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063B1 - 가공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필름 - Google Patents

가공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063B1
KR102291063B1 KR1020190081430A KR20190081430A KR102291063B1 KR 102291063 B1 KR102291063 B1 KR 102291063B1 KR 1020190081430 A KR1020190081430 A KR 1020190081430A KR 20190081430 A KR20190081430 A KR 20190081430A KR 102291063 B1 KR102291063 B1 KR 102291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ketone
ethylene
bis
styre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661A (ko
Inventor
김홍운
김중인
윤성균
Original Assignee
효성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08L23/0861Saponified 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59/00 - C08J2371/00;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51/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4Graft o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groups C08L51/00, C08L53/00 or C08L55/02;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리케톤 필름은 폴리케톤 수지 50~90중량%;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10~50중량%; 및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1~10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며, 두께가 20~1000㎛일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필름 {POLYKETONE COMPOSITION AND POLYKETONE FIL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공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여 산소차단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 포장재의 특성은 다양한 부분에서 기능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 특히 가스차단성은 식품의 보존성을 좌우하는 성질이고, 포장기술의 다양화, 유통기간 및 형태, 환경적인 측면에서 포장재의 규제 등에 따라 이러한 기능성에 대한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식품 포장에서 장기 보존성은 최근 식생활의 변화와 유통형태의 변화에 따라 포장재에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기능이다. 식품의 변질을 가속화하는 요소로는 산소, 광, 열, 수분 등이 있으며, 특히 산소는 식품변질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산화를 유발하는데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인자이다.
식품의 변질을 제어하는 수단 중 차단(barrier) 소재는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스 충전이나 진공포장 등에 있어 없어서는 안되며, 보향 특성이 요구되는 용도, 방취, 승화방지 용도 및 레토르트 파우치, 탄산가스 음료 용기, 식품, 화장품, 의료용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다양한 방법의 제품 개발이 되어 왔는데, 먼저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Polyvinylidene chloride)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PP) 등의 기재에 코팅을 하여 차단(barrier)특성을 얻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 이러한 물질이 소각 시 다이옥신(dioxine) 발생 문제로 환경규제를 받고 있기 때문에 서서히 그 수요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둘째, 기재에 알루미늄 증착을 하여 차단(barrier) 특성을 얻는 방법이 있는데, 차단(barrier) 특성은 우수하나 불투명하여 안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가 없고, 알루미늄층의 접착력이 약한 약점이 있다.
셋째, 최근에는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증착 등의 기술이 개발되어 제품화되어 있다. 이러한 제품은 차단(barrier) 특성이 우수하고 투명하여 다양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지만, 고가이고 접착력이 매우 약할 뿐만 아니라 증착 층의 피막이 딱딱하여 약간의 신도 하에서도 쉽게 피막이 손상(크랙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식품 포장용 수지에는 일반적으로 폴리염화비닐류, 폴리스티렌류, 폴리올레핀류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산소차단성이 부족하다. 폴리아미드류 수지는 상기 수지들보다 산소차단성이 우수하지만, 습도가 높을 경우 기체 차단성이 낮아진다. 최근에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인 MXD-6로 만들어진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나, 가격은 높고 산소차단성이 부족하여 상업화에 한계가 있다.
상기 전술한 방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지 조성물들은 차단성이 낮거나, 환경 규제에 따른 사용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MXD-6 나노 공중합체 제조시 복잡한 제조공정 및 제조 원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공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여 산소차단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케톤 필름은 폴리케톤 수지 50~90중량%;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10~50중량%; 및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1~10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며, 두께가 20~100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케톤 필름은 산소 투과도가 1.0cc/m2/day·atm 이하이고, MD 인열강도가 0.2N 이상이며, TD 인열강도가 2.0N 이상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케톤 조성물은 폴리케톤 수지 50~90중량%;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10~50중량%; 및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1~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케톤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용화제를 5~15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폴리아미드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무수말레산(SEBS-g-MA)가 혼합된 상용화제; 또는 폴리아미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무수말레산(SEBS-g-MA)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이 혼합된 상용화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폴리케톤 조성물은 활제 및/또는 상용화제를 포함함으로써 가공안정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케톤 조성물을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필름은 폴리케톤에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가 블렌드됨에 따라 산소차단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물성 및 가공안정성도 우수한 특성을 동시에 개선하여 기체 차단성이 요구되는 식품용이나 화장품 용기에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필름에 비해 가격면에서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케톤 조성물은 폴리케톤 수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폴리케톤은 선상 교대 구조체로, 불포화 탄화 수소 1분자 마다 실질적으로 일산화탄소를 포함하고 있다. 폴리케톤 폴리머의 전구체로서 사용하는데 적당한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는 20개까지, 바람직한 것은 10개까지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또한,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는 에텐 및 α-올레핀, 예를 들면 프로펜(propene), 1-부텐(butene), 아이소부텐(iso-butene), 1-헥센(hexene), 1-옥텐(octene)과 같은 지방족이거나 또는 다른 지방족 분자상에 아릴(aryl) 치환기를 포함하고, 특히 에틸렌계 불포화 탄소 원자상에 아릴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아릴 지방족이다.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 수소 중 아릴 지방족 탄화 수소의 예로서는 스틸렌(styrene), p-메틸스틸렌(methyl styrene), p-에틸스틸렌(ethyl styrene) 및 m-이소프로필 스틸렌(isopropyl styrene)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케톤 폴리머는 일산화탄소와 에텐(ethene)과의 코폴리머 또는 일산화탄소와 에텐과 적어도 3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제2의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 특히 프로펜(propene) 같은 α-올레핀과의 터폴리머(terpolymer)이다.
