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298B1 -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 - Google Patents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298B1
KR102295298B1 KR1020210016008A KR20210016008A KR102295298B1 KR 102295298 B1 KR102295298 B1 KR 102295298B1 KR 1020210016008 A KR1020210016008 A KR 1020210016008A KR 20210016008 A KR20210016008 A KR 20210016008A KR 102295298 B1 KR102295298 B1 KR 102295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base plate
protrusion
excavat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김주환
박기원
이선홍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신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수관의 사이에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가 채워지는 공간부를 마련하는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가 구비된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마련하는 구조체 마련 단계;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단계; 서로 결합된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하수관의 내부에 배치하는 배치 단계;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 단계; 및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된 플레이트홀을 통해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충진시키는 충진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PIPE REHABILITATING METHOD USING STRUCTURE FOR HARDENING A REHABILITATING PIPE}
본 발명은, 하수관 갱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이나 도로를 굴착하지 않고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을 하수관 안에서 직접 갱생(보수 및 보강 포함)할 수 있는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이 노후되면 하수관에는 관의 일부분이 균열되거나 파손, 부식, 마모또는 이음부가 이탈하는 등의 구조적인 결함이 발생된다.
이러한 하수관의 결함 부위는 각종 하수 및/또는 오수가 지반으로 유출되는 통로가 되어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나아가 지반 침하를 야기시킨다.
또한, 하수관내의 국부적인 지반 침하 구간에는 오물이 퇴적되어 악취발생의 원인이 되며, 나아가 하수관 내의 하수 및/또는 오수의 흐름이 늦어지거나 정지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하수관의 교체 또는 보수 및 보강이 요구된다.
노후 또는 불량 하수관의 갱생공법은 교체공법(굴착식)과 비굴착식 보강 및 보수 공법으로 구별될 수 있다.
굴착식 교체공법은 지반 또는 도로를 굴착한 후 관 자체를 교체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공사 구간의 교통을 전면 차단하여야 하므로 장기간 교통체증이 불가피하고, 도로 굴착에 따른 분진과 소음의 문제가 있으며, 하수관을 보수하기 위한 가 시설물설치 등 간접공사가 필요하므로 간접공사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고, 하수 유출에 따른 지반침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공사 완료 후 지반의 재정비와 굴착부위 도로의 재포장이 필요하여 비용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지반이나 도로를 굴착하지 않고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을 하수관 안에서 직접 교체 및 갱생(보수 및 보강 포함)하는 비굴착식 교체 및 갱생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구체적으로 지반을 굴착하지 않고 하수관을 신속하게 교체 및 갱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수관에 연결되는 가지관의 접합부도 연속적으로 배수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과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16660호((주)한양이엔씨) 2020. 05. 2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굴착식 방법으로 노후 또는 파손된 하수관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교체 또는 갱생(보수 및 보강 포함)할 수 있는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신규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개발하기에 이르렀으며, 이 구조체를 적용한 비굴착 하수관 갱생 공법을 'S&P 공법'이라 명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수관의 사이에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가 채워지는 공간부를 마련하는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가 구비된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마련하는 구조체 마련 단계; 상기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단계; 서로 결합된 상기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하수관의 내부에 배치하는 배치 단계; 상기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 단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된 플레이트홀을 통해 상기 상기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상기 충진재를 충진시키는 충진 단계를 포함하는 하수관 갱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는 구조체 연결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체 연결부는, 복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바디; 상기 연결 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서로 인접하는 일측부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1 연결 플랜지; 및 상기 연결 바디의 타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서로 인접하는 타측부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2 연결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단계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튜브 부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를 고정 부재로 결합시켜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충진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 중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부터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는, 상기 하수관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의 내벽에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되는 확장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와이어 부재가 결합되는 바디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는, 상기 하수관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하수관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부에는 제1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하부에는 제2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제1 공간부보다 공간이 넓어 상기 제1 공간부를 통해 삽입되는 연결바는 상기 제2 공간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하수관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에 지지되는 제1 평면부; 상기 제2 돌출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1 바디의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까지 마련되는 제1 내측 라운딩부; 및 상기 제1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1 외측 라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하수관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디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에 지지되는 제2 평면부; 상기 제1 수직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되는 제2 수직부; 상기 제1 내측 라운딩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까지 마련되는 제2 내측 라운딩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2 외측 라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부는 상기 제1 수직부와 상기 제2 수직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제1 내측 라운딩부와 상기 제2 내측 라운딩부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는 투명하게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에 채워지는 상기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상기 