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891B1 -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891B1
KR102294891B1 KR1020200101720A KR20200101720A KR102294891B1 KR 102294891 B1 KR102294891 B1 KR 102294891B1 KR 1020200101720 A KR1020200101720 A KR 1020200101720A KR 20200101720 A KR20200101720 A KR 20200101720A KR 102294891 B1 KR102294891 B1 KR 10229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waste plastic
milling
moving means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지승
천원정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염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염화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염화산업
Priority to KR102020010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2Making preform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e.g. sheets,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2220/00Type of materials being separated
    • B07B2220/02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2009/125Micropellets, microgranules, micro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84Grinding tools, roller mills or disc mi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폐 플라스틱을 재활용 시, 더욱 매끄러운 표면 사출을 위해서 파우더로 분쇄할 수 있고, 파우더 분쇄 시 사이즈가 큰 폐 플라스틱부터 알갱이 형태의 폐 플라스틱까지 하나의 장치에서 일괄적이고 단계적으로 분쇄하여 파우더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 재활용 및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는, 유입호퍼로부터 유입된 폐 플라스틱을 분쇄를 위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폐 플라스틱의 사이즈에 따라서 복수의 종류로 선별하는 선별유닛을 포함하는 선별이동모듈; 선별유닛에 의하여 선별된 사이즈별 폐 플라스틱을 각각 분쇄하는 다수의 밀링유닛을 포함하되, 가장 작은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밀링유닛으로 다른 밀링유닛으로부터 분쇄된 폐 플라스틱이 최종적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되는 밀링모듈; 및 가장 작은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밀링유닛으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 파우더를 공급받아 포장하는 포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RECYCLING PLASTIC POWDER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MULTI-STEP TYPE GRINDING OF WASTE PLASTIC}
본 발명은 폐 플라스틱의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알갱이(펠렛, Pellet)를 포함한 폐 플라스틱을 재활용 시, 더욱 매끄러운 표면 사출을 위해서 파우더로 분쇄할 수 있고, 파우더 분쇄 시 사이즈가 큰 폐 플라스틱부터 알갱이 형태의 폐 플라스틱까지 하나의 장치에서 일괄적이고 단계적으로 분쇄하여 파우더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 재활용 및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 방지 기술은 크게 오염 물질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 및 오염 물질에 대한 재활용 기술로 구분된다. 특히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제품은, 폐기 시 부패가 일어나지 않고, 동식물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미 많은 분야에 플라스틱 제품이 사용되고 있어, 이에 대한 재활용을 통한 환경 오염 방지는 이미 일반적인 개념으로 자리잡았다.
플라스틱은 재활용 시, 폐 플라스틱을 수집하고, 이로부터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제거 및 세척 공정 및 재생압출 처리를 거쳐, 플라스틱 알갱이, 즉 펠렛(Pellet) 형태로 제조한 뒤 이를 다양한 재활용처에 제공한다. 재활용 플라스틱 알갱이는, 재활용 플라스틱 알갱이만으로 또는 신규 원료와 혼합하여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제품은, 쇼핑백, 지퍼백, 비닐장갑, 자동차 생활용품, 계단, 가드레일, 화분 등 무궁무진하다. 특히 최근에는 폐 플라스틱에서 원사(실)를 뽑아 화이바(화학솜)를 만드는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어, 폐 플라스틱에 대한 재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폐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60563호 등이 있는데, 해당 기술들은 플라스틱 알갱이를 성형하는 장치의 가열을 방지하기 위한 쿨링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플라스틱 알갱이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스틱 알갱이의 경우, 단순한 제품의 제조에는 효율적이나, 휴대폰케이스, 노트북, TV 등 고급 가전제품 등 더욱 매끄럽고 정교한 표면 사출을 구현해야 하는 제품의 제조에는 불리하다. 즉, 폐 플라스틱을 이용한 제품 제조 시 사출품의 표면을 더욱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는 설탕보다 작은 PODWER 형태로 파쇄하여 압출기에 투입 생산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폐 플라스틱의 재활용에 있어서 큰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을 바로 파우더로 제조하는 것은, 폐 플라스틱을 파쇄하는 밀링장치의 종류 및 스펙이 사이즈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고 이를 만족시키는 밀링장치를 개발하기 매우 어려우며, 개발을 하더라도 장비가 매우 고가로 책정될 것이기 때문에, 비용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정해진 스펙의 폐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플라스틱 밀링 장치를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으로부터 더욱 표면 처리를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는 파우더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 