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571B1 -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571B1
KR102293571B1 KR1020210042120A KR20210042120A KR102293571B1 KR 102293571 B1 KR102293571 B1 KR 102293571B1 KR 1020210042120 A KR1020210042120 A KR 1020210042120A KR 20210042120 A KR20210042120 A KR 20210042120A KR 102293571 B1 KR102293571 B1 KR 102293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arbon
bearing cap
weight
carb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국
Original Assignee
광성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성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ings; for bearing r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특수강인 베어링강으로 제조되는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을 45C 탄소강을 이용하여 저렴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가공 제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bearing cap for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특수강인 베어링강으로 제조되는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을 45C 탄소강을 이용하여 저렴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가공 제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유압 펌프의 유압을 이용한 유압식 조향장치(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에서 최근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 조향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로 점차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인 전동식 조향장치는 조향휠부터 양측 바퀴에까지 이어지는 조향계통 및 조향계통에 조향보조동력을 공급하는 보조동력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동력기구는 운전자가 조향휠에 가하는 조향토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조향토크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토크센서, 토크센서로부터 전해지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자제어장치(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전해지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조향보조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벨트를 매개로 모터에서 발생한 보조동력을 랙바에 전달하는 벨트식 전동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향장치에서 롤링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내측 레이스(inner race), 외측 레이스(outer race), 및 이 레이스들의 4개의 베어링 트랙(bearing track) 사이에 배열된 롤링 요소(rolling element) 세트, 통상, 볼(ball) 세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레이스들에는 2개의 베어링 트랙이 제공된다.
특히, 볼 세트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 캡이 마련되는데, 베어링 캡 속에 볼 세트가 내장된다.
이와 같은 베어링 캡은 과도한 힘을 받기 때문에 고강도, 고경도가 요구되며, 통상 베어링강이라고 하는 특수강을 절삭가공하여 만든다.
그런데, 베어링강은 고경도, 고강도 특수강이기 때문에 비용이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절삭 가공하기도 어렵고, 가공에 따른 시간도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846579호(2018.04.02.) 스트러트 베어링 가변 프릭션 장치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0130811호(2017.11.29.) 전동식 조향장치의 베어링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존 특수강인 베어링강으로 제조되는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을 45C 탄소강을 이용하여 저렴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가공 제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어링 캡의 재료가 되는 탄소강을 열처리한 후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소 0.42-0.48중량%, 규소 0.15-0.35중량%, 망간 0.60-0.90중량%, 인 0.03이하(0%는 제외), 황 0.035중량%(0%는 제외), 니켈 0.1-0.2중량%, 크롬 0.1-0.2중량% 및 나머지 Fe로 조성된 탄소강을 930-950℃의 열처리로에서 2시간 동안 가스침탄하는 제1단계; 가스침탄을 중단하고 일산화탄소를 공급하면서 그 온도로 1시간동안 유지하여 확산처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곧바로 830℃ 유냉방식으로 ??칭하여 침탄된 탄소가 마르텐사이트 조직에 고용되게 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후 1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템퍼링하여 조직은 안정화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특수강인 베어링강으로 제조되는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을 45C 탄소강을 이용하여 저렴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가공 제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은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특히 45C 탄소강을 이용하여 특수강인 베어링강에 버금가는 고경도 특성을 갖도록 하여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은 베어링 캡의 재료가 되는 탄소강을 열처리한 후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45C 탄소강이란 탄소함량이 0.42-0.48중량%인 경우를 말하며, S45C 탄소강이라고 표현하지만, 보통 45C 강으로 통칭하고 있다.
45C 탄소강은 탄소 0.42-0.48중량%, 규소 0.15-0.35중량%, 망간 0.60-0.90중량%, 인 0.03이하(0%는 제외), 황 0.035중량%(0%는 제외), 니켈 0.1-0.2중량%, 크롬 0.1-0.2중량% 및 나머지 Fe로 조성된다.
