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273B1 -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273B1
KR102299273B1 KR1020210006928A KR20210006928A KR102299273B1 KR 102299273 B1 KR102299273 B1 KR 102299273B1 KR 1020210006928 A KR1020210006928 A KR 1020210006928A KR 20210006928 A KR20210006928 A KR 20210006928A KR 102299273 B1 KR102299273 B1 KR 102299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lab
transverse
hybrid structur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훈
김동석
최인규
박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to KR1020210006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하이브리드 구조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벽체지지대; 상기 벽체지지대 상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지지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현장타설 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슬래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Hybrid structure using wall-suppor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심지의 도로입체화를 위한 지하차도, 개착식터널, 생태터널 등에 적용가능한,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은 교량 및 건축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토목분야는 거더, 바닥판 등이 대표적인 구조물이 되고, 건축분야에서는 지하주차장이나 물류센터 등에서 보, 기둥, 바닥판 구조체에 최근 활발히 적용되는 실정이다.
지중구조물 분야는 암거 및 흄관 등에서 주로 적용되는데, 지하차도와 같은 대형 구조물은 전단면을 일괄로 제작할 수 없으므로 각 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여 현장 조립하는 방법이 통상으로 적용된다.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937366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현장 지반의 여건에 따라 벽체를 배치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벽체를 재배열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벽체들 상호 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구성들을 조립하는 경우, 현장 여건에 부합하지 않게 되어 오히려 시공성이 열악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현장타설 비중을 늘리는 경우, 시공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고, 공기가 지연됨에 따라 교통통제 기간이 연장되어 사회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현장타설 공법과 프리캐스트 공법의 적용을 최적화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현장 지반의 여건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성이 높은 구조물을 제작하고, 시공상 편의성 및 시공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장타설 공법과 프리캐스트 공법의 적용을 최적화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현장 지반의 여건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성이 높은 구조물을 제작하고, 시공상 편의성 및 시공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벽체지지대; 상기 벽체지지대 상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지지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현장타설 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슬래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차도 또는 통로박스를 시공함에 있어서 현장공기 단축과 민원발생 최소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지지대를 활용하여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단면을 간략화 함으로써 운반 중량을 감소시키며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하부슬래브 현장타설 시 벽체에 형성된 벽체하부철근까지 동시에 일체화하여 구조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하면서도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에 효율적인 구조의 벽체를 적용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상부슬래브가 기둥루프철근과 철근이음되는 트리플루프(triple loop) 구조를 갖도록 하여, 기둥과 상부슬래브가 완전한 강결구조를 가지게 됨에 따라, 시공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최대 부모멘트 구간에서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지지대의 종블럭, 기둥하부, 벽체의 돌출판 등을 거푸집으로 활용함으로써, 동바리와 거푸집의 설치해체비용 및 공기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지지대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제1 벽체지지대를, 도 3은 제2 벽체지지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슬래브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도 12의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를 이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지지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도 15의 벽체지지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종방향은 복수의 벽체지지대가 연속되어 배치되는 방향을 지칭하며, 횡방향은 한 쌍의 벽체지지대가 마주보는 방향 또는 벽체지지대와 기둥이 마주보는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내측방향은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상,하부슬래브가 배치되는 방향 또는 기둥이 배치된 방향을 지칭하고, 외측방향은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외측단부 방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박스단면, U-type단면, 역T형 옹벽, L형 옹벽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1)은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를 이용한 것으로, 벽체지지대(100), 벽체(200), 기둥(300), 하부슬래브(600), 상부슬래브(400), 및 슬래브이음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지지대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제1 벽체지지대를, 도 3은 제2 벽체지지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벽체지지대(100)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1)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다.
벽체지지대(100)는, 판 형태를 갖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블럭(111, 121) 및 종블럭(111, 121)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블럭(112, 122, 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지지대(100)는 하나의 종블럭(111, 121)과 이로부터 내측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2 이상의 횡블럭(112, 122, 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종블럭(111, 121)은, 하이브리드 구조물(1)의 외측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현장타설 하부슬래브(600)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다.
