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171B1 -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 Google Patents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171B1
KR102292171B1 KR1020210015919A KR20210015919A KR102292171B1 KR 102292171 B1 KR102292171 B1 KR 102292171B1 KR 1020210015919 A KR1020210015919 A KR 1020210015919A KR 20210015919 A KR20210015919 A KR 20210015919A KR 102292171 B1 KR102292171 B1 KR 10229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ide support
loading box
support c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21001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07Connections of movable or detachable racks or stanchions to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swing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화물차량의 적재함(100) 측면에 용접이나 볼트넛 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며 내측으로 수용공간부(14)가 마련되고 좌우벽체(12)에는 체결공(12a)을 형성되는 지지커버(1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는 적재함(100)의 옆문짝(110)에 가해지는 힘을 보강하기 위한 측면지지대(20)를 끼움결합 및 제거가 가능토록 하며, 측면지지대(20)가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측면지지대(20)의 측벽에는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 형성된 체결공(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홀(22)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 형성된 체결공(12a)에는 잠금수단(30)이 결합을 결합하되, 잠금수단(30)은 내부 스프링의 힘을 받아 항시 내측방향 즉, 수용공간부(14) 방향으로 힘을 받아 출몰핀(32)의 내측 단부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을 지나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출몰핀(32)의 외측부분은 파지부(34)와 결합되게 구성하여 파지부(34)를 외측방향으로 당기는 작용으로 스프링의 힘을 거슬러 출몰핀(32)의 단부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여,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 측면지지대(20)가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잠금수단(30)의 출몰핀(32)이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에 출몰되게 함으로써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과 잠금해제가 이루어도록 하여 적재함에 화물의 상·하차를 비롯하여 필요시 측면지지대(20)의 결합과 제거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운행 중 요동에 의한 측면지지대(20)의 이탈이 방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SIDE SUPPORT COUPLING UNIT OF CARGO VEHICLE LOADING BOX}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차량의 적재함 측면에 지지대를 결합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며 요동에 의해서도 이탈이 방지되게 하는 측면지지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형 화물자동차는 적재함에 다양한 적재물을 싣고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는데 되도록 많은 이윤을 남기기 위해 한 번의 운행시 많은 양의 적재물을 싣고 운반하게 된다.
적재함에 많은 양의 적재물이 실릴 경우 적재함의 측면 즉, 옆문짝(하대)에는 큰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적재물이 강관이나 콘크리트 흄관 등 원기둥 형태의 장척물이 상부로 겹겹이 실릴 경우 더욱 그러하다.
만약 가득 쌓인 적재물에 의해 측면으로 작용하는 무게를 못 버틸 경우 옆문짝이 옆으로 벌어지거나 자칫 화물이 좌우로 쏟아질 수 있는데 이는 사람의 생명까지도 위협을 가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이 적재함(100)의 옆문짝(110, ‘하대’라고도 함)에 가해지는 힘을 보강하기 위해 측면지지대(200)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측면지지대(200)는 운행 중 상하 요동에 의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 고리가 달린 로프를 이용하여 측면지지대(200) 상부에 고리를 걸고 로프를 자체에 묶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탈방지 방법은 체결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체결을 하지 않고 운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체결하더라도 측면지지대에 걸린 고리가 충격에 의해 측면지지대(200)가 이탈될 수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최근에는 측면지지대를 설치함에 있어서 자동차 완충장치(판스프링)를 지지대로 불법 설치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데, 운행 중 요동에 의해 이탈되어 도로에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는 후속적으로 뒷 차량에 대한 교통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크며 실제로 사망사고가 발생된 사례가 있다.
