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512B1 - 분쇄,분리방법, 분쇄,분리,정립방법 및 분쇄,분리장치와, 분쇄,조립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 및 연마,정립장치 - Google Patents

분쇄,분리방법, 분쇄,분리,정립방법 및 분쇄,분리장치와, 분쇄,조립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 및 연마,정립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512B1
KR0154512B1 KR1019920021419A KR920021419A KR0154512B1 KR 0154512 B1 KR0154512 B1 KR 0154512B1 KR 1019920021419 A KR1019920021419 A KR 1019920021419A KR 920021419 A KR920021419 A KR 920021419A KR 0154512 B1 KR0154512 B1 KR 0154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impact
resin
coating film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657A (ko
Inventor
니시보리 사다오
아따꾸라 유쪼
Original Assignee
니시보리 사다오
아인 가부시기가이샤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보리 사다오, 아인 가부시기가이샤, 박경희 filed Critical 니시보리 사다오
Publication of KR93000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8Use of auxiliary physical effects, e.g. ultrasonics, irradiation, f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비교적 간단한 수단으로 처리대상으로는, 예컨대 수지성형품으로부터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도막을 분리 제거한 위에 소재화된 수지재료를 소정 입경 범위 내로 정립(整粒)된 수지재료로 회수하고, 또 분체재료 등의 피처리물을 분쇄, 조립(造粒)한다. 수지성형품을 각 피처리 소편으로 파쇄한 후 각 피처리 소편에 대하여 미진동에 기한 압축충격력을 부가하여 압궤(壓潰: Squeezing)시키고, 각 피처리 소편면으로부터 분리한 수지도막을 제거하고 각 피처리 소편을 재분쇄시켜 각 분쇄편에 대하여도 충격마쇄력을 부가하여 갈아 정립하고, 또 내측 압축충격부재의 내측 압축충격면과 외측 압축충격부재의 외측 압축충격면과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시켜 이들의 내측 한쪽에 방향성이 있는 미진동을 주어 각 압축충격면 사이에 공급되는 피처리물을 분쇄하고 압궤하여 표면의 도막을 분리 조립한다

Description

분쇄·분리방법, 분쇄·분리·정립방법 및 분쇄·분리장치와, 분쇄·조립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 및 연마·정립장치
이 발명은 분쇄·분리방법, 분쇄·분리·정립(整粒)방법 및 분쇄·분리장치와, 분쇄·조립(造粒) 또는 분쇄·조립장치 및 연마·정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적용 분야는 표면이 화장용 및/또는 보호용의 수지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도막에 의하여 덮여진 각종 수지성형품을 처리대상으로 하며 이 수지성형품을 파쇄하여 조립상의 복수개로 피처리 소편화한 후에 조립상으로 된 각 피처리 소편으로부터 수지도막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소재화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는 분쇄·분리방법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이와 병행하여 이 소재화된 수지재료를 정립하여 소정 입경의 범위내의 조립물에 의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회수된 수지재료의 재이용을 도모하도록 한 수지재료에 적용되는 분쇄·분리·정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절연전선, 코드 등의 피복재인 염화비닐수지, 가교폴리에틸렌, 합성고무 등으로부터 도체인 동, 알루미늄 등을 분쇄·분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등의 각종 부품의 절연체인 플라스틱과 반도체를 포함한 도체인 금속을 회수하는 분리방법 즉, 도체로부터 절연체를 분리하는 방법 또는 처리대상으로서의 수지재료 등에 적용되는 분쇄·분리장치와, 그것에 상기 조립상으로 된 각 피처리 소편으로부터 수지도막을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또는 비교적 경질의 수지성형품을 포함한 분체성형품 등(이하 단순히 분체성형품이라 부른다)을 처리대상으로 하여 이 분체성형품 등을 파쇄하여 조립상의 복수개로 피처리물화한 후에 조립상으로 된 비교적 경질의 수지재료를 포함한 분체 재료 등(이하 간단히 분체 재료라고 부른다)의 피처리물을 분쇄하거나 또는 후추, 대두, 커피두 등의 향신료, 두류 및 목재 칩 등의 피처리물, 예컨대 소정의 입경 범위내로 혹은 소정의 두께로 분쇄 혹은 마쇄하는 장치 혹은 비교적 연질의 수지성형품을 포함하는 분체성형품 등(이하 간단히 분체성형품이라 칭한다)을 처리대상으로 하여 이것을 파쇄하여 피처리물화 한 후에 조립상으로 된 비교적 연질의 수지재료를 포함하는 분체재료 등의 피처리물을 정립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피처리물의 분쇄·조립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 및 연마·정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천연수지 혹은 합성수지 등의 수지재료에 의하여 부형성형된 수지성형품은 생활의 다양화에 따라서 광범위한 용도로 여러 종류가 다량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에는 이러한 종류의 수지성형품의 사용후의 처리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서 수지성형품을 구성하는 수지재료의 대부분은 각각 내수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부패하기 어려운 것 등의 장점을 갖는 반면, 예를 들면 폐기처분을 위하여 소각로에 의한 소각시에 다량의 유해가스 등이 연기 등을 발생하여 사회환경상 좋지 않음은 잘 열려져 있다. 더하여 소각시에 용융된 수지재료가 로(爐)내에 부착하여 로 자체를 손상할 염려가 있는 등의 불리한 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 불리한 점을 피하기 위하여 이 수지성형품을 땅속에 매몰 처리한 것도 장기간에 걸쳐 부패되지 않고 잔존하기 때문에 환경파괴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한편, 이 종류의 수지재료를 폐기하지 않고 재이용하는 것이 요청 또는 인식되었고, 이 재이용을 위하여 수지성형품에 대하여는 이용한 수지재료의 종별 등을 표시하여 회수의 편리를 도모하는 것 등이 시도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의 재이용을 위하여 회수하게 되는 수지성형품은 통상의 경우 당해 수지성형품에 대하여 광택을 내고 지우거나 착색 등의 화장용 때문에 또는 내마모성 및 내후성 등을 더욱 높이는 보호용 때문에 수지피막을 형성하는 일이 많다. 그 일예로서 자동차의 중량의 약 75%의 재료가 리사이클 되고 있으나 태반이 금속재료이고 나머지 약 25%는 더스트 등으로 폐기되며, 이중 플라스틱이 중량비로 약 30% 포함되어 있다.
예컨대, 각종 차량에 적용되는 범퍼 일부재에 있어서는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의하여 성형된 두께 2.5mm∼5mm 정도의 기체부재의 표면상에 막두께 15㎛∼30㎛ 정도의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계 등의 도막을 입힌 것이 통례이다.
또, 이 수지성형품이 표면에 성형되어 있는 수지도막은 당해 수지성형품의 성형에 적용되는 수지재료와는 다른 종류, 특성의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경우 및 다른 색채의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다른 종류, 특성 및 다른 색체를 갖는 수지재료 상호를 혼재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재이용화할 때에는 당해 재이용에 의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의 충격강도 등의 기계특성이 현저히 손상되는 외에 소망스러운 표면의 평할이나 색체도 또한 얻어질 수 없는 결과가 생기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관점으로부터 종래에는 회수된 수지성형품에 관하여 통상 이것을 동일 종류로 또, 동일 특성을 갖게 수지재료별로 구분한 후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었다.
그러함에도 수지성형품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도막은 비교적 얇고 또 도착력도 강해서 간단하게는 박리되지 않고 공지의 숏트 블라스트에 의한 기계적인 박리 선별수단으로도 처리능력이 저하되는 등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않은 장애가 생기기 쉽고 적합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 예를 들면, 볼 밀 등의 분쇄수단을 사용하여 이것을 박리 선별하도록 하는 것도 분쇄시에 생기는 마찰열에 의하여 박리대상의 수지도막이 용융되어 오히려 박리가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또, 한편으로는 예컨대 홉퍼 등 투입구를 통하여 당해 처리물을 특정의 처리부에 공급하도록 하며, 홉퍼내에 있어서조차 투입에 의하여 겹쳐 쌓인 피처리물이 상호 응집 또는 긴축되어 고화 상태로 되므로 원활한 공급이 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고, 또 처리부에 있어서도 들어가는 개개의 피처리물 상호간에 폐색 등이 생기기 쉽게 되어 효과적인 처리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 불합리한 경우가 있다.
또, 종류, 특성을 달리하고 있는 각 수지재료의 상호간을 대응하는 유기용제에 의하여 용해 분리 처리하는 것에는 폴리프로필렌 기재 자체를 변질시키고 또 처리능력이 저하되고 가열, 용융 공정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처리장치 자체가 대단히 커지게 되는 것으로 경제적인면 등으로 보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 사용이 끝난 용제의 중화공정이라는 후처리를 요하여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 상기 수지재료의 회수에 관련하는 각 문제점은 당해 수지재료 이외의 분체재료에 있어서도 대체로 같은 모양이었다.
한편, 앞서와 같은 수지재료에 의한 각 피처리물로부터 수지도막을 박리 제거함에 맞춰서 당해 수지도막이 입혀진 수지재료, 혹은 단순히 수지재료를 함유한 분체재료 등 각 피처리물에 관하여 당해 각 피처리물이 비교적 경질의 피처리물일때에 그 각 피처리물울 소정 입경의 범위내에서 분쇄하고, 또 비교적 연질의 피처리물일때에는 그 각 피처리물을 소정 입경의 범위내에서 조립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각 처리조작을 1개의 처리장치에 의하여 행하는 것이 요청되어 왔으나,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은 사실 때문에 당해 요청에 맞게 적응시킬 수 있는 처리장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현상황에 있다.
또, 절연전선 혹은 코드 등으로부터 절연체인 피복재를 벗겨내어 도체인 동, 알루미늄 등의 재이용을 하려할 경우, 피복재를 긴 방향으로 향하여 당겨 찢어서 도체부분을 벗겨낸다든가 또는 피복재에 긴 방향으로 향한 밴자국을 낸 후, 일정한 길이로 전선 코드를 절단하여 그 절단선에 비틀림을 행하는 것으로 피복재와 도체와의 분리를 하여 왔다.
또, 피복재가 가연성을 갖는 경우, 로중에서 피복재를 연소 제거하는 것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절연체인 피복재를 물리적으로 당겨 벗기거나 혹은 비틀려 넣음에 의하여 분리하는 종래의 수단으로는 분리효율이 나쁘고, 실용적이지 않은 불합리를 갖고 있었다.
또, 컴퓨터, 워드프로세서가 내용연수가 경과되어 폐기될때에 본체내에 다수 사용되고 있는 반도체 등의 칩, 다른 도체 및 기타의 부품은 컴퓨터 본체와 함께 단순하게 폐기되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등에는 많은 금속이 절연체인 플라스틱으로 몰드되어 사용되어서, 자원의 유효한 이용이라는 견지에서 보아도,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이 요청에 따를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또, 종래 후추 등의 향신료의 분쇄물을 얻는 경우에는 이들의 볼을 핀 밀 등의 고속 분쇄기에 의하여 일 공정으로 최종입도까지 분쇄처리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분쇄의 균일성의 결여, 분쇄 효율의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분쇄시에 큰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에 향신료가 가열되어 이 열에 의한 변성으로 향기, 맛 등 품질이 양호한 분쇄 향신료를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향신료 이외의 분야에서는 롤기계를 사용한 다단분쇄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롤 밀과 그 아래의 또 하나의 밀 등을 사용하여 체에 거를 때에 생기는 거친 가루량을 분기하여 롤 밀 및 제2의 밀에 되돌리도록 하며 2개의 분기 흐름에서의 거친 가루량의 분배를, 롤 밀의 구동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약한 재료의 2단계 분쇄방법 및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2단계 분쇄에 있어서도 종래기술에서는 분쇄시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면 향신료가 가열되어 이 열에 의한 변성으로 향기, 맛 등의 품질이 양호한 분쇄 향신료를 얻은 것이 곤란하였다.
이와 같은 가열에 의한 문제는 고추분말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살균공정의 제분공정 및 카레분의 원료인 지극히 다종인 향신식물의 분쇄공정 등 기타 향신료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도 같은 모양이었다.
또, 커피두로부터 과피를 벗겨낸 생두를 쪄 볶은후에 분쇄하는 공정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브레이드 카터 혹은 다수의 핀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 수단에 의하면 균일한 가루의 분체를 얻음에는 분쇄공정의 반복에 의하여 장시간을 요하는 것이었다.
