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029B1 -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029B1
KR102290029B1 KR1020190168257A KR20190168257A KR102290029B1 KR 102290029 B1 KR102290029 B1 KR 102290029B1 KR 1020190168257 A KR1020190168257 A KR 1020190168257A KR 20190168257 A KR20190168257 A KR 20190168257A KR 102290029 B1 KR102290029 B1 KR 10229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l
lever
base
shaft
rotatably mou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752A (ko
Inventor
이기원
박혁구
Original Assignee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0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8Transversally moving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트라이커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래치레버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래치레버부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파울부를 포함하고, 파울부는 구속된 래치레버부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SEAT BACK LOCK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격된 부품간의 충돌에 의한 소음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와 같이 승용부와 트렁크부가 구분되지 않은 차량에는 리어시트가 폴딩구조로 설치되어 트렁크 공간의 확대 활용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폴딩구조로 설치된 리어시트의 시트백에는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구속 또는 해제하여 락킹/언락킹하는 시트백 록킹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시트백 록킹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백플레이트간에 형성되는 공간상에 탄력적으로 축 설치된 래치와 파울의 연동작용으로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구속 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스트라이커의 원활한 구속을 위해 파울과 클로우 사이에는 완충공간을 필요로 하는데, 주행중 진동에 의해 클로우가 파울과 충돌하여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1110호(2004.12.01. 등록, 발명의 명칭 : 자동차용 시트백 록킹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격된 부품간의 충돌에 의한 소음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트라이커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래치레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래치레버부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파울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울부는 구속된 상기 래치레버부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시트에 장착되는 베이스판부; 상기 베이스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레버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레버축부; 상기 베이스판부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레버축부와 마주보는 베이스레버절곡부; 상기 베이스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울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파울축부; 및 상기 베이스판부의 타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와 마주보는 베이스파울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레버부는 상기 베이스레버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레버몸체부; 상기 레버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삽입을 유도하는 레버삽입부; 상기 레버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울부에 걸려 잠금 상태가 되는 레버걸림부; 및 상기 베이스레버축부에 감기고, 상기 베이스판부에 일단부가 걸리며, 상기 베이스레버절곡부에 타단부가 걸려 상기 레버몸체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울부는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레버걸림부에 걸려 상기 레버몸체부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1파울부;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레버삽입부와의 이격된 공간을 제거하는 제2파울부; 및 상기 제1파울부와 상기 제2파울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파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파울부는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레버걸림부와 접촉되어 상기 레버몸체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파울몸체부; 상기 제1파울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걸림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제1파울걸림부; 상기 제1파울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파울확장부; 상기 제1파울확장부에 형성되는 제1파울돌기부; 및 상기 제1파울돌기부에 결합되고 외력을 제공하는 제1파울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파울부는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파울몸체부; 및 상기 제2파울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레버부의 회전으로 상기 레버걸림부와 이격되면 이동되어 상기 레버삽입부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파울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파울부는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에 감기는 제3파울감김부; 상기 제3파울감김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파울절곡부에 걸리는 제3파울걸림부; 상기 제3파울감김부의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파울몸체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파울몸체부; 및 상기 제3파울감김부의 타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파울걸림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파울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는 래치레버부가 스트라이커를 잠금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래치레버부와 파울부간의 간격에 의한 접촉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래치레버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파울부가 회전된 래치레버부의 복귀를 제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래치레버부와 파울부간의 간격이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래치레버부와 파울부가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래치레버부와 파울부가 접촉되어 래치레버부의 유동이 제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레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래치레버부와 파울부가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래치레버부와 파울부가 접촉되어 래치레버부의 유동이 제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1)는 베이스부(10)와, 래치레버부(20)와, 파울부(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시트에 장착된다. 일예로, 차량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폴딩되어 적재공간이 되거나, 탑승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1)는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100)를 구속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래치레버부(20)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트라이커(10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킨다. 그리고, 파울부(30)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회전된 래치레버부(20)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한다. 이때, 파울부(30)는 구속된 래치레버부(20)와의 이격에 의한 소음을 억제한다.
즉, 래치레버부(20)는 초기 록킹단계로 진입하기 위해 파울부(30)와 일정 거리 이격된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파울부(30)는 1단계로 래치레버부(20)의 회전을 구속하고, 2단계로 래치레버부(20)와 파울부(30) 사이 간격을 제거하여 래치레버부(20)의 추가 유동에 의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는 베이스판부(11)와, 베이스레버축부(12)와, 베이스레버절곡부(13)와, 베이스파울축부(14)와, 베이스파울절곡부(15)를 포함한다.
베이스판부(11)는 시트에 장착된다. 일예로, 베이스판부(11)는 평탄한 플레이트 형상을 할 수 있다.