이와 같이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측면지지대를 적법하게 고정하기 위한 쉽고도 안전한 방안이 마련이 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528521호“화물차량용 측면보호대”
따라서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측면에 측면지지대를 결합 및 제거가 용이하며 운행 중 요동에 의해서도 이탈이 방지되게 하는 측면지지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화물차량의 적재함(100) 측면에 용접이나 볼트넛 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며 내측으로 수용공간부(14)가 마련되고 좌우벽체(12)에는 체결공(12a)을 형성되는 지지커버(1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는 적재함(100)의 옆문짝(110)에 가해지는 힘을 보강하기 위한 측면지지대(20)를 끼움결합 및 제거가 가능토록 하며, 측면지지대(20)가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측면지지대(20)의 측벽에는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 형성된 체결공(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홀(22)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 형성된 체결공(12a)에는 잠금수단(30)이 결합을 결합하되, 잠금수단(30)은 내부 스프링의 힘을 받아 항시 내측방향 즉, 수용공간부(14) 방향으로 힘을 받아 출몰핀(32)의 내측 단부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을 지나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출몰핀(32)의 외측부분은 파지부(34)와 결합되게 구성하여 파지부(34)를 외측방향으로 당기는 작용으로 스프링의 힘을 거슬러 출몰핀(32)의 단부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여,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 측면지지대(20)가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잠금수단(30)의 출몰핀(32)이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에 출몰되게 함으로써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과 잠금해제가 이루어도록 하여 적재함에 화물의 상·하차를 비롯하여 필요시 측면지지대(20)의 결합과 제거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운행 중 요동에 의한 측면지지대(20)의 이탈이 방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을 제공함에 따라 적재함에 화물의 상·하차를 비롯하여 필요시 측면지지대의 결합과 제거작업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운행 중 요동에 의한 측면지지대의 이탈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측면 옆문짝에 가해지는 힘을 보강하기 위해 측면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면,
도 2(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도 3a 내지 도 3c)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4(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결합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5(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적재함(100)은 차량의 측면에서 볼 때 보여지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여러 가지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적재함(100)의 상부에는 일반적으로 옆문짝(하대)이 힌지결합되어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2)(2A)(2B)은 옆문짝이 없는 화물차량 즉 평판트레일러, 컨테이너 운반차, 평판카고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2(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2)을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화물차량의 적재함(100) 측면에 용접이나 볼트넛 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는 지지커버(10)를 구비한다. 지지커버(10)는 외측벽체(11)와 좌우벽체(12)를 일체로 구성하여 ‘ㄷ’형으로 구성되며 그 내측으로 수용공간부(14)가 마련되어 수용공간부(14)에 측면지지대(20)가 결합된다.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는 체결공(12a)을 형성하여 후술할 잠금수단(30)이 결합되게 한다.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는 적재함(100)의 옆문짝(110)에 가해지는 힘을 보강하기 위한 측면지지대(20)를 끼움결합 및 제거가 가능토록 한다. 측면지지대(20)는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측면지지대(20)의 측벽에는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 형성된 체결공(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홀(22)을 형성한다.
상기 잠금수단(30)은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는 체결공(12a)에 결합되며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 내에 결합된 측면지지대(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잠금수단(30)은 내부 스프링의 힘을 받아 항시 내측방향 즉, 수용공간부(14) 방향으로 힘을 받아 출몰핀(32)의 내측 단부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을 지나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출몰핀(32)의 외측부분은 파지부(34)와 결합되게 구성하여 파지부(34)를 외측방향으로 당기는 작용에 의하여 스프링의 힘을 거슬러 출몰핀(32)의 단부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 내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의 잠금수단(30)은 출몰핀(22)의 출몰여부에 따라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과 잠금해제를 하게 된다. 즉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 측면지지대(20)가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잠금수단(30)의 출몰핀(32)이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에 삽입되면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고, 반대로 파지부(34)를 외측으로 당겨 출몰핀(32)이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에서 이탈하게 되면 잠금해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2)에 의하면 적재함(100)에 화물의 상·하차를 비롯하여 필요시 측면지지대(20)의 결합과 제거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운행 중 요동에 의한 측면지지대(20)의 이탈이 방지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b의 (b)를 참고하면, 지지커버(10)의 하단에는 하단받침대(16)를 일체로 구성하면, 측면지지대(20) 결합시 하부로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막을 수 있게 되며, 특히 하단받침대(16)가 스토퍼 역할을 함으로써 측면지지대(20)의 하단부가 지지커버(10)의 하단받침대(16) 상단면에 얹혀진 상태가 되면 자연적으로 지지커버(10)의 체결공(12a)과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가 되어지게 되어 체결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하단받침대(16)가 없다면 중량체인 측면지지대(20)을 지지해야 하는 힘이 필요함에 따라 두 손이 자유롭지 않게 되며 이 상태에서 지지커버(10)의 체결공(12a)과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을 서로 대응되게 맞추어야 하며, 대응되게 맞춘 상태를 확인 후에 비로소 잠금수단(30)까지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측면지지대를 결합완료하기 까지의 과정이 상당히 어렵게 된다.