재활용원료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는, 유입호퍼로부터 유입된 폐 플라스틱을 분쇄를 위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폐 플라스틱의 사이즈에 따라서 복수의 종류로 선별하는 선별유닛을 포함하는 선별이동모듈; 상기 선별유닛에 의하여 선별된 사이즈별 폐 플라스틱을 각각 분쇄하는 다수의 밀링유닛을 포함하되, 가장 작은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밀링유닛으로 다른 밀링유닛으로부터 분쇄된 폐 플라스틱이 최종적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되는 밀링모듈; 및 상기 가장 작은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밀링유닛으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 파우더를 공급받아 포장하는 포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링유닛은, 상부 개방부를 통해 가장 큰 사이즈의 제1 폐 플라스틱을 상기 선별이동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제1 유입부 및 제1 유입부의 하부 개방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제1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제1 밀링머신을 포함하는 제1 밀링유닛; 상부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입부에 유입되는 폐 플라스틱보다 작은 사이즈의 제2 폐 플라스틱을 상기 선별이동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제2 유입부 및 제2 유입부의 하부 개방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제2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제2 밀링머신을 포함하는 제2 밀링유닛; 및 상부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2 유입부에 유입되는 폐 플라스틱보다 작은 사이즈로서 가장 작은 사이즈의 제3 폐 플라스틱을 상기 선별이동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제3 유입부 및 제3 유입부의 하부 개방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3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제3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제3 밀링머신을 포함하는 제3 밀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밀링머신의 배출구와 상기 제2 유입부의 상부 개방부, 상기 제2 밀링머신의 배출구와 상기 제3 유입부의 상부 개방부는 각각 상기 선별이동모듈에 포함된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밀링머신의 배출구 및 상기 제2 밀링머신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분쇄된 폐 플라스틱이 각각 상기 제2 유입부의 상부 및 상기 제3 유입부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상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수단은 컨베이어 벨트이며, 상기 선별이동모듈은, 상기 유입호퍼로부터 유입된 폐 플라스틱을 상기 제1 유입부의 상부 개방부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 상기 제1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입부의 상부로 상기 제1 폐 플라스틱이 낙하되고, 상기 제1 폐 플라스틱을 제외한 상기 제2 폐 플라스틱 및 상기 제3 폐 플라스틱을 상기 제1 이동수단의 상기 제1 유입부 측 단측의 하부에 단측이 연결되고 다른 단측이 상기 제2 유입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이동수단에 이동시키는 제1 선별유닛; 상기 제2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입부의 상부로 상기 제2 폐 플라스틱이 낙하되고, 상기 제2 폐 플라스틱을 제외한 상기 제3 폐 플라스틱을 상기 제2 이동수단의 상기 제2 유입부 측 단측의 하부에 단측이 연결되고 다른 단측이 상기 제3 유입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3 이동수단에 이동시키는 제2 선별유닛; 상기 제1 밀링머신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2 유입부의 상부 개방부를 향해 상기 제1 밀링머신으로부터 분쇄된 폐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는 제4 이동수단; 및 상기 제2 밀링머신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3 유입부의 상부 개방부를 향해 상기 제2 밀링머신으로부터 분쇄된 폐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는 제5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선별유닛은 상기 제1 이동수단의 상기 제1 유입부측 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수단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유입부윽 단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1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되는 폐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되, 상기 제1 폐 플라스틱을 제외한 상기 제2 폐 플라스틱 및 상기 제3 폐 플라스틱만을 이동시켜 상기 제2 이동수단에 이동시키는 외력을 갖는 공기를 분사하는제1 에어분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선별유닛은, 상기 제2 이동수단의 상기 제2 유입부측 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동수단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유입부윽 단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2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되는 폐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되, 상기 제2 폐 플라스틱을 제외한 상기 제3 폐 플라스틱만을 이동시켜 상기 제3 이동수단에 이동시키는 외력을 갖는 공기를 분사하는 제2 에어분사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밀링머신 및 제2 밀링머신은, 중심 축을 갖는 원통형의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밀링머신의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2 밀링머신의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설정된 커팅 밀링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밀링머신은, 적어도 상기 제3 유입부의 하부 개방부측에 설치되고 중공부를 갖는 고정디스크 및 상기 