또, 예를 들면 두부, 된장, 고물 등의 식품제조에서 원료를 분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마쇄기는 하부본체의 모터축에 아래 절구가 고정되고, 상부 본체에는 아래절구에 대향하는 상절구를 보지한 카바가 나사식으로 붙어 있으며, 카바를 돌려서 조임정도를 바꿈에 의하여 아래절구와 상절구와의 간격을 조정하고, 모터에 의하여 아래절구를 회전하여 아래절구와 상절구와의 사이에서 괴상물을 미세한 가루로 분쇄하도록 되었다.
그러함에도 이 마쇄기는 가루나 가루와 물의 혼합물이 상기 카바의 나합부에 들어가고, 카바가 회전하여감에 의하여 아래절구와 상절구와의 간격 조정이 가능하지 않게 되어 분쇄 입도가 불균일하고, 처리공정에 많은 시간을 요하는 것이었다.
또, 일반적으로 목재를 분쇄 가공한 만분(큰톱밥)이나 나무 껍질 분쇄물은 예컨대 축산용 사료, 축산용 부료(敷料: 敷藁), 퇴비, 고형 연료재 및 식용 버섯 등의 균상 재배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 최근에는 자동차연료용 알코올의 양산 기술개발이나 포도당제조 효소이용에 의한 사료화 등 생물공학의 발달에 의하여 그 수요의 확대화가 도모되며, 더욱이 간벌재 등의 삼림자원의 완전활용을 부르짖는 요즘, 목재 및 나무껍질 등의 분쇄 가공기술의 향상이 종래보다도 더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분쇄장치에는 목재 및 나무껍질 등을 완전하게 가공하는 것이 곤란하고 얻어진 분쇄물중에는 스리버(sliver)라고 불러지는 버들개지상(길고 가느다란 모양)의 목편이나 형상이 큰 불완전한 분쇄물이 혼재하여 균일한 분쇄입도 및 형상의 분쇄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목편(sliver)이나 불완전한 분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 선별 공정이 필요하고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제지용 펄프 혹은 목질 섬유판의 원료로 되는 복수의 칩재 원목에 의한 칩을 회전 커터로 절삭하여 제조하는 종래의 칩제조기는 회전 원반의 외주부에 절도(자르는 칼)를 부착한 회전 커터로 목재 섬유를 직각으로 절삭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칩의 형상이 나쁘고 먼지를 만들기 쉬우며, 또 많은 동력을 요하고 그럼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목재 섬유를 직각으로 절삭하기 위한 작업중에 강렬한 소음이 발생하여 특수한 방음설비없이는 주택지 부근에서의 조작은 불가능하였다.
이 발명은 주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한 수단에 의하여 처리대상 예컨대 수지성형품으로부터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도막을 분리 제거한 후에 소재화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병행하여 이것을 소정의 입경 범위내로 정립된 수지재료로서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분쇄 분리방법, 분쇄·분리·정립방법 및 분쇄·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앞서와 동일한 모양으로 거친가루 상태로 된 각 피처리 소편으로부터 예를 들면 수지도막을 분리, 제거함과 동시에 넓은 의미로는 비교적 경질의 분체성형품 등의 재료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 재료를 파쇄하여 거친 가루로 한 피처리물을 분쇄하고, 또 별도로 비교적 연질의 분체성형품 등의 재료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서 이 재료를 파쇄하여 거친 가루로 한 피처리물을 정립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수지재료를 포함한 분체재료 내지는 기타 분체재료 등의 피처리물의 분쇄·조립장치,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 및 이러한 분체재료 등의 연마·정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수지도막의 박리제거에 관한 종래의 각 문제점을 해소하고 겸하여 수지재료를 포함한 분체재료 등에 의한 각 피처리물의 분쇄 또는 조립에 관한 요청에 응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한 수단에 의한 공통의 구성에 의하여 처리대상인 각 피처리물로부터 도착되어 있는 수지도막을 박리 제거한 후에 이것을 소재화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든지, 필요에 따라서는 재이용에 적합한 형태로 조립하여 회수하도록 하고, 수지재료를 포함한 분체재료 등에 의한 각 피처리물을 분쇄하고, 또는 조립하여 얻어지도록한 이 종류의 수지재료로부터의 도막 박리를 위한 분쇄·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하여, 다른 목적은 종래에 있어서 절연전선 혹은 코드의 처리에 따르는 불합리를 감안하여 확실하고 용이하게 도체부분을 절연체로부터 분리 회수하고, 그럼에도 하등의 공해 등의 문제를 생기게 하는 것이 아닌 도체와 절연체와의 분리방법 및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등의 각종 부품의 절연체인 플라스틱과 반도체를 포함한 도체인 금속을 회수하는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이 발명은 후추 등의 향신료를 가열하지 않고, 예컨대 후추를 소량의 100∼150μ 입도 범위내로 분쇄하고 향기, 맛 등의 우수한 고품질의 분쇄 향신료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커피두 대두 등의 두류를 가열 등에 의하여 향과 맛등의 품질을 변화시키는 일없이 소량의 균일한 분립으로 분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더하여 이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코스트나 설비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목재 분쇄물이나 목재칩을 마쇄하고 부피 비중을 높이고 수송·운반 효율을 좋게 하는 것에 있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처리대상의 일례인 수지성형품 및 당해 수지성형품을 파쇄하여 얻어진 피처리 소편의 각 일례를 개념적이고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설명도이다. (타이프 각주: 세미콜론;)
제2도는 이 발명의 처리대상의 일례인 수지재료의 분쇄·분리방법, 및 수지재료의 분쇄·분리·정립방법의 기본적인 제1실시예 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개요를 원리적이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처리공정의 계통설명도이다.
제3도는 상기 제1실시예 방법에 사용되는 제1실시예 장치로서의 제1압축 충격력 부가장치의 개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구성약도이다.
제4도는 이 발명의 처리대상의 일례인 수지재료의 분쇄·분리방법, 및 수지재료의 분쇄·분리·정립방법의 구체적인 제2실시예 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개요를 원리적이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처리공정의 계통설명도이다.
제5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 방법에 의한 분체재료 등의 분쇄·분리·조립과정의 개요를 원리적이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처리공정의 계통설명도이다.
제6도는 상기 제2, 제3실시예 방법에 사용되는 제2의 실시예 장치로서 제2의 피처리물의 분쇄·조립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인 압축 충격력 부가·조립장치의 개요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A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종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요부 횡단면도이다.
제8도는 이 방법의 실시예에 의한 제2실시예 장치에 교반기구를 설치한 제3의 피처리물의 분쇄·조립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의 개요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A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종단면도이다.
제9도는 도체와 절연체로 되는 선재 A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상기 선재를 위한 압축 충격의 한 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11도는 상기 제2, 제3의 각 실시예 방법에 사용되는 제4의 실시예 장치로서의 연마·조립장치의 개요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에서의 연마·정립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설명도이다.
그리고 제13도는 이 발명에 의한 수지재료의 분쇄·분리·조립방법에서 나아가 실제적인 제3실시예 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개요를 원리적이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처리공정의 계통설명도이다. (타이프 각주: 피리오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처리대상의 수지성형품 12 : 피처리 소편
13 : 기체부재(피회수 수지재료) 14 : 수지도막(피제거 수지도막)
15 : 피회수 수지재료(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6 : 제1압축충격력 부가장치 17 : 피처리물
20 : 제1압축충격력 부가장치 21a,21b : 압축충격부재
22a,22b : 압축충격면 23 : 압축충격부
24 : 투입개구 25 : 돌기
30 : 제2, 제3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1 : 하부장치 본체
31a : 취출 홉퍼 32 : 받침대
33 : 내측 압축충격부재 33a : 내측 압축충격면
33b : 내측 압축충격부재 34 : 지지기둥
40 : 진동방지용 탄성부재 41 :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a : 투입 홉퍼 41b : 중간 홉퍼
42 : 진동 모터(진동 발생수단) 42a : 브래킷
43 : 외측 압축충격부재 43a : 외측 압축충격면
100 : 피처리물 101 : 파쇄공정
101a : 제1의 체선별 101b : 체 상부
101c : 체 하부 102 : 압궤·박리공정
102a : 제2의 체나눔 102b : 체 상부
102c : 체 하부 103 : 연마·정립공정
104 : 재분쇄공정 104a : 제3의 체선별
104b : 체 상부 104c : 체 하부
105 : 연마·정립공정 111 : 분쇄공정
112 : 조립공정 150 : 연마·정립장치
151 : 고정원반 152 : 공급 투입구
153 : 고정단판 154 : 고정핀
155 : 둘레측판 161 : 가동원반
162 : 회전횡축 163 : 축받침
164 : 가동핀 171 : 체의망
172 : 배축구부 173 : 취출구부
174 : 플러그 밸브 181 : 연마·정립공간
182 : 배출공간 201,202 : 커터 밀
202 : 데스크 밀 203 : 핀 밀
250 : [거친 분쇄] 처리공정 251 : [제1차 압축, 박리-1] 처리공정
252 : [제2차 압축, 박리-2] 처리공정 253 : [절단분산, 박리] 처리공정
254 : [제3차 압축, 박리-3] 처리공정 255 : [정립, 분리] 처리공정
256 : [분급, 분리] 처리공정 301∼303 :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400∼404 : 체 선별장치 501 : 블로어
601 : 사이클론 장치 602 : 백 필터장치
603 : 블로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관한 분쇄·분리방법, 및 분쇄·분리·정립방법은 처리대상, 예컨대 수지성형품을 복수의 각 피처리 소편으로 파쇄한 후 이들 개개의 각 피처리 소편에 대하여 미진동에 기인한 압축충격력을 부가하여 압궤(壓潰: Squeezing)하고, 이 압궤작용에 의하여 각 피처리 소편으로부터 분리된 수지피막을 제거하는 것으로 소재화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며, 또는 수지피막이 제거된 압궤 피처리 소편에 대하여 충격마쇄력을 부가하여 연마하고 표면이 가지런해진 수지재료로서 회수하며, 또는 각 피처리 소편을 재분쇄한 후에 이 재분쇄된 입경을 소정의 입경 범위이하로 맞춘 후에 각 분쇄편에 대하여 충격마쇄력을 부가하여 연마하고, 이것을 소정의 입경 범위내의 정립물에 의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도록 한 것이나, 혹은 상기 분쇄·분리방법에 관한 발명은 절연전선, 코드 또는 플라스틱 몰드한 반도체 등의 도체가 절연체로 피복되어 있는 재료를 절단·파쇄하고, 이 절단선재에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을 부여하여 이 절단선재의 도체를 절연체로부터 분리해 낼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분쇄·분리장치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압축충격면에 대하여 미진동 또는 방향성이 있는 미진동을 주어 이러한 각 압축충격면 사이에 공급되는 각 피처리 소편을 당해 미진동 또는 방향성이 있는 미진동에 기한 압축 충격력에 의하여 압궤하도록 한 것이다.
또, 이 발명에 관한 분쇄·조립 또는 분쇄·조립·조립장치, 및 연마·정립장치는 내측 압축충격 부재의 내측 압축충격면과 외측 압축충격 부재의 외측 압축충격면과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시키는 동시에 이러한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부재의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피처리물이 해당하는 처리 형태마다 당해 피처리물의 특성, 성상 등을 고려하여 제어된 방향성이 있는 미진동을 주고, 이러한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사이에 공급되는 수지성형품, 향신료, 두류, 오자(녹차 : 잎을 단시간 증기를 가열하여 효소를 파괴한 후에 이 쪄진 잎을 문지르면서 건조하여 엽로소를 대부분 파괴하지 않고 녹색을 갖는 것), 그리고 목재칩 등의 피처리물을 당해 방향성 있는 미진동에 기한 압축 충격력에 의하여 분쇄하고, 또는 이러한 피처리물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또 이 발명은 피처리물의 공급 투입구부에 중심부를 연통시킨 고정원반위에 있어 복수의 회전 궤적상에 각 고정핀을 순차로 심어 설치한 고정측 연마, 정립수단과, 상기 고정원반에 대하여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한 가동원반상에 있어, 상기 각 고정핀과는 다른 복수의 회전 궤적상에 각 가동핀을 순차로 심어 설치한 가동측 연마, 정립수단과, 상기 각 고정핀과 각 가동핀과의 조합된 외주부에 있어 소망의 입도 이하의 피처리물을 임의로 구분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부에 연통된 분별수단, 및 소망입도 이상의 피처리물을 취출구부에 취출하는 수단을 갖추고, 상기 각 고정핀과 각 가동핀과의 상호간에 상기 피처리물을 연마, 정립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재료 등의 연마·정립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 발명의 경우 수지재료 등은 수지성형품으로부터 회수하도록 하는 수지재료를, 파쇄 등은 처리에 적합한 형상, 크기의 피처리 소편 또는 피처리물을 얻기 위한 파단 절단을, 분리 등은 피처리 소편으로부터의 수지도막 및 절연체 등의 분리 제거를, 정립 등은 수지도막을 제거한 피처리 소편 또는 피처리물의 연마, 연삭 등에 의하여 재이용에 적합한 소정 입경 범위내의 크기로 정립 및 당해 수지도막을 제거한 피처리 소편 또는 피처리물 그 자체의 연마, 연삭 등에 의한 능각부의 면을 깍는 정립을 각각 의미하며, 그리고 분체재료 등은 수지재료를 포함한 세라믹재료 등의 분체성형품으로부터 회수하도록 한 광의의 분체재료 또는 광의의 비교적 경질로서 분쇄하기 용이한 분체편, 분체 덩어리 등의 분체재료와, 비교적 연질로서 조립하기 쉬운 조각이나 덩어리 등의 분체재료를, 분쇄 등은 처리에 적합한 크기로 파쇄된 조각 덩어리 및 마쇄를 포함한 넓은 개념으로서 후추 등의 향신료 또는 커피두 등의 두류, 그리고 목재칩 등의 피처리물의 분쇄를, 조립 등은 분쇄한 피처리물을 소정의 두께나 입경 범위내로 하기 위한 조립 및 먼저 비교적 연질의 피처리물을 재이용에 적합한 소정두께나 입격 범위내의 크기로 뭉치기 위한 조립을 각각 의미하고 있다.