상기 폴리케톤 터폴리머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주요 폴리머 성분으로서 사용할 때에, 터폴리머 내의 제2의 탄화수소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각단위에 대하여, 에틸렌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단위가 적어도 2개 있다. 제2의 탄화수소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단위가 10~100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폴리케톤 폴리머의 폴리머 고리는 하기 구조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구조식 1]
-[CO-(-CH2-CH2-)-]x-[CO-(G)]y-
상기 구조식 1 중, G는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로서, 특히 적어도 3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에틸렌계 불포화탄화수소로부터 얻어지는 부분이고, x:y는 적어도 1: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구체예로, 상기 폴리케톤 폴리머는 일반식 (1)과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로서, y/x가 0.03~0.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y/x값의 수치가 0.03 미만인 경우, 용융성 및 가공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고, 0.3을 초과하는 경우는 기계적 물성이 떨어진다. 또한 y/x는 더욱 바람직하게 0.03 내지 0.1이다.
-[-CH2CH2-CO]x- (1)
-[-CH2-CH(CH3)-CO]y- (2)
또한, 폴리케톤 폴리머의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비를 조절하여 폴리머의 융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에틸렌 : 프로필렌 : 일산화탄소의 몰비를 46 : 4 : 50으로 조절하는 경우 융점은 약 220℃이나, 몰비를 47.3 : 2.7 : 50 으로 조절하는 경우의 융점은 235℃로 조절된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에 의하여 측정한 수평균 분자량이 100~200,000 특별히 20,000~90,000의 폴리케톤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머의 물리적 특성은 분자량에 따라서, 폴리머가 코폴리머인, 또는 터폴리머인 것에 따라서, 또 터폴리머의 경우에는 존재하는 제2의 탄화 수소부분의 성질에 따라서 정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머의 통산의 융점은 175℃~300℃이고, 또한 일반적으로는 210℃~270℃ 이다. 표준 세관점도 측정장치를 사용하고 HFIP(Hexafluoroisopropylalcohol)로 60℃에 측정한 폴리머의 고유점도(I.V)는0.5dl/g~10dl/g, 또한 바람직하게는 0.8dl/g~4dl/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dl/g~2.0dl/g 이다. 이때 극한 점도 수가 1.0dl/g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2.0dl/g 을 초과하면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폴리케톤의 분자량 분포는 1.5 내지 3.5인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3.5이 좋다. 1.5 미만은 중합수율이 떨어지며, 3.5 이상은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분자량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팔라듐 촉매의 양과 중합온도에 따라 비례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즉, 팔라듐 촉매의 양이 많아지거나, 중합온도가 100℃이상이면 분자량 분포가 커지는 양상을 보인다.
폴리케톤 폴리머의 제조법으로는 일산화탄소와 올레핀을 팔라듐 화합물, PKa가 6이하인 산, 인의 이배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촉매 조성물을 통해 알코올 용매하에 실시되는 액상 중합을 채용할 수 있다. 중합 반응 온도는 50~100℃가 바람직하며 반응 압력은 40~60bar이다. 폴리머는 중합 후 여과, 정제 공정을 통해 회수하며 남은 촉매 조성물은 알코올이나 아세톤 등의 용매로 제거한다.
여기에서 팔라듐 화합물로서는 초산 팔라듐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은 10-3~10-1mole이 바람직하다. pKa값이 6이하인 산의 구체적인 예로서, 트리플루오르초산, p-톨리엔술폰산, 황산, 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리플루오르초산을 사용하였으며 사용량은 팔라듐 대비 6~20당량이 바람직하다. 또 인의 이좌배위좌 화합물로는 1,3-비스[다이(2-메톡시 페닐포스피노)]프로판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은 팔라듐 대비 1~1.2당량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폴리케톤 폴리머의 중합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산화탄소,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올레핀성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 삼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 특히 일산화탄소 유래의 반복단위 및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유래의 반복단위와 프로필렌성 불포화 화합물 유래의 반복단위가 실질적으로 교대로 연결된 구조의 폴리케톤은 기계적 성질 및 열적 성질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뛰어나며 내마모성, 내약품성, 가스배리어성이 높아서, 여러 가지 용도에 유용한 재료이다. 이 삼원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 폴리케톤의 고분자량체는 더욱 높은 가공성 및 열적 성질을 가지고, 경제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로서 유용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내마모성이 높아서 자동차의 기어 등의 부품, 내약품성이 높아서 화학수송 파이프의 라이닝재 등, 가스배리어성이 높아서 경량 가솔린 탱크 등에 이용가능하다. 또한, 고유점도가 2 이상의 초고분자량 폴리케톤을 섬유에 이용한 경우, 고배율의 연신이 가능해지고, 연신방향으로 배향된 고강도 및 고탄성율을 가지는 섬유로서, 벨트, 고무호스의 보강재나 타이어 코드, 콘크리트 보강재등 건축재료나 산업자재 용도에 매우 적합한 재료가 된다.
