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179B1 -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179B1
KR102295179B1 KR1020207007406A KR20207007406A KR102295179B1 KR 102295179 B1 KR102295179 B1 KR 102295179B1 KR 1020207007406 A KR1020207007406 A KR 1020207007406A KR 20207007406 A KR20207007406 A KR 20207007406A KR 102295179 B1 KR102295179 B1 KR 102295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viral composition
micrograms
subject
acid
oleand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356A (ko
Inventor
로버트 에이. 뉴먼
오티스 씨. 애딩턴
Original Assignee
피닉스 바이오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7/05155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53123A1/en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 바이오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닉스 바이오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17026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7904A/ko
Publication of KR2020008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e.g. danazol, stanozolol, pancuronium or digitogenin
    • A61K31/58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e.g. danazol, stanozolol, pancuronium or digitogenin containing lactone rings, e.g. oxandrolone, buf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4Apocynaceae (Dogbane family), e.g. plumeria or periwin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09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ethylene oxide,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91Coated capsules; Multilayered drug free capsule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필로비리대 과, 플라비비리대 또는 토가비리대 과의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강심 배당체를 갖는 조성물이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트리테르펜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 플라비비리대 감염, 토가비리대 감염 또는 필로비리대 감염의 치료를 위한 항 바이러스 조성물 및 그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 예는 출혈성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네리움(Nerium) 종의 일원인 네리움 올리앤더(Nerium oleander)는 아열대 아시아, 미국 남서부 및 지중해에 널리 분포된 관상용 식물이다. 그것의 의학적 및 독성학적 특성은 오랫동안 인식되어 왔다. 예를 들어, 치질, 궤양, 나병, 뱀 물림, 암, 종양, 신경계 장애, 세포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도록 제안되어 왔다.
네리움 종의 식물로부터 성분의 추출은 전통적으로 끓는 물, 냉수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되어 왔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ANVIRZEL™(Ozel의 미국 특허 제 5,135,745 호)은 네리움 올리앤더의 열탕(hot-water) 추출물의 농축 형태 또는 분말 형태를 함유한다. Muller et al. (Pharmazie.(1991) Sept. 46(9), 657-663)은 네리움 올리앤더의 물 추출물 분석에 관한 결과를 개시한다. 그것들은 존재하는 다당류가 주로 갈락투론산이라고 보고한다. 다른 당류들에는 람노오스, 아라비노오스 및 갈락토스가 포함된다. 네리움 올리앤더의 열탕 추출물 내의 다당류 함량 및 다당류의 개별 당 조성은 또한 Newman et al.(J. Herbal Pharmacotherapy,(2001) vol 1, pp.1-16)에 의해 보고된 바 있다. Selvaraj et al.의 미국 특허 제 5,869,060 호는 네리움 종의 추출물 및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출물을 준비하기 위해 식물 재료를 물에 넣고 끓인다. 그 다음, 조(crude) 추출물을 식물 재료로부터 분리하고, 여과에 의해 멸균시켰다. 이어서, 생성된 추출물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6,565,897 호(Selvaraj et al.의 미국 특허전 공개 제 20020114852 호 및 PCT 국제 공개 제 WO 2000/016793 호)는 실질적으로 멸균된 추출물의 제조를 위한 열탕 추출 공정을 개시한다.
Erdemoglu et al.(J. Ethnopharmacol.(2003) Nov. 89(1), 123-129)는 항-통각 및 항-염증 활성에 기초하여, 네리움 올리앤더를 포함하는 식물의 수용(aqueous) 및 에탄올 추출물의 비교 결과를 개시한다.
네리움 올리앤더의 유기 용매 추출물은 또한 Adome et al.(Afr. Health Sci.(2003) Aug. 3(2), 77-86; 에탄올 추출물), el-Shazly et al.(J. Egypt Soc. Parasitol.(1996), Aug. 26(2), 461-473; 에탄올 추출물), Begum et al.(Phytochemistry(1999) Feb. 50(3), 435-438; 메탄올 추출물), Zia et al.(J. Ethnolpharmacol.(1995) Nov. 49(1), 33-39; 메탄올 추출물) 및 Vlasenko et al.(Farmatsiia.(1972) Sept.-Oct.21(5), 46-47; 알콜성 추출물)에 의해 개시된다.
네리움 종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은 공지되어 있고(US 8394434, US 8187644, US 7402325), 신경계 장애(US 8481086, US 9220778, US 9358293, US 20160243143A1) 및 세포 증식성 장애(US 8367363)를 치료하는 데 효능을 나타냈다.
트리테르펜은 매우 다양한 치료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공지된 트리테르펜 중 일부는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바독솔론, 마슬린산 등을 포함한다. 트리테르펜의 치료 활성은 트리테르펜의 조합보다는 개별적으로 주로 평가되었다.
올레아놀산은 선천적 세포 상(cellular phase) 2 해독 경로의 강력한 활성화제인 것으로 밝혀진 바독솔론과 같은 화합물로 대표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 부류에 있으며, 여기서 전사 인자 Nrf2의 활성화는 항산화 전사 반응 요소(ARE)를 함유하는 다운스트림 항산화 유전자의 프로그램에서 전사적 증가를 초래한다. 바독솔론 자체는 염증 질환의 임상 시험에서 광범위하게 조사되어 왔지만, 만성 신장 질환에서의 3 상 임상 시험은 상승된 농도에서 바독솔론을 포함하는 특정 트리테르페노이드의 공지된 세포 독성과 관련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인해 종결되었다.
다른 치료 성분과 함께 트리테르펜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로서 발견된다. Fumiko et al.(Biol. Pharm. Bull(2002), 25(11), 1485-1487)은 트리파노소마증을 치료하기 위한 Rosmarimus officinalis L.의 메탄올 추출물의 평가를 개시한다. Addington et al.(US 8481086, US 9220778, US 9358293, US 20160243143 A1)은 신경 질환의 치료를 위한 올레안드린 및 트리테르펜을 함유하는 네리움 올리앤더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SCF; PBI-05204)을 개시한다. Addington et al.(US 9011937, US 20150283191 A1)은 신경 질환의 치료를 위한 올레안드린 및 트리테르펜을 함유하는 네리움 올리앤더의 SCF 추출물의 트리테르펜-함유 분획(PBI-04711)을 개시한다. Jager et al.(Molecules(2009), 14, 2016-2031)은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다른 성분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을 개시한다. Mishra et al.(PLoS One 2016 25; 11(7):e0159430. Epub 2016 Jul 25)는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다른 성분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Betula utilis 나무 껍질의 추출물을 개시한다. Wang et al.(Molecules(2016), 21, 139)는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다른 성분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Alstonia scholaris의 추출물을 개시한다. L. e Silva et al.(Molecules(2012), 17, 12197)는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다른 성분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Eriope blanchetti의 추출물을 개시한다. Rui et al.(Int. J. Mol. Sci.(2012), 13, 7648-7662)는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다른 성분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Eucaplyptus globulus의 추출물을 개시한다. Ayatollahi et al.(Iran. J. Pharm. Res.(2011), 10(2), 287-294)는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다른 성분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Euphorbia microsciadia의 추출물을 개시한다. Wu et al.(Molecules(2011), 16, 1-15)는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다른 성분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Ligustrum 종의 추출물을 개시한다. Lee et al.(Biol. Pharm. Bull(2010), 33(2), 330)은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다른 성분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Forsythia viridissima의 추출물을 개시한다.
올레아놀산(O 또는 OA), 우르솔산(U 또는 UA) 및 베툴린산(B 또는 BA)은 PBI-05204(PBI-23; 네리움 올리앤더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및 PBI 04711(PBI-05204의 트리테르펜-함유 분획 0-4)에서 발견되는 3 가지 주요 트리테르펜 성분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에(Van Kanegan et al., Nature Scientific Reports(May 2016), 6:25626. doi:10.1038/srep25626), 유사한 농도에서의 뇌 슬라이스 산소 포도당 결핍(OGD) 모델 분석에서 이들의 신경 보호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효능에 대한 트리테르펜의 기여에 대해 보고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PBI 05204(PBI) 및 PBI-04711(분획 0-4)이 신경 보호 활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네리움 종의 추출물은 많은 다른 부류의 화합물들: 강심 배당체, 당체, 스테로이드, 트리테르펜, 다당류 및 기타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정 화합물은 올레안드린; 네리탈로사이드; 오도로사이드;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올레안드리게닌; 올리아사이드 A; 베툴린(urs-12-ene-3β,28-diol); 28-norurs-12-en-3β-ol; urs-12-en-3β-ol; 3β,3β-하이드록시-12-올레아넨-28-oic acid; 3β,20α-디하이드록시우르스-21-en-38-oic acid; 3β,27-디하이드록시-12-ursen-38-oic acid; 3β,13β-디히드록시우르스-11-en-28-oic acid; 3β,12α-디하이드록시올레아난-28,13β-olide; 3β,27-디하이드록시-12-올레아난-28-oic acid; 및 다른 성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바이러스성 출혈열(VHF)은 5 개의 별개의 바이러스 과: 아레나비리대, 부니아비리대, 필로비리대, 플라비비리대 및 파라믹소비리대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필로바이러스, 예를 들어 에볼라바이러스(EBOV)와 마르부르그바이러스(MARV)는 사람에게 알려진 가장 병원성인 바이러스이며 최대 90 %의 사망률을 가진 바이러스성 출혈열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 중 하나이다. 각각의 비리온은 단일 가닥의 네가티브-센스 RNA 분자를 포함한다. 지지적인 관리 또는 대증 요법 이외에, EBOV(에볼라바이러스) 및 MARV(마르부르그바이러스) 감염, 즉 필로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상업적 치료 효과적인 약물과 예방 약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Tai Forest(이전의 Ivory Coast), Sudan, Zaire, Reston 및 Bundibugyo의 5 종의 에볼라바이러스가 확인되었다.
플라비바이러스는 포지티브의 단일 가닥의 인벨롭된(enveloped) RNA 바이러스이다. 그것들은 주로 진드기 및 모기인 절지 동물에서 발견되며,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질병률과 사망률을 유발한다. 모기-전염 바이러스 중 일부는 황열병, 뎅기열, 일본 뇌염,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및 지카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진드기-전염 바이러스 감염의 일부는 진드기성 뇌염, 캬사누르 삼림병, 알크후르마 질병, 옴스크 출혈열을 포함한다. 출혈성 감염은 아니지만, 포와산 바이러스는 플라비바이러스이다.
올레안드린은 항-HIV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많은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평가되지 않았다. 트리테르펜 올레아놀산, 베툴린산 및 우르솔산은 상이한 수준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많은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평가되지 않았다. 베툴린산은 HSV-1 균주 1C, 인플루엔자 A H7N1, ECHO 6 및 HIV-1에 대해 일부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냈다. 올레아놀산은 HIV-1, HEP C 및 HCV H 균주 NS5B에 대해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냈다. 우르솔산은 HIV-1, HEP C, HCV H 균주 NS5B, HSV-1, HSV-2, ADV-3, ADV-8, ADV-11, HEP B, ENTV CVB1 및 ENTV EV71에 대해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냈다.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및 베툴린산의 항 바이러스 활성은 특정 바이러스에 대한 효능으로까지 예측할 수 없다.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및/또는 베툴린산이 항 바이러스 활성을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는 바이러스가 존재하는데, 이는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및/또는 베툴린산이 특정 속의 바이러스에 대해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낼지 여부를 선험적으로 예측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Barrows et al.(Cell Host Microbe(2016), 20, 259-270의 "지카바이러스 감염 억제제에 대한 FDA 승인 약물의 스크린")은 디곡신이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지만, 투여량이 너무 높고 독성이 있을 수 있다고 보고한다. Cheung et al.(Antiviral Res.(2014) 111, 93-99의 "뎅기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라나토사이드 C의 항 바이러스 활성")은 라나토사이드 C가 뎅기 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냄을 보고한다.
강심 배당체가 몇몇 바이러스에 대해 일부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특정 화합물은 상이한 바이러스에 대해 매우 상이한 수준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며, 이는 동일한 바이러스에 대한 평가시, 일부는 매우 열악한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고, 일부는 더 우수한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특정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치료적으로 활성인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함유하는 개선된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 대상체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이러스 감염, 예를 들어 포유동물 대상체에서 바이러스성 출혈열(VHF)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포유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간 및 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에 충분한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성공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투약 요법을 사용하는 상응하는 치료 방법을 개발하였다.
일부 실시 예에서, 바이러스 감염은 아레나비리대, 부니아비리대, 필로비리대, 플라비비리대, 파라믹소비리대, 또는 토가비리대와 같은 바이러스 과에 의해 야기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필로바이러스 감염,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헤니파바이러스 감염, 알파바이러스 감염 또는 토가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료할 수 있는 바이러스성 감염은 적어도, 에볼라바이러스, 마르부르그바이러스, 알파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황열병, 뎅기열, 일본 뇌염,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지카바이러스, 베네수엘라 말 뇌척수염(뇌염)(VEE) 바이러스, 치쿤구야 바이러스, 웨스턴 말 뇌척수염(뇌염)(WEE) 바이러스, 이스턴 말 뇌척수염(뇌염)(EEE) 바이러스, 진드기성 뇌염, 캬사누르(Kyasanur) 삼림병, 알크후르마(Alkhurma) 질병, 옴스크 출혈열, 헨드라 바이러스, 니파 바이러스 및 이들의 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필로비리대 과, 플라비비리대 과, 파라믹소비리대 과 또는 토가비리대 과의 바이러스로부터의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헤니파바이러스 속, 에볼라바이러스 속, 플라비바이러스 속, 마르부르그바이러스 속 또는 알파바이러스 속의 바이러스로부터의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은 (a) 특정 강심 배당체(들); b) 복수의 트리테르펜; 또는 c) 특정 강심 배당체(들)와 복수의 트리테르펜의 조합을 포함하는(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대상체에게 만성 투여함으로써 대상체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대상체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치료적으로 적절한 투여량)을 대상체에게 만성적으로 투여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 또는 바이러스 감염의 개선과 관련된 증상의 완화를 제공함으로써 치료된다. 대상체에게의 조성물의 투여는 감염 직후 또는 감염 후 1 일 내지 5 일 이내에 또는 바이러스 감염의 명확한 진단 후 가장 빠른 시점에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하나 이상의 치료적 유효량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회 이상의 투여량은 매일, 매주 또는 매월 단위로 투여된다. 하루에 1회 이상의 투여량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가 바이러스 감염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투여를 지시하는 단계;
일정 기간 동안 처방된 초기 투여 요법에 따라 대상체에 초기 투여량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의한 치료에 대한 대상체의 임상 반응 및/또는 치료 반응의 적절성을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대상체의 임상 반응 및/또는 치료 반응이 적절한 경우, 원하는 임상적 종점(endpoint)에 도달할 때까지 항 바이러스 조성물로 치료를 계속하고; 또는
대상체의 임상 반응 및/또는 치료 반응이 초기 투여량 및 초기 투여 요법에서 불충분한 경우, 대상체에서 원하는 임상 반응 및/또는 치료반응이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증량 또는 감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의한 대상체의 치료는 필요에 따라 계속된다. 투여량 또는 투여 요법은 예를 들어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특정 증상의 감소 또는 완화와 같이, 환자가 원하는 임상적 종점(들)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임상 반응 및/또는 치료 반응의 적절성을 결정하는 것은 바이러스 감염에 익숙한 임상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개별 단계는 별도의 설비 또는 동일한 설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만성적으로, 즉 매일, 격일로, 2일마다, 3일마다, 4일마다, 5일마다, 6일마다, 매주, 격주로, 2주마다, 3주마다, 매월, 격월로, 반달마다, 격월로, 2개월마다, 분기별로, 격분기마다, 3개월마다, 계절에 따라, 반년마다 및/또는 매년 투여될 수 있다. 치료 기간은 하나 이상의 주, 하나 이상의 개월, 하나 이상의 분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년일 수 있다. 유효량의 강심 배당체는 하루에 1 회 이상 투여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대상체는 하루에 강심 배당체의 140 마이크로그램 내지 315 마이크로그램을 투여받는다. 일부 실시 예에서, 투여량은 20 마이크로그램 내지 750 마이크로그램, 12 마이크로그램 내지 300 마이크로그램, 또는 12 마이크로그램 내지 120 마이크로그램의 강심 배당체를 포함한다. 강심 배당체의 일일 투여량은 강심 배당체의 20 마이크로그램 내지 750 마이크로그램, 0.01 마이크로그램 내지 100 mg, 또는 0.01 마이크로그램 내지 100 마이크로그램의 범위일 수 있다. SCF 추출물에 존재하는 권장 일일 투여량의 올레안드린은 일반적으로 1 일 2 회 약 0.25 내지 약 50 마이크로그램, 또는 1 일 2 회 또는 약 12 시간마다 약 0.9 내지 5 마이크로그램이다. 투여량은 약 0.5 내지 약 100 마이크로그램/일, 약 1 내지 약 80 마이크로그램/일, 약 1.5 내지 약 60 마이크로그램/일, 약 1.8 내지 약 60 마이크로그램/일, 약 1.8 내지 약 40 마이크로그램/일일 수 있다. 최대 허용 투여량은 올레안드린을 함유하는 올리앤더 추출물의 약 100 마이크로그램/일, 약 80 마이크로그램/일, 약 60 마이크로그램/일, 약 40 마이크로그램/일, 약 38.4 마이크로그램/일 또는 약 30 마이크로그램/일일 수 있으며, 최소 유효 투여량은 약 0.5 마이크로그램/일, 약 1 마이크로그램/일, 약 1.5 마이크로그램/일, 약 1.8 마이크로그램/일, 약 2 마이크로그램/일, 또는 약 5 마이크로그램/일일 수 있다. 강심 배당체 및 트리테르펜을 포함하는 적합한 투여량은 약 0.05 0.5 mg/kg/일, 0.05-0.35 mg/kg/일, 0.05-0.22 mg/kg/일, 0.05-0.4 mg/kg/일, 0.05-0.3 mg/kg/일, 0.05-0.5 마이크로그램/kg/일, 0.05-0.35 마이크로그램/kg/일, 0.05-0.22 마이크로그램/kg/일, 0.05-0.4 마이크로그램/kg/일 또는 0.05-0.3 마이크로그램/kg/일일 수 있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전신 투여될 수 있다. 전신 투여 방식은 비경구, 구강(buccal), 장내, 근육내, 피하, 설하, 경구(peroral), 입 투여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또한 주사를 통해 또는 정맥 내로 투여될 수 있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존재하는 경우, 강심 배당체는 바람직하게는 올레안드린이지만, 오도로사이드, 네리탈로사이드 또는 올레안드리게닌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트리테르펜; b) 하나 이상의 스테로이드; c) 하나 이상의 트리테르펜 유도체; d) 하나 이상의 스테로이드 유도체; 또는 e)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조성물은 강심 배당체 및 a) 2 개 또는 3 개의 트리테르펜; b) 2 개 또는 3 개의 트리테르펜 유도체; c) 2 개 또는 3 개의 트리테르펜 염; 또는 d)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트리테르펜은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이의 염 또는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 및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a) 적어도 하나의 강심 배당체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리테르펜; b) 적어도 하나의 강심 배당체 및 적어도 2 개의 트리테르펜; c) 적어도 하나의 강심 배당체 및 적어도 3 개의 트리테르펜; d) 적어도 2 개의 트리테르펜을 포함하며 강심 배당체를 배제하고; e) 적어도 3 개의 트리테르펜을 포함하며 강심 배당체를 배제하고; 또는 f) 적어도 하나의 강심 배당체, 예를 들어 올레안드린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트리테르펜 및 강심 배당체는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들의 염 및 유도체를 포함한다.