고정디스크와 내부캐비티를 형성하면서 서로 외주면측이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도록 배치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디스크를 포함하여, 회전디스크의 회전에 의한 공기 이동력에 의해 상기 제3 유입부의 하부 개방부측으로부터 유입된 폐 플라스틱이 상기 내부캐비티로 진입한 뒤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접촉면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마찰에 의하여 분쇄됨에 따라서 플라스틱 파우더를 생성하는 디스크 밀링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 플라스틱의 사이즈에 따른 비중 차이를 통해서, 폐 플라스틱을 3 종류의 사이즈로 분류 및 선별하면서, 가장 작은 사이즈의 플라스틱은 바로 디스크 밀링 장치로, 그보다 큰 사이즈의 플라스틱은 커팅 밀링 장치로 각각 유입시키고, 가장 큰 사이즈의 플라스틱은 작은 사이즈로 커팅하는 커팅 밀링 장치를 거쳐 작은 사이즈의 커팅 밀링 장치로 유입시키는 단계적인 분쇄 이동 구조를 통해 플라스틱을 분쇄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큰 사이즈의 플라스틱부터 작은 사이즈의 플라스틱까지 정해진 스펙의 밀링 장치를 통해 분쇄하면서 이동시켜 결국 파우더 형태의 재생 플라스틱 원료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플라스틱을 하나의 장치로 파우더 형태로 분쇄하기 위해서 새로운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시스템적 장치를 통해 이를 구현하여, 폐 플라스틱을 이용한 재생원료의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폐 플라스틱을 이용한 재생원료를 활용한 제품의 품질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를 분쇄 단계에 따라 구획한 구획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선별유닛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선별유닛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밀링유닛의 구조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밀링유닛의 구조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를 분쇄 단계에 따라 구획한 구획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선별유닛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선별유닛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밀링유닛의 구조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밀링유닛의 구조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이하 “제조 장치”라 함)는 선별이동모듈, 밀링모듈 및 포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 장치는, 폐 플라스틱을 파쇄 및/또는 분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재활용 가능한 상태인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이하 “파우더”라 함)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의 제조 장치는, 폐 플라스틱과 이물질이 혼합된 수거물로부터 폐 플라스틱을 선별하는 선별 기기 및 이물질을 세척하는 세척 기기와 하나의 재활용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서로 연결 또는 연동되도록 배치되거나, 독립적으로 설치 및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폐 플라스틱은 상술한 선별 기기 및 세척 기기의 처리를 거친 상태의 폐 플라스틱들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예에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해당 장치들에 대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외부 전력 공급 수단, 제어부, 컨트롤 패널 및 해당 장치들을 각 구성 간에 필수적인 상대적 높이차로 지지하고, 각 구성들의 배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플레이트, 그리고 각 구동 수단들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 기어 등의 동력 전달 구조, 각 플라스틱들의 유입 및 배출이 제어되는 유입부 및 배출구 등에 형성된 상술한 제어부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밸브 등의 등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필수적이지 않은 일반적인 부재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 및 도면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플라스틱 알갱이(Plastic Pellet)은 2mm 내지 5mm 정도 크기의 플라스틱 알갱이로서, 세척 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 뒤 용융 및 압출 등의 공정을 거쳐 생산되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플라스틱 알갱이는 가장 작은 크기의 폐 플라스틱은 제3 폐 플라스틱(12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처리되는 폐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알갱이뿐 아니라 플라스틱 알갱이의 제조를 위해서 처리되는 폐 플라스틱 그 자체일 수 있으며, 가장 큰 사이즈의 제1 폐 플라스틱(100)은 예를 들어 약 10cm를 초과하는 크기, 제3 폐 플라스틱(120)과 제1 폐 플라스틱(100) 사이의 사이즈인 제2 폐 플라스틱(110)은 예를 들어 1cm와 10cm 사이의 사이즈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폐 플라스틱들의 사이즈는 폐 플라스틱을 이루는 덩어리 중 가장 큰 직경의 수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들로 구성될 것이나, 개략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단계의 스테이지(Stage 1 내지 3)으로 구획될 수 있다. Stage 1의 경우 후술하는 유입호퍼(10)로부터 제1 내지 제3 폐 플라스틱(100, 110, 120)이 유입되되, 이동선별모듈에 의하여 제1 폐 플라스틱(100)만이 유입되는 구성이며, 분쇄 결과 제2 및 제3 폐 플라스틱(110, 120)에 해당하는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이 배출된다.
Stage 2의 경우, 이동선별모듈에 의하여 유입호퍼(10) 및 Stage 1로부터 제2 및 제3 폐 플라스틱(110, 120)에 해당하는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이 유입되되, 이동선별모듈에 의하여 제2 플라스틱(110) 및 Stage 1으로부터 유입되는 폐 플라스틱이 유입되며, 분쇄 결과 제3 플라스틱(120)에 해당하는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이 배출된다.
