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492B1 - 상처 치료용 복합 재료 - Google Patents

상처 치료용 복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492B1
KR102292492B1 KR1020187030924A KR20187030924A KR102292492B1 KR 102292492 B1 KR102292492 B1 KR 102292492B1 KR 1020187030924 A KR1020187030924 A KR 1020187030924A KR 20187030924 A KR20187030924 A KR 20187030924A KR 102292492 B1 KR102292492 B1 KR 10229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ol
polyurethane
hydrophil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455A (ko
Inventor
에릭 에스. 가디너
마그누스 팔레즈키
Original Assignee
묄른뤼케 헬스 케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묄른뤼케 헬스 케어 에이비 filed Critical 묄른뤼케 헬스 케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8013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F13/00017
    • A61F13/00029
    • A61F13/0004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7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ynthetic, e.g. polymer b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9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42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01J20/267Cross-link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3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42Shaped bodies; Monolithic structures
    • B01J20/28045Honeycomb or cellular structures; Solid foams or spo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08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12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consisting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14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obtaining this coating or impregnating
    • B01J20/3217Resulting in a chemical bond between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and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e.g. a covalent bond
    • B01J20/3219Resulting in a chemical bond between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and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e.g. a covalent bond involving a particular spacer or linking group, e.g. for attaching an active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2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01J20/3274Proteins, nucleic acids, polysaccharides, antibodies or antig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8Polymers on the carrier being further modified
    • B01J20/3282Crosslink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91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arrier, the coating or the obtained coated product
    • B01J20/3295Coatings made of particles, nanoparticles, fibers, nanofi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2Polymers of alkenylalcohols; Acetals thereof; Oxyalkylation produ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09Polyvinyl alcoh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8Methods for forming porous structures using a negative form which is filled and then removed by pyrolysis or dissol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13/00Use of textile products or fabric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92Other properties 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2Wound dress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재료, 특히 상처 치료에 사용되는 복합 재료 및 상기한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복합 재료는 제1 폴리우레탄 폴리머를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 폴리우레탄 폴리머가 아닌 제2 폴리머를 포함하는 친수성 섬유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 물질은 유체를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에서, 제1 폴리머는 제2 폴리머와 공유 결합된다.

Description

상처 치료용 복합 재료
본 발명은 복합 재료 (composite material), 특히 상처 치료에 사용되는 복합 재료, 및 상기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처 드레싱은 상처를 치유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처 드레싱이 상처로부터 삼출물을 흡수 및 보유하는 능력은 치료 과정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드레싱의 액체 처리 능력은 상처 치료를 촉진하기 위해 최소화하여야 하는 드레싱 교체 횟수에 영향을 준다. 특히, 상처 체액을 흡수 및 보유하기 위해, 친수성 물질, 보다 구체적으로, 친수성의 오픈-셀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친수성 폼이 상처 드레싱에 사용된다. 친수성 셀룰로스 섬유와 같은 친수성 섬유도 기본적으로 상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체액 관리/액체 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액체 처리 능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상처 드레싱내 상처 패드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층이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된, 서로 다른 능력과 기능성을 가진, 다층형 디자인 (multiple-layer design)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층형 디자인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에 따르면,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및/또는 기계적 적층 (lamination)에 의해 층들이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에는 몇가지 문제들이 존재한다. 특히, 흡수제 물질, 예를 들어, 친수성 폼은, 사용시 팽윤되어, 액체를 흡수하여 팽창될 수 있는데, 이는 층들 간의 결합을 압박하거나 및/또는 두께를 증가시켜, 층의 변형, 예를 들어, 말리는 변형 (curling) 또는 함몰 변형 (cupping) 및 층의 박리를, 특히 젖은 상태에서, 즉, 드레싱의 사용 중에 유발할 수 있다.
미국 특허 7,759,537은 특히 상처 접촉 층 및 흡수제 코어 층을 포함하며, 흡수제 코어 층을 상처 접촉 층과 결합시키기 위해 핫 멜트 접착제인 폴리아미드 웹 (polyamide web)의 "핵심 층"이 흡수제 코어 층 상에 구비된, 다층형 상처 드레싱을 개시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유럽 특허 2 659 865는 2개의 폼 층 사이에 부직포 층이 포함되며, 모든 층들이 열에 의해 활성화되는 본딩 웹을 이용해 함께 결합된, 다층형 상처 드레싱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2 498 829는 겔 형성 섬유를 포함하는 상처 접촉 층과 이에 결합된 폼 층을 포함하며, 폼 층이 접착제, 폴리머계 용융 층, 불꽃 라미네이션 (flame lamination) 또는 초음파에 의해 상처 접촉 층에 직접 결합된, 흡수제 성분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접착제 또는 열 본딩 웹 (heat bonding web)의 사용은 드레싱의 액체 이동 (liquid transportation)을 손상시키고, 드레싱의 신축성, 흡수성 및 액체 처리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층의 기계적인 본딩 및 접착제 본딩은 제조 공정의 제조 단계 및/또는 물질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이에, 당해 기술 분야에서는, 사용시, 특히 전술한 한가지 이상의 문제점이 방지 또는 최소화된 상처 드레싱으로서, 사용시 그 기능성을 유지하는, 여러가지 기능성 영역, 특히 기능성 층을 가진 상처 드레싱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 기술의 전술한 문제점과 기타 문제들에 비추어,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가 없거나 또는 적어도 문제가 최소화된, 특히 상처 치료에 있어, 개선된 내구성 및 사용시 유지가능성 (point-of-use sustainability)을 갖춘 재료, 특히 상처 드레싱,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 상기한 과제 및 기타 과제는,
제1 폴리우레탄 폴리머를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
폴리우레탄 폴리머가 아닌 제2 폴리머를 포함하는, 친수성 섬유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 물질이 유체를 흡수 및 보유할 수 있으며,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이 폼 층이거나 또는 폼 층으로 포함되며, 상기 친수성 섬유 물질이 섬유 층이거나 또는 섬유 층으로 포함되며, 상기 폼 층 및/또는 상기 섬유 층의 두께가 독립적으로 100 ㎛ 이상이고,
상기 제1 폴리머가 상기 제2 폴리머에 공유 결합된, 복합 재료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에서, 용어 "포함하는" 및 "포함한다"는 기타 인자 또는 단계를 배제는 것이 아니며, 부정 관사 ("a" 또는 "an")는 복수의 인자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친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은 부가적인 폴리머(들), 특히 또 다른 폴리우레탄 폴리머 및/또는 폴리우레탄 폴리머가 아닌 다른 (부가적인)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수단 (measure)들이 서로 다른 종속항들에 언급된다는 단순 사실이 이들의 조합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토대가 되는 포괄적인 개념은, 폴리우레탄 폼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해 친수성 섬유 물질을 인 시추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에 공유 결합시킬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록시 기 또는 아민 기와 같은 반응성 기를 가진 친수성 섬유 물질을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포함하는 프리폴리머 수성 조성물 (aqueous pre-polymer composition)에 첨가하여, 상기 친수성 섬유 물질을 폴리우레탄 폼 물질에 공유 결합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친수성 섬유 물질의 관능기가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반응하여 이들 2종의 물질의 (진행성) 계면에서 공유 결합이 형성되고, 동시에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이 형성된다.