제1도는 처리대상으로 하는 수지성형품 및 당해 수지성형품을 파쇄하여 얻어진 피처리 소편의 각 일례인데, 이 경우는 예컨대 각종 차량에 적용되는 범퍼 일부재 등의 수지성형품 및 당해 수지성형품을 파쇄하여 얻어진 피처리 소편의 일례를 개념적 및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서 처리대상의 수지성형품 11은 제1의 수지재료(예컨대, 차량의 범퍼 일부재라면 폴리프로필렌)에 의하여 성형된 기체부재(이하 주로 피회수 수지재료라고도 칭함) 13의 표면측에 있고, 제2의 수지재료(마찬가지로 차량의 범퍼 일부재라면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도료를 사용한 수지도막(이하 주로 피제거 수지도막으로도 칭함) 14가 도착 형성되어 있고, 당해 수지성형품 11에 관하여는 적이의 원하는 크기에 의한 소편, 다시 말하면 이 경우 개개의 각 피처리 소편 12로 파쇄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각 피처리 소편 12를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처리하고, 당해 피처리 소편 12를 구성하는 바의 피회수 수지재료 13으로부터 피제거 수지도막 14를 완전하게 박리시켜서 분리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여기에서는 소재화된 수지재료로 하고 당해 피회수 수지재료 13은 그대로 회수하던가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재화된 피회수 수지재료 13을 재이용에 적합한 형태로 정립하고 또는 소정의 입경 범위내로 정립된 정립물에 의하여 피회수 수지재료(이하 주로 피회수 정립수지재료라고 칭함) 15로서 회수한다.
그런데, 상기 처리대상인 수지성형품 11은 상기 차량의 범퍼 한 부재 이외에도 예컨대, 회수 가능하고, 또 회수하여 재이용 가능한 임의의 천연수지재료 및 합성수지재료를 사용하여 임의의 성형수단에 의하여 구성됨과 동시에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광을 내거나 광을 없애고 착색하는 등의 화장용을 위한 도막 내지는 내마모성 및 내후성 등을 목적으로 하는 보호용을 위한 도막, 말하자면 이 경우는 압축충격력을 부가하는 것으로써 박리 가능한 도막 등 임의의 해당 피제거막을 형성한 임의의 수지성형품으로도 좋다
또, 상기 피처리 소편 12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이 경우, 예컨대 커터밀 201을 사용하여 상기 수지성형품 11을 소요 정도의 크기로 파쇄하여 얻은 절단편이어도 좋고, 예컨대 상기 범퍼 일부재라면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막두께가 25μ 정도의 폴리우레탄 도막을 도착한 두께 2.5mm 정도의 폴리프로필렌재의 기체부재를 일변이 각각 20×20mm 정도의 크기로 절단 또는 광의로 파쇄하여 준비한다. 계속하여 상기 수지성형품 11을 처리하여 피회수 수지재료 13 내지는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를 회수하기 위한 수단에 대하여 기술한다.
여기에서, 제2도는 이 발명에 의한 수지재료의 분쇄·분리방법, 및 수지재료의 분쇄·분리·정립방법에 있어 기본적인 제1의 실시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개요를 원리적이고 모식적으로 보이는 처리공정의 계통설명도이고, 또 제3도는 상기 제1의 실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품 11을 파쇄하여 얻어진 피처리 소편 12에 압축 충격력을 부가하여 박리시켜 피회수 수지재료 13을 얻기 위한 제1의 실시예장치에 있어서 제1의 압축충격력 부가장치의 개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약도이다.
그리고, 상기 기본적인 제1의 실시방법의 적용에 있어서는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커터 밀 201 등에 의하여 상기 수지성형품 11을 파쇄하여 얻어진 피처리 소편 12에 대하여 소요의 압축충격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3도에 나타난 제1의 실시예 장치, 말하자면 당해 피처리 소편 12에 압축충격력을 부가하는 것으로 그 피회수 수지재료 13으로부터 피제거 수지도막 14를 박리 및 제거하는 제1압축충격력 부가장치 20을 사용한다.
즉 제3도의 장치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충격력 부가장치 20은 이 경우 서로 소정의 간격 g을 갖고 압축충격면 22a,22b을 평행하도록 대향시키고, 이러한 압축충격면 22a,22b 사이에 압축충격부 23을 구성시킨 1쌍으로 되는 압축충격부재 21a,21b의 위쪽에 있어서는 상기 파쇄된 각 피처리 소편 12를 순차로 공급하기 위한 투입개구 24를 형성시키고, 또 각 압축충격부재 21a,21b 내의 적어도 어느 한쪽, 여기에서는 압축충격부재 21b를 타방, 말하자면 압축충격부재 21a에 대하여 임의의 공지인 진동발생장치(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미진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든지 또는 이들의 쌍방을 실선 및 점선의 각 화살표가 보이는 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미진동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본적인 제1실시예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제1압축충격 부가장치 20에서의 각 압축충격부재 21a,21b의 상호간에 미진동을 작용시켜 두고 상기 개개의 각 피처리 소편 12를 쌍방의 투입개구 24로부터 순차로 공급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러한 각 피처리 소편 12에 대해서는 당해 압축충격면 22a,22b 사이의 압축충격부 23으로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이 계속적으로 부가되어 소요의 압궤작용 내지는 전연(展延)작용을 받고, 당해 압궤작용, 전연작용에 따라서 피처리 소편 12를 구성하는 피회수 수지재료 13과 피제거 수지피막 14 등에 가해지는 내부응력의 변동 등 예컨대 비교적 압궤 또는 전연되기 쉬운 피회수 수지재료 13과 비교적 압궤 또는 전연되기 어려운 피제거 수지피막 14와의 내부응력 차이 등 때문에 당해 피회수 수지재료 13으로부터 도착되어 있는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용이하게 박리되고 또 서로 분리되는 것이며, 이러한 양자 공히 각각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여 피회수 수지재료 13으로부터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분리 제거되어, 여기에서는 당해 피회수 수지재료 13을 소재화한 수지재료로서 소기와 같이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각 압축충격부재 21a,21b에서의 각 압축충격면 22a,22b의 적어도 어느것이 일방에 있고 개개의 독립한 돌기 25군(群)을 돌설시켜 놓은 것에 의하여 상기 피회수 수지재료 13으로부터의 피제거 수지도막 14의 박리작용이 더욱 현저하게 된다.
또, 상기 제1실시예 방법에 있어서는 각 피처리 소편 12를 구성하는 피회수 수지재료 13으로부터의 피제거 수지도막 14의 박리작용을, 제1압축충격력 부가장치에 있는 각 압축충격면 22a,22b에서의 상호간의 압축충격력의 부가에 따른 압궤 작용에 의하여 행하여지도록 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당해 제1압축충격력 부가장치 20만을 이용할 필요는 없고, 각 피처리 소편 12에 대하여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을 부가 또는 계속적으로 부가하여 압궤 또는 전연시킬수 있는 박리수단이 있다면 기타 임의의 장치구성을 채용하여도 아무런 차이가 없다.
또, 제6도, 제7도 및 제8도는 상기 제2,제3의 각 실시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품 11을 파쇄하여 얻어진 피처리 소편 12에 대하여 방향성 있는 압축충격력을 계속적으로 부가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피처리 소편 12, 더 나아가서는 처리 대상으로서의 피회수 수지재료 13의 표면에 도착되어 있는 피제거 수지도막 14를 박리시키기 위한 각 실시예 장치 및 이어서 설명하는 피처리물 17을 분쇄 또는 조립시키고, 혹은 분쇄 또는 분리·조립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각 실시예 장치로서의 제2장치(제6도) 및 이 제2장치에 교반기구를 설치한 실시예 장치로서의 제3장치(제8도)의 각 압축충격력 부가장치의 구성 개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각각에서 A부를 조금 부분적으로 확대한 종단면도와 요부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구체적인 제2, 제3의 실시 방법의 적용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성형품 11을 파쇄하여 얻어진 피처리 소편 12에 대하여 각 압축충격부재 43 중의 적어도 어느쪽 일방, 여기에서는 외측 압축충격부재 43을 타방, 다시 말해 내측 압축충격부재 33에 대하여 방향성, 이 경우에는 회전 원방향 혹은 회전 원방향에서 약간 경사 하방으로 향한 방향성있는 압축충격력을 계속적으로 부가하는 것으로 그 피회수 수지재료 13으로부터 피제거 수지도막 14를 박리 시켜 분리 제거하기 위한 제2, 제3의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제6도, 제7도 및 제8도에 상당)을 사용한다.