강심 배당체는 순수한 형태로 또는 하나 이상의 강심 배당체를 함유하는 추출물 부분으로서 약제학적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트리테르펜(들)은 순수한 형태로 또는 트리테르펜(들)을 함유하는 추출물의 일부로서 약제학적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강심 배당체는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항 바이러스 활성을 주로 담당하는 성분을 의미하는 1 차 치료 성분으로서 존재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트리테르펜(들)은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항 바이러스 활성을 주로 담당하는 성분(들)을 의미하는 1 차 치료 성분(들)으로서 존재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추출물은 식물 재료의 추출에 의해 수득된다. 추출물은 식물 재료의 열탕 추출물, 냉수 추출물, 초임계 유체(SCF) 추출물, 유기 용매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식물 재료는 네리움 종 또는 테베티아(Thevetia) 종 식물 질량이다. 특정 종은 네리움 올리앤더 또는 테베티아 네리폴리아(Thevetia nerifolia)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추출물은 추출물이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추출 동안 강심 배당체와 함께 수득되어, 강심 배당체의 치료 효능에 기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약리학적 활성 제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다른 비-강심 배당체 치료학적 유효 작용제, 즉 강심 배당체가 아닌 하나 이상의 작용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항 바이러스 화합물(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약리학적 활성 다당류를 배제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강심 배당체 및 하나 이상의 강심 배당체 전구체(예를 들어, 카르데놀리드, 카르다디에놀리드 및 카르다트리에놀리드)와 같은 것으로서, 이들 모두는 강심 배당체의 아글리콘 성분, 예를 들어 디기톡신, 아세틸 디기톡신, 디기톡시게닌, 디곡신, 아세틸 디곡신, 디곡시게닌, 메디곡신, 스트로판틴, 사이마린, 우아바인 또는 스트로판티딘이다. 추출물은 강심 배당체 전구체로서 강심 배당체(예컨대, 글루코사이드, 프럭토사이드 및/또는 글루쿠로나이드)의 하나 이상의 글리콘(glycone)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아글리콘 성분 및 하나 이상의 글리콘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이상의 강심 배당체 전구체 및 하나 이상의 강심 배당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올레안드린 함량에 기초한 등가 투여량이 비교될 때, 올레안드린(OL), 올레아놀산(OA), 우르솔산(UA) 및 베툴린산(BA)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순수한 올레아드린보다 더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총 트리테르펜 함량(OA + UA + BA) 대 올레안드린의 몰비는 약 15:1 내지 약 5:1, 또는 약 12:1 내지 약 8:1, 또는 약 100:1 내지 약 15:1, 또는 약 100:1 내지 약 50:1, 또는 약 100:1 내지 약 75:1, 또는 약 100:1 내지 약 80:1, 또는 약 100:1 내지 약 90:1, 또는 약 10:1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개별 트리테르펜 대 올레안드린의 몰비는 다음과 같이 범위가 설정된다: 2-8(OA):2-8(UA):0.1-1(BA):0.5-1.5(OL); 또는 3-6(OA):3-6(UA):0.3-8(BA):0.7-1.2(OL); 또는 4-5(OA):4-5(UA):0.4-0.7(BA):0.9-1.1(OL); 또는 4.6(OA):4.4(UA):0.6(BA):1(OL).
일부 실시 예에서, 다른 치료제는 추출물의 제조 동안 수득된 다당류가 아니며, 이는 그것이 산성 호모폴리갈락투로난 또는 아라비노갈락투로난이 아님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추출물은 다른 치료제를 배제하고, 및/또는 추출물의 제조 동안 수득된 산성 호모폴리갈락투로난 또는 아라비노갈락투로난을 배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에서의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강심 배당체를 사용하는 것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이러한 약제의 제조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항 바이러스 화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한번 투여량의 항 바이러스 화합물(들)을 약제학적 제형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약제학적 제형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조는 PCT 국제 출원 번호 PCT/US06/2906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제조는 또한 포장된 제형을 벤더(소매업체, 도매업자 및/또는 유통업체)에게 전달하는 단계; 포장된 제형을 바이러스 감염을 갖는 대상체에게 판매하거나 제공하는 단계; 약제와 함께, 제형의 사용, 투여 요법, 투여, 함량 및 독성 프로파일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는 라벨 및 패키지 삽입물을 포함하는 단계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는 대상체가 바이러스 감염을 갖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투여 요법에 따라 대상체에게 약제학적 제형의 투여를 지시하는 단계; 대상체에게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제형을 투여하는 단계로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제형은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수용성(혼화성) 공-용매, 불수용성(불혼화성) 공-용매, 계면 활성제, 항산화제, 킬레이트제 및 흡수 증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용화제는 적어도 단일 계면 활성제이지만, 그것은 또한 a) 계면 활성제 및 물 혼화성 용매; b) 계면 활성제 및 물 불혼화성 용매; c) 계면 활성제, 항산화제; d) 계면 활성제, 항산화제 및 물 혼화성 용매; e) 계면 활성제, 항산화제 및 물 불혼화성 용매; f) 계면 활성제, 물 혼화성 용매 및 물 불혼화성 용매; 또는 g) 계면 활성제, 항산화제, 물 혼화성 용매 및 물 불혼화성 용매의 조합과 같은 재료들의 조합일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a) 적어도 하나의 액체 담체; b)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 c) 적어도 하나의 가용화제; d) 적어도 하나의 분산제; e)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형제; 또는 f) 이들의 조합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물 혼화성 용매는 저 분자량(6000 미만) PEG, 글리콜 또는 알코올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계면 활성제는 페길레이티드 계면 활성제이며, 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작용기를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양태, 실시 예 및 하위 실시 예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음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고 청구된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당업자는 이들 도면 및 본 명세서의 설명에 비추어 과도한 실험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에볼라바이러스에 대한 다양한 조성물의 시험관내 투여량 반응 항 바이러스 활성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마르부르그바이러스에 대한 다양한 조성물의 시험관내 투여량 반응 항 바이러스 활성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5는 베로(Vero) E6 세포에서 지카바이러스(SIKV 균주 PRVABC59)에 대한 올레안드린의 시험관내 투여량 반응 항 바이러스 활성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6은 베로 E6 세포에서 지카바이러스(SIKV 균주 PRVABC59)에 대한 디곡신의 시험관내 투여량 반응 항 바이러스 활성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7은 베로 E6 세포에서 에볼라바이러스에 대한 다양한 조성물(올레안드린, 디곡신 및 PBI-05204)의 시험관내 투여량 반응 항 바이러스 활성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8은 베로 E6 세포에서 마르부르그바이러스에 대한 다양한 조성물(올레안드린, 디곡신 및 PBI-05204)의 시험관내 투여량 반응 항 바이러스 활성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조성물(올레안드린, 디곡신 및 PBI-05204)의 존재하에 베로 E6 세포의 시험관내 세포 생존력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10a 및 10b는 바이러스에 노출된 직후 베로 E6 세포에서 에볼라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조성물(올레안드린 및 PBI-05204)의 능력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10a는 감염 후 2 시간; 도 10b는 감염 후 24 시간.
도 11a 및 11b는 바이러스에 노출된 직후 베로 E6 세포에서 마르부르그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조성물(올레안드린 및 PBI-05204)의 능력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11a는 감염 후 2 시간; 도 11b는 감염 후 24 시간.
도 12a 및 도 12b는 올레안드린에 노출된 바이러스 감염된 베로 E6 세포에 의한 감염성 자손의 산물을 억제하는 조성물(올레안드린 및 PBI-05204)의 능력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12a-에볼라바이러스; 12b-마르부르그바이러스.
도 13a 및 13b는 베로 E6 세포에서 베네수엘라 말 뇌척수염 바이러스(도 13a) 및 웨스턴 말 뇌척수염 바이러스(도 13b)에 대한 다양한 조성물(올레안드린, 디곡신 및 PBI-05204)의 시험관내 투여량 반응 항 바이러스 활성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유효량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또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만성적으로 투여함으로써 대상체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대상체에 가장 적합한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되고, 투여량 및 투여 요법의 적합성은 종래의 임상 관행 및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임상 치료 종점에 따라 임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대상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고양이, 개, 마우스, 기니피그, 말, 소, 양 및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있는 대상체는: a) 모기, 특히 에데스(Aedes) 종(Aedes egypti, Aedes albopictus) 모기가 살고있는 지리적 영역에 거주하는 대상체; b) 바이러스 감염자들 근처 또는 그들과 함께 사는 대상체; c) 바이러스 감염을 가진 사람과 성적인 관계를 가진 대상체; d) 진드기, 특히 익소디즈(Ixodes) 종(Ixodes marx, Ixodes scapularis 또는 Ixodes cooke species) 진드기가 살고있는 지리적 영역에 거주하는 대상체; e) 과일 박쥐가 사는 지리적 지역에 살고 거주하는 대상체; f) 열대 지역에 사는 대상체; g) 아프리카에 사는 대상; h) 바이러스 감염을 갖는 다른 대상체의 체액과 접촉하는 대상체; i) 아이; 또는 j) 면역 체계가 약화된 대상체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대상체는 암컷, 임신할 수 있는 암컷 또는 임신한 암컷이다.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된 대상체는 치료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치료반응"은 바이러스 감염을 앓고 있는 대상체가 강심 배당체로 치료한 결과 다음과 같은 임상적 이점 중 적어도 하나를 누리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상체의 혈액 또는 혈장에서의 활성 바이러스 농도 감소, 대상체의 혈액 또는 혈장으로부터의 활성 바이러스의 박멸, 감염의 개선, 감염과 관련된 증상의 발생 감소, 감염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완화 또는 감염의 진행까지의 증가된 시간. 치료 반응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 치료 반응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진행까지의 시간"은 바이러스 감염이 진단(또는 치료)된 후 감염이 악화되기 시작할 때까지의 기간, 길이 또는 지속 기간이다. 더 이상의 감염 진행없이 감염 수준이 유지되는 기간이며, 감염이 다시 진행되기 시작할 때 그 기간은 종료된다. 질병의 진행은 치료 전 또는 치료 시작 시에 감염을 앓고있는 대상체를 "스테이징(staging)"함으로써 결정된다. 예를 들어, 대상체의 건강은 치료 전 또는 치료 시작 시에 결정된다. 이어서, 대상체를 강심 배당체로 치료하고, 바이러스 농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나중에 어느 시점에서, 감염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감염의 진행 및 "진행까지의 시간"의 끝을 표시한다. 감염이 진행되지 않거나 또는 감염의 수준 또는 심각성이 악화되지 않은 기간이 "진행까지의 시간"이다.
투여 요법은 투여 스케줄에 따라 투여되는 하나 이상의 강심 배당체의 치료적으로 관련된 투여량(또는 유효 투여량)을 포함한다. 따라서, 치료적으로 관련된 투여량은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의한 치료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반응이 관찰되고 과량의 원치 않거나 유해한 부작용없이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할 수 있는 치료 투여량이다. 치료적으로 관련된 투여량은 환자에게 일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지만, 대상에게 치명적이지 않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이 투여되는 대상체에 대한 임상적 이점의 수준이 항 바이러스 조성물 또는 이들 성분(들)의 투여로 인해 대상체가 경험하는 유해한 부작용의 수준을 초과하는 투여량이다. 치료적으로 관련된 투여량은 다양하게 확립된 약리학적, 약역학적 및 약동학적 원리에 따라 대상체마다 상이할 것이다. 그러나, 치료적으로 관련된 투여량(예를 들어, 올레안드린에 대한 상대적 투여량)은 전형적으로 25 마이크로그램, 100 마이크로그램, 250 마이크로그램, 500 마이크로그램 또는 750 마이크로그램의 강심 배당체/일을 초과하지 않거나, 또는 투여 당 강심 배당체의 양이 25-750 마이크로그램의 범위일 수 있다. 대상체에서 표적 치료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실제 양은 약학의 기본 원리에 따라 대상체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이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치료적으로 관련된 투여량은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치료적으로 관련된 투여량은 1 일 1 회, 2 회, 3 회 이상 투여될 수 있다. 격일로, 3 일마다, 4 일마다, 5 일마다, 반주마다, 주마다, 격주로, 3 주마다, 4 주마다, 매월, 격월마다, 반달마다, 3 개월마다, 4 개월마다, 반년마다, 매년, 또는 상기의 임의의 조합에 따라 적합한 투여 스케줄에 도달한다. 예를 들어, 치료적으로 관련된 투여량은 1 주일 이상 동안 매일 1 회 이상 투여될 수 있다.
