(39)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즉, DRT(33)의 중심축선이 DOC(31)의 중심축선과 일치하고 있으며, DRT(33)는 DOC(31)의 세로 방향(39) 앞측에 배치되고, 또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DOC(31)를 통과한 배기는 세로 방향(39)을 따라 흘러서 DRT(33)의 원통 형상 파이프(42)로 유입되어 공급 밸브(43)로부터 요소수의 공급을 받는다.
SCR(32)은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외형 형상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SCR(32)의 중심축선은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세로 방향(39)을 따르고 있다.
SCR(32), DOC(31) 및 DRT(33)는 세로 방향(39)과 차량의 좌우 방향, 즉 하부 프레임(13)의 가로 방향(40)으로 넓어진 가상 수평면(45)(도 5 참조)상에 병렬 배치되어 있다. 가상 수평면(45)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소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도 6 참조)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하 방향은 세로 방향(39) 및 가로 방향(40)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CR(32)은 DOC(31)와 가로 방향(40)을 따라 대향하도록 병렬 배치되어 있고, 양자를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파이프(44)가 연결하고 있다. DRT(33)를 통과한 배기는 연결 파이프(44)로 진입하고, U턴하여 DRT(33)의 하류에 배치된 SCR(32)로 유입한다. SCR(32)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기가 정화되어 N2 및 H2O로서 배출된다.
[요소수 탱크]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요소수 탱크(50)는 일반적으로 요소수에 대하여 내식성이 높고, 내후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수지나 스테인리스 등의 재료로 형성된다. 요소수 탱크(5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측면도로서, 승강용 스텝(46)의 주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50)는 리어 액슬(15)의 전방측 액슬보다 후방이며, 또한 후방측 액슬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50)는 DOC(31), DRT(33) 및 SCR(3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50)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보아 디젤 엔진(20)의 좌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50)는 하부 프레임(13)에 고정된 지지대(54)에 지지되어 있다.
[승강용 스텝]
도 1 및 도 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은 요소수 탱크(50)로 요소수를 보급하기 쉽게 함과 아울러 붐 분해 시에 붐 근원 지점 핀으로 액세스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요소수 탱크(50)를 포함하는 배기 정화 장치(30) 및 근원 지점 핀의 근방에 승강용 스텝(46)을 갖는다. 승강용 스텝(46)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승강용 스텝(46)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세로 부재에 발판이 되는 가로 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것이다. 또한, 승강용 스텝(46)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승강용 스텝(46)은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용 스텝(46)의 적어도 일부는 배기 정화 장치(3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승강용 스텝(46)은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과 배기 정화 장치(3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47)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용 스텝(46)의 구조는 기지이며, 피봇축을 통해 상면(56)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용 스텝(46)은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하부 주행체(11)의 측방에 돌출할 수 있다. 또한, 승강용 스텝(46)은 중간 부분(55)에서 굴곡 가능하며, 절곡함으로써 하부 주행체(11)에 기대어 세워 놓은 상태가 된다.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 의한 작용 효과]
아우트리거(18, 19)가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대형의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에서는 붐 장치(23)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28)도 대형화하기 때문에 배기 정화 장치(30) 및 승강용 스텝(46)을 배치해야 할 공간, 즉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과 카운터 웨이트(28)의 하면(35)(도 6 참조) 사이의 공간이 좁아진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DOC(31), DRT(33) 및 SCR(32)이 가상 수평면(45)상에서 병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구성되는 배기 정화 장치(30)의 수직방향, 즉 하부 주행체(11)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억제된다. 