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050B1 - 티켓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티켓 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2050B1 KR101752050B1 KR1020150045934A KR20150045934A KR101752050B1 KR 101752050 B1 KR101752050 B1 KR 101752050B1 KR 1020150045934 A KR1020150045934 A KR 1020150045934A KR 20150045934 A KR20150045934 A KR 20150045934A KR 101752050 B1 KR101752050 B1 KR 1017520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cket
- height
- pair
- main body
-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장의 티켓을 내부에 적층 보관하고, 전방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정,역회전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1 및 제2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기어의 둘레에서 회전되는 타이밍 벨트를 구비하여 티켓을 배출구측으로 밀어서 배출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타이밍 벨트 상부측에서 배출되는 티켓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여 티켓이 한 장씩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걸림부;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티켓의 배출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센서 쌍들을 구비하여 배출되는 티켓을 검출함으로써, 티켓의 배출 패턴을 제어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구동부의 모터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티켓이 한장씩 배출되도록 일련의 작동 시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배출하고자 하는 티켓의 재료, 크기, 종류 또는 두께 등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티켓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티켓의 재료, 크기, 종류 또는 두께 등에 따라서 상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티켓에 대해 장치 전체를 교체시키지 않으면서, 한장씩 차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티켓의 재료, 크기, 종류 또는 두께 등에 따라서 상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티켓에 대해 장치 전체를 교체시키지 않으면서, 한장씩 차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된 여러 장의 티켓을 한 장씩 배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각종 카드, 상품권, 지폐, 경품권, 복권, 버스표, 다양한 종류의 종이, 또는 비닐로 포장된 식품, 또는 약품 포장 종이 등(이하, 간단히 "티켓" 이라 한다)에 재해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한 장 이상 겹쳐서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카드 등의 티켓 배출이 그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티켓을 반복적으로 안정되게 사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티켓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상품권 배출기 대부분은 다수의 상품권이 수납된 수납부 하측에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시킴으로써 그 롤러와 상품권의 마찰력에 의해 상품권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는 구조였다.
따라서, 롤러와 상품권의 마찰력 크기 또는 수납된 상품권의 수납 상태에 따라 2장 이상의 상품권이 겹쳐서 배출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80733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제1롤러의 톱니부가 상품권을 배출구측으로 이송시키고, 그 이송된 상품권을 제2롤러와 제2피동롤러가 협동하여 배출구측으로 배출시키는 상품권 배출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도 제1롤러의 톱니부가 두장 이상의 상품권을 이끌고, 제2롤러와 제2피동롤러가 맞물려 회전되는 구간까지 이송시킬 경우에는 제2롤러와 제2피동롤러의 구동력에 의해 두장 이상의 상품권이 한꺼번에 배출구측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맨 아래 장의 상품권이 맞닿게 되는 카트리지판의 앞쪽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품권의 앞쪽이 들려지게 함으로써 2장 이상의 상품권이 배출되지 못하게 하였으나, 하루에도 수백 내지 수천번 동작하는 상품권 배출기의 특성 상, 소정의 오차 범위내에서 2장 이상의 상품권이 배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64603호의 "상품권 배출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상품권과 타이밍 벨트의 마찰력에 의해 상품권이 한 장씩 이끌려 배출되게 함과 동시에, 배출구 측에 2 장 이상의 상품권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 부재가 구비된 걸림부를 장착함으로써, 비록 2 장 이상의 상품권이 타이밍 벨트에 의해 이끌려 나올지라도 걸림부에 의해 걸러지게 되어 상품권이 한 장씩만 배출되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측면판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봉과 누름판을 구비함으로써 수납된 상품권의 수에 따라서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다수 수납된 상품권을 바르게 정렬된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수납된 상품권 중 맨 아래에 있는 상품권이 타이밍 벨트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배출구측으로 이끌려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 기술은 걸림부에 제 1 걸림부재, 제 2 걸림부재, 제 3 걸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두장 이상 이끌려 나오는 상품권을 3 번의 걸림 작용에 의해 걸러줌으로써 2 장 이상의 상품권이 한꺼번에 배출되지 않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한층 제고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본 발명은 두 장 이상의 상품권이 상기 걸림부에 의해서도 걸러지지 않고 배출될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측면 판의 전방 일측에 장착된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동작 정지시킴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두장 이상의 상품권이 한꺼번에 배출되지 않게 하는 많은 장점을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종이로 제작된 상품권에 최적으로 적용되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플라스틱 카드류, 예를 들면 신용카드나, 출입 카드, 또는 각종 신분 카드등의 딱딱한 재질로 제작된 카드류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면 많은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상품권 배출기가 플라스틱 재료의 딱딱한 재질로 제작된 카드류를 배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면,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걸림부에 카드의 표면이 긁혀서 카드 표면을 손상시킴으로써, 카드를 여러 번 반복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걸림부 자체가 플라스틱 표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고, 카드 표면의 긁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이 등의 상품권보다 두께가 얇은, 예를 들면 0.1MM 두께 이하의 비닐 시트나, 비닐로 포장된 식품, 또는 약품 포장용 비닐 또는 종이 등을 