본원에서, 용어 '친수성'은, 극성 용매, 특히 물 또는 다른 극성 기와 상호작용하는 분자체 또는 치환기의 능력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서, IUPAC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이해된다: A. D. McNaught and A. Wilkins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97), ISBN 0-9678550-9-8에 의해 발표된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바람직하게는, 용어 '친수성'은 물질의 물-투과성 또는 분자의 물-동원성 (attracting property)을 의미한다. 다공성 물질 (예, 오픈-셀 폼) 또는 중공성 (through-hole) 물질이라는 맥락에서, 물질이 물을 빨아들인다면 이 물질은 '친수성'이다. 구멍 또는 어떠한 중공이 존재하지 않는 물질일 경우, 기본적으로 물이 물질내 또는 물질을 관통하여 흐르는 것에 저항하지 않는다면, 그 물질은 '친수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본원에서, 폴리우레탄 폼 물질 및 섬유 물질 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친수성'이다.
본원에서, 용어 '복합 재료'는, 일반적으로 한가지 타입 이상의 상 도메인 (phase domain)이 연속 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양쪽 상 도메인이 연속 상인, 복수의 서로 다른 (비-기체성) 상 도메인을 포함하는 다성분 물질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A. D. McNaught and A. Wilkins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97), ISBN 0-9678550-9-8에 의해 발표된,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복합 재료는 하나 이상의 폴리우레탄 폼 물질과 하나 이상의 섬유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섬유'는 실 (thread) 또는 실과 같은 구조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는, 공지의 적층 기법과 비교해, 2 이상의 별개의 물질들 (폼 및 섬유) 간에 우수한 결합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복합 재료가, 예를 들어, 복합 재료가 섬유 층에 공유 결합된 폼 층으로서 구현되는 경우, 심지어 젖은 상태에서도, 층들 간에 높은 박리 강도 (peel strength)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친수성 폼 층과 친수성 섬유 층 간에 공유 결합의 형성이 이들 하나 또는 양쪽 친수성 층의 팽윤을 수용하기데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우레탄 연결 (urethane linkage) 또는 우레아 연결에 의해 제2 폴리머에 공유 결합되며, 이때 우레탄 연결 또는 우레아 연결은 친수성 섬유 물질의 제2 폴리머의 각각의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기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민 기와, 친수성 폼 물질의 제1 폴리우레탄 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리폴리머의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공유 결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자 공유를 야기하며 인력과 특징적인 핵간 거리를 유발하는 핵 사이에 상대적으로 전자 밀도가 높은 영역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서, A. D. McNaught and A. Wilkins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97), ISBN 0-9678550-9-8에 의해 발표된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compiled 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이해된다.
본원에서 "층"은 하나의 평면에서 연속적으로 확장 (x 및 y 방향)되며, 상기 평면에 대해 직각 (z 방향)인 두께를 가진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폼 물질은 폼 층이거나 또는 폼 층 형태로 포함되며, 친수성 섬유 물질은 섬유 층이거나 또는 섬유 층으로 포함되며, 이때 제1 층 및/또는 제2 층의 두께는 독립적으로 적어도 25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mm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섬유 층 및/또는 폼 층은 제1 부층 (sublayer) 및 제2 부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은 전부 부직포 (non-woven material)로 구성되거나 또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인터로킹 (interlocking) 또는 본딩에 의해, 특히 화학 (용매) 또는 열 수단에 의해, 그러나 직조 또는 편물 제조에 의해서는 아닌 수단에 의해 함께 고정된, 임의의 섬유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복합 재료에서 섬유 층과 폼 층 간의 박리 강도는, 표준 방법 ASTM D6862-11 (제11 개정)에 의해 측정한 바에 따르면, 적어도 200 g/c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 g/c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0 g/cm 또는 적어도 500 g/cm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폼 층과 섬유 층 사이 계면에서, 제1 폴리우레판 폴리머가 제2 폴리머에 공유 결합된 계면에서, 물리적인 침투 깊이 (physical penetration depth)는 200 ㎛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 미만, 예를 들어, 50 ㎛ 미만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폼 층과 섬유 층 사이 계면에서, 제1 폴리우레판 폴리머가 제2 폴리머에 공유 결합된 계면에서, 물리적인 침투 깊이는 25 - 200 ㎛, 바람직하게는 25 - 100 ㎛ 범위이다.
제1 물질과 제2 물질 간의 공유 결합은, 기존의 적층 기법과 비교해, 제1 물질 및 제2 물질의 물리적 얽힘 (physical entanglement)을 최소화하면서 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호작용 체적 (interaction volume)내에서의 물리적 상호작용 (physical interaction)이 실제 본딩 기전이다. 물리적 상호작용 체적내에서 물질의 흡수 및/또는 보유 능력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물리적 침투 깊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본원에서, 용어 "물리적 상호작용 체적"은 폼 층과 섬유 층 사이의 계면 영역의 체적을 의미하며, 체적은 친수성 폼 물질과 친수성 섬유 물질을 모두 포함하며, 이들 물질은 하나 이상의 우레탄 연결 또는 우레아 연결에 의해 공유 결합된다. 용어 "물리적 침투 깊이"는 층의 두께 방향으로의 물리적 상호작용 체적의 깊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복합 재료는 EN 13726-1:2002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자체 중량에 대해 3배 이상의, 최대 흡수력에 해당되는, 자유 팽윤 흡수력 (free swell absorptive capacity)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의 제2 폴리머는 폴리비닐 알코올 (PVA), 바람직하게는 가교된 폴리비닐 알코올, 다당류, 예를 들어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이거나, 또는 이러한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용어 "가교된"은 화학 결합, 특히 공유 결합 또는 이온 결합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서 물리적 가교에 의해 상호연결된 복수의 폴리머 분자를 포함하는 물질을 설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의 제2 폴리머는 가교된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CMC)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의 제2 폴리머는 가교된 폴리비닐 알코올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의 제2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폴리비닐 알코올 (PVA)은 가교되며, 바람직하게는 열 처리에 의해 가교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은 적어도 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또는 적어도 5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또는 적어도 70%의 유체 보유력이 특징적이며, 이때 유체 보유력은, 2분간 40 mmHg 압력에 노출되었을 때, EN 13726-1:2002에 따라, 용액 A의 제1 최대 흡수량인, 용액 A를 보유하는 친수성 섬유 물질의 보유력으로서 정의된다. 퍼센트 (%)로서 표시되는 유체 보유력은 잔류 수분량을 EN 13726-1:2002에 따라 측정된 최대 흡수로 나눈 것이다.