따라서, 승강용 스텝(46)의 레이아웃 설계에 있어서 가상 수평면(45)과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의 거리가 용이하게 확보되어 승강용 스텝(46)은 배기 정화 장치(30)와 함께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에 콤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DOC(31) 및 SCR(32)이 병렬로 배치되지만 DRT(33)가 DOC(31)와 세로 방향(39)을 따라 직렬로 접합되기 때문에 배기 정화 장치(30)가 탑재되기 위해 필요한 차폭 방향의 치수도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관(38)이 경사짐으로써 이에 연결되는 배기 정화 장치(30)의 차폭 방향의 돌출이 억제된다. 즉, 배기 정화 장치(30)가 탑재되기 위해 필요한 차폭 방향의 치수가 한층 더 억제된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정화 장치(30)는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후방으로부터 보아 디젤 엔진(20)의 좌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배기 정화 장치(30)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보아 디젤 엔진(20)의 우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DRT(33)는 DOC(31)와 세로 방향(39)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었지만 SCR(32)과 세로 방향(39)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DRT(33)는 연결 파이프(44)의 하류이며 또한 SCR(32)의 상류에 배치되고, 또한 DOC(31)와 병렬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DOC(31)를 통과한 배기는 연결 파이프(44)를 거쳐 DRT(33)로 유입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DOC(31) 및 SCR(32)은 가로 방향(40)을 따라 대향하도록 병렬 배치되어 있었지만 가로 방향(40)을 따라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DOC(31) 및 SCR(32)은 세로 방향(39)을 따라 대향하도록 병렬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10:러프 터레인 크레인 11:하부 주행체
13:하부 프레임 14:프런트 액슬
15:리어 액슬 18:프런트 아우트리거
19:리어 아우트리거 20:디젤 엔진
23:붐 장치 26:조종부
29:유압 액추에이터 30:배기 정화 장치
31:DOC(산화 촉매 장치) 32:SCR(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
33:DRT(환원제 공급 장치) 38:배기관
45:가상 수평면 46:승강용 스텝

Claims (3)

  1. 프런트 액슬 및 리어 액슬을 갖는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부에 배치된 붐 장치와, 주행 및 유압 액추에이터를 통한 붐 조작을 행하는 단일 조종부를 갖고, 상기 하부 주행체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아우트리거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단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액슬을 구동하고, 또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엔진과, 승강용 스텝을 갖는 러프 터레인 크레인으로서,
    상기 엔진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에 연결되어 배기가 송급되는 산화 촉매 장치, 상기 산화 촉매 장치의 하류에 배치된 환원제 공급 장치 및 상기 환원제 공급 장치의 하류에 배치된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를 갖는 배기 정화 장치가 탑재되고,
    상기 산화 촉매 장치, 환원제 공급 장치 및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는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간된 가상 수평면상에 병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용 스텝은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면과 상기 배기 정화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는 러프 터레인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 공급 장치는 상기 산화 촉매 장치 또는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세로 방향을 따라 직렬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산화 촉매 장치 및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가로 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병렬 배치되어 있는 러프 터레인 크레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 대하여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30° 이하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러프 터레인 크레인.
KR1020177018833A 2014-12-19 2015-08-17 러프 터레인 크레인 KR102299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7064A JP6417920B2 (ja) 2014-12-19 2014-12-19 ラフテレーンクレーン
JPJP-P-2014-257064 2014-12-19
PCT/JP2015/073017 WO2016098383A1 (ja) 2014-12-19 2015-08-17 ラフテレーンクレ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676A KR20170097676A (ko) 2017-08-28
KR102299729B1 true KR102299729B1 (ko) 2021-09-08

Family

ID=5612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833A KR102299729B1 (ko) 2014-12-19 2015-08-17 러프 터레인 크레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55198B2 (ko)
EP (1) EP3235774B1 (ko)
JP (1) JP6417920B2 (ko)
KR (1) KR102299729B1 (ko)
CN (1) CN107001010B (ko)
WO (1) WO2016098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0557B2 (ja) * 2017-02-06 2021-03-10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JP6617933B2 (ja) * 2017-11-13 2019-12-11 マツダ株式会社 電気車両の排気構造
