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352B1 -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5352B1 KR102295352B1 KR1020200019001A KR20200019001A KR102295352B1 KR 102295352 B1 KR102295352 B1 KR 102295352B1 KR 1020200019001 A KR1020200019001 A KR 1020200019001A KR 20200019001 A KR20200019001 A KR 20200019001A KR 102295352 B1 KR102295352 B1 KR 1022953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
- block
- press
- concrete
- rear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0—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사이에 몰탈을 충전하여 블록을 조적함으로써 줄눈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는 일반 블록과 다르게 블록과 블록 사이에 보이지 않는 공간을 마련하고, 보이지 않는 공간에 몰탈을 충전 함으로써 외관상 줄눈이 생기지 않도록 블록을 조적할 수 있는 무줄눈 블록 및 이러한 블록을 프레스 성형 기법을 통해 제조 할 수 있는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무줄눈 시공을 위해 출시된 종래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스 성형 방식을 통해 블록 내부에 몰탈을 충전하기 위한 홈을 보유하면서도 몰탈 충전 홈을 감싸는 지지턱의 강성을 확보하고, 이 뿐만 아니라 뒤로 넘어짐 현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조적조 보강 자재들을 몰탈 충분 부분에 삽입할 수 있는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줄눈 없이 시공이 가능한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블록사이에 몰탈을 충전하여 블록을 조적함으로써 줄눈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는 일반 블록과 다르게, 블록과 블록 사이에 보이지 않는 공간을 마련하고 보이지 않는 공간에 몰탈을 충전 함으로써 외관상 줄눈이 생기지 않도록 블록을 조적할 수 있는 무줄눈 블록 및 이러한 블록을 프레스 성형 기법을 통해 제조 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블록을 쌓아 벽면을 형성하는 조적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쌓기 방식이 존재한다.
이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직육면체의 블록과 블록 사이를 몰탈(mortar)로 충전하여 석재들을 결합시키고, 각 블록과 몰탈 사이의 접합부를 채우는 줄눈 시공을 통해 내구성을 보강하는 시공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줄눈은 피가열물로서 가장 침식 받기 쉬운 부분일 뿐만 아니라 줄눈이 침해 받아 벽돌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안전 측면에 있어서는 줄눈의 폭은 가능한 얇거나 없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외관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줄눈 없이 시공된다면 석재 재질로 시공한 것과 같은 심미적인 효과나 고급스러운 느낌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에 무줄눈 시공이 더 선호되는 경향이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는 경우 몰탈을 이용하여 줄눈 없이 시공하기는 불가능하고, 몰탈 대신 접착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조적 하는 무줄눈 시공 방식은 존재하나 일반적인 줄눈 시공 방식에 비해 시공이 어렵고 및 내구성 문제가 존재하는 등의 문제로 시공을 기피하는 상황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무줄눈 시공을 목적으로 한 콘크리트 블록이 몇 가지 종류로 출시되었으나, 이들은 모두 사출방식으로 제작되어 몰탈 충전 홈을 둘러싼 지지턱 부분의 강성이 보장되지 않아 해당 부분이 쉽게 깨지는 등의 고질적인 품질 측면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무줄눈 시공을 목적으로 한 콘크리트 블록은 사출 방식으로 제작되어 코너(corner) 부분을 시공할 수 있는 블록을 별도로 생산할 수 없는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전면과 후면의 지지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조적조 보강 자재들을 몰탈 부분에 삽입하여 외벽에 고정하거나 강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전면의 지지턱만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에는 뒷면에 지지하는 부분이 없어 몰탈 부분이 블록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무른 관계로 시공 시 또는 시공 후 무른 몰탈 부분으로 블록이 넘어가는 일명 넘어짐 현상이 일어나 시공 자체가 어렵고 시공하더라도 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들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무줄눈 시공을 위해 출시된 종래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스 성형 방식을 통해 블록 내부에 몰탈을 충전하기 위한 홈을 보유하면서도 몰탈 충전 홈을 감싸는 지지턱의 강성을 확보하고, 이 뿐만 아니라 뒤로 넘어짐 현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조적조 보강 자재들을 몰탈 충분 부분에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후면 지지 돌기를 포함한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은 프레스 성형으로 제작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외부에 노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정한 두께를 가진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전면 하단부와 상기 전면 하단부와 동일한 길이와 두께로 형성된 전면 지지턱을 포함하는 블록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동일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후면 하단부와 상기 전면 지지턱과 동일한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블록 후면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U자 형태의 측면홈을 포함하는 블록 측면부; 상기 블록 전면부 및 후면부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된 직사각 형태의 블록 하단부;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 상단에 위치한 상기 전면 지지턱과 후면 지지 돌기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소정의 깊이를 구비하고 형성되며 접착용 몰탈이 충전되는 상단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 후면부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50mm~180mm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며,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의 길이의 2/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하단면 넓이가 돌기 상단면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상기 돌기 하단면에서 돌기 상단면으로 이어지는 각 돌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돌기 측면이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 측면은, 돌기 전면, 돌기 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 후면은 상기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돌기 