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547B1 - 자동인출기 - Google Patents

자동인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547B1
KR102296547B1 KR1020210062625A KR20210062625A KR102296547B1 KR 102296547 B1 KR102296547 B1 KR 102296547B1 KR 1020210062625 A KR1020210062625 A KR 1020210062625A KR 20210062625 A KR20210062625 A KR 20210062625A KR 102296547 B1 KR102296547 B1 KR 102296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unit
goods
dischar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근
성상일
반옥분
Original Assignee
안상근
성상일
반옥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근, 성상일, 반옥분 filed Critical 안상근
Priority to KR102021006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7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wherein the storage and dispensing mechanism are configurable in relation to the physical or geometrical properties of the articles to be stored or dispens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수량의 물품이 수용되는 물품수용부, 물품수용부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감지부, 조작신호에 따라 물품수용부에 수용된 물품을 배출하는 물품배출부, 물품배출부를 통해 물품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배출물품감지부, 자동인출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제어하는 조작제어부로 구성되어 물품의 크기에 따라 폭을 조정하여 물품을 수용가능도록 하며 물품의 배출이 명확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자동인출기에 관한 것으로, 자동인출기를 구성하는 물품수용부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며, 물품수용부에 폭조절안내부를 형성하여 실시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정렬수용할 수 있는 효과와, 자동인출기를 구성하는 물품수용부는 동일한 크기로 생산하여 자동판매기에 적용함으로써 생산라인 또는 생산부품이 동일하게 되어 반복 생산에 따른 생산성 향상 및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인출기{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자판기에 설치되어 를 자동배출하도록 구성된 자동인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수량의 물품이 수용되는 물품수용부, 물품수용부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감지부, 조작신호에 따라 물품수용부에 수용된 물품을 배출하는 물품배출부, 물품배출부를 통해 물품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배출물품감지부, 물품배출부를 통해 물품이 배출되는 물품배출부와, 자동인출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제어하는 조작제어부로 구성되어 물품의 크기에 따라 폭을 조정하여 물품을 수용가능도록 하며 물품의 배출이 명확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자동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에는 다수의 자동인출기가 구비되고, 자동인출기에는 일정 수량의 물품을 적치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치된 물품을 자판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판매기에 구비된 자동인출기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물품이 적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자동판매기의 외부에 구성된 조작버튼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이 자동판매기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판매기에 구비된 구성되는 자동인출기의 물품적치부가 물품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게 되어 제품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제품생산 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6229
본 발명은 종래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동인출기가 수용되는 물품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설치됨으로써 제품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제품생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인출기는 일정 수량의 물품이 수용되는 물품수용부, 물품수용부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감지부, 조작신호에 따라 물품수용부에 수용된 물품을 배출하는 물품배출부, 물품배출부를 통해 물품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배출물품감지부, 자동인출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제어하는 조작제어부로 구성되어 자동판매기의 생산성 향상 및 제작단가를 낮출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인출기를 구성하는 물품수용부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며, 물품수용부에 폭조절안내부를 형성하여 실시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정렬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자동인출기를 구성하는 물품수용부는 동일한 크기로 생산하여 자동판매기에 적용함으로써 생산라인 또는 생산부품이 동일하게 되어 반복 생산에 따른 생산성 향상 및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수용부의 폭조절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부 구성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정 수량의 물품이 수용되는 물품수용부(10), 물품수용부(10)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감지부(20), 