EN 13726-1에 규정된 바와 같이, 용액 A는 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소듐 이온 142 mmol 및 칼슘 이온 2,5 mmol을 포함하는 소듐 클로라이드 및 칼슘 클로라이드 이온으로 구성된다. 이 용액은 인간 혈청 또는 상처 삼출액과 비슷한 이온 조성을 가진다. 이 용액은, 메스 플라스크 (volumetric flask)에서 소듐 클로라이드 8,298 g 및 칼슘 클로라이드 2수화물 0,368 g을 탈이온수 최대 "1 L"에 용해시켜, 제조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폴리우레탄 폼 물질의 제1 폴리우레탄 폴리머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isocyanate-capped polyol)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인 프리폴리머로부터 수득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특히 다이올 중축합체 (diol polycondensate), 또는 선택적으로 트리올 중축합체 및 테트라올 중축합체, 및 다이카르복시산 또는 선택적으로 트리카르복시산 및 테트라카르복시산 또는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또는 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다이올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또한 1,2-프로판다이올, 1,3-프로판다이올, 1,3-부탄다이올, 1,4-부탄다이올, 1,6-헥산다이올 및 이성질체, 네오펜틸 글리콜 또는 네오펜틸 글리콜 하이드록시피발레이트이다. 아울러, 폴리올,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벤젠 또는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폴리올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이다. 즉,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TDI),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이소시아네이트 (MDI),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또는 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지방족인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이거나 또는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헥사메틸렌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헥사메틸렌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헥사메틸렌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프리폴리머 반응 혼합물에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프리폴리머 반응 혼합물내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w/w 이상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프리폴리머 반응 혼합물에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15-60%, 바람직하게는 20-5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은 표준 방법 ISO 845:2006에 따라 측정시 60 - 180 kg/m3의 밀도를 가지는, 오픈-셀의 다공성 친수성 폼 (open-cell porous hydrophilic foam)이다.
본원에서, 용어 "오픈-셀"은, 오픈-셀 포어 구조내 포어가 서로 연결되어 상호연결된 네트워크를 형성한, 폼의 포어 구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서, 전술한 과제 및 기타 과제들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상처 드레싱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처 드레싱은 폼 층으로서 친수성 폼 물질을, 섬유 층으로서 친수성 섬유 물질을,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층 형태로 포함하며, 상처 드레싱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 바람직하게는 기재층 (backing layer) 및/또는 접착제 층 또는 코팅을 더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의 층을 2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처 드레싱은 폼 층으로서 친수성 폼 물질을, 섬유 층으로서 친수성 섬유 물질을 포함하며, 상처 드레싱은 섬유 층의 정상부 면 (top side)에 적층되어 있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며, 이 정상부 면은 폼 층과 공유 결합한 면의 반대쪽 면이다. 이로써, 폼 층은 상처와 접하는 면 (side facing the wound)을 구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상처 접촉 층으로서 작용하여, 상처 삼출물을 흡수 및/또는 보유하거나 및/또는 상처에서 섬유층으로 상처 삼출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처 드레싱은 폼 층으로서 친수성 폼 물질을, 섬유 층으로서 친수성 섬유 물질을 포함하며, 상처 드레싱은 폼 층의 정상부 면에 적층되어 있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며, 이 정상부 면은 섬유 층과 공유 결합한 면의 반대쪽 면이다. 이로써, 섬유 층은 상처와 접하는 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상처 접촉 층으로서 작용하여, 상처 삼출물을 흡수 및/또는 보유하거나 및/또는 상처에서 폼 층으로 상처 삼출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서, 전술한 과제 및 기타 과제들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i)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ii) 단계 (i)의 수성 혼합물을 담체 물질 (carrier material) 상에 캐스팅 (casting)하는 단계;
(iii) 상기 수성 혼합물이 기본적으로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담체 혼합물 상에 캐스팅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상부에 액체를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는 섬유 물질 층을 적용하는 단계;
(iv) 상기 수성 혼합물을 기본적으로 완전히 경화시켜, 상기 섬유 물질 층과 공유 결합된 폼 층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v) 선택적으로, 상기 복합 재료를 건조하는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은 다른 단계 또는 인자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수성 혼합물은 부가적인 프리폴리머 및/또는 프리폴리머가 아닌 또 다른 구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리폴리머'는, 일반적으로 반응성 기를 통해 추가의 중합에 도입되어, 최종 폴리머의 한가지 유형 이상의 체인에 2 이상의 구조 유닛 (structural unit)으로 작용할 수 있는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분자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A. D. McNaught and A. Wilkins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97), ISBN 0-9678550-9-8에 의해 발표된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담체 물질'은 수성 혼합물 상의 캐스트 (cast-on)를 수용 및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물질, 특히 기판 (substrate),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층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용어 "경화"는 수성 혼합물내에서 프리폴리머의 폴리머들 간에 가교 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가교 결합은 제1 폴리머의 하이드록시 기와 제2 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NCO) 기들 간의 반응을 통해 형성된 우레탄 결합, 또는 제1 폴리머의 아민 기와 제2 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NCO) 기들 간의 반응을 통해 형성된 우레아 결합이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의 제조 단계 (i)는 프리폴리머를 물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경화도는, 단계 (iii)에서 섬유 물질의 층을 적용하는 시점에,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이다.
본원에서, 용어 "경화도"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이소시아네이트 기의 반응 %를 의미하며, 즉, 경화도 100%는 모든 이소시아네이트 (NCO) 기들이 기본적으로 반응된 것을 의미하고, 반면 경화도 0%는 이소시아네이트 (NCO) 기가 기본적으로 전혀 반응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의 여러 시점에, NCO 기의 양, 즉 대응되는 경화도를 FTIR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경화도 0%에 해당되는 NCO 기의 수는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기 전, 즉 단계 (i) 전에 측정함). 용어 "완전히 경화된" 및 "전부 경화된다"는 본원에서 90-100%의 경화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수성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w/w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w/w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w/w 미만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5 내지 4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5 내지 3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5 내지 25%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5 내지 2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10 내지 4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10 내지 3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10 내지 25%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15 내지 20% w/w이다.
