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273B1 -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9273B1 KR102299273B1 KR1020210006928A KR20210006928A KR102299273B1 KR 102299273 B1 KR102299273 B1 KR 102299273B1 KR 1020210006928 A KR1020210006928 A KR 1020210006928A KR 20210006928 A KR20210006928 A KR 20210006928A KR 102299273 B1 KR102299273 B1 KR 1022992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slab
- transverse
- hybrid structure
-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지지대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제1 벽체지지대를, 도 3은 제2 벽체지지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슬래브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도 12의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를 이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지지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도 15의 벽체지지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100: 벽체지지대
110: 제1 벽체지지대
111: 종블럭
112: 횡블럭
113: 벽체안착부
114: 단차부
115: 횡블럭철근
116: 철근삽입홀
120: 제2 벽체지지대
121: 종블럭
122, 122a: 횡블럭
123: 벽체안착부
124: 단차부
125: 횡블럭철근
126: 철근삽입홀
200: 벽체
210: 받침부
220: 수직부
221: 수직부상면
230: 돌출판
240: 벽체루프철근
250: 벽체하부철근
260: 볼팅부
300: 기둥
310: 기둥하부
320: 기둥수직부
330: 기둥상부
331: 기둥상부면
332: 기둥상부면단차부
340: 기둥루프철근
350: 기둥하부철근
400: 상부슬래브
410: 슬래브루프철근
500: 슬래브이음부
600: 하부슬래브
700: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
710: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
711: 상면돌출철근
712: 측면돌출철근
720: 상부슬래브철근
1100: 벽체지지대
1110: 제1 벽체지지대
1111: 종블럭
1112: 횡블럭
1113: 벽체안착부
1120: 제2 벽체지지대
1121: 종블럭
1122: 횡블럭
1123: 벽체안착부
1200: 벽체
1210: 받침부
1220: 수직부
1221: 수직부상면
1600: 기초부
Claims (17)
-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벽체지지대;
상기 벽체지지대 상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지지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현장타설 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슬래브;
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지지대는, 현장타설되는 상기 하부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종블럭 및 2 이상의 횡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종블럭은 판 형태를 갖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횡블럭은 판 형태를 갖고 상기 종블럭에서 내측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종블럭은, 현장타설 되는 상기 하부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횡방향 외측단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외측단을 구성하고,
상기 횡블럭은, 철근이 삽입되기 위한 철근삽입홀을 포함하되, 상기 철근삽입홀을 통해 단일한 상기 종블럭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2 이상의 횡블럭 사이에 철근이 삽입되고,
상기 횡블럭은, 상면에 상기 벽체가 안착되기 위한 벽체안착부, 상기 벽체안착부에서 소정 단차를 갖고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상기 벽체안착부를 사이로 상기 종블럭과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된 단차부, 및 상기 횡블럭의 내측 횡방향으로 돌출된 횡블럭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는, 상기 벽체의 하부를 구성하며 상기 벽체안착부 상에 안착되는 받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현장타설 되는 상기 하부슬래브에 매립되는 벽체하부철근을 더 포함하되,
2 이상의 상기 횡블럭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종블럭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벽체하부철근이 수용되고 콘크리트가 현장타설되어 상기 벽체, 상기 벽체지지대, 및 상기 하부슬래브를 일체거동화시키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안착부는, 상기 종블럭과 상기 횡블럭이 맞닿는 위치에서 상기 종블럭의 상면의 높이가 상기 벽체안착부 상면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벽체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상기 받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서 적어도 일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벽체가 상기 벽체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체지지대는, 적어도 2 이상이 연속되어 배치되되,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종방향 내측을 구성하는 제1 벽체지지대; 및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종방향 단부를 구성하는 제2 벽체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벽체지지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횡블럭은, 상기 제2 벽체지지대의 상기 종블럭의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를 받침부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받침부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벽체지지대의 상기 종블럭 및 상기 횡블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벽체의 전도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하부철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받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다가 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서 소정 면적의 평면을 포함하는 수직부상면;
상기 수직부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벽체루프철근; 및