이 경우, 불가피한 불순물은 극미량으로서 통상 생략하므로 설명에서 제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캡 제조방법은 상술한 조성을 갖는 45C 탄소강을 930-950℃의 열처리로에서 2시간 동안 가스침탄하는 제1단계를 먼저 수행한다.
이때, 가스침탄에 사용되는 캐리어가스는 수소와 질소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다음, 이 혼합가스와 메탄가스를 1:0.1의 부피비로 재혼합한 재혼합가스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수소와 질소 혼합가스는 흡열성 반응을 통해 침탄부위의 탄소농도를 증대시키도록 하고, 메탄가스는 침탄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어, 재혼합가스의 공급을 중단하고 일산화탄소를 공급하면서 그 온도로 1시간동안 유지하여 확산처리하는 제2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2단계를 수행하는 이유는 탄화물이 석출되지 않으면서 표면으로부터 10-15㎛ 깊이로 탄소원자간 혼성결합이 일어나게 하여 경도를 급격히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침탄 열처리를 하여 탄소가 많이 고용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갖춤으로써 경도를 높여 내마모성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즉, 침탄은 강을 오스테나이트 조직상태로 가열하여 탄소를 침입시키고, 변태를 이용하여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생성시켜 경화되게 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보통은 탄소함량이 많아지면 경도가 떨어지지만, 마르텐사이트 조직에 탄소가 고용되게 하면 반대로 경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단계 후 곧바로 830℃ 유냉방식으로 ??칭하여 침탄된 탄소가 마르텐사이트 조직에 고용되게 하는 제3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3단계 후 1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템퍼링하여 조직은 안정화시키는 제4단계 수행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열처리하게 되면, 평균 표면경도가 680-700HV를 확보할 수 있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45C 탄소강의 열처리된 표면 조직을 현미경으로 확인하고 촬영한 사진을 아래에 첨부한다.
Figure 112021037987719-pat00001
위 사진은 45C 탄소강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표면 침탄처리한 결과를 보인 조직사진으로서, 여기에는 침탄-??칭-템퍼링의 열처리과정이 포함된 것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성형된 베어링 캡의 표면에 탈황석고 2.5중량%, 피마자유 10중량%,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6.5중량%, 겔라이트 3중량%, 메탈폴리실록산 20중량%, 나프탈렌 설폰산염 5.5중량%, 황산마그네슘 4.5중량%, 카본아미노실리카블랙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를 혼합 교반한 코팅액을 스프레이코팅하여 슬립성, 윤활성 및 내부식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이때, 탈황석고는 속경성을 높이면서 특히 수축방지를 통해 균열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고, 피마자유는 경화속도를 조절하고 혼화성을 유지하며 윤활성을 확보하면서 블리딩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며,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는 슬립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겔라이트는 내구성 및 자기보수성을 얻기 위해 첨가되며, 메탈폴리실록산은 소포성과 발수성 및 내부식성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고, 나프탈렌 설폰산염은 유동성과 흐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황상마그네슘은 경화를 촉진하고 부착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며, 카본아미노실리카블랙은 공극을 감소시켜 인장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Claims (1)

  1. 탄소 0.42-0.48중량%, 규소 0.15-0.35중량%, 망간 0.60-0.90중량%, 인 0.03이하(0%는 제외), 황 0.035중량%(0%는 제외), 니켈 0.1-0.2중량%, 크롬 0.1-0.2중량% 및 나머지 Fe로 조성된 탄소강을 930-950℃의 열처리로에서 2시간 동안 가스침탄하는 제1단계; 가스침탄을 중단하고 일산화탄소를 공급하면서 그 온도로 1시간동안 유지하여 확산처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곧바로 830℃ 유냉방식으로 ??칭하여 침탄된 탄소가 마르텐사이트 조직에 고용되게 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후 1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템퍼링하여 조직은 안정화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가스침탄에 사용되는 캐리어가스는 수소와 질소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다음, 이 혼합가스와 메탄가스를 1:0.1의 부피비로 재혼합한 재혼합가스를 사용하고;
    상기 제4단계 후, 성형된 베어링 캡의 표면에 탈황석고 2.5중량%, 피마자유 10중량%,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6.5중량%, 겔라이트 3중량%, 메탈폴리실록산 20중량%, 나프탈렌 설폰산염 5.5중량%, 황산마그네슘 4.5중량%, 카본아미노실리카블랙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를 혼합 교반한 코팅액을 스프레이코팅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
