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424B1 -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424B1
KR102293424B1 KR1020200006095A KR20200006095A KR102293424B1 KR 102293424 B1 KR102293424 B1 KR 102293424B1 KR 1020200006095 A KR1020200006095 A KR 1020200006095A KR 20200006095 A KR20200006095 A KR 20200006095A KR 102293424 B1 KR102293424 B1 KR 10229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signal
signal information
information
traffic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865A (ko
Inventor
김정
Original Assignee
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 filed Critical 김정
Priority to KR102020000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4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1Plural intersections under common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도로의 교차로, 분기점, 횡단 보도 등에 설치되는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교통신호정보를 전송받는 스마트폰 또는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손쉽게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교통신호정보를 화면표시와 함께 음성출력, 진동안내로 복합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교통신호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the adaptive traffic inform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교차로, 분기점, 횡단 보도 등에 설치되는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교통신호정보를 전송 받아 사용자가 손쉽게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통 신호등은 차량의 정지와 직진, 좌회전 또는 U-턴 진행을 지시 또는 안내함과 더불어 보행자의 차도 횡단을 위한 안내 및 지시하기 위해 도로의 교차점이나 분기점 및 횡단 보도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교통 신호등은 차량의 직진을 안내하는 녹색램프와, 좌회전(및 U-턴) 또는 우회전을 화살표로 표시하여 안내하기 위한 좌/우회전램프, 차량의 진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적색램프, 신호의 변경시에 일시 정지를 안내하는 황색램프가 그 설치대상의 도로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갖추어지게 된다.
보행자 또는 운전자는 이러한 교통 신호등의 신호정보를 확인한 후 횡단 보도를 건너고, 차량을 주행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일련의 행위를 한다. 이처럼 교통 신호등의 신호 정보는 보행자의 보행사고나 교통사고의 방지를 위해 꼭 필요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비율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이 위험하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도 사고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스마트폰을 보며 걷다가 보행하는 사람과 부딪히거나 신호가 바뀌지 않았는데도 보행하다 사고자 발생하는 등,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보행자는 일반 보행자보다 사고를 당할 확률이 70% 이상 높다는 발표도 있다.
이러한 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횡단보도가 있는 차도에서 1m 이상 떨어진 보도에 노란색 발자국 모양을 그려놓아 차도와 안전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바닥에 LED 조명으로 신호등을 설치해 사고를 예방하는 대책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시도들은 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라 할지라도 횡단 보도에 상기한 장비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스마트폰 사용자에게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사고 발생의 다른 유형으로, 교통 신호등을 볼 수 없는 조건에서 보행신호 램프가 켜진 상태를 늦게 확인하고 횡단 보도를 보행하는 것에 의해 보행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스마트폰을 사용함으로써 교통 신호등의 신호 램프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는 것이 큰 이유라 할 것이다.
상기한 사고발생은 일반 보행자에게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차량 운전시에 전방의 주시 태만이나 날씨 등의 영향으로 인해 교통 신호등의 신호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자차 앞에 큰 차량이 주행하여 신호등을 볼 수 없는 경우에도 교통사고발생으로 이어진다.
차량에는 길안내 정보나 도로 정보 등을 받기 위하여 내비게이션 또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 장치에 교통신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다소나마 사고 발생을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차량 주행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교통 신호등의 신호정보를 운전자가 미리 알 수 있다면 방어운전 등으로 인하여 사고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장치로 교통신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단말장치 사용자의 보행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및 이러한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장착되는 단말장치(내비게이션 등)로 교통신호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이유로 운전자가 교통 신호등을 인지하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인 자율차량에 장착되는 단말장치와 운전제어장치를 연계하여 단말장치에 제공되는 교통신호정보를 통해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통신호제어기의 교통신호정보를 처리하는 교통신호 애플리케이션; 상기 교통신호정보의 수신상태에 따라 상기 교통신호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교통신호정보를 시각, 청각, 촉각을 통해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진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교통신호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교통신호정보가 수신되기 전까지는 미 구동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교통신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진행방향에 기초하여 가장 가까운 교통신호제어기의 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하거나 둘 이상의 교통신호정보를 순서대로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신호정보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일부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교통신호정보가 둘 이상이며 서로 상이한 사이즈로 표시한다.