실시 예 15는 이들 둘 모두가 필로바이러스인 에볼라바이러스(도 1 및 도 2) 및 마르부르그바이러스(도 3 및 도 4) 감염의 치료를 위한 올레안드린(단독 활성), 안비르젤(Anvirzel) 및 PBI 05204(네리움 올리앤더의 초임계 유체(SCF) 추출물)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험관내 분석의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40 마이크로그램/mL의 세포에 첨가한 다음, 바이러스를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으로 실험을 설정하였다. 바이러스를 세포에 첨가할 때, 조성물의 최종 농도는 20 마이크로그램/mL이다. 상이한 양의 올레안드린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이들이 함유하는 올레안드린의 농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이를 몰 농도로 변환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추출물의 올레안드린 함량에 기초한 효능을 도시한다. OL 자체는 효과적이다. OL, OA, UA 및 BA를 포함하는 네리움 올리앤더의 SCF 추출물인 PBI-05204는 OL 자체보다 실질적으로 더 효과적이다. 네리움 올리앤더의 열탕 추출물인 안비르젤은 OL 자체보다 효과적이다. 두개의 추출물 모두는 나노 몰 범위에서 효능을 분명히 나타낸다. PBI-05204 추출물(1.74 %)에서의 올레안드린의 백분율은 안비르젤(0.459 %, 4.59 마이크로그램/mg)에서 보다 높다. PBI-05204의 최고 투여량에서, 그것은 EBOV 및 MARV 감염을 완전히 억제하는 반면, 안비르젤은 안비르젤과 함께 20 마이크로그램/mL 초과의 투여량에서 독성이 관찰되기 때문에, 완전한 억제를 나타내지 않았다. 데이터는 PBI-05204에 대한 에볼라바이러스 및 마르부르그바이러스에 대한 최고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입증한다. PBI-05204에서의 트리테르펜의 조합은 올레안드린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증가시켰다.
실시 예 6은 지카바이러스(플라비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강심 배당체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험관내 분석의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베로 E6 세포는 올레안드린(도 5) 또는 디곡신(도 6)의 존재하에서, 0.2의 MOI에서 지카바이러스(ZIKV 균주 PRVABC59)로 감염되었다. 세포를 바이러스 및 강심 배당체와 함께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접종원 및 비-흡수성 강심 배당체(존재하는 경우)를 제거하였다. 세포를 신선한 배지에 담그고 48 시간 동안 배양한 후, 포르말린으로 고정하고, ZIKV 감염을 위해 염색하였다. 데이터는 강심 배당체 둘 다에 대한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 활성을 입증하지만; 올레안드린은 디곡신보다 더 높은(거의 8 배 더 큰)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냈다.
실시 예 14는 지카바이러스 및 뎅기 바이러스에 대한 시험 조성물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분석의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데이터는 올레안드린이 지카바이러스 및 뎅기 바이러스에 대한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베로 E6 세포에서 에볼라바이러스(EBOV)에 대한 다양한 조성물(올레안드린, 디곡신 및 PBI-05204)의 시험관내 투여량 반응 항 바이러스 활성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8은 베로 E6 세포에서 마르부르그바이러스(MARV)에 대한 다양한 조성물(올레안드린, 디곡신 및 PBI-05204)의 시험관내 투여량 반응 항 바이러스 활성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조성물(올레안드린, 디곡신 및 PBI-05204)의 존재하에 베로 E6 세포의 시험관내 세포 생존력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8의 경우, 숙주 세포는 바이러스 감염 전에 조성물에 노출되었다. 베로 E6 세포는 올레안드린 함유 식물 추출물인 올레안드린, 디곡신 또는 PBI-05204의 존재 하에서, EBOV/Kik(도 7, MOI = 1) 또는 MARV/Ci67(도 8, MOI = 1)로 감염되었다. 1 시간 후, 접종원 및 화합물을 제거하고, 신선한 배지를 세포에 첨가하였다. 48 시간 후, 세포를 고정시키고 면역 염색하여 EBOV 또는 MARV로 감염된 세포를 검출하였다. 감염된 세포를 오페레타(Operetta)를 사용하여 열거하였다.
항 바이러스 활성과 관련하여 위양성(false positive)이 관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조성물의 존재하에서 세포 생존력을 시험하였다. 도 9의 데이터의 경우, 베로 E6 세포는 상기와 같이 화합물로 처리되었다. ATP 수준은 세포 생존력의 측정으로서 셀티터-글로(CellTiter-Glo)에 의해 측정되었다. 올레안드린, 디곡신 및 PBI-05204는 세포 생존력을 감소시키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이는 본 명세서의 다른 도면에 상세히 기술된 항 바이러스 활성이 개별 화합물의 세포 독성에 의해 유발되는 위양성 때문이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유동물 또는 숙주 세포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바이러스 감염 걸림 이전에 포유동물 또는 숙주 세포에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포유동물 또는 숙주 세포의 바이러스 감염 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이 바이러스 농도를 감소시키고 바이러스 감염을 개선, 감소 또는 제거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 및 방법은 또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투여 이전에 발생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베로 E6 세포를 EBOV(도 10a, 10b) 또는 MARV(도 11a, 11b)로 감염시켰다. 감염 후 2 시간(도 10a, 11a) 또는 감염 후 24 시간(도 10b, 11b)에, 올레안드린 또는 PBI-05204를 1 시간 동안 세포에 첨가한 후, 폐기하고 세포를 배양 배지로 리턴시켰다.
도 10a 및 도 10b는 바이러스에 노출된 직후, 베로 E6 세포에서 에볼라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조성물(올레안드린 및 PBI-05204)의 능력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도 10a-감염 후 2 시간; 도 10b-감염 후 24 시간. 항 바이러스 조성물이 바이러스 감염 후 2 시간 내에(또는 최대 12 시간 이내에) 투여될 때, 바이러스 농도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고, EBOV 바이러스 농도를 감소시킨다. 24 시간 후에도 바이러스 조성물이 효과적이지만, 초기 바이러스 감염 후 시간이 지날수록 그 효능은 낮아진다. MARV에 대해서도 동일한 평가가 수행되었다. 도 11a 및 도 11b는 바이러스에 노출된 직후, 베로 E6 세포에서 마르부르그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조성물(올레안드린 및 PBI-05204)의 능력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11a-감염 후 2 시간; 도 11b-감염 후 24 시간. 항 바이러스 조성물이 바이러스 감염 후 2 시간 내에(또는 최대 12 시간 이내에) 투여될 때, 바이러스 농도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고, MARV 바이러스 농도를 감소시킨다. 24 시간 후에도 바이러스 조성물이 효과적이지만, 초기 바이러스 감염 후 시간이 지날수록 그 효능은 낮아진다.
본원의 조성물의 항 바이러스 활성이 단일 세대의 바이러스 감염 세포에 대해, 예를 들어 감염 후 24 시간 이내에 감소됨을 고려하여, 항 바이러스 조성물이 바이러스성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지, 즉 감염성 자손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베로 E6 세포를 올레안드린 또는 PBI-05204의 존재하에서 EBOV 또는 MARV로 감염시키고,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감염된 세포 배양물로부터의 상청액을 새로운 베로 E6 세포에 통과시키고, 1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폐기하였다. 통과한 상청액을 함유하는 세포를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BOV(B) 또는 MARV(C)로 감염된 세포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평가되었다. 대조군 감염률은 EBOV의 경우 66 %, MARV의 경우 67 %였다. 본 발명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감염성 자손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a)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기 위해, 바이러스 감염 전에 예방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b) 감염성 자손의 바이러스 복제 및 생성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바이러스 감염 후에 투여될 수 있으며; 또는 c) a)와 b)의 조합으로 투여될 수 있다.
토가비리대 알파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항 바이러스 활성은 베로 E6 세포에서 VEE 바이러스 및 WEE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도 13a 및 도 13b는 베로 E6 세포에서 베네수엘라 말 뇌척수염 바이러스(도 13a) 및 웨스턴 말 뇌척수염 바이러스(도 13b)에 대한 다양한 조성물(올레안드린, 디곡신 및 PBI-05204)의 시험관내 투여량 반응 항 바이러스 활성을 요약한 차트를 도시한다. 지시된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18 시간 동안 베로 E6 세포를 베네수엘라 말 뇌염 바이러스(도 13a, MOI = 0.01) 또는 웨스턴 말 뇌염 바이러스(도 13b, MOI = 0.1)로 감염시켰다. 감염된 세포를 이전과 같이 검출하고, 오페레타에 열거하였다. 본 발명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로비리대 바이러스, 플라비비리대 바이러스 또는 토가비리대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유효량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투여하고, 그에 의해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바이러스를 노출시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의 조성물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리노바이러스(Rhinovirus) 감염에 대해 평가하였다. 리노바이러스는 피코르나비리대(Picornaviridae) 과 및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속이다. 이것은 엔벨롭되어 있지 않고, (+) 극성의 ss-RNA 바이러스이다. 올레안드린은 본원에 사용된 농도 및 분석에서 리노바이러스에 대해 불활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PBI-05204(본 명세서 및 2012 년 5 월 29 일 발행된 Addington의 US 8187644 B2에서, 2008 년 7 월 22 일 발행된 Addington의 US 7402325 B2에서, 2013 년 5 월 12 일 발행된 Addington et al의 US 8394434 B2에 기재되며, 이들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은 주요 약리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강심 배당체(올레안드린, OL) 및 트리테르펜(올레아놀산(OA), 우르솔산(UA) 및 베툴린산(BA))을 포함한다. 총 트리테르펜에 대한 OL의 몰비는 약 1:(10-96)이다. OA:UA:BA의 몰비는 약 7.8:7.4:1이다. PBI-05204에서 OA, UA 및 BA의 조합은 OL 등몰 기준으로 비교할 때 올레안드린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증가시킨다. PBI-04711은 PBI-05204의 일부이지만, 강심 배당체(OL)를 함유하지 않는다. PBI-04711에서 OA:UA:BA의 몰비는 약 3:2.2:1이다. PBI-04711은 또한 항 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OL, OA, UA 및 BA를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OL의 등몰 함량에 기초하여 유일한 활성 성분으로서 OL을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개별 트리테르펜 대 올레안드린의 몰비는 하기와 같이 범위 설정된다: 2-8(OA):2-8(UA):0.1-1(BA):0.5-1.5(OL); 또는 3-6(OA):3-6(UA):0.3-8(BA):0.7-1.2(OL); 또는 4-5(OA):4-5(UA):0.4-0.7(BA):0.9-1.1(OL); 또는 4.6(OA):4.4(UA):0.6(BA):1(OL).
유일한 항 바이러스제로서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항 바이러스제로서 올레안드린 및 복수의 트리테르펜을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이의 유리 산, 염, 유도체 또는 프로드러그), 우르솔산(이의 유리 산, 염, 유도체 또는 프로드러그) 및 베툴린산(유리 산, 염, 유도체 또는 프로드러그)을 포함한다. 화합물의 몰비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주요 활성 성분으로서 복수의 트리테르펜을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이는 스테로이드, 강심 배당체 및 약리학적 활성 성분을 배제하는 것을 의미함)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PBI 04711은 주요 활성 성분으로서 OA, UA 및 BA를 포함하고,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 예에서, 트리테르펜-기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OA, UA 및 BA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유리 산 형태, 염 형태, 중수소화 형태 및 유도체 형태로부터 각각의 경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PBI-01011은 OA, UA 및 BA를 포함하는 개량된 트리테르펜-기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이며, 여기서 OA:UA:BA의 몰비는 약 9-12:최대 약 2:최대 약 2, 또는 약 10:약 1: 약 1, 또는 약 9-12:약 0.1-2:약 0.1-2, 또는 약 9-11:약 0.5-1.5:약 0.5-1.5, 또는 약 9.5-10.5:약 0.75-1.25:약 0.75-1.25, 또는 약 9.5-10.5:약 0.8-1.2:약 0.8-1.2, 또는 약 9.75-10.5:약 0.9-1.1:약 0.9-1.1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OA 대 UA의 몰비로 존재하는 올레아놀산(이의 유리 산, 염, 유도체 또는 프로드러그) 및 우르솔산(이의 유리 산, 염, 유도체 또는 프로드러그)을 적어도 포함한다. OA는 UA보다 많은 몰량으로 존재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OA 대 BA의 몰비로 존재하는 올레아놀산(이의 유리 산, 염, 유도체 또는 프로드러그) 및 베툴린산(이의 유리 산, 염, 유도체 또는 프로드러그)을 적어도 포함한다. OA는 BA보다 많은 몰량으로 존재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OA 대 UA 대 BA의 몰비로 존재하는 올레아놀산(이의 유리 산, 염, 유도체 또는 프로드러그), 우르솔산(이의 유리 산, 염, 유도체 또는 프로드러그) 및 베툴린산(이의 유리 산, 염, 유도체 또는 프로드러그)를 적어도 포함한다. OA는 UA 및 BA 모두보다 많은 몰량으로 존재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트리테르펜-기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강심 배당체를 배제한다.
일반적으로, 필로비리대 감염, 플라비비리대 감염 또는 토가비리대 감염이 있는 대상체는 다음과 같이 치료된다. 대상체는 상기 대상체가 상기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평가된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투여가 지시된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초기 투여량은 일정 기간(치료 기간) 동안 처방된 투여 요법에 따라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대상체의 임상 반응 및 치료 반응 수준은 주기적으로 결정된다. 한번의 투여량에서 치료 반응 수준이 너무 낮으면, 대상체에서 원하는 치료 반응 수준이 달성될 때까지 미리 결정된 투여량 증량 스케쥴에 따라 투여량이 증가된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의한 대상체의 치료는 필요에 따라 계속된다. 투여량 또는 투여 요법은 환자가 감염 자체의 중단, 감염 관련 증상의 감소 및/또는 감염의 진행의 감소와 같은 원하는 임상 종점(들)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임상의가 항 바이러스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조합으로 바이러스 감염된 대상체를 치료하려는 경우, 대상체가 갖는 바이러스 감염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료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방법은 치료적 관련 투여량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 및 치료적 관련 투여량의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제 1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되고,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제 2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 1 및 제 2 투약 요법은 동일하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 1 및 제 2 투약 요법은 상이하다.
본 발명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들)은 주요 항 바이러스 요법, 보조 항 바이러스 요법 또는 공동-항 바이러스 요법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다른 알려진 항 바이러스 조성물과 함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이 공지된 항 바이러스 조성물(화합물) 또는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의 투여 전, 투여 동안 또는 투여 후에 투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염증, 구토, 구역, 두통, 열, 설사, 메스꺼움, 두드러기, 결막염, 불쾌감, 근육통, 관절통, 발작 또는 마비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약물이 본 발명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과 함께 또는 별도로 투여될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임상의가 인식하는 투여량 또는 투약 요법에 따라, 또는 서브-치료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임상의가 인식하는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조합의 투여에 의해 제공된 임상적 이점 및/또는 치료 효과는 부가적인 또는 상승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수준의 이점 또는 효과는 조합물의 투여와 개별 항 바이러스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투여의 비교에 의해 결정된다.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세계 보건기구, 유럽 의약청(E.M.E.A.), 치료 상품 관리국(TGA, 호주), 범 미국 건강 기구(PAHO), 의약품 및 의료 기기 안전 기관(Medsafe, 뉴질랜드) 또는 전세계 다양한 보건부에 의해 제안되거나 기술된 투여량 및 투약 요법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실시 예 5는 포유동물에서 지카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예시적인 절차를 제공한다. 실시 예 12는 포유동물에서 필로바이러스 감염(에볼라바이러스, 마르부르그바이러스)의 치료를 위한 예시적인 절차를 제공한다. 실시 예 13은 포유동물에서 플라비바이러스 감염(황열, 뎅기열, 일본 뇌염,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지카바이러스, 진드기성 뇌염, 캬사누르 삼림병, 알크후르마 질병, 옴스크 출혈열, 포와산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예시적인 절차를 제공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에 존재하는 항 바이러스 화합물(트리테르펜(들), 강심 배당체(들) 등)은 변형되지 않은 형태, 염 형태, 유도체 형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도체"는 a) 제 1 화학 물질과 구조적으로 관련되고 이론적으로 이로부터 유래되는 화학 물질; b) 제 1 화합물의 하나의 원자가 다른 원자 또는 원자 그룹으로 대체되는 경우, 유사한 제 1 화합물 또는 다른 제 1 화합물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상상될 수 있는 화합물로 형성된 화합물; c) 모 화합물로부터 유도되고 모 화합물의 필수 원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d)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유사한 구조의 제 1 화합물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도체는 중수소화 형태, 산화 형태, 탈수화, 불포화, 중합체 공액 또는 글리코실화 형태를 포함하거나 에스테르, 아미드, 락톤, 상동체, 에테르, 티오에테르, 시아노, 아미노, 알킬아미노, 설프히드릴,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릭 고리-융합, 중합, 페길화, 벤질리데닐, 트리아졸릴, 피페라지닐 또는 이의 중수소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올레안드린"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공지된 형태의 올레안드린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올레안드린은 라세믹, 광학적으로 순수한 또는 광학적으로 풍부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네리움 올리앤더 식물 재료는 예를 들어, 텍사스 아타스코사 소재의 알드리지 너서리(Aldridge Nursery)와 같은 상업적인 식물 공급 업체로부터 얻을 수 있다.