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상기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 상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바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 하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안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의 길이가 40~80mm, 돌기 하단면의 길이가 64~104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의 양 끝단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의 길이가 30~50mm, 상기 후면 지지 돌기 하단면의 길이가 42~62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 측면부 중 일 측면이 U자 형태의 측면홈 대신 상기 전면 지지턱과 동일한 두께의 측면 지지턱을 가지고, 상기 측면 지지턱과 전면 지지턱이 ㄱ자 형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은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이용하여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 내는 단계;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상기 긁어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상기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주는 단계; 상기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고, 상기 긁어 내는 단계는,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판형 몰드 내에 11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한쪽 측면에만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고, 상기 긁어 내는 단계는,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판형 몰드 내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긁어냄 틀은 상기 판형 몰드 내의 긁어짐 부분의 콘크리트를 긁어내고 남은 콘크리트는 다시 테두리 부분에 모아지도록 일정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금형은 상기 테두리 부분에 모아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프레스 성형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스 성형 방식을 통하여 콘크리트 벽돌을 제조함으로써 몰탈 충전 홈을 감싸는 지지턱 및 지지돌기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사출 방식으로는 제조할 수 없는 코너 부분에 사용 가능한 'ㄱ'자 형태의 지지턱을 성형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를 성형할 수 있다.
이렇게 강성이 확보된 성형된 후면 지지 돌기를 이용하여 조적조 보강 자재를 몰탈 충분 부분에 삽입 가능하면서도 넘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사출형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 시 발생하는 뒤로 넘어짐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종래 사출형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의 코너 부분 시공 시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면 지지 돌기의 일 실시 예를 더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의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의 돌기 상단면과 돌기 하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조적할 시 블록 측면부의 u자 홈에 몰탈을 충전하여 접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한 구조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 하기 전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한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 내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주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형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종래 사출형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의 코너 부분 시공 시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면 지지 돌기의 일 실시 예를 더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의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의 돌기 상단면과 돌기 하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조적할 시 블록 측면부의 u자 홈에 몰탈을 충전하여 접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한 구조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 하기 전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한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 내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주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형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한정하고 있는 수치는 블록 하단면의 가로 길이 500mm, 세로 길이 90mm, 높이 70mm인 콘크리트 블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크기가 다른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크기와 비례하여 한정된 수치도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사출형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 시 발생하는 뒤로 넘어짐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줄눈 시공을 위하여 종래에 존재하는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해당 블록을 여러층 쌓아 올리면, 쌓아 올릴수록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약한 몰탈 충전 부분이 눌려 몰탈 충전 부분 방향으로 넘어진 현상이 발생하여 조적된 구조의 강건성이 매우 취약하게 된다.
도 2은 종래 사출형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의 코너 부분 시공 시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사출형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은 사출 방식의 한계로 인하여 사선 또는 측면 부분의 지지대를 성형할 수 없어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는 블록의 일 단을 코너 부분에 맞도록 사선으로 절단하고 절단면을 맞붙여 시공하여 왔다.
그러나 이렇게 블록을 사선으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금 또는 미세한 균열이 생겨 전체 강성 및 내구성이 약화되고, 절단면이 맞붙은 자리에는 틈이 발생하여 물이나 얼음으로 인해 틈이 더 벌어서 전체 구조의 약화를 필연적으로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은 블록 전면부(100), 블록 후면부(200), 블록 측면부(300), 블록 하단부(400), 상단홈(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은 양 측면에 U자 홈이 존재하는 일반형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일 수 있다.