US11518235B2 (en) * 2018-06-01 2022-12-06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Mounting arrangement for engine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on crane carrier
CN112513917A (zh) 2018-08-02 2021-03-16 株式会社多田野 操作支援模块、图像生成应用及作业机
JP7396281B2 (ja) 2018-08-02 2023-12-12 株式会社タダノ 性能情報サーバ、クライアント端末、作業機、性能情報の取得方法、及び性能情報の提供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790A (ja) 1998-11-11 2000-07-25 Yutani Heavy Ind Ltd ホイ―ルクレ―ン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90989A (ko) * 1962-04-02
US4286888A (en) 1978-12-28 1981-09-01 Centronics Data Computer Corp. Bi-directional belt drive, print head mounting means and printing plane adjustment means for serial printers
JPH0278494U (ko) 1988-12-05 1990-06-15
JPH0435945U (ko) * 1990-07-24 1992-03-25
KR100296854B1 (ko) * 1998-04-23 2001-07-12 구마모토 마사히로 자주식 크레인
JP4646562B2 (ja) 2004-07-20 2011-03-09 株式会社タダノ ラフテレーンクレーン
JP4785766B2 (ja) * 2007-02-09 2011-10-05 日野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JP4286888B2 (ja) 2007-09-28 2009-07-01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JP5101324B2 (ja) 2008-02-07 2012-12-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NOx低減装置の配設構造
JP2009269553A (ja) * 2008-05-09 2009-11-19 Kobelco Cranes Co Ltd 作業車両
DE102009058131B4 (de) 2009-12-12 2012-07-12 J. Eberspächer GmbH & Co. KG Vorrichtung
KR20120088764A (ko) * 2010-05-31 2012-08-0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차량
JP5630216B2 (ja) * 2010-10-29 2014-11-2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664259B2 (ja) 2011-01-17 2015-02-04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CN202451041U (zh) * 2012-01-20 2012-09-26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梯子以及设置有这种梯子的起重机
JP5474155B1 (ja) * 2012-10-16 2014-04-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排気処理ユニット、排気処理ユニットの取り付け及び取り外し方法
US9200550B2 (en) * 2012-10-16 2015-12-01 Komatsu Ltd. Hydraulic excavator
US9057409B2 (en) * 2013-04-09 2015-06-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ry dual clutch transmission actuation system using electrical motor with force aided lever
JP2014206053A (ja) * 2013-04-10 2014-10-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EP3001001A4 (en) 2013-05-22 2017-01-1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6190182B2 (ja) * 2013-06-28 2017-08-30 株式会社タダノ ラフテレーンクレーン用排気浄化装置
IN2015DN06777A (ko) * 2014-02-26 2015-08-14 Komatsu Mfg Co Ltd
CN104085795B (zh) * 2014-06-25 2017-01-04 长治清华机械厂 直臂式随车吊的中位操作装置
CN203998723U (zh) * 2014-06-26 2014-12-10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汽车起重机及其攀爬机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790A (ja) 1998-11-11 2000-07-25 Yutani Heavy Ind Ltd ホイ―ルクレ―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36679A1 (en) 2018-02-08
EP3235774A4 (en) 2018-09-12
WO2016098383A1 (ja) 2016-06-23
US10155198B2 (en) 2018-12-18
CN107001010A (zh) 2017-08-01
EP3235774B1 (en) 2020-06-10
CN107001010B (zh) 2018-10-09
EP3235774A1 (en) 2017-10-25
JP2016117543A (ja) 2016-06-30
KR20170097676A (ko) 2017-08-28
JP6417920B2 (ja)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729B1 (ko) 러프 터레인 크레인
JP6190182B2 (ja) ラフテレーンクレーン用排気浄化装置
JP6212826B2 (ja) 建設機械
KR20160057499A (ko) 엔진 장치
JPWO2014007060A1 (ja) 建設機械
JP5273933B2 (ja) 建設車両
KR102664511B1 (ko) 작업 차량
CN107107738B (zh) 越野起重机
JP5914410B2 (ja) 建設機械
JP6131129B2 (ja) ラフテレーンクレーン
EP3574982B1 (en) Mounting arrangement for engine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on crane carrier
KR102090054B1 (ko) 작업 차량
JP2018193927A (ja)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の排気浄化装置
JP2018103826A (ja) テールパイプのフェイルセー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