폴리케톤의 제조방법은 (a)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 (b) 제 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로 이루어지는 유기금속 착체 촉매의 존재 하에, 액상 매체 중에서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및 프로필렌성 불포화 화합물을 삼원 공중합시켜 폴리케톤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산화탄소, 에틸렌 및 프로필렌은 알코올(예컨대,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에서 액상 중합되어 선상 터폴리머를 생성하는데, 상기 혼합용매로는 메탄올 100 중량부 및 물 2~10 중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혼합용매에서 물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케탈이 형성되어 공정 시 내열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촉매는, 주기율표(IUPAC 무기화학 명명법 개정판, 1989)의 (a)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 (b) 제 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a) 중 제 9족 전이금속 화합물의 예로서는, 코발트 또는 루테늄의 착체, 카본산염, 인산염, 카바민산염, 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초산 코발트, 코발트 아세틸아세테이트, 초산 루테늄, 트리플루오로 초산 루테늄, 루테늄 아세틸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폰산루테늄 등을 들 수 있다.
제 10족 전이금속 화합물의 예로서는, 니켈 또는 팔라듐의 착체, 카본산염, 인산염, 카바민산염, 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초산 니켈, 니켈 아세틸아세테이트, 초산 팔라듐, 트리플루오로 초산 팔라듐, 팔라듐 아세틸아세테이트, 염화 팔라듐, 비스(N,N-디에틸카바메이트)비스(디에틸아민)팔라듐, 황산 팔라듐 등을 들 수 있다.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의 예로서는, 구리 또는 은의 착체, 카본산염, 인산염, 카바민산염, 술폰산염 등을 들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초산 구리, 트리플루오로 초산 구리, 구리 아세틸아세테이트, 초산 은, 트리플루오로초산 은, 은 아세틸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폰산 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값싸고 경제적으로 바람직한 전이금속 화합물(a)은 니켈 및 구리 화합물이고, 폴리케톤의 수득량 및 분자량의 면에서 바람직한 전이금속 화합물(a)은 팔라듐 화합물이며, 촉매활성 및 고유점도 향상의 면에서 초산 팔라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 15족의 원자를 가지는 리간드(b)의 예로서는, 2,2'-비피리딜, 4,4'-디메틸-2,2'-비피리딜, 2,2'-비-4-피콜린, 2,2'-비키놀린 등의 질소 리간드,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 1,3-비스[디(2-메틸)포스피노]프로판, 1,3-비스[디(2-이소프로필)포스피노]프로판, 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1,3-비스[디(2-메톡시-4-술폰산나트륨-페닐)포스피노]프로판,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시클로헥산,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벤젠,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틸]벤젠, 1,2-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메틸]벤젠, 1,2-비스[[디(2-메톡시-4-술폰산나트륨-페닐)포스피노]메틸]벤젠,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2-히드록시-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2,2-디메틸-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등의 인 리간드, (사이클로헥세인-1,1-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제 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b)는, 제 15족의 원자를 가지는 인 리간드이고, 특히 폴리케톤의 수득량의 면에서 바람직한 인 리간드는 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1,2-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메틸]벤젠이고, 폴리케톤의 분자량의 측면에서는 2-히드록시-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2,2-디메틸-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이고, 유기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안전하다는 면에서는 수용성의 1,3-비스[디(2-메톡시-4-술폰산나트륨-페닐)포스피노]프로판, 1,2-비스[[디(2-메톡시-4-술폰산나트륨-페닐)포스피노]메틸]벤젠이고, 합성이 용이하고 대량으로 입수가 가능하고 경제면에 있어서 바람직한 것은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이다. 바람직한 제 15족의 원자를 가지는 리간드(b)는 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또는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또는 (사이클로헥세인-1,1-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69237416-pat00001
상기 화학식 1의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은 현재까지 소개된 폴리케톤 중합촉매 중 최고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3,3-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파닐메틸]-1,5-디옥사-스파이로[5,5]운데칸과 동등한 활성 발현을 보이되 그 구조는 더욱 단순하고 분자량 또한 더욱 낮은 물질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당분야의 폴리케톤 중합촉매로서 최고활성을 확보하면서도 그 제조비용 및 원가는 더욱 절감된 신규한 폴리케톤 중합촉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폴리케톤 중합촉매용 리간드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5,5-비스(브로모메틸)-2,2-디메틸-1,3-디옥산 및 수소화나트륨(NaH)을 사용하여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중합촉매용 리간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폴리케톤 중합촉매용 리간드 제조방법은 종래 3,3-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파닐메틸]-1,5-디옥사-스파이로[5,5]운데칸의 합성법과는 달리 리튬이 사용되지 않는 안전한 환경하에서 용이한 프로세스를 통해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을 상업적으로 대량합성할 수 있다.