배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겹쳐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방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걸림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면 이러한 문제점이 다소 완화될 수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기술은, 그러한 걸림부의 높낮이 조절 기능이 없고, 특히 다양한 두께를 갖는 각종 티켓, 예를 들면 각종 카드, 상품권, 지폐, 경품권, 복권, 버스표, 다양한 종류의 종이, 또는 비닐로 포장된 식품, 또는 약품 포장 종이 등에 범용적으로 적용되기 어려운 사용상에 한계를 갖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센서가 배출구 한쪽에 한 쌍이 장착되어 있어서, 단순히 배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티켓 배출구로부터 역방향으로 주입되는 카드 또는 티켓류에 대해서는 이것이 순방향으로 제대로 배출되는 것인지, 또는 역방향으로 새로히 유입되는 것인지를 감지할 수 없어서,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두께를 갖는 각종 티켓, 예를 들면 각종 카드, 상품권, 지폐, 경품권, 복권, 버스표, 다양한 종류의 종이, 또는 비닐로 포장된 식품, 또는 약품 포장 종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장치 전체를 교체시키지 않으면서, 패드 고정대의 높낮이를 조정하고, 배출되는 티켓의 종류에 따라서, 고무 패드 또는 회전봉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각종 티켓을 범용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티켓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구 측에 인접한 베어링을 스프링에 의해서 타이밍 벨트측으로 밀착시키고, 그 사이에서 티켓을 배출시킴으로써, 티켓이 얇은 비닐로부터 종이, 신용카드 또는 각종 플라스틱 카드류 등과 같이, 재질이 연한 것으로부터 딱딱한 재질로 변화되거나, 또는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모터의 회전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배출구 측에서 부드럽게 배출되어 작동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된 티켓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플라스틱 카드류를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카드 표면에 손상을 초래하지 않고, 모터에 부하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티켓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구 측에 장착된 한 쌍의 센서들이 배출되는 티켓을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감지 패턴을 판단함으로써 정상적인 티켓 배출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또는 중복되어 티켓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모터가 역회전하여 중복된 티켓을 수납함으로 복귀시킴으로써 복수의 티켓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티켓이 역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구매자에게 원하는 티켓이 발급되었음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발급 패턴의 제어가 가능한 티켓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된 여러 장의 티켓을 한 장씩 배출시키는 티켓 배출장치에 있어서,
여러 장의 티켓을 내부에 적층 보관하고, 전방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정,역회전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1 및 제2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기어의 둘레에서 회전되는 타이밍 벨트를 구비하여 티켓을 배출구측으로 밀어서 배출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타이밍 벨트 상부측에서 배출되는 티켓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여 티켓이 한 장씩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걸림부;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티켓의 배출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센서 쌍들을 구비하여 배출되는 티켓을 검출함으로써, 티켓의 배출 패턴을 제어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구동부의 모터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티켓이 한장씩 배출되도록 일련의 작동 시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배출하고자 하는 티켓의 재료, 크기, 종류 또는 두께 등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티켓에 대해 장치 전체를 교체시키지 않으면서, 한장씩 차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티켓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는 본체에 고정가능한 패드 고정대의 하부측에 한 쌍의 고무 패드 장착구와, 회전봉 삽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고무 패드 장착구에는 종이 또는 비닐과 같은 티켓에 대해 사용가능한 한 쌍의 고무 패드가 장착되며, 상기 회전봉 삽입구에는 플라스틱 카드와 같은 티켓에 대해 사용가능한 회전봉이 끼워져서 티켓의 종류에 따라서 고무 패드 또는 회전봉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걸림부의 패드 고정대의 전방측에서 상하로 높이 차를 형성하면서 패드 고정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전방 고정홈과, 상기 패드 고정대의 후방측에서 패드 고정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의 후방 고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 나사가 삽입되어 패드 고정대의 전방을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후방 고정홈에는 본체의 양측 외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높이조절원판의 다수의 끼움 구멍과, 본체의 장공을 통해서 고정 나사가 삽입되어 패드 고정대의 후방을 본체에 고정시키며,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높이조절원판의 다수의 끼움 구멍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후방 고정홈으로 고정 나사를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티켓의 두께에 따라서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조절부는 본체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각각의 회전축상에 상기 높이조절원판의 중앙 구멍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각각의 높이조절원판은 그 중앙 구멍을 중심으로 각각 반경 차이를 갖는 다수의 끼움 구멍들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장공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위치되어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장공의 하단은 상기 중앙 구멍으로부터 가장 단거리의 반경을 갖는 끼움 구멍에 일치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상단은 상기 중앙 구멍으로부터 가장 원거리의 반경을 갖는 끼움 구멍에 일치하는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높이조절원판의 다수의 끼움 구멍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장공을 통해 후방 고정홈으로 고정 나사를 삽입 고정시키면,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티켓의 두께에 따라서 다단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높이조절원판의 다수의 끼움 구멍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장공을 통해 후방 고정홈으로 고정 나사를 삽입 고정시키면, 상기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티켓의 두께에 따라서 