횡블럭(112, 122, 122a)은, 벽체안착부(113, 123), 단차부(114, 124), 및 횡블럭철근(115, 125)을 포함할 수 있다.
벽체안착부(113, 123)는, 횡블럭(112, 122, 122a)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벽체(200)가 안착되기 위해 소정 면적의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14, 124)는, 벽체안착부(113)에서 소정 단차를 갖고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벽체안착부(113)를 사이로 종블럭(111, 121)의 반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벽체안착부(113, 123)는, 종블럭(111, 121)과 단차부(114, 124)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벽체(2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종블럭(111, 121)과 횡블럭(112, 122, 122a)이 맞닿는 위치에서, 종블럭(111, 121)의 상면의 높이는 벽체안착부(113, 123) 상면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벽체안착부(113, 123)가 횡블럭(112, 122, 122a)과 종블럭(111, 121)의 맞닿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벽체(200)의 위치 설정 과정에서의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횡블럭철근(115, 125)은, 횡블럭(112, 122, 122a)의 내측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하부슬래브(600)에 매립되기 전, 복수의 철근과 연결될 수 있다.
벽체지지대(100)는, 적어도 2 이상이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제1 벽체지지대(110)는 하이브리드 구조물(1)의 종방향 내측을 구성하고, 도 3에 도시된 제2 벽체지지대(120)는 하이브리드 구조물(1)의 종방향 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벽체지지대(110) 및 제2 벽체지지대(120)에 마련된 벽체안착부(113, 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2개의 벽체(200)가 서로 맞붙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벽체지지대(12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횡블럭(122a)은, 제2 벽체지지대(120)의 종블럭(121)의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하이브리드 구조물(1)의 종방향 단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벽체(200)가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지지대(100)는, 2 이상의 횡블럭(112, 122, 122a)이 하나의 종블럭(111, 121)에서 내측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고, 2 이상의 횡블럭(112, 122, 122a)과 적어도 하나의 종블럭(111, 121)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사이에 후술하는 벽체(200)의 벽체하부철근(250)이 수용되고, 콘크리트가 현장타설 되어, 벽체(200), 벽체지지대(100), 하부슬래브(600)를 일체거동화 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구조물(1)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벽체(200)는, 프리캐스트로 제작 후 현장에서 벽체지지대(100)에 조립됨으로써 시공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받침부(210), 및 수직부(220)를 포함한다.
받침부(210)는, 벽체(200)의 하부를 구성하며, 벽체안착부(123) 상에 안착되기 위한 것으로, 수직부(220)의 하부에서 적어도 일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벽체(200)가 도 2 및 도 3을 들어 전술한 벽체안착부(113, 123)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210)는 볼팅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볼팅부(260)는, 받침부(210)를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를 받침부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는, 받침부(210) 하부로 돌출되어 벽체지지대(100)의 종블럭(111, 121) 및/또는 횡블럭(112, 122, 122a)에 고정됨으로써 전도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벽체(200)는, 받침부(210)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현장타설 되는 하부슬래브(600)에 매립되는 벽체하부철근(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하부철근(250)은 적어도 일부가 받침부(2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다가 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 예로, L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220)는, 받침부(2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단면의 너비가 동일하게 유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는 소정 기울기를 갖는 구간을 포함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벽체(200)는, 수직부(220)의 상부에서 소정 면적의 평면을 포함하는 수직부상면(221), 수직부상면(221)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벽체루프철근(240), 및 수직부상면(221)의 상방으로 연장된 돌출판(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부상면(221)은, 수직부(220)로부터 동일한 너비의 단면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220) 보다 넓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일 예로, 수직부상면(221)의 내측방향 단부의 단면의 너비가 수직부 단면의 너비 보다 넓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면의 너비는, 벽체(200)를 종방향으로 바라보는 면의 너비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판(230)은 수직부상면(221)의 외측방향 단부에서 종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돌출판(230)은, 후술하는 슬래브이음부(500)를 형성하기 위한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이브리드 구조물(1) 상부에서 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루프철근(240)은, 폐쇄된 고리형태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형태가 종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고리형태는 U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루프철근(240)은, 후술하는 슬래브이음부(500)를 형성하기 전 슬래브루프철근(410)과 연결될 수 있고, 일 예로, 슬래브루프철근(410)의 적어도 일부가 벽체루프철근(240)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벽체지지대(100)와 벽체(200)를 프리캐스트로 각각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현장 지반의 여건에 따라 벽체지지대(100)를 손쉽게 배치 및 재배열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이후 현장타설되는 하부슬래브(600)에 의해 일체 거동화 시켜, 지반 상에 형성되는 단일한 벽체구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시공의 편의성과 시공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단축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슬래브(600)를 현장타설 함으로써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벽체지지대(100), 벽체(200), 기둥(300) 등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부등침하를 최소화하고, 말뚝기초 적용현장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둥(300)은,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벽체지지대(100)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일부 또는 전부가 프리캐스트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하부(310)가 현장여건에 따라 현장타설로 제작될 수 있다.
