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615B1 -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615B1
KR102294615B1 KR1020190110508A KR20190110508A KR102294615B1 KR 102294615 B1 KR102294615 B1 KR 102294615B1 KR 1020190110508 A KR1020190110508 A KR 1020190110508A KR 20190110508 A KR20190110508 A KR 20190110508A KR 102294615 B1 KR102294615 B1 KR 10229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terminal
management service
user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376A (ko
Inventor
김형옥
Original Assignee
에스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0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615B1/ko
Priority to JP2019212933A priority patent/JP2021043929A/ja
Publication of KR2021002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e-명함을 수신 또는 발송하고, e-명함을 관리하는 명함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복수의 단말; 및 명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가능하고, 사용자마다의 e-명함 데이터가 저장되고, e-명함의 교환 또는 명함 알람 기록을 통해 사용자마다의 e-명함의 등록에 따른 활동주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 활동주기가 없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부고 확인시 부고자의 단말에 등록된 등록단말로 명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부고알림을 통지하는 명함관리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e-Business Card Management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기본 명함 관리 기능, 명함 제작 및 주문 기능, 기업용 명함 관리 기능, 명함 교환 기능, 명함 찾기 기능, 114 기능, 경고 기능, 클린 서비스 기능, 부고 알림 및 클리어 서비스 기능을 가진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호 간의 개인통신을 위하여 다양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성과 휴대성의 장점으로 인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다.
또한 사회가 복잡 다양화되고 국제화되면 서 사람들의 활동영역이 넓어져 정보통신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점차 증대되면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서비스는 단순 음성통신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매체로서의 역할을 요구하게 되었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스캔 기술과 텍스트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명함을 스캔하고 이를 자동으로 저장 및 관리해주는 명함 관리 어플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종이나 플라스틱 카드 형태의 명함에서 벗어나 스마트폰을 통해 서로 주고 받는 전자 명함(Virtual card 또는 Electronic business card)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JP2002-269221A에는 전자명함제공 방법 및 전자명함제공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본 명함 관리 기능, 명함 제작 및 주문 기능, 기업용 명함 관리 기능, 명함 교환 기능, 명함 검색 기능, 경고 기능, 클린 서비스 기능, 부고 알림 및 클리어 서비스 기능을 가진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e-명함이 교환가능하고, 일정 기간 동안에 활동하지 않은 사용자를 파악하여, 부고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부고 알림 기능을 가진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고 통지 후 부고자의 단말에 등록된 등록단말에서 부고자의 명함을 삭제하는 클리어 서비스 기능을 가진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e-명함을 수신 또는 발송하고, e-명함을 관리하는 명함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복수의 단말; 및 명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가능하고, 사용자마다의 e-명함 데이터가 저장되고, e-명함의 교환 또는 명함 알람 기록을 통해 사용자마다의 e-명함의 등록에 따른 활동주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 활동주기가 없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부고 확인시 부고자의 단말에 등록된 등록단말로 명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부고알림을 통지하는 명함관리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명함관리 서비스부는, 등록단말로의 부고알림통지 후, 등록단말에 설치된 명함어플리케이션에서 부고자의 e-명함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명함관리 서비스부는, 사용자의 단말로 신규 e-명함이 등록되는 주기와, 사용자의 e-명함이 특정인의 단말에 등록되는 주기를 분석하여, 사용자마다의 활동주기가 분석되고, 사용자가 특정인의 e-명함에 대한 접속빈도를 통해 특정인마다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특정인에 대한 우선도가 추출되어, 우선도에 따라 사용자의 부고 확인을 위한 확인대상자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명함관리 서비스부는, 전화번호 검색을 