1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1차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의 어느 하나로부터 고정 나사를 풀어서 패드 고정대를 본체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고, 고정 나사를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의 나머지 하나에 결합시키면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의 높이 차로 인하여 패드 고정대의 상하 높이가 2차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조절부는 높이조절원판의 끼움 구멍들이 9개 형성되어 상기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1차적으로 조절시키면, 상기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9단계에 걸쳐서 높이 조절하고, 상기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2차적으로 조절시키면, 상기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18단계에 걸쳐서 높이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의 출측에서, 티켓을 구동부의 타이밍 벨트에 밀착시키는 가이드 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는 본체의 양측 외면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스프링은 그 하단부가 본체의 양측면 하부에 고정되고, 그 상단부는 본체의 양측면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긴 구멍으로 돌출한 베어링 샤프트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 샤프트를 하방으로 당기며,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본체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한 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의 당김력으로 베어링들을 타이밍 벨트의 외면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베어링과 타이밍 벨트의 사이를 통과하는 티켓을, 티켓의 두께 또는 종류와는 무관하게 타이밍 벨트측으로 밀착시켜서 상,하 흔들림이나 요동없이 배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패드 고정대의 고무 패드 장착구측에 인접하여 그 사이로 티켓이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제1 센서 쌍과, 상기 배출구측에 인접하여 제1 센서 쌍을 통과한 티켓이 그 사이로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제2 센서 쌍을 포함하고, 티켓이 통과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함으로써, 제어부가 티켓의 배출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티켓이 센서부의 제1 센서 쌍과, 제2 센서 쌍을 차례로 정해진 시간에 통과하면, 정상적인 티켓 방출로서 모터를 정방향회전으로 제어하거나, 티켓이 센서부의 제1 센서 쌍를 통과한 후, 제2 센서 쌍을 지연된 시간으로 통과하면, 티켓의 중복 배출로서 인식하여 모터를 역회전시켜 티켓을 수납함으로 복귀시키거나, 티켓이 센서부의 제1 센서 쌍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로, 제2 센서 쌍을 통과하면, 티켓이 배출구를 통해서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인식하여 모터를 정회전시켜서 유입 티켓을 배출시키거나, 또는 티켓이 센서부의 제1 센서 쌍를 통과한 후, 모터가 정지되고, 티켓이 제2 센서 쌍에서 검출된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경보를 외부로 발산하여 구매자에게 티켓 발급을 알리며, 제2 센서 쌍으로부터 티켓이 배출되면, 정상적인 배출로서 인식하도록 티켓의 배출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수납함의 내측에 티켓 검출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티켓의 잔존 여부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티켓이 중복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걸림부가, 티켓의 재료, 크기, 종류 또는 두께 등에 따라서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티켓에 대해 장치 전체를 교체시키지 않으면서, 한장씩 차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두께를 갖는 각종 티켓, 예를 들면 각종 카드, 상품권, 지폐, 경품권, 복권, 버스표, 다양한 종류의 종이, 또는 비닐로 포장된 식품, 또는 약품 포장 종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장치 전체를 교체시키지 않으면서, 패드 고정대의 높낮이를 조정하고, 배출되는 티켓의 종류에 따라서, 고무 패드 또는 회전봉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각종 티켓을 범용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구 측에 인접한 베어링을 스프링에 의해서 타이밍 벨트측으로 밀착시키고, 그 사이에서 티켓을 배출시킴으로써, 티켓이 얇은 비닐로부터 종이, 신용카드 또는 각종 플라스틱 카드류 등과 같이, 재질이 연한 것으로부터 딱딱한 재질로 변화되거나, 또는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모터의 회전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배출구 측에서 부드럽게 배출되어 작동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플라스틱 카드류를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걸림부에 고무 패드 대신 원형 단면의 스테인레스 회전봉을 회전가능하게 교체 장착하고, 회전봉이 플라스틱 카드의 중복 배출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카드 표면에 스크래치 손상을 초래하지 않고, 모터에 부하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구 측에 장착된 한 쌍의 센서들이 배출되는 티켓을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감지 패턴을 판단함으로써 정상적인 티켓 배출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또는 중복되어 티켓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모터가 역회전하여 중복된 티켓을 수납함으로 복귀시킴으로써 복수의 티켓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티켓이 역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구매자에게 원하는 티켓이 발급되었음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티켓의 다양한 발급 패턴의 제어가 가능하여 관리자가 편리하게 티켓 발급을 관리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타이밍 벨트와 중간판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걸림부의 패드 고정대, 한 쌍의 고무 패드 및 회전봉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높이 조절부에서 본체로부터 높이조절원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높이 조절부에서 본체에 높이조절원판이 부착되어 패드 고정부를 높이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높이 조절부의 구조와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가이드 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서 티켓이 종이 또는 비닐과 같은 종류인 경우, 패드 고정대에는 한 쌍의 고무 패드가 장착되며, 회전봉 삽입구는 비워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서 티켓이 플라스틱 재료의 카드 종류인 경우, 패드 고정대의 회전봉 삽입구에는 회전봉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고, 고무 패드 장착구는 비워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타이밍 벨트와 중간판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걸림부의 패드 고정대, 한 쌍의 고무 패드 및 회전봉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높이 조절부에서 본체로부터 높이조절원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높이 조절부에서 본체에 높이조절원판이 부착되어 패드 고정부를 높이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높이 