즉 제6도, 제7도 및 제8도의 장치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은 받침대 32 위에 고정 설치된 거의 원통상의 하부장치 본체 31과 당해 하부장치 본체 31의 상부에 방진용의 탄성부재 40을 개재하여 동심적으로 연계 배치시키는 원통상의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을 갖게하고 상기 탄성부재 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부가되는 미진동을 완충 흡수할 만큼의 탄성계수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하부장치 본체 41 측에 있어서는 상부표면 33b를 소정의 열린 각도, 여기에서는 상기 피처리 소편 12를 도입 공급하기 위한 도입 열림각도로 설정하여 종단면을 우산 모양으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외주면에는 소요각도의 외향의 원추상 내지는 외향의 원추상으로 설정되는 내측 압축충격면 33a를 형성한 내측 압축충격부재 33을 설치하고, 당해 내측 압축충격부재 33에 있어서는 하부장치 본체 31의 중심부에 위쪽으로 향해서 돌출하도록 세워서 고정된 지지기둥체 34의 상단부, 더나아가서는 상기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 측의 중심내부 가까이 부착된 지지기둥체 34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부호 31a는 취출홉퍼로서 하부장치 본체 31의 내주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 측에 있어서는 외주면부의 소정각의 간격 위치에 대하여 브래킷 42a를 개재하여 진동발생수단, 이 경우 1조 1쌍의 진동 부가 모터(加振모터) 42,42, 예컨대 편심 웨이트가 부과된 바이브레이션 모터를 평형성이 양호하게 고정하여 두고, 또 내주면부에 대하여는 상기 내측 압축충격면 33a에 대하여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는 형태 내지는 약간 위쪽으로 넓게 열리는 형태로 대향되는 바, 같은 모양으로 내향의 원추상 내지는 내향 원추대상(圓錐臺狀)으로 설치되어 있는 외측 압축충격면 43a를 형성한 외측 압축충격부재 43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이러한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33a,43a 사이에서 상기 피처리 소편 12를 도입하여 소기와 같이 압축충격력을 부가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설정하여 두며 당해 설정되는 간격의 있어서는 이 경우 특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부재 33,43의 어느쪽 일방을 타방에 대하여 상하조정되는 것에 의하여 각 압축충격면 33a,43a의 서로가 원추상 내지는 원추대상으로 대향되어 있는것 때문에 용이하게 가능한 것이다. 즉, 제6도 및 제8도의 장치구성에 있어서도 같은 것이나, 이 탄성체 40(70)의 두께를 변경하여 혹은 소망의 두께의 도시되지 않은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상기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33a,43a 사이의 대향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내측 압축충격부재 33의 상부표면 33b상에 돌설된 각 피처리 소편 12의 도입안내용의 복수조의 도시되지 않은 안내돌기를 설치하여도 좋고, 형상·배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등각(等角)간격으로 띄어진 복수개소에 입방체 또는 원추, 삼각추 등의 형상의 안내돌기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부호 41a 및 41b는 각각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의 상방개구부, 내주하면에 설치된 투입홉퍼 및 중간홉퍼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체적인 제2실시예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제2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에서의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에 설치된 1조 1쌍의 진동 부가 모터 42,42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당해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 측의 외측 압축충격부재 43, 더나아가서는 외측 압축충격면 43a 측에 있어 내측 압축충격면 33a와의 사이에 회전원방향으로 방향성을 갖고 미진동이 계속적으로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 내측 압축충격부재 33의 상방개구로부터 상부표면 33b 위에 상기 개개의 각 피처리 소편 12를 공급시킨 것에 의하여 이들의 각 피처리 소편 12는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33a,43a 사이에서 개개의 어느것에 저항적으로 전동 내지는 습동되면서 당해 방향성 있는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이 계속적으로 부가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방향성 대응의 미끄럼작용을 포함한 압궤, 전연작용에 따라서 상기 제1압축충격력 부가장치 20의 경우보다도 효율적 및 효과적으로 피처리 소편 12를 구성하는 피회수 수지재료 13과 피제거 수지도막 14 등에 대하여 앞에 설명한 내부응력의 변동 등이 가해져서 결과적으로 피회수 수지재료 13으로부터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용이하게 박리되고, 또 서로 분리되어서 양자 공히 각각 하방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여 소기와 같이 피회수 수지재료 13으로부터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분리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2의 각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의 구성에 있어서, 각각 내측, 회측의 각 압축충격면 33a와 43a의 각 대향 상태를 위쪽에 넓게 개방하는 형태로 설정할때는 당해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33a와 53a 사이, 43a와 73a 사이에의 각 피처리 소편 12의 도입이 보다 원활하여짐과 함께 그 저항적인 정동 내지는 습동에 따른 압궤, 전연작용이 있을때의 폐색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것으로, 더욱이 이러한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33a와 43a의 각 대향 형상을 활면형상의 서로의 조합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도 동등 또는 거의 동등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고, 또 피처리 소편 12에 대한 압축충격력이 부가될 때에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33a와 43a 사이에서 피제거 수지도막 14의 박리를 촉진하기 위한 액체, 예컨대 물 등을 흘려내리는 것도 하나의 유효한 수단인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1조 1쌍의 진동 부가 모터 42,42를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90° 등간격으로 2조 2쌍 총4개의 진동 부가 모터를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도 외부에의 진동 및 운전음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제8도의 실시예에 의한 장치구성에 있어서 제6도의 공통 부분은 생략하고 설명하면, 처리대상 원료로서의 각 피처리를 100을 구성하고 있는 피회수 수지재료로부터 피제거 수지도막을 박리시켜서 분리 제거하기 위한 용도에 적용하는 실시예 장치(당해 각 피처리물 100에 대하여 도막박리를 위한 용도 이외의 각 피처리물 100에 대한 분쇄 또는 조립을 위한 용도에 대하여는 따로 후술한다)는 상기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의 상부에 진동차단용의 가요성부재 130을 개재하여 적합배치시킨 피처리물 100의 투입 공급용의 투입개구 131과 상기 투입개구 131 내, 및 상부진동 가능본체 41을 포함한 위쪽에 상기 하부장치본체 31에 대하여 동심적으로 연계 배치되고 투입 공급되는 각 피처리물 100의 응집 및 긴축에 의한 고화를 방지 내지는 해제하기 위한 교반공급기구 140 등을 설치한다.
상기 진동차단용의 가요성부재 130에 대하여는 당해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의 미진동을 차단할 수 있을 만큼의 가요성 내지는 강인성을 갖게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개구 131은 전에도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의 상단부에 있고, 상기 가요성부재 130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고, 위쪽으로부터 피처리물 100에의 공급량의 상한을 검출하는 상한검출센서 132 및 하한을 검출하는 하한검출센서 133을 갖고 있다.
더욱이, 상기 교반고급기구 140은, 예컨대 다리구성체 141 위에 놓여 고정된 감속기구(특히 도시하지 않음) 부착의 기어모터 142에 의하여 적이하게 풀리, 벨트 등을 개재하여 감속회전 구동시키고, 또 축받침 143에 의하여 축지된 교반축 44를 가지고 있으며, 이 교반축 44를 장치구성의 위쪽으로부터 투입개구 131 내 및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 내에 걸려있도록 함과 동시에 당해 교반축 44에 대하여는 투입개구 31내에 대응하여 횡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홉퍼 일부교반날개 45를 설치하고, 또 상기 각 압축충격면 33a,43a 사이에서의 도입부에 근접하여 도입부 교반날개 46을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홉퍼 일부교반날개 45 및 도입부 교반날개 46의 쌍방이 설치되어 있으나, 피처리물의 처리량, 종류, 특성에 따라서는 도입부 교반날개 46만으로도 좋고, 또 그 형상도 도시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등간격으로 2본, 3본 혹은 십자형으로 4본을 설치하여도 좋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한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는 교반공급기구 140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홉퍼 일부교반날개 45 및 도입부 교반날개 46의 각각을 감속회전시키고, 또 동시에 압축충격력부가 조립기구에의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에 설치된 1조 한쌍의 진동 부가 모터 42,42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당해 상부 진동가능 본체 41 측의 외측 압축충격부재 43, 더나아가서는 외측 압축충격면 43a 측에 있고, 내측 압축충격부재 33의 내측 압축충격면 33 a와의 사이에서 회전원방향보다 좋기로는 약간 경사 하방으로 향하여 회전원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진 미진동이 발생한다. 또, 이 경우 상기 방향성이 있는 미진동 조건은 여기에서의 처리대상인 피처리물 100의 특성, 성상 등에 대응하여 제어 설계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래서, 투입개구 131의 상방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압축충격부재 33의 상부표면 33b 상에 개개의 각 피처리물 100을 공급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러한 피처리물 100은 투입개구 131 내에서 홉퍼 일부교반날개 45의 교반동작 때문에 가령 비교적 대량의 공급에 의한 과적중량이 되었다 하더라도 응집 및 긴축에 의한 고화의 방지 내지는 해제가 되는 것과 함께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33a,43a 사이에의 도입부에 있어서도 이번에는 도입부 교반날개 46의 교반작동 때문에 여기에서도 아래로 흐르는 공급로로서 차차 좁혀지는 각 압축충격면 33a,43a 사이에의 도입이 순차로 원활하게 되고, 당해 각 압축충격면 33a,43a 사이에서 각각 저항적으로 전동 내지 습동되면서 주어지는 방향성을 갖고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이 계속적으로 부가되는 것에 의하여 당해 방향성 대응의 미끄럼 작용을 포함한 압궤작용을 받음과 동시에 당해 방향성 대응의 미끄럼을 포함한 압궤, 전연작용에 따라서 피처리물 100을 구성하는 피회수 수지재료와 피제거 수지도막 등에 내부응력의 변동 등이 가해지고 결과적으로는 소기와 같이 피회수 수지재료로부터 피제거 수지도막이 용이하게 박리되며, 또 상호 분리되어서 양자 공히 각각 아래쪽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는 압축충격력 부가 조립기구에서의 방향성이 있는 미진동의 발생으로 그 미진동을 외측 압축충격부재 43 측에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지만, 거의 같은 모양의 기술적 수단에 의한 것으로 내측 압축충격부재 33 측을 미진동 되게 하든지,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의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부재 33,43을 서로 대응시켜 미진동시켜도 좋다.
즉,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예를들며 상술의 하부장치본체 31 측의 외주면부의 소정각의 간격위치에 대하여 부라켓트를 개재하여 상기 1조 1쌍의 진동 부가 모터 42,42와 같은 모양의 편심웨이트 부착 바이브레이션 모터를 평형성이 양호하게 고정시켜도 좋다. 또, 상기 하부장치본체 31측의 내측 압축충격부재 33을 축으로 지지하고, 이 축에 베벨기어 등을 개재하여 하부장치본체 외부에 설치된 기어모터에 연결하고, 또 상기 내측 압축충격부재 33을 축으로 지지하고, 이 축에 베벨기어 등을 개재하여 하부장치본체 외부에 설치된 기어모터에 연결하고, 또 상기 내측 압축충격부재 33 또는 이 회전축에 편심웨이트부를 돌설하여 상기 내측 압축충격부재에 회전운동을 동반하고 미진동이 생기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제6도 또는 제8도에 나타난 실시예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처리대상원료로서 후추 등의 향신료 및 두류, 예컨대 커피두, 대두, 녹차 등이 소망의 직경으로 용이하게 분쇄된다.
즉, 후추 등의 향신료는 분쇄에 있어서도 가열이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나, 본 장치에 의하면 압축충격면에서의 발열은 없고, 분쇄처리 대상으로서의 향신료 등은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33a,43a 사이의 대향간격의 크기에도 기인하나, 교반효과도 서로 어울려서 40℃∼45℃ 이상으로 상승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후추의 향기가 휘발 또는 변질하는 일은 없다. 상기 간격을 약간 넓게한 경우는 1회의 분쇄 공정으로 3000∼5000μ의 후추의 볼을 200∼1400μ으로 분쇄처리하고, 이어서 이 조악한 분쇄물을 250μ의 체로 선별하여 체 위의 것을 재분쇄처리하여 100∼300 미트론 입도 범위내의 것으로 하며, 상기 체를 통과한 분쇄물을 합쳐서 재분쇄하고, 최종적으로 약 100∼150 미트론의 입도범위의 약 75%의 분쇄후추를 얻었다.
고추의 경우도 같은 모양으로 하여서 고추 볼로부터 10∼80메쉬의 분말 입도의 것을 약 70wt% 얻는다. 커피두의 분쇄에 있어서는 가열에 의한 변질을 일으키지 않고, 일정한 입도 이하로 분쇄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홉퍼 일부 및 도입부 교반날개 45,46에 의하여 야기되는 공기 기류에 의하여 커피두 분쇄시에 박리된 껍질이 빨려올라가 도시되지 않은 집진 장치에 의하여 회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두부원료 등인 대두의 분쇄에 있어서도 같은 모양으로 소망의 입도로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고, 운반효율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 건조한 차잎(녹차)를 어느 일정의 입도로 분쇄하면 오차 껍데기가 남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목재 분쇄물이나 목재칩을 마쇄하여 부피비중을 높여 수송·운반 효율을 좋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제6도 또는 제8도에 나타낸 실시예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베이츠가(づイシか ) 두께 5mm∼7mm, 2.5cm×2.5cm, 수분함유율 35.2%, 부피비중 0.38이 되게 처리하였다.
부피비중 수분함유량
1회의 압축처리 0.46 19.1%
2회의 압축처리 0.52 15.1%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33a,43a 사이의 대향간격은 2mm, 도입부 교반날개 46의 회전수는 1분간에 20회이다. 또, 같은 형상의 노송나무 부피비중 0.34, 수분함유율 40%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를 하였다.
부피비중 수분함유량
1회의 압축처리 0.40 24.5%
2회의 압축처리 0.44 20.0%
또, 2회의 압축철리에서 베이츠가(づイシか ), 노송나무 각각의 두께는 약 절반인 2∼3mm로 감소하였다.
제4도 및 제5도는 이 발명에 의한 수지재료의 분쇄·분리방법, 그리고 수지 재료의 분쇄·분리·정립방법의 구체적인 제2 및 제3의 각 실시예 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개요를 원리적이고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각각의 처리공정의 계통설명도이다.
제4도에 의한 이 실시예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각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20 및 30을 사용하여 피처리 소편 12를 구성하는 피회수 수지재료 13에 대하여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분리되지 않고 배출되는 피처리 소편 12가 존재하는 경우의 대책수단에 대하여 문제 삼는 것으로, 이와 같이 피회수 수지재료 13으로부터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분리되지 않고 배출되는 피처리 소편 12는 재분쇄 된후 연마 정립된다.
즉 이 실시예 방법의 경우에는 전에도 기술하고 또 제4도에 의하여 명백하게 되는 바와같이 수지성형품 11은 우선 파쇄공정 101에서 예컨대 커터 밀 201 등을 사용하여 소망 직경의 세공을 편칭 형성한 소정 노즐의 스크린 아래에서 최후까지 거칠게 파쇄한후 제1의 체선별 101a에 의해 체상부 101b 측에는 피처리 소편 12가 남고 체하부 101c 거친 분쇄 시점에서 박리된 소량의 피제거 수지도막 14등이 제거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체상부 101b에 남겨진 피처리 소편 12는 압궤·박리공정 102에서 상기 제1 내지는 제3의 각 장치 20 및 30에 의하여 압궤, 박리작용을 받고 제2의 체선별, 여기에서는 제2단계에 걸쳐 제2의 제1단 체선별 102a₁제2단 체선별 102a₂등이 실행된다.