다음으로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 내측에는 내측벽체(18)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내측벽체(18)는 지지커버(10)를 화물차량의 적재함(100) 측면에 고정시 더욱 견고한 결합을 도모하고 화물의 중량에 의해 측면지지대(20)의 하단 내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잘 버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지지커버(10)의 상부 외측에는 보강띠(19)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적재함에 실린 화물의 중량에 의해 측면지지대(20)가 힘을 받게 되면, 그 힘은 고스란히 측면지지대(20)를 지지하는 지지커버(10)의 상단 부분이 가장 많은 힘을 전달 받게 된다. 따라서 보강띠(19)는 취약해 질 수 있는 지지커버(10)의 상단 부분을 보강하게 된다.
측면지지대(20)는 장방형의 속이 비어 있는 관체로서 측면에서 가해지는 힘에 취약할 수 있는바 측면지지대(20)의 상단과 하단의 내측에는 내측보강판(24)을 결합하여 보강한다. 그리고 측면지지대(20)의 상단 부근에는 타격대(25)를 일체로 결합하면 측면지지대(20)를 지지커버(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 혹 잘 빠지지 않을 경우 망치 등을 이용하여 타격대(25)를 타격함으로써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2A)을 도시한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2)과 비교하면 잠금수단(3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3b를 참고하면, 잠금수단(30A)은 지지커버(10)의 체결공(12a) 위치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관체(31)를 구성하고 고정관체(31)의 내부에는 스프링(33)이 내장되게 하되 내측에 턱걸림부(31a)를 구성하여 스프링(33)의 내측단부가 걸림되게 한다. 그리고 고정관체(31)의 내부에는 출몰핀(32)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되 스프링(33) 내부를 지나도록 하고, 출몰핀(32)의 외측 부근 테두리에는 걸림돌부(35)를 돌출되게 구성하여 상기 스프링(33)의 양단부는 고정관체(31)의 턱걸림(31a)와 출몰핀(32)의 걸림돌부(35)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하여 출몰핀(32)은 항시 외측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걸림돌부(35)를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서 출몰핀(32)에는 테두리홈선(32a)을 형성하여 그 테두리홈선(32a)에 스냅링(35a)을 끼우고 스냅링(35a) 내측으로 와셔(35b)가 걸림되게 함으로써 구현하였다. 걸림돌부(35)는 다른 방법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관체(31) 외측의 축공(31b)에는 편심캠축(36a)을 갖는 작동레버(36)를 축연결하여 작동레버(36)의 선회작동에 의한 편심캠축(36a)의 캠운동에 의해 출몰핀(32)의 내측 단부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을 지나 돌출되도록 하거나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 내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 측면지지대(20)가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잠금수단(30A)의 출몰핀(32)이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에 대하여 출몰되게 하여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과 잠금해제가 이루어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 역시 적재함에 화물의 상·하차를 비롯하여 필요시 측면지지대(20)의 결합과 제거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운행 중 요동에 의한 측면지지대(20)의 이탈이 방지되게 한다. 특히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2A)에 의하면,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 및 잠금 해지시 작동레버(36)는 축선회되어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지지커버(10) 좌우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게 하는데, 이는 적재함에 화물의 상·하차 작업에 간섭을 최소화되게 한다.