조절부의 구조와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 구비된 가이드 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서 티켓이 종이 또는 비닐과 같은 종류인 경우, 패드 고정대에는 한 쌍의 고무 패드가 장착되며, 회전봉 삽입구는 비워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에서 티켓이 플라스틱 재료의 카드 종류인 경우, 패드 고정대의 회전봉 삽입구에는 회전봉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고, 고무 패드 장착구는 비워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100)는 내부에 수납된 여러 장의 티켓(T)을 한 장씩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장의 티켓(T)을 내부에 적층 보관하고, 전방에는 배출구(112)가 형성된 본체(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배출장치(10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정,역회전되는 모터(122)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122)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1 및 제2 기어(124,126)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기어(124,126)의 둘레에서 회전되는 타이밍 벨트(130)를 구비하여 티켓(T)을 배출구(112)측으로 밀어서 배출하는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20)는 도 2를 참조하면, 구동 모터(122), 그 구동모터(122)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124), 타이밍 벨트(13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기어(124)와 연동되어 배출구(112)측에 인접하여 회전하는 제2 기어(126)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 모터(122)가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그 구동 모터(122)와 맞물려 있는 제1 기어(124)가 회전한다. 그 다음, 제1 기어(124)는 타이밍 벨트(130)를 매개로 하여 제2 기어(126)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1 기어(124)가 회전함에 따라 타이밍 벨트(130)에 의해 제2 기어(126)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2 기어(126)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밍 벨트(130)의 외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 돌출부(132)가 형성되는데, 톱니라 함은 다양한 모양의 톱니(예컨대 V 자형, U 자형 등)가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시 연속적으로 티켓(T)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이끌어 주는 기능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톱니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100)는, 상기 구동부(120)의 타이밍 벨트(130) 상부측에서 티켓(T)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걸림부재(142)를 구비하여 티켓(T)이 한 장씩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걸림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1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후방에 티켓 수납 공간(144)을 형성한다. 따라서, 걸림부(140)의 후방에 형성된 티켓 수납 공간(144)에 다수의 티켓(T)이 수납되어 보관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40)는, 구동부(120)의 작동에 의해서 배출구(112) 측으로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130)에 의해서, 수납된 티켓(T)중의 맨 아래의 티켓(T) 한 장만이 상기 배출구(112)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걸러주는 기능을 한다.
즉, 타이밍 벨트(130)에 의해 한 장의 티켓(T)이 배출구(112)측으로 이송되고, 그 이송되는 티켓(T)이 두장 이상일 경우, 상기 걸림부(140)의 걸림부재(142)에 의해서 걸러져서 최종적으로는 한 장만 배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되게 한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 중간에는 중간판(150)이 위치되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측에서 티켓 수납공간(14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15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어(124)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하게 개방구(1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20)의 작동시, 제1 기어(124)에 감겨진 타이밍 벨트(130)가 상기 중간판(150)의 개방구(152)를 통하여 티켓 수납 공간(144)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게 되는 바, 그 타이밍 벨트(130)의 돌출부(132)가 수납된 티켓(T) 중 맨 아래의 한장 만을 이끌어 티켓 배출구(112)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켓(T)의 종류에 따라서, 고무 패드(164a) 또는 회전봉(166a)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걸림부재(14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걸림부재(142)는 패드 고정대(160)의 하부측에 고무 패드(164a) 또는 회전봉(166a)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즉, 상기 걸림부(140)는 패드 고정대(160)의 전방측에서 상하로 높이 차(P)를 형성하면서, 패드 고정대(16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전방 고정홈(162a, 162b)과, 상기 패드 고정대(160)의 후방측에서 패드 고정대(16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의 후방 고정홈(162c)을 구비하여 본체(110)에 고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걸림부(140)는 패드 고정대(160)의 하부측에 한 쌍의 고무 패드 장착구(164)와, 회전봉 삽입구(166)를 형성한다.
이러한 고무 패드 장착구(164)에는 종이 또는 비닐과 같은 티켓(T)에 대해 사용가능한 한 쌍의 고무 패드(164a)가 장착되며, 회전봉 삽입구(166)에는 플라스틱 카드와 같은 티켓(T)에 대해 사용가능한 회전봉(166a)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40)는 티켓(T)의 종류에 따라서 한 쌍의 고무 패드(164a) 또는 회전봉(166a)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고무 패드(164a) 또는 회전봉(166a)이 걸림 부재(142)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고무 패드(164a) 또는 회전봉(166a)의 선택적인 사용 구조가 도 8 및 도 9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배출되는 티켓(T)이 종이 또는 비닐과 같은 종류인 경우, 패드 고정대(160)에는 한 쌍의 고무 패드(164a)가 장착되며, 회전봉 삽입구(166)는 비워져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배출되는 티켓(T)이 플라스틱 재료의 카드 종류인 경우, 패드 고정대(160)의 회전봉 삽입구(166)에는 회전봉(166a)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고, 고무 패드 장착구(164)는 비워져 있다(도 9 참조).
이때, 상기 회전봉(166a)은 플라스틱 재료의 카드 상부면에 대하여 회전하여 카드 진행에 따라서 원활하게 구름으로써, 한 쌍의 고무 패드(164a)에 의한 스크래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걸림 부재(142)는 티켓(T)의 종류에 따라서 한 쌍의 고무 패드(164a) 또는 회전봉(166a)의 선택적인 사용 구조가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은 걸림부(140)는, 본체(110)에 대해서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 조절부(170)를 통하여 장착된다.