단계 (iii)에서 수성 혼합물에 적용시, 수분을 흡수하여, 예를 들어, 섬유 층내 섬유의 팽윤 및/또는 겔화가 발생하여, 섬유의 물리적 완전성 및/또는 강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 층에 의한 수분 흡수는 유익하게는 최소화되여야 한다. 또한, 섬유에 의한 수분 흡수는 물리적 침투 깊이를 더 깊게 만들어, 물리적 상호작용 체적을 증가시키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물리적 상호작용 체적에서는 물질의 흡수 및/또는 보유력이 손상될 수 있어, 이 체적은 바람직하게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성 혼합물내 수분 함량은, 폼 형성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분량을 사용하도록,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수성 혼합물내 수분 함량을 40% w/w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w/w 미만, 예를 들어 25% w/w 미만으로 조정함으로써, 수성 혼합물에 존재하는 수분의 상당량이 경화 단계 (iv) 시 팽윤 폼에 의해 흡수 및 보유될 수 있다. 이로써,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에서 섬유 층에 흡수될 수 있는 수분량은 줄어든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TDI),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이소시아네이트 (MDI),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 (IPDI) 또는 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올과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헥사메틸렌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헥사메틸렌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TDI)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톨루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톨루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톨루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이소시아네이트 (MDI)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메틸렌 다이페닐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메틸렌 다이페닐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메틸렌 다이페닐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들과 기타 측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낸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의 단면도이고; 및
도 2a-h는 본 발명에 따른 상처 드레싱에 대한 구현예들의 단면도이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들이,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 (1)의 구현예를 예시한 것이다. 복합 재료 (1)는 제1 폴리머를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 (7)의 친수성 폼 층 (2); 및 유체를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는 제2 폴리머를 포함하는 친수성 섬유 물질 (8)의 친수성 섬유 층 (3)을 포함하며, 제2 폴리머는 폴리우레탄 폴리머가 아니며, 제1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우레탄 연결 또는 우레아 연결에 의해 제2 폴리머에 공유 결합된다. 하나 이상의 우레탄 연결 또는 우레아 연결은 친수성 폼 층 (2)과 친수성 섬유 층 (3) 사이 계면에서 물리적 상호작용 체적 (4)내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물리적 상호작용 깊이 d는, 폼 층 (2) 및 섬유 층 (3) 사이 계면에서 물리적 상호작용 체적 (4)의 깊이에 해당되며, 이는 200 ㎛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0 ㎛ 미만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물리적 상호작용 깊이 d는 10 - 200 ㎛ 범위, 예로 50 - 200 ㎛ 또는 50 - 150 ㎛, 또는 50 - 100 ㎛ 범위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물리적 상호작용 깊이 d는 10 - 100 ㎛ 범위, 예를 들어 10 - 60 ㎛ 범위이다. 폼 층 (2)과 섬유 층 (3)의 공유 결합은 접착 및 기계적 본딩과 비교해, 최소한의 물리적 상호작용 깊이 d를 제공하는데, 물리적 상호작용 체적 (4)에서 물질의 흡수 및/또는 보유력이 손상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복합 재료 (1)에서 섬유 층 (3)과 폼 층 (2) 간의 박리 강도는 표준 방법 ASTM D6862-11에 따른 측정시, 적어도 200 g/c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 g/c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0 g/cm 또는 적어도 500 g/cm이다.
친수성 폼 층 (2)과 친수성 섬유 층 (3) 사이에, 하나 이상의 우레탄 연결 또는 우레아 연결에 의해 제공되는, 공유 결합은, 접착 및/또는 기계적 본딩에 의해 결합된 라미네이트와 비교해, 높은 박리 강도를 가진 복합 재료 (1)를 제공해준다. 젖었을 경우, 특히 복합 재료 (1)가 상처 드레싱으로 사용하면, 복합 재료 (1)에서 층들 (2,3)의 박리를 피하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높은 박리 강도를 가지는 것이 유익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복합 재료 (1)는 EN 13726-1:2002에 의해 측정시 자체 중량에 대해 3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EN 13726-1:2002에 의해 측정시 자체 중량에 대해 5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EN 13726-1:2002에 의해 측정시 자체 중량에 대해 8배 이상 또는 10배 이상의, 최대 흡수력에 해당되는, 자유 팽윤 흡수력 (free swell absorptive capacity)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층 (2)은 1 mm 내지 20 mm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폼 층 (2)은 1 mm 내지 15 mm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폼 층 (2)은 1 mm 내지 10 mm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폼 층 (2)은 1 mm 내지 8 mm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폼 층 (2)은 1 mm 내지 5 mm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폼 물질은 표준 방법 ISO 845:2006으로 측정하였을 때 60 - 180 kg/m3, 바람직하게는 100 - 150 kg/m3의 밀도를 가진 오픈-셀 다공성 친수성 폼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 (7)의 제1 폴리우레탄 폴리머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프리폴리머로부터 수득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특히 다이올 중축합체, 또는 선택적으로 트리올 중축합체 및 테트라올 중축합체, 및 다이카르복시산 또는 선택적으로 트리카르복시산 및 테트라카르복시산 또는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또는 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다이올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또한 1,2-프로판다이올, 1,3-프로판다이올, 1,3-부탄다이올, 1,4-부탄다이올, 1,6-헥산다이올 및 이성질체, 네오펜틸 글리콜 또는 네오펜틸 글리콜 하이드록시피발레이트이다. 아울러, 폴리올,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벤젠 또는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글리세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폴리올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TDI),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이소시아네이트 (MDI),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 (IPDI) 또는 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지방족인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이거나 또는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를 포함하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방향족인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TDI) 또는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이소시아네이트 (MDI)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올의 프리폴리머 반응 혼합물에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60% (w/w), 바람직하게는 20-5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 (7)의 제1 폴리우레탄 폴리머는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를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폴리올과 반응시켜 수득되는 프리폴리머로부터 수득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헥사메틸렌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 (7)은 EN 13726-1:2002에 의해 측정시 자체 중량에 대해 3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EN 13726-1:2002에 의해 측정시 자체 중량에 대해 5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EN 13726-1:2002에 의해 측정시 자체 중량에 대해 8배 이상 또는 10배 이상의, 최대 흡수력에 해당되는, 자유 팽윤 흡수력 (free swell absorptive capacity)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층 (3)은 10 - 600 g/m2의 근량 (basis weight)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층 (3)은 50 - 400 g/m2의 근량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 (8)의 제2 폴리머는 하이드로겔을 형성함으로써 액체를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는 겔 섬유 (gelling fib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하이드로겔"은 비-유체성 폴리머 네트워크, 특히 폴리머 가교에 의해 또는 비-선형 중합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네트워크는 전체 체적으로 유체가 퍼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 (8)의 제2 폴리머는 폴리비닐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가교된 폴리비닐 알코올 (PVA), 다당류, 예를 들어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이거나, 또는 이러한 폴리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셀룰로스 폴리머; 키토산 또는 탈아세틸화 키틴 및 조류 다당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 (8)의 제2 폴리머는 가교된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 (8)의 제2 폴리머는 가교된 폴리비닐 알코올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 (8)의 제2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 (8)은 적어도 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또는 적어도 5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또는 적어도 70%의 유체 보유력이 특징적이며, 이때 유체 보유력은, 2분간 40 mmHg 압력에 노출되었을 때, EN 13726-1:2002에 따라, 용액 A의 제1 최대 흡수량인, 용액 A를 보유하는 친수성 섬유 물질의 보유력으로서 정의된다. 퍼센트 (%)로서 표시되는 유체 보유력은 잔류 수분량을 EN 13726-1:2002에 따라 측정한 최대 흡수로 나눈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 (8)은 적어도 80% 또는 적어도 90%의 유체 보유력이 특징적이다. 