상기 수직부상면의 상방으로 연장된 돌출판;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판은 상기 수직부상면의 외측방향 단부에서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벽체루프철근은, 폐쇄된 고리형태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형태가 종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어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상면에 횡방향 단부가 안착되는 상부슬래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슬래브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며, 횡방향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슬래브루프철근을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루프철근은, 폐쇄된 고리형태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형태가 종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어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7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벽체지지대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기둥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둥은, 적어도 일부가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상기 기둥의 하부를 구성하는 기둥하부;
상기 기둥하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수직부; 및
상기 기둥수직부의 상부에서 소정 길이를 갖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상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상부에서 소정 면적의 평면을 포함하는 기둥상부면은, 외측방향 단부가 오목한 형태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슬래브가 안착되는 기둥상부면단차부가 마련된,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기둥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기둥루프철근; 및
상기 기둥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기둥하부철근;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루프철근은, 폐쇄된 고리형태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형태가 종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어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상면에서, 상기 상부슬래브의 횡방향 단부와 상기 돌출판 사이에 현장타설 되어 형성된 슬래브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체루프철근 및 상기 슬래브루프철근은 상기 슬래브이음부에 매립된,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둥상부면단차부는 상기 기둥상부면의 외측방향 양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상부면에서, 상기 기둥상부면단차부에 안착된 한 쌍의 상기 상부슬래브의 횡방향 단부 사이에 현장타설 되어 형성된 슬래브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루프철근 및 상기 슬래브루프철근은 상기 슬래브이음부에 매립된, 하이브리드 구조물.
-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며, 2 이상의 횡블럭 및 적어도 하나의 종블럭을 포함하는 벽체지지대를 종방향으로 연속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벽체지지대 상에 벽체를 안착시키고;
상기 횡블럭에 마련된 철근삽입홀에 종방향으로 철근을 삽입하고;
상기 벽체지지대 내측에 현장타설 하부슬래브를 형성하여, 상기 벽체 하부에 돌출된 벽체하부철근과 상기 벽체지지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횡블럭철근을 하부슬래브에 매립하고;
상기 벽체 상부에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상부슬래브를 형성하고; 및
상기 상부슬래브의 횡방향 단부와 상기 벽체의 상부 사이에서 정의된 영역에 현장타설 슬래브이음부를 형성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지지대는, 판 형태를 갖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블럭 및 판 형태를 갖고 상기 종블럭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종블럭은, 현장타설 되는 상기 하부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횡방향 외측단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외측단을 구성하고,
상기 횡블럭은, 철근이 삽입되기 위한 철근삽입홀을 포함하되, 상기 철근삽입홀을 통해 단일한 상기 종블럭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2 이상의 횡블럭 사이에 철근이 삽입되고,
2 이상의 상기 횡블럭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종블럭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벽체하부철근이 수용되고 콘크리트가 현장타설되어 상기 벽체, 상기 벽체지지대, 및 상기 하부슬래브를 일체거동화시키는,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상면에 횡방향 단부가 안착되는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상부에 콘크리트가 현장타설 되기 위한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돌출철근; 및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의 측면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측면돌출철근;
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13에 따른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상기 벽체지지대를 종방향으로 연속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벽체지지대 상에 상기 벽체를 안착시키고;
상기 벽체지지대 내측에 현장타설 하부슬래브를 형성하여, 상기 벽체 하부에 돌출된 벽체하부철근과 상기 벽체지지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횡블럭철근을 하부슬래브에 매립하고;
상기 벽체지지대 상부에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를 안착시키고; 및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의 상부 및 횡방향 단부와, 상기 벽체의 상부 사이에서 정의된 영역에 현장타설 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를 형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벽체지지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벽체지지대;
상기 벽체지지대 상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체; 및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기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지지대는, 현장타설되는 상기 기초부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종블럭 및 2 이상의 횡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종블럭은 판 형태를 갖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횡블럭은 판 형태를 갖고 상기 종블럭에서 내측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종블럭은, 현장타설 되는 상기 기초부를 형성하기 위한 횡방향 외측단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외측단을 구성하고,