다시말해, 전자의 제2의 제1단 체선별 102a₁에 있어서는 충분히 압궤를 받아서 박리작용이 진행됨으로 편평하고 크게된 피회수 수지재료 13이 체상부 102b 측에 남아 있는 것으로 되고, 당해 크기의 피회수 수지재료 13에 관하여 그 회수 입경을 반드시 맞춰줄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것을 곧바로 연마·정립장치 150을 이용하여 연마·정립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마·정립물인 피회수 수지재료 13의 코너 모서리부가 연마 때문에 둥근감을 띄게 되어 보다 유동성이 높아진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가 회수된다.
한편, 후자의 제2의 제2단 체선별 102a₂에 있어서는 반드시 압궤가 충분히 되지는 않고 박리작용이 진행됨에 따라 작은 부분의 피처리 소편 12는 이 경우 다시 상기 압궤·박리공정 102에 반송되어 다시 압궤함과 동시에 체하부 102c 측에는 이와 같이 하여 조정 반송되어 압궤에 의하여 박리된 피제거 수지도막 14 등이 제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상기 체상부 102b측에 남아있는 대부분의 피회수 수지재료 13에 관하여 그 회수 입경을 맞출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다음의 재분쇄공정 104에 있어서, 예컨대 디스크 밀 202 등을 사용하여 당해 피회수 수지재료 13을 재분쇄시키는 것에 의하고, 제3의 체선별 104에 의하여 체상부 104b측에는 재분쇄된 피처리 소편 12가 남고 체하부 104c측에는 피회수 수지재료 13이 분리됨과 함께 재분쇄시점에서 박리된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제거되는 것으로, 이때 당해 체상부 104b에 남겨진 피처리 소편 12에 대하여는, 예컨대 체하부 104c로 갈때까지 재분쇄공정 104에 환류시키든지 혹은 동일 공정을 조작 반송하도록 하고, 분리된 피회수 수지재료 13에 대하여는 계속하여 다음의 연마·정립공정 105에 이송시켜서, 예컨대 핀 밀 203 등을 사용하여 연마하고 정립시키는 것으로, 연마·정립물인 소정의 입경 범위내로 정립된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를 회수하는 것이다.
이상, 이것을 요약하여 제2실시예 방법에서는 각 처리공정간에 여러 가지 조합에 의한 변화가 가능하고, 목적 용도에 대응하여 각 처리공정의 서로를 임의로 조합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연마 정립장치 150에 대하여는 제11도 및 제12도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는 상기 제2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을 해당하는 분쇄장치 또는 정립, 조립장치에 사용하여 분체성형품을 파쇄하고 얻어진 비교적 경질의 분체재료 등의 피처리물에 대한 분쇄 및/또는 비교적 연질의 분체재료 등의 피처리물에 대한 정립, 조립의 구체적인 제3실시예 방법을 나타내며, 여기에서는 피처리물 17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에 의하여 분쇄공정 111 또는 조립공정 112를 각각 실행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다.
제11도 및 제12도에서 보면, 제11도는 상기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제거된 피회수 수지재료 13을 연마, 정립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피회수 수지재료 13에의 모서리부가 전체적으로 둥근 느낌을 띤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로서 회수하기 위한 것이고, 제4의 실시예 장치로서의 개요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연마·정립장치 150의 일례에 의한 종단면도이고, 같은 모양으로 제12도는 위와 같은 장치 구성의 연마, 정립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설명도이다.
이러한 제11도, 제12도 장치 구성에 있어서 연마·정립장치 150는 수지성형품 12을 거칠게 파쇄한 각 피처리물 17의 공급투입구부 152를 중심부에 연통 개구시킨 고정원반 151 및 당해 고정원반 151에 둥근축판 154으로 고정괸 고정 단판 153과 당해 고정원반 151에 고정측판 153측에서 연마·정립공간 181을 사이에 두고 대향시킴과 함께 회전횡축 16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가동원반 161 등을 각각에 설치하고 또 당해 회전횡축 162에 대하여는 각 축받침 163,163에 의해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원반 151 위에는 복수의 회전궤적 a 위로 각 고정핀 154을 순차로 설치하고 또 상기 가동원반 161 위에는, 여기에서의 각 고정핀 154와는 다른 복수의 회전궤적 b 위에 교호로 넣어 눌러 각 가동핀 164을 순차로 설치시켜 이들의 고정, 가동의 각 핀 154,164의 상호간에 연마, 정립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당해 가동원반 164의 외주측에서 상기 둥근측판 155와의 사이에는 배출공간 182을 사이에 두고 소망 직경의 세공을 펀칭 형성한 소정 노즐의 스크린 171을 둥글게 설치하고 또 배출공간 182의 하방에는 배출구부 172를 연마·정립공간 181의 스크린 171 내에서의 하부에 취출구부 173를 각각 개구시키며, 또 당해 취출구부 173에 개폐 제어를 위한 플러그 밸브 174를 배설시킨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한 연마·정립장치 150에는 각 피처리 소편 또는 각 피처리물 17을 공급투입구부 152에 공급하면 당해 각 피처리 소편 12 또는 각 피처리물 17이 연마·정립공간 181의 중심부에서 고정, 가동의 각 핀 154,164의 상호간에서 연마, 정립작용과 원심작용을 합쳐서 받게 되고, 다음에 연마 정립되면서 외주측에 근접하여 발생한 연마분, 정립분은 스크린 171을 통과하여 배출공간 182 내로 구별된 후 취출구부 172로부터 외부에 배출되며, 또 스크린 171 내에 남아 있던 연마, 정립이 끝난 모서리부가 전체적으로 둥근 느낌을 가진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 내지는 피회수 정립 분말재료를 프러그밸브 174를 열어서 취출구부 173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 플러그 밸브 174를 열 때까지 취출구부 173와 공급 투입구부 152 등을 연통시킬 때에는 취출구부 173로부터 취출되는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 내지는 피회수 정립 분말재료를 공급 투입구부 152에 환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연속적인 연마, 정립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제3의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에 대하여는 이것을 피처리 소편 12를 구성하는 피회수 수지재료 13로부터 피제거 수지도막 14를 박리 및 분리시키기 위하여 적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는 당해 피회수 수지재료 30로부터의 피제거 수지도막 14의 박리 및 분리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상술한 후추 등 향신료를 시작으로 목재칩 등 재료를 파쇄하여 얻은 피처리물(도시 생략) 17, 이 경우는 비교적 경질의 재료에 의한 피처리물에 대하여 분쇄 및/또는 비교적 연질의 재료에 의한 피처리물에 대한 정립 내지는 조립에 대하여도 각각의 피처리물의 해당되는 처리 태양마다 그 특성, 성상 등에 대응하여 당해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의 조작 조건, 특히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사이의 간격 설정에 맞춰 방향성이 있는 미진동의 조작 조건을 각각에 제어 설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여기에서는 해당하는 분쇄장치, 또는 정립장치, 혹은 조립장치로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비교적 경질의 분쇄재료 등에 의한 피처리물에 대한 분쇄장치로서는, 그 처리대상인 피처리물의 특성, 성상 등이 비교적 경질이고, 이 때문에 점성이 저하되어 취약한 점도 있는 것에 비추어 방향성이 있는 미진동 조건으로서, 예컨대 방향성을 갖는 미진동의 진폭이 짧고 미진동의 강도를 보다 강력하게 설정한 후에 상기와 같은 모양으로 가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여기에서는 공급 도입된 해당의 피처리물이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사이에서 가해지는 바, 진폭이 근소하고 강력한 진폭에 의하여 격렬하게 끊임없이 연속하는 일종의 두드림 작용을 받아서 분쇄되고 이 결과 당해 분쇄작용을 능률적 효율적으로 그러면서도 양호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쪽의 상기 비교적 연질의 분체재료 등에 의한 피처리물에 대한 정립, 조립장치로서는, 상기 분쇄의 경우와는 반대로 그 처리대상인 피처리물의 특성, 성상 등이 비교적 연질인 것이고 이 때문에 점성이 높고 중간부분이 강함을 갖는 점에 비추어 방향성이 있는 미진동 조건으로서, 예컨대 방향성을 갖고 미진동의 폭이 길며 미진동의 강도를 약간 약하게 설정한 후에 상기와 같은 모양으로 가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여기에서는 공급도입된 해당의 피처리물이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사이에서 가해지는 바, 진폭이 길고 약간 약한 진폭에 의하여 당해 각 압축충격면 사이에서의 전동, 혼련작용이 유효하게 가해지고, 당해 피처리물 자신이 소요의 입경 범위 내에서 정립 및 조립되거나 또는 인접하는 피처리물 상호가 연락하여 합쳐져서 같은 모양으로 소요의 입경 범위 내에서 정립 및 조립되는 것으로, 여기에서도 결과적으로 당해 조립작업을 능률적, 효율적으로, 그러면서도 양호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9도는 절연전선, 코드 등의 도체 e가 절연체로 피복되어 있는 선재 A와 절단선재 S' 등을 나타내고, 제10도는 이 절단선재 S'에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을 부여하는 전형적인 일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분리대상으로 되는 선재 A는 절연전선, 코드 등의, 말하자면 도체 e를 절연체 i로서 피복한 것으로, 예컨대 폴리에칠렌, 염화비닐수지, 스칠렌부타디엔계 합성고무 등으로 구리에 의한 선을 피복한 단심, 이심(2芯)의 코드류, 폴리에칠렌, 가교폴리에칠렌, 폴리염화비닐, 합성고무 등으로 동선, 알루미늄 선을 피복한 절연전선류로서, 이것을 취급하기 쉬운 길이로 절단하여 절단선재 S'로 한다. 이어서, 절단선재 S'에 대하여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을 부여한다. 이 미진동에의한 압축충격에 의하여 절단선재 S'의 도체 e는 압궤되어 소성변형에 의하여 거의 비늘편상으로 되고 절연체 i로부터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 도체 e의 벗겨짐은 절연체 i가 주로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소재로 되는 것 때문이고, 비늘편상으로 압궤된 도체 e는 이 절연체 i의 육질부를 통해 벗겨지도록 하여 취출된다.
이 절단선재 S'에 대한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의 전형적인 일수단을 제2도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 압축충격의 부여수단은 절단선재 S'의 밀어 넣어지는 간격 X을 사이에 두고 압축충격면 t,t'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압축충격부재 T,T'의 양방 또는 어느 한쪽을 다른 쪽의 압축충격부재의 측면을 향하여 미진동시키는 것으로, 이 간격 X 내에 밀어 넣어지고 있는 절단선재 S'에 미진동 상태에서의 압축충격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 경우, 압축충격부재 T,T'의 압축충격면 t,t'는 절단선재 S' 및 이 절단선재 S'의 파쇄물로 응력을 받게 되기 때문에 마모되는 일이 적다. 또, 이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에서는 이 압축충격면에서의 발열이 적고, 압축충격처리 중의 절단선재 S'의 절연체 i의 용출이 방지되어 분리 또는 박리된 절연체 i와 비늘편상의 도체 e가 재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절단선재 S'를 제6도 또는 제8도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 내측 압축충격부재 33와 외측 압축충격부재 43 등이 구성한 내측, 외측 압축충격면 33a,43a에 공급한 경우, 이 압축충격부 33a,43a에 좁혀 들어간 절단선재 S'가 내측 압축부재 33와 외측 압축부재 43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저항을 받는 것으로 되고 순차로 경사되어 내측, 외측 압축충격면 33a,43a에 있는 절단선재 S'에 대하여 내측 압축충격면 33a을 둥근상태로 순차 충격시키고, 이 내측·외측 압축충격면 33a,43a에 있는 절단선재 S'에 대하여 원운동을 수반하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원운동을 갖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압축충격을 절단선재 S'에 가져가는 것에 의하여 절단선재 S'는 이 원운동이 갖는 미진동에 의하여 수시로 방향이 변화하고, 내측·외측 압축충격면 33a,43a에 대하여도 압궤, 분리되어 용이하게 당겨넣은 것으로 됨과 함께 내측 외측 압축충격면 33a,43a 내에 있어서도 수시로 방향이 변하여 절연체 i에서 도체 e가 비늘편상으로 되어서 확실하게 밖으로 나오게 된다.
