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324B1 - 엔드 캡 - Google Patents

엔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324B1
KR102296324B1 KR1020207036550A KR20207036550A KR102296324B1 KR 102296324 B1 KR102296324 B1 KR 102296324B1 KR 1020207036550 A KR1020207036550 A KR 1020207036550A KR 20207036550 A KR20207036550 A KR 20207036550A KR 102296324 B1 KR102296324 B1 KR 10229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ody
end cap
concave groove
brazing
braz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841A (ko
Inventor
겐고 무로후시
다카노리 간다
Original Assignee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4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02M55/005Joints; Sealings for high pressure conduits, e.g. connected to pump outlet or to injector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62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 F02M69/465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of fuel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84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welding or sold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레일 본체 단부에 엔드 캡의 삽입부를 삽입 배치하여 납재제 링에 의한 경납땜 고정을 행하는 경우에, 납재제 링을 적정하게 배치하여 경납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내압 부하 시에 레일 본체가 파손된다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얻는다. 레일 본체(2)의 단부 내측에 삽입 배치됨과 함께, 이 레일 본체(2)의 내주에 경납땜 고정되는 엔드 캡에 있어서, 한 쌍의 측면(11, 12) 및 저면(13)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납재제 링(15)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걸림 결합 오목 홈(10)이, 레일 본체(2)에의 삽입부(3)의 외주에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엔드 캡{END CAP}
본 발명은,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용의 퓨엘 레일의 단부에 경납땜(brazing)으로 고정 배치하는 엔드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특허문헌 1의 도 2 및 단락 번호 00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본체의 단부에 엔드 캡을 삽입 배치함과 함께 경납땜 고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퓨엘 레일의 레일 본체 양단에 엔드 캡을 경납땜 고정하는 일례로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 본체(30) 단부의 내면을 절삭 가공하여 단차부(31)를 마련하고, 이 단차부(31)에 납재제 링(32)을 삽입 배치한 후, 이 레일 본체(30)의 단부 내에 엔드 캡(33)의 삽입부(34)를 삽입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경납땜을 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37928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이 레일 본체 단부의 내면을 절삭 가공하여 단차부를 마련한 경우에는, 절삭 개소의 레일 본체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절삭 가공한 단차부가 응력 집중의 기점이 될 수 있으므로, 내압 부하 시에 파손되어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내압 부하 시에 파손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레일 본체를 후육으로 형성해야만 하여 비용이 비싸지게 된다. 또한, 레일 본체를 절삭 가공할 때에 절삭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절삭칩이 이물이 될 우려가 있음과 함께, 절삭칩에 의해 레일 본체에 흠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절삭 가공에 절삭유를 사용한 경우에는, 탈지 세정 등의 여분의 공정이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제조가 번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레일 본체 단부에 엔드 캡의 삽입부를 삽입 배치하여 납재제 링에 의한 경납땜 고정을 행하는 경우에, 납재제 링을 적정하게 배치하여 경납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내압 부하 시에 레일 본체가 파손된다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한 것이며, 레일 본체의 단부 내측에 삽입 배치됨과 함께, 이 레일 본체의 내주에 경납땜 고정되는 엔드 캡에 있어서, 한 쌍의 측면 및 저면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납재제 링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걸림 결합 오목 홈이, 레일 본체에의 삽입부의 외주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엔드 캡의 삽입부에 한 쌍의 측면 및 저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결합 오목 홈을 구비함으로써, 납재제 링을 걸림 결합 오목 홈 내에 배치함으로써 이 납재제 링이 엔드 캡으로부터 이탈 곤란한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엔드 캡의 삽입부를 레일 본체에 삽입 배치할 때에, 납재제 링이 위치 어긋나거나 엔드 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적정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레일 본체 내에 납재제 링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엔드 캡과 레일 본체의 경납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걸림 결합 오목 홈은, 그 단면 형상을 저면과 양측면으로 이루어지는 コ자형으로 하여, 납재제 링을 이탈 곤란하게 유지 가능하게 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삽입부의 선단면과 외주면 사이에는, 선단면측을 소직경으로 한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 벽면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삽입부에 테이퍼 벽면을 마련함으로써,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납재제 링을 삽입 관통하였을 때에, 납재제 링이 테이퍼 벽면에 의해 삽입 관통부의 외주에 삽입 관통 배치되기 쉽게 된다. 