기둥(300)은, 기둥(300)의 하부를 구성하는 기둥하부(310), 기둥하부(3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수직부(320), 및 기둥수직부(320)의 상부에서 소정 길이를 갖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상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하부(310)는 기둥수직부(320)의 하부에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 예로, 기둥수직부(320)의 하부에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기둥(300)이 지반 상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수직부(320)는, 단면의 너비가 동일하게 유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는 소정 기울기를 갖는 구간을 포함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면의 너비는, 기둥(300)을 종방향으로 바라보는 면의 너비를 지칭할 수 있다.
기둥상부(330)는, 기둥수직부(320)의 상부에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기둥수직부(320)의 상부에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상부(330)에 형성된 기둥상부면(331)은, 소정 면적의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상부면(331)에는, 외측방향 단부가 오목한 형태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슬래브(400)가 안착되는 기둥상부면단차부(332)가 마련될 수 있다.
기둥(300)은, 기둥상부면(331)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기둥루프철근(340) 및 기둥하부(310)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기둥하부철근(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루프철근(340)은, 폐쇄된 고리형태를 포함하되, 고리형태가 종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고리형태는 U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루프철근(340)은 전술한 벽체(200)의 벽체루프철근(240)과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부슬래브(400)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슬래브루프철근(410)이 복수의 기둥루프철근(340) 사이 및 복수의 벽체루프철근(240) 사이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슬래브이음부(500)가 형성되기 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둥루프철근(340) 사이에, 한 쌍의 상부슬래브(400)의 각 단부에 마련된 슬래브루프철근(410)이 각각 배치됨에 따라 트리플루프(triple loop) 구조가 적용되어, 최대 부모멘트구간에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하부철근(350)은 기둥하부(310)에서 내측 횡방향으로 돌출되며, 현장타설 하부슬래브(600)가 형성되기 전, 전술한 벽체의 벽체하부철근(250) 및 벽체지지대(100)의 횡블럭(112, 1222, 122a)과 별도의 철근을 사이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실시 형태에 따라 기둥(300)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벽체지지대(100) 사이에 하부슬래브(600)가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벽체(200) 상에 상부슬래브(400)가 형성되며, 상부슬래브(400)와 돌출판(230) 사이에 슬래브이음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슬래브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슬래브(400)는 벽체(200)의 수직부상면(221)에 안착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부슬래브(400)의 횡방향 단부 하면이 벽체의 수직부상면(221)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슬래브(400)는 프리캐스트로 제작(full depth precast)되어, 급속시공의 장점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슬래브(400)는, 박스 횡단 폭원에 따라 RC PC슬래브 및 프리텐션이 도입된 Prestressed PC슬래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슬래브(400)는, 횡방향의 적어도 일 단부에 슬래브루프철근(410)이 형성될 수 있고, 일 예로, 양 단부에 슬래브루프철근(4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래브루프철근(410)은, 폐쇄된 고리형태를 포함하되, 고리형태가 종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고리형태는 U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단부에 형성된 슬래브루프철근(410)은 벽체루프철근(240) 사이에 배치되고, 타 단부에 형성된 슬래브루프철근(410)은 기둥루프철근(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 단부에 형성된 슬래브루프철근(410)은 한 쌍의 벽체 상에 마련된 벽체루프철근(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슬래브이음부(500)는, 벽체(200)의 수직부상면(221)에서 상부슬래브(400)의 횡방향 단부와 돌출판(230) 사이에 현장타설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벽체루프철근(240) 및 슬래브루프철근(410)이 슬래브이음부(500)에 매립될 수 있다.