통해, 단말로 수신된 e-명함의 진위여부가 식별되고, e-명함이 가짜 명함으로 식별되면 가짜 명함 정보가 블랙리스트로 등록되고, 단말로 가짜 명함 정보에 대한 경고문구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은, 명함어플리케이션에 제1 e-명함이 등록된 제1단말; 및 명함어플리케이션에 제2 e-명함이 등록된 제2단말을 포함하고, 제1단말에서 제2단말로의 제1 e-명함의 전송이 선택되면, 제1단말에서 제2단말로 제1 e-명함이 전송되고, 제2단말에서 제1 e-명함이 수락되면 제1 e-명함이 제2단말에 저장되고, 제2단말에서 제1단말로의 제2 e-명함의 전송이 선택되면, 제2단말에서 제1단말로 제2 e-명함이 전송되고, 제1단말에서 제2 e-명함이 수락되면 제2 e-명함이 제1단말에 저장되어, 제1단말과 제2단말 간에 제1 e-명함과 제2 e-명함 간의 명함 교환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명함어플리케이션은 통신망을 통해 명함관리 서비스부에 접속되어, 검색어 입력을 통해 명함관리 서비스부에 등록된 e-명함이 조회되고, 조회된 e-명함 사용자의 수락시 조회된 e-명함이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e-명함을 교환할 수 있고, 수신된 e-명함을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명함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e-명함이 교환가능하고, 일정 기간 동안에 활동하지 않은 사용자를 파악하여, 부고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고 통지 후 부고자의 단말에 등록된 등록단말에서 부고자의 명함을 삭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관리 서비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은 명함관리 서비스부(110) 및 복수의 단말(121, 12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e-명함이 교환가능하고, 일정 기간 동안에 활동하지 않은 사용자를 파악하여, 부고확인 과정을 거쳐, 부고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부고 통지 후 부고자의 단말에 등록된 등록단말에서 부고자의 명함을 삭제한다.
복수의 단말은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이 설치된 단말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단말(121)과 제2단말(122)로 구분지어 지칭하기로 한다. 제1단말(121)은 제1 e-명함의 사용자의 단말이다. 그리고, 제2단말(122)은 제2 e-명함의 사용자의 단말이다.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은 기본 명함 관리 기능, 명함 제작 및 주문 기능, 기업용 명함 관리 기능, 명함 교환 기능, 명함 검색 기능, 경고 기능, 클린 서비스 기능, 부고 알림 및 클리어 서비스 기능을 실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각각의 단말은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명함관리 서비스부(110)에 접속가능하다.
e-명함의 사용자는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은 본인의 e-명함을 제작가능하다. e-명함은 사용자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소속, 경력, 지역, 학교, 관심분야 등)를 명함어플리케이션(120)에 입력하여 생성된다. 본 발명은 명함어플리케이션(120)에 설정된 명함생성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명함을 생성할 수 있다.
명함교환은 제1단말(121)의 명함어플리케이션(120)에서 제2단말(122)로의 명함 전송 및 수락, 그리고, 제2단말(122)에서 제1단말(121)로의 명함 전송 및 수락을 통해 수행된다.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제1단말(121)에서 제2단말(122)로의 제1 e-명함의 전송이 선택되면, 제1단말(121)에서 제2단말(122)로 제1 e-명함이 전송된다. 그리고,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제2단말(122)에서 제1 e-명함이 수락되면 제1 e-명함이 제2단말(122)에 저장된다.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제2단말(122)에서 제1단말(121)로의 제2 e-명함의 전송이 선택되면, 제2단말(122)에서 제1단말(121)로 제2 e-명함이 전송되고, 제1단말(121)에서 제2 e-명함이 수락되면 제2 e-명함이 제1단말(121)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1단말(121)과 제2단말(122) 간에 제1 e-명함과 제2 e-명함 간의 명함 교환이 수행된다.
제1단말(121) 및/또는 제2단말(122)은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이 미설치된 제3단말(123)에도 e-명함 이미지와 명함관리 서비스부(110)에서 제공하는 명함관리서비스에 대한 링크를 전송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타인의 e-명함을 전송받은 경우, 타인의 e-명함을 수신받은 사람이 일일이 명함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QR코드 또는 고유번호를 통해 등록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은 동일한 명함어플리케이션(120)으로 제작된 e-명함이 아닌 e-명함을 전송받은 경우, 전송받은 e-명함에 기재된 내용을 사용자가 직접 명함어플리케이션(120)에 입력하여, 전송받은 e-명함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타인의 명함을 검색할 수 있다.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은 통신망을 통해 명함관리 서비스부(110)에 접속되어, 검색어 입력을 통해 명함관리 서비스부(110)에 등록된 e-명함이 조회되고, 조회된 e-명함 사용자의 수락시 조회된 e-명함이 등록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명함어플리케이션(120)에 등록하지 않은 명함도 타인이 명함관리 서비스부(110)에 등록한 명함이 있으면,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명함관리 서비스부(110)에 접속하여, 전화번호, 이름 및/또는 업종별로 검색어 입력을 통해 찾고 싶은 명함을 조회가능하다.