초임계 유체(SCF) 추출물은 US 7,402,325, US 8394434, US 8187644 또는 PCT 국제 공개 번호 WP 2007/016176 A2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으며, 이의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에탄올과 같은 개질제(유기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강심 배당체, 특히 올레안드린을 함유하는 다른 추출물은 다양한 상이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열탕 추출물의 제조 절차를 기술하고 있는 Huseyin Ziya Ozel 박사(미국 특허 번호 5,135,745)에 의해 개발된 공정에 따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수성 추출물은 2KD 내지 30KD의 분자량을 갖는 몇 가지 다당류, 올레안드린 및 올레안드리게닌, 오도로사이드 및 네리탈로사이드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다당류는 산성 호모폴리갈락투로난 또는 아라비노갈락투로난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Selvaraj et al의 미국 특허 제 5,869,060 호는 네리움 종의 열탕 추출물 및 그의 제조 방법, 예를 들어 실시 예 2를 개시한다. 이어서, 생성된 추출물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6,565,897 호(Selvaraj et al.의 미국 특허 공개 제 20020114852 호 및 PCT 국제 공개 제 WO 2000/016793 호)는 실질적으로 멸균된 추출물의 제조를 위한 열탕 추출 공정을 개시하고 있다. Erdemoglu et al.(J. Ethnopharmacol.(2003) Nov. 89(1), 123-129)는 항-통각 및 항-염증 활성에 기초하여 네리움 올리앤더를 포함한 식물의 수성 및 에탄올 추출물의 비교 결과를 개시하고 있다. 네리움 올리앤더의 유기 용매 추출물은 Adome et al.(Afr. Health Sci.(2003) Aug. 3(2), 77-86; 에탄올 추출물), el-Shazly et al.(J. Egypt Soc. Parasitol.(1996), Aug. 26(2), 461-473; 에탄올 추출물), Begum et al.(Phytochemistry(1999) Feb. 50(3), 435-438; 메탄올 추출물), Zia et al.(J. Ethnolpharmacol.(1995) Nov. 49(1), 33-39; 메탄올 추출물) 및 Vlasenko et al.(Farmatsiia.(1972) Sept.-Oct. 21(5), 46-47; 알콜성 추출물)에 의해 개시된다. Singh et al.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40247660 호는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올레안드린의 단백질 안정화 리포좀 제형의 제조를 개시한다. Singh et al.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50026849 호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올레안드린의 수용성 제형을 개시한다. Singh et al.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40082521 호는 열탕 추출물로부터 올레안드린의 단백질 안정화 나노 입자 제형의 제조를 개시한다.
추출물은 또한 그들의 다당류 및 탄수화물 함량에서 상이하다. 열탕 추출물은 글루코스로 제조된 표준 곡선에 비해 407.3 글루코스 당량의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한편, SCF CO2 추출물의 분석은 정량 한계 미만인 매우 낮은 수준에서 발견된 탄수화물 수준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네리움 올리앤더의 열탕 추출물에서의 탄수화물의 양은 SCF CO2 추출물에서의 그것보다 적어도 100 배 이상 더 많았다. SCF 추출물의 다당류 함량은 0 %, <0.5 %, <0.1 %, <0.05 % 또는 <0.01 %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SCF 추출물은 식물 덩어리(mass)의 추출 동안 수득된 다당류를 배제한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01
SCF CO2 추출물 및 열탕 추출물의 부분 조성은 JEOL AccuTOF-DART 질량 분석기(JEOL USA, Peabody, MA, USA)에서 DART TOF-MS(비행시간 질량 분광계 실시간 직접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다.
네리움 종 또는 테베티아(Thevetia) 종의 SCF 추출물은 약리학적 활성 화합물, 예컨대 올레안드린 및 트리테르펜의 혼합물이다. SCF 공정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은 주위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물-불용성인 점성 반고체(용매를 제거한 후)이다. SCF 추출물은 다양한 상이한 범위의 물 용해도를 갖는 많은 상이한 성분을 포함한다. 초임계 유체 공정으로부터의 추출물은 0.9 내지 2.5 중량 %의 올레안드린 또는 1.7 내지 2.1 중량 %의 올레안드린 또는 1.7 내지 2.0 중량 %의 올레안드린을 이론적으로 함유한다. 다양한 양의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는 SCF 추출물이 얻어졌다. 일 실시 예에서, SCF 추출물은 약 2 중량 %의 올레안드린을 포함한다. SCF 추출물은 열탕 추출물보다 3-10 배 더 높은 농도의 올레안드린을 함유한다. 이는 HPLC 및 LC/MS/MS(탠덤 질량 분석)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SCF 추출물은 올레안드린 및 트리테르펜 올레아놀산, 베툴린산 및 우르솔산 및 본원에 기재된 다른 성분을 포함한다. 올레안드린 및 트리테르펜의 함량은 배치마다 다를 수 있지만; 그 변동 정도는 과도하지 않다. 예를 들어, SCF 추출물(PBI-05204)의 배치를 이들 4 가지 성분에 대해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각각의 대략적인 양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02
개별 성분의 함량은 지시된 값에 비해 ± 25 %, ± 20 %, ± 15 %, ± 10 % 또는 ± 5 %만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SCF 추출물에서의 올레안드린의 함량은 SCF 추출물 mg 당 20mg ± 5mg(이는 20mg의 ± 25 %임)의 범위내에 있을 것이다.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이들의 유도체는 또한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www.sigmaaldrich.com; St. Louis, MO, USA))로부터 구매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명명된 트리테르펜은 각각의 경우에 그들의 천연(변형되지 않은, 유리 산) 형태, 염 형태, 유도체 형태, 프로드러그 형태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중수소화 형태의 트리테르펜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방법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올레아놀산 유도체, 프로드러그 및 염은 2015 년 1 월 8 일에 공개된 Gribble et al.의 US 20150011627 A1, 2014 년 11 월 20 일에 공개된 Rong et al.의 US 20140343108 A1, 2014 년 11 월 20 일에 공개된 Xu et al.의 US 20140343064 A1, 2014 년 6 월 26 일에 공개된 Anderson et al.의 US 20140179928 A1, 2014 년 4 월 10 일에 공개된 Bender et al.의 US20140100227 A1, 2014 년 3 월 27 일에 공개된 Jiang et al.의 US 20140088188 A1, 2014 년 3 월 27 일에 공개된 Jiang et al.의 US 20140088163 A1, 2014년 3월 6일에 공개된 Jiang et al.의 US 20140066408 A1, 2013 년 11 월 28 일에 공개된 Anderson et al.의 US 20130317007 A1, 2013 년 11 월 14 일에 공개된 Gribble et al.의 US20130303607 A1, 2012 년 9 월 27 일에 공개된 Anderson et al.의 US 20120245374, 2012년 9월 20일에 공개된 Jiang et al.의 US 20120238767 A1, 2012년 9월 20일에 공개된 Shode et al.의 US 20120237629 A1, 2012년 8월 23일에 공개된 Anderson et al.의 US 20120214814 A1, 2012 년 6 월 28 일에 공개된 Lee et al.의 US 20120165279 A1, 2011 년 12 월 1 일에 공개된 Arntzen et al.의 US 20110294752 A1, 2011 년 4 월 21 일에 공개된 Majeed et al.의 US 20110091398 A1, 2010 년 7 월 29 일에 공개된 Arntzen et al.의 US 20100189824 A1, 2010 년 2 월 25 일에 공개된 Jiang et al.의 US 20100048911 A1, 2006 년 4 월 6 일에 공개된 Arntzen et al.의 US 20060073222 A1에 개시되어 있고, 그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우르솔산 유도체, 프로드러그 및 염은 2015 년 1 월 8 일에 공개된 Gribble et al.의 US 20150011627 A, 2013 년 11 월 14 일에 공개된 Gribble et al.의 US 20130303607 A1, 2015 년 8 월 6 일에 공개된 Yoon et al.의 US 20150218206 A1, 2004 년 11 월 30 일에 발행된 Fritsche et al.의 US 6824811, 2010 년 5 월 8 일에 발행된 Ochiai et al.의 US 7718635, 2014 년 5 월 20 일에 발행된 Lin et al.의 US 8729055, 및 2015 년 9 월 1 일에 발행된 Yoon et al.의 US 9120839에 개시되어 있고, 그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베툴린산 유도체, 프로드러그 및 염은 2015 년 1 월 8 일에 공개된 Gribble et al.의 US 20150011627 A, 2013 년 11 월 14 일에 공개된 Gribble et al.의 US 20130303607, 2012 년 9 월 20 일에 공개된 Shode et al.의 US 20120237629 A1, 2017 년 7 월 20 일에 공개된 Regueiro-Ren et al.의 US 20170204133 A1, 2017 년 4 월 6 일에 공개된 Nitz et al.의 US 20170096446 A1, 2015 년 11 월 26 일에 공개된 Parthasaradhi Reddy et al의 US 20150337004 A1, 2015 년 4 월 30 일에 공개된 Parthasaradhi Reddy et al.의 US 20150119373 A1, 2014 년 10 월 2 일에 공개된 Yan et al.의 US 20140296546 A1, 2014 년 8 월 28 일에 공개된 Swidorski et al.의 US 20140243298 A1, 2014 년 8 월 7 일에 공개된 Parthasaradhi Reddy et al.의 US 20140221328 A1. 2014 년 3 월 6 일에 공개된 Leunis et al.의 US 20140066416 A1, 2013 년 3 월 14 일에 공개된 Durst et al.의 US 20130065868 A1, 2013 년 1 월 31 일에 공개된 Regueiro-Ren et al.의 US 20130029954 A1, 2012 년 11 월 29 일에 공개된 Zhang et al.의 US 20120302530 A1, 2012 년 8 월 23 일에 공개된 Power et al.의 US 20120214775 A1, 2012 년 4 월 26 일에 공개된 Honda et al.의 US 20120101149 A1, 2011 년 9 월 15 일에 공개된 Bullock et al.의 US 20110224182 A1, 2011 년 12 월 22 일에 공개된 Hemp et al.의 US 20110313191 A1, 2011 년 9 월 15 일에 공개된 Pichette et al.의 US 20110224159 A1, 2011 년 9 월 8 일에 공개된 Parthasaradhi Reddy et al.의 US 20110218204, 2009 년 8 월 13 일에 공개된 Safe et al.의 US 20090203661 A1, 2009 년 5월 21 일에 공개된 Krasutsky et al.의 US 20090131714 A1, 2009 년 3 월 19 일에 공개된 Krasutsky et al.의 US 20090076290, 2009 년 3 월 12 일에 공개된 Leunis et al.의 US 20090068257 A1, 2008 년 11 월 27 일에 공개된 Mukherjee et al.의 US 20080293682, 2007 년 3 월 29 일에 공개된 Pezzuto et al.의 US 20070072835 A1, 2006 년 11 월 9 일에 공개된 Jansen et al.의 US 20060252733, 2006 년 11 월 9 일에 공개된 O'Neill et al.의 US 2006025274 A1에 개시되어 있고, 그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비경구, 귀, 눈, 코, 흡입, 입(buccal), 설하, 장, 국소(topical), 입, 경구 및 주사 가능한 제형이 특히 유용하다. 특정 제형은 고체 또는 액체 제형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적합한 제형은 정제, 캡슐, 알약, 캐플릿, 트로키(troche), 샤시(sache), 용액, 현탁액, 분산액, 바이알, 백, 병, 주사액, i.v.(정맥 내), i.m.(근육 내) 또는 i.p.(복강 내) 투여 가능한 액체 및 제약 과학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제형을 포함한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적합한 제형은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본원에 기재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또한 Pi et al.(Cur. Drug Deliv.(Mar 2016), 13(8), 1358-1366에서의 "용출률 및 생체 이용률 향상을 위한 우르솔산 나노 결정: 상이한 입자 크기의 영향"), Yang et al.(Int. J. Nanomed.(2013), 8(1), 2917-2926에서의 "올레아놀산의 경구 생체 이용률 향상을 위한 자가 미세 유화 약물 전달 시스템: 설계 및 평가"), Li et al.(Biol. Pharm. Bull.(2014), 37(6), 926-937에서의 "실험 설계로 습식 볼 밀링에 의해 제조된 최적화된 수크로스 에스테르 안정화 올레아놀산 나노 현탁액의 개발 및 평가"), Zhang et al.(J. Pharm. Sci.(June 2014), 103(6), 1711-1719)의 "지질 나노스피어를 통한 트리테르펜의 경구 생체 이용률 향상: 제조, 특성화 및 흡수 평가"), Godugu et al.(PLoS One(Mar 2014), 9(3):e89919에서의 "새로운 항암제 베르베린 및 베툴린산의 경구 생체 이용률 및 효과 개선 방법"), Zhao et al.(Drug Deliv.(Sep 2014), 21(6), 467-479에서의 "반 용매 침전에 의한 경구 저혈당 약물에 대한 베툴린 나노 입자의 제조 및 특성"), Yang et al.(Food Chem.(May 2012), 132(1), 319-325에서의 "초임계 반-용매(SAS) 공정을 이용한 우르솔산 나노 입자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경구 생체 이용률"), Cao et al.(Mol. Pharm.(Aug. 2012), 9(8), 2127-2135에서의 "PEPT1-매개 수송을 위한 올레아놀산의 에틸렌 글리콜-링크된 아미노산 디에스테르 프로드러그: 합성, 장 투과성 및 약동학"), Li et al.(Parm. Res.(Aug 2011), 28(8), 2020-2033)에서의 "올레아놀산의 수크로스 에스테르-안정화 나노 현탁액의 제조, 생물학적 및 약동학적 연구"), Tong et al.(Int. J. Pharm.(Feb 2011), 404(1-2), 148-158에서의 "올레아놀산, BCS 클래스 IV 화합물의 용해 및 경구 생체 이용률 향상을 위해 폴리 비닐피롤리돈 및 소듐캡레이트에 의한 스프레이 동결 건조"), Xi et al.(AAPS PharmSciTech(2009), 10(1), 172-182에서의 "올레아놀산의 자기 나노 유화 약물 전달 시스템의 제형 개발 및 생체 이용률 평가", Chen et al.(J. Pharm. Pharmacol.(Feb 2005), 57(2), 259-264에서의 "올레아놀산 나노 현탁액: 제조, 시험관내 특성화 및 개선된 간 보호 효과")에 기재되어 있고, 이의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적합한 제형은 또한 2012 년 5 월 29 일 발행된 Addingington의 US 8187644 B2, 2008 년 7 월 22 일에 발행된 Addington의 US 7402325 B2, 2013 년 3 월 12 일 발행된 Addington et al.의 US 8394434 B2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이의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실시 예 13-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합한 제형이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유효량 또는 치료적으로 관련된 양의 항 바이러스 화합물(강심 배당체, 트리테르펜 또는 이들의 조합)이 구체적으로 고려된다. 용어 "유효량"은 약제학적 유효량이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약제학적 유효량은 요구되거나 원하는 치료 반응에 충분한 활성 성분의 양, 즉, 환자에게 투여될 때 상당한 생물학적 반응을 이끌어 내기에 충분한 양이다. 상당한 생물학적 반응은 활성 물질의 단일 또는 다중 투여량을 투여한 결과 발생할 수 있다. 투여량은 하나 이상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환자에 대한 특정 투여량 수준은 치료중인 징후, 징후의 중증도, 환자 건강, 연령, 성별, 체중, 식이, 약리학적 반응, 사용된 특정 제형, 그리고 다른 그러한 요인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짐을 이해할 것이다.
경구 투여를 위한 바람직한 투여량은 단일 투여량으로 1 회 내지 10 회의 제형이 투여될 수 있지만, 최대 5 개의 제형이다. 예시적인 제형은 투여 당 총 0.1 내지 500 mg(1 내지 10 투여 수준)에 대해, 제형 당 0.01 내지 100 mg 또는 0.01 내지 100 마이크로그램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투여량은 대상체에서 특정 치료 반응 또는 임상적 이점을 달성하도록 미리 결정 및/또는 조정될 수 있는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될 것이다.