또한, 슬래브이음부(500)는, 기둥상부면(331)의 외측방향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기둥상부면단차부(332)에 한 쌍의 상부슬래브(400)가 안착될 때, 한 쌍의 상부슬래브(400)의 횡방향 단부 사이로 정의된 공간에 현장타설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둥루프철근(340) 및 슬래브루프철근(410)은 슬래브이음부(500)에 매립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벽체지지대(100), 벽체(200), 기둥(300), 하부슬래브(600), 상부슬래브(400), 및 슬래브이음부(500)의 각 구성 및 작용효과는 도 1 내지 도 6을 들어 전술한 바가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반 상에 벽체지지대(10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벽체지지대(100)는,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되, 제1 벽체지지대(110)가 하이브리드 구조물(1)의 종방향 내측을 구성하고, 제2 벽체지지대(120)가 하이브리드 구조물(1)의 종방향 단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벽체지지대(100)는 횡방향으로 마주보도록 각각의 쌍이 더 배치됨으로써, 두개의 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벽체지지대(100) 사이에 기둥(300)을 종방향으로 연속 또는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벽체지지대(100) 상에 벽체(200)를 안착시킬 수 있다. 벽체지지대(100) 상에 벽체(200)를 안착시키는 것은, 도 1 내지 도 4를 들어 전술한 바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벽체지지대(100) 내측에 현장타설 하부슬래브(600)를 형성하여, 벽체(200) 하부에 돌출된 벽체하부철근(250)과 벽체지지대(100)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횡블럭철근(115, 125)을 하부슬래브(600)에 매립할 수 있다.
하부슬래브(600)를 형성하기 전, 복수의 철근을 지반 상에 배근하고, 벽체하부철근(250) 및/또는 기둥하부철근(350)에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벽체지지대(100) 상에 벽체(200)를 조립한 이후, 하부슬래브(600)를 현장타설 함으로써,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배치 시 현장 지반의 여건에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벽체지지대(100)를 정위치에 배치 및 지반여건에 따라 재배열한 후 상호 고정되도록 하고, 벽체(200)가 벽체지지대(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벽체지지대(100)와 이격되어 설치된 벽체지지대(100) 및/또는 기둥하부(310)가 상호 고정되며 하부슬래브의 일부로 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벽체(200) 상부에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상부슬래브(4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슬래브(400)를 형성하는 것은,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들어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슬래브(400)의 횡방향 단부와 벽체(200)의 상부 사이에서 정의된 영역 및/또는 기둥상부면(331)에서 상부슬래브(400)의 양 단부 사이에서 정의된 영역에 현장타설 슬래브이음부(5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구조물(1)의 구성을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로 구분하고, 프리캐스트로 제작한 구성을 현장타설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 및 일체거동 시킴으로써, 현장 지반의 여건에 따라 벽체지지대를 손쉽게 변경하여 배치 및 재배열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이후 현장타설되는 하부슬래브(600)로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지반 상에 형성되는 단일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체를 이용하는 경우 대비, 시공의 편의성과 시공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단축을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슬래브(400) 사이에 현장타설 슬래브이음부(500)를 형성함으로써 볼팅을 통한 상부슬래브(400)와 벽체(200)의 연결 시 발생하는 Hole matching 및 그라우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우각부의 최대모멘트 구간에 확실한 구조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도 12의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를 이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2)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상부슬래브(400) 및 슬래브이음부(500)에 관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및 제작방법은 도 1 내지 도 11을 들어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700)는 일부가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후, 현장에서 나머지가 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 상면돌출철근(711), 및 측면돌출철근(7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는 판 형태로 프리캐스트로 제작될 수 있고, 상부에 콘크리트가 현장타설 될 수 있다(half depth precast). 