높은 보유력은, 복합 재료가 상처 드레싱으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처 드레싱에 존재하는 경우, 특히 복합 재료가 상처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며, 많은 액체가 심지어 가압되었을 때에도 복합 재료에 수용되어 있어, 친수성 섬유 물질의 높은 보유력은 누출 위험성, 예를 들어, 피부 연화 (skin maceration) 위험성을 낮춘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섬유 물질 (8)은 EN 13726-1:2002에 의해 측정시 자체 중량에 대해 3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EN 13726-1:2002에 의해 측정시 자체 중량에 대해 5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EN 13726-1:2002에 의해 측정시 자체 중량에 대해 8배 이상 또는 10배 이상의, 최대 흡수력에 해당되는, 자유 팽윤 흡수력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h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인 층 형태로 구현된 복합 재료 (1)를 포함하는 상처 드레싱 (20, 30, 40, 50, 60, 70, 80, 90)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예시한 것이다. 도 2a-h에 도시된 상처 드레싱 (20, 30, 40, 50, 60, 70, 80, 90)은 따라서 폼 층 (2)로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 (7)과 섬유 층 (3)으로서 친수성 섬유 물질 (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a-b 및 도 2e-f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처 드레싱 (20, 30, 60, 70)은 폼 층 (2)의 정상부 면 (22)을 덮고 있는 기재층 (21, 23)을 포함하며, 정상부 면 (22)은 섬유 층 (3)과 공유 결합하는 면의 반대쪽 면이다. 따라서, 섬유 층 (3)은, 직접 또는 간접적인 상처 접촉 층으로서 작용하여, 상처 삼출물을 흡수 및/또는 보유하거나 및/또는 상처에서 섬유 층 (2)으로 상처 삼출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상처와 접하는 면 (25)을 구비할 수 있다. 폼 층 (2)이 상처와 마주보는 이러한 구조에서, 폼 층 (2)은 상처 드레싱에 대한 외부 물리적 압력을 완충하여, 상처를 이로부터 보호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c-d 및 도 2g-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처 드레싱 (40, 50, 80, 90)은 섬유 층 (3)의 정상부 면 (31)을 덮고 있는 기재층 (21, 32)을 더 포함하며, 정상부 면 (31)은 폼 층 (2)과 공유 결합하는 면의 반대쪽 면이다. 따라서, 폼 층 (2)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처 접촉 층으로서 기능하여, 상처 삼출물을 흡수 및 보유하거나 및/또는 상처에서 섬유 층 (3)으로의 상처 삼출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상처와 접하는 면 (35)을 가진다. 폼 층 (2)이 상처와 마주보는 이러한 구조에서, 폼 층은 상처 삼출물을 빨리 흡수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 (21)은 기재층의 보더 영역 (border portion, 10)을 규정하기 위해, 복합 재료의 층들의 가장자리 영역 (peripheral portion) 밖으로 연장되어 복합 재료의 층들의 가장자리 부분을 둘러싸게 되며, 따라서, 소위 아일랜드 드레싱 (island dressing)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기재층 (21, 23)은 바람직하게는 투습성 (vapor permeable)이다. 기재층 (21, 32)은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기재층 (21, 23)은 10-100 ㎛, 예를 들어, 10-80 ㎛, 예로 10-50 ㎛ 범위의 두께를 가진 폴리우레탄 필름이다.
도 2a-d, 도 2f-h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 드레싱 (20, 30, 40, 50, 70, 80, 90)은 상처 및/또는 주변 피부 표면에 상처 드레싱을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층 또는 코팅 (41, 42, 4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접착제 층 또는 코팅은 실리콘 기재의 접착제 또는 아크릴 기재의 접착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층 또는 코팅은 실리콘 기재의 접착제일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코팅"은 표면 상의 하나 이상의 연속 층으로서 또는 표면 상의 불연속 커버로서, 예를 들어, 표면 영역 상에 분포된 복수의 입자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b, 도 2d, 도 2f 및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 드레싱 (30, 50, 70, 90)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제조된 천공된 층 (perforated layer, 44)을 포함하며, 이때 접착제 코팅 (42)은 천공된 층 (44)의 비-천공 영역 (non-perforated portion) 상에 제공된다. 천공된 층 (44)은 임의의 바람직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진 복수의 개구부 (45) (또는 중공)를 포함한다. 개구부 (45)의 형태 및 크기는 상처에서 복합 재료 (1)의 상부 층으로 바람직한 액체 삼출물의 이동을 달성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b 및 도 2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코팅 (42)이 구비된 천공된 층 (44)이 폼 층 (2) 또는 섬유 층 (3)의 상처와 접하는 표면 (25, 35) 상에 각각 제공될 수 있으며, 천공된 층 (44)은 복합 재료 (1)의 층의 가장자리 영역 밖으로 연장되어, 기재층 (21)의 보더 영역 (10)에 부착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도 2f 및 도 2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공된 층 (44)의 풋프린트는 복합 재료 (1)의 풋프린트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코팅 (43)은 폼 층 (2)의 상처와 접하는 표면 (35) 위에 직접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a 및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코팅 (41)은 연속적인 플라스틱 필름 (46) 상에, 예를 들어, 전술한 폴리우레탄 필름 상에 제공되며, 연속적인 플라스틱 필름 (46)은 복합 재료 (1)의 층들의 가장자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때 연속적인 필름 (46)은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멀리 연장되어, 기재층 (21)의 보더 영역 (10)에 부착된다. 추가적인 구현예들에서 (도시 안됨), 접착제 코팅은 기재층 (21)의 보더 영역 (10)의 피부 대면 표면 위에 바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섬유 층 (3) 및/또는 폼 층 (2)은 제1 부층과 제2 부층을 포함한다 (도시 안함). 예를 들어, 섬유 층 (3)은 부직포 흡수 층으로 된 제1 부층과 흡수성 섬유 또는 입자를 포함하는 제2 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층은 폼 층 (2)과 공유 결합된 부직포 층일 수 있으며, 제2 부층은 고흡수성 섬유 및/또는 고흡수성 입자 및/또는 비-흡수성 섬유로 된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혼합물은, 예를 들어 분사, 니들링 (needling) 또는 카딩 (carding)에 의해 폼 층에 결합된 면과 마주보는 제1 부층의 면 상에 에어레이어드 (airlaid)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고흡수성 섬유" 또는 "고흡수성 입자"는, EN 13726-1:2002에 의해 측정시, 자체 중량에 대해 약 20배 이상 흡수할 수 있는, 수-팽윤성, 수-불용성 유기 또는 무기 물질로 일반적으로 이해된다. 고흡수성 물질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유기 물질로는, 바람직하게는, 다당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CMC)와 같은 변형된 다당류), 폴리펩타이드 등의 천연 물질 뿐만 아니라 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와 같은 합성 물질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이드로겔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피리딘의 알칼리 금속 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 (7) 및/또는 친수성 섬유 물질 (8)은 항미생물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항미생물제는 실버 (silv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실버는 금속 실버 (metallic silver)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실버는 실버 염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실버 염은 실버 설페이트, 실버 클로라이드, 실버 나이트레이트, 실버 설파디아진, 실버 카보네이트, 실버 포스페이트, 실버 락테이트, 실버 브로마이드, 실버 아세테이트, 실버 사이트레이트, 실버 CMC, 실버 산화물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실버 염은 실버 설페이트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항미생물제는 모노구아니드 (monoguanide) 또는 비구아니드 (biguanid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모노구아니드 또는 비구아니드는 클로르헥시딘 다이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다이아세테이트, 클로르헥시딘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 (PHMB) 또는 이들의 염, 또는 폴리헥사메틸렌모노구아니드 (PHMG) 또는 이의 염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비구아니드는 PHMB 또는 이의 염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항미생물제는 4급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4급 암모늄 화합물은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DADMAC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항미생물제로는 트리클로산, 소듐 하이포클로라이트, 구리, 과산화수소, 자일리톨 또는 꿀 (honey)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는, (i)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ii) 단계 (i)의 수성 혼합물을 담체 물질 상에 캐스팅 (casting)하는 단계; (iii) 상기 수성 혼합물이 기본적으로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담체 혼합물 상에 캐스팅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상부에 액체를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는 섬유 물질 층을 적용하는 단계; (iv) 상기 수성 혼합물을 기본적으로 완전히 경화시켜, 상기 섬유 물질 층과 공유 결합된 폼 층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v) 선택적으로, 상기 복합 재료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경화도는, 단계 (iii)에서 섬유 물질 층을 적용하는 시점에,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이다. 단계 (i) - (iii)는, 섬유 층이 적용될 때, 수성 혼합물의 낮은 경화도를 보장하기 위해 즉각적인 연속 단계들로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이로써 폼 물질과 섬유 물질 사이에 충분한 수준의 공유 결합 (우레탄 또는 우레아 연결)을 달성하기 위한 충분한 반응성이 수성 혼합물에서 확보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수성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0% w/w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w/w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w/w 미만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10 - 4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10 - 3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10 - 25%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15 - 2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5 - 3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5 - 25%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5 - 20% w/w이다.