블록 전면부(100)는 외부에 노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정한 두께를 가진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전면 하단부(110)와 전면 하단부(110)와 동일한 길이와 두께로 형성된 전면 지지턱(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지지턱(120)은 전면 하단부(110)의 상단에 위치하고 동일한 두께로 하나의 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지지턱(120)은 1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블록 후면부(200)는 블록 전면부와 동일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후면 하단부(210)와 전면 지지턱(120)과 동일한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210)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22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지지 돌기(220)는 1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은 3개의 후면 지지 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라고 무줄눈 블록 조적 시 후면에 조적 되는 블록을 지지할 수 있으며, 후면 지지 돌기(220)사이에 조적조 보강 자재가 들어갈 수 있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라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적조 보강 자재란 내단열 방식의 조적 시공 시 골조 또는 콘크리트 벽에 고정하여 콘크리트 블록이 조적된 구조인 조적조를 연결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철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적조 보강 자재는 사각고리와 블록 메쉬를 연결하는 연결판 또는 하중 분상을 위한 철제 또는 아연 앵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 시공 시 고정력 및 하중 분상, 강성 향상 들을 위해 몰탈 접합부에 삽입할 수 있는 자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각 고리는 고정철물과 연결판을 연결하여 수직하중의 분산, 조적조의 수평유지를 할 수 있는 보강 자재를 의미하며, 고정 철물이란 콘크리트 벽체 또는 단열재가 설치된 벽에 고정하여, 조적조에 연결할 수 있는 철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메쉬란 콘크리트 블록의 몰탈 접합부에 매몰되어 고정 철물과 연결판을 연결할 수 있는 철선 또는 아연 강선을 이용하여 격자 구조로 형성된 보강자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지지 돌기(220)는 후면 하단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50mm~180mm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무줄눈 시공 시 콘크리트 블록을 깨지 않으면서도 콘크리트 블록 내의 몰탈이 충전된 접합부에 적조 보강 자재를 삽입하여 보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220) 사이에 조적조 보강 자재들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 후면 지지 돌기(220) 사이의 간격은 삽입되는 가장 작은 자재인 연결판(가로 50mm)의 크기보다 크고, DMR??S 앵글의 최대 크기인 180mm, DMR??S 앵글의 최대 가로 길이인 200mm보다 크거나 같게 하여 앵글 삽입에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실험 결과에 따르면 콘크리트 조적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00mm의 길이를 가지는 콘크리트 블록의 사이즈로 본 발명의 무줄눈 블록을 생성하는 경우 후면 지지 돌기(220) 사이의 간격이 180mm보다 간격이 클 경우에는 후면 지지 돌기(220)의 크기가 한계 이상으로 작아져 상대적으로 지지력 및 강성 저하가 생길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50mm~180mm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블록 측면부(300)는 콘크리트 블록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U자 형태의 측면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자 형태의 측면홈의 너비는 40mm일 수 있다.
블록 하단부(400)는 블록 전면부 및 블록 후면부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된 직사각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하단부(400)는 가로 500mm, 세로 90mm의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단홈(500)은 콘크리트 블록 상단에 위치한 전면 지지턱과 후면 지지 돌기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소정의 깊이를 구비하고 형성되며 접착용 몰탈이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깊이란 전면 지지턱(120)과 후면 지지 돌기(22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깊게 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단홈(500)은 콘크리트 블록 상단에 전면 지지턱(120)과 후면 지지 돌기(220)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대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면 지지 돌기의 일 실시 예를 더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220)는 후면 하단부 상단면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222, 223)하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하나(221)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222, 223)는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221)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222, 223)의 경우는 조적조 구성 시 좌우 측에 조적 되는 무줄눈 블록의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222, 223)와 맞닿아 연결되어 충분한 지지력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222, 223)는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221)의 길이의 2/3일 수 있다.