Stage 3의 경우, 이동선별모듈에 의하여 유입호퍼(10) 및 Stage 2로부터 제3 폐 플라스틱(120)에 해당하는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이 유입되어, 분쇄 결과 플라스틱 파우더(130)가 생성 및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개략적인 구획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 포함된 구성들로서, 선별이동모듈은 유입호퍼(10)로부터 유입된 폐 플라스틱을 분쇄를 위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0) 및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폐 플라스틱의 사이즈에 따라서 복수의 종류로 선별하는 선별유닛(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즉 선별 이동 모듈은, 후술하는 밀링모듈에 폐 플라스틱을 공급하되, 밀링모듈을 구성하는 각 밀링유닛(41, 42, 43)에서 최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사이즈들의 폐 플라스틱을 각각 선별하고 선별된 폐 플라스틱들을 각 밀링유닛(41, 42, 43)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들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유입호퍼(10)는 최초 폐 플라스틱들이 유입되는 구성으로서, 호퍼 본체(10), 정렬 탱크(12) 및 배출구(13)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호퍼 본체(10)는 넓은 개방부를 포함하여 폐 플라스틱이 외부에 흐르지 않고 정렬 탱크(12)로 유입되도록 도 1과 같이 입구가 넓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정렬 탱크(12)는 이동선별수단에 폐 플라스틱을 공급하기 위해서 배출구(13)로 폐 플라스틱들이 길목효과에 의하여 막히지 않고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크류형 교반기 등을 포함하는 교반수단(미도시)이 포함되어 상술한 외부 전력 공급 수단, 제어부 및 자체 모터 및 동력 전달 구조 등에 의하여 동작되어 폐 플라스틱을 1차적으로 일부 파쇄하는 동시에 배출구(13)로 폐 플라스틱들이 이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밀링모듈은, 선별유닛에 의하여 선별된 사이즈별 폐 플라스틱을 각각 분쇄하는 다수의 밀링유닛(41, 42, 43)을 포함하되, 가장 작은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밀링유닛(43)으로 다른 밀링유닛(41, 42)으로부터 분쇄된 폐 플라스틱이 최종적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도 1, 4,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링유닛(41, 42)은 유입부 및 밀링머신으로 구성된 유닛으로서, 유입부가 밀링머신의 상부에 위치되어 중력에 따라서 폐 플라스틱들이 밀링머신에 공급되고, 밀링머신의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역시 중력에 따라서 폐 플라스틱들이 배출되도록 구성됨이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유입부, 밀링머신, 배출구의 구조는 각 밀링유닛(41, 42, 43) 및 선별이동수단의 상대적인 배치 위치의 변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포장모듈(50)은, 가장 작은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밀링유닛(43)으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 파우더를 공급받아 포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포장모듈(50)은 플라스틱 파우더를 임시 저장하는 유입부 및 배출구가 포함된 저장 탱크와, 배출구에서 연장되어 포장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는 포장부재 설치부 등의 구성을 포함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포장모듈(50)에서 배출구에 형성된 밸브가 개폐됨에 따라서 포장부재(60)에 플라스틱 파우더가 공급되어 재활용 가능한 형태로 포장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밀링유닛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밀링유닛은 제1 밀링유닛(41), 제2 밀링유닛(42) 및 제3 밀링유닛(4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밀링유닛은 3단계의 사이즈 처리 범위로 구분되는 3개의 밀링유닛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2 또는 그 이상의 밀링유닛이 밀링모듈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제1 내지 제3 밀링유닛(41, 42, 4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유입호퍼(10)에 의하여 공급되는 폐 플라스틱이 점차 작은 사이즈로 분쇄되면서 이동되어 가장 큰 사이즈부터 가장 작은 사이즈를 처리할 수 있도록 각 스펙에 맞게 배치된다.
제1 밀링유닛(41)은, 개방부를 통해 가장 큰 사이즈의 제1 폐 플라스틱(100)을 선별이동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제1 유입부(411) 및 제1 유입부(411)의 하부 개방부에 위치되어 제1 유입부(411)로부터 유입된 제1 폐 플라스틱(100)을 분쇄하는 제1 밀링머신(41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2 밀링유닛(42)은 상부 개방부를 통해 제1 유입부(411)에 유입되는 폐 플라스틱보다 작은 사이즈의 제2 폐 플라스틱(110)을 선별이동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제2 유입부(421) 및 제2 유입부(421)의 하부 개방부에 위치되어 제2 유입부(421)로부터 유입된 제2 폐 플라스틱(110)을 분쇄하는 제2 밀링머신(42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3 밀링유닛(43)은 상부 개방부를 통해 제2 유입부(421)에 유입되는 폐 플라스틱보다 작은 사이즈로서 가장 작은 사이즈의 제3 폐 플라스틱(120)을 상기 선별이동유닛으로부터 공급받는 제3 유입부(431) 및 제3 유입부(431)의 하부 개방부에 위치되어 제3 유입부(431)로부터 유입된 제3 폐 플라스틱(120)을 분쇄하여, 최종적으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130)를 제조하는 제3 밀링머신(43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의 제1 내지 제3 밀링머신(412, 422, 423)의 하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된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파우더(130)를 배출하는 배출구(413, 423, 433)이 형성되어, 