즉, 상기 높이 조절부(170)는 패드 고정대(160)의 전방측에 위치된 한 쌍의 전방 고정홈(162a, 162b)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 나사(S)가 삽입되어 패드 고정대(160)의 전방을 본체(110)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후방 고정홈(162c)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양측 외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높이조절원판(180)의 다수의 끼움 구멍(182)과, 본체(110)의 장공(184)을 통해서 고정 나사(S)가 삽입되어 패드 고정대(160)의 후방을 본체(110)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높이 조절부(170)는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162a, 162b)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체(110)에 고정시키고, 상기 높이조절원판(180)의 다수의 끼움 구멍(18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후방 고정홈(162c)으로 고정 나사(S)를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패드 고정대(160)의 높이를 티켓(T)의 두께에 따라서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부(170)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높이 조절부(170)는 본체(110)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각각의 회전축(186a)상에 상기 높이조절원판(180)의 중앙 구멍(186)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데, 상기 각각의 높이조절원판(18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 구멍(186)을 중심으로 각각 반경(r1,r2,r3,r4,r5,r6,r7,r8,r9)의 크기 차이를 갖는 다수의 끼움 구멍(182)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장공(18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86a)의 상부에 위치되어 본체(110)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공(184)의 하단은 상기 중앙 구멍(186)으로부터 가장 단거리의 반경(r1)을 갖는 끼움 구멍(182)에 일치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장공(184)의 상단은 상기 중앙 구멍(186)으로부터 가장 원거리의 반경(r9)을 갖는 끼움 구멍(182)에 일치하는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162a, 162b)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체(110)에 고정시키고, 상기 높이조절원판(180)의 다수의 끼움 구멍(18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장공(184)을 통해 후방 고정홈(162c)으로 고정 나사(S)를 삽입 고정시키면, 패드 고정대(160)의 높이를 티켓(T)의 두께에 따라서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높이 조절부(170)는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162a, 162b)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체(110)에 고정시키고, 상기 높이조절원판(180)의 다수의 끼움 구멍(18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장공(184)을 통해 후방 고정홈(162c)으로 고정 나사(S)를 삽입 고정시키면, 상기 패드 고정대(160)의 높이를 티켓(T)의 두께에 따라서 1차적으로 조절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170)는 높이조절원판(180)의 끼움 구멍(182)들이 9개 형성된 경우, 높이조절원판(180)의 끼움 구멍(182)들은 중앙 구멍(186)으로부터 각각 다른 반경(r1,r2,r3,r4,r5,r6,r7,r8,r9)들을 갖기 때문에, 예를 들면, r1 < r2 < r3 < r4 < r5 < r6 < r7 < r8 < r9의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패드 고정대(160)의 높이를 9단계에 걸쳐서 1차적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170)는 상기와 같이 9단계에 걸쳐서, 1차 조절한 상태에서, 패드 고정대(160)의 상하 높이를 2차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162a, 162b)의 어느 하나로부터 고정 나사(S)를 풀어서 패드 고정대(160)를 본체(110)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고, 고정 나사(S)를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162a, 162b)의 나머지 하나에 결합시키면,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162a, 162b)의 높이 차(P)로 인하여 패드 고정대(160)의 상하 높이를 2차 조절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부(170)는, 상기 패드 고정대(160)의 높이를 18단계에 걸쳐서 2차적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과정에서, 한 쌍의 전방 고정홈(162a, 162b)의 높이 차(P)를 이용하는 높이 조절은, 높이조절원판(180)의 끼움 구멍(182)들을 이용한 높이 조절의 대략 1/2 정도의 값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즉, 높이조절원판(180)의 끼움 구멍(182)들을 이용하여 패드 고정대(160)의 높이를 1차 조절한 상태에서, 한 쌍의 고무 패드(164a) 또는 회전봉(166a)의 높이가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티켓(T)의 두께가 너무 얇아서 2장씩 배출되거나, 티켓(T)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배출이 자유롭지 못할 경우, 한 쌍의 전방 고정홈(162a, 162b)의 높이 차(P)를 이용하는 2차 높이 조절은, 추가적으로 높이조절원판(180)의 끼움 구멍(182)들을 이용한 높이 조절의 대략 1/2 정도의 값으로서 추가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즉, 상부측의 전방 고정홈(162a, 162b)에 고정 나사(S)를 결합시키면, 한 쌍의 고무 패드(164a) 또는 회전봉(166a)과, 타이밍 벨트(130) 사이의 간격이 미세하게 커지고, 하부측의 전방 고정홈(162a, 162b)에 고정 나사(S)를 결합시키면, 한 쌍의 고무 패드(164a) 또는 회전봉(166a)과, 타이밍 벨트(130) 사이의 간격이 미세하게 작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높이 조절부(170)는, 어떠한 두께의 티켓(T)에 대해서도, 한 쌍의 고무 패드(164a) 또는 회전봉(166a)과, 타이밍 벨트(130)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100)는, 상기 걸림부(140)의 출측에서, 티켓(T)을 구동부(120)의 타이밍 벨트(130)에 밀착시키는 가이드 부(19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1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양측 외면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스프링(192)을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스프링(192)은 그 하단부가 본체(110)의 양측면 하부에 고정되고, 그 상단부는 본체(110)의 양측면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긴 구멍(194)으로 돌출한 베어링 샤프트(196)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 샤프트(196)를 하방으로 당긴다.