이에 따라, 상부슬래브(700)에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밀실한 상부구조를 갖추게 됨으로써 방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면돌출철근(711)은,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폐쇄된 고리형태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형태가 종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리형태는 U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돌출철근(712)은,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의 측면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돌출철근(712)은,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의 측면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후 상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측면돌출철근(712)의 절곡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면돌출철근(712)은 숫자 7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도 6에 따른 상부슬래브(400) 대신 도 12에 따른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00)를 배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7 내지 도 10을 들어 전술한 제작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 상에 복수의 상부슬래브철근(720)을 배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상부슬래브철근(720)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3 (c)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의 상부, 한 쌍의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710) 횡방향 단부 사이, 기둥상부면(331), 벽체(200)의 수직부상면(221), 및 돌출판(230)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7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700)는, 벽체(200)와 벽체(200) 사이에서 일회의 현장타설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시공 편의성 및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공기를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나타낸 것으로, 벽체지지대(100)는 도 2 및 도 3을 들어 전술한 벽체지지대(100)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벽체(1200)는 도 4를 들어 전술한 벽체(200)에서 받침부(210), 수직부(220), 볼팅부(260), 벽체하부철근(250)이 적용되되, 하이브리드 구조물(3)에서 기둥(300) 및 상부슬래브(400) 구조가 생략됨에 따라, 전술한 벽체(200)의 상부 구조(수직부상면(221), 벽체루프철근(240), 및 돌출판(230))이 벽체(12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벽체지지대(100)는,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되, 제1 벽체지지대(110)가 하이브리드 구조물(3)의 종방향 내측을 구성하고, 제2 벽체지지대(120)가 하이브리드 구조물(3)의 종방향 단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벽체지지대(100)는 횡방향으로 마주보도록 각각의 쌍이 더 배치됨으로써, 두개의 열이 형성될 수 있다.
벽체(1200)는 벽체지지대(100) 상에 안착되고, 이때, 벽체하부철근(도 4에서 250)이 횡블럭(도 2, 3의 112, 122, 122a)과 종블럭(111, 121)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수용됨은 도 1 내지 도 4를 들어 전술한 바가 적용될 수 있다.
이후, 횡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벽체지지대(100) 사이에 철근이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배근되고, 콘크리트가 현장타설되어 하부슬래브(600)가 형성됨으로써, 벽체지지대(100)와 벽체(1200)가 고정되고, 이격된 벽체지지대(100)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지지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도 15의 벽체지지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나타낸 것으로, 벽체(1200)는 도 4를 들어 전술한 벽체에서 받침부(210), 수직부(220), 볼팅부(260), 벽체하부철근(250)이 그대로 적용되되, 하이브리드 구조물(4)에서 기둥(300) 및 상부슬래브(400) 구조가 생략됨에 따라, 전술한 벽체(200)의 상부 구조(수직부상면(221), 벽체루프철근(240), 및 돌출판(230))이 벽체(12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벽체지지대(1100)는, 판 형태를 갖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종블럭(1111, 1121) 및 한 쌍의 종블럭(1111, 1121)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블럭(1112, 1122)을 포함할 수 있다.
횡블럭(1112, 1122)은, 상면에 벽체(1200)가 안착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 벽체안착부(1113, 1123)를 포함할 수 있다.