상기 둘 이상의 교통신호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진행방향에 교통신호정보를 삭제한다.
상기 교통신호정보는, 횡단 보도의 현재 신호등 정보, 램프 변경 잔여시간, 신호등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방향에 위치하는 교통신호제어기의 교통신호정보를 순서대로 수신하는 교통신호 애플리케이션; 상기 수신된 교통신호정보를 미리 화면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제어장치와 연계되고, 상기 주행제어장치가 교통신호제어기의 교통신호정보에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상기 교통신호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교차로 및 횡단 보도에 설치되어 신호등 운영을 담당하는 둘 이상의 교통신호제어기; 상기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수신한 교통신호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촉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진동모터를 적어도 둘 이상 조합하여 교통신호정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및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는 보행 중에 자신의 전방에 위치한 횡단 보도의 신호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 화면을 통해 체크할 수 있어, 횡단 보도를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자는 교통신호정보를 단순히 화면에 표시하는 것 외에 안내메시지의 음성 출력 및 진동으로 인한 촉각으로도 인지할 수 있어 교통신호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음성 출력 기능을 더하고 있어, 스마트폰 화면을 주시할 수 없는 환경(예를 들어 운전자 모드)에서도 교통신호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또 본원발명은 자율주행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만큼 제품의 활용방안이 많기 때문에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장치기에 교통신호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신호제어기가 도로변에 이격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보행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스마트폰에 교통신호정보를 제공하는 흐름도
도 5는 스마트폰에 교통신호정보가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을 활용한 교통신호정보 표시를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도로, 교차로 등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통행로 등에 설치된 교통신호등의 신호정보를 이동중인 보행자의 스마트폰이나 차량에 장착되는 내비게이션, 자율주행차량의 단말장치 등의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보행자나 운전자가 교통신호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안하는 것이고,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이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자율주행차량용 단말장치)(100)는 교통신호 애플리케이션(이하, '교통신호 앱'이라 칭함)(110), 제어부(120), 스피커(130) 및 디스플레이(140),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자나 운전자가 교통신호 정보를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모터(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통신호 앱(110)은 교차로 및 횡단 보도에 설치되어 신호등 운영을 담당하는 교통신호제어기(Traffic signal controller)(200a, 200b, 도 2 및 도 3 참조)로부터 교통신호정보를 전송받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교통신호제어기(200a, 200b)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단거리무선통신장치) 기반의 노변기지국(RSE:Road Side Equipment)일 수 있고, 이러한 교통신호제어기(200a, 200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도로변에 설치된다.
교통신호 앱(110)은 교통신호제어기(200a, 200b)가 제공하는 교통신호정보를 기초로 하여, 현재 신호등 정보, 현재 보행신호 램프(녹색램프)가 점등된 경우 잔여시간 정보(녹색램프 off 잔여시간), 적색램프가 녹색램프로 변경 점등될 때까지의 잔여시간 정보(램프 변경 잔여시간), 신호등(횡단 보도)까지의 거리 정보 등을 처리한다. 물론 이러한 정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정보들의 처리, 가공을 할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교통신호 앱(110)은 스마트폰(10)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교통신호제어기(200a, 200b)로부터 교통신호정보를 전달받는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스마트폰(10) 사용자와 제1 교통신호제어기(200a)간의 거리 L1이 제2 교통신호제어기(200b)간의 거리 L2보다 가깝다면 당연히 교통신호 앱(110)은 제1 교통신호제어기(200a)로부터 교통신호정보를 전달받을 것이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 사용자의 보행 방향이 제1 교통신호제어기(200a)에서 제2 교통신호제어기(200b)의 방향(10a -> 10b)이라면 거리와 상관없이 제2 교통신호제어기(200b)의 교통신호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스마트폰(10)에 마련된 GPS 및 사용자의 보행방향 정보를 기초로 하면 알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서 상기 교통신호 앱(110)은 둘 이상의 교통신호제어기(200a, 200b)로부터 교통신호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스마트폰(10) 