충진재의 충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충진 단계의 후에 상기 플레이트홀에 마감캡을 결합시켜 마감하는 마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굴착식 방법으로 노후 또는 파손된 하수관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교체 또는 갱생(보수 및 보강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가 투명하게 마련되어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하수의 흐름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물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에 적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플레이트홀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각극 형성 돌출부에 연결바가 삽입된 후 고정 부재로 한 쌍의 간극 형성 돌출부를 결합시킨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서로 결합시켜 하수관의 내부에 배치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구조체 연결부로 서로 결합시킨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가 하수관의 내부에 배치된 후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 시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의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 예를 이용하여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충진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 중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부터 순차적으로 충진이 이루어지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구조체 연결부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의해 구조체 연결부가 연결된 것과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체결 부재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몰탈 충전 시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에 적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플레이트홀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각극 형성 돌출부에 연결바가 삽입된 후 고정 부재로 한 쌍의 간극 형성 돌출부를 결합시킨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서로 결합시켜 하수관의 내부에 배치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구조체 연결부로 서로 결합시킨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가 하수관의 내부에 배치된 후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 시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의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실시 예를 이용하여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충진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 중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부터 순차적으로 충진이 이루어지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나아가,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구조체 연결부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의해 구조체 연결부가 연결된 것과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체결 부재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몰탈 충전 시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하수관(10)의 사이에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가 채워지는 공간부를 마련하는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가 구비된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10) 갱생 구조체를 마련하는 구조체 마련 단계(S10)와,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10) 갱생 구조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단계(S20)와, 서로 결합된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10) 갱생 구조체를 하수관(10)의 내부에 배치하는 배치 단계(S30)와,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10) 갱생 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 단계(S40)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마련된 플레이트홀(110)을 통해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충진시키는 충진 단계(S50)를 포함한다.
구조체 마련 단계(S10)는,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마련된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200a,200b,200c,200d,200e)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부(300)가 구비된 구조체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노후 또는 파손된 하수관(10)에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 시 충진재가 새어 나가지 않고 하수관(10)에 경화될 수 있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 중 선택된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통로로 제공되는 플레이트홀(11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홀(110)은 작업 완료 후에 마감캡(4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하수관(10)이 소구경인 경우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충진재의 충진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도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재활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G-PET는 10 내지 30%, A-PET는 70 내지 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폴리염화 비닐(Polyvinyl chloride, PVC)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구조적 보강을 위해 유리 섬유, 아라미드(aramid)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사출로 성형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는 이중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10)의 내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하수관(10)의 내벽 사이에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 공간인 공간부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인 하수관(10)으로 돌출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마련되는 베이스 바디(210)와, 베이스 바디(21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하수관(10)의 내벽에 지지되며 베이스 바디(210)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되는 확장 평면부(220)를 포함한다.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의 베이스 바디(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이 라운딩지게 마련될 수 있고, 베이스 바디(210)에는 바디홀(21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바디홀(211)에는 고정 부재(700) 예를 들어 와이어가 결합되어 각각의 베이스 바디(210)를 연결할 수 있고, 베이스 바디(210)의 주변에 배치되거나 바디홀(211)에 삽입되는 연결바(800)를 고정 부재(700)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베이스 바디(210)의 외벽이 라운딩지게 마련되어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 시 라운딩 진 영역이 완충 역할 즉 충진재의 흐름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베이스 바디(2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210)는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의 확장 평면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210)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어 하수관(10)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마련되며 하수관(10)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230)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마련되어 하수관(10)으로 돌출되며 제1 돌출부(230)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돌출부(240)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230)와 제2 돌출부(240)의 상부에는 제1 공간부가 마련되고, 제1 돌출부(230)와 제2 돌출부(240)의 하부에는 제2 공간부가 마련되며, 제2 공간부는 제1 공간부보다 공간이 넓어 제1 공간부를 통해 삽입되는 연결바(800)는 제2 공간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바(800)를 제1 공간부를 통해 제2 공간부로 삽입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700)로 한 쌍의 이격된 제1 돌출부(230)와 제2 돌출부(240)를 연결하면 되므로 보강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제1 공간부는 도 6에서 L1으로 표시된 공간이고, 제2 공간부는 L2로 표시된 공간이다.