또한, 상기 베어링 샤프트(196)는 본체(110)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한 베어링(198)을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192)의 당김력으로 베어링(198)들을 타이밍 벨트(130)의 외면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98)과 타이밍 벨트(130)의 사이를 통과하는 티켓(T)은, 티켓(T)의 두께 또는 종류와는 무관하게 타이밍 벨트(130)측으로 밀착되어서 상,하 흔들림이나 요동없이 배출구(112)를 통과하여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100)는, 상기 배출구(112)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센서부(20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센서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켓(T)의 배출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센서 쌍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센서 쌍들은 그 사이에서 배출되는 티켓(T)을 검출함으로써, 티켓(T)의 배출 패턴을 제어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220)로 송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120)의 모터(122)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2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티켓(T)이 한장씩 배출되도록 일련의 작동 시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한다(도 1 참조).
즉, 상기 센서부(200)는 패드 고정대(160)의 고무 패드 장착구(164)측에 인접하여 그 사이로 티켓(T)이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제1 센서 쌍(210a, 210b)과, 상기 배출구(112)측에 인접하여 제1 센서 쌍(210a, 210b)을 통과한 티켓(T)이 그 사이로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제2 센서 쌍(212a, 212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센서 쌍(210a, 210b)(212a, 212b)들은, 예를 들면, 투광 센서와 수광 센서가 1세트를 이루는 광센서 타입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및 제2 센서 쌍(210a, 210b)(212a, 212b)들은, 그 각각의 투광 센서와 수광 센서의 사이를 티켓(T)이 통과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220)로 송출함으로써, 제어부(220)가 티켓(T)의 배출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센서부(200)와 제어부(220)는, 티켓(T)이 센서부(200)의 제1 센서 쌍(210a, 210b)과, 제2 센서 쌍(212a, 212b)을 차례로 정해진 시간에 통과하면, 정상적인 티켓(T) 방출로서 인식하여 모터(122)를 정방향회전으로 제어한다.
또는, 센서부(200)와 제어부(220)는, 티켓(T)이 센서부(200)의 제1 센서 쌍(210a, 210b)를 통과한 후, 제2 센서 쌍(212a, 212b)을 지연된 시간으로 통과하면, 티켓(T)의 중복 배출로서 인식하여 모터(122)를 역회전시켜 티켓(T)을 수납함으로 복귀시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200)와 제어부(220)는, 티켓(T)이 센서부(200)의 제1 센서 쌍(210a, 210b)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로, 제2 센서 쌍(212a, 212b)을 통과하면, 티켓(T)이 배출구(112)를 통해서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인식하여 모터(122)를 정회전시켜서 유입 티켓(T)을 배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센서부(200)와 제어부(220)는, 티켓(T)이 센서부(200)의 제1 센서 쌍(210a, 210b)를 통과한 후, 모터(122)가 정지되고, 티켓(T)이 제2 센서 쌍(212a, 212b)에서 검출된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경보를 외부로 발산하여 구매자에게 티켓(T) 발급을 알리며, 제2 센서 쌍(212a, 212b)으로부터 티켓(T)이 배출되면, 정상적인 배출로서 인식하도록 티켓(T)의 배출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수납함을 구성하는 중간판(150)의 내측에 티켓 검출센서(2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티켓(T)의 잔존 여부를 관리자에게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중간판(150)의 좌우측에 티켓(T)의 폭에 따른 폭 조절 구멍(232)들을 다수 구비하거나, 정전기 방출 구멍(미 도시)들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티켓(T)의 크기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하고,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티켓 배출장치(100)는, 배출하고자 하는 티켓(T)의 재료, 크기, 종류 또는 두께 등에 따라서, 높이 조절부(170)를 통해서 장치 전체를 교체시키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티켓(T)이 중복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걸림부(140)가, 티켓(T)의 재료, 크기, 종류 또는 두께 등에 따라서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17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티켓(T)에 대해 장치 전체를 교체시키지 않으면서, 한장씩 차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두께를 갖는 각종 티켓(T)에 대해서, 패드 고정대(160)의 높낮이를 조정하고, 배출되는 티켓(T)의 종류에 따라서, 고무 패드(164a) 또는 회전봉(166a)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각종 티켓(T)을 범용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구(112) 측에 인접한 베어링(198)을 스프링(192)에 의해서 타이밍 벨트(130)측으로 밀착시키고, 그 사이에서 티켓(T)을 배출시킴으로써, 티켓(T)이 얇은 비닐로부터 종이, 신용카드 또는 각종 플라스틱 카드류 등과 같이, 재질이 연한 것으로부터 딱딱한 재질로 변화되거나, 또는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모터(122)의 회전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배출구(112) 측에서 부드럽게 배출되어 작동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플라스틱 카드류를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걸림부(140)에 한 쌍의 고무 패드(164a) 대신 원형 단면의 스테인레스 회전봉(166a)을 회전가능하게 교체 장착하고, 회전봉(166a)이 플라스틱 카드의 중복 배출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카드 표면에 스크래치 손상을 초래하지 않고, 모터(122)에 부하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출구(112) 측에 장착된 센서부(200)에서 티켓(T)의 배출을 감지하고, 제어부(220)에서 감지 패턴을 판단함으로써 정상적인 티켓 배출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또는 중복되어 티켓(T)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모터(122)가 역회전하여 중복된 티켓(T)을 수납함으로 복귀시킴으로써 복수의 티켓(T)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티켓(T)이 역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구매자에게 원하는 티켓(T)이 발급되었음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티켓(T)의 다양한 발급 패턴의 제어가 가능하여 관리자가 편리하게 티켓(T) 발급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높이조절원판(180)의 끼움 구멍(182)은 9개가 아닌 다른 수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높이조절원판(180)을 패드 고정대(160)의 전방측에도 동시적으로 적용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재료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00: 티켓 배출장치 110: 본체
