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701Y1 -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701Y1
KR200241701Y1 KR2020010014172U KR20010014172U KR200241701Y1 KR 200241701 Y1 KR200241701 Y1 KR 200241701Y1 KR 2020010014172 U KR2020010014172 U KR 2020010014172U KR 20010014172 U KR20010014172 U KR 20010014172U KR 200241701 Y1 KR200241701 Y1 KR 200241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transfer
vending machine
unit
susp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흥
Original Assignee
한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흥 filed Critical 한흥
Priority to KR2020010014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701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에 있어서, 자동판매기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0)과, 고정판(10)의 일측에 배치된 구동모터(20)와, 다수의 물품의 현수 및 이송을 위한 이송스프링(33)을 구비하고, 이송스프링(33)의 후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구동축(21)에 결합된 연결부(35)를 구비한 이송부(30)와, 이송부(30)의 선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43)을 구비한 지지프레임(40)과, 물품이 이송부(30)의 개방단으로 이송된 후,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여 물품 낙하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1 스위치(50)와, 지지프레임(40) 내측으로 위치 설정되며 이송부(30)에 현수된 물품이 없을 경우 탄성적으로 지지된 이송부(30)의 선단이 상방향으로 복원시 물품 부재신호를 발생하는 제2 스위치(60)와, 자동 판매기 내부에 판매될 제품의 존재여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물품 존재 표시기(80)와, 사용자 선택에 따라 구동모터(20)를 작동시키고 물품 낙하감지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며, 물품 부재신호에 응답하여 표시기(80)에 물품부재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수단(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Goods Transferring System having Goods Status Displayer of Automat}
본 고안은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이송부에 현수된 물품이 없을 경우 표시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자동판매기 내에 비치된 물품의 부재(不在)를 안내해 줄 수 있으며, 자동판매기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용이하게 부재 물품을 파악하여 신속하게 보충함에 따라 자동판매기를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내측에 다수의 물품 예를 들면 칫솔 등과 같은 일상용품을 비치하여 사용자가 지폐 또는 동전을 자동판매기에 투여하여 자판기 전면에 배치된 다수의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눌러서 원하는 물품을 자동판매기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생활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자동판매기는 음료수캔이 수납된 자동판매기와는 달리 각각의 물품에 끈을 달아서 자동판매기 내부의 설치된 다수의 이송장치에 각각 소정간격으로 걸어놓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는 다수의 물품을 일정부분 걸어놓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품을 일정거리 이송시켜 사용자의 1회 요구에 대하여 해당 물품이 배출된다.
또한 이 경우 자동판매기 내측에는 물품의 가격대에 따라 각각 동일한 물품을 현수하기 위한 다수의 이송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자동판매기 외측에 각각 가격이 표시된 다수의 선택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눌러 물품을 배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는 사용자가 자동판매기의 내측을 들여다 볼 수 없도록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원하는 가격대의 물품을 단지 선택버튼을 눌러서 선택해야 하는데 이때, 이송장치에 현수된 물품의 부재 여부를 사용자가 알 수 없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자동판매기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판매된 물품을 보충하기 위해 반드시 자동판매기를 열어서 없는 물품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부재 물품을 신속하게 보충하지 못함에 따라 자동판매기용 물품의 판매가 원활하지 못하게 운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9818 호에 개제된 종래 고안과 같이 물건이 이송부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사용자에 의해 구동모터가 아이들링 구동하게 되어 구동모터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이송부에 현수된 물품이 없을 경우 표시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자동판매기 내에 비치된 물품의 부재(不在)를 안내해 줄 수 있으며, 자동판매기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용이하게 부재 물품을 파악하여 신속하게 보충함에 따라 자동판매기를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에 다수의 물품이 현수(懸垂)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로부터 물품이 이송부의 개방단 측으로 이송되어 낙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에 현수된 물품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이송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선택버튼 10: 고정판
20: 구동모터 21: 구동축
21a, 35b: 관통구멍 30: 이송부
31: 안내로드 33: 이송스프링
35: 연결부 35a: 결합홈
37: 고정볼트 40: 지지프레임
41a, 41b: 요홈 43: 탄성 스프링
50: 제1 스위치 51: 제1 버튼
53: 제1 감지바 60: 제2 스위치
61: 제2 버튼 63: 제2 감지바
70: 제어부 80: 표시기