한편, 중합촉매에 사용되는 리간드로 (사이클로헥세인-1,1-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을 사용하는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리간드를 합성하는 방법은 하기 반응식과 같다.
[반응식]
Figure 112019069237416-pat00002
상기 (사이클로헥세인-1,1-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리간드는 다음과 같은 4단계를 거쳐서 합성이 가능하다. 먼저 다이에틸말로네이트와 1,5-다이브로모펜테인을 소듐 에톡사이드와 에탄올 하에서 끓인 후,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하에서 환원을 시켜 1,1-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을 합성한다. 그리고 토실 클로라이드와 피리딘하에서 반응시켜 이탈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2-메톡시페닐포스핀과 소듐 하이드라이드와 다이메틸 설폭시드 하에서 반응시키면 상기 리간드를 얻을 수 있다. 각 단계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재결정과 같은 정제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의 순도는 핵자기공명 분석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케톤 중합촉매용 리간드 제조방법은 (a) 질소 대기하에서 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및 디메틸설폭시드(DMSO)를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수소화나트륨을 가한 뒤 교반하는 단계; (b) 얻어진 혼합액에 5,5-비스(브로모메틸)-2,2-디메틸-1,3-디옥산 및 디메틸설폭시드를 가한 뒤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c) 반응 완료 후 메탄올을 투입하고 교반하는 단계;(d) 톨루엔 및 물을 투입하고 층분리 후 유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여과를 하고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e) 잔류물을 메탄올 하에서 재결정하여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를 얻는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a)의 사용량은, 선택되는 에틸렌성 및 프로필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종류나 다른 중합조건에 따라 그 적합한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그 범위를 한정할 수는 없으나, 통상 반응대역의 용량 1리터당 0.01~100밀리몰, 바람직하게는 0.01~10밀리몰이다. 반응대역의 용량이라는 것은, 반응기의 액상의 용량을 말한다. 리간드(b)의 사용량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전이금속 화합물 (a) 1몰당, 통상 0.1~3몰, 바람직하게는 1~3몰이다.
또한, 폴리케톤의 중합시 벤조페논을 첨가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케톤의 중합시 벤조페논을 첨가함으로써 폴리케톤의 고유점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a)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과 벤조페논의 몰비는 1 : 5~100, 바람직하게는 1 : 40~60 이다. 전이금속과 벤조페논의 몰비가 1 : 5 미만이면 제조되는 폴리케톤의 고유점도 향상의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전이금속과 벤조페논의 몰비가 1 : 100을 초과하면 제조되는 폴리케톤 촉매활성이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일산화탄소와 공중합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예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비닐시클로헥산 등의 α-올레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 시클로펜텐, 노르보르넨, 5-메틸노르보르넨, 5-페닐노르보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 트리시클로도데센, 트리시클로운데센, 펜타시클로펜타데센, 펜타시클로헥사데센, 8-에틸테트라시클로도데센 등의 환상 올레핀; 염화비닐 등의 할로겐화 비닐;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은 α-올레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4인 α-올레핀,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이다.
일산화탄소와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및 프로필렌성 불포화 화합물 삼원 공중합은 상기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a), 제 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b) 로 이루어지는 유기금속 착체 촉매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상기 촉매는 상기 2성분을 접촉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접촉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적당한 용매 중에서 2성분을 미리 혼합한 용액으로 만들어 사용해도 좋고, 중합계에 2성분을 각각 따로따로 공급하여 중합계 내에서 접촉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머의 가공성이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 알려져 있는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안정제, 충전제, 내화재료, 이형제, 착색제 및 기타재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중합법으로서는 액상 매체를 사용하는 용액중합법, 현탁중합법, 소량의 중합체에 고농도의 촉매 용액을 함침시키는 기상중합법 등이 사용된다. 중합은 배치식 또는 연속식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중합에 사용하는 반응기는, 공지의 것을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온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 40~180℃, 바람직하게는 50~120℃가 채용된다. 중합시의 압력에 대해서도 제한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상압~20MPa, 바람직하게는 4~15MPa이다.
상기와 같은 중합법에 의하여 선상 교대 폴리케톤이 형성된다.