강심 배당체는 대상체에게 20 내지 100 마이크로그램, 12 마이크로그램 내지 300 마이크로그램, 또는 12 마이크로그램 내지 120 마이크로그램의 올레안드리인의 초기 투여량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제형내에 존재할 수 있다. 제형은 올레안드린의 20 내지 100 마이크로그램, 0.01 마이크로그램 내지 100 mg 또는 0.01 마이크로그램 내지 100 마이크로그램의 올레안드린, 올레안드린 추출물 또는 올레안드린을 함유하는 네리움 올리앤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항 바이러스제는 경구 제형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제형의 일부 실시 예는 장용(enteric) 코팅되지 않고, 0.5 내지 1 시간 이하의 기간 내에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복용량을(charge) 방출한다. 제형의 일부 실시 예는 장용 코팅되고, 예를 들어 공장(jejunum), 회장(ileum), 소장 및/또는 대장(콜론)으로부터와 같이, 위의 하류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복용량을 방출한다. 장용 코팅된 제형은 경구 투여 후 1-10 시간 내에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전신 순환계로 방출할 것이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급속 방출, 즉시 방출, 제어 방출, 지속 방출, 장기적 방출, 연장 방출, 파열 방출, 연속 방출, 슬로우 방출 또는 펄스 방출 제형, 또는 이러한 방출 유형들 중 2개 이상을 나타내는 제형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제형으로부터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방출 프로파일은 0 차, 유사-0 차, 1 차, 유사-1 차 또는 S자형(sigmoidal) 방출 프로파일일 수 있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이 투여되는 대상체에서 트리테르펜에 대한 혈장 농도 프로파일은 하나 이상의 최대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인간 임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올레안드린의 투여량의 50 % 내지 75 %가 경구 생체 이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제형 당 올레안드린의 10 내지 20 마이크로그램, 20 내지 40 마이크로그램, 30 내지 50 마이크로그램, 40 내지 60 마이크로그램, 50 내지 75 마이크로그램, 75 내지 100 마이크로그램을 제공할 것이다. 성인 인간에서 5 리터의 평균 혈액량을 감안할 때, 예상되는 올레안드린 혈장 농도는 0.05 내지 2 ng/ml, 0.005 내지 10 ng/mL, 0.005 내지 8 ng/mL, 0.01 내지 7 ng/mL, 0.02 내지 7 ng/mL, 0.03 내지 6 ng/mL, 0.04 내지 5 ng/mL, 또는 0.05 내지 2.5 ng/mL의 범위일 것이다. SCF 추출물에 존재하는 권장 일일 투여량의 올레안드린은 일반적으로 1 일 2 회, kg 체중 당 약 0.2 내지 약 4.5 마이크로그램이다. 올레안드린의 투여량은 약 0.2 내지 약 1 마이크로그램/kg 체중/일, 약 0.5 내지 약 1.0 마이크로그램/kg 체중/일, 약 0.75 내지 약 1.5 마이크로그램/kg 체중/일, 약 1.5 내지 약 2.52 마이크로그램/kg 체중/일, 약 2.5 내지 약 3.0 마이크로그램/kg 체중/일, 약 3.0 내지 4.0 마이크로그램/kg 체중/일 또는 약 3.5 내지 4.5 마이크로그램 올레안드린/kg 체중/일일 수 있다. 올레안드린의 최대 허용 투여량은 약 3.5 마이크로그램/kg 체중/일 내지 약 4.0 마이크로그램/kg 체중/일일 수 있다. 최소 유효 투여량은 약 0.5 마이크로그램/일, 약 1 마이크로그램/일, 약 1.5 마이크로그램/일, 약 1.8 마이크로그램/일, 약 2 마이크로그램/일, 또는 약 5 마이크로그램/일일 수 있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존재하는 트리테르펜의 조합 및 그것들이 존재하는 몰비로 인해 저투여량 내지 고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인간에 대한 치료 유효 투여량은 체중 Kg 당 약 100-1000 mg 또는 100-1000 마이크로그램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이다. 이러한 투여량은 24 시간 동안 최대 10 회까지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투여 범위가 아래에 지정되어 있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03
본원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제형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계면 활성제 및 물 혼화성 용매, 또는 계면 활성제와 물 불혼화성 용매 둘 모두로서 작용할 수 있다.
액체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액체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담체는 수성, 비-수성, 극성, 비-극성 및/또는 유기 담체일 수 있다. 액체 담체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물 혼화성 용매, 물 불혼화성 용매, 물, 완충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수용성 용매"또는 "물 혼화성 용매"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물과 2 상 혼합물을 형성하지 않거나, 또는 물에 충분히 용해되어 액상의 분리없이 5 % 이상의 용매를 함유하는 수성 용매 혼합물을 제공하는 유기 액체를 지칭한다. 용매는 인간 또는 동물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하다. 예시적인 수용성 용매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PEG(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400(폴리(에틸렌 글리콜, 이는 약 400의 대략적인 분자량을 가짐), 에탄올, 아세톤, 알칸올, 알코올,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아세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PVP(폴리(비닐 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피리딘, 프로판올, N-메틸아세트아미드, 부탄올, 용해액( 2-피롤리돈), 파마솔브(N-메틸-2-피롤리돈)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물 불용성 용매"또는 "물 불혼화성 용매"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물과 2 상 혼합물을 형성하거나, 또는 물내의 용매의 농도가 5 %를 초과할 때 상 분리를 제공하는 유기 액체를 지칭한다. 용매는 인간 또는 동물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하다. 예시적인 물 불용성 용매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중간 사슬/장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피마자유, 옥수수 유, 비타민 E, 비타민 E 유도체, 올레산, 지방산, 올리브 오일, 소프티잔(softisan) 645(디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스테아레이트/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 아디페이트), 미글리올, 캡텍스(Captex 350: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로레이트 트리글리세리드; Captex 355: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트리글리세리드; Captex 355 EP/NF: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한다.
적합한 용매는 "산업용 Q3C 불순물에 대한 인간 사용(ICH) 약물 등록을 위한 기술 요구 사항의 조화에 관한 국제 회의 지침: 잔류 용매"(1997)에 열거되어 있으며, 이는 잔류 용매의 어느 정도의 양이 의약품에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는지를 권고한다. 예시적인 용매는 클래스 2 또는 클래스 3 용매로 열거된다. 클래스 3 용매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아세톤, 아니솔, 1-부탄올, 2-부탄올, 부틸 아세테이트, tert-부틸메틸 에테르, 쿠멘, 에탄올, 에틸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포르 메이트, 포름산, 헵탄,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메틸-1-부탄올, 메틸에틸 케톤, 메틸이소부틸 케톤, 2-메틸-1-프로판올, 펜탄, 1-펜탄 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또는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물 불혼화성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물질은 다음의 물질들, 즉 캡텍스 100: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캡텍스 200: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캡텍스 200 P: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로카프레이트; 캡텍스 300: 글리세릴 트리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캡텍스 300 EP/NF: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리드; 캡텍스 350: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로레이터(Laurate); 캡텍스 355: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캡텍스 355 EP/NF: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리드; 캡텍스 500: 트리아세틴; 캡텍스 500 P: 트리아세틴(Pharmaceutical Grade); 캡텍스 800: 프로필렌 글리콜 디(2-에티텍사노에이트); 캡텍스 810 D: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리놀레에이트; 캡텍스 1000: 글리세릴 트리카프레이트; 캡텍스 CA: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리드; 캡텍스 MCT-170: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리드; 캡물(Capmul) GMO: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캡물 GMO-50 EP/NF: 글리세릴 모노올레 에이트; 캡물 MCM: 중간 사슬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캡물 MCM C8: 글리세릴 모노 카프릴레이트; 캡물 MCM C10: 글리세릴 모노카프레이트; 캡물 PG-8: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캡물 PG-12: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카프롤(Caprol) 10G10O: 데카글리세롤 데카올레에이트; 카프롤 3GO: 트리글리세롤 모노 올레에이트; 카프롤 ET: 혼합 지방산의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카프롤 MPGO: 헥사 글리세롤 디올레에이트; 카프롤 PGE 860: 데카글리세롤 모노-, 디올레에이트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계면 활성제"는 극성 또는 하전 친수성 부분뿐만 아니라 비극성 소수성(친유성) 부분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즉, 계면 활성제는 양쪽 친매성이다. 계면 활성제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지칭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가용화제, 유화제 또는 분산제일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일 수 있다.
친수성 계면 활성제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친수성 계면 활성제일 수 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지만, 비-이온성 친수성 계면 활성제가 현재 바람직하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이들 비-이온성 친수성 계면 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약 10보다 큰 HLB 값을 가질 것이다. 친수성 계면 활성제의 혼합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유사하게, 소수성 계면 활성제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소수성 계면 활성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합한 소수성 계면 활성제는 약 10 미만의 HLB 값을 가질 것이다. 소수성 계면 활성제의 혼합물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추가의 적합한 가용화제의 예는 알코올 및 폴리올, 예컨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벤질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및 이의 이성질체,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트랜스큐톨, 디메틸 이소 소르비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다른 셀룰로오스 유도체, 시클로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평균 분자량이 약 200 내지 약 60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에테르, 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알코올 PEG 에테르(글리코푸롤, 이는 BASF로부터 상표명 Tetraglycol로 시판됨) 또는 메톡시 PEG(Union Carbide); 아미드, 예컨대 2-피롤리돈, 2-피페리돈, 카프로락탐, N-알킬피롤리돈, N-하이드록시알킬피롤리돈, N-알킬피페리돈, N-알킬카프로락탐,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트리부틸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리에틸시트 레이트,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에틸시트레이트, 에틸 올레에이트, 에틸 카프릴레이트, 에틸 부티레이트, 트리아세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카프로락톤 및 이의 이성질체, 발레로락톤 및 이의 이성질체, 부티로락톤 및 이의 이성질체; 및 당 업계에 공지된 다른 가용화제, 예컨대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디메틸 이소소르비드(Arlasolve DMI(ICI)), N-메틸 피롤리돈(Pharmasolve(ISP)), 모노옥타노인, 디에틸렌 글리콜 노노에틸 에테르(이는 상품명 Transcutol로 Gattefosse로부터 입구 가능함), 및 물을 포함한다. 가용화제의 혼합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지시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원에 언급된 화합물은 표준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쉽게 입수할 수 있다.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조성물 또는 제형은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 하나 이상의 보존제,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 하나 이상의 흡착제, 하나 이상의 산성화제, 하나 이상의 알칼리화제, 하나 이상의 소포제, 하나 이상의 완충제,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전해질, 하나 이상의 염,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 하나 이상의 장성(tonicity) 개질제, 하나 이상의 희석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고정 유, 땅콩 유, 참기름, 면실유, 옥수수 유 및 올리브유와 같은 오일; 올레산, 스테아르산 및 이소스테아르 산과 같은 지방산; 에틸 올레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지방산 글리세리드 및 아세틸화된 지방산 글리세리드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또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헥사데실 알코올,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알코올; 2,2-디메틸-1,3-디옥솔란-4-메탄올과 같은 글리세롤 케탈; 폴리(에틸렌 글리콜) 450과 같은 에테르; 미네랄 오일 및 바셀린과 같은 석유 탄화수소; 물;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계면 활성제, 현탁제 또는 유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약 제형 분야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능 또는 목적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명명된 화합물이 한 번만 언급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하나 이상의 용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그 목적 또는 기능은 단지 명명된 목적 또는 기능(들)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형의 하나 이상의 성분은 그의 유리 염기, 유리 산 또는 약제학적으로 또는 분석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약제학적으로 또는 분석학적으로 허용되는 허용되는 염"은 이온 결합된 쌍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이를 산과 반응시켜 개질된 화합물을 지칭한다. 허용되는 염의 예는 예를 들어 비-독성 무기 또는 유기 산으로부터 형성된 종래의 비-독성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비-독성 염은 무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설폰산, 설 팜산, 인산, 질산 및 기타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들을 포함한다. 염은 유기산, 예컨대 아미노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숙신산, 글리콜산, 스테아르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파모산, 말레산, 히드록시말레산, 페닐아세트산, 글루탐산, 벤조산, 살리실산, 설파닐산, 2-아세톡시벤조산, 푸마르산, 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에탄 디술폰산, 옥살산, 이세티온산 및 기타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들로부터 제조된다. 한편, 약리학적 활성 성분이 산 작용기를 갖는 경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가 첨가되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한다. 다른 적합한 염의 목록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th(ed., Mack Publishing Company, PA, Easton, 1985, p. 1418)에서 찾을 수 있는데, 그 관련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이라는 문구는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다른 문제나 합병증없이 합리적인 이익/위험율에 비례하여, 인간 및 동물의 조직과의 접촉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 재료, 조성물 및/또는 제형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형은 제약 산업에 공지된 임의의 종래의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액체 제형은 용기에 하나 이상의 액체 담체 및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부형제가 액체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고체 제형은 하나 이상의 고체 담체 및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부형제가 고형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제형은 종래의 포장 장비 및 재료를 사용하여 포장될 수 있다. 제형은 팩, 병, 비아, 백, 주사기, 엔벨로프, 패킷, 블리스터 팩, 박스, 앰플 또는 다른 용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제형은 고체 또는 액체 제형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적합한 제형은 정제, 캡슐, 알약, 캐플릿, 트로 키, 샤시 및 제약 과학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제형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 및 하기 실시 예에 비추어 볼 때,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없이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실시를 위한 특정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는 하기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이들 예에 대한 모든 언급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하기 실시 예는 배타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는 많은 실시 예들 중 일부만을 예시할 뿐이다.
실시 예 1
분말 올리앤더(oleander, 협죽도) 잎의 초임계 유체 추출
방법 A. 이산화탄소와 함께
분말 올리앤더 잎은 올리앤더 잎 재료를 수확, 세척 및 건조시킨 후, 올리앤더 잎 재료를 예컨대 미국 특허 제 5,236,132 호, 제 5,598,979 호, 제 6,517,015 호 및 제 6,715,705 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분쇄 및 탈수 장치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준비하였다. 사용된 출발 물질의 중량은 3.94 kg이었다.
출발 물질을 추출기 장치에서 300 bar(30 MPa, 4351 psi)의 압력 및 50 ℃(122ºF)의 온도에서 순수한 CO2와 혼합하였다. 총 197 kg의 CO2를 사용하여 용매 대 원료의 비가 50:1이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CO2와 원료의 혼합물을 분리기 장치에 통과시켜, 혼합물의 압력과 온도를 변경하고, 추출물을 이산화탄소로부터 분리하였다.
추출물(65 g)은 향이 좋은 갈색의 끈적 끈적한 점성 물질로서 수득되었다. 엽록소 및 기타 잔류 발색 화합물로 인해 컬러가 야기되었을 수 있다. 정확한 수율 측정을 위해, 튜브 및 분리기를 아세톤으로 헹구고, 아세톤을 증발시켜 추출물의 추가 9 g을 수득하였다. 총 추출량은 74g이었다. 출발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추출물의 수율은 1.88 %였다. 추출물 중의 올레안드린의 함량은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560.1 mg, 또는 0.76 %의 수율로 계산되었다.
방법 B.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의 혼합물과 함께
분말 올리앤더 잎은 올리앤더 잎 재료를 수확, 세척 및 건조시킨 후, 올리앤더 잎 재료를 예컨대 미국 특허 제 5,236,132 호, 제 5,598,979 호, 제 6,517,015 호 및 제 6,715,705 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분쇄 및 탈수 장치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준비하였다. 사용된 출발 물질의 중량은 3.85 kg이었다.
출발 물질을 추출기 장치에서 280 bar(28 MPa, 4061 psi)의 압력 및 50 ℃(122ºF)의 온도에서 개질제로서 순수한 CO2 및 5 % 에탄올과 혼합하였다. 총 160kg의 CO2와 8kg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용매 대 원료의 비가 43.6 대 1이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CO2, 에탄올 및 원료의 혼합물을 분리기 장치를 통해 통과시켜, 혼합물의 압력과 온도를 변경하고, 추출물을 이산화탄소로부터 분리하였다.
추출물(207 g)은 에탄올을 제거한 후, 명백하게 약간의 엽록소를 함유하는 짙은 녹색의 끈적 끈적한 점성 덩어리로서 수득되었다. 출발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추출물의 수율은 5.38 %였다. 추출물 중의 올레안드린의 함량은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1.89 g, 또는 0.91 %의 수율로 계산되었다.