수성 혼합물의 수분량은, 폼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물이 사용되도록, 유리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복합 재료의 낮은 수분량은 건조 단계시 복합 재료의 층들의 낮은 수축성을 의미하며, 즉 층들 간의 공유 결합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낮추어 주므로, 수성 혼합물내 물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특히, 본 제조 방법의 건조 단계 (v)에 유리하다. 수성 혼합물내 수분량 최소화는 수성 혼합물의 폼 층으로의 침투성을 최소화하기에 유익한 고 점성을 가진 수성 혼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의 제조 단계 (i)는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TDI),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이소시아네이트 (MDI),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 (IPDI) 또는 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TDI)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이소시아네이트 (MDI)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폴리올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은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들이 하기 실시예들에서 입증된다.
실시예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복합 재료를, 표준적인 실험 조건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실온에서)에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1 복합 재료를 하기 단계 (1-6)로 제조하였다: (1)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 (BASF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로 구성된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1.5% w/w, Pluronic® L62 0.01% w/w 및 시트르산 0.002% w/w; (2) 수성 혼합물을 Baymedix FP-505 (Covestro에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HDI 기재의 프리폴리머 조성물)와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즉, 수성 혼합물 1 중량부 : HDI 기재의 프리폴리머 5 중량부), 에멀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3) 에멀젼 혼합물을 캐스팅 페이퍼 (20 x 30 cm) 상에 부어, 도포하였다; (4) Exufiber® 드레싱 (20 x 30 cm; 260 gsm, 가교된 PVA 섬유 함유, Molnycke Health Care에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을 상기 에멀젼의 상부에 적용하였다; (5) 제품을 표준 조건 (실온)에서 경화시켜, 약 3 mm 두께의 폼 (폼 두께는 단계 (3)에서 에멀젼 혼합물의 도포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됨)을 수득하였다; (6) 제조된 복합 재료 제품을 면 (side) 당 10분씩 40℃에서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단계 1-4를 즉각적인 연속 단계로 수행하였으며, 단계 2-4는 바람직하게는 단계 4의 개시시 에멀젼 혼합물의 낮은 경화도 (충분한 반응성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 4분 안에 완료하여야 한다. 건조시킨 복합 재료 제품을 대략 10 x 10 cm 크기로 다이-컷팅하여 시편 (프로토타입 A)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2 복합 재료를 하기 단계 (1-6)에 의해 자동화된 파일롯 생산 라인에서 제조하였다: (1) Pluronic® L-62 (BASF에서 상업적으로 구입)를 0.14 wt% 농도로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 수성 혼합물을 정량하고, Trepol® B-1 (TDI 기재의 프리폴리머, Rynel Inc.에서 상업적으로 구입)과 1:3.2의 중량비 (즉, 수성 혼합물 1 중량부 : TDI 기재의 프리폴리머 3.2 중량부)로, 표준적인 핀-타입의 믹서를 사용해 혼합하여, 에멀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3) 잘 혼합한 (단계 2에서 제조된) 에멀젼을 코트-행거 다이 (coat-hanger die)를 통해 공급하고, 실리콘 처리된 캐스팅 페이퍼 상에 캐스팅한다; (4) Exufiber® 드레싱 물질을 롤로부터 공급하여, 경화 에멀젼의 상부에 적용한다; (5) 표준 조건 (실온)에서 산물을 경화시켜, 약 2.5 mm의 폼 두께를 수득한다 (폼 두께는 단계 3에서 에멀젼 혼합물의 도포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조절); (6) 제조된 복합 재료 제품을 건조하면서 (20분간 40℃에서) 와인드업 롤러로 이동시켰다. 단계 1-4는 즉각적인 연속 단계로 수행하였으며, 단계 2-4는 바람직하게는 단계 4의 개시시 에멀젼 혼합물에서 낮은 경화도 (충분한 반응성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 2분 이내에 완료하여야 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해, 단계 4에서 (Exufiber® 대신) Aquacel® 드레싱 (CMC 섬유 함유; ConvaTec에서 상업적으로 구입)이 적용된, 제3의 복합 재료를 제조하였다.
침투 깊이 측정 방법 및 결과
침투 깊이를 입체 현미경을 사용해 마이크로미터 스케일로 측정하였으며, 즉, 폼 층과 섬유 층 사이의 물리적인 상호작용 체적을 현미경을 사용해 식별하였으며, 층/복합 재료의 두께 방향으로 물리적인 상호작용 체적의 깊이에 해당되는 침투 깊이를 마이크로미터 스케일로 측정하였다. 그에 따라 측정된 프로토타입 A의 침투 깊이는 약 50 ㎛로 추정되었다.
박리 강도 측정 방법 및 결과
표준 방법 ASTM D6862-11 (제11차 개정, 90°박리 강도 검사)으로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폼 층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부직포 흡수 섬유의 상처 접촉 층을 포함하는 Aquacel® Foam의 상처 패드에 대한 박리 강도 검사 결과, 2개의 층은 약 60-100 g/cm의 힘으로 박리되었다 (범위는 층들의 적층된 표면 전역에서 결합 강도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함). 이와는 대조적으로, 프로토타입 A에 대한 박리 강도 검사 결과, 힘 약 500 g/cm을 가했을 때, (즉, 폼 층과 섬유 층 사이의 계면이 아닌) 폼 층에서 물질 손상 (물질 파단 (material break))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프로토타입 A의 복합 재료에서 섬유 층과 폼 층 간의 박리 강도가 500 g/cm 보다 높은 것으로 결론내릴 수 있다. 따라서, Aquacel® Foam의 상처 패드의 기계적으로 결합된 층들 간의 결합 강도와 비교해, 공유 결합에 의해 제공된 복합 재료의 층들 사이에 우수한 결합 강도가 입증되었다.