명함관리 서비스부(110)는 명함 비공개 설정을 통해, 타인의 정보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명함 비공개 설정된 명함 조회시, 조회된 명함 정보가 전부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김XX 또는 이XX 등 성씨만 노출되고 이름은 노출되지 않게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이 설치된 단말의 사용자는 명함어플리케이션(120)에 기설정된 114 기능을 통해, 찾고 싶은 사람의 번호, 이름 등을 검색하면 단말 사용자가 등록하지 않은 명함도 타인이 명함관리 서비스부(110)에 e-명함을 등록했을 시에 조회가 가능하다. 다만, 조회 후 등록은 해당 명함 주인의 승인시에만 등록 가능하다.
명함어플리케이션(120)에서 전화번호로 명함 조회시 검색되지 않을 경우, 가상 명함이 표시되면서 경고 문구가 명함어플리케이션(120)에 표시된다. 번호 조회 후 명함 등록이 되지 않는 명함을 사기꾼 명함으로,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명함관리 서비스에 접속되어 명함관리 서비스부(110)에 신고가능하다. 명함관리서비스부는 가짜 명함 식별을 위해 유관 기관과 협력하여 이를 식별하고 가짜 명함시 블랙 리스트로 등록가능하다.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은 댓글 기능이 구비된다. 댓글 달기 기능은 명함 하단에 명함 주인에 대한 평가 댓글 작성 가능하고, 이때, 명함 주인은 댓글 내용을 확인하지 못하는 기능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은 명함관리기능이 마련되어, 사용자 자신의 e-명함 정보를 입력하고, 수신된 명함별로 명함을 등록 및 관리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명함관리기능에는 수신 받은 e-명함을 열람하는 빈도 및 등록단말과의 통화, 메세지 주고 받은 기록등을 통해 특정인과의 우선도를 추출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예컨대, 홍길동의 단말에 특정인인 A와 B의 명함이 등록된 경우, 명함어플리케이션(120)에서 A사용자의 명함의 열람빈도와 B사용자의 명함의 열람빈도를 통해 우선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A의 우선도가 52%, B의 우선도가 10%로 산출된 경우, 홍길동이 자주 연락하는 사람은 A이다. 성춘향의 경우, X사용자의 우선도는 90%이고, Y사용자의 우선도가 15%로 산출된 경우, 성춘향이 자주 연락하는 사람은 X사용자임을 알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명함관리 서비스부(110)는 명함데이터 베이스(111), 분석부(112), 부고알림부(113), 클리어 서비스 제공부(114), 클린 서비스 제공부(115)를 포함한다.
명함데이터 베이스(111)는 사용자마다의 e-명함 데이터가 저장된다. e-명함 데이터는 명함어플리케이션(120) 또는 PC를 통해 등록된 명함 정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석부(112)는 e-명함의 교환 또는 명함 알람 기록을 통해 사용자마다의 e-명함의 등록에 따른 활동주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 활동주기가 없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한다.
분석부(112)는 사용자가 특정인의 e-명함에 대한 접속빈도를 통해 특정인마다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특정인에 대한 우선도가 산출되어, 우선도에 따라 명함데이터 베이스(111)에서 사용자의 부고 확인을 위한 확인대상자를 추출한다. 우선도 알고리즘는 사용자의 단말에 등록된 등록단말 중 사용자단말과의 접속빈도가 높은 단말을 추출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석부(112)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활동주기가 없는 사용자의 단말에 등록된 등록단말 중 우선도가 높은 순서대로 확인대상자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확인대상자는 본인을 포함한 제3자이다. 제3자는 사용자인 본인의 단말에 등록된 특정인이다.