위에 서술한 방법, 특히 건조상태에서 절단선재 S'로부터 도체 e가 비늘편상으로 밖으로 나오고 절연체 i와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도체 e는 얇은 박편으로서 취출되는 것에 비하여 절연체 i는 비교적 큰 덩어리 모양으로 남게 된다. 이러한 도체 e와 절연체 i와의 분리 혼합물을 진동피더 등을 사용하여 분별한다. 염화비닐수지, 피복동선으로 된 코드를 10mm 절단하여 100mm 직경의 내측 압축충격부재를 갖는 압축장치에 투입하여 12.0G의 압축충격을 부여했을 때 피복재가 거의 원형으로 남아있고, 동선부분은 피복재로부터 얇은 모양으로 분리되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등의 반도체칩 및 기타의 플라스틱 몰드한 각종 부품의 절연체인 플라스틱과, 반도체를 포함한 도체인 금속을 분리 회수한다.
다음에, 제13도는 제4의 실시예 방법으로서, 이 발명 방법에 있어 실제적인 수지재료의 분쇄·분리·조립방법의 개요를 원리적이고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처리공정의 계통설명도이다.
제13도에 표시한 제4의 실시예 방법에서 순서대로 행하여지는 각 처리 공정은 다음과 같다.
(a) [거친 분쇄] 처리공정 250
이 거친 분쇄 처리공정 250은 상기 수지성형품 또는 분말 성형품으로서의 수재재료를 파쇄하여 일단 상기 각 피처리 소편 12을 얻기 위한 것으로 당해 거친 분쇄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상기 커터 밀 201, 여기에서는 4.0m/m 정도의 공경을 가진 세공을 펀칭 형성시켜서 되는 스크린을 설치한 커터 밀 201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거친 분쇄] 처리공정 250에서는 상기 수지성형품이 커터 밀 201에 의해 거칠게 분쇄되며, 그 스크린 내에서는 당해 거친 분쇄작용을 받아도 소정의 크기, 여기에서는 4.0m/m 정도의 공경으로 설치된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는 크기의 피처리 소편 12가 남아있고, 이것이 당해 소정 크기에 달할 때 까지의 사이에 계속적으로 조작 반송되어 최후까지 거친 분쇄가 되는 것이며, 한편 적어도 소정의 크기로 거친 분쇄되는 것으로서, 당해 스크린을 통한 각 피처리 소편 12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스크린을 통한 각 피처리 소편 12에 대하여는 체눈의 크기를 1.0m/m 정도로 설정한 체선별 장치 400을 사용하는 것으로 체선별 처리시켜서 그 체상부에는 당해 체선별 처리의 결과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남은 각 피처리 소편 12가 체아래에는 취출되고 스크린을 통관한 피제거 수지도막 14 등이 배출된다.
(b) [제1차 압축, 박리-1] 처리공정 251
이 [제1차 압축, 박리-1] 처리공정 251에서는 상기 [거친 분쇄] 처리공정 250에서 얻어진 각 피처리 소편 12를 제1차 단계에서 압축 박리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제1차 단계의 압축, 박리처리 수단에는 이 경우 예컨대 상기 제2 또는 제3의 압축 충격력 부가장치 30의 구성에 있어서 적이하게 댐퍼 일부를 개재하는 것으로, 각 내측 압축충격면 33a와 외측 압축충격면 43a 사이의 각 크리아린스를 2.0m/m 정도로 설정하는 압축충격력 부가부를 상하 2줄로 연결시킨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1과, 당해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1에 의하여 압축, 박리작용을 받는 것으로서 약간 크게 전연된 각 피처리 소편 12를 체선별하기 위하여 체눈의 크기를 2.5m/m 정도로 설정한 체선별장치 401 등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제1차 압축, 박리] 처리공정 251에서는 상기 [거친 분쇄] 처리공정 250에서의 거친 분쇄에 의하여 소정의 크기로 거칠게 분쇄되어 있는 각 피처리 소편 12가, 여기에서의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1의 2.0m/m 정도의 각 크리아린스에 설정된 2줄의 각 내측 압축충격면 33a와 외측 압축충격면 43a 사이에서 순차로 각각에 제1차의 압축, 박리작용을 받고, 당해 피처리 소편 12가 가해지는 각 압축충격력 때문에 약간의 크기로 전연되며, 또 이 전연에 따라서 입혀져 있던 피제거 수지도막 14의 대부분이 박리됨과 동시에 2.5m/m 정도의 체눈의 크기로 설정된 체선별장치 401에 의하여 체선별되고, 그 체상부에는 일부에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박리되지 않은 것을 포함하여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박리된 각 피처리 소편 12가 남아서 취출되는 것에 의하여 체아래로부터는 스크린을 통한 각 피처리 소편 12를 일부에 포함하고 있는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배출되는 것이다.
(c) [제2차 압축, 박리-2] 처리공정 252
이 [제2차 압축, 박리-2] 처리공정 252에 있어서는, 상기 [제1차 압축, 박리-1] 처리공정 251에서 제1차 압축, 박리처리되는 것에 의하여 약간 크게 전연되고, 또 체선별 구분된 체상부에의 약간 큰 각 피처리 소편 12를 제2차 단계에서 압축 박리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제2차 단계의 압축 박리처리수단에는 앞의 경우와 같은 모양으로, 여기에서는 적이하게 댐퍼 일부를 개재하는 것으로, 각 내측 압축충격면 33a와 외측 압축충격면 43a 사이의 각 크리아린스를 1.0m/m 정도로 설정시킨 압축충격력 부가부를 상하 2줄로 연결시킨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2와, 당해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2에 의하여 압축, 박리작용을 받는 것으로, 더욱 크게 전연된 각 피처리 소편 12를 체선별하기 위한 체눈의 크기를 2.5m/m 정도로 설정한 체선별장치 402 등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제2차 압축, 박리-2] 처리공정 252에서는 상기 [제1차 압축, 박리-1] 처리공정 251에 의한 제1차 처리공정에 의하여 소정의 크기로 전연되어 있는 각 피처리 소편 12가, 여기에서의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2의 1.0m/m 정도의 각 크리아린스에 설정된 2줄의 각 내측 압축충격면 33a와 외측 압축충격면 43a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각각 제2차의 압축, 박리작용을 받고, 당해 각 피처리 소편 12가 다시 가해지는 압축충격력 때문에 더욱 크게 전연됨과 함께, 여기서도 또 이 전연에 따라서 일부에 남아있던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박리되는 것으로 되고, 2.5m/m 정도의 체눈의 크기로 설정된 체선별장치 402의 체상부에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일부에 피제거 수지도막 14의 박리되지 않은 것을 포함하여 피제거 수지도막 14의 박리된 각 피처리 소편 12가 남아서 취출되는 것으로 되고, 체아래로부터도 같은 모양으로 스크린을 통한 각 피처리 소편 12를 일부에 포함하고 있는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배출된다.
(d) [절단분산, 박리] 처리공정 253
이 [절단분산, 박리] 처리공정 253은 상기 [제2차 압축, 박리-2] 처리공정 252에서 제2차 압축, 박리처리되는 것에 의하여 보다 크게 전연되고, 또 체선별 구분되고 있는 체상부에서의 더욱 큰 각 피처리 소편 12를 이후의 처리의 필요상, 예컨대 최종적으로 회수하도록 하는 각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의 입경을 거의 소정의 입경 범위 내로 맞추는 등의 필요상 절단분산, 박리처리하기 위한 것, 말하자면 이 경우 다시 거친 분쇄처리를 하여 대응하는 절단분산, 박리처리하기 위한 것이며, 당해 절단분산 박리 수단에는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기에서는 6.0m/m 정도의 공경인 세공을 펀칭 형성하여 되는 스크린을 설치한 커터 밀 202와 당해 커터밀 202에 의해 절단분산, 박리작용을 받는 것으로, 또 소요의 크기로 절단 및 분산된 각 피처리 소편 12를 체선별하기 위한 체눈의 크기를 1.0m/m 정도로 설정한 체선별장치 403 등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절단분산, 박리] 처리공정 253에서는 상기 [제2차 압축, 박리-2] 처리공정 252에 의한 제2차 처리에 의하여 소정 크기로 전연되어 있는 각 피처리 소편 12가, 여기에서의 커터 밀 202에 의해 절단분쇄, 박리작용을 받고, 당해 일부에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박리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는 것을 포함하여 각 피처리 소편 12가 소정의 크기로 다시 절단되고, 또 당해 재절단에 따라서 일부에서는 도착되었던 피제거 수지도막 14도 박리되고, 그 스크린 내에는 당해 거친 분쇄작용을 받아도 소정의 크기, 여기에서는 6.0m/m 정도의 공경으로 설정된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은 크기의 각 피처리 소편 12가 남게 되고, 이것을 당해 소정의 크기에 달하기까지의 사이에 계속적으로 되돌림시켜 최후까지 절단분산되는 것으로서 당해 스크린을 통한 각 피처리 소편 12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스크린을 통한 각 피처리 소편 12에 대하여는 체눈의 크기를 1.0m/m 정도로 설정한 체선별 처리의 결과, 일부에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박리되지 않은 것을 포함하여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고 남아 있던 각 피처리 소편 12가 취출되며, 체하부에서는 스크린을 통한 각 피처리 소편 12를 일부 포함하고 있는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배출된다. 또 이 [절단분산, 박리] 처리공정은 얻어진 피회수 정립수지 15의 입경을 맞출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생략되어도 좋다.
(e) [제3차 압축, 박리-3] 처리공정 254
이 [제3차 압축, 박리-3] 처리공정 254는 상기 [절단분산, 박리] 처리공정 253에서 절단분리, 박리 처리되는 것에 의하여 다시 소요 크기로 절단 분산되고, 또 체선별 구분되어 있는 체상부의 각 피처리 소편 12를 제3차 단계에서 압축, 박리처리하기 위한 것이며, 당해 제3차 단계의 압축 박리 처리 수단에는 상기 각 경우와 같은 모양으로 여기에서도 또 적이하게 댐퍼 일부를 개재하는 것으로, 각 내측 압축충격면 33a와 외측 압축충격면 43a 사이의 각 크리아린스를 0.8m/m 정도로 설정된 압축충격력 부가부를 상하 2줄로 연결한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3과 당해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3에 의해 압축, 박리작용을 받는 것으로서, 다시 약간의 크기로 전연된 각 처리 소편 12를 체선별하기 위한 체눈의 크기를 2.5m/m 정도로 설정한 체선별장치 404 등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제3차 압축, 박리-3] 처리공정 254에서는 상기 [절단분리, 박리] 처리공정 253 및 각 처리공정 250∼253에서 절단분리, 박리처리되고 있는 약간 큰 각 피처리 소편 12에 합쳐져, 상기 각 처리공정 250∼253으로부터 배출되는 각 피처리 소편 12를 일부 포함하고 있는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여기에서의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3의 0.8m/m 정도의 각 크리아린스에 설정된 2줄의 각 내측 압축충격면 33a와 외측 압축충격면 43a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각각 제3차(최종차)의 압축, 박리작용을 받고, 당해 각 피처리 소편 12가 여러번에 걸쳐 가해지는 압축충격력 때문에 더욱 크게 전연됨과 함께, 여기에서도 또 이 전연에 따라서 일부에 남아있던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박리되고, 2.5m/m 정도의 체눈의 크기에 설정된 체선별장치 404의 체상부에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일부에 제거 수지도막 14가 박리되지 않은 것을 포함하여 피제거 수지도막 14의 박리된 각 피처리 소편 12가 남아 취출되는 것으로 되며, 체아래로부터도 같은 모양으로하여 스크린을 통한 각 피처리 소편 12를 일부에 포함하고 있는 피제거 수지도막 14도 또한 자신의 압축충격력 부가장치 303에 환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처리공정 205∼254로부터 배출되는 각 피처리 소편 12를 일부에 포함하고 있는 피제거 수지도막 14의 체선별에 있어서, 각각의 체선별장치 400∼404의 체눈의 크기를 1mm로 하는 것에 의하여 체아래에서 취출되는 피제거 수지도막 14에 포함되어 있는 피처리 소편 12를 가급적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 결과 1mm의 체눈의 크기를 갖는 체선별장치 400∼404의 아래에서 취출되는 일부에 피처리 소편 12를 포함하고 있는 피제거 수지도막 14는 [제3차의 압축, 박리-3] 처리공정 254에 의한 재압축, 박리처리를 받는 일 없이 상기 처리공정으로부터 취출 분리하는 것이 좋다.