이러한 폴리케톤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0~90중량%일 수 있으며, 60~7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케톤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일 경우, 기계적 물성, 열안정성 및 유동성 등이 감소될 수 있으며, 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에 첨가되는 특정 물질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가공안정성 및 산소차단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케톤 조성물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케톤 조성물은 기체차단 특성이 우수한 소재인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산소차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로는 에틸렌 함량이 32~44%이며, 용융질량흐름률(Melt Mass Flow Rate, MFR)이 1.6~15.1g/10min(@220℃&2.16k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10~50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4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원하는 기체차단 특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가격 상승의 문제가 될 수도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케톤 조성물은 활제로써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과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Ethylene acrylic acid copolymer, EAA) 또는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Ethylene methacrylic acid copolymer, EMAA)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의 중화 반응으로 인하여 조성물의 가공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1~10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케톤 조성물은 상용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용화제로는 폴리아미드(PA6)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무수말레산(SEBS-g-MA)가 혼합된 상용화제; 또는 폴리아미드(PA6),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무수말레산(SEBS-g-MA)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이 혼합된 상용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용화제는 폴리케톤과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의 반응에 의하여 조성물의 가공안정성이 개선되며, 기계적 물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이때, PA6 및 SEBS-g-MA는 40~60:40~60wt%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50:50wt%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A6, SEBS-g-MA 및 SEBS는 40~60:20~30:20~30wt%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50:25:25wt%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용화제는 폴리케톤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15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케톤 조성물은 폴리머의 가공성이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 알려져 있는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안정제, 충전제, 내화재료, 이형제, 착색제 및 기타재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케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폴리케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팔라듐 화합물, pKa값이 6 이하인 산, 및 인의 2배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알코올(예컨대, 메탄올)과 물을 포함하는 혼합용매(중합용매)를 준비하는 단계; 촉매 조성물 및 혼합용매의 존재 하에서 중합을 진행하여 일산화탄소,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선상 터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선상 터폴리머에서 남은 촉매 조성물을 용매(예컨대, 알코올 및 아세톤)로 제거하여 폴리케톤 수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 폴리케톤 수지, 에틸렌비닐알코올,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또는 상용화제를 혼합하여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산화탄소, 에틸렌 및 프로필렌은 알코올(예컨대,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에서 액상 중합되어 선상 터폴리머를 생성하는데, 혼합용매로는 메탄올 100 중량부 및 물 2~10 중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혼합용매에서 물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케탈이 형성되어 공정시 내열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중합 시 반응온도는 50 ~ 100℃, 반응압력은 40 ~ 60bar의 범위가 적절하다. 생성된 폴리머는 중합후 여과, 정제 공정을 통해 회수하며, 남은 촉매 조성물은 알코올 또는 아세톤 등의 용매로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얻어진 폴리케톤 조성물을 압출기로 압출하여 최종적으로 폴리케톤 조성물을 수득한다. 상기 폴리케톤 조성물은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혼련 및 압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압출온도는 220 ~ 260℃, 스크류 회전속도는 100 ~ 300rp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압출온도가 220℃ 미만이면 혼련이 적절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260℃를 초과하면 수지의 내열성 관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회전속도가 100rpm 미만이면 원활한 혼련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300rpm을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조성물을 펠렛의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함으로써 필름(film), 시트(sheet), 플레이트(plate) 및 성형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티 다이(Slit T-die) 용융성형에 의해 캐스팅 필름 또는 블로운 필름으로 압출한다. 이때, 필름의 두께는 20~1000㎛일 수 있으며, 5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은 폴리케톤에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가 블렌드됨에 따라 산소차단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물성 및 가공안정성도 우수한 특성을 동시에 개선하여 기체 차단성이 요구되는 식품용이나 화장품 용기에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필름에 비해 가격면에서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일산화탄소와 에틸렌,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선상 교대 폴리케톤 폴리머는 초산 팔라듐, 트리 플루오르 초산 및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구조의 Multi-Site를 갖는 리간드로부터 생성한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제조했다. 제조된 폴리케톤에서 프로필렌은 10~12mol%이었다. 또한, 폴리케톤 폴리머의 융점은 190~200℃이고, HFIP(hexafluoroisopropano)로 25℃에 측정한 IV가 2.0dl/g이며, MI(Melt index)가 2~4g/10min 및 분자량 분포(MWD)는 2.5~2.8이었다.
이후, 제조된 폴리케톤과 에틸렌비닐알코올 코폴리머(EVOH, F171B, Kuraray) 및 활제로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EMAA)를 dry blend하여 200rpm으로 작동하는 40mm 2축 스크류(L/D=32)를 이용하여 압출기상에서 펠렛(pellet)상으로 제조하였으며, 이의 MI(Melt index, @220℃)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이때, 폴리케톤, EVOH 및 활제의 함량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절하였으며, 활제의 함량은 폴리케톤 및 EVOH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조절하였다. 또한, EVOH는 에틸렌 함량이 32%인 것으로, MFR=3.9g/10min(@220℃&2.16kg), MFR=1.6g/10min(@190℃&2.16kg), Tg=60℃, Tm=183℃인 것을 사용하였다. 활제인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Nucrel, Dupont사)는 MI=8g/10min(@190℃, 2.16kg), Tm=95~100℃인 것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폴리케톤/EVOH/활제 blend 펠렛을 30mm 1축 스크류를 이용하여 220~230℃로 온도를 설정하여 T-다이가 결합되어 있는 압출기 상에서 100micron 두께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케톤, EVOH 및 활제의 함량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폴리케톤 조성물과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일산화탄소와 에틸렌,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선상 교대 폴리케톤 폴리머는 초산 팔라듐, 트리 플루오르 초산 및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구조의 Multi-Site를 갖는 리간드로부터 생성한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케톤 폴리머의 융점은 190~200℃이고, HFIP(hexafluoroisopropano)로 25℃에 측정한 IV가 1.7~1.9dl/g이며, MI(Melt index)가 4~8g/10min 및 분자량 분포(MWD)는 2.5~2.8이었다.