베이스레버축부(12)는 베이스판부(11)에 형성되고 래치레버부(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베이스레버축부(12)는 베이스판부(11)에 형성되는 홀에 장착되고 레버부(20)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베이스레버절곡부(13)는 베이스판부(11)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베이스레버축부(12)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예로, 베이스레버절곡부(13)는 베이스판부(11)의 좌측단에서 절곡되는 제1베이스레버절곡부(131)와, 제1베이스레버절곡부(13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베이스레버절곡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파울축부(14)는 베이스판부(11)에 형성되고, 파울부(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베이스파울축부(14)는 베이스판부(11)에 형성되는 홀에 장착되고, 파울부(30)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베이스파울절곡부(15)는 베이스판부(11)의 타단부에서 절곡되어 베이스파울축부(14)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예로, 베이스파울절곡부(15)는 베이스판부(11)의 우측단에서 절곡되는 제1베이스파울절곡부(151)와, 제1베이스파울절곡부(15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베이스파울절곡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레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레버부(20)는 레버몸체부(21)와, 레버삽입부(22)와, 레버걸림부(23)와, 레버복원부(24)를 포함한다.
레버몸체부(21)는 베이스레버축부(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베이스레버축부(12)는 레버몸체부(21)에 형성되는 홀을 관통하고, 레버몸체부(21)는 베이스레버축부(12)를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레버삽입부(22)는 레버몸체부(21)에 형성되고, 스트라이커(100)의 삽입을 유도한다. 일예로, 레버삽입부(22)는 도 2 기준으로 베이스레버축부(12)의 상방에 배치되고, 가장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개된 홀이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삽입부(2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트라이커(100)를 구속할 수 있다.
레버걸림부(23)는 레버몸체부(21)에 형성되고, 파울부(30)에 걸려 잠금 상태가 된다. 일예로, 레버걸림부(23)는 도 2 기준으로 베이스레버축부(12)의 하방에 배치되고, 레버몸체부(21)에서 돌출되어 파울부(30)와 맞물릴 수 있다. 파울부(30)가 레버걸림부(23)에 걸리면 레버걸림부(23)의 시계반대방향 회전이 제한되어 록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레버복원부(24)는 베이스레버축부(12)에 감기고, 일단부가 베이스판부(11)에 걸리며, 타단부가 베이스레버절곡부(13)에 걸려 레버몸체부(21)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레버복원부(24)는 래치레버부(20)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부(30)는 제1파울부(40)와, 제2파울부(50)와, 제3파울부(60)를 포함한다.
제1파울부(40)는 베이스파울축부(14)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레버걸림부(23)에 걸려 레버몸체부(21)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일예로, 레버삽입부(22)가 스트라이커(100)의 잠금 상태가 되도록 래치레버부(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파울부(40)가 레버걸림부(23)에 걸려 래치레버부(20)의 시계반대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래치레버부(20)가 스트라이커(10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파울부(50)는 베이스파울축부(14)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레버삽입부(22)와의 이격된 공간을 제거한다. 즉, 초기 스트라이커(100) 잠금 상태에서는 원활한 작동 구간을 확보하기 위해 레버삽입부(22)와 파울부(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트라이커(100) 잠금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진동이나 다른 외부환경으로 인해 래치레버부(20)가 시계방향으로 유동되어 레버삽입부(22)와 파울부(30)간의 접촉 소음이 발생한다. 제2파울부(50)는 래치레버부(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마다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레버걸림부(23)를 지지하여, 최종적으로 레버삽입부(22)와 파울부(30) 간의 이격 공간을 제거할 수 있다.
제3파울부(60)는 제1파울부(40)와 제2파울부(5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제3파울부(60)는 베이스파울축부(14)에 감기고 베이스판부(11)에 걸쳐진 상태에서 양단부가 제1파울부(40)와 제2파울부(50)에 각각 연결되어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울부(40)는 제1파울몸체부(41)와 제1파울걸림부(42)와, 제1파울확장부(43)와, 제1파울돌기부(44)와, 제1파울조작부(45)를 포함한다.
제1파울몸체부(41)는 베이스파울축부(14)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1파울몸체부(41)는 레버걸림부(23)와 접촉되어 레버몸체부(21)의 회전을 제한한다. 일예로, 제1파울몸체부(41)는 베이스파울축부(14)가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되고, 제3파울부(6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제1파울걸림부(42)는 제1파울몸체부(41)에 형성되고, 레버걸림부(23)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일예로, 제1파울걸림부(42)는 제1파울몸체부(41)에서 돌출되고, 레버걸림부(23)에 걸려 제1파울몸체부(41)의 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1파울걸림부(42)는 도 2를 기준으로 제1파울몸체부(41)의 7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파울확장부(43)는 제1파울몸체부(41)에 형성된다. 일예로, 제1파울확장부(43)는 도 2를 기준으로 제1파울몸체부(41)의 6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파울돌기부(44)는 제1파울확장부(43)에 형성된다. 일예로, 제1파울돌기부(44)는 도 2를 기준으로 제1파울확장부(43)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파울조작부(45)는 제1파울돌기부(44)에 결합되고 외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제1파울조작부(45)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으며, 제1파울조작부(45)의 조작으로 제1파울부(4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래치레버부(20)의 구속이 해제되면 래치레버부(2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울부(50)는 제2파울몸체부(51)와 제2파울구속부(52)를 포함한다.