KR1020210042120A 2021-03-31 2021-03-31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 KR10229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20A KR102293571B1 (ko) 2021-03-31 2021-03-31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20A KR102293571B1 (ko) 2021-03-31 2021-03-31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571B1 true KR102293571B1 (ko) 2021-08-26

Family

ID=7746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120A KR102293571B1 (ko) 2021-03-31 2021-03-31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5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127A (ja) * 2002-09-30 2004-04-22 Kobe Steel Ltd 捻り疲労特性に優れた浸炭用鋼
JP2009299148A (ja) * 2008-06-13 2009-12-24 Sanyo Special Steel Co Ltd 高強度浸炭部品の製造方法
JP5994924B2 (ja) * 2013-03-08 2016-09-2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高周波焼入れ部品の素形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114616B2 (ja) * 2013-04-08 2017-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浸炭部品、その製造方法及び浸炭部品用鋼
KR20170130811A (ko) 2016-05-19 2017-11-29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장치의 베어링
KR101846579B1 (ko) 2012-12-12 2018-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트러트 베어링 가변 프릭션 장치
JP6772769B2 (ja) * 2016-07-20 2020-10-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摺動部材、その製造方法、浸炭用鋼材及び転がり軸受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127A (ja) * 2002-09-30 2004-04-22 Kobe Steel Ltd 捻り疲労特性に優れた浸炭用鋼
JP2009299148A (ja) * 2008-06-13 2009-12-24 Sanyo Special Steel Co Ltd 高強度浸炭部品の製造方法
KR101846579B1 (ko) 2012-12-12 2018-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트러트 베어링 가변 프릭션 장치
JP5994924B2 (ja) * 2013-03-08 2016-09-2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高周波焼入れ部品の素形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114616B2 (ja) * 2013-04-08 2017-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浸炭部品、その製造方法及び浸炭部品用鋼
KR20170130811A (ko) 2016-05-19 2017-11-29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장치의 베어링
JP6772769B2 (ja) * 2016-07-20 2020-10-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摺動部材、その製造方法、浸炭用鋼材及び転がり軸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5684B1 (en) Gea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430859B1 (ko) 표면 경화용 기계 구조용 강 및 기계 구조 강 부품
WO2010064617A1 (ja) 浸炭窒化部材および浸炭窒化部材の製造方法
JP2004292945A (ja) 転動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11039A (ko) 연질화용 강 및 연질화 강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7909B1 (ko) 기어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208151B1 (ko) 강의 열처리 방법
JP5093410B2 (ja) 高炭素クロム軸受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20347B2 (ja) 高周波焼入れ部品の素形材、高周波焼入れ部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6519715A (ja) 向上された窒化特性を有するベイナイト系マイクロアロイ鋼
CN103597101B (zh) 热处理钢构件的方法
KR102293571B1 (ko) 조향장치용 베어링 캡 제조방법
US20170081738A1 (en) Method & metal component
JPH06173967A (ja) 等速ジョイント用アウターレース
KR20120111077A (ko) 고내구성 및 고내식성 철강소재 기계부품의 표면개질 처리방법
JP2006183095A (ja) 歯面疲労強度に優れた歯車の製造方法
JP2017043800A (ja) 熱処理方法、及び転がり軸受用部材
US10351944B2 (en) Ferrous alloy
JP2007224353A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486881B2 (ja) 歯面疲労強度に優れた歯車
Jaypuria Heat treatment of low carbon steel
JP2008057022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
JP2001165279A (ja) 歯車の製造方法
JPH10158727A (ja) 浸炭窒化焼入方法および転動部品
KR20120116895A (ko) 고면압강도, 고강도 및 고내식성 철강부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