각 배출구를 통해 분쇄된 폐 플라스틱들이 배출되어 선별이동모듈 또는 포장모듈(50)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되거나 유입되는 폐 플라스틱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밀링유닛(41, 42, 43)은 서로 상대적으로 배치 위치가 결정되고, 선별이동모듈의 각 구성들이 제1 내지 제3 밀링유닛(41, 42, 43) 사이에 배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링머신(412)의 배출구(413)와 제2 유입부(421)의 상부 개방부, 제2 밀링머신(422)의 배출구(423)와 제3 유입부(431)의 상부 개방부는 각각 선별이동모듈에 포함된 이동수단(24, 25)에 의하여 제1 밀링머신(412)의 배출구(413) 및 제2 밀링머신(422)의 배출구(423)에서 배출되는 분쇄된 폐 플라스틱이 각각 제2 유입부(421)의 상부 및 제3 유입부(431)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상대 배치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제2 유입부(421)에는 유입호퍼(10)를 통해서 유입되는 폐 플라스틱들 중 제2 폐 플라스틱(110)에 해당되는 사이즈의 플라스틱 또는 제1 밀링머신(412)에 의하여 분쇄됨에 따라서 제1 폐 플라스틱(100)이 분쇄되어 생성된 폐 플라스틱 중 제2 폐 플라스틱(110)에 해당되는 사이즈의 플라스틱들이 함께 유입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제3 유입부(431)에는 유입호퍼(10)를 통해서 유입되는 폐 플라스틱들 중 제3 폐 플라스틱(120)에 해당되는 사이즈의 플라스틱 또는 제2 밀링머신(422)에 의하여 분쇄됨에 따라서 제2 폐 플라스틱(110)이 분쇄되어 생성된 폐 플라스틱으로서 제3 폐 플라스틱(120)에 해당되는 사이즈의 플라스틱들이 함께 유입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각 밀링머신(412, 422, 432)들은 각각이 분쇄 또는 파쇄 가능한 플라스틱의 사이즈들 중 최적의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들을 최대한 공급받아서 분쇄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을 최적의 효율로 파쇄하여, 최종적으로는 제3 폐 플라스틱(120)을 공급받는 제3 밀링머신(432)에 의하여 도 7과 같이 플라스틱 파우더(130)가 생성될 것이며, 이에 따라서 플라스틱 알갱이(펠렛)의 제조 없이도, 또는 오버 사이즈의 플라스틱 펠렛이 제조되더라도, 이들을 압축 시 표면 성질이 우수한 플라스틱 파우더로 제조하여 재활용에 활용함으로써, 재활용 플라스틱의 품질 개선 및 재활용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밀링머신(412, 422, 432)은 각각 제1 내지 제3 폐 플라스틱(100, 110, 120)의 상술한 예와 같은 사이즈에 최적화된 밀링 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밀링머신(412, 422)는 커팅 밀링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으로 도 5에서는 제1 밀링머신(412)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제2 밀링머신(422) 역시 제1 밀링머신(41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커팅 밀링 장치는, 커팅 분쇄기, 나이프 분쇄기 등으로 지칭되는 범위의 분쇄기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링머신(412)은 중심 축(4121)을 기준으로 원통형의 메인 바디(4122) 및 메인 바디(4122)의 외주면에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돌출되도록 한 블레이드(4123)를 포함하여, 중심 축(4121)의 회전에 따라서 블레이드(4123)아 회전되면서 블레이드(4123)가 회전되는 공간인 내부캐비티(4124)의 물질을 절단하여 분쇄하는 방식의 기기를 지칭한다. 이때 메인 바디(4122)의 직경 및 블레이드(4123)의 설치 간격은 상술한 제1 및 제2 폐 플라스틱(100, 110)의 크기 및 1초당 유입량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밀링머신(412)과 제2 밀링머신(422)은 상술한 도 5의 구조와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게 될 것이다. 즉, 제1 밀링머신(412)과 제2 밀링머신(412)은 기본적으로 블레이드(4123)의 회전에 의하여 폐 플라스틱이 분쇄되도록 하여, 큰 덩어리를 작은 덩어리로 절단 분쇄하는 데 최적화된 장치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밀링머신(412)은 주로 제1 폐 플라스틱(100)을, 제2 밀링머신(422)은 주로 제2 폐 플라스틱(110)을 분쇄할 것이다.
이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링머신의 메인 바디(4122)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된 블레이드(4123) 사이의 간격(d1)은, 제2 밀링머신의 메인 바디(4222)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된 블레이드(4223) 사이의 간격(d2)과 비교할 때, d1 이 d2 보다 넓게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 내지 제3 폐 플라스틱(100, 110, 120)의 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d1은 100mm, d2는 10mm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파우더 크기의 분쇄에는 커팅 방식의 밀링 장치가 매우 부적절하나, 큰 사이즈를 파우더 크기로 분쇄하기 전에 후술하는 디스크 밀링 장치에 공급하기 적당한 정도로 분쇄하기 위해서는 회전형 드럼 및 이에 돌출된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서 으깨지거나 절단되는 방식으로 대상물을 분쇄하는 것이 적절하기 때문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배출되는 분쇄물의 사이즈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밀링머신(432)은 디스크 밀링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밀링 장치는 양 측에서 서로 일 영역이 접촉되는 디스크가 상대 회동하는 방식으로 구동되어, 디스크 사이의 접촉 영역에 유입된 대상물이 맷돌의 구동 방식과 유사하게 으깨지면서 가루 형태로 분쇄되도록 구동되는 밀링 장치를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제3 밀링머신(432)은, 적어도 제3 유입부(431)의 하부 개방부측에 설치되고 중공부를 갖는 고정디스크(4321) 및 고정디스크(4321)와 내부캐비티(4322)를 형성하면서 서로 외주면측이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도록 배치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디스크(4323)를 포함한다.