실제로 지게차로 화물을 적재함에 상·하차시 숙련된 자라도 이러한 돌출되는 부분에 대하여 상당히 신경을 많이 쓰이는 부분이라 얘기할 정도로 현장에서는 해결책을 많이 요구 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4(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2B)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역시 앞서 설명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2)과 비교하면 잠금수단(3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4b를 참고하면, 잠금수단(30B)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 위치에 관체형의 가이드부싱(38)을 결합고정한다. 이때 가이드부싱(38)의 외측 관체부는 지지벽체(10)의 좌우벽체(12)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싱(38)의 내부에는 스프링(33)과 출몰핀(32)을 내장되게 삽입한다. 그리고 가이드부싱(38)의 돌출된 외측 관체부에는 작동하우징(39)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작동하우징(39)을 나사와 같은 체결구(39a)를 통하여 상기 출몰핀(32)의 내측단부와 결합되게 하여 작동하우징(39)과 출몰핀(32)은 서로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 스프링(33)의 양 단부는 출몰핀(32)의 걸림돌부(35)와 가이드부싱(38)의 턱걸림부(38a) 간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출몰핀(32)은 스프링(33)의 탄성 때문에 항시 내측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한다. 따라서 도 4c의 (a)와 같이 출몰핀(32)에 의하여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 해제상태가 구현되어야 하는바, 상기 가이드부싱(38)의 외부로 돌출된 관체부에는 ‘ㄱ’자형 안내장공(38b)을 형성하고, 작동하우징(39)에는 상기 안내장공(38b) 내부로 돌출되는 스토퍼(39b)를 결합구성하여 작동하우징(39)이 안내장공(38b)의 허용 범위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토록 한다. 그에 따라 도 4c의 (b)와 같이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해제가 가능토록 함과 아울러 작동하우징(39)을 회전시키면 손을 뗀 상태에서도 잠금해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해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면 측면지지대(20)를 지지커버(1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훨씬 쉽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39b)는 작동하우징(39)의 상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에 무두볼트를 나사결합하는 함으로써 구현하였다.
도 5(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2C)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지지커버(10)는 외측벽체(11)와 좌우벽체(12) 간의 결합으로 구성한다. 좌우벽체(12) 중 어느 하나에는 출몰통로(12b)을 마련하고 출몰통로(12b)에는 축핀(12c)을 돌출형성하여 걸쇠(40)가 장공(40a)을 통하여 축결합되게 하여 걸쇠(40)가 출몰통로(12b) 내에서 이동(출몰)가능하면서도 축핀(12c)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토록 한다.