벽체지지대(1100)는, 종방향 내측을 구성하는 제1 벽체지지대(1110) 및 종방향 외측 단부를 구성하는 제2 벽체지지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체지지대(1110)는, 대향하도록 배치된 판 형태의 한 쌍의 종블럭(1111) 사이를 적어도 2 이상의 횡블럭(1112)이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고, 제2 벽체지지대(112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횡블럭(1122)이 종블럭(1121)의 종방향 단부에서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벽체지지대(1110) 및 제2 벽체지지대(1120)는, 종블럭(1111, 1121) 및 횡블럭(1112, 1122)에 의해 폐쇄된 영역에 전술한 벽체(1200)의 벽체하부철근(도 4의 250)이 수용될 수 있고, 도 16을 들어 후술하는 기초부(1600)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가 현장타설 시, 거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구조물(4)은,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하이브리드 구조물(4)의 하부를 구성하는 벽체지지대(1100), 벽체지지대(1100) 상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체(1200) 및 벽체지지대(1100)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철근을 현장 배근 하고, 콘크리트의 현장타설로 제작되는 기초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구조물(4)은, 벽체지지대(1100)에 벽체(1200)를 거치하고, 횡블럭(1112, 1122)에 사전 천공된 홀(미도시)을 구비하여, 종방향으로 철근을 배근하거나, 또는 사전 제작된 철근망을 삽입 후 콘크리트를 타설, 예를 들어, 현장타설 함으로써, 역T형 옹벽 또는 L형 옹벽과 같은 구조체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2, 3, 4: 하이브리드 구조물
100: 벽체지지대
110: 제1 벽체지지대
111: 종블럭
112: 횡블럭
113: 벽체안착부
114: 단차부
115: 횡블럭철근
116: 철근삽입홀
120: 제2 벽체지지대
121: 종블럭
122, 122a: 횡블럭
123: 벽체안착부
124: 단차부
125: 횡블럭철근
126: 철근삽입홀
200: 벽체
210: 받침부
220: 수직부
221: 수직부상면
230: 돌출판
240: 벽체루프철근
250: 벽체하부철근
260: 볼팅부
300: 기둥
310: 기둥하부
320: 기둥수직부
330: 기둥상부
331: 기둥상부면
332: 기둥상부면단차부
340: 기둥루프철근
350: 기둥하부철근
400: 상부슬래브
410: 슬래브루프철근
500: 슬래브이음부
600: 하부슬래브
700: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
710: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
711: 상면돌출철근
712: 측면돌출철근
720: 상부슬래브철근
1100: 벽체지지대
1110: 제1 벽체지지대
1111: 종블럭
1112: 횡블럭
1113: 벽체안착부
1120: 제2 벽체지지대
1121: 종블럭
1122: 횡블럭
1123: 벽체안착부
1200: 벽체
1210: 받침부
1220: 수직부
1221: 수직부상면
1600: 기초부

Claims (17)

  1.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벽체지지대;
    상기 벽체지지대 상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지지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현장타설 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슬래브;
    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지지대는, 현장타설되는 상기 하부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종블럭 및 2 이상의 횡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종블럭은 판 형태를 갖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횡블럭은 판 형태를 갖고 상기 종블럭에서 내측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종블럭은, 현장타설 되는 상기 하부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횡방향 외측단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외측단을 구성하고,
    상기 횡블럭은, 철근이 삽입되기 위한 철근삽입홀을 포함하되, 상기 철근삽입홀을 통해 단일한 상기 종블럭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2 이상의 횡블럭 사이에 철근이 삽입되고,
    상기 횡블럭은, 상면에 상기 벽체가 안착되기 위한 벽체안착부, 상기 벽체안착부에서 소정 단차를 갖고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상기 벽체안착부를 사이로 상기 종블럭과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된 단차부, 및 상기 횡블럭의 내측 횡방향으로 돌출된 횡블럭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는, 상기 벽체의 하부를 구성하며 상기 벽체안착부 상에 안착되는 받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현장타설 되는 상기 하부슬래브에 매립되는 벽체하부철근을 더 포함하되,
    2 이상의 상기 횡블럭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종블럭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벽체하부철근이 수용되고 콘크리트가 현장타설되어 상기 벽체, 상기 벽체지지대, 및 상기 하부슬래브를 일체거동화시키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안착부는, 상기 종블럭과 상기 횡블럭이 맞닿는 위치에서 상기 종블럭의 상면의 높이가 상기 벽체안착부 상면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벽체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상기 받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서 적어도 일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벽체가 상기 벽체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체지지대는, 적어도 2 이상이 연속되어 배치되되,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종방향 내측을 구성하는 제1 벽체지지대; 및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종방향 단부를 구성하는 제2 벽체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벽체지지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횡블럭은, 상기 제2 벽체지지대의 상기 종블럭의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를 받침부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받침부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벽체지지대의 상기 종블럭 및 상기 횡블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벽체의 전도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하부철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받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다가 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서 소정 면적의 평면을 포함하는 수직부상면;
    상기 수직부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벽체루프철근; 및