사용자가 현재 위치(A)에서 위치 B로 이동할 경우 제1 교통신호제어기(200a) 및 제2 교통신호제어기(200b)의 교통신호정보를 함께 또는 순서대로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마트폰(10)이 내비게이션 장치로 사용될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내비게이션에 설치되는 교통신호 앱(110)도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가장 가까운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교통신호정보를 제공받아 전방의 신호등 정보를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제어부(120)는 상기 교통신호 앱(110)으로부터 교통신호정보를 제공받고, 각종 모드에 따라 교통신호정보를 디스플레이(140)에 화면 표시하거나 스피커(130)로 음성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진동모터(150)를 구동시켜 사용자가 촉각을 통해 교통신호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면표시나 음성출력, 진동모터 구동은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 둘 이상의 기능이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교통신호제어기(200a, 200b)가 제공하는 교통신호정보의 수신 상태를 판단하고, 교통신호정보가 수신된 경우 교통신호 앱(110)의 구동을 제어하기도 한다. 이는 교통신호 앱(110)이 불필요하게 구동되어 배터리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어부(120)는 단말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때문에 항시 구동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이러한 상시 전원 온 상태인 제어부(120)를 이용하여 교통신호 앱(110)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면 그만큼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드는 스마트폰(10) 사용자를 위한 보행자 모드 및 대기 모드, 운전자 모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행자 모드는 횡단 보도를 보행할 수 있는 모드를 말하며 녹색램프가 점등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대기 모드는 적색램프가 점등되어 횡단 보도를 보행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 운전자 모드는 내비게이션으로 사용될 때의 모드를 말하며, 차량 주행방향에 따른 전방의 신호등 정보를 제공하는 모드이다.
이러한 모드에 따라 제어부(120)는 서로 다른 정보들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보행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스마트폰에 교통신호정보를 제공하는 흐름도이다.
스마트폰(10) 사용자가 보행중에 교통신호 앱(110)은 미구동상태일 수 있다(s100). 물론 이는 교통신호제어기(200a, 200b)의 신호 전송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스마트폰(10)이 위치하지 않고 있는 경우가 해당할 수 있다. 또는 횡단 보도 등을 보행할 경우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교통신호 앱(110)은 구동되지 않아도 된다.
스마트폰(10) 사용자가 보행 중 제어부(120)는 교통신호제어기(200a, 200b)로부터 교통신호정보가 전송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은 교통신호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체크하는 것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s102).
상기 체크과정에 따라 교통신호정보를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상기 교통신호 앱(110)을 활성화시킨다(s104). 이는 스마트폰(10)이 교통신호제어기(200a, 200b)의 전송범위내로 접근했음을 의미하고, 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임을 말한다. 물론 스마트폰(10) 사용과 함께 상기 교통신호 앱(110)이 상시 구동상태일 경우에는, 교통신호 앱(110)은 바로 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스마트폰(10)이 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120)는 스마트폰(10)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횡단 보도의 교통신호정보를 화면 표시한다(s106). 화면 표시의 예로는, 현재 신호등 정보, 램프 변경 잔여시간, 신호등(횡단 보도)까지의 거리 정보 등이다. 상기 현재 신호등 정보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주행방향에서 가장 가까운 횡단 보도의 신호등 정보이고, 녹색램프 또는 적색램프 상태를 표시한다. 또 상기 잔여시간 정보는 녹색램프 또는 적색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다른 램프가 점등되기까지의 시간정보, 거리 정보는 현재 스마트폰 위치에서 횡단 보도까지의 거리를 미터(m) 정보로 표시한다.
스마트폰(10)이 이러한 교통신호정보를 표시하는 예는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a는 교통신호정보를 수신받는 시점에 현재의 스마트폰 화면 대신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 상태, 도 5b 및 도 5c와 같이 소정 크기의 팝업 화면으로 표시하되, 첫 번째 교통신호정보와 두 번째 교통신호정보가 약간 중첩되게 표시하면서 크기는 작은 사이즈로 표시하거나, 첫 번째 교통신호정보와 두 번째 교통신호정보가 모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교통신호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것 외에, 스피커(130)를 통해 스마트폰(10) 사용자가 안내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게 하거나(s108), 진동모터(150) 구동에 따라 진동이 울리게 하여 교통신호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s110).