이후, 제조된 폴리케톤과 에틸렌비닐알코올 코폴리머(EVOH, EV-4405F) 및 활제로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EAA), 상용화제를 dry blend하여 200rpm으로 작동하는 40mm 2축 스크류(L/D=32)를 이용하여 압출기상에서 펠렛(pellet)상으로 제조하였으며, 이의 MI(Melt index)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이때, 폴리케톤, EVOH, 활제 및 상용화제의 함량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절하였으며, 활제 및 상용화제의 함량은 폴리케톤 및 EVOH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각각 조절하였다.
또한, 에틸렌비닐알코올 코폴리머(EVOH, ChangChun사)는 에틸렌 함량이 44%인 것으로, MFR=3.8 g/10min @190℃&2.16kg, MFR=15.1 g/10min @220℃&2.16kg, Tg=56℃, Tm=166℃, Tc=146℃인 것을 사용하였다. 활제로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Nucrel2806, Dupont사)는 MI=60g/10min(@190℃, 2.16kg), Tm=95~100℃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용화제로는 각각 220℃에서 컴파운딩된 펠렛으로 C1(PA6/SEBS-g-MA= 50/50wt%) 및 C3(PA6/SEBS-g-MA/SEBS, 50/25/25wt%)을 사용하였다(PA6(1011BRT, Hyosung), SEBS-g-MA(FG1901G, Kraton), SEBS(unmodified, G1652, Kraton)).
제조된 폴리케톤/EVOH/활제/상용화제 blend 펠렛을 30mm 1축 스크류를 이용하여 220~230℃로 온도를 설정하여 T-다이가 결합되어 있는 압출기 상에서 100micron 두께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8]
폴리케톤, EVOH, 활제 및 상용화제의 함량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폴리케톤 조성물과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Blend 펠렛 제조 시, EVOH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케톤 및 활제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폴리케톤 조성물과 필름을 제조하였다.
폴리케톤
(wt%)
EVOH
(wt%)
활제(phr) 상용화제(phr) MI(g/10min)
EMAA EAA C1 C3
실시예 1 70 30 2 - - - 3.6
실시예 2 70 30 5 - - - 4.1
실시예 3 65 35 - 2 5 - 7.1
실시예 4 65 35 - 2 10 - 5.9
실시예 5 65 35 - 2 15 - 4.2
실시예 6 65 35 - 2 - 5 7.2
실시예 7 65 35 - 2 - 10 6.6
실시예 8 65 35 - 2 - 15 5.8
비교예 1 100 - - - - 3.8
비교예 2 100 - 2 - - 5.1
비교예 3 70 30 - - - 2.5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케톤 및 EVOH에 활제를 첨가할 시(실시예 1 및 2), 비교예 3 대비 MI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폴리케톤 단독에 활제를 첨가할 시(비교예 2), 비교예 1 대비 MI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활제를 첨가함으로써 MI가 증가하여 가공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활제 및 상용화제를 복합 적용할 경우(실시예 3 내지 8)에는 비교예 대비 MI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조성물 및 필름의 물성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 내지 5에 각각 나타내었다.
(1) 가공안정성 평가
폴리케톤 조성물의 가공 안정성은 COT, 하케 믹서 장기체류평가, 사출기 Spiral Flow Length 및 사출기 체류 평가를 종합하여 평가하였으며, 각 평가방법은 하기에 나타내었다.
(a) COT 측정
폴리케톤 조성물 펠렛을 미니 사출기로 COT 시편으로 사출한 후, 레오미터(㈜Anton Paar의 Physica MCR 301)를 통해 COT(Cross Over Time, Gel point, @220℃)를 측정하여 가공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겔화점(Gel point)은 G′=G″일 때의 시간(졸-겔 전이 시간; sol-gel transition time point)으로 판단하였다.
(b) 하케 믹서(Haake Mixer) 장기체류평가
Haake mixer의 챔버 외부 자켓온도를 220℃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시료 약 180g을 투입, 두 개의 Rotor를 100rpm의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챔버내부 Torque와 온도를 측정하였다.