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a)의 제1 돌출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마련되는 제1 바디(231)와, 제1 바디(231)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하수관(10)의 내벽에 지지되는 제1 평면부(232)와, 제2 돌출부(240)와 마주보는 제1 바디(231)의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수직부(233)와, 제1 수직부(233)의 하단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까지 마련되는 제1 내측 라운딩부(234)와, 제1 바디(231)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1 외측 라운딩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간극 형성 (200a)의 제2 돌출부(24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마련되며 제1 바디(231)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바디(241)와, 제2 바디(241)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하수관(10)에 지지되는 제2 평면부(242)와, 제1 수직부(233)와 마주보는 영역의 제2 바디(241)에 마련되는 제2 수직부(243)와, 제1 내측 라운딩부(234)와 마주보는 영역의 제2 바디(241)에 마련되며 제2 수직부(243)의 하단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까지 마련되는 제2 내측 라운딩부(244)와, 제2 바디(241)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2 외측 라운딩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공간부는 제1 수직부(233)와 제2 수직부(243)의 사이에 마련되고, 제2 공간부는 제1 내측 라운딩부(234)와 제2 내측 라운딩부(244)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외측 라운딩부(235)와 제2 외측 라운딩부(245)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 시 라운딩 진 영역이 완충 역할 즉 충진재의 흐름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제1 바디(231)와 제2 바디(24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b,200c,200d,200e)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6의 (d)에 표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기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표면부 즉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가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반대측 표면부에 마련되어 갱상 작업 완료 후에 이 반대측 표면부에 접촉되는 하수의 흐름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물때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돌기부(300)는 발수 성능을 보여 하수의 흐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돌기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고,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돌기부(3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사출 성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단계(S2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인접하는 가장자리를 재단 또는 융착시켜 결합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 연결부(500)를 통해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결합 방법은 소구경의 하수관(10)에 적용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결합 방법은 대구경의 하수관(10)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결합 방법은 하수관(10)의 외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결합 방법은 하수관(10)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단계(S20)에 적용되는 구조체 연결부(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하수관(10)이 대구경일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구조체 연결부(50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바디(510)와, 연결 바디(510)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서로 인접하는 일측부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1 연결 플랜지(520)와, 연결 바디(510)의 타측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서로 인접하는 타측부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2 연결 플랜지(5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는 제1 연결 플랜지(520)와 제2 연결 플랜지(530) 사이의 플랜지 공간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 플랜지 공간부에 삽입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를 제1 연결 플랜지(520)와 제2 연결 플랜지(530)에 끼워 맞춤 결합시키거나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열 융착 또는 재단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구조체 연결부(50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구조체 연결부(500a)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구조체 연결부(500)를 통해 하수관(10)의 외부에서 결합된 상태로 하수관(1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고, 하수관(10)의 내부에서 구조체 연결부(500)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의 (a)에는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인접하는 가장자리를 재단 또는 융착시켜 결합한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의 (b)에는 이렇게 결합된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하트 형상으로 하수관(10)의 외부에 배치한 후 하트 형상의 팽창에 의해 하수관(10)에 밀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소구경의 하수관(10)에 적용될 수 있고,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와 복수의 돌기부(30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구조체 연결부(5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커넥터(90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90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링 부재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430)가 관통하는 결합홀(910)과, 구조체 연결부(500)의 단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92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도 12를 기준으로 한 쌍의 결합홈(920)의 하부 영역의 높이(H)는 간극 형성 돌출부(200)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9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도 상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평면도 상,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900)는 앵커링 부재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430)에 의해 하수관(1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단계(S)는, 하수관(10)의 내부에 배치된 구조체가 모르타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주입 시 부상되거나 함몰되지 않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지지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 예의 지지 단계(S)는 하수관(10)이 소구경인 경우, 도 9의 (a)에 도시된 튜브 부재(600)를 이용해서 이루어질 수 있고, 하수관(10)이 대구경인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튜브 부재(600)는 하수관(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공지된 공기 충전 수단에 연결되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튜브 부재(60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측부를 지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하수관(10)의 