G1-Gn: 물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 내측에 현수(懸垂)된 다수의 물품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출구로 물품을 낙하·배출시키기 위한 물품 부재 표시기를 갖는 자동 판매기의 물품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 타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을 구비한 구동모터와, 상기 다수의 물품이 현수되며 상기 물품을 개방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스프링의 후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연결부를 구비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하방향에 배치되도록 일단이 상기 고정판 타측에 고정되며 타단이 개방되며 상기 이송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이송부의 선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렘임의 선단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프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개방단으로 이송되어 물품이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여 물품 낙하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지지프레임 내측으로 상기 제1 스위치 후방에 위치 설정되며 상기 이송부에 현수된 물품이 없을 경우 탄성적으로 지지된 이송부의 선단이 상방향으로 복원시 물품 부재신호를 발생하는 제2 스위치와, 자동 판매기 내부에 판매될 제품의 존재여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물품 존재 표시기와,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라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고 물품 낙하감지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며, 상기 물품 부재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기에 물품부재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이송부는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일단에 상기 구동축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구동축과 함께 이송부가 회전되도록 이송부의 일측과 구동축을 체결하기 위한 고정볼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이송부에 현수되어 있는 경우 제2감지바에 의해 탄력 지지된 이송부가 구동축을 기준으로 개방단 측으로 하향 경사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오프(off)상태로 설정되며, 상기 이송부에 현수된 물품이 없을 경우 상기 이송부가 구동축을 기준으로 개방단 측이 상향 이동하여 물품 부재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다수의 물품이 안정적으로 현수되며,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스프링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상기 이송 스프링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스프링과 함게 회전 구동되는 안내로드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기를 통해 자동판매기 내측에 원하는 물품의 부재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자동판매기의 관리자는 자동판매기 내에 신속하게 물품을 보충하여 자동판매기용 물품의 판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에 다수의 물품이 현수(懸垂)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로부터 물품이 이송부의 개방단 측으로 이송되어 낙하되는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에 현수된 물품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이송장치의 개략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다수의 물품이 비치된 자동판매기(도시하지 않음) 내측에 도 1 및 도 6과 같이 사각형의 고정판(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0)의 일측에는 고정판(10) 타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21)을 구비한 구동모터(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이송부(30)는 상기 구동축(21)에 고정볼트(37)에 의해 체결되는 연장부(35)와, 상기 연장부(35) 선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다수의 물품이 현수됨과 동시에 현수된 물품(G1-Gn)을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스프링(3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송부(30)는 도 1과 같이 현수된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이송스프링(33)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이송스프링(33)에 내측에 결합되는 안내로드(3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35)는 도 4와 같이 상기 구동축(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결합홈(35a)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볼트(37)에 의해 연결부의 관통구멍(35b) 및 구동축(21)의 관통구멍(21a)을 순차적으로 관통 결합된다. 그 결과 상기 이송부(30)가 구동축(21)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30)는 다수의 물품이 현수된 상태에서 물품의 자중으로 인하여 개방단이 구동축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동축(21)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볼트(37)에 의해 느슨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30)의 하방향에 배치된 지지프레임(40)은 일단이 상기 고정판(10) 타측에 고정되며 타단이 개방되며, 상기 이송부(30)와 동일한 길이로 이송부(30)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 선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탄성스프링(4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송부(30)가 회전할 경우, 이송부(30) 일측에 돌출된 상태로 결합된 고정볼트(37)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37)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지지프레임(40) 일측에 한쌍의 요홈(41a,41b)이 각각 대칭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6과 같이 상기 지지프렘임(40)의 선단 내측에 배치된 제1 스위치(50)는 이송부(3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안내로드(20)의 개방단으로 이송되어 낙하되는 물품을 감지하기 위해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안내로드(20)의 개방단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감지바(53)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제1 스위치(50)의 상면에는 제1 버튼(51)이 구비되어 있어, 낙하되는 물품에 의해 제1 감지바(53)가 하방향으로 