그 때문에, 납재제 링의 걸림 결합 오목 홈에의 배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기단의 외주는, 레일 본체의 외측에 돌출 배치됨과 함께 레일 본체의 단부면에 맞닿음 가능하게 하는 맞닿음 플랜지를 마련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맞닿음 플랜지를 마련함으로써, 엔드 캡의 레일 본체를 눕힌 상태에서 경납땜 작업을 행하였을 때에, 맞닿음 플랜지와 레일 본체의 단부면 사이까지 납재가 흘러나온다. 이에 의해, 외관으로부터 납재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레일 본체와 엔드 캡의 맞닿음 부분 전역이 경납땜된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이, 엔드 캡의 삽입부에 한 쌍의 측면 및 저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결합 오목 홈을 구비함으로써, 이 걸림 결합 오목 홈 내에 납재제 링을 배치하였을 때에, 납재제 링이 엔드 캡으로부터 이탈 곤란한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엔드 캡의 삽입부를 레일 본체에 삽입 배치할 때에, 납재제 링이 위치 어긋나거나 엔드 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적정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레일 본체 내에 납재제 링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엔드 캡과 레일 본체의 경납땜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레일 본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레일 본체에 납재제 링을 배치하기 위한 단차부를 절삭 가공으로 형성한 경우와 같이, 응력 집중을 야기하여 내압 부하 시에 파손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그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의 (a)는 그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의 (b) 그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실시예 1
본원의 제1 발명인 실시예 1에 대하여, 도 1에 있어서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참조 부호 1은 엔드 캡이며, 선단측을 레일 본체(2)에의 삽입부(3)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엔드 캡(1)의 기단(4) 외주에는 맞닿음 플랜지(5)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3)의 외경을 레일 본체(2)의 내경과 대략 동일 치수로 형성하고, 삽입부(3)를 레일 본체(2) 내에 삽입 배치하였을 때에, 레일 본체(2)의 내주면(6)에 삽입부(3)의 외주면(7)이 맞닿은 상태에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엔드 캡(1)의 삽입부(3)의 선단측에는, 걸림 결합 오목 홈(10)을 마련하고 있다. 이 걸림 결합 오목 홈(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11, 12)과 저면(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단면 형상을 コ자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삽입부(3)의 선단면(8)과 외주면(7) 사이에는, 선단면(8)측을 소직경으로 한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 벽면(14)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엔드 캡(1)의 삽입부(3)에 한 쌍의 측면(11, 12) 및 저면(13)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결합 오목 홈(10)을 구비함으로써, 걸림 결합 오목 홈(10) 내에 납재제 링(15)을 배치하였을 때에, 이 납재제 링(15)이 엔드 캡(1)으로부터 이탈 곤란한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엔드 캡(1)의 삽입부(3)를 레일 본체(2)에 삽입 배치할 때에, 납재제 링(15)이 위치 어긋나거나 엔드 캡(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적정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레일 본체(2) 내에 납재제 링(15)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엔드 캡(1)과 레일 본체(2)의 경납땜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레일 본체(2)에 절삭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레일 본체(2)에 납재제 링(15)을 배치하기 위한 단차부를 절삭 가공으로 형성한 경우와 같이, 응력 집중을 야기하여 내압 부하 시에 파손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걸림 결합 오목 홈(10)의 단면 형상을 コ자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납재제 링(15)을 걸림 결합 오목 홈(10) 내에 이탈 곤란한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한 엔드 캡(1)의 걸림 결합 오목 홈(10)에 납재제 링(15)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삽입부(3)의 선단에, 선단면(8)측을 소직경으로 한 테이퍼 벽면(14)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테이퍼 벽면(14)을 따라서 납재제 링(15)을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삽입부(3)의 외주를 통해 걸림 결합 오목 홈(10) 내에 원활하게 삽입 관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걸림 결합 오목 홈(10) 내에의 납재제 링(15)의 삽입 관통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한 엔드 캡(1)의 삽입부(3)를 레일 본체(2)에 삽입 배치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드 캡(1)의 기단(4) 외주에 마련한 맞닿음 플랜지(5)가 레일 본체(2)의 단부면(16)에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엔드 캡(1)을 형성 배치함으로써, 엔드 캡(1)의 레일 본체(2)를 눕힌 상태에서 경납땜 작업을 행함으로써,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녹은 납재가 흘러나온다. 