112: 배출구 120: 구동부
122: 모터 124,126: 제1 및 제2 기어
130: 타이밍 벨트 132: 돌출부
140: 걸림부 142: 걸림 부재
144: 티켓 수납 공간 150: 중간판
152: 개방구 160: 패드 고정대
162a,162b: 전방 고정홈 162c: 후방 고정홈
164: 고무 패드 장착구 166: 회전봉 삽입구
164a: 고무 패드 166a: 회전봉
170: 높이 조절부 180: 높이조절원판
182: 끼움 구멍 184: 장공
186: 중앙 구멍 186a: 회전축
190: 가이드 부 192: 스프링
194: 긴 구멍 196: 베어링 샤프트
198: 베어링 200: 센서부
210a, 210b: 제1 센서 쌍 212a, 212b: 제2 센서 쌍
220: 제어부 230: 티켓 검출센서
232: 폭 조절 구멍 P: 높이 차
r1,r2,r3,r4,r5,r6,r7,r8,r9: 반경
S: 고정 나사 T: 티켓
112: 배출구 120: 구동부
122: 모터 124,126: 제1 및 제2 기어
130: 타이밍 벨트 132: 돌출부
140: 걸림부 142: 걸림 부재
144: 티켓 수납 공간 150: 중간판
152: 개방구 160: 패드 고정대
162a,162b: 전방 고정홈 162c: 후방 고정홈
164: 고무 패드 장착구 166: 회전봉 삽입구
164a: 고무 패드 166a: 회전봉
170: 높이 조절부 180: 높이조절원판
182: 끼움 구멍 184: 장공
186: 중앙 구멍 186a: 회전축
190: 가이드 부 192: 스프링
194: 긴 구멍 196: 베어링 샤프트
198: 베어링 200: 센서부
210a, 210b: 제1 센서 쌍 212a, 212b: 제2 센서 쌍
220: 제어부 230: 티켓 검출센서
232: 폭 조절 구멍 P: 높이 차
r1,r2,r3,r4,r5,r6,r7,r8,r9: 반경
S: 고정 나사 T: 티켓
Claims (10)
- 내부에 수납된 여러 장의 티켓을 한 장씩 배출시키는 티켓 배출장치에 있어서,
여러 장의 티켓을 내부에 적층 보관하고, 전방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정,역회전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기어의 둘레에서 회전되는 타이밍 벨트를 구비하여 티켓을 배출구측으로 밀어서 배출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타이밍 벨트 상부측에서 배출되는 티켓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여 티켓이 한 장씩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걸림부;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티켓의 배출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센서 쌍들을 구비하여 배출되는 티켓을 검출함으로써, 티켓의 배출 패턴을 제어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구동부의 모터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티켓이 한장씩 배출되도록 일련의 작동 시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본체에 고정가능한 패드 고정대의 하부측에 한 쌍의 고무 패드 장착구와, 회전봉 삽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고무 패드 장착구에는 종이 또는 비닐과 같은 티켓에 대해 사용가능한 한 쌍의 고무 패드가 장착되며, 상기 회전봉 삽입구에는 플라스틱 카드와 같은 티켓에 대해 사용가능한 회전봉이 끼워져서 티켓의 종류에 따라서 고무 패드 또는 회전봉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배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배출하고자 하는 티켓의 재료, 크기, 종류 또는 두께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티켓에 대해 장치 전체를 교체시키지 않으면서, 한장씩 차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배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걸림부의 패드 고정대의 전방측에서 상하로 높이 차를 형성하면서 패드 고정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전방 고정홈과, 상기 패드 고정대의 후방측에서 패드 고정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의 후방 고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 나사가 삽입되어 패드 고정대의 전방을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후방 고정홈에는 본체의 양측 외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높이조절원판의 다수의 끼움 구멍과, 본체의 장공을 통해서 고정 나사가 삽입되어 패드 고정대의 후방을 본체에 고정시키며,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높이조절원판의 다수의 끼움 구멍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후방 고정홈으로 고정 나사를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티켓의 두께에 따라서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배출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본체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각각의 회전축상에 상기 높이조절원판의 중앙 구멍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각각의 높이조절원판은 그 중앙 구멍을 중심으로 각각 반경 차이를 갖는 다수의 끼움 구멍들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장공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위치되어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장공의 하단은 상기 중앙 구멍으로부터 가장 단거리의 반경을 갖는 끼움 구멍에 일치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상단은 상기 중앙 구멍으로부터 가장 원거리의 반경을 갖는 끼움 구멍에 일치하는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높이조절원판의 다수의 끼움 구멍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장공을 통해 후방 고정홈으로 고정 나사를 삽입 고정시키면,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티켓의 두께에 따라서 다단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배출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높이조절원판의 다수의 끼움 구멍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장공을 통해 후방 고정홈으로 고정 나사를 삽입 고정시키면, 상기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티켓의 두께에 따라서 1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1차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의 어느 하나로부터 고정 나사를 풀어서 패드 고정대를 