내벽 사이의 공간부로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시나 충진재의 경화 시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지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부상이나 함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하수관(10)의 내벽 사이의 공간부로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시나 충진재의 경화 시 도 13에 도시된 지지대(1000)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대(10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110)와, 지지 바디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1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 다리(1200)는 지지 바디(1100)에 나사 결합되거나 지지 바디(1100)의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연결되어 탄성력으로 길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하수관(10)이 대구경인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200)는 고정 부재(7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연결바(800)를 이용할 수 있고, 연결바(800)는 가로 및 세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충진 단계(S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10) 갱생 구조체 중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비굴착 하수관(10) 갱생 구조체부터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발관 형태의 모르타르 주입 부재(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에어 벤트를 이용하여 잔류 공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충진재는 기능성 몰탈 예를 들어 가소성 모르타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 예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이 완료되면 플레이트홀(110)을 마감캡(400)으로 밀폐하여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마감캡(400)은,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 작업이 완료된 후 플레이트홀(110)에 결합되어 마감 처리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마감캡(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홀(110)과 대응되는 사이즈로 마련되어 플레이트홀(110)에 삽입되는 캡 바디(410)와, 캡 바디(41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지지되는 바디 플랜지(420)와, 캡 바디(410)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하수관(10)의 사이에 채워진 충진재에 결합되어 캡 바디(410)를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4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430)를 굳어진 충진재에 결합될 수 있는 금속 재질의 나사나 앵커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플레이트홀
200,200a,200b,200c,200d,200e : 간극 형성 돌출부
210 : 베이스 바디 211 : 바디홀
220 : 확장 평면부 230 : 제1 돌출부
231 : 제1 바디 232 : 제1 평면부
233 : 제1 수직부 234 : 제1 내측 라운딩부
235 : 제1 외측 라운딩부 240 : 제2 돌출부
241 : 제2 바디 242 : 제2 평면부
243 : 제2 수직부 244 : 제2 내측 라운딩부
245 : 제2 외측 라운딩부 300 : 돌기부
400 : 마감캡 410 : 캡 바디
420 : 바디 플랜지 430 : 체결 부재
500,500a : 구조체 연결부 510 : 연결 바디
520 : 제1 연결 플랜지 530 : 제2 연결 플랜지
600 : 튜브 부재 700 : 고정 부재
800 : 연결바 900 : 커넥터
910 : 결합홀 920 : 결합홈
1000 : 지지대 1100 : 지지 바디
1200 : 지지 다리 10 : 하수관
20 : 모르타르 주입 부재

Claims (11)

  1.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수관의 사이에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진재가 채워지는 공간부를 마련하는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가 구비된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마련하는 구조체 마련 단계;
    상기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단계;
    서로 결합된 상기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하수관의 내부에 배치하는 배치 단계;
    상기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 단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된 플레이트홀을 통해 상기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상기 충진재를 충진시키는 충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는,
    상기 하수관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의 내벽에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되는 확장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와이어 부재가 결합되는 바디홀이 마련되는 하수관 갱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는 구조체 연결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체 연결부는,
    복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바디;
    상기 연결 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서로 인접하는 일측부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1 연결 플랜지; 및
    상기 연결 바디의 타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서로 인접하는 타측부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2 연결 플랜지를 포함하는 하수관 갱생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단계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튜브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하수관 갱생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를 고정 부재로 결합시켜서 마련되는 하수관 갱생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 중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부터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하수관 갱생 방법.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는,
    상기 하수관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하수관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부에는 제1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하부에는 제2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제1 공간부보다 공간이 넓어 상기 제1 공간부를 통해 삽입되는 연결바는 상기 제2 공간부에 안착되는 하수관 갱생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하수관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에 지지되는 제1 평면부;
    상기 제2 돌출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1 바디의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까지 마련되는 제1 내측 라운딩부; 및
    상기 제1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1 외측 라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하수관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디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에 지지되는 제2 평면부;
    상기 제1 수직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되는 제2 수직부;
    상기 제1 내측 라운딩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까지 마련되는 제2 내측 라운딩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2 외측 라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부는 상기 제1 수직부와 상기 제2 수직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제1 내측 라운딩부와 상기 제2 내측 라운딩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하수관 갱생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간극 형성 돌출부는 투명하게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에 채워지는 상기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상기 충진재의 충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하수관 갱생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 단계의 후에 상기 플레이트홀에 마감캡을 결합시켜 마감하는 마감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수관 갱생 방법.