    상기 수직부상면의 상방으로 연장된 돌출판;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판은 상기 수직부상면의 외측방향 단부에서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벽체루프철근은, 폐쇄된 고리형태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형태가 종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어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상면에 횡방향 단부가 안착되는 상부슬래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슬래브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며, 횡방향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슬래브루프철근을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루프철근은, 폐쇄된 고리형태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형태가 종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어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벽체지지대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기둥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둥은, 적어도 일부가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상기 기둥의 하부를 구성하는 기둥하부;
    상기 기둥하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수직부; 및
    상기 기둥수직부의 상부에서 소정 길이를 갖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상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상부에서 소정 면적의 평면을 포함하는 기둥상부면은, 외측방향 단부가 오목한 형태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슬래브가 안착되는 기둥상부면단차부가 마련된, 하이브리드 구조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기둥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기둥루프철근; 및
    상기 기둥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기둥하부철근;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루프철근은, 폐쇄된 고리형태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형태가 종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어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상면에서, 상기 상부슬래브의 횡방향 단부와 상기 돌출판 사이에 현장타설 되어 형성된 슬래브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체루프철근 및 상기 슬래브루프철근은 상기 슬래브이음부에 매립된, 하이브리드 구조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둥상부면단차부는 상기 기둥상부면의 외측방향 양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상부면에서, 상기 기둥상부면단차부에 안착된 한 쌍의 상기 상부슬래브의 횡방향 단부 사이에 현장타설 되어 형성된 슬래브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루프철근 및 상기 슬래브루프철근은 상기 슬래브이음부에 매립된, 하이브리드 구조물.
  12.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며, 2 이상의 횡블럭 및 적어도 하나의 종블럭을 포함하는 벽체지지대를 종방향으로 연속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벽체지지대 상에 벽체를 안착시키고;
    상기 횡블럭에 마련된 철근삽입홀에 종방향으로 철근을 삽입하고;
    상기 벽체지지대 내측에 현장타설 하부슬래브를 형성하여, 상기 벽체 하부에 돌출된 벽체하부철근과 상기 벽체지지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횡블럭철근을 하부슬래브에 매립하고;
    상기 벽체 상부에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상부슬래브를 형성하고; 및
    상기 상부슬래브의 횡방향 단부와 상기 벽체의 상부 사이에서 정의된 영역에 현장타설 슬래브이음부를 형성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지지대는, 판 형태를 갖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블럭 및 판 형태를 갖고 상기 종블럭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종블럭은, 현장타설 되는 상기 하부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횡방향 외측단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외측단을 구성하고,
    상기 횡블럭은, 철근이 삽입되기 위한 철근삽입홀을 포함하되, 상기 철근삽입홀을 통해 단일한 상기 종블럭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2 이상의 횡블럭 사이에 철근이 삽입되고,
    2 이상의 상기 횡블럭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종블럭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벽체하부철근이 수용되고 콘크리트가 현장타설되어 상기 벽체, 상기 벽체지지대, 및 상기 하부슬래브를 일체거동화시키는,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방법.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상면에 횡방향 단부가 안착되는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상부에 콘크리트가 현장타설 되기 위한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돌출철근; 및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의 측면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측면돌출철근;
    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14. 청구항 13에 따른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상기 벽체지지대를 종방향으로 연속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벽체지지대 상에 상기 벽체를 안착시키고;
    상기 벽체지지대 내측에 현장타설 하부슬래브를 형성하여, 상기 벽체 하부에 돌출된 벽체하부철근과 상기 벽체지지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횡블럭철근을 하부슬래브에 매립하고;
    상기 벽체지지대 상부에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를 안착시키고; 및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부재의 상부 및 횡방향 단부와, 상기 벽체의 상부 사이에서 정의된 영역에 현장타설 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상부슬래브를 형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방법.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벽체지지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16. 현장타설부와 프리캐스트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벽체지지대;