(f) [정립, 분리] 처리공정 255
이 [정립, 분리] 처리공정 255는 상기 [제3차 압축, 박리-3] 처리공정 254에서, 제3차(최종자) 압축, 박리처리되는 것에 의하여 약간 조금 크게 전연시키고, 체선별 구분되어 있는 체상부에서의 조금 큰 각 피처리 소편 12, 말하자면 이 경우 환언하면 각 피회수 수지재료 13을 최종적으로 정립하여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로 하기 위한 것에 있으며, 당해 최정단계에서의 정립, 분리처리수단에서는 상기 연마·정립장치 150, 여기에서는 1.0m/m 정도의 공경의 세공을 펀칭 형성하여 되는 스크린을 설치한 연마, 정립장치 150 및 당해 스크린 내에 남아있는 제품으로서의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를 흡인하여 취출하기 위한 블로어 501을 사용하였다.
또, 상기 블로어 501 등은 대체적으로, 또는 이것과 함께 상기 연마정립장치 150의 연마·정립공간 181 내에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 그 공간 181 내의 피회수 수지재료 13을 교반함과 함께 고정단판 153에 천설한 구멍부에 의해 파이프를 개재하여 연통하는 공급 투입구부에 피회수 수지재료 13을 환류시켜도 좋다.
따라서 이 [정립, 분리] 처리공정 255에서는 상기 [제3차 압축, 박리-3] 처리공정 254에서, 제2차(최종차) 처리에 의하여 소정의 크기로 전연되고 있는 각 피처리 소편 12로서의 각 피회수 수지재료 13이, 여기에서의 연마·정립장치 150에 의해 정립·분리작용을 받고, 당해 각 피회수 수지재료 13이 정립되며, 이 경우 1.0m/m 정도의 공경으로 천설한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은 크기의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 말하자면 여기에서는 제품으로서의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가 남고 당해 제품으로서의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는 블로어 501에 의하여 흡인되어 취출되며, 또 스크린을 통해 먼지 물결로 취급되는 회수층을 포함하여 소정의 크기 이하로 된 피제거 수지도막 14 등이 블로어 603에 의하여 흡입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된다.
(g) [분급, 분리] 처리공정 256
이 [분급, 분리] 처리공정 256에 있어서는, 상기 [정립, 분리] 처리공정 255로 정립, 분리처리되는 것에 의하여 제품으로 되고, 블로어 501에 의하여 흡인되고 취출되는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와, 먼지, 가루 등을 일부 포함한 피제거 수지도막 14 등과를 각각 분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당해 분급, 분리처리수단에는 예컨대 상기 분급에 대응하여 공지의 사이클론 장치 601을, 후자의 분급에 대응하여 공지의 백필터장치 602 및 당해 백필터장치 602에서의 흡인작용에 필요한 블로어 603을 각각 사용한다.
따라서 이 [분급, 분리] 처리공정 256에서는 상기 [정립, 분리] 처리공정 255로 정립 분리 처리된 먼지, 가루 등을 일부 포함한 제품으로서의 각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가 사이크론 장치 601에 의하여 분급되고, 당해 각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에 대하여는 이것을 포집하는 것으로 소기와 같이 회수 제품으로서 취출할 수 있다. 또, 당해 사이크론장치 601로 분리된 먼지, 가루 등에 대하여는 전단계에서 스크린 외로 배출되는 먼지, 가루 등을 일부 포함한 피제거 수지도막 14 등과 합류시킨 후에 블로어 603의 흡인작용으로 백필터장치 602에 의하여 분리하고 이것을 포집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피회수 수지재료 15는 이것을 그대로 수지성형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여기에서 얻어진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로부터 피제거 수지도막 14가 왼전히 제거되어 있지 않고, 이 피회수 정립수지도막 14를 갖고 있는 경우, 이 피제거 수지도막 14를 포함한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를 분쇄하여, 예컨대 100μ 미만으로 미분화하는 것에 의하여 수지성형에 지장이 없는 수지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 상기 백필터장치 603에 의해 포집된 피제거 수지도막 14 등은 예컨대 이것을 100μ 미만으로 미분화 하는 것 등에 의해 수지재료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고, 이와 같이 미분하하는 때는 제거된 수지도막도 수지성형에 지장이 없는 수지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이것을 요약하면, 이 제4의 실시예 방법에 있어서도 또 각 처리공정간에 여러 가지의 조합에 의한 변화가 가능한 것이고, 목적, 용도에 대응하여 각 처리공정의 서로를 임의로 조합 설정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즉, 제5의 실시예 방법으로서, 경질재의 처리공정에 있어서는, 제13도의 상기 처리공정중 [거친 분쇄] 처리공정 250에 있어 체선별장치 400에 의한 체선별 처리를 생략하고 [제3차 압축, 박리-3] 처리공정 254에 있어 압축 박리를 상하 2줄이 아니고 제8도에 나타낸 장치구성에 의한 일단의 압축충격력 부가를 행하여 체선별장치 400의 체선별 처리후, 더하여 동장치에 의한 일단의 압축 박리공정을 행한후 [정립, 분리] 처리공정 255에 있어서의 연마·정립장치 150의 핀 밀에 의한 연마, 정립에 의하여 수지성형에 사용가능한 피회수 수지재료(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 1공정에 의한 회수율은 45%, 도막잔량은 0.49wt% 이다.
또, 제6의 실시예 방법으로서, 경질재의 처리공정에 있어서는, 제13도의 상기 처리공정과는 크게 달라서 전술의 제8도의 장치에 대하여 약 3∼5배의 처리능력을 갖는 대형의 압축충격력 부가조립장치(처리능력 30∼50kg/hr) 및 핀 밀(처리능력 30∼50kg/hr)을 상용하여 제13도중,
① [거친 분쇄] 처리공정 250에 있어 201의 「커터 밀」 공정후,
② [제1차 압축, 박리-1] 상기 제5의 실시예 방법과 마찬가지로 일단의 압축박리를 행하고, 이어서
③ 동 [제1차 압축, 박리-1] 처리공정 251과 마찬가지의 [체눈 1.3mm] 401의 체선별 처리후,
④ [제2차 압축, 박리-2] 재차 일단의 압축박리를 행하고, 이로부터 바로
⑤ [정립, 분리] 처리공정 255의 연마·정립장치 150의 1.5mm 스크린을 갖는 연마, 정립처리공정을 거쳐, 다시
⑥ 일단의 압축 박리 공정을 행한후,
⑦ 연마·정립장치 150의 1.5mm 스크린을 갖는 핀 밀에 의한 재연마, 정립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회수율은 71∼75% 도막잔량은 0.44∼0.46wt% 이었다. 상기 ③[제1차 압축, 박리-1] 처리공정 251에 있어 체선별 장치 401의 체선별 처리로 2∼4%의 피제거 수지도막(도막 5.8wt%)이 얻어져 폐기한다. 또, ⑤ 및 ⑦의 정립 분리처리 공정으로 각각 12∼14%(도막 약 3.0wt%) 및 10∼12%(도막 약 2.7wt%)가 분리되고 피제거 수지도막 계 약 24%는 리사이클 재료로 상용된다. 최종의 분급 분리처리 공정을 경유하여 도막 약 0.46wt%의 약 72∼74%의 피회수 수지재료(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가 얻어진다. 또, 상기 0.46∼0.49wt%의 도막을 함유하는 피회수 수지재료는 공지의 압출기의 여망기구(예컨대 미국특허 4.850,840 그네우스)를 사용하여 거의 완전하게(0.15wt%∼0.20wt%) 여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의 표1은 이와 같이 하여 회수된 폴리프로필렌만의 물성을 나타낸다.
다음의 표2는 표1과 동일한 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를 30%, 버전 70%의 혼합물 그레이드 물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 제7의 실시예 방법으로서,
① [거친 분쇄] 처리공정 250에 있어서 201의 「커터 밀」 공정후,
② [제1차 압축, 박리-1] 제8도의 장치 구성에 의하여 일단의 압축박리를 행한다.
각 내측 압축충격면 33a와 외측 압축충격면 43a 사이의 각 크리아린스를 2.5m/m 정도로 설정하여 되는 압축충격면 부가장치 301에 의한다. 다음에,
③ [제2차 압축, 박리-2] 각 내측 압축충격면 33a와 외측 압축충격면 43a 사이의 각 크리아린스를 2.0m/m 정도로 설정하여 재차 압축박리를 행한다. 또
④ [제3차 압축, 박리-3] 일단의 압축박리를 행한다. 각 내측 압축충격면 33a와 외측 압축충격면 43a 사이의 각 크리아린스를 2.0m/m 정도로 설정하여 되는 압축충격면 부가장치 301에 의한다. 이 단계에서 도막 약 2.0wt%의 피회수 수지재료(피회수 정립수지재료) 15가 얻어진다. 이로부터 바로
⑤ [정립, 분리] 처리공정 255의 연마·정립장치 150의 1.5mm 스크린을 갖는 연마·정립 처리공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상의 공정에서 도막잔량 0.5wt%, 회수율은 약 84∼86%이다.
최종의 분급 분리처리공정을 거쳐서 도막 약 0.5wt%의 약 72∼74%의 피회수 처리능력은 앞에 기술한 네 개의 도입부 교반날개 20 rpm에서 80∼100kg/h이다.
이 발명은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한 수단에 의하여 처리대상 예컨대 수지성형품으로부터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도막을 분리 제거한 후에 소재화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병행하여 이것을 소정의 입경 범위내로 정립된 수지재료로서 회수할 수 있다. 또, 거친가루 상태로 된 각 피처리 소편으로부터 예를 들면 수지도막을 분리, 제거함과 동시에 넓은 의미로는 비교적 경질의 분체성형품 등의 재료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 재료를 파쇄하여 거친 가루로 한 피처리물을 분쇄하고 또, 별도로 비교적 연질의 분체성형품 등의 재료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서 이 재료를 파쇄하여 거친 가루로 한 피처리물을 정립하고 조립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수지도막의 박리제거에 관한 종래의 각 문제점을 해소하고 겸하여 수지재료를 포함한 분체재료 등에 의한 각 피처리물의 분쇄 또는 조립에 관한 요청에 응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한 수단에 의한 공통의 구성에 의하여 처리대상인 각 피처리물로부터 도착되어 있는 수지도막을 박리 제거한 후에 이것을 소재화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든지, 필요에 따라서는 재이용에 적합한 형태로 조립하여 회수하도록 하고 수지재료를 포함한 분체재료 등에 의한 각 피처리물을 분쇄 하고 또는 조립하여 얻어지도록 한다.
더하여, 종래에 있어서 절연전선 혹은 코드의 처리에 따르는 불합리를 감안하여 확실하고 용이하게 도체부분을 절연체로부터 분리 회수하고 그럼에도 하등의 공해 등의 문제를 생기게 하는 것이 아닌 도체와 절연체와의 분리방법 및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등의 각종 부품의 절연체인 플라스틱과 반도체를 포함한 도체인 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은 후추 등의 향신료를 가열하지 않고, 예컨대 후추를 소량의 100∼150μ 입도 범위내로 분쇄하고 향기, 맛 등의 우수한 고품질의 분쇄 향신료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피두, 대두 등의 두류를 가열 등에 의하여 향과 맛등의 품질을 변화시키는 일없이 소량의 균일한 분립으로 분쇄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에너지 코스트나 설비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목재 분쇄물이나 목재칩을 마쇄하고 부피 비중을 높이고 수송·운반 효율을 좋게 한다.

Claims (30)

  1. 처리대상을, 표면에 수지도막을 형성한 수지성형품으로 하고, 이 수지성형품으로부터 수지도막을 제거하고 소재화된 수지재료로 하여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그 수지성형품을 복수의 각 피처리 소편으로 파쇄하는 공정과, 다음에, 상기 파쇄된 개개의 각 피처리 소편에 대하여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을 부가하여 압궤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방법.
  2. 처리대상을, 표면에 수지도막을 형성한 수지성형품으로 하고, 이 수지성형품으로부터 수지도막을 분리제거하고 소재화된 수지재료로 하여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상기 수지성형품을 복수의 각 피처리 소편으로 파쇄하는 공정과, 다음에, 상기 파쇄된 개개의 각 피처리 소편에 대하여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을 부가하여 압궤시키고, 또 압궤에 의하여 박리된 수지도막을 수시로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방법.
  3. 처리대상을, 표면에 수지도막을 형성한 수지성형품으로 하고, 이 수지성형품으로부터 수지도막을 분리제거하고 소재화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품을 복수의 각 피처리 소편으로 분쇄하는 공정과, 상기 각 피처리 소편에 대하여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을 부가하여 압궤시킴과 함께 압궤에 의해 박리된 수지도막을 수시로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압궤된 각 피처리 소편을 재분쇄하는 공정과, 상기 재분쇄에 의해 각 분쇄편면으로부터 분리한 수지도막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방법.