COT(분) Torque
(Max, Nm)
온도(Max, ℃) 수지 완전 분해 시간(분)
실시예 1 37 67.3 262.5 >300
실시예 2 42 75.5 267.3 >300
실시예 3 - 66.0 274.1 -
실시예 4 - 76.6 274.8 -
실시예 5 - 64.0 264.2 -
실시예 6 - 62.9 273.5 -
실시예 7 - 77.4 273.3 -
실시예 8 38 63.8 258.7 -
비교예 1 67 59.6 257.9 153
비교예 2 57 55.1 254.3 111
비교예 3 24 64.5 269.7 267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케톤 및 EVOH에 활제 첨가 시(실시예 1 및 2), 비교예 3 대비 COT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는 반면, 폴리케톤 단독에 활제를 첨가할 시(비교예 2), 비교예 1 대비 COT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활제가 EVOH와의 중화 반응으로 인하여 조성물의 가공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 및 2는 활제를 포함함으로써 비교예 대비 COT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가공안정성 향상 효과가 있다고 보인다(COT와 가공안정성의 상관관계는 명확하지 않으나, 현재 가공안정성을 대변하는 하나의 지표로 사용 중임).
또한, 하케 믹서 장기 체류 평가 결과, 실시예 1 및 2의 경우 비교예 대비 Torque 및 온도 변화가 더 안정적이었으며, 300분까지 수지가 분해되지 않아 유동성을 잃어버리지 않고 안정성을 유지하여 압출 공정에서의 가공 안정성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은 153분 경과 후, 비교예 2는 111분 경과 후, 완전 분해되어 유동성을 잃어버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 사출기 Spiral Flow Length 및 사출기 체류 평가
형체력 1.5T 사출기에서 ASTM-D3123에 의거하여 Spiral Flow Length 사출을 진행하였다. 각 조성물을 압출 및 사출하여 진행을 하였으며, 작업온도는 220℃였다. 표 3에는 Spiral Flow Length 시편 10shot 길이에 대한 평균값을 기입하였다. 사출기 체류 평가는 계량 후 30분간 사출기의 히터를 220℃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사출기를 정지시켰으며, 일정 사출 체류 시간에 도달한 이후 10shot씩 사출을 진행하였다.
Flow Length(cm) 유지율(%)
0분 30분 60분 @30분 @60분
실시예 1 21.8 18.4 13.3 84.4 61.0
실시예 2 23.2 20.8 15.3 89.7 66.0
실시예 3 25.1 23.0 - 91.6 -
실시예 4 23.9 21.4 - 89.5 -
실시예 5 23.5 21.3 - 90.6 -
실시예 6 23.3 23.3 - 100 -
실시예 7 23.6 22.2 - 94.1 -
실시예 8 23.1 21.3 - 92.2 -
비교예 1 20.3 20.0 18.1 98.5 89.2
비교예 2 21.0 20.8 18.1 99.1 86.2
비교예 3 19.9 14.6 11.1 73.4 55.8
표 3을 살펴보면, 활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초기 길이 및 Flow length 유지율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시예 1 및 2). 한편, 폴리케톤 단독에 활제를 첨가할 경우(비교예 2), 초기 길이는 비교예 1 대비 소폭 증가하는 반면, 60분 후의 유지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활제는 폴리케톤이 아닌 EVOH와 반응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필름 제막 평가
산소투과도는 산소투과도 측정기(MOCON사 OX-TRAN 2/20)를 사용하였으며, 측정조건은 상온, 상압에서 50cm2크기의 샘플로 측정하였다.
산소투과도(cc/m2·day·atm, 100㎛)
실시예 1 0.31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0.79
실시예 5 0.19
실시예 6 -
실시예 7 0.79
실시예 8 0.18
비교예 1 9.4
비교예 2 0.23
비교예 3 0.35
표 4를 살펴보면, 실시예의 경우에는 산소투과도가 모두 1.0cc/m2·day·atm 이하로 기체 차단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용화제를 15phr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5 및 8)에는 산소투과도과 EVOH를 단독 포함하는 필름(0.29cc/m2·day·atm 수준)과 유사 수준으로 나타나 기체 차단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3) 필름 물성 평가
인장강신도는 15mmⅹ100mm 크기의 샘플로 측정하였으며, 인열강도는 4cmⅹ5cm 크기의 샘플로 측정하였다.