명함관리 서비스부(110)의 직원은 리스트 상에 기재된 확인대상자에게 전화를 걸어, 기설정된 기간동안 활동주기가 없는 사용자의 부고여부를 확인한다. 기설정된 기간동안 활동주기가 없는 사용자의 부고가 확인되면, 부고알림부(113)는 부고자의 단말에 등록된 등록단말로 명함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부고알림을 통지한다.
부고알림부(113)에서 등록단말로의 부고알림통지 후, 클리어 서비스 제공부(114)는 등록단말에 설치된 명함어플리케이션(120)에서 부고자의 e-명함 정보를 삭제한다. 이는, 등록단말의 소유자가 부고자의 e-명함을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등록단말에서 부고자의 e-명함이 자동삭제된다.
클린 서비스 제공부(115)는 전화번호 검색을 통해, 단말로 수신된 e-명함의 진위여부가 식별되고, e-명함이 가짜 명함으로 식별되면 가짜 명함 정보가 블랙리스트로 등록되고, 단말로 가짜 명함 정보에 대한 경고문구를 전송한다. 클린 서비스 제공부(115)에서 단말로 경고문구가 전송되면, e-명함의 진위여부를 조회한 단말에는 경고문구가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110: 명함관리 서비스부 111: 명함데이터 베이스
112: 분석부 113: 부고알림부
114: 클리어 서비스 제공부 115: 클린 서비스 제공부
120: 명함관리 어플리케이션 121: 제1단말
122: 제2단말 123: 제3단말

Claims (6)

  1. 통신망을 통해 e-명함을 수신 또는 발송하고, 상기 e-명함을 관리하는 명함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복수의 단말, 및
    상기 명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가능하고, 사용자마다의 e-명함 데이터가 저장되는 명함관리 서비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명함관리 서비스부는
    상기 e-명함의 교환 또는 명함 알람 기록을 통해 상기 사용자마다의 e-명함의 등록에 따른 활동주기를 분석하고,
    상기 활동주기 동안 상기 e-명함의 교환 또는 명함 알람 기록을 포함한 활동이 없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부고 여부를 확인하고,
    부고로 확인된 사용자인 부고자의 단말에 등록된 등록단말로 상기 명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부고자의 부고를 알리는 부고알림통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관리 서비스부는,
    상기 등록단말로의 상기 부고알림통지 후, 상기 등록단말에 설치된 명함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부고자의 e-명함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관리 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신규 e-명함이 등록되는 주기와, 상기 사용자의 e-명함이 특정인의 단말에 등록되는 주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마다의 상기 활동주기가 분석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인의 e-명함에 대한 접속빈도를 통해 상기 특정인마다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특정인에 대한 우선도가 추출되어, 상기 우선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부고 확인을 위한 확인대상자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관리 서비스부는,
    전화번호 검색을 통해, 상기 단말로 수신된 e-명함의 진위여부가 식별되고, 상기 e-명함이 가짜 명함으로 식별되면 가짜 명함 정보가 블랙리스트로 등록되고, 상기 단말로 상기 가짜 명함 정보에 대한 경고문구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은,
    상기 명함어플리케이션에 제1 e-명함이 등록된 제1단말; 및
    상기 명함어플리케이션에 제2 e-명함이 등록된 제2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제2단말로의 제1 e-명함의 전송이 선택되면,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제2단말로 상기 제1 e-명함이 전송되고,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제1 e-명함이 수락되면 상기 제1 e-명함이 상기 제2단말에 저장되고,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제1단말로의 제2 e-명함의 전송이 선택되면,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제1단말로 상기 제2 e-명함이 전송되고,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제2 e-명함이 수락되면 상기 제2 e-명함이 상기 제1단말에 저장되어,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 간에 상기 제1 e-명함과 상기 제2 e-명함 간의 명함 교환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명함관리 서비스부에 접속되어, 검색어 입력을 통해 상기 명함관리 서비스부에 등록된 e-명함이 조회되고, 조회된 e-명함 사용자의 수락시 상기 조회된 e-명함이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110508A 2019-09-06 2019-09-06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29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08A KR102294615B1 (ko) 2019-09-06 2019-09-06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JP2019212933A JP2021043929A (ja) 2019-09-06 2019-11-26 電子名刺管理サービス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08A KR102294615B1 (ko) 2019-09-06 2019-09-06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376A KR20210029376A (ko) 2021-03-16
KR102294615B1 true KR102294615B1 (ko) 2021-08-30

Family

ID=7486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508A KR102294615B1 (ko) 2019-09-06 2019-09-06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043929A (ko)