흡수시 물질 안정성 비교 실험
상기에서 제조한 프로토타입 A와, 부직포 흡착 섬유로 된 상처 접촉 층이 폼 층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Aquacel® Foam 상처 패드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수정을 가하여, EN 13726-1:2002 측정으로, 최대 흡수력에 해당되는 자유 팽윤 흡수력을 검사하였다: EN 13726-1:2002의 용액 A 대신 물을 사용하고, EN 13726-1:2002에 명시된 30초 대신 5분간 샘플을 배액하였다. 그에 따라 측정된 흡수성은, 프로토타입 A의 경우 11.6 g/g, Aquacel® Foam 상처 패드의 경우 15.8 g/g이었다. 흡수성 검사의 일환으로서 물에 Aquacel® Foam 상처 패드를 넣었을 때, 상처 패드는 1분 이내에 박리되었다. 또한, 상처 패드는, 드레싱의 폼 성분이 한도까지 팽윤되지 않아, 2가지 구성 성분들의 분리가 추가로 촉진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Aquacel® Foam 상처 패드의 흡수치는, 배액 후 박리된 2개의 구성 성분들의 합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프로토타입 A는 흡수 검사시 우수한 물질 안정성을 나타내고, 온전한 구조를 유지하였으며, 따라서 공유 결합을 통해 강력한 결합이 달성되었음이 명확하게 입증되었다.
이에 따라, 프로토타입 A의 박리 강도는 매우 높아, 공지된 다층 구조 형태의 적층된 층들 간의 계면에서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물질 손상은, 특히 전체 다층 구조가 젖었을 때, 특히 액체가 다층 구조내에 흡수되었을 때, 프로토타입 A에서 관찰되지 않는다.
유체 보유력 측정
본 발명에서 "유체 보유력"은 EN 13726-1:2002에 따라 최대 흡수성을 일차로 측정함으로써 결정한다. 그런 후, 40 mmHg (543.6 g/ 100cm2)에 해당되는 중량을 가진 샘플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 단단한 주형에 샘플을 적용한다 (이하 EN 13726-1:2002에 따라 용액 A에 침지함). 2분 후, 단단한 주형을 취하여, 샘플의 무게를 다시 측정하고, 잔류 수분량을 계산한다. 유체 보유력 (%로 제시됨)은 잔류 수분량을 EN 13726-1:2002에 따라 측정한 최대 흡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Exufiber® 드레싱 (260 gsm, 가교된 PVA 섬유 함유, Molnlycke Health Care에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의 보유율은 약 95%로 결정되었다.
EN 13726-1에 정의된, 용액 A는 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소듐 이온 142 mmol 및 칼슘 이온 2,5 mmol을 포함하는 소듐 클로라이드 및 칼슘 클로라이드 이온으로 구성된다. 이 용액은 인간 혈청 또는 상처 삼출액과 비슷한 이온 조성을 가진다. 이 용액은, 메스 플라스크 (volumetric flask)에서 소듐 클로라이드 8,298 g 및 칼슘 클로라이드 2수화물 0,368 g을 탈이온수 최대 "1 L"에 용해시켜, 제조한다.

Claims (17)

  1. 제1 폴리우레탄 폴리머를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 및
    폴리우레탄 폴리머가 아닌 제2 폴리머를 포함하는, 친수성 섬유 물질
    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composite material)로서,
    상기 섬유 물질은 유체를 흡수 및 보유할 수 있고,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은 폼 층이거나 또는 폼 층으로 포함되며,
    상기 친수성 섬유 물질은 섬유 층이거나 또는 섬유 층으로 포함되고,
    상기 폼 층 및 상기 섬유 층의 두께는 독립적으로 100 ㎛ 이상이며,
    상기 제1 폴리우레탄 폴리머가 상기 제2 폴리머에 공유 결합된,
    복합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가 상기 제2 폴리머에 하나 이상의 우레탄 연결 또는 하나 이상의 우레아 연결에 의해 공유 결합되고,
    상기 우레탄 연결 또는 상기 우레아 연결이 각각, 상기 친수성 섬유 물질의 제2 폴리머의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기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민 기와, 상기 친수성의 폴리우레탄 폼 물질의 제1 폴리우레탄 폴리머를 수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리폴리머의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되는, 복합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물질이 부직포 (non-woven material)이거나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4. 제1항에 잇어서,
    상기 폼 층 및 상기 섬유 층의 두께가 독립적으로 각각 250㎛ 이상인, 복합 재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층, 또는 상기 폼 층, 또는 상기 섬유 층 및 폼 층이 제1 부층(sublayer) 및 제2 부층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물질의 제2 폴리머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와 같은 다당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이거나 또는 상기 폴리머를 포함하거나,
    상기 친수성 섬유 물질의 제2 폴리머가 가교된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이거나 또는 가교된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의 제1 폴리우레탄 폴리머가,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isocyanate-capped polyol)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 (isocyanate-capped polyurethane)인 프리폴리머로부터 수득되거나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프리폴리머로부터 수득되는, 복합 재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다이올 중축합체 또는 선택적으로 트리올 중축합체 및 테트라올 중축합체, 및 다이카르복시산 또는 선택적으로 트리카르복시산 및 테트라카르복시산 또는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또는 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 재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폴리머가, 폴리올과,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HDI),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TDI),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이소시아네이트 (MDI),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 (IPDI) 또는 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 것인, 복합 재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폴리머가, 폴리올과 지방족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폴리올과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HDI)이거나 또는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HDI)를 포함하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 것인, 복합 재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폴리올의 프리폴리머 반응 혼합물 중,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프리폴리머 반응 혼합물내 상기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폴리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w/w 이상이거나 15 내지 60% w/w인, 복합 재료.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상처 드레싱.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 드레싱이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물질을 폼 층으로서, 상기 친수성 섬유 물질을 섬유 층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상처 드레싱이 추가의 기재층(backing layer), 접착제 층, 및 코팅 중 하나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는, 상처 드레싱.
  14. (i)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ii) 단계 (i)의 수성 혼합물을 담체 (carrier) 물질 상에 캐스팅 (casting)하는 단계;
    (iii) 상기 수성 혼합물이 기본적으로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담체 물질 상에 캐스팅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상부에 액체를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는 섬유 물질 층을 적용하는 단계;
    (iv) 상기 수성 혼합물을 기본적으로 완전히 경화시켜, 상기 섬유 물질 층과 공유 결합된 폼 층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v) 선택적으로, 상기 복합 재료를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이 상기 수성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w/w 미만인, 제조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폴리머가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섬유 물질 층을 적용하는 시점에, 상기 수성 혼합물의 경화도가 80% 미만인, 제조 방법.