실시 예 2
분말 올리앤더 잎의 열탕(hot-water) 추출.
(비교 예)
열탕 추출은 전형적으로 올리앤더 잎으로부터 올레안드린 및 다른 활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열탕 추출 공정의 예는 미국 특허 제 5,135,745 호 및 제 5,869,060 호에서 찾을 수 있다.
5 g의 분말 올리앤더 잎을 사용하여 열탕 추출을 수행하였다. 분말화된 올리앤더 잎에(올리앤더 출발 물질의 중량 기준) 10 부피의 끓는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 시간 동안 일정하게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고, 잎 잔류 물을 수집하고, 동일한 조건 하에서 다시 추출하였다. 여과액을 합하고 동결 건조시켰다. 추출물의 외관은 갈색이었다. 건조된 추출물 물질의 무게는 약 1.44g이었다. 추출 물질 34.21 mg을 물에 용해시키고,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올레안드린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올레안드린의 양은 3.68 mg으로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한 올레안드린 수율은 0.26 % 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실시 예 3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크레모포르(Cremophor)-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지시된 양으로 제공되었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04
부형제를 병에 분배하고, 뉴 브런즈윅 사이언티픽 C24KC 냉장 인큐베이터 셰이커내에서 60 ℃에서 24 시간 동안 흔들어서 균질성을 확보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따라서 용해화를 육안으로 검사하였다. 부형제 및 항 바이러스 조성물 둘 모두는 24 시간 후에 모든 제형에 대해 완전히 용해되었다.
방법 B. GMO/크레모포르-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지시된 양으로 제공되었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05
방법 A의 절차를 따랐다.
방법 C. 라브라솔(Labrasol)-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지시된 양으로 제공되었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06
방법 A의 절차를 따랐다.
방법 D. 비타민 E-TPGS 기반 미셀 형성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지시된 양으로 제공되었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07
방법 A의 절차를 따랐다.
방법 E. 다-성분 약물 전달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지시된 양으로 제공되었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08
방법 A의 절차를 따랐다.
방법 F. 다-성분 약물 전달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캡슐에 포함된 것으로 표시된 양으로 제공되었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09
방법 A의 절차를 따랐다.
실시 예 4
장용 코팅된(enteric coated) 캡슐의 제조
단계 I:액체-충전 캡슐의 제조
경질 젤라틴 캡슐(50 카운트, 00 크기)을 실시 예 3의 액체 조성물로 충전하였다. 이들 캡슐을 800mg의 제형으로 수동으로 충전한 다음, 50 % 에탄올/50 % 수용액과 함께 손으로 밀봉하였다. 이어서, 캡슐을 하기 지시된 양으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22 % 젤라틴 용액과 함께 손으로 밴딩하였다(banded).
Figure 112020026418670-pct00010
젤라틴 용액을 완전히 혼합하고 1-2 시간 동안 팽윤시켰다. 팽창 기간 후, 용액을 단단히 덮고 55 ℃ 오븐에 넣고 액화시켰다. 전체 젤라틴 용액이 액체가 되면 밴딩(banding)을 수행하였다
뾰족한 둥근 3/0 아티스트 브러쉬를 사용하여, 젤라틴 용액을 캡슐에 페인트하였다. 시오노기(Shionogi)에 의해 제공되는 밴딩 키트를 사용했다. 밴딩 후, 밴드를 경화시키기 위해 캡슐을 주위 조건에서 12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단계 II:액체-충전 캡슐의 코팅
하기 표에 열거된 성분으로부터 코팅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11
단계 I에 따른 밴딩 캡슐을 사용하는 경우, 분산액을 20.0 mg/cm2 코팅 수준으로 캡슐에 도포하였다. 캡슐을 코팅하기 위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12
* 스프레이 노즐은 노즐과 스프레이 경로가 유입 공기의 흐름 경로하에 있도록 설정되었다.
실시 예 5
대상체에서 지카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방법 A. 항 바이러스 조성물 요법
지카바이러스 감염을 나타내는 대상체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로 처방되고, 치료적으로 관련 투여량은 일정 기간 동안의 소정의 투여 요법에 따라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대상체의 치료 반응 수준은 주기적으로 결정된다. 치료 반응 수준은 혈액 또는 혈장에서 대상체의 지카바이러스 적정 농도(titre)를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한 번의 투여량에서 치료 반응 수준이 너무 낮으면, 대상체에서의 원하는 치료 반응 수준이 달성될 때까지 미리 정해진 투여량 증가 스케쥴에 따라 투여량이 증가된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이용한 대상체의 치료는 필요에 따라 계속되고, 환자가 원하는 임상 종점에 도달할 때까지 투여량 또는 투여 요법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방법 B. 병용 요법:다른 약제를 갖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지카바이러스 감염 또는 그 증상의 치료를 위해 대상체에게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를 처방하고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방법 A를 따른다. 이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가 항 바이러스 조성물과 함께, 또는 그 투여 이전 또는 이후에 투여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투여량 증량(또는 감량)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 6
지카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항 바이러스 활성의 시험관 내 평가
방법 A. 순수한 화합물
베로 E6 세포(Vero C1008 세포로도 알려짐, ATTC No. CRL-1586; https://www.atcc.org/Products/All/CRL-1586.aspx)는 강심 배당체의 존재 하에서 0.2의 MOI(다중 감염)로 ZIKV(지카바이러스 균주 PRVABC59, ATCC VR-1843; https://www.atcc.org/Products/All/VR-1843.aspx)에 감염되었다. 세포를 바이러스 및 화합물과 함께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접종원 및 화합물을 폐기하였다. 세포에 새로운 배지를 제공하고 48 시간 동안 배양한 후, 포르말린으로 고정하고 ZIKV 감염을 위해 착색되었다. 신티그라피(scintigraphy)에 의해 결정된 올레안드린(도 1a) 및 디곡신(도 1b)의 대표적인 감염률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화합물은 동일한 조건에서 평가되며, 지카바이러스에 대해 매우 다양한 수준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다.
방법 B. 추출물 형태의 화합물
시험되는 표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은 추출물의 양이 추출물 중의 표적 화합물의 양으로 정규화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방법 A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평가된다. 예를 들어, 2 중량 %의 올레안드린을 함유하는 추출물은 1 mg의 추출물 당 20 마이크로그램의 올레안드린을 함유한다. 따라서, 평가를 위한 의도된 양의 올레안드린이 20 마이크로그램이면, 1 mg의 추출물이 분석에 사용될 것이다.
실시 예 7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3 % 실로이드(Syloid) 244FP 및 97 % 미정질 셀룰로오스(MCC)의 초기 정제 혼합물을 혼합하였다. 이어서, 실시 예 3에 따라 제조된 기존의 배치 조성물을 습식 제립법(wet granulation)을 통해 실로이드/MCC 혼합물에 혼입시켰다. 이 혼합물은 아래 표에서 "초기 정제(tabletting) 혼합물"로 표시되어 있다. 추가적인 MMC가 압축률을 높이기 위해 추가-과립으로 첨가되었다. 초기 정제 혼합물에 대한 이러한 첨가는 "추가-과립(extragranular) 첨가"로 표시되어 있다. 추가-과립 첨가로부터의 결과적인 혼합물은 "최종 정제 혼합물"과 동일한 조성이었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13
Figure 112020026418670-pct00014
Figure 112020026418670-pct00015
실로이드 244FP는 그레이스 데이비슨(Grace Davison)에 의해 제조된 콜로이드 이산화 규소이다. 콜로이드 이산화 규소는 일반적으로 흡착제, 활택제(glidant) 및 정제 붕해제와 같은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실로이드 244FP는 오일에서 그 중량의 3 배를 흡착하는 능력 및 5.5 미크론 입자 크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실시 예 8
올레안드린을 함유하는 용액의 HPLC 분석
다음 조건(대칭 C18 컬럼(5.0 ㎛, 150 x 4.6 mm I.D.; 물); MeOH:물의 이동 상 = 54:46(v/v) 및 1.0 ml/분에서의 유속)을 사용하여, 샘플(올레안드린 표준 물질, SCF 추출물 및 열탕 추출물)을 HPLC(물)상에서 분석하였다.
검출 파장은 217 nm로 설정되었다. 샘플은 대략적인 목표 농도의 올레안드린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합물 또는 추출물을 고정된 양의 HPLC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되었다. 올레안드린의 머무른 시간은 내부 표준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올레안드린의 농도는 내부 표준을 사용하는 신호 반응 곡선을 개발/전개함으로써(developing), 결정/보정될 수 있다.
실시 예 9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기 방법 중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습식 또는 건식 조건하에서 혼합을 수행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조 동안 압축, 건조 또는 둘다 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방법 A.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항 바이러스 화합물과 혼합된다.
방법 B.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두 개의 항 바이러스 화합물과 혼합된다.
방법 C.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강심 배당체와 혼합된다.
방법 D.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두 개의 트리테르펜과 혼합된다.
방법 E.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강심 배당체 및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두개의 트리테르펜과 혼합된다.
방법 D.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세 개의 트리테르펜과 혼합된다.
실시 예 10
트리테르펜 혼합물의 제조
명시된 트리테르펜을 지시된 대략적인 몰비로 혼합하여, 하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16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3 개의 상이한 각각의 용액을 제조하였고, 이에 따라 각각의 용액 중 트리테르펜의 총 농도는 대략 9 μM, 18 μM 또는 36 μM이었다.
Figure 112020026418670-pct00017
실시 예 11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제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개별 트리테르펜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허용 가능한 항 바이러스 활성을 제공한 상기 제조된 트리테르펜 혼합물을 항 바이러스 조성물로 제형화하였다(formulated).
올레아놀산 및 우르솔산을 갖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공지된 양의 올레아놀산 및 우르솔산을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성분의 미리 정해진 몰비에 따라 혼합하였다. 성분은 고체 형태로 혼합되거나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프로판올,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메틸피롤리돈(NMP),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내에서 혼합되었다. 생성된 혼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대 몰비로 성분을 함유하였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가 약리학적 활성 제제와 혼합되었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포유동물에게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올레아놀산 및 베툴린산을 갖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공지된 양의 올레아놀산 및 베툴린산을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성분의 미리 정해진 몰비에 따라 혼합하였다. 성분은 고체 형태로 혼합되거나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프로판올,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메틸피롤리돈(NMP),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내에서 혼합되었다. 생성된 혼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대 몰비로 성분을 함유하였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가 약리학적 활성 제제와 혼합되었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포유동물에게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및 베툴린산을 갖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공지된 양의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및 베툴린산을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성분의 미리 정해진 몰비에 따라 혼합하였다. 성분은 고체 형태로 혼합되거나 용매, 예를 들어 용매에서 혼합되었다. 성분은 고체 형태로 혼합되거나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프로판올,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메틸피롤리돈(NMP),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내에서 혼합되었다. 생성된 혼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대 몰비로 성분을 함유하였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경우,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가 약리학적 활성 제제와 혼합되었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포유동물에게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올레아드린,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및 베툴린산을 갖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공지된 양의 올레아드린,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및 베툴린산을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성분의 미리 정해진 몰비에 따라 혼합하였다. 성분은 고체 형태로 혼합되거나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프로판올,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메틸피롤리돈(NMP),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내에서 혼합되었다. 생성된 혼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대 몰비로 성분을 함유하였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경우,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가 약리학적 활성 제제와 혼합되었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포유동물에게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실시 예 12
대상체에서 필로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예시적인 필로바이러스 감염은 에볼라바이러스 및 마르부르그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방법 A. 항 바이러스 조성물 요법
필로바이러스 감염을 나타내는 대상체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로 처방되고, 치료적으로 관련된 투여량은 일정 기간 동안 처방된 투여 요법에 따라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대상체의 치료 반응 수준은 주기적으로 결정된다. 치료 반응 수준은 혈액 또는 혈장에서 대상체의 필로바이러스 적정 농도를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한 번의 투여량에서 치료 반응 수준이 너무 낮으면, 대상체에서 원하는 치료 반응 수준이 달성될 때까지 미리 정해진 투여량 증가 스케쥴에 따라 투여량이 증가된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의한 대상체의 치료는 필요에 따라 계속되고, 환자가 원하는 임상 종점에 도달할 때까지 투여량 또는 투여 요법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방법 B. 병용 요법:다른 약제를 갖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대상체가 필로바이러스 감염 또는 그 증상의 치료를 위해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를 처방 및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방법 A를 따른다. 이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가 항 바이러스 조성물과 함께, 또는 그 투여 이전 또는 이후에 투여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투여량 증량(또는 감량)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 13
대상체에서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예시적인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은 황열병, 뎅기열, 일본 뇌염,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지카바이러스, 진드기성 뇌염, 캬사누르 삼림병, 알크후르마(Alkhurma) 질병, 치쿤군야 바이러스, 옴스크 출혈열, 포와산(Powassan)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한다.
방법 A. 항 바이러스 조성물 요법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을 나타내는 대상체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로 처방되고, 치료적으로 관련된 투여량은 일정 기간 동안 처방된 투여 요법에 따라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대상의 치료 반응 수준은 주기적으로 결정된다. 치료 반응 수준은 혈액 또는 혈장에서 대상체의 플라비바이러스 적정 농도를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한 번의 투여량에서 치료 반응 수준이 너무 낮으면, 대상체에서 원하는 치료 반응 수준이 달성될 때까지 미리 정해진 투여량 증가 스케쥴에 따라 투여량이 증가된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의한 대상체의 치료는 필요에 따라 계속되고, 환자가 원하는 임상 종점에 도달할 때까지 투여량 또는 투여 요법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방법 B. 병용 요법:다른 약제를 갖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또는 그 증상의 치료를 위해 대상체에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로 처방하고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방법 A를 따른다. 이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가 항 바이러스 조성물과 함께, 또는 그 투여 이전 또는 이후에 투여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투여량 증량(또는 감량)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 14
지카바이러스 및 뎅기 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 활성 평가
CPE-기반 항 바이러스 분석은 일정 농도 범위에서 시험 조성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표적 세포를 감염시킴으로써 수행되었다. 표적 세포의 감염은 세포 병변 효과 및 세포 사멸을 초래한다. 이러한 유형의 분석에서, 시험 조성물의 존재하에서 CPE의 감소 및 이에 상응하는 세포 생존력의 증가는 항 바이러스 활성의 지표로서 사용된다. CPE-기반 분석의 경우, 중립적 적색 판독(red readout)으로 세포 생존력을 결정하였다. 생존 세포는 그 리소좀내에 중성 적색을 포함한다. 중성 적색의 흡수는 살아있는 세포가 세포질에서 보다 리소좀 내에서 더 낮은 pH를 유지하는 능력에 의존하며, 이 활성 과정은 ATP를 필요로 한다. 리소좀 내부에 들어가면, 중성 적색 염료가 충전되어 세포 내에 유지된다. 중성 적색(0.033 %)과의 3 시간 배양 후, 세포 외 염료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세포 내 중성 적색을 50 % 에탄올 + 1 % 아세트산 용액으로 용해시켰다. 490 nm에서 각각의 웰(well)의 흡광도(광학 밀도)를 판독하여, 용액내 중성 적색의 양을 정량화하였다.
부착성(adherent) 세포주는 바이러스 패널에 대한 조성물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바이러스를 세포에 첨가하기 전에, 조성물을 표적 세포와 함께 30 분 동안 사전 배양하였다. 조성물은 감염 배양 기간 동안, 세포 배양 배지에 존재하였다. 각각의 감염 분석에 대해, 바이러스가 없는 상태에서 조성물의 세포 독성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동일한 농도의 조성물(복제물)을 사용하여 생존력 분석을 병렬적으로 수립하였다.
시험 조성물의 항 바이러스 활성은 시험 조건 하의 세포의 감염 수준(면역 염색-기반 분석) 또는 생존력(CPE-기반 분석)을, 감염되지 않은 세포의 감염 수준 또는 생존력과 비교함으로써 결정되었다. 억제제의 존재 하의 생존력을 모의-처리된 세포의 생존력과 비교함으로써, 감염되지 않은 세포에서 세포 독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세포 독성은 XTT 생존력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이는 상응하는 감염 분석을 위한 판독과 동일한 시점에서 수행되었다.