이에 의해, 외관으로부터 납재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레일 본체(2)와 엔드 캡(1)의 맞닿음 부분 전역이 경납땜된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걸림 결합 오목 홈(10)을 엔드 캡(1)의 1개소에만 마련하였지만, 그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엔드 캡(1)에 걸림 결합 오목 홈(20, 21)을 2개소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엔드 캡(1)의 기단(4)측에 맞닿음 플랜지(5)를 마련하고 있지만, 그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4)측에 수나사 부품(22)을 일체 형성하거나,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4)측에 암나사 부품(23)을 일체 형성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엔드 캡
2 : 레일 본체
3 : 삽입부
4 : 기단
5 : 맞닿음 플랜지
7 : 외주면
8 : 선단면
10, 20, 21 : 걸림 결합 오목 홈
11, 12 : 측면
13 : 저면
14 : 테이퍼 벽면
15 : 납재제 링
16 : 단부면

Claims (3)

  1. 레일 본체의 단부 내측에 삽입 배치됨과 함께, 이 레일 본체의 내주에 경납땜 고정되는 엔드 캡에 있어서, 한 쌍의 측면 및 저면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납재제 링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걸림 결합 오목 홈이, 레일 본체에의 삽입부의 선단측의 외주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걸림 결합 오목 홈은, 그 단면 형상을 저면과 양측면으로 이루어지는 コ자형으로 하여, 납재제 링을 이탈 곤란하게 유지 가능하게 하며, 상기 걸림 결합 오목홈의 선단측 측면의 길이가 맞닿음 플랜지측 측면의 길이보다 짧고,
    레일 본체의 단부 내측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결합 오목 홈의 상기 양 측면 중 길이가 짧은 측면은 레일 본체의 내주면에 접하지 않고,
    상기 엔드 캡의 레일 본체에의 삽입부의 선단면은 레일 본체에 접하지 않고 레일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자유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 캡.
  2. 제1항에 있어서,
    삽입부의 선단면과 외주면 사이에는, 선단면측을 소직경으로 한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 벽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 캡.
  3. 제1항에 있어서,
    기단의 외주는, 레일 본체의 외측에 돌출 배치됨과 함께 레일 본체의 단부면에 맞닿음 가능하게 하는 맞닿음 플랜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 캡.
KR1020207036550A 2016-08-05 2017-06-26 엔드 캡 KR102296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4971A JP6850089B2 (ja) 2016-08-05 2016-08-05 エンドキャップ
JPJP-P-2016-154971 2016-08-05
KR1020197005941A KR20190029743A (ko) 2016-08-05 2017-06-26 엔드 캡
PCT/JP2017/023402 WO2018025534A1 (ja) 2016-08-05 2017-06-26 エンドキャップ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941A Division KR20190029743A (ko) 2016-08-05 2017-06-26 엔드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841A KR20200145841A (ko) 2020-12-30
KR102296324B1 true KR102296324B1 (ko) 2021-09-01

Family

ID=610736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550A KR102296324B1 (ko) 2016-08-05 2017-06-26 엔드 캡
KR1020197005941A KR20190029743A (ko) 2016-08-05 2017-06-26 엔드 캡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941A KR20190029743A (ko) 2016-08-05 2017-06-26 엔드 캡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08663B2 (ko)
EP (1) EP3477092A4 (ko)
JP (1) JP6850089B2 (ko)
KR (2) KR102296324B1 (ko)
CN (1) CN109642530B (ko)
MX (1) MX2019001491A (ko)
WO (1) WO2018025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8431B2 (ja) * 2016-08-25 2020-11-25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エンドキャップ
DE102018110342B4 (de) * 2018-04-30 2022-09-0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aftstoffverteilers
CN111425691B (zh) * 2020-04-20 2021-12-14 神华国能集团有限公司 管路密封装置及管路系统
US20220307454A1 (en) * 2021-03-26 2022-09-29 Robert Bosch Gmbh Fitting for a Fluid Delivery System