MD TD
인열강도
(N)
Yield Break 영율
(MPa)
인열강도
(N)
Break 영율
(MPa)
인장강도
(MPa)
신율
(%)
인장강도
(MPa)
신율
(%)
인장강도
(MPa)
신율
(%)
실시예 1 - 37.8 8.8 78.2 454.3 1,450.5 - 39.0 6.4 1,338.3
실시예 2 - 37.8 9.1 85.4 501.1 1,396.5 - 38.3 6.5 1,316.5
실시예 3 0.23 41.1 8.0 54.6 363 1,494 찢어지지
않음
(>2N)
36.7 63.3 1,357
실시예 4 0.29 41.1 8.7 59.2 424 1,490 40.0 43.4 1,484
실시예 5 0.32 35.2 7.6 62.6 418 1,349 30.0 61.2 1,073
실시예 6 0.30 48.9 7.5 67.7 419 1,766 46.6 35.7 1,701
실시예 7 0.62 43.6 7.6 55.4 390 1,606 39.7 38.9 1,468
실시예 8 1.49 42.7 7.3 63.4 412 1,590 39.4 46.3 1,462
비교예 1 >2N 34.7 12.5 67.1 486 959 >2N 61.6 487 967
비교예 2 - - - - - - - - - -
비교예 3 - 38.4 9.1 80.5 444.1 1,463.4 - 41.0 7.0 1,403.9
표 5를 보면, 실시예의 경우 MD 및 TD의 인장강도, 영율가 비교예 대비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상용화제를 적용한 경우(특히, 10중량% 이상 적용)에 기계적 물성, 특히 MD 방향의 인열강도가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용화제 C3 적용 시에는 MD의 인장강도 및 영율이 증가함과 동시에 TD 신율도 증가하였으며, 이는 MD 인열강도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산소 차단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물성 및 가공안정성도 우수한 특성을 동시에 개선하여 기체 차단성이 요구되는 식품용이나 화장품 용기에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필름에 비해 가격 면에서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폴리케톤 수지 50~90중량%;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10~5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케톤 수지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2~5phr; 및
    폴리아미드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무수말레산(SEBS-g-MA)가 혼합된 상용화제; 또는 폴리아미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무수말레산(SEBS-g-MA)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이 혼합된 상용화제를 5~15phr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며,
    두께가 20~1000㎛인 폴리케톤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산소 투과도가 1.0cc/m2/day·atm 이하이고, MD 인열강도가 0.2N 이상이며, TD 인열강도가 2.0N 이상인 폴리케톤 필름.
  4. 폴리케톤 수지 50~90중량%;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10~5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케톤 수지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2~5phr; 및
    폴리아미드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무수말레산(SEBS-g-MA)가 혼합된 상용화제; 또는 폴리아미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무수말레산(SEBS-g-MA)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이 혼합된 상용화제를 5~15phr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조성물.
  5. 삭제
  6. 삭제
KR1020190081430A 2019-07-05 2019-07-05 가공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필름 KR102291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30A KR102291063B1 (ko) 2019-07-05 2019-07-05 가공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30A KR102291063B1 (ko) 2019-07-05 2019-07-05 가공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661A KR20210004661A (ko) 2021-01-13
KR102291063B1 true KR102291063B1 (ko) 2021-08-18

Family

ID=7414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30A KR102291063B1 (ko) 2019-07-05 2019-07-05 가공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135B1 (ko) * 2021-03-26 2023-05-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폴리케톤계 3중 블렌드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포장재용 다층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537498B1 (ko) * 2021-07-23 2023-05-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폴리케톤계 포장재용 다층필름 및 그 제조방법
FR3143036A1 (fr) * 2022-12-13 2024-06-14 L'oreal Réceptacle destiné à contenir un produit cosmétique
CN117551408B (zh) * 2023-11-18 2024-08-02 佛山市金镭科技有限公司 一种冷烫电化铝用背胶及其制备方法和制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607B2 (ja) * 1996-09-25 2004-06-14 株式会社クラレ 多層構造体およびその用途
KR20120075923A (ko) *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 효성 기체 차단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26244B1 (ko) * 2013-04-11 2015-06-10 이동권 폴리케톤 및 폴리올레핀 기반의 접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 구조체
KR101750752B1 (ko) * 2015-10-15 2017-07-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고내열성 및 고차단성 복합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2948A (ko) *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및 폴리올레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661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063B1 (ko) 가공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필름
KR102291059B1 (ko) 폴리케톤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관
KR101684890B1 (ko) 폴리케톤 파이프 홀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6162B1 (ko) 폴리케톤 블렌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KR102156201B1 (ko) 접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 시트
KR101684884B1 (ko) 폴리케톤 자동차 엔진 커버
KR102123461B1 (ko) 난연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폴리케톤 조성물
KR20170090902A (ko)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고충격 폴리케톤 건전지 가스켓
KR101888071B1 (ko) 가공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KR20190131001A (ko) 강성 및 외관이 향상된 폴리케톤 조성물
KR101646035B1 (ko) 폴리케톤 자동차용 연료 탱크
KR102278150B1 (ko) 저온충격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플렉시블 튜브
KR102252488B1 (ko) 접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다층 압출 제품
WO2018124540A1 (ko) 에폭시기가 그래프트된 폴리케톤 상용화제 제조 및 이를 사용한 내열성이 향상된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의 제조방법
KR102020482B1 (ko) 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와 에틸렌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얼로이 조성물
KR102011917B1 (ko)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고충격 폴리케톤 조성물
KR102134151B1 (ko) 내마모성이 향상된 폴리케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 부품
KR101878794B1 (ko) 장기 내열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2011912B1 (ko) 유연성이 향상된 고충격 내열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1867937B1 (ko) 내수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케톤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도용 볼 밸브
KR20210109348A (ko) 표면 외관 및 강성이 향상된 폴리케톤 조성물
KR20210105080A (ko) 내수성이 우수한 이-클립 레일 체결장치용 폴리케톤 절연블록
KR101664221B1 (ko) 폴리케톤 자동차 외장 휠 커버
KR20200132438A (ko) 폴리케톤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용 친환경 펌프
KR101675284B1 (ko) 폴리케톤 블렌드를 포함하는 알칼리 건전지용 가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