후면 지지 돌기는 원활한 조적조 보강 자재 삽입의 측면에 있어서는 길이가 짧을수록 좋으나, 일정 이상 짧아지는 경우 지지력 및 강성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실험 결과에 따라 원활한 조적조 보강 자재 삽입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지지력 및 강성 확보를 위하여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222, 223)와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221)의 길이는 최소한 2:3의 비율로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제2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은 코너 부분을 마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측면부(300) 중 일 측면이 U자 형태의 측면홈 대신 전면 지지턱과 동일한 두께의 측면 지지턱(310)을 가지고, 측면 지지턱(310)과 전면 지지턱(110)이 ㄱ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측면 지지턱(310)과 전면 지지턱(110)이 ㄱ자 형태로 연결되어 코너 부분을 틈 없이 마감할 수 있어 조적조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의 돌기 상단면과 돌기 하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하단면(231) 넓이가 돌기 상단면(232)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 상단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221)는 후면 지지 돌기의 강성 확보 및 직각 일 때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의 방지를 위하여 돌기 측면을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돌기 측면을 곡면 도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도록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232)의 길이가 40~80mm, 돌기 하단면(231)의 길이가 64~104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 상단의 양 끝단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222, 223)는 후면 지지 돌기의 강성 확보 및 직각 일 때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의 방지를 위하여 돌기 측면을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돌기 측면을 곡면 도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도록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의 길이가 30~50mm, 돌기 하단면(231)의 길이가 42~62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지지 돌기의 돌기 하단면(231)은 두께가 15mm, 돌기 상단면(232)은 두께가 12mm 일 수 있다.
또한 돌기 하단(231)면에서 돌기 상단면(232)으로 이어지는 각 돌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돌기 측면이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룰 수 있으며,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의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르면 각 돌기 측면은 돌기 전면, 돌기 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돌기 후면은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직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돌기 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돌기 상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바깥을 향하도록 형성(241)되며, 돌기 하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안을 향하도록 형성(242)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이 조적된 조적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과 같이 무줄눈 벽돌을 엇갈리게 쌓고 상단홈에 몰탈을 충전하여 다수의 무줄눈 블록을 넘어짐 현상 없이 조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조적할 시 블록 측면부의 U자 홈에 몰탈을 충전하여 접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줄눈 벽돌을 엇갈리게 쌓고 상단홈 U자 형태의 측면홈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 몰탈을 충전하여 다수의 무줄눈 블록을 넘어짐 현상 없이 조적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한 구조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이 조적된 조적조는 엇갈리며 쌓아질 수 있으며 상단홈 및 U자 형태의 측면홈에 몰탈이 충전되어 조적되고 후면 지지돌기는 몰탈 부분이 눌려 뒤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한다(S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할 수 있다.
여기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는 도 12와 같이 소정의 깊이를 가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 하기 전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직육면체 중 가로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양 측면 중 하나 또는 양 측면 모두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과 같이 다수의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한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직육면체 중 가로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양 측면 중 하나 에만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몰드와 양 측면 모두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몰드가 나타나 있으며, 도 13과 같이 다수의 몰드가 나란히 배치되어 콘크리트를 투입될 수 있다.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 낸다(S20).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 내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4와 같이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가 투입된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낼 수 있다
여기서 긁어짐 부분은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콘크리트로 가득 채워진 판형 몰드의 내부에 있어 지지턱 및 지지돌기 성형을 위해 남겨놓은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콘크리트를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는 경우에는,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판형 몰드 내에 11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낼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콘크리트를 한쪽 측면에만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는 경우에는,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판형 몰드 내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낼 수 있다.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준다(S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긁어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주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라 긁어냄 틀로 긁어짐 부분을 긁어내면 깔끔하게 모두 긁어지지 아니하고 불가피하게 남은 콘크리트 찌꺼기들이 남게 되는바, 상대적으로 강성이 필요한 지지턱 및 지지 돌기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지턱 및 지지 돌기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테두리 부분에 모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긁어냄 틀은 판형 몰드 내의 긁어짐 부분의 콘크리트를 긁어내고 남은 콘크리트는 다시 테두리 부분에 모아지도록 일정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한다(S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금형을 이용하여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형은 테두리 부분에 모아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프레스 성형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6과 같이 테두리 부분을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금형을 이용해 지표면 방향으로 찍어 눌러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프레스 성형할 수 있다.