지지커버(10)는 내측 수용공간부(14)를 통해서 측면지지대(20)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케 구성한다. 특히 측면지지대(20)의 전면에는 직립판체(27)를 결합하되, 직립판체(27)의 좌우측 중 상기 걸쇠(40)가 결합되어 있는 측에는 다수의 걸림편(27a)들이 상하로 배열형성된다. 상기 걸림편(27a)은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걸쇠(40)에 걸림이 이루어지면서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걸림이 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걸쇠(40)는 외부의 물리적 힘이 가해지지 않을 시에는 항시 걸림편(27a)에 대하여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바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커버(10) 간에 스프링(33-1)을 결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측면지지대(20)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올리고자 할 시에는 측면지지대(20)를 상부로 들어올리는 작동으로 원하는 높이까지 올라가게 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측면지지대(20)에 가하는 힘을 빼면 자연적으로 걸림편(27a)가 걸쇠(40)게 걸림이 이루어져 조절된 높이가 유지되고, 반대로 측면지지대(20)를 원하는 높이로 하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시에는 걸쇠(40)를 장공(40a)의 이동 범위 내에서 외측으로 이동시켜 걸림편(27a)에 대한 걸림 해제를 시킴으로써 원하는 높이로 하부로 이동이 된다. 측면지지대(20)의 상하 단부에는 각각 이탈방지판(28)(29)를 결합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2A)(2B)(2C)--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10)--지지커버 (11)-외측벽체
(12)--좌우벽체 (12a)--체결공
(12b)--출몰통로 (12c)--축핀
(14)--수용공간부 (16)--하단받침대
(18)--내측벽체 (19)--보강띠
(20)--측면지지대 (22)--잠금홀
(24)--내측보강판 (25)--타격대
(27)--직립판체 (27a)--걸림편
(28)(29)--이탈방지판
(30)(30A)--잠금수단 (31)--고정관체
(31a)--턱걸림부 (31b)--축공
(31c)--작동홈부 (32)--출몰핀
(32a)--테두리홈선 (33)(33-1)--스프링
(34)--파지부 (35)--걸림돌부
(35a)--스냅링 (35b)--와셔
(36)--작동레버 (36a)--편심캠축
(36b)--축공 (37)--축핀
(38)--가이드부싱 (38a)--걸림턱부
(38b)--ㄱ자형 안내장공 (39)--작동하우징
(39a)--스토퍼 (39b)--관통공
(40)--걸쇠 (40a)--장공
(100)--적재함 (110)--옆문짝

Claims (7)

  1. 화물차량의 적재함(100) 측면에 용접이나 볼트넛 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며 내측으로 수용공간부(14)가 마련되고 좌우벽체(12)에는 체결공(12a)을 형성되는 지지커버(1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는 적재함(100)의 옆문짝(110)에 가해지는 힘을 보강하기 위한 측면지지대(20)를 끼움결합 및 제거가 가능토록 하며,
    측면지지대(20)가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측면지지대(20)의 측벽에는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 형성된 체결공(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홀(22)을 형성하되, 지지커버(10)의 하단에는 하단받침대(16)를 일체로 구성하여 측면지지대(20) 결합시 하부로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막고, 하단받침대(16)가 스토퍼 역할을 하여 측면지지대(20)의 하단부가 지지커버(10)의 하단받침대(16) 상단면에 얹혀진 상태가 되면 자연적으로 지지커버(10)의 체결공(12a)과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가 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 형성된 체결공(12a)에는 잠금수단(30)을 결합하되, 잠금수단(30)은 내부 스프링의 힘을 받아 항시 내측방향 즉, 수용공간부(14) 방향으로 힘을 받아 출몰핀(32)의 내측 단부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을 지나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출몰핀(32)의 외측부분은 파지부(34)와 결합되게 구성하여 파지부(34)를 외측방향으로 당기는 작용으로 스프링의 힘을 거슬러 출몰핀(32)의 단부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여,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 측면지지대(20)가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잠금수단(30)의 출몰핀(32)이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에 출몰되게 함으로써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과 잠금해제가 이루어도록 하여 적재함에 화물의 상·하차를 비롯하여 필요시 측면지지대(20)의 결합과 제거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운행 중 요동에 의한 측면지지대(20)의 이탈이 방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2. 화물차량의 적재함(100) 측면에 용접이나 볼트넛 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며 내측으로 수용공간부(14)가 마련되고 좌우벽체(12)에는 체결공(12a)을 형성되는 지지커버(1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는 적재함(100)의 옆문짝(110)에 가해지는 힘을 보강하기 위한 측면지지대(20)를 끼움결합 및 제거가 가능토록 하며,