  4. 처리대상을, 절연전선, 코드 또는 플라스틱 몰드한 반도체 등의 도체가 절연체로 피복되어 있는 재료로 하고, 상기 도체를 상기 절연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상기 선재를 복수의 각 피처리 소편으로 파쇄하는 공정과, 다음에, 이 절단선재에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을 부가하고 압궤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방법.
  5. 처리대상을, 표면에 수지도막을 형성한 수지성형품으로 하고, 이 수지성형품으로부터 수지도막을 분리제거하고 소재화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상기 수지성형품을 복수의 피처리 소편으로 파쇄하는 공정과, 다음에, 상기 파쇄된 개개의 각 피처리 소편에 대하여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을 부가하여 압궤시키고, 또 압궤에 의하여 박리된 수지도막을 수시로 제거하는 공정과,그 다음에, 상기 수지도막을 제거한 각 피처리 소편을 연마, 정립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정립방법.
  6. 처리대상을, 표면에 수지도막을 형성한 수지성형품으로 하고, 이 수지성형품으로부터 수지도막을 분리 제거하고 소재화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품을 복수의 각 피처리 소편으로 분쇄하는 공정과, 상기 분쇄된 개개의 각 피처리 소편에 대하여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을 부가하여 압궤시키는 공정, 또는 미진동에 기한 압축충격력을 부가하여 압궤시킴과 함께 압궤에 의해 박리된 수지도막을 수시로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압궤된 각 피처리 소편을 재분쇄하는 공정과, 상기 재분쇄된 개개의 각 분쇄편에 대하여 충격마쇄력을 부가하여 연마, 정립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정립방법.
  7. 처리대상을, 표면에 수지도막을 형성한 수지성형품으로 하고, 이 수지성형품으로부터 수지도막을 분리 제거하고 소재화된 수지재료로서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품을 복수의 각 피처리 소편으로 분쇄하는 공정과, 상기 분쇄된 개개의 각 피처리 소편에 대하여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을 부가하여 압궤시키는 공정, 또는 미진동에 의한 압축충격력을 부가하여 압궤시킴과 함께 압궤에 의하여 박리된 수지도막을 수시로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압궤된 각 피처리 소편을 재분쇄하는 공정과, 상기 재분쇄된 개개의 분쇄편에 대하여 충격마쇄력을 부가하여 연마, 정립하는 공정과, 상기 정립된 정립물과 당해 정립에 의해 분리된 수지도막 등을 구분하고 당해 수지도막 등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정립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처리 소편에 대하여 압궤가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각 압축충격면 사이에서 방향성이 있는 미진동에 의한 충격력을 부가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정립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처리 소편에 대한 압궤공정시에 서로 대향하는 각 압축충격면 사이에서의 압축충격력의 부가에 합쳐 당해 압축충격면 사이에 대하여 분리를 촉진시키기 위한 액체를 아래로 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처리 소편에 대한 압궤공정시에 당해 압궤작용에 의하여 각 피처리 소편면으로부터 분리된 수지도막등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처리 소편의 재분쇄공정시에 당해 재분쇄된 분쇄편의 입경을 소정의 입경범위 이하로 맞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처리 소편의 압궤공정을 복수회에 걸쳐 순차로 되돌려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처리 소편의 재분쇄 공정을 복수회에 걸쳐 순차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방법.
  14. 피파쇄물을 소편으로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상기 파쇄수단의 하방으로 향하며,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압축충격면을 대향시킨 1쌍으로 된 각 압축충격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각 압축충격부재의 위쪽에는 상기 파쇄된 각 피처리 소편을 순차로 공급하는 투입개구를 형성시키며, 상기 각 압축충격부재의 어느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미진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장치.
  15. 표면에 수지도막을 형성한 수지성형품을 처리 대상으로 해 이 수지성형품으로부터 수지도막을 분리 제거하여 소재화된 수지재료를 얻는 장치에 있어서, 수지성형품을 소편으로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상기 파쇄수단의 하방으로 향하며,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압축충격면을 대향시킨 1쌍으로 되는 각 압축충격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각 압축충격부재의 위쪽에는 상기 파쇄된 각 피처리 소편을 순차로 공급하는 투입개구를 형성시키며, 상기 각 압축충격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미진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압축충격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압축충격면에 복수의 돌기를 돌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장치.
  17. 내측 압축충격면을 형성한 내측 압축충격부재와, 피파쇄물을 소편으로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상기 내측 압축충격면에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시킨 외측 압축충격면을 형성한 외측 압축충격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사이의 위쪽에 상기 파쇄수단으로 파쇄시킨 피파쇄물을 공급하는 투입개구를 형성시킴과 함께, 상기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피처리물의 해당하는 처리태양마다, 당해 피처리물의 특성, 성상 등에 대응하여 제어된 방향성이 있는 미진동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장치.
  18. 내측 압축충격면을 형성한 내측 압축충격부재와, 상기 내측 압축충격면의 원주방향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되는 외측 압축충격면을 형성한 외측 압축충격부재와, 상기 외측 압축충격부재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상부 진동발생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 사이의 위쪽에 상기 파쇄수단으로 파쇄시킨 피파쇄물을 공급하는 투입개구를 형성시키며, 상기 외측 압축충격부재에 대해서 상기 상부 진동발생수단에 의하여 피처리물의 해당하는 처리태양마다, 당해 피처리물의 특성, 성상 등에 대응하여 제어된 방향성 있는 미진동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장치.
  19. 내측 압축충격면을 형성한 내측 압축충격부재, 및 당해 내측 압축충격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간하여 대향하는 외측 압축충격면을 형성한 외측 압축충격부재를 설치하고, 각 압축충격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처리대상의 각 피처리물의 해당하는 처리태양마다 그 특성, 성상 등에 대응하여 제어된 방향성 있는 미진동을 주도록 하고, 또 상기 내측, 외측의 이간하는 압축충격면 사이의 위쪽에 각 피처리물을 투입 공급하는 투입개구를 설치하며, 상기 각 압축충격면 사이의 도입부에 대해 각 피처리물 상호의 응집, 긴축을 방지, 또는 해제하는 교반공급수단을 배치시키고, 상기 각 압축충격부재의 진동으로부터 상기 교반공급수단이 동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분리·분리장치.
  20. 내측 압축충격면을 형성한 내측 압축충격부재, 및 당해 내측 압축충격면의 외주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외측 압축충격면을 형성한 외측 압축충격부재와, 상기 외측 압축충격부재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설치시키고, 처리대상의 각 피처리물의 해당하는 처리태양마다 그 특성, 성상 등에 대응하여 제어된 방향성 있는 미진동을 주는 상부 진동발생수단 등을 설치하고, 또 상기 내측, 외측의 이간하는 압축충격면 사이의 위쪽에 각 피처리물을 투입 공급하는 투입개구를 설치하며, 상기 투입개구 내를 포함하여 상기 각 압축충격면 사이의 도입부에 대하여 각 피처리물 상호의 응집, 긴축을 방지 또는 해제하는 교반공급수단을 배치시키고, 상기 상부 진동발생수단의 진동으로부터 상기 교반공급수단이 동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립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개구 내, 및 상기 각 압축충격면 사이의 도입부에 설치되어지는 제1 및 제2의 교반공급수단이 투입개구 내에서 회전 구동되는 투입개구 교반날개, 및 압축충격면 사이의 도입부에 근접하여 회전 구동되는 도입부 교반날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립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을 원추형상, 또는 원추대형상 중의 어느 한 형상에 의한 조합으로 형성시켜며, 외측 압축충격면을 내측 압축충격면의 외주로 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립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을 각 호면형상에 의한 서로의 조합으로 형성시키며, 이들 서로가 대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립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면을 원추형상, 또는 원추대형상 중의 어느 한 형상과 화면형상에 의한 조합으로 형성시키고, 이들 서로가 대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립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외측의 각 압축충격부재의 임의의 어느 한쪽에 대하여 방향성있는 미진동을 주고, 또 다른쪽에 대하여 당해 미진동의 방향과 순방향, 또는 역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을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립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충격력을 부가하기 위한 미진동의 방향이 원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립장치.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충격력을 부가하기 위한 미진동의 방향이 약간 경사져 아래쪽을 향하는 회전원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립장치.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압축충격부재에서의 각 피처리 소편의 공급면 위에 당해 각 피처리 소편을 내측 압축충격면 측으로 안내 공급하기 위한 복수조의 안내돌기를 상기 미진동방향에 대응하여 돌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립장치.
  29. 피처리물의 공급투입구부에 중심부를 연통시킨 고정원반상에서 복수의 회전궤적상에 각 고정핀을 순차로 설치한 고정측 연마, 정립수단과, 상기 고정원반에 대향하여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된 가동원반상에서 상기 각 고정핀과는 다른 복수의 회전궤적상에 각 가동핀을 순차로 설치한 가동측 연마, 정립 수단과, 상기 각 고정핀과 각 가동핀과의 조합 외주부에 있어 소망의 입도 이하의 피처리물을 임의로 구분시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부에 연통된 분별수단, 및 소망 입도 이상의 피처리물을 취출구부에 취출하는 취출수단을 갖고, 상기 각 고정핀과 각 가동핀과의 상호 사이에서 상기 피처리물을 연마, 정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정립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부에 취출되는 피처리물을 상기 공급투입구부에 환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정립장치.
KR1019920021419A 1991-11-15 1992-11-14 분쇄,분리방법, 분쇄,분리,정립방법 및 분쇄,분리장치와, 분쇄,조립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 및 연마,정립장치 KR0154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26705 1991-11-15
JP3-326706 1991-11-15
JP32670591 1991-11-15
JP32670691 1991-11-15
JP4-88264 1992-03-13
JP8826492 1992-03-13
JP4-89783 1992-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657A KR930009657A (ko) 1993-06-21
KR0154512B1 true KR0154512B1 (ko) 1998-11-16

Family

ID=1819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419A KR0154512B1 (ko) 1991-11-15 1992-11-14 분쇄,분리방법, 분쇄,분리,정립방법 및 분쇄,분리장치와, 분쇄,조립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 및 연마,정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891B1 (ko) * 2020-08-13 2021-08-27 유한회사 염화산업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728B1 (ko) * 2004-10-21 2005-07-01 안경환 강선 피복호스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891B1 (ko) * 2020-08-13 2021-08-27 유한회사 염화산업 폐 플라스틱의 단계적 분쇄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파우더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657A (ko) 199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2593B1 (en) Process and device for pulverization and separation
US4623515A (en) Process for producing fibrous and granular materials from waste
US5251827A (en) Process for separating fibres from composite materials
US42459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w ash content refuse fuel, paper and plastic products from municipal solid waste and said products
KR100395227B1 (ko) 적층열가소성수지성형품의재생처리방법및장치
NL1002520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winnen van harsmateriaal uit industrieel afval van kunststoffoelie.
KR101548149B1 (ko) 타이어들을 위한 미가황 고무 처리된 스틸 코드 재료를 분리하는 방법
EP20240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waste material
KR0154512B1 (ko) 분쇄,분리방법, 분쇄,분리,정립방법 및 분쇄,분리장치와, 분쇄,조립 또는 분쇄,분리,조립장치 및 연마,정립장치
JP3296906B2 (ja) 廃棄樹脂成形品の回収・造粒方法および装置
EP0633110A1 (en) Process for separating fibres from composite materials
EP1422000B1 (de) Verfahren und Anlage zum Aufbereiten von Treibgas enthaltendem Mahlgut
CZ99993A3 (en) Double separator for particulate material sorting
CN205392639U (zh) 一种改进型可循环颗粒粉碎设备
KR20190069258A (ko) 편백잎 미세분말 분쇄기
JP2553807B2 (ja) 廃棄樹脂成形品の回収・造粒方法および装置
CN103406183B (zh) 一种微细骨粉的粉碎装置及加工工艺
JPS6319146B2 (ko)
KR20030081805A (ko) 합성수지-종이 혼합폐기물 처리시스템
JP3085676U (ja) 木質様成形品および木質様成形品製造装置
JPH07204535A (ja) 木片チップの回収方式とその装置
KR200282678Y1 (ko) 합성수지-종이 혼합폐기물 처리시스템
JPH05247863A (ja) 壁紙の処理方法
JP3315102B2 (ja) プラスチック材の回収方法および樹脂塗膜の分離装置
JPH0751591A (ja) 乾式砕砂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