    상기 벽체지지대 상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체; 및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하부를 구성하는 기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지지대는, 현장타설되는 상기 기초부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종블럭 및 2 이상의 횡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종블럭은 판 형태를 갖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횡블럭은 판 형태를 갖고 상기 종블럭에서 내측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종블럭은, 현장타설 되는 상기 기초부를 형성하기 위한 횡방향 외측단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외측단을 구성하고,
    상기 횡블럭은, 철근이 삽입되기 위한 철근삽입홀을 포함하되, 상기 철근삽입홀을 통해 단일한 상기 종블럭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2 이상의 횡블럭 사이에 철근이 삽입되고,
    상기 횡블럭은, 상면에 상기 벽체가 안착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 벽체안착부 및 상기 벽체안착부에서 소정 단차를 갖되 상기 벽체안착부를 사이로 상기 종블럭과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된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는, 상기 벽체의 하부를 구성하며 상기 벽체안착부 상에 안착되는 받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현장타설 되는 상기 기초부에 매립되는 벽체하부철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초부는, 2 이상의 상기 횡블럭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종블럭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현장 철근배근 후, 콘크리트가 현장타설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상기 받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서 적어도 일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벽체가 상기 벽체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벽체하부철근은, 상기 받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이브리드 구조물.
KR1020210006928A 2021-01-18 2021-01-18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29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28A KR102299273B1 (ko) 2021-01-18 2021-01-18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28A KR102299273B1 (ko) 2021-01-18 2021-01-18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273B1 true KR102299273B1 (ko) 2021-09-07

Family

ID=7779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928A KR102299273B1 (ko) 2021-01-18 2021-01-18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2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940A (ko) * 2009-04-14 2010-10-22 (주)유니트엔지니어링 조립식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93777B1 (ko) * 2010-06-23 2010-11-18 (주)서현컨스텍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46758B1 (ko) * 2011-03-03 2012-05-17 안창일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KR101314081B1 (ko) * 2013-04-12 2013-10-14 (주)서현컨스텍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KR101457373B1 (ko) * 2014-09-11 2014-11-13 주식회사 티엠이앤씨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지하 복층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940A (ko) * 2009-04-14 2010-10-22 (주)유니트엔지니어링 조립식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93777B1 (ko) * 2010-06-23 2010-11-18 (주)서현컨스텍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46758B1 (ko) * 2011-03-03 2012-05-17 안창일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KR101314081B1 (ko) * 2013-04-12 2013-10-14 (주)서현컨스텍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KR101457373B1 (ko) * 2014-09-11 2014-11-13 주식회사 티엠이앤씨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지하 복층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793B1 (ko) 주열식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23049B1 (ko) 조립식 옹벽구조
KR101077821B1 (ko)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구조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101161332B1 (ko) 지하터널의 시공방법
KR100993777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20090021708A (ko) 프리캐스트 옹벽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38395B1 (ko) 강합성 벽체파일을 이용한 지하차도의 시공방법
KR20140047924A (ko)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을 이용한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71200B1 (ko)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02924B1 (ko) 철근 고정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패널을 거푸집으로 하는 조립식옹벽
JP7232714B2 (ja) 基礎の構築方法
KR102299273B1 (ko) 벽체지지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JP2004027609A (ja) 地中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地中構造物
JP6368630B2 (ja) 基礎部施工方法
KR101696282B1 (ko) 흙막이용 강관을 이용한 pc 벽체, 그 pc 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및 그 pc 벽체의 연결방법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1826246B1 (ko) T형 단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 방법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H1077607A (ja) PCaコンクリート部材を用いた高架橋の施工法
KR101194866B1 (ko) 종방향 강재와 횡방향 강재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JPH1096210A (ja) 橋脚張り出し部の施工方法
KR20090006320A (ko) 도로확장형 옹벽 구조
JP2004084367A (ja) 基礎構造体及び高架式交通路
KR102500803B1 (ko) 기존 구조물의 지하통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