CN114893271B (zh) * 2022-06-07 2024-04-19 湖州通源机械零部件有限公司 一种插入式挺柱焊接结构的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4768A (ja) 2010-01-15 2011-07-28 Maruyasu Industries Co Ltd 直噴エンジン用高圧燃料デリバリ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007796A1 (en) * 2012-02-02 2015-01-0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Fuel distributor bar
JP2016020678A (ja) 2014-07-16 2016-02-0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ガソリン直噴エンジン用燃料レールの端末シール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5685A (en) * 1970-09-08 1972-07-11 Amvit Pipe stopper for bell and spigot type of tile
JPS5652994Y2 (ko) * 1973-04-23 1981-12-10
US4269230A (en) * 1979-02-26 1981-05-26 Genova, Inc. Closure member
US4342419A (en) * 1980-10-31 1982-08-03 Beckman Instruments, Inc. Safety cover for centrifuge bucket
US4344460A (en) * 1980-11-28 1982-08-17 Advance Valve Installations Apparatus for plugging a pressure piping system
JPS6059427B2 (ja) * 1981-10-15 1985-12-2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燃料噴射装置におけるデリバリパイプ
US4750525A (en) * 1985-04-15 1988-06-14 Vaughan Daniel J End closure for flexible plastic tubes
US5605241A (en) * 1995-01-13 1997-02-25 Imperioli; Rosemarie V. Hydraulically controlled container discharge lid to prevent spillage
JPH09144624A (ja) * 1995-11-20 1997-06-03 Toyoda Gosei Co Ltd 燃料圧力脈動減衰装置
US5806566A (en) * 1997-07-18 1998-09-15 Taylor; James R. Storm drainage conduit plug and sealing band therefor
US20070040375A1 (en) * 2005-08-17 2007-02-22 Fierst Raymond V Locating appliance for a non-metallic piping member
US8413689B1 (en) * 2011-12-16 2013-04-09 James R. Taylor Storm drainage conduit plug with a sealing band
JP2016037928A (ja) 2014-08-08 2016-03-22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ガソリン直噴エンジン用燃料レールの端末シール構造
KR20160069534A (ko) * 2014-12-08 2016-06-1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고강도 조립 구조를 갖는 연료레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4768A (ja) 2010-01-15 2011-07-28 Maruyasu Industries Co Ltd 直噴エンジン用高圧燃料デリバリ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007796A1 (en) * 2012-02-02 2015-01-0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Fuel distributor bar
JP2016020678A (ja) 2014-07-16 2016-02-0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ガソリン直噴エンジン用燃料レールの端末シー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841A (ko) 2020-12-30
EP3477092A1 (en) 2019-05-01
JP2018021539A (ja) 2018-02-08
EP3477092A4 (en) 2020-02-26
US10808663B2 (en) 2020-10-20
JP6850089B2 (ja) 2021-03-31
US20190264643A1 (en) 2019-08-29
CN109642530A (zh) 2019-04-16
CN109642530B (zh) 2021-04-27
KR20190029743A (ko) 2019-03-20
WO2018025534A1 (ja) 2018-02-08
MX2019001491A (es)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324B1 (ko) 엔드 캡
US8038486B1 (en) Connector
WO2011158750A1 (ja) 環状弾性ガスケット
US951540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ess-fitted rectangular wire terminal
US8696210B2 (en) Two-piece retainer and two-piece roller bearing
TW200424448A (en) Split type connecting rod
CN109891135B (zh) 剖分式密封圈压入用工具
JP6744089B2 (ja) ガソリン直噴レール
JP5806211B2 (ja) グロープラグ
JP6517129B2 (ja) 連結具、及び、セグメントの連結方法
KR100621965B1 (ko) 코킹에 의한 플레이트들의 결합 방법 및 장치
EP3205909B1 (en) Oil ring
KR20160069534A (ko) 고강도 조립 구조를 갖는 연료레일
JP2015221624A (ja) フィラーカバー
JP6853129B2 (ja) インジェクターホルダ
US11982379B2 (en) Fuel piping, fuel piping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uel piping
JP5719732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レベルゲージ差込孔の閉塞プラグ
US20170173660A1 (en) Metal component sturcture and metal component swaging method
WO2020121871A1 (ja) 管継手及び管継手用芯材
JP2011137525A (ja) 管継手用ロックリング、管継手、及び、管継手用ロックリングの製造方法
WO2020158076A1 (ja) ガソリン直噴レール
JP6447452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6188565B2 (ja) オイルレベルゲージ挿入部構造
JPH0550163A (ja) 嵌合部材の軸部材への固定方法および塑性加工工具
JP2005140304A (ja) インコ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