본체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고, 고정 나사를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의 나머지 하나에 결합시키면 상기 한 쌍의 전방 고정홈의 높이 차로 인하여 패드 고정대의 상하 높이가 2차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배출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높이조절원판의 끼움 구멍들이 9개 형성되어 상기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1차적으로 조절시키면, 상기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9단계에 걸쳐서 높이 조절하고, 상기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2차적으로 조절시키면, 상기 패드 고정대의 높이를 18단계에 걸쳐서 높이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배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출측에서, 티켓을 구동부의 타이밍 벨트에 밀착시키는 가이드 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는 본체의 양측 외면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스프링은 그 하단부가 본체의 양측면 하부에 고정되고, 그 상단부는 본체의 양측면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긴 구멍으로 돌출한 베어링 샤프트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 샤프트를 하방으로 당기며,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본체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한 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의 당김력으로 베어링들을 타이밍 벨트의 외면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베어링과 타이밍 벨트의 사이를 통과하는 티켓을, 티켓의 두께 또는 종류와는 무관하게 타이밍 벨트측으로 밀착시켜서 상,하 흔들림이나 요동없이 배출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배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패드 고정대의 고무 패드 장착구측에 인접하여 그 사이로 티켓이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제1 센서 쌍과, 상기 배출구측에 인접하여 제1 센서 쌍을 통과한 티켓이 그 사이로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제2 센서 쌍을 포함하고, 티켓이 통과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함으로써, 제어부가 티켓의 배출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배출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티켓이 센서부의 제1 센서 쌍과, 제2 센서 쌍을 차례로 정해진 시간에 통과하면, 정상적인 티켓 방출로서 모터를 정방향회전으로 제어하거나, 티켓이 센서부의 제1 센서 쌍를 통과한 후, 제2 센서 쌍을 지연된 시간으로 통과하면, 티켓의 중복 배출로서 인식하여 모터를 역회전시켜 티켓을 수납함으로 복귀시키거나, 티켓이 센서부의 제1 센서 쌍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로, 제2 센서 쌍을 통과하면, 티켓이 배출구를 통해서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인식하여 모터를 정회전시켜서 유입 티켓을 배출시키거나, 또는 티켓이 센서부의 제1 센서 쌍를 통과한 후, 모터가 정지되고, 티켓이 제2 센서 쌍에서 검출된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경보를 외부로 발산하여 구매자에게 티켓 발급을 알리며, 제2 센서 쌍으로부터 티켓이 배출되면, 정상적인 배출로서 인식하도록 티켓의 배출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배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수납함의 내측에 티켓 검출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티켓의 잔존 여부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5934A KR101752050B1 (ko) | 2015-04-01 | 2015-04-01 | 티켓 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5934A KR101752050B1 (ko) | 2015-04-01 | 2015-04-01 | 티켓 배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7904A KR20160117904A (ko) | 2016-10-11 |
KR101752050B1 true KR101752050B1 (ko) | 2017-06-28 |
Family
ID=5716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5934A KR101752050B1 (ko) | 2015-04-01 | 2015-04-01 | 티켓 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205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98565A (ja) * | 1999-01-11 | 2000-07-18 | Dainippon Printing Co Ltd | カ―ド供給装置 |
-
2015
- 2015-04-01 KR KR1020150045934A patent/KR1017520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98565A (ja) * | 1999-01-11 | 2000-07-18 | Dainippon Printing Co Ltd | カ―ド供給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7904A (ko) | 2016-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44838B2 (ja) | コインセレクタ | |
JPH0824434A (ja) | 遊技機等のコイン選別装置 | |
AU2406199A (en) | Banknote centering device for a validator | |
US7422518B2 (en) |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device | |
KR20110055336A (ko) | 푸쉬업 통로를 가진 코인 호퍼 | |
WO1996010808A2 (en) | Apparatus for handling value sheets | |
KR101752050B1 (ko) | 티켓 배출장치 | |
JP5066679B2 (ja) | ディスクの振分装置 | |
US20040069591A1 (en) | Token dispensing and banknote changing device | |
JP3679017B2 (ja) | 硬貨釣銭機 | |
KR101070588B1 (ko) | 2매 방출 방지기능을 갖는 지폐 카세트 | |
JP2007334434A5 (ko) | ||
JP2014135055A (ja) | ディスク選別装置およびディスク選別アセンブリ並びに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処理方法 | |
JP2010267213A (ja) | コインホッパのコインの出口構造 | |
JP5405074B2 (ja) | 遊技媒体計数機および遊技媒体計数システム | |
JP4685249B2 (ja) | 貨幣識別装置 | |
JP6405546B2 (ja) | 硬貨払出装置 | |
KR100791714B1 (ko) | 개별 시트 부재 출력 제어 방법 | |
JPH0797419B2 (ja) | 硬貨収納繰出装置 | |
JP6582254B2 (ja) | 硬貨払出装置 | |
GB2442226A (en) | Dispensing single sheets | |
KR20060019238A (ko) | 상품권(지폐) 및 티켓 배출기 | |
KR200287637Y1 (ko) | 자동판매기용 호퍼 장치 | |
JP3702581B2 (ja) | 硬貨識別装置 | |
KR200418840Y1 (ko) | 상품권 방출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