조작신호에 따라 물품수용부(10)에 수용된 물품을 배출하는 물품배출부(30), 물품배출부(30)를 통해 물품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배출물품감지부(40), 자동인출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50) 및 조작부(50)의 조작신호를 제어하는 조작제어부(6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물품수용부(10)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물품수용부(10)의 전면, 측면 및 후면에는 삽입된 물품을 정렬되게 하는 폭조절안내부(11)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폭조절안내부(11)는 'U'형으로 절개하여 내측으로 몰입되는 절곡편(11a)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편(11a)은 V형 꺽임유도홈(11b)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꺽임유도홈(11b)은 절곡편(11a)의 내외측의 엇각 방향에 형성함으로써 절곡편(11a)을 이중 절곡되게 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물품감지부(20)는 물품수용부(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수용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감지센서에는 일정 길이로 감지바(21)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물품배출부(30)는 물품이 배출되는 배출공(31), 상기 배출공(31)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출구동판(32), 배출구동판(32)의 일측에 구비되어 배출구동판(3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구동판(32)은 물품수용부(10)에 수용된 물품이 배출구 측으로 자유 낚하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원호지지부(32a)와, 원호지지부(32a)의 일정 구간을 절개하여 수용된 물품의 후방이 걸림되게 하여 전방 배출공(31) 측으로 이송하는 걸림이송부(32b)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이송부(32b)의 일면에는 물품의 후면에 밀착되는 물품밀착판(32c)이 형성되고, 배출구동판(32)의 일면에는 일회전시 이를 배출물품감지부(40)가 감지하기 위한 감지바(32d)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공(31)의 양측에 탄성체로 형성한 배출탄성가이드(34)가 구비되어 원심력에 의한 물품의 배출방향을 하향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장착하여 실시함으로써 물품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함과 아울러 물품이 배출될 때 전방하부로 낚하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물품감지부(40)는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되는 물품을 감지하는 배출감지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동판(32)이 일회전하여 원위치 복귀하였을 때 감지바(32d)를 감지하여 구동모터(33)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제어부(60)는 물품감지부(20)를 통해 물품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고, 조작부(50)의 신호에 따라 물품배출부(30)를 구동하여 물품배출부(30)로 가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품수용부(10)는 물품의 길이에 따라 수용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가변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폭가변수단은 하부의 고정틀프레임(12)과, 상기 고정틀프레임의 양측으로 'ㄷ' 형으로 절곡된 일정 길이를 갖는 가변프레임(1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틀프레임(12)에는 가변프레임(13)의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가이드공(12a)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변프레임(13)의 양측으로는 가이드공(12a)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3a)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공(13a)은 상면과 하면을 파형으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결합돌기가 내측으로 돌출된 산에 걸리도록 형성하고, 결합돌기는 산을 통과할 때 오무러 드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정 수량의 물품이 수용되는 물품수용부(10), 물품수용부(10)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감지부(20), 조작신호에 따라 물품수용부(10)에 수용된 물품을 배출하는 물품배출부(30), 물품배출부(30)를 통해 물품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배출물품감지부(40), 자동인출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50) 및 조작부(50)의 조작신호를 제어하는 조작제어부(60)로 구성되고, 물품수용부(10)에는 의 크기에 따른 폭가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부피를 갖는 를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폭가변수단은 하부의 고정틀프레임과, 상기 고정틀프레임의 양측으로 'ㄷ' 형으로 절곡된 일정 길이를 갖는 가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고정틀프레임에는 가변프레임의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가이드공이 형성하여 실시함으로써 수용되는 갑의 크기에 따라 물품수용부(10)의 폭가을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을 산과 골로 이루어진 파형으로 형성하고, 결합돌기를 탄성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폭을 가변한 후 가변프레임의 폭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물품수용부
11 : 폭조절안내부 11a : 절곡편
11b : 꺽임유도홈 12 : 고정틀프레임
12a : 가이드공 13 : 가변프레임
20 : 물품감지부
21 : 감지바
30 : 물품배출부
31 : 배출공 32 : 배출구동판
32a : 원호지지부 32b : 걸림이송부
32c : 물품밀착판 32d : 감지바
33 : 구동모터
40 : 배출물품감지부
50 : 조작부
60 : 조작제어부