시험 조성물을 100 %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시험된 최고 농도로서 50 μM로 시작하여, 8-배 희석을 수행함으로써, 8 가지 농도의 조성물이(중복으로) 생성되었다. 조성물의 가장 높은 시험 농도(50 μM)는 배양 배지에서 0.25 % 최종 농도의 메탄올(v/v %)을 초래하였다. 8-배 희석 시리즈의 메탄올 비히클은 각 조성물 시험 조건에서 메탄올의 최종 농도를 반영하는 농도를 가지면서, 각각의 분석 플레이트에 포함되었다. 가능한 경우, 조성물의 EC50 및 CC50는 그래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각각의 분석에 대해 결정되었다.
항 바이러스 활성은 바이러스-유도된 세포 병변 효과(CPE)에 대한 보호 정도에 의해 평가되었다. 상이한 농도의 대조군 또는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세포는 바이러스로 공격 받았다. CPE에 대한 보호 정도는 감염 후 6 일(ZIKV, 지카바이러스) 또는 감염 후 7 일(DENV, 뎅기바이러스) 후에, 다른 시험 조건에서 세포 생존력을 정량화하고, 비처리된 세포와 비히클 단독으로 처리된 세포(감염 배지)의 값을 비교함으로써 모니터링하였다.
중립 분석을 위한 품질 관리가 모든 플레이트에서 수행되어: i) 신호 대 배경(S/B) 값; ii) 공지된 억제제에 의한 억제, 및 iii) 모든 데이터 포인트의 변동 계수(C.V.)에 의해 측정된 분석의 변동을 결정한다. 감염 분석의 전체 변동은 3.4 % 내지 9.5 %의 범위였으며, 생존력 분석의 전체 변동은 1.4 % 내지 3.2 %의 범위였으며, 이는 모든 C.V.값들의 평균으로 계산되었다. 감염 분석에 대한 신호 대 배경(S/B)의 범위는 2.9에서 11.0이며, 생존력 분석에 대한 신호 대 배경(S/B)의 범위는 6.5에서 29.9였다.
뉴트럴 레드 판독으로 DENV2-유도된 세포 병변 효과(CPE)의 보호: DENV2 항 바이러스 분석을 위해, 08-10381 몬세라트 균주를 사용하였다. 바이러스 스톡은 C6/36 곤충 세포에서 생성되었다. 베로 세포(Cercopithecus aethiops에서 유래한 상피 신장 세포)를 5 % FBS(MEM5)와 함께 MEM에서 유지시켰다. 감염 및 생존력 분석 모두를 위해, 세포를 96-웰 투명 평평한 바닥 플레이트에 웰당 10,000 세포로 시딩하고(seeded), MEM5에서 37 ℃에서 24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감염 당일, 샘플을 1 % 소 혈청 알부민(BSA)과 함께 MEM을 사용하여 U-바닥 플레이트에서 8-배 희석하였다. 시험 물질 희석 물을 최종 농도 1.25X로 제조하고, 40μl을 표적 세포와 함께 37 ℃에서 30 분 동안 배양하였다. 시험 물질 사전-배양 후, 1 % BSA와 함께 MEM에서 제조된 10μl의 바이러스 희석액을 각 웰에 첨가하고(웰당 50μl 최종 부피), 플레이트를 5 % CO2를 갖는 가습 인큐베이터에서 3 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바이러스의 부피는 리바비린 및 DENV2의 공지된 억제제인 화합물 A3에 의해 억제된, 선형 범위의 신호를 생성하도록 미리 결정되었다. 감염 배양 후, 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2 % FBS(MEM2)를 함유하는 MEM으로 세척하여, 비결합(unbound) 바이러스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MEM2에서 1X 농도로 제조된 억제제 희석액을 함유하는 50μl의 배지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5 % CO2)에서 7 일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바이러스가 없는 대조군( "모의-감염된"), 배지 단독으로 배양된 감염된 세포, 비히클(메탄올) 단독으로 배양된 감염된 세포, 및 세포가 없는 웰(배경을 결정하기 위해)을 분석 플레이트에 포함시켰다. 50μM 리바비린 및 0.5μM 화합물 A3을 함유하는 대조 웰을 또한 분석 플레이트 상에 포함시켰다. 감염 7 일 후, 세포 생존률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세포를 중성 적색으로 염색하였다. 감염 배지에서 일련의 8-배 희석액을 사용하여 시험 물질을 중복으로 반복해서 평가하였다. 대조군은 바이러스 없이 배양된 세포("모의-감염된"), 배지 단독으로 배양된 감염된 세포, 또는 리바비린(0.5μM) 또는 A3(0.5μM)의 존재하에 감염된 세포를 포함하였다. 메탄올 비히클만을 사용한 완전 복제 억제 곡선이 동일한 분석 플레이트 상에 포함되었다.
뉴트럴 레드 판독으로 ZIKV-유도된 세포 병변 효과(CPE)의 보호: ZIKV 항 바이러스 분석을 위해, PLCal_ZV 균주가 사용되었다. 베로 세포(Cercopithecus aethiops에서 유래한 상피 신장 세포)를 5 % FBS(MEM5)와 함께 MEM에서 유지시켰다. 감염 및 생존률 분석 모두를 위해, 세포를 96-웰 투명 평평한 바닥 플레이트에 웰당 10,000 세포로 시딩하고, MEM5에서 24 시간 동안 37 ℃로 유지시켰다. 감염 당일, 샘플을 1 % 소 혈청 알부민(BSA)과 함께 MEM을 사용하여 U-바닥 플레이트에서 8-배 희석하였다. 시험 물질 희석 물을 최종 농도 1.25X로 제조하고, 40μl를 표적 세포와 함께 37 ℃에서 30 분 동안 배양하였다. 시험 물질 사전-배양 후, 1 % BSA와 함께 MEM에서 제조된 10μl의 바이러스 희석액을 각 웰에 첨가하고(웰당 50μl 최종 부피), 플레이트를 5 % CO2의 가습 인큐베이터에서 3 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감염 배양 후, 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2 % FBS(MEM2)를 함유하는 MEM으로 세척하여, 비결합 바이러스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MEM2에서 1X 농도로 제조된 억제제 희석액을 함유하는 50μl의 배지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5 % CO2)에서 6 일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바이러스가 없는 대조군( "모의-감염된"), 배지 단독으로 배양된 감염된 세포, 비히클(메탄올) 단독으로 배양된 감염된 세포, 및 세포가 없는 웰(배경을 결정하기 위해)을 분석 플레이트에 포함시켰다. 감염 6 일 후, 세포 생존률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세포를 중성 적색으로 염색하였다. 감염 배지에서 일련의 8 배 희석액을 사용하여, 시험 물질을 2 회 반복하여 평가하였다. 대조군은 바이러스 없이 배양된 세포("모의-감염된"), 배지 단독으로 배양된 감염된 세포, 또는 A3(0.5μM)의 존재하에 감염된 세포를 포함하였다. 메탄올 비히클만을 사용한 완전 복제 억제 곡선은 동일한 분석 플레이트 상에 포함되었다.
CPE-기반 생존력 데이터의 분석: 중성 적색 분석의 경우, 490 nm에서의 흡광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세포 생존력을 결정하였다. 세포가 없는 웰에서 얻은 평균 신호를 모든 샘플로부터 제하였다. 이어서, 모든 데이터 포인트는 동일한 분석 플레이트상에서 모의(감염되지 않은) 세포의 8 개 웰에서 관찰된 평균 신호의 백분율로서 계산되었다. 배지 단독으로 처리된 감염된 세포는 감염되지 않은 세포에서 관찰된 것의 평균 4.2 %(HRV의 경우), 26.9 %(DENV의 경우) 및 5.1 %(ZIKV의 경우)로 신호를 감소시켰다. 이 분석에 대한 신호 대 배경(S/B)은 2.9(DENV의 경우) 및 7.2(ZIKV의 경우)였는데, 이는 비히클만으로 처리된 감염된 세포의 생존력과 비교되는, "모의-감염된" 세포에서의 생존력 백분율로 결정되었다.
화합물-유도된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한 생존력 분석(XTT): 모의-감염된 세포를 상응하는 감염 분석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실험 설정 및 억제제 농도를 사용하여, 억제제 희석액과 함께(또는 배지 단독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온도 및 배양 기간은 상응하는 감염 분석의 조건을 반영하였다. 세포 생존력은 XTT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XTT 분석은 미토콘드리아 활성을 측정하고, 오렌지 포마잔 염료를 형성하는 황색 테트라졸륨 염(XTT)의 분할(cleavage)에 기초한다. 반응은 활성 미토콘드리아가 있는 생존 세포에서만 일어난다. 포마잔 염료는 스캐닝 다중-웰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직접 정량화된다. 세포가 없는 웰로부터 얻은 배경 수준을 모든 데이터 포인트로부터 제하였다.(각각의 올레아드린 시험 웰의 최종 퍼센트 메탄올을 반영하는 7개의 농도로) 메탄올 비히클만을 갖는 대조군을 생존력 분석 플레이트에 포함시켰다. 49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생존력 정도를 모니터링하였다.
세포 독성 데이터의 분석: XTT 분석의 경우, 490 nm에서의 흡광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세포 생존력을 결정하였다. 세포가 없는 웰에서 얻은 평균 신호를 모든 샘플로부터 제하였다. 이어서, 모든 데이터 포인트를 동일한 분석 플레이트상에서 모의(감염되지 않은) 세포의 8 개 웰에서 관찰된 평균 신호의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이 분석에 대한 신호 대 배경(S/B)은 29.9(IVA의 경우), 8.7(HRV의 경우), 6.5(DENV의 경우) 및 6.7(ZIKV의 경우)이였는데, 이는 세포 없는 웰에 대해 관찰된 신호와 비교되는, "모의-감염된" 세포의 생존력 백분율로 결정되었다.
실시 예 15
필로바이러스(에볼라바이러스 및 마르부르그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 활성 평가
방법 A.
베로 E6 세포는 올레안드린 함유 식물 추출물인 올레안드린, 디곡신 또는 PBI-05204의 존재하에 EBOV/Kik(A, MOI = 1) 또는 MARV/Ci67(B, MOI = 1)로 감염되었다. 1 시간 후, 접종원 및 화합물을 제거하고, 신선한 배지를 세포에 첨가하였다. 48 시간 후, 세포를 고정시키고, 면역 염색하여 EBOV 또는 MARV로 감염된 세포를 검출하였다. 감염된 세포를 오페레타(Operetta)를 사용하여 열거하였다. C) 베로 E6를 상기와 같이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ATP 수준은 세포 생존력의 측정으로서 CellTiter-Glo에 의해 측정되었다.
방법 B.
베로 E6 세포를 EBOV(A, B) 또는 MARV(C, D)로 감염시켰다. 감염 후 2 시간(A, C) 또는 감염 후 24 시간(B, D)에, 올레안드린 또는 PBI-05204를 1 시간 동안 세포에 첨가한 후, 폐기하고, 세포를 배양 배지로 리턴시켰다. 감염 48 시간 후, 감염된 세포를 도 1에서와 같이 분석하였다.
방법 C.
베로 E6 세포를 올레안드린 또는 PBI-05204의 존재하에서 EBOV 또는 MARV로 감염시키고,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감염된 세포 배양물로부터의 상층액(supernatant)을 새로운 베로 E6 세포에 통과시키고, 1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폐기하였다(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된 상층액을 함유하는 세포를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BOV(B) 또는 MARV(C)로 감염된 세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검출되었다. 대조군 감염률은 EBOV의 경우 66 %, MARV의 경우 67 %였다.
실시 예 16
토가비리대(토가비리대) 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 활성 평가
(알파바이러스: VEEV 및 WEEV)
베로 E6 세포를 지시된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18 시간 동안 베네수엘라 말 뇌염 바이러스(A, MOI = 0.01) 또는 웨스턴 말 뇌염 바이러스(B, MOI = 0.1)로 감염시켰다. 감염된 세포를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검출하고 오페레타에 열거하였다.
실시 예 17
대상체에서의 파라믹소비리대 감염의 치료
예시적인 파라믹소비리대(파라믹소비리대) 과 바이러스 감염은 헤니파바이러스 속 감염, 니파 바이러스 감염, 또는 헨드라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한다.
방법 A. 항 바이러스 조성물 요법
파라믹소비리대 과 감염을 나타내는 대상체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로 처방되고, 치료적으로 관련된 투여량은 소정의 투여 요법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대상체의 치료 반응 수준은 주기적으로 결정된다. 치료 반응 수준은 혈액 또는 혈장에서 대상체의 바이러스 적정 농도를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한 번의 투여량에서 치료 반응 수준이 너무 낮으면, 대상체에서 원하는 치료 반응 수준이 달성될 때까지 미리 정해진 투여량 증가 스케쥴에 따라 투여량이 증가된다.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의한 대상체의 치료는 필요에 따라 계속되고, 환자가 원하는 임상 종점에 도달할 때까지 투여량 또는 투여 요법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방법 B. 병용 요법:다른 약제와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
파라믹소비리대 과 감염 또는 그 증상의 치료를 위해, 대상체에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로 처방하고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방법 A를 따른다. 이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가 항 바이러스 조성물과 함께, 또는 그 투여 이전 또는 이후에 투여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투여량 증량(또는 감량)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특정 값의 ±10 %, ±5 %, ±2.5 % 또는 ±1 %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실질적으로"는 "대부분" 또는 "적어도 대다수" 또는 "50 % 초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기재 내용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가 예시의 목적으로 여기에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청구된 모든 실시 예는 본 개시내용에 비추어 볼 때, 과도한 실험없이 제조 및 실행될 수 있다.

Claims (39)

  1.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필로바이러스, 에볼라바이러스 또는 마르부르그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적어도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이의 유리 산, 또는 염), 우르솔산(이의 유리 산, 또는 염), 및 베툴린산(이의 유리 산, 또는 염)의 조합을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2. 대상체가 바이러스 감염에 걸리기 전에, 연장된 치료 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1회 이상의 투여량으로 대상체에 만성적으로 투여되어, 상기 대상체가 바이러스 감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감염에 걸릴 위험이 있는 대상체를 예방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적어도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이의 유리 산, 또는 염), 우르솔산(이의 유리 산, 또는 염), 및 베툴린산(이의 유리 산, 또는 염)의 조합을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3.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에볼라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적어도 올레안드린, 또는 적어도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이의 유리 산, 또는 염), 우르솔산(이의 유리 산, 또는 염), 및 베툴린산(이의 유리 산, 또는 염)의 조합을 포함하고,
    이는 대상체가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투여를 지시하는 상기 바이러스 감염을 가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일정 기간 동안 처방된 초기 투여 요법에 따라 초기 투여량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고;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의한 치료에 대한 대상체의 임상 반응 및/또는 치료 반응의 적절성을 주기적으로 결정하고; 및 대상체의 임상 반응 및/또는 치료 반응이 적절한 경우, 원하는 임상적 종점이 달성될 때까지 필요한 항 바이러스 조성물로 치료를 계속하고; 또는 대상체의 임상 반응 및/또는 치료 반응이 초기 투여량 및 초기 투여 요법에서 부적절한 경우, 대상체에서 원하는 임상 반응 및/또는 치료 반응이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증량 또는 감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비경구, 구강, 장내, 근육내, 피하, 설하, 경구(peroral), 입 투여 또는 이들의 조합인 항 바이러스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올레안드린은 순수한 형태 또는 추출물 부분으로 존재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6.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며,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항 바이러스 조성물.