KR1020210016008A 2021-02-04 2021-02-04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 KR102295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008A KR102295298B1 (ko) 2021-02-04 2021-02-04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008A KR102295298B1 (ko) 2021-02-04 2021-02-04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298B1 true KR102295298B1 (ko) 2021-09-01

Family

ID=7777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008A KR102295298B1 (ko) 2021-02-04 2021-02-04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267B1 (ko) * 2021-10-29 2023-02-07 신우산업주식회사 갱생 시트 고정체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갱생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625A (ja) * 1993-11-30 1995-06-13 Teihiyuu Kk コンクリート構造の槽の内壁面の補修構造と補修方法
JPH11200465A (ja) * 1998-01-14 1999-07-27 Ohbayashi Corp 水路トンネル内における防食ライニング層の形成方法
JP2004130538A (ja) * 2002-10-08 2004-04-30 Osaka Bosui Constr Co Ltd 管の内面ライニング工法
KR100538513B1 (ko) * 2005-04-07 2005-12-22 (주)이알테크 스트립라이닝 관로 보수보강공법
KR100934194B1 (ko) * 2009-02-19 2009-12-29 덕원산업개발주식회사 부압을 이용한 라이너 튜브 보수장치 및 방법
KR101732669B1 (ko) * 2016-06-22 2017-05-04 (주) 캐어콘 보강부재,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된 콘크리트 관로 및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보강공법
KR102116660B1 (ko) 2019-12-11 2020-05-29 (주)한양이엔씨 비굴착식 하수관로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장치를 이용한 열경화성 하수관로 보수 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625A (ja) * 1993-11-30 1995-06-13 Teihiyuu Kk コンクリート構造の槽の内壁面の補修構造と補修方法
JPH11200465A (ja) * 1998-01-14 1999-07-27 Ohbayashi Corp 水路トンネル内における防食ライニング層の形成方法
JP2004130538A (ja) * 2002-10-08 2004-04-30 Osaka Bosui Constr Co Ltd 管の内面ライニング工法
KR100538513B1 (ko) * 2005-04-07 2005-12-22 (주)이알테크 스트립라이닝 관로 보수보강공법
KR100934194B1 (ko) * 2009-02-19 2009-12-29 덕원산업개발주식회사 부압을 이용한 라이너 튜브 보수장치 및 방법
KR101732669B1 (ko) * 2016-06-22 2017-05-04 (주) 캐어콘 보강부재,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된 콘크리트 관로 및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보강공법
KR102116660B1 (ko) 2019-12-11 2020-05-29 (주)한양이엔씨 비굴착식 하수관로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장치를 이용한 열경화성 하수관로 보수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267B1 (ko) * 2021-10-29 2023-02-07 신우산업주식회사 갱생 시트 고정체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갱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6334B2 (en) Duct repairing material, repairing structure, and repairing method
CN109555540B (zh) 隧道形式预应力管幕结构及施工方法
KR101732669B1 (ko) 보강부재,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된 콘크리트 관로 및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보강공법
KR101433344B1 (ko) 주름형 중공 폐합지수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암거 구조물 시공방법
KR102295298B1 (ko)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 갱생 방법
CN105908639A (zh) 一种预制箱涵及快速定位施工方法
JP3198669U (ja) マンホール更新構造及び新設のマンホール構造
KR102295299B1 (ko) 비굴착 하수관 갱생 구조체
JP6183869B2 (ja) マンホールの更新方法及びマンホールの新設方法
KR102083378B1 (ko) 콘크리트 관로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공법
KR101263996B1 (ko) 복합재질로 구성된 하수맨홀의 하부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7017B1 (ko) 흄관 받침부재, 수로 형성부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495267B1 (ko) 갱생 시트 고정체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갱생방법
KR102524445B1 (ko) 갱생 시트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갱생방법
KR101977851B1 (ko) 파일 차수, 지지력 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210164483U (zh) 一种隧道破损管片的修补结构
KR100600500B1 (ko) 암거 가설용 튜브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암거 시공방법
KR101047895B1 (ko) 누수방지 및 조립편의성을 위한 수로용 조립식 수로모듈
KR101047896B1 (ko) 비대칭 h빔 연결재를 갖는 누수방지 및 조립편의성을 위한 조립식 수로
KR101056661B1 (ko) 도로의 지하관로매설 일일시공구간 마무리공법
KR102028822B1 (ko) 관로 보수보강용 프로파일을 이용한 관로 보수보강 시스템
KR101293549B1 (ko) 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조의 설치구조
KR102125014B1 (ko)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CN217176634U (zh) 一种用于隧道衬砌加固结构中预制构件的嵌入式连接结构
KR102410140B1 (ko) 암거 구조물 저판 보수 및 보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