Claims (3)

  1. 일정 수량의 물품이 수용되는 물품수용부, 물품수용부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감지부, 조작신호에 따라 물품수용부에 수용된 물품을 배출하는 물품배출부, 물품배출부를 통해 물품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배출물품감지부, 자동인출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제어하는 조작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물품수용부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물품수용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가변수단이 구비하되;
    폭가변수단은 하부의 고정틀프레임과, 상기 고정틀프레임의 양측으로 'ㄷ' 형으로 절곡된 일정 길이를 갖는 가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틀프레임에는 가변프레임의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프레임의 양측으로는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은 상면과 하면을 파형으로 형성하여 골과 산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산을 통과할 때 오무러 드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인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수용부에는 수용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물품수용부의 전면과 후면, 양 측면 중 마주보는 벽면에 삽입된 물품을 정렬되게 하는 폭조절안내부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인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배출부는 물품이 배출되는 배출공, 상기 배출공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출구동판, 배출구동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배출구동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동판은 물품수용부에 수용된 물품이 배출구 측으로 자유 낚하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원호지지부와 원호지지부의 일정 구간을 절개하여 수용된 물품의 후방이 걸림되게 하여 전방 배출공 측으로 이송하는 걸림이송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이송부의 일면에는 물품의 후면에 밀착되는 물품밀착판이 형성되고, 배출구동판의 일면에는 일회전시 이를 배출물품감지부가 감지하기 위한 감지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인출기.
KR1020210062625A 2021-05-14 2021-05-14 자동인출기 KR102296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625A KR102296547B1 (ko) 2021-05-14 2021-05-14 자동인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625A KR102296547B1 (ko) 2021-05-14 2021-05-14 자동인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547B1 true KR102296547B1 (ko) 2021-09-03

Family

ID=7778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625A KR102296547B1 (ko) 2021-05-14 2021-05-14 자동인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023B1 (ko) * 2021-12-21 2022-09-14 성상일 용기 공급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3879U (ko) * 1985-02-01 1986-08-21
KR200241701Y1 (ko) * 2001-05-15 2001-10-15 한흥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KR20040006928A (ko) * 2002-07-16 2004-01-24 주식회사 키오스텍 자동상점 시스템
KR20100000241U (ko) * 2008-06-30 2010-01-07 임정주 자동판매기 개량
KR200466229Y1 (ko) 2011-05-23 2013-04-05 고정원 다기능 복합 자동판매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3879U (ko) * 1985-02-01 1986-08-21
KR200241701Y1 (ko) * 2001-05-15 2001-10-15 한흥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KR20040006928A (ko) * 2002-07-16 2004-01-24 주식회사 키오스텍 자동상점 시스템
KR20100000241U (ko) * 2008-06-30 2010-01-07 임정주 자동판매기 개량
KR200466229Y1 (ko) 2011-05-23 2013-04-05 고정원 다기능 복합 자동판매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023B1 (ko) * 2021-12-21 2022-09-14 성상일 용기 공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967B1 (ko)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KR102296547B1 (ko) 자동인출기
KR102128770B1 (ko) 포장육 자동판매기
US20130035024A1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unit apparatus
US20020017531A1 (en) Device for expelling a product from a vending machine
US4753431A (en) Note storing apparatus
US10055921B2 (en) Coin processing apparatus
JPS5815409B2 (ja) バラソウテンコウカホツパ
EP2951792B1 (en) Conveying money items
EP2406773B1 (en) Product vending machine tray
CN112150707B (zh) 商品收纳装置
US20150196459A1 (en) Pill Counting and Conveying Apparatus
US20120156977A1 (en) Coin hopper with an upward coin passage
JP4100344B2 (ja) 自動販売機
JP4713685B1 (ja) 串供給装置
KR102525991B1 (ko) 멀티자동판매기의 상품 배출장치
US5551912A (en) Coin conveying apparatus
JPH09180019A (ja) 硬貨払出装置
JP2002260054A (ja) 硬貨釣銭機
KR20000016663U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KR200240252Y1 (ko) 자동판매기 상품 배출장치
EP1936573A1 (e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storing articles
KR0124380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자세제어장치
KR101752050B1 (ko) 티켓 배출장치
KR100854622B1 (ko) 자판기용 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