KR (1) KR102294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16282A (ja) 2022-02-09 2023-08-2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名刺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5399B2 (ja) * 1993-05-18 2001-06-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ドデータ管理装置
JP2011186711A (ja) * 2010-03-08 2011-09-22 Nec Corp 名刺交換支援装置、名刺交換支援システムおよび名刺交換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221A (ja) 2001-03-13 2002-09-20 Just Syst Corp 電子名刺提供方法および電子名刺提供装置
JP2003242299A (ja) * 2002-02-14 2003-08-29 Penguin Knowledge Works Co Ltd 名刺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7058587A (ja) * 2005-08-24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信頼性検証システム
KR20110123196A (ko) * 2010-05-06 2011-11-14 손용석 마커를 이용한 명함 정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2026115B (zh) * 2010-11-29 2013-05-08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电子名片信息交换方法及其系统
JP2013105470A (ja) * 2011-11-17 2013-05-30 Masayoshi Shinozaki 電子名刺装置、および名刺情報配信システム
KR20140140319A (ko) * 2013-05-29 2014-12-09 주식회사 타임백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JP2015103035A (ja) * 2013-11-26 2015-06-04 株式会社 ハンモック 名刺データベリファイシステム
KR102231558B1 (ko) * 2014-06-02 2021-03-2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사용 로그를 수집하여 연락처 그룹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그룹 정보 서버의 운영방법
CN104243715B (zh) * 2014-09-26 2016-07-06 北京橙鑫数据科技有限公司 电子名片交换方法和装置
KR20160124489A (ko) * 2015-04-20 2016-10-28 김동현 모바일 스마트폰을 이용한 sms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5399B2 (ja) * 1993-05-18 2001-06-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ドデータ管理装置
JP2011186711A (ja) * 2010-03-08 2011-09-22 Nec Corp 名刺交換支援装置、名刺交換支援システムおよび名刺交換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43929A (ja) 2021-03-18
KR20210029376A (ko)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535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mobile wireless devices for authentication of personal identification and registration with security network
CN101517557B (zh) 用于管理虚拟房间内的资源的方法和装置
CN108876385A (zh) 身份认证方法、装置和系统
CN108540755B (zh) 身份识别方法和装置
CA2832722A1 (en) Data mining method for social network of terminal user and related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US20090006613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updating a user presence status on a terminal by aggregating multisource information
WO2017031361A1 (en) Method, client terminal and server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N104680326A (zh) 一种考勤管理系统
US202303088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unter identity verification
KR20150133055A (ko) 인터넷 공유기를 이용한 출결 관리 방법
CN112445870A (zh) 基于手机取证电子数据的知识图谱串并案分析方法
KR102294615B1 (ko) e-명함 관리 서비스 시스템
CN104243597A (zh) 一种基于wlan环境下的名片发放收集系统及方法
US20220292953A1 (en) Mobile collection of sensitive information including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100874354B1 (ko) Rfid 인증 시스템 및 단말기, 방법
JP2001243345A (ja) 訪問者身元確認システム
KR20220124866A (ko) 전자명함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전자명함 관리방법
CN109005543B (zh) 一种基于imei限制手机使用的系统和方法
KR2022006621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문기록 등록방법
KR101278521B1 (ko) 상대방에 의한 내 전자명함첩 관리 방법, 명함 서버 및 명함 관리 시스템
KR102169265B1 (ko) 고객의 휴대전화 번호 관련 정보 조회 방법, 이에 사용되는 정보제공 서버, 고객관리 서버, 및 통신사 서버
KR20210043259A (ko) 전자명함모듈 및 최적 미팅장소 산출방법
KR101589539B1 (ko) 연락 리마인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9645A (ko) 고객 정보 유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915369B2 (ja) 名刺取扱装置、人物情報提供装置、名刺確認支援方法、人物情報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