이대, 회전디스크(4323)는 모터(4325)와 구동축(4324)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R)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는데, 이에 따라서 공기 이동력이 생성되면서 제3 유입부(431)의 하부 개방부측으로부터 상술한 고정디스크(4321)와 회전디스크(4323)의 접촉면(접촉라인)을 향하여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제3 폐 플라스틱(120)은 상술한 접촉면(접촉라인)을 향하여 이동되는데, 즉 상술한 내부캐비티(4322)로 진입한 뒤, 원심력에 의하여 접촉면(접촉라인)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접촉면(접촉라인)을 지나면서 디스크(4321, 4323) 사이의 접촉면(접촉라인)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분쇄됨에 따라서 플라스틱 파우더(130)로 매우 잘게 분쇄되는 것이다. 이러한 플라스틱 파우더(130)는 배출구(423)를 통해 포장모듈(50)로 배출될 것이다.
즉, 매우 작은 크기의 제3 폐 플라스틱(130)을 파우더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커팅 방식이 아닌 맷돌과 유사한 방식으로 가루를 생성하는 디스크 밀링 방식의 밀링 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유입호퍼(10), 제1 내지 제3 밀링유닛(41, 42, 43)으로 각 폐 플라스틱들을 운반하고, 제1 내지 제3 밀링유닛(41, 42, 43)에 제1 내지 제3 폐 플라스틱(100, 110, 120)을 각각 공급하기 이해서는 이동선별유닛의 구동이 필요하다, 상술한 이동선별유닛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선별유닛 중, 제1 밀링머신(412)의 배출구(413)로부터 제2 유입부(421)의 상부 개방부를 향해 제1 밀링머신(412)으로부터 분쇄된 폐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는 제4 이동수단(24) 및 제2 밀링머신(422)의 배출구(423)로부터 제3 유입부(431)의 상부 개방부를 향해 제2 밀링머신(422)으로부터 분쇄된 폐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는 제5 이동수단(25)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제4 이동수단(24)은 제1 밀링머신(412)의 배출구(413) 하부와 제2 유입부(421)의 상부 개방부 사이에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제5 이동수단(25)은 제2 밀링머신(422)의 배출구(423) 하부와 제3 유입부(431)의 상부 개방부 사이에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다.
제4 및 제5 이동수단(24, 25)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이동수단(21, 22, 23, 24, 25)은 모두 컨베이어 벨트 방식의 이동수단이다. 이에 따라서 각 이동수단(21 내지 25)은 구동 축 또는 폴리와, 이에 결합되어 구동 축 또는 폴리의 회전에 의하여 길이 방향 운동이 형성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각 벨트의 양 측면에는 폐 플라스틱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선별이동모듈에 포함된 구성들 중, 제1 이동수단(21)은 유입호퍼(10)로부터 유입된 폐 플라스틱을 제1 유입부(411)의 상부 개방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경사 이동 수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수단(21)의 제1 유입부(411) 측 단측은 제1 유입부(411)의 상부에 위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2 이동수단(22)의 단측과 제1 이동수단(21)의 단측 사이에 제1 유입부(411)의 상부가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선별유닛(3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수단(21)의 제1 유입부(411) 측 단측에 배치되며, 제1 유입부(411)의 상부로 제1 폐 플라스틱(100)이 낙하되고, 제1 폐 플라스틱(100)을 제외한 제2 폐 플라스틱(110) 및 제3 폐 플라스틱(120)을 제1 이동수단(21)의 제1 유입부(411) 측 단측의 하부에 일 단측이 연결되고 다른 단측이 제2 유입부(42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이동수단(22)에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선별유닛(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동수단(21)의 제1 유입부(411) 측 단측에 설치되는데, 제1 이동수단(21)의 중심으로부터 제1 유입부(411) 측 단측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제1 에어분사기(31, 제1 선별유닛과 동일한 구성)를 포함하거나 그 자체일 수 있다.
제1 선별유닛(31)은 상술한 바에 따라서, 제1 이동수단(21)을 통해 이동되는 폐 플라스틱을 공기 분사에 의하여 날리는 방식으로 이동시키되, 제1 폐 플라스틱(100)을 제외한 제2 폐 플라스틱(110) 및 제3 폐 플라스틱(120)만을 이동시켜 제1 유입부(411) 상부를 통해 날려 제2 이동수단(22)에 이동시키는 외력을 갖는 공기를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이동수단(22)은 상술한 배치 위치 및 구동에 따라서 제2 폐 플라스틱(120) 및 제3 폐 플라스틱(120)들을 제2 유입부(421)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2 선별유닛(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동수단(22)의 제2 유입부(421) 측 단측에 배치되며, 제2 유입부(421)의 상부로 제2 폐 플라스틱(110)이 낙하되고, 제2 폐 플라스틱(110)을 제외한 제3 폐 플라스틱(120)을 제2 이동수단(22)의 제2 유입부(421) 측 단측의 하부에 일 단측이 연결되고 다른 단측이 제3 유입부(43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3 이동수단(23)에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선별유닛(3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이동수단(22)의 제2 유입부(421) 측 단측에 설치되는데, 제2 이동수단(22)의 중심으로부터 제2 유입부(421) 측 단측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제2 에어분사기(33, 제2 선별유닛과 동일한 구성)를 포함하거나 그 자체일 수 있다.