선회될 때 제1 감지바(53)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물품 낙하 감지신호(Goods Drop Detecting Signal: GDDS)를 마이크로프로세서(CPU), 롬(ROM) 및 램(RAM)으로 구성되는 제어부(70)로 전달하고, 그 결과 제어부(70)는 구동모터(20)의 구동을 제한하여 회전 구동되는 상기 이송부(30)의 회전을 멈추게 함에 따라 사용자의 1회 요구에 대하여 하나의 물품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40) 내측으로 상기 제1 스위치(50) 후방에 위치 설정된 제2 스위치(60)는 상기 이송부(30)를 탄력 지지하는 제2 감지바(63)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로드(20)에 현수된 물품이 없을 경우, 사용자에게 자동판매기의 외측에 배치된 표시기(80)를 통해 물품의 부재(不在)를 알려주기 위한 물품 부재신호(No Goods Signal: NGS)를 발생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스위치(6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이송부(30)에 현수되어 있는 경우 제2 감지바(53)에 의해 탄력 지지된 이송부(30)가 구동축(21)을 기준으로 개방단 측으로 하향 경사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제2 버튼(61)이 오프(off)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30)에 현수된 물품이 없을 경우 상기 이송부(30)가 구동축(21)을 기준으로 개방단 측이 상향 이동하여, 제2 버튼(61)이 온(on)상태로 변환됨에 따라 물품 부재신호(NGS)를 제어부(70)로 인가하여, 그 결과 제어부(70)는 LCD패널 또는 LED램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표시기(80)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품 부재를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는 자동판매기 내측에 가격대 별로 하나 이상 배치되며 이 경우, 상기 표시기(80)는 각각의 이송장치에 대하여 현수된 물품의 부재 여부를 알려줄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장치에 대응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 이송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다수의 물품(G1-Gn)이 각각 이송부(30)에 현수되어 있는 경우, 다수의 물품(G1-Gn)의 자중에 의해 이송부(30)는 구동축을 기준으로 개방단 측으로 하향 경사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경우, 탄성 스프링(43)에 의해 상기 이송부(30)를 탄력 지지하고 있는 제2 감지바(63)는 제2 스위치(60)의 제2 버튼(61)을 누르게 되어 상기 제2 버튼(61)이 오프(off)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제어부(70)는 자동판매기 외측에 배치된 표시기(80)에 '물품 존재'를 표시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동판매기 내에 물품이 존재하는 것을 상기 표시기(80)를 통해 확인하고 주화를 자동판매기에 투입한 후, 도 5와 같이 원하는 선택버튼(1)을 누를 경우, 제어부(70)는 선택버튼(1)에 대응하여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각도 즉, 이송부(30)가 물품(G1-Gn)을 이송부(30)의 개방단 측으로 이송시켜 개방단에 제일 인접하게 위치된 물품(G1)를 낙하시키기 위한 거리만큼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20)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라 도 3과 같이 개방단에 제일 인접하게 위치된 물품(G1)이 개방단으로부터 이탈되어 물품(G1)의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낙하되면서 제1 감지바(53)를 누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감지바(53)는 제1 버튼(51)을 눌러 제1 스위치(50)로부터 제어부(70)로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물품 낙하 감지신호(GDDS)를 인가받은 제어부(70)는 구동모터(20)의 구동을 정지시킴에 따라 이송부(30)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켜 이송부(30)에 현수된 나머지 물품(G2-Gn)의 이송을 멈추도록 한다.
그 후, 도 4와 같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송부(30)에 현수된 모든 물품이 개방단을 지나 순차적으로 낙하하게 되면, 마지막에 배치된 물품(Gn)이 낙하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부(30)는 탄성 스프링(43)에 의해 개방단 측이 구동축(21)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상향 선회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감지바(63)에 의해 오프되어 있던 제2 버튼(61)은 온(on)상태로 되면서 제2 스위치(60)로부터 물품 부재신호(NGS)를 상기 제어부(70)로 인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70)는 표시기(80)에 '물품 부재'를 표시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로 하여금 이송부(30)에 물품이 없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때 자동판매기 내에 상기 이송장치가 다수일 경우 현수된 물품이 없는 이송장치에 대응한 표시기(80)가 각각 온(on)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는 이송부(30)를 안내로드(31)와 이송스프링(33)으로 예시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와 같이 안내로드 없이 이송스프링(33) 만으로 구성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기를 통해 자동판매기 내측에 원하는 물품의 부재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자동판매기의 관리자는 자동판매기 내에 신속하게 물품을 보충하여 자동판매기용 물품의 판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의 제어부는 제2 스위치로부터 물품 부재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물품 부재' 안내를 통해 사용자가 물품이 없는데도 코인을 투입하여 자동판매기를 구동시킴에 따라 구동모터를 이이들링 구동하는 현상을 제거하여 구동모터의 고장억제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자동판매기 내측에 현수(懸垂)된 다수의 물품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출구로 물품을 낙하·배출시키기 위한 물품 부재 표시부를 갖는 자동 판매기의 물품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10) 타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21)을 구비한 구동모터(20)와,
    상기 다수의 물품이 현수되며 상기 물품을 개방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프링(33)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스프링(33)의 후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축(21)에 결합된 연결부(35)를 구비한 이송부(30)와,