상기 횡블럭은, 철근이 삽입되기 위한 철근삽입홀을 포함하되, 상기 철근삽입홀을 통해 단일한 상기 종블럭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2 이상의 횡블럭 사이에 철근이 삽입되고,
상기 횡블럭은, 상면에 상기 벽체가 안착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 벽체안착부 및 상기 벽체안착부에서 소정 단차를 갖되 상기 벽체안착부를 사이로 상기 종블럭과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된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는, 상기 벽체의 하부를 구성하며 상기 벽체안착부 상에 안착되는 받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현장타설 되는 상기 기초부에 매립되는 벽체하부철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초부는, 2 이상의 상기 횡블럭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종블럭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현장 철근배근 후, 콘크리트가 현장타설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상기 받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서 적어도 일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벽체가 상기 벽체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벽체하부철근은, 상기 받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928A KR102299273B1 (ko) | 2021-01-18 | 2021-01-18 |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928A KR102299273B1 (ko) | 2021-01-18 | 2021-01-18 |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9273B1 true KR102299273B1 (ko) | 2021-09-07 |
Family
ID=7779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6928A Active KR102299273B1 (ko) | 2021-01-18 | 2021-01-18 |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927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3940A (ko) * | 2009-04-14 | 2010-10-22 | (주)유니트엔지니어링 | 조립식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KR100993777B1 (ko) * | 2010-06-23 | 2010-11-18 | (주)서현컨스텍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KR101146758B1 (ko) * | 2011-03-03 | 2012-05-17 | 안창일 |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
KR101314081B1 (ko) * | 2013-04-12 | 2013-10-14 | (주)서현컨스텍 |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
KR101457373B1 (ko) * | 2014-09-11 | 2014-11-13 | 주식회사 티엠이앤씨 |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지하 복층 구조물 |
-
2021
- 2021-01-18 KR KR1020210006928A patent/KR10229927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3940A (ko) * | 2009-04-14 | 2010-10-22 | (주)유니트엔지니어링 | 조립식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KR100993777B1 (ko) * | 2010-06-23 | 2010-11-18 | (주)서현컨스텍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KR101146758B1 (ko) * | 2011-03-03 | 2012-05-17 | 안창일 |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
KR101314081B1 (ko) * | 2013-04-12 | 2013-10-14 | (주)서현컨스텍 |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
KR101457373B1 (ko) * | 2014-09-11 | 2014-11-13 | 주식회사 티엠이앤씨 |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지하 복층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3049B1 (ko) | 조립식 옹벽구조 | |
KR101077821B1 (ko) |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구조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 |
KR100640716B1 (ko) |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 |
KR101161332B1 (ko) | 지하터널의 시공방법 | |
KR20200012263A (ko) | 주열식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20090021708A (ko) | 프리캐스트 옹벽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0938395B1 (ko) | 강합성 벽체파일을 이용한 지하차도의 시공방법 | |
JP7232714B2 (ja) | 基礎の構築方法 | |
KR102002924B1 (ko) | 철근 고정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패널을 거푸집으로 하는 조립식옹벽 | |
KR102286225B1 (ko) |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 |
KR102299273B1 (ko) |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 |
JP6368630B2 (ja) | 基礎部施工方法 | |
JP2004027609A (ja) | 地中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地中構造物 | |
KR101159097B1 (ko) | 종방향으로 연속화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교대 및 그 시공방법 | |
KR100510092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과 강재 거더가 결합된 일체형골조를 이용한 지중아치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H1077607A (ja) | PCaコンクリート部材を用いた高架橋の施工法 | |
KR200266040Y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 | |
JP2009046942A (ja) | 擁壁用基礎ブロック | |
KR101696282B1 (ko) | 흙막이용 강관을 이용한 pc 벽체, 그 pc 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및 그 pc 벽체의 연결방법 | |
JPH1096210A (ja) | 橋脚張り出し部の施工方法 | |
KR200420394Y1 (ko) |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 |
KR101826246B1 (ko) | T형 단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 방법 | |
JP2004084367A (ja) | 基礎構造体及び高架式交通路 | |
KR20050089576A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그 블록을 이용한조립식 옹벽의 시공방법 | |
KR102500803B1 (ko) | 기존 구조물의 지하통로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