금형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한다(S40).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형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7과 같이 금형를 탈형하여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한번에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 프레스 성형으로 제작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외부에 노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정한 두께를 가진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전면 하단부와 상기 전면 하단부와 동일한 길이와 두께로 형성된 전면 지지턱을 포함하는 블록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동일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후면 하단부와 상기 전면 지지턱과 동일한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블록 후면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U자 형태의 측면홈을 포함하는 블록 측면부;
상기 블록 전면부 및 후면부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된 직사각 형태의 블록 하단부;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 상단에 위치한 상기 전면 지지턱과 후면 지지 돌기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소정의 깊이를 구비하고 형성되며 접착용 몰탈이 충전되는 상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후면부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50mm~180mm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며,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하나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의 길이의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하단면 넓이가 돌기 상단면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상기 돌기 하단면에서 돌기 상단면으로 이어지는 각 돌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돌기 측면이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측면은,
돌기 전면, 돌기 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 후면은 상기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돌기 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상기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상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바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 하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안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의 길이가 40~80mm, 돌기 하단면의 길이가 64~1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의 양 끝단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의 길이가 30~50mm, 상기 후면 지지 돌기 하단면의 길이가 42~6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측면부 중 일 측면이 U자 형태의 측면홈 대신 상기 전면 지지턱과 동일한 두께의 측면 지지턱을 가지고, 상기 측면 지지턱과 전면 지지턱이 ㄱ자 형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이용하여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 내는 단계;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상기 긁어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상기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주는 단계;
상기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고,
상기 긁어 내는 단계는,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판형 몰드 내에 11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한쪽 측면에만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고,
상기 긁어 내는 단계는,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판형 몰드 내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9001A KR102295352B1 (ko) | 2020-02-17 | 2020-02-17 |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9001A KR102295352B1 (ko) | 2020-02-17 | 2020-02-17 |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4363A KR20210104363A (ko) | 2021-08-25 |
KR102295352B1 true KR102295352B1 (ko) | 2021-08-30 |
Family
ID=7749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9001A KR102295352B1 (ko) | 2020-02-17 | 2020-02-17 |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535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71581B2 (ja) | 1989-02-27 | 1998-07-02 | 瀧田 智三郎 | 嵌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構築方法 |
KR200415090Y1 (ko) | 2006-02-02 | 2006-04-27 | (주)지플러스 | 무줄눈 벽면 일체화 스플릿 블록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6275A (ja) * | 1997-12-03 | 1999-06-22 | Katsuya Hiraoka | 建築物の施工方法とコンクリート製品 |
KR20180138315A (ko) * | 2017-06-21 | 2018-12-31 | 주식회사 삼정비알 | 줄눈없이 시공이 가능한 점토벽돌 |
-
2020
- 2020-02-17 KR KR1020200019001A patent/KR1022953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71581B2 (ja) | 1989-02-27 | 1998-07-02 | 瀧田 智三郎 | 嵌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構築方法 |
KR200415090Y1 (ko) | 2006-02-02 | 2006-04-27 | (주)지플러스 | 무줄눈 벽면 일체화 스플릿 블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4363A (ko) | 2021-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7134B1 (ko) | 건축 블록, 벽 구조물 및 바닥 또는 벽의 구성 방법 | |
CA2700908C (en) | Retaining wall block | |
US6464199B1 (en) | Molds for producing masonry units with roughened surface | |
US7100886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a masonry block with a roughened surface | |
US20080307740A1 (en) | Mold bo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lock | |
US20060145050A1 (en) | Multi-block mold and system | |
US6978580B1 (en) | Solid core concrete block and method of making a concrete block retaining wall | |
KR102295352B1 (ko) |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 |
JP2001503114A (ja) | 分水建築ブロック | |
JP2024029165A (ja) | 補助部材、及び、施工方法 | |
CN204825542U (zh) | 多功能道路广场砖 | |
US3427774A (en) | Grooved brick construction and composite thereof | |
CN205444643U (zh) | 建筑垃圾再生的四母圆头十字形带孔砌块及其砌体 | |
CN212176323U (zh) | 一种混凝土支撑垫块 | |
CN205530927U (zh) | 建筑垃圾再生的四母圆头带孔砌块及其砌体 | |
CN205475988U (zh) | 一公一母圆头砌块及砌块砌筑的砌体 | |
CN212336494U (zh) | 一种可砌筑形成结构牢靠墙体的实心砖块 | |
EP2781654B1 (en) | Paver block | |
JP3240771U (ja) | 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CN212763987U (zh) | 一种基于免烧砖机制作的植草砖 | |
CN217325448U (zh) | 一种具有高效夹紧功能的砌体侧模 | |
JP2007070876A (ja) | かさ木ブロック | |
CN212507018U (zh) | 一种混凝土砖 | |
US6991206B1 (en) | Concrete block mold with improved stripping ability | |
CN205476007U (zh) | 两榫头两榫槽砌块及砌块砌筑的砌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