    상기 이송부(30)의 하방향에 배치되도록 일단이 상기 고정판(10) 타측에 고정되며 타단이 개방되며 상기 이송부(30)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이송부(30)의 선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43)을 구비한 지지프레임(40)과,
    상기 지지프렘임(40)의 선단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프링(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부(30)의 개방단으로 이송되어 물품이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여 물품 낙하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1 스위치(50)와,
    상기 지지프레임(40) 내측으로 상기 제1 스위치(50) 후방에 위치 설정되며 상기 이송부(30)에 현수된 물품이 없을 경우 탄성적으로 지지된 이송부(30)의 선단이 상방향으로 복원시 물품 부재신호를 발생하는 제2 스위치(60)와,
    자동 판매기 내부에 판매될 제품의 존재여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물품 존재 표시기(80)와,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라 구동모터(20)를 작동시키고 물품 낙하감지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며, 상기 물품 부재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기(80)에 물품부재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수단(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는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일단에 상기 구동축(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결합홈(35a)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21)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구동축(21)과 함께 이송부(30)가 회전되도록 이송부(30)의 일측과 구동축(21)을 체결하기 위한 고정볼트(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60)는 적어도 1의 물품이 이송부(30)에 현수되어 있는 경우 제2 감지바(53)에 의해 탄력 지지된 이송부(30)가 구동축(21)을 기준으로 개방단 측으로 하향 경사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오프(off)상태로 설정되며, 상기 이송부(30)에 현수된 물품이 없을 경우 상기 이송부(30)가 구동축(21)을 기준으로 개방단 측이 상향 이동하여 물품 부재신호를 제어부(70)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다수의 물품이 안정적으로 현수되며,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스프링(33)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상기 이송 스프링(33)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스프링(33)과 함게 회전 구동되는 안내로드(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KR2020010014172U 2001-05-15 2001-05-15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KR200241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172U KR200241701Y1 (ko) 2001-05-15 2001-05-15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172U KR200241701Y1 (ko) 2001-05-15 2001-05-15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701Y1 true KR200241701Y1 (ko) 2001-10-15

Family

ID=7310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172U KR200241701Y1 (ko) 2001-05-15 2001-05-15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7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794B1 (ko) 2015-04-21 2016-03-18 김재창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
KR102184742B1 (ko) * 2020-09-25 2020-11-30 성상일 판형 상품 자판기
KR102296547B1 (ko) * 2021-05-14 2021-09-03 안상근 자동인출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794B1 (ko) 2015-04-21 2016-03-18 김재창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
KR102184742B1 (ko) * 2020-09-25 2020-11-30 성상일 판형 상품 자판기
KR102296547B1 (ko) * 2021-05-14 2021-09-03 안상근 자동인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7010A (en) Bumper sticker printing machine
ITMI991601A1 (it) Distributore automatico di bottiglie
KR200241701Y1 (ko) 물품 존재여부 표시부를 갖는 자동판매기의 물품 이송장치
KR20140122659A (ko)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US6938896B2 (en) Automatic card dispensing unit with display capability
US20100025415A1 (en) Bag dispensing machine for upward dispensing
JPH0225738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数検出方法
US80520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bags
JP2014013439A (ja) 物品収納投出ユニット、物品投出装置および自動販売機
JP2003128188A (ja) 飲料供給装置
KR100401049B1 (ko) 차와 찻물을 순차 제공하는 자동판매기
KR101604794B1 (ko)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
JP3689141B2 (ja) 自動販売機における補充商品案内表示装置
KR200312441Y1 (ko) 자동 약 포장기의 약 분배 장치
KR100518378B1 (ko) 자동 약 포장기의 약 분배 장치
JP3781854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売切検出方法
JP4258087B2 (ja) 自動販売機
KR200210000Y1 (ko) 차와 찻물을 순차 제공하는 자동판매기
JP2014013440A (ja) 物品収納投出ユニット、物品投出装置および自動販売機
KR20040079179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 감지장치
KR100234641B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감지 방법
JPH02108191A (ja) 自動販売機
JP2869155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KR200240252Y1 (ko) 자동판매기 상품 배출장치
KR20220150802A (ko) 슬로프 인출형 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