상기 스피커(130)를 통한 안내메시지는 '적색램프입니다. 대기하세요', '횡단 보도를 건너도 됩니다', '녹색램프가 켜지기까지 약 30초 정도 소요됩니다.'와 같은 음성 출력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진동정보는 진동세기나 패턴에 따라 교통신호정보의 각각 다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제1 진동패턴이면 횡단보도를 건너도 되는 녹색램프가 점등된 상태, 제2 진동패턴이면 대기해야 하는 적색램프가 점등된 상태, 제1 진동패턴과 제2 진동패턴이 교대로 진동하면 수 초 후에 적색램프가 녹색램프로 변경됨을 알리도록 하는 것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스마트폰(10) 사용자는 보행 중에 가까운 횡단 보도의 신호등 정보를 자신의 스마트폰(10) 화면이나, 음성 안내메시지, 진동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s112), 확인된 신호등 정보에 따라 횡단 보도를 보행하거나 보행속도를 조절하여 횡단 보도로 이동하거나, 횡단 보도 앞에서 녹색등으로 바뀔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10)의 교통신호 앱(110)은 제일 가까운 교통신호제어기의 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지만, 다음 위치에 있는 교통신호제어기의 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두 번째로 수신받은 교통신호정보도 화면 표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도 5b 및 5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교통신호정보를 화면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표시된 첫 번째 교통신호정보와 두 번째 교통신호정보는, 스마트폰(10) 사용자가 횡단 보도를 건너게 되면 상기 첫 번째 교통신호정보는 삭제된다. 그리고 상기 첫 번째 교통신호정보가 삭제되면 두 번째 교통신호정보가 앞 화면으로 표시되며, 세 번째 교통신호정보가 두 번째 교통신호정보와 함께 표시된다. 도 5b 및 도 5c와 같다. 이는 스마트폰에 마련된 GPS 정보를 이용하면 가능하며, 이러한 과정은 교통신호 앱(110)이 비활성화되거나 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을 활용한 교통신호정보 표시를 위한 흐름도이다.
내비게이션이 온 구동되고 목적지 정보가 입력된 상태에서(s200), 차량 주행이 시작된다(s210).
그러면 내비게이션은 차량 주행에 따라 차량 전방에 위치한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교통신호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화면 표시한다(s220). 화면표시된 정보는 차량의 진행 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 정보가 된다.
이때 차량 운전자는 내비게이션 화면을 주시할 수 없기 때문에, '전방 50m 신호등은 적색램프입니다. 서행하세요', '좌회전 신호입니다', '10초 후 직진신호가 점등됩니다.'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그러기 때문에, 차량 진행방향의 실제 신호등을 쉽게 확인할 수 없는 조건에서도, 실제 신호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안내받을 수 있어 안전하게 차량 운전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자율주행차량은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페달, 브레이크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차량의 각종 센서로 상황을 파악하여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차량을 말하는데,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에 교통신호제어기와 연동하는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를 장착하고, 상기 단말장치(100)는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제어장치와 연계시킨다.