    측면지지대(20)가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측면지지대(20)의 측벽에는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 형성된 체결공(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홀(22)을 형성하되, 지지커버(10)의 하단에는 하단받침대(16)를 일체로 구성하여 측면지지대(20) 결합시 하부로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막고, 하단받침대(16)가 스토퍼 역할을 하여 측면지지대(20)의 하단부가 지지커버(10)의 하단받침대(16) 상단면에 얹혀진 상태가 되면 자연적으로 지지커버(10)의 체결공(12a)과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가 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 형성된 체결공(12a)에는 잠금수단(30A)을 결합하되, 잠금수단(30A)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 위치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관체(31)를 구성하고 고정관체(31)의 내부에는 스프링(33)이 내장되게 하되 내측에 턱걸림부(31a)를 구성하여 스프링(33)의 내측단부가 걸림되게 하고,
    고정관체(31)의 내부에는 출몰핀(32)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되 스프링(33) 내부를 지나도록 하고, 출몰핀(32)의 외측 부근 테두리에는 걸림돌부(35)를 돌출되게 구성하여 상기 스프링(33)의 양단부는 고정관체(31)의 턱걸림(31a)와 출몰핀(32)의 걸림돌부(35)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하여 출몰핀(32)은 항시 외측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하며,
    고정관체(31) 외측의 축공(31b)에는 편심캠축(36a)을 갖는 작동레버(36)를 축연결하여 작동레버(36)의 선회작동에 의한 편심캠축(36a)의 캠운동에 의해 출몰핀(32)의 내측 단부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을 지나 돌출되도록 하거나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여,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 측면지지대(20)가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잠금수단(30A)의 출몰핀(32)이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에 대하여 출몰되게 하여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과 잠금해제가 이루어도록 함으로써 적재함에 화물의 상·하차를 비롯하여 필요시 측면지지대(20)의 결합과 제거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운행 중 요동에 의한 측면지지대(20)의 이탈이 방지되게 하며,
    잠금 및 잠금 해지시 작동레버(36)는 축선회되어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지지커버(10) 좌우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게 하여 적재함에 화물의 상·하차 작업에 간섭을 최소화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3. 화물차량의 적재함(100) 측면에 용접이나 볼트넛 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며 내측으로 수용공간부(14)가 마련되고 좌우벽체(12)에는 체결공(12a)을 형성되는 지지커버(1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커버(10)의 수용공간부(14)에는 적재함(100)의 옆문짝(110)에 가해지는 힘을 보강하기 위한 측면지지대(20)를 끼움결합 및 제거가 가능토록 하며,
    측면지지대(20)가 끼움결합 된 상태에서 측면지지대(20)의 측벽에는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 형성된 체결공(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홀(22)을 형성하되, 지지커버(10)의 하단에는 하단받침대(16)를 일체로 구성하여 측면지지대(20) 결합시 하부로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막고, 하단받침대(16)가 스토퍼 역할을 하여 측면지지대(20)의 하단부가 지지커버(10)의 하단받침대(16) 상단면에 얹혀진 상태가 되면 자연적으로 지지커버(10)의 체결공(12a)과 측면지지대(20)의 잠금홀(22)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가 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에 형성된 체결공(12a)에는 잠금수단(30B)을 결합하되, 잠금수단(30B)은 좌우벽체(12)의 체결공(12a) 위치에 관체형의 가이드부싱(38)을 결합고정하여 가이드부싱(38)의 외측 관체부가 좌우벽체(12)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부싱(38)의 내부에는 스프링(33)과 출몰핀(32)이 내장되게 삽입하며,
    가이드부싱(38)의 돌출된 외측 관체부에는 작동하우징(39)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작동하우징(39)을 나사와 같은 체결구(39a)를 통하여 상기 출몰핀(32)의 내측단부와 결합되게 하여 작동하우징(39)과 출몰핀(32)은 서로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스프링(33)의 양 단부는 출몰핀(32)의 걸림돌부(35)와 가이드부싱(38)의 턱걸림부(38a) 간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출몰핀(32)은 스프링(33)의 탄성 때문에 항시 내측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함으로써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부싱(38)의 외부로 돌출된 관체부에는 ‘ㄱ’자형 안내장공(38b)을 형성하고, 작동하우징(39)에는 상기 안내장공(38b) 내부로 돌출되는 스토퍼(39b)를 결합구성하여 작동하우징(39)이 