제2 선별유닛(32)은 상술한 바에 따라서, 제2 이동수단(22)을 통해 이동되는 폐 플라스틱을 공기 분사에 의하여 날리는 방식으로 이동시키되, 제2 폐 플라스틱(110)을 제외한 제3 폐 플라스틱(120)만을 이동시켜 제2 유입부(421) 상부를 통해 날려 제3 이동수단(23)에 이동시키는 외력을 갖는 공기를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 이동수단(23)은 상술한 배치 위치 및 구동에 따라서 제3 폐 플라스틱(120)을 제3 유입부(431)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기능 수행을 위해서 제1 에어분사기(31)의 공기 분사력은 제2 에어분사기(32)의 공기 분사력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유입호퍼로부터 유입된 폐 플라스틱을 분쇄를 위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폐 플라스틱의 사이즈에 따라서 복수의 종류로 선별하는 선별유닛을 포함하는 선별이동모듈;
    상기 선별유닛에 의하여 선별된 사이즈별 폐 플라스틱을 각각 분쇄하는 다수의 밀링유닛을 포함하되, 가장 작은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밀링유닛으로 다른 밀링유닛으로부터 분쇄된 폐 플라스틱이 최종적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되는 밀링모듈; 및
    상기 가장 작은 사이즈의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밀링유닛으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 파우더를 공급받아 포장하는 포장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밀링유닛은,
    상부 개방부를 통해 가장 큰 사이즈의 제1 폐 플라스틱을 상기 선별이동모듈로부터 공급받는 제1 유입부 및 제1 유입부의 하부 개방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제1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제1 밀링머신을 포함하는 제1 밀링유닛;
    상부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입부에 유입되는 폐 플라스틱보다 작은 사이즈의 제2 폐 플라스틱을 상기 선별이동모듈로부터 공급받는 제2 유입부 및 제2 유입부의 하부 개방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제2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제2 밀링머신을 포함하는 제2 밀링유닛; 및
    상부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2 유입부에 유입되는 폐 플라스틱보다 작은 사이즈로서 가장 작은 사이즈의 제3 폐 플라스틱을 상기 선별이동모듈으로부터 공급받는 제3 유입부 및 제3 유입부의 하부 개방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3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제3 폐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제3 밀링머신을 포함하는 제3 밀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밀링머신의 배출구와 상기 제2 유입부의 상부 개방부, 상기 제2 밀링머신의 배출구와 상기 제3 유입부의 상부 개방부는 각각 상기 선별이동모듈에 포함된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밀링머신의 배출구 및 상기 제2 밀링머신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분쇄된 폐 플라스틱이 각각 상기 제2 유입부의 상부 및 상기 제3 유입부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상대 배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컨베이어 벨트이며,
    상기 선별이동모듈은,
    상기 유입호퍼로부터 유입된 폐 플라스틱을 상기 제1 유입부의 상부 개방부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
    상기 제1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입부의 상부로 상기 제1 폐 플라스틱이 낙하되고, 상기 제1 폐 플라스틱을 제외한 상기 제2 폐 플라스틱 및 상기 제3 폐 플라스틱을 상기 제1 이동수단의 상기 제1 유입부 측 단측의 하부에 단측이 연결되고 다른 단측이 상기 제2 유입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이동수단에 이동시키는 제1 선별유닛;
    상기 제2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입부의 상부로 상기 제2 폐 플라스틱이 낙하되고, 상기 제2 폐 플라스틱을 제외한 상기 제3 폐 플라스틱을 상기 제2 이동수단의 상기 제2 유입부 측 단측의 하부에 단측이 연결되고 다른 단측이 상기 제3 유입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3 이동수단에 이동시키는 제2 선별유닛;
    상기 제1 밀링머신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2 유입부의 상부 개방부를 향해 상기 제1 밀링머신으로부터 분쇄된 폐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는 제4 이동수단; 및
    상기 제2 밀링머신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3 유입부의 상부 개방부를 향해 상기 제2 밀링머신으로부터 분쇄된 폐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는 제5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별유닛은 상기 제1 이동수단의 상기 제1 유입부측 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수단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유입부측 단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1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되는 폐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되, 상기 제1 폐 플라스틱을 제외한 상기 제2 폐 플라스틱 및 상기 제3 폐 플라스틱만을 이동시켜 상기 제2 이동수단에 이동시키는 외력을 갖는 공기를 분사하는제1 에어분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선별유닛은,