그러면, 기존의 차간 거리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주행보조시스템인 HDA(Highway Driving Assist) 기술 등과 연계하여, 주행방향의 전방에 설치된 신호등 정보를 주행제어장치가 판단하여 차량의 주행 또는 정지 등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마트폰
100: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110: 교통신호 애플리케이션
120: 제어부
130: 스피커
140: 디스플레이
150: 진동모터
200a, 200b: 교통신호제어기

Claims (8)

  1. 교통신호제어기의 교통신호정보를 처리하는 교통신호 애플리케이션;
    상기 교통신호정보를 제공받고 보행자모드, 대기모드 및 운전자모드에 따라 교통신호정보를 화면표시하거나 음성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교통신호정보를 시각, 청각, 촉각을 통해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진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교통신호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교통신호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활성화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신호정보가 둘 이상이면 각 교통신호정보를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표시하되 각 교통신호정보들의 크기는 같거나 상이하게 표시하며,
    상기 둘 이상의 교통신호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진행방향에 따라 첫 번째 교통신호정보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신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진행방향에 기초하여 가장 가까운 교통신호제어기의 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하거나 둘 이상의 교통신호정보를 순서대로 수신하는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신호정보는, 횡단 보도의 현재 신호등 정보, 램프 변경 잔여시간, 신호등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6. 삭제
  7.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제어장치와 연계되고,
    상기 주행제어장치가 교통신호제어기의 교통신호정보에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상기 교통신호정보를 제공하도록 제1항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8. 교차로 및 횡단 보도에 설치되어 신호등 운영을 담당하는 둘 이상의 교통신호제어기;
    상기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수신한 교통신호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촉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는, 제1항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하면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진동모터를 적어도 둘 이상 조합하여 교통신호정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
KR1020200006095A 2020-01-16 2020-01-16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 KR102293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95A KR102293424B1 (ko) 2020-01-16 2020-01-16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95A KR102293424B1 (ko) 2020-01-16 2020-01-16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865A KR20210092865A (ko) 2021-07-27
KR102293424B1 true KR102293424B1 (ko) 2021-08-25

Family

ID=7712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095A KR102293424B1 (ko) 2020-01-16 2020-01-16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4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1714A (ja) 2017-03-10 2018-09-27 みこらった株式会社 携帯端末、自動車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906569B1 (ko) 2018-07-11 2018-12-05 권성국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시스템
KR102027981B1 (ko) 2019-05-14 2019-10-04 (주)아이에스디앤피 횡단보도 신호등 스마트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643A (ko) * 2015-02-25 2016-09-02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교통신호제어함을 이용한 신호등 변경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6131A (ko) * 2016-10-27 2018-05-08 (주)아이티에스뱅크 보행안전과 신호운영효율화를 위한 스마트 시그널 쉐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10121B1 (ko) * 2017-02-13 2018-10-22 주식회사인터라이텍 보행자신호등의 신호정보 안내시스템
KR102023476B1 (ko) * 2017-10-30 2019-09-20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77113B1 (ko) * 2017-11-17 2020-02-13 이대호 클라우드 기반의 교통신호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1714A (ja) 2017-03-10 2018-09-27 みこらった株式会社 携帯端末、自動車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906569B1 (ko) 2018-07-11 2018-12-05 권성국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시스템
KR102027981B1 (ko) 2019-05-14 2019-10-04 (주)아이에스디앤피 횡단보도 신호등 스마트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865A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4641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および自動運転制御方法
US9682725B2 (en) Lane change assistance apparatus
KR102011618B1 (ko) 자동 운전 지원 시스템, 자동 운전 감시 장치, 도로 관리 장치 및 자동 운전 정보 수집 장치
US11067987B2 (en)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JP5867518B2 (ja) 運転支援装置
US1149856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269755B2 (ja) 人横断支援車両システム及び人横断支援方法
JP5048829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
US10657822B2 (en) Vehicle control device
CN112638749A (zh) 车辆的行驶控制方法及行驶控制装置
JPWO2020035896A1 (ja) 車両の走行制御方法及び走行制御装置
JP6962468B2 (ja) 走行支援方法及び車両制御装置
JP2016002892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20131897A (ja) 車両の走行経路表示方法及び車両の走行経路表示装置
CN112601690A (zh) 车辆的行驶控制方法及行驶控制装置
JP5445371B2 (ja) 運転支援車載装置及び路車間通信システム
CN112601689A (zh) 车辆的行驶控制方法及行驶控制装置
KR20180059663A (ko) 긴급차량 접근 알림 신호 시스템
US11590967B2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ed driving vehicle
KR20140101180A (ko) 일체형 통행 위반 경고 시스템
JP2014089588A (ja) 運転支援装置
KR102293424B1 (ko) 교통신호정보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정보 제공시스템
JP2016002978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17182409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CN112572434B (zh) 车辆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