안내장공(38b)의 허용 범위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토록 하며 그에 따라 측면지지대(20)에 대한 잠금해제가 가능토록 함과 아울러 작동하우징(39)에서 손을 뗀 상태에서도 잠금해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커버(10)의 좌우벽체(12) 내측에는 내측벽체(18)를 일체로 결합하여 지지지커버(10)를 화물차량의 적재함(100) 측면에 고정 결합시 더욱 견고한 결합을 도모하고 화물의 중량에 의해 측면지지대(20)의 하단 내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잘 버틸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커버(10)의 상부 외측에는 보강띠(19)를 일체로 결합하여 적재함에 실린 화물의 중량에 의해 힘을 받은 측면지지대(20)가 다시 그 힘을 지지커버(10)의 상단부로 가함에 따라 취약해질 수 있는 지지커버(10)의 상단 부분을 보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7. 삭제
KR1020210015919A 2021-02-04 2021-02-04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KR102292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919A KR102292171B1 (ko) 2021-02-04 2021-02-04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919A KR102292171B1 (ko) 2021-02-04 2021-02-04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171B1 true KR102292171B1 (ko) 2021-08-20

Family

ID=77466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919A KR102292171B1 (ko) 2021-02-04 2021-02-04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8850A (zh) * 2021-12-22 2022-03-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可伸缩式货箱护栏立柱及车辆
KR20230052667A (ko) 2021-10-13 2023-04-20 양시준 차량적재함 보조지지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521B1 (ko) 2004-03-29 2005-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량용 측면보호대
KR101416700B1 (ko) * 2013-11-04 2014-07-09 김웅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함 덮개
KR101541246B1 (ko) * 2014-07-21 2015-08-03 조기남 트레일러 적재장치의 측면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521B1 (ko) 2004-03-29 2005-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량용 측면보호대
KR101416700B1 (ko) * 2013-11-04 2014-07-09 김웅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함 덮개
KR101541246B1 (ko) * 2014-07-21 2015-08-03 조기남 트레일러 적재장치의 측면지지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667A (ko) 2021-10-13 2023-04-20 양시준 차량적재함 보조지지대
CN114248850A (zh) * 2021-12-22 2022-03-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可伸缩式货箱护栏立柱及车辆
CN114248850B (zh) * 2021-12-22 2023-10-2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可伸缩式货箱护栏立柱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171B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측면지지대 결합유닛
CN104684822B (zh) 锁紧装置
US5442941A (en) Padlock
US20060065023A1 (en) Security link
US7967353B2 (en) Clevis type grab hook with safety latch
US5987943A (en) Lockable endgate for a pickup truck
US8876177B2 (en) Handle system
EP2567911B1 (en) Cargo container with a doors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closing the doors of such a container
WO2006076779A1 (en) Locking arrangement
US11479113B2 (en) Fuel door opener assembly
US20120103032A1 (en) Security cover for cargo containers
KR200431629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EP0709283A1 (en) Mechanism for the closure and securing of cases for motorcycles and similar vehicles
US7059019B1 (en) Locking device to prevent door removal
CN211173574U (zh) 一种防弹跳的门闩结构
KR100727348B1 (ko) 트럭 적재함용 잠금장치
EP1088956A1 (en) Lock assembly
KR100716366B1 (ko) 상용차량의 적재함 핸들 보조잠금장치
KR200393265Y1 (ko) 차량용 공구함의 잠금구조
KR19980065883U (ko) 화물 차량의 적재함 도어 록킹 장치
JP2010242717A (ja) 可搬式作業機の盗難防止機構
KR200412696Y1 (ko) 화물차량의 박스도어 잠금장치
US8632116B2 (en) Anti-theft device for an access door
KR200201993Y1 (ko) 소형 화물차량 장착용 착탈식 물품 보관함
KR100713219B1 (ko) 중장비 차량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