  7. 에볼라바이러스에 걸릴 위험이 있는 대상체에서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항 바이러스 조성물에 있어서, 연장된 치료 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1회 이상의 투여량으로 상기 대상체에게 만성적으로 투여하여, 상기 대상체가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투여량은 상기 대상체 체중의 Kg 당 100-1000 mg 또는 100-1000 마이크로그램의 항 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의 일부로서 1 일 마다 투여되는 올레안드린의 양은 140 마이크로그램 내지 315 마이크로그램, 20 마이크로그램 내지 750 마이크로그램, 12 마이크로그램 내지 300 마이크로그램, 12 마이크로그램 내지 120 마이크로그램, 0.01 마이크로그램 내지 100 mg, 0.01 마이크로그램 내지 100 마이크로그램, 0.5 내지 100 마이크로그램, 1 내지 80 마이크로그램, 1.5 내지 60 마이크로그램, 1.8 내지 60 마이크로그램, 또는 1.8 내지 40 마이크로그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량에서의 올레안드린의 양은 0.25 내지 50 마이크로그램 또는 0.9 내지 5 마이크로그램인 항 바이러스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은 1 일 마다 대상체 체중의 kg 당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단위 량을 기준으로, 0.05-0.5 mg/kg/일, 0.05-0.35 mg/kg/일, 0.05-0.22 mg/kg/일, 0.05-0.4 mg/kg/일, 0.05-0.3 mg/kg/일, 0.05-0.5 마이크로그램/kg/일, 0.05-0.35 마이크로그램/kg/일, 0.05-0.22 마이크로그램/kg/일, 0.05-0.4 마이크로그램/kg/일, 또는 0.05-0.3 마이크로그램/kg/일인 항 바이러스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투여량 및 올레안드린 대 상기 적어도 2 개의 트리테르펜의 몰비는 하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Figure 112020125652018-pct00036
  13. 제 1 항에 있어서, 총 트리테르펜 함량(올레아놀산 + 우르솔산 + 베툴린산) 대 올레안드린의 몰비는 15:1 내지 5:1, 또는 12:1 내지 8:1, 또는 100:1 내지 15:1, 또는 100:1 내지 50:1, 또는 100:1 내지 75:1, 또는 100:1 내지 80:1, 또는 100:1 내지 90:1, 또는 10:1의 범위인 항 바이러스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 트리테르펜(올레아놀산(OA):우르솔산(UA):베툴린산 (BA)) 대 올레안드린(OL)의 몰비는 2-8(OA):2-8(UA):0.1-1(BA):0.5-1.5(OL); 또는 3-6(OA):3-6(UA):0.3-8(BA):0.7-1.2(OL); 또는 4-5(OA):4-5(UA):0.4-0.7(BA):0.9-1.1(OL); 4.6(OA):4.4(UA):0.6(BA):1(OL); 9-12(OA):최대 2(UA):최대 2 또는 10(OA):1(UA):1 또는 9-12(OA):0.1-2(UA):0.1-2(BA) 또는 9-11(OA):0.5-1.5(UA):0.5-1.5(BA) 또는 9.5-10.5(OA):0.75-1.25(UA):0.75-1.25(BA) 또는 9.5-10.5(OA):0.8-1.2(UA):0.8-1.2(BA) 또는 9.75-10.5(OA):0.9-1.1(UA):0.9-1.1(BA)의 범위인 항 바이러스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네리움 종 또는 테베티아 종으로부터의 식물 물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강심 배당체 전구체, 강심 배당체의 하나 이상의 글리콘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투여량의 투여 후, 상기 대상체에서의 올레안드린의 혈장 농도는 혈장 mL 당 올레안드린의 양으로, 0.05 내지 2 ng/ml, 0.005 내지 10 ng/mL, 0.005 내지 8 ng/mL, 0.01 내지 7 ng/mL, 0.02 내지 7 ng/mL, 0.03 내지 6 ng/mL, 0.04 내지 5 ng/mL, 또는 0.05 내지 2.5ng/mL인 항 바이러스 조성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은 1 차 항 바이러스 요법, 보조 항 바이러스 요법 또는 공동-항 바이러스 요법으로 투여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 바이러스 조성물 또는 상기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성물과 함께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개별 투여 또는 공동 투여를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207007406A 2017-09-14 2018-07-16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102295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6676A KR20210107904A (ko) 2017-09-14 2018-07-16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7/051553 WO2018053123A1 (en) 2016-09-14 2017-09-14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viral infection
USPCT/US2017/051553 2017-09-14
US201862698365P 2018-07-16 2018-07-16
PCT/US2018/042226 WO2019055119A1 (en) 2017-09-14 2018-07-16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VIRAL INFECTION
US62/698,365 2018-07-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676A Division KR20210107904A (ko) 2017-09-14 2018-07-16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356A KR20200081356A (ko) 2020-07-07
KR102295179B1 true KR102295179B1 (ko) 2021-08-30

Family

ID=657238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406A KR102295179B1 (ko) 2017-09-14 2018-07-16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1020217026676A KR20210107904A (ko) 2017-09-14 2018-07-16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676A KR20210107904A (ko) 2017-09-14 2018-07-16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3681508A4 (ko)
JP (3) JP6820450B2 (ko)
KR (2) KR102295179B1 (ko)
AU (2) AU2018334386B2 (ko)
CA (1) CA3075729A1 (ko)
IL (2) IL285232B (ko)
MX (1) MX2020002883A (ko)
RU (1) RU2020113341A (ko)
WO (1) WO2019055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09981B1 (en) 2020-03-31 2023-08-16 Phoenix Biotechnology, Inc.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US11806359B2 (en) 2020-03-31 2023-11-07 Phoenix Biotechnology, Inc.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ES2965161T3 (es) * 2020-03-31 2024-04-11 Phoenix Biotechnology Inc Método y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de infección por coronavirus
MX2020009095A (es) * 2020-03-31 2022-07-28 Phoenix Biotechnology Inc Metodo y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de infeccion por coronavirus.
FR3109297A1 (fr) * 2020-04-19 2021-10-22 Ephyla « Nouvel inhibiteur non protéique de furine »
WO2022094816A1 (en) * 2020-11-04 2022-05-12 Janssen Pharmaceuticals, Inc. Solid formul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0401A1 (en) * 2005-07-28 2008-08-21 Phoenix Biotechnology, Inc. SCF Extract Containing Cardiac Glycoside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C1811A1 (fr) 1986-05-13 1988-03-18 Huseyin Ziya Ozel Extrait de plantes de l'espece nerium procede pour sa preparation et ses applications
US5236132A (en) 1992-01-03 1993-08-17 Vortec, Inc. Gradient-force comminuter/dehydrator apparatus and method
US5598979A (en) 1995-04-20 1997-02-04 Vortec, Inc. Closed loop gradient force comminuting and dehydrating system
CA2191923C (en) 1996-12-03 2000-10-24 Ji-Won Yoon Portulaca oleracea and tumor cell growth
ATE522220T1 (de) 1998-05-19 2011-09-15 Res Dev Foundation Triterpenzusammensetzungen und deren verwendungsmethoden
CA2354037A1 (en) 1998-09-24 2000-03-30 Ozelle Pharmaceuticals, Inc. Extract of nerium species,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nd 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
US6517015B2 (en) 2000-03-21 2003-02-11 Frank F. Rowley, Jr. Two-stage comminuting and dehydrating system and method
AU2001284946B2 (en) 2000-08-18 2007-02-01 Advanced Life Sciences Inc. Prodrugs of betulinic aci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HIV
US9931316B2 (en) * 2004-01-06 2018-04-03 Paul Edward Stamets Antiviral activity from medicinal mushrooms and their active constituents
US6715705B2 (en) 2001-03-16 2004-04-06 Frank F. Rowley, Jr. Two-stage comminuting and dehydrating system and method
DE60204078T2 (de) 2001-04-09 2006-01-26 Loders Croklaan B.V. Konzentrat von Triterpenen
WO2002091858A1 (en) 2001-05-11 2002-11-21 University Of Ottawa Anxiolytic marcgraviaceae compositions containing betulinic acid, betulinic acid derivatives, and methods
US20040082521A1 (en) 2002-03-29 2004-04-29 Azaya Therapeutics Inc. Novel formulations of digitalis glycosides for treating cell-proliferative and other diseases
EP1513403B1 (en) * 2002-05-28 2017-02-15 Bette Pollard Cardiac glycosides to treat cystic fibrosis and other il-8 dependent disorders
EP1585504A4 (en) 2002-11-06 2009-07-15 Azaya Therapeutics Inc LIPOSOMAL PREPARATIONS OF PHARMACEUTICAL AGENTS STABILIZED BY PROTEINS
US20050026849A1 (en) 2003-03-28 2005-02-03 Singh Chandra U. Water soluble formulations of digitalis glycosides for treating cell-proliferative and other diseases
US20050239748A1 (en) 2004-03-17 2005-10-27 Panacos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salts of 3-O-(3',3'-dimethylsuccinyl) betulinic acid
US7118508B2 (en) 2004-07-28 2006-10-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Planetary transmissions having three interconnected gear members and clutched input members
ATE486886T1 (de) 2005-02-09 2010-11-15 Dabur Pharma Ltd Neue betulinsäurederivate kondensiert im a-ring mit einer heterozyklischen gruppe
WO2006105354A1 (en) 2005-03-29 2006-10-0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elective oxidation of triterpenes employing tempo
US20060252733A1 (en) 2005-04-07 2006-11-09 Novelix Pharmaceuticals, Inc. Betulin, betulin derivatives, betulinic acid and betulinic acid derivatives as novel therapeutics in the treatment of disease of lipid and/or glucose metabolism
WO2006133314A2 (en) 2005-06-08 2006-12-14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ynthesis of betulonic and betulinic aldehydes
US7718635B2 (en) 2005-06-10 2010-05-18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Triterpenic acid derivative and prepara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comprising the same
CN101374527A (zh) 2005-12-16 2009-02-25 帕纳克斯医药公司 3-o-(3’,3’-二甲基琥珀酰基)桦木酸的药物盐的制备方法
EP1803461A1 (en) * 2005-12-27 2007-07-04 Heinz-Herbert Fiebig Therapeutic use of an extract from the leaves of Nerium oleander
GB0604535D0 (en) 2006-03-07 2006-04-12 Sndv Sprl Betulonic acid derivatives
WO2008063318A2 (en) 2006-10-12 2008-05-29 The Texas A & M University System And Safe Et Al Betulinic acid, derivatives and analogs thereof and uses therefor
WO2008057420A2 (en) 2006-11-03 2008-05-15 Panacos Pharmaceuticals, Inc. Extended triterpene derivatives
WO2008091532A1 (en) 2007-01-19 2008-07-31 Panacos Pharmaceuticals, Inc. Salts of 3-o-(3',3'-dimethylsuccinyl)betulinic acid and solid state forms thereof
US8987212B2 (en) 2007-08-07 2015-03-24 Muhammed Majeed Oleanoyl pept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skin aging
WO2009064657A1 (en) 2007-11-13 2009-05-22 Phoenix Biotechnology Inc. Method of determining the probability of a therapeutic response in cancer chemotherapy with cardiac glycoside
US8071632B2 (en) 2008-04-18 2011-12-06 Reata Pharmaceuticals, Inc. Antioxidant inflammation modulators: novel derivatives of oleanolic acid
DK2271658T3 (en) 2008-04-18 2017-02-06 Reata Pharmaceuticals Inc ANTIOXIDANT INFLAMMATION MODULATORS: C-17 HOMOLOGED OLEANOLIC ACID DERIVATIVES
EP2279197B1 (en) 2008-04-18 2014-11-05 Reata Pharmaceuticals, Inc. Antioxidant inflammation modulators: oleanolic acid derivatives with saturation in the c-ring
LT2276493T (lt) 2008-04-18 2019-01-10 Reata Pharmaceuticals, Inc. Antioksidaciniai uždegimo moduliatoriai: oleanolio rūgšties dariniai su amino ir kitomis modifikacijomis c-17
WO2010028487A1 (en) 2008-09-10 2010-03-18 Université Du Québec À Chicoutimi Bidesmosidic betulin and betulinic acid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as antitumor agents
WO2010053817A1 (en) 2008-11-04 2010-05-14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Betulinic acid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802727B2 (en) 2009-07-14 2014-08-12 Hetero Research Foundation, Hetero Drugs Limite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betulinic acid derivatives
CN101704872B (zh) 2009-11-23 2012-06-27 张南 23-羟基白桦酸衍生物、其制备方法及应用
WO2011064710A1 (en) 2009-11-30 2011-06-03 University Of Kwazulu-Natal In vitro anti-sickling activity of betulinic acid, oleanolic acid and their derivatives
RU2674679C2 (ru) 2010-01-11 2018-12-12 Феникс Байотекнолоджи Инк.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неврологических состояний сердечными гликозидами
US9011937B2 (en) 2010-11-22 2015-04-21 Phoenix Biotechnology, Inc. Method of treating neurological conditions with extract of Nerium species or Thevetia species
TWI386415B (zh) 2010-02-02 2013-02-21 Univ Kaohsiung Medical 熊果酸衍生物及其醫藥組合物
TWI410431B (zh) 2010-12-22 2013-10-01 Ind Tech Res Inst 齊敦果酸衍生物在製備預防或治療c型肝炎之藥物的用途
US20140221328A1 (en) 2011-01-10 2014-08-07 Bandi Parthasaradhi Redd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novel betulinic acid derivatives
MX2013008359A (es) 2011-01-31 2013-08-27 Bristol Myers Squibb Co Aminas de c-28 de derivados de acido betulinico modificado de c-3 como inhibidores de la maduracion del virus de inmunodeficiencia humana.
CN102558280B (zh) 2011-11-18 2014-09-17 温州大学 一种30-卤代桦木酸的生产方法
US9156801B2 (en) 2011-12-01 2015-10-13 Hangzhou Bensheng Pharmaceutical Co., Ltd. 2-substituted oleanolic acid derivative, method preparing for same, and application thereof
US8987502B2 (en) 2011-12-01 2015-03-24 Hangzhou Bensheng Pharmaceutical Co., Ltd. Oleanolic acid amidat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s and uses thereof
WO2013160810A2 (en) 2012-04-24 2013-10-31 Hetero Research Foundation Novel betulinic acid derivatives as hiv inhibitors
US8921419B2 (en) 2012-05-08 2014-12-30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Triterpenoid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9120839B2 (en) 2012-08-14 2015-09-01 Nexoligo Co., Ltd. Ursolic acid derivativ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9278912B2 (en) 2012-09-10 2016-03-08 Reata Pharmaceuticals, Inc. C13-hydroxy derivatives of oleanolic acid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882418C (en) 2012-09-10 2021-05-04 Reata Pharmaceuticals, Inc. C17-alkanediyl and alkenediyl derivatives of oleanolic acid and methods of use thereof
LT2892911T (lt) 2012-09-10 2017-11-10 Reata Pharmaceuticals, Inc. Oleanolinės rūgšties c17 heteroarilo dariniai ir jų panaudojimo būdas
US9637516B2 (en) 2012-12-31 2017-05-02 Hetero Research Foundation Betulinic acid proline derivatives as HIV inhibitors
AU2014218754B2 (en) 2013-02-25 2017-04-20 VIIV Healthcare UK (No.5) Limited C-3 alkyl and alkenyl modified betulinic acid derivativ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HIV
EP3105241A1 (de) * 2014-02-12 2016-12-21 Organo Balance GmbH Hefe-stamm und mikrobielles verfahren zur produktion von pentazyklischen triterpenen und/oder triterpenoiden
US9920090B2 (en) 2014-06-19 2018-03-20 VIIV Healthcare UK (No.5) Limited Betulinic acid derivatives with HIV maturation inhibitory activity
US9492438B2 (en) * 2014-07-25 2016-11-15 Bette Pollard Amphiphilic pyridinum compounds to treat epilepsy and othe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CA2987132A1 (en) * 2015-06-08 2016-12-15 Dermarc, Llc Therapeutic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0401A1 (en) * 2005-07-28 2008-08-21 Phoenix Biotechnology, Inc. SCF Extract Containing Cardiac Glycosid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Chemical and Pharmaceutical Research, 7(3):209-224 (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5119A1 (en) 2019-03-21
EP3681508A1 (en) 2020-07-22
AU2020204236A1 (en) 2020-07-16
MX2020002883A (es) 2020-10-05
IL285232B (en) 2022-07-01
RU2020113341A3 (ko) 2021-10-15
AU2018334386B2 (en) 2021-11-04
KR20210107904A (ko) 2021-09-01
KR20200081356A (ko) 2020-07-07
JP2020534293A (ja) 2020-11-26
AU2018334386A1 (en) 2020-04-02
AU2020204236B2 (en) 2020-12-10
IL273162B (en) 2021-08-31
JP2021063105A (ja) 2021-04-22
IL285232A (en) 2021-09-30
JP7037673B2 (ja) 2022-03-16
EP3681508A4 (en) 2021-05-19
JP2022075755A (ja) 2022-05-18
JP6820450B2 (ja) 2021-01-27
IL273162A (en) 2020-04-30
CA3075729A1 (en) 2019-03-21
RU2020113341A (ru)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6186B2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viral infections
KR102295179B1 (ko)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EP3512524B1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viral infection
US10729735B1 (en) Method and compostitions f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US11324789B2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equine encephalitis
IL291727B2 (en) Method and preparations for treating the corona virus infection
US20220047616A1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HTLV-1 Virus Infection
CA3091376C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