    상기 제2 이동수단의 상기 제2 유입부측 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동수단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유입부측 단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2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되는 폐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되, 상기 제2 폐 플라스틱을 제외한 상기 제3 폐 플라스틱만을 이동시켜 상기 제3 이동수단에 이동시키는 외력을 갖는 공기를 분사하는제2 에어분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링머신 및 제2 밀링머신은,
    중심 축을 갖는 원통형의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밀링머신의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2 밀링머신의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설정된 커팅 밀링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밀링머신은,
    적어도 상기 제3 유입부의 하부 개방부측에 설치되고 중공부를 갖는 고정디스크 및 상기 고정디스크와 내부캐비티를 형성하면서 서로 한쪽 면이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도록 배치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디스크를 포함하여,
    회전디스크의 회전에 의한 공기 이동력에 의해 상기 제3 유입부의 하부 개방부측으로부터 유입된 폐 플라스틱이 상기 내부캐비티로 진입한 뒤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접촉면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마찰에 의하여 분쇄됨에 따라서 플라스틱 파우더를 생성하는 디스크 밀링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KR1020200101720A 2020-08-13 2020-08-13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KR10229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20A KR102294891B1 (ko) 2020-08-13 2020-08-13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20A KR102294891B1 (ko) 2020-08-13 2020-08-13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891B1 true KR102294891B1 (ko) 2021-08-27

Family

ID=7750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720A KR102294891B1 (ko) 2020-08-13 2020-08-13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5473A (zh) * 2022-01-21 2022-04-15 宋江勇 一种利用固体废弃物制备水泥微料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4512B1 (ko) * 1991-11-15 1998-11-16 니시보리 사다오 분쇄,분리방법, 분쇄,분리,정립방법 및 분쇄,분리장치와, 분쇄,조립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 및 연마,정립장치
JP2001054911A (ja) * 1999-08-17 2001-02-27 Komatsu Ltd 廃プラスチック容器リサイクル装置
JP2002028927A (ja) * 2000-07-13 2002-01-29 Idemitsu Technofine Co Ltd 樹脂粒状物の回収方法および樹脂粒状物
JP2004142360A (ja) * 2002-10-28 2004-05-20 Kawata Mfg Co Ltd 廃プラスチックの分別方法
KR20150141030A (ko) * 2014-06-09 2015-12-17 (주) 제이엠케미칼 플라스틱합지종이의 종이와 플라스틱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4512B1 (ko) * 1991-11-15 1998-11-16 니시보리 사다오 분쇄,분리방법, 분쇄,분리,정립방법 및 분쇄,분리장치와, 분쇄,조립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 및 연마,정립장치
JP2001054911A (ja) * 1999-08-17 2001-02-27 Komatsu Ltd 廃プラスチック容器リサイクル装置
JP2002028927A (ja) * 2000-07-13 2002-01-29 Idemitsu Technofine Co Ltd 樹脂粒状物の回収方法および樹脂粒状物
JP2004142360A (ja) * 2002-10-28 2004-05-20 Kawata Mfg Co Ltd 廃プラスチックの分別方法
KR20150141030A (ko) * 2014-06-09 2015-12-17 (주) 제이엠케미칼 플라스틱합지종이의 종이와 플라스틱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5473A (zh) * 2022-01-21 2022-04-15 宋江勇 一种利用固体废弃物制备水泥微料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40159U (zh) 一种高效的塑料粉碎分级装置
AU783634B2 (en) Polymeric foam processing
CN205364278U (zh) 一种用于塑料加工的高效造粒机
KR101880732B1 (ko) 폐비닐 재활용 방법 및 장치
CN102416675B (zh) 基于机械物理法可产业化废旧热固性塑料再生工艺及设备
KR102294891B1 (ko)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CN203990815U (zh) 一种用于塑料加工厂的破碎机
Mikulionok Pretreatment of recycled polymer raw material
CN209738098U (zh) 一种塑料破碎装置
CN101823300A (zh) 塑料磨粉机
CN108357026A (zh) 一种废旧塑料粉碎收集装置
KR20210068784A (ko) 폐스티로폼 분쇄장치
KR20140020392A (ko)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기 위한 원료칩 제조장치
KR101215444B1 (ko) 미가류 재생타이어의 고무와 철심 분리장치
KR20220027051A (ko) 플라스틱 처리 장치 및 관련 방법
CN201597131U (zh) 塑料磨粉机
KR100881239B1 (ko) 폐스치로폼 분쇄기
KR101740674B1 (ko) 쿨링타워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KR101119068B1 (ko) 폐비닐을 활용한 고체연료화 설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화 방법
KR102376751B1 (ko) 소음과 분진저감 기능을 갖는 폐발포수지 분쇄장치
CN101293388B (zh) 一种气力输送式联合加料机
JP2002067029A (ja) 使用済みプラスティックの再資源化処理方法及びその再資源化成型物
RU2290997C1 (ru) Дисмембратор
KR100403939B1 (ko) 합성수지용기의 분쇄장치
KR20120019114A (ko) 폐타이어 또는 폐고무 분말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