KR1020187030924A 2016-04-08 2017-03-20 상처 치료용 복합 재료 KR102292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4518.9A EP3228330A1 (en) 2016-04-08 2016-04-08 Composite materials in wound treatment
EP16164518.9 2016-04-08
PCT/EP2017/056475 WO2017174332A1 (en) 2016-04-08 2017-03-20 Composite materials in wound trea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455A KR20180135455A (ko) 2018-12-20
KR102292492B1 true KR102292492B1 (ko) 2021-08-23

Family

ID=5574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924A KR102292492B1 (ko) 2016-04-08 2017-03-20 상처 치료용 복합 재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894109B2 (ko)
EP (2) EP3228330A1 (ko)
JP (2) JP2019519391A (ko)
KR (1) KR102292492B1 (ko)
CN (1) CN109069688B (ko)
AU (1) AU2017247881B2 (ko)
BR (1) BR112018070753B1 (ko)
CA (1) CA3019418A1 (ko)
DK (1) DK3439705T3 (ko)
WO (1) WO2017174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8330A1 (en) * 2016-04-08 2017-10-11 Mölnlycke Health Care AB Composite materials in wound treatment
GB2555584B (en) 2016-10-28 2020-05-27 Smith & Nephew Multi-layered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224033B1 (ko) * 2017-12-21 2021-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 드레싱 필름용 조성물 및 항균 드레싱 필름
CN108165072A (zh) * 2018-02-06 2018-06-15 合肥广民建材有限公司 一种抗菌环保内墙涂料及其制备方法
JP7425877B2 (ja) * 2019-12-27 2024-01-31 チュンイェン ヂョン バクテリアセルロース/ポリウレタン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359007B (zh) * 2020-03-23 2022-01-11 瑞希(重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性细菌纤维素水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CN113603860B (zh) * 2020-04-17 2022-10-04 钟春燕 一种细菌纤维素-聚氨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194817B (zh) * 2020-09-30 2022-12-09 振德医疗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医用聚氨酯泡沫的生产方法
CN112812729A (zh) * 2021-02-26 2021-05-18 昆山优瑞森医疗科技有限公司 疤痕胶片用水胶的制备方法
CN113413267A (zh) * 2021-06-22 2021-09-21 元睦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高吸收性伤口敷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8532A1 (en) 2000-03-03 2003-04-24 Zbigniew Ruszczak Composite dressings for the treatment of wounds
JP2013509978A (ja) 2009-11-10 2013-03-21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創傷包帯の部材
JP2015521079A (ja) * 2012-05-29 2015-07-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ポリマー発泡体及び中間体を含む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1846A (en) * 1977-11-25 1980-05-06 W. R. Grace & Co. Dimensionally stable polyurethane foam
DD273554A3 (de) * 1987-06-17 1989-11-22 Vogtlaendische Kunstlederfabri Verfahren zur loesungsmittelfreien herstellung poroeser polyurethanstrukturen und verbunden mit fasern, fasergebilden und anderen substraten
US5110843A (en) * 1991-05-01 1992-05-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bsorbent, non-skinned foam and the method of preparation
CA2146083A1 (en) * 1994-04-28 1995-10-29 Hans J. Koller Polyurethane adhesive containing a siloxane internal mold release and its use in thermoformable laminates
CN1065440C (zh) * 1996-01-22 2001-05-09 益多实业股份有限公司 水固化聚氨酯矫形绷带
CN1082062C (zh) * 1998-12-28 2002-04-03 江苏省化工研究所 热塑性硬质聚氨酯泡沫塑料的合成
GB2369799B (en) * 2000-12-07 2004-07-07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Layered polyurethane materials
AU2002350462A1 (en) * 2001-10-01 2003-04-14 Basf Aktiengesellschaft Polymer mixture of hydrogels with different ph value
US20040153040A1 (en) * 2003-02-05 2004-08-05 Lucie Martineau Multi-layer synthetic dressing with cooling characteristics
DE602005022831D1 (de) 2004-02-13 2010-09-23 Convatec Technologies Inc Mehrschichtiger wundverband
US20110112492A1 (en) 2008-04-04 2011-05-12 Vivek Bharti Wound dressing with micropump
JP5107828B2 (ja) * 2008-08-20 2012-12-26 桜宮化学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ポリウレタン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ウレタンを用いた製品
CN102223858B (zh) * 2008-10-02 2015-04-01 L.R.R.&D.有限公司 界面层伤口敷料
KR20170039776A (ko) * 2009-02-10 2017-04-11 프로프라이어텍 엘. 피. 폼 라미네이트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3056401A1 (en) 2011-10-21 2013-04-25 Bayer Materialscience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ated textiles
GB201207852D0 (en) 2012-05-04 2012-06-20 Adv Med Solutions Ltd Wound dressing
JP2014000718A (ja) 2012-06-19 2014-01-09 Mitsubishi Paper Mills Ltd 建築部材用複合シートおよび建築部材
DE102014106518A1 (de) * 2014-05-09 2015-11-12 Paul Hartmann Ag Schaumwundauflage für die Unterdrucktherapie
JP2016001666A (ja) 2014-06-11 2016-01-07 住友電工プリントサーキット株式会社 デスミア処理用治具、プリント配線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6425439B2 (ja) * 2014-07-11 2018-11-21 株式会社イノアック技術研究所 吸水シート
CN105233327A (zh) * 2015-11-09 2016-01-13 佛山市优特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季铵化壳聚糖纤维及吸湿抗菌伤口敷料
EP3228330A1 (en) * 2016-04-08 2017-10-11 Mölnlycke Health Care AB Composite materials in wound treat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8532A1 (en) 2000-03-03 2003-04-24 Zbigniew Ruszczak Composite dressings for the treatment of wounds
JP2003525083A (ja) * 2000-03-03 2003-08-26 シンタコール アーゲー 創傷治療用作用体
JP2013509978A (ja) 2009-11-10 2013-03-21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創傷包帯の部材
JP2015521079A (ja) * 2012-05-29 2015-07-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ポリマー発泡体及び中間体を含む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69688B (zh) 2021-11-23
EP3439705A1 (en) 2019-02-13
EP3228330A1 (en) 2017-10-11
AU2017247881B2 (en) 2020-12-10
WO2017174332A1 (en) 2017-10-12
US11980693B2 (en) 2024-05-14
US10894109B2 (en) 2021-01-19
US20210138103A1 (en) 2021-05-13
KR20180135455A (ko) 2018-12-20
EP3439705B1 (en) 2022-11-09
JP2019519391A (ja) 2019-07-11
AU2017247881A1 (en) 2018-10-11
CN109069688A (zh) 2018-12-21
US20190160197A1 (en) 2019-05-30
BR112018070753A2 (pt) 2019-02-12
JP7264336B2 (ja) 2023-04-25
BR112018070753B1 (pt) 2022-08-09
JP2022017379A (ja) 2022-01-25
DK3439705T3 (da) 2023-02-13
CA3019418A1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492B1 (ko) 상처 치료용 복합 재료
AU2018266750B2 (en) Composite foam in wound treatment
JP7218986B2 (ja) 創傷治療におけるフォーム
JP7264333B2 (ja) 流体流動管理用の複合材料
US20230009183A1 (en) Double coating for wound dress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