제2파울몸체부(51)는 베이스파울축부(14)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제2파울몸체부(51)는 베이스파울축부(14)가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되고, 제3파울부(6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파울몸체부(51)는 도 2를 기준으로 제1파울몸체부(41)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파울구속부(52)는 제2파울몸체부(51)에 형성되고, 래치레버부(20)의 회전으로 레버걸림부(23)와 이격되면 이동되어 레버삽입부(22)의 유동을 제한한다. 일예로, 제2파울구속부(52)는 도 2를 기준으로 제2파울몸체부(51)의 8시 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는 제1지점(a)에서 제2지점(b)으로 갈수록 돌출 길이가 더 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래치레버부(20)가 시계방향으로 일시 회전될 때 제2파울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파울구속부(52)가 레버걸림부(23)를 지지하여 레버삽입부(22)의 복원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레버삽입부(22)가 파울부(30)에 밀착되어 추가 유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울부(50)는 제2파울걸림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파울걸림부(53)는 제2파울몸체부(51)에 형성되고, 제1파울돌기부(44)에 걸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파울조작부(45)의 조작으로 제1파울부(4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파울돌기부(44)에 걸린 제2파울걸림부(53)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파울구속부(52)에 의한 래치레버부(20)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파울부(60)는 제3파울감김부(61)와, 제3파울걸림부(62)와, 제3파울잠금부(63)와, 제3파울구속부(64)를 포함한다.
제3파울감김부(61)는 베이스파울축부(14)에 감기고, 제3파울걸림부(62)는 제3파울감김부(61)에서 연장되어 베이스파울절곡부(15)에 걸린다. 제3파울몸체부(63)는 제3파울감김부(61)의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제1파울몸체부(41)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3파울걸림부(64)는 제3파울감김부(63)의 타단부에서 연장되고, 제2파울걸림부(53)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탄성막대가 반으로 접힌 후 단부가 베이스파울절곡부(15)에 걸리고, 베이스파울축부(14)에 수회 감긴다. 그리고, 일단부는 제1파울몸체부(41)를 관통하여 제1파울몸체부(41)에 복원력을 제공하고, 타단부는 제2파울걸림부(53)에 걸려 제2파울걸림부(53)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래치레버부(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트라이커(100)는 레버삽입부(22)와 베이스판부(11) 사이에 구속된다. 이때, 래치레버부(20)는 파울부(30)에 걸려 시계반대방향 회전이 제한되므로, 록킹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초기 스트라이커(100) 잠금 상태에서는 원활한 작동 구간을 확보하기 위해 레버삽입부(22)와 파울부(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100) 잠금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진동이나 다른 외부환경으로 인해 래치레버부(20)가 시계방향으로 유동되어 레버삽입부(22)와 파울부(30)간의 접촉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래치레버부(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마다 제2파울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레버걸림부(23)를 지지하여, 최종적으로 레버삽입부(22)와 파울부(30) 간의 이격 공간을 제거하여 접촉 소음을 방지한다.
즉, 래치레버부(20)가 시계방향으로 일시 회전될 때 제2파울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파울구속부(52)가 레버걸림부(23)를 지지하여 레버삽입부(22)의 복원을 제한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레버삽입부(22)와 파울부(30) 사이 거리가 점점 좁혀지고, 최종적으로는 레버삽입부(22)가 파울부(30)에 밀착되어 추가 유동에 의한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1)는 래치레버부(20)가 스트라이커(100)를 잠금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래치레버부(20)와 파울부(30)간의 간격에 의한 접촉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래치레버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파울부(30)가 회전된 래치레버부(20)의 복귀를 제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래치레버부(20)와 파울부(30)간의 간격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부 11 : 베이스판부
12 : 베이스레버축부 13 : 베이스레버절곡부
14 : 베이스파울축부 15 : 베이스파울절곡부
20 : 래치레버부 21 : 레버몸체부
22 : 레버삽입부 23 : 레버걸림부
24 : 레버복원부 30 : 파울부
40 : 제1파울부 41 :제1파울몸체부
42 : 제1파울걸림부 43 : 제1파울확장부
44 : 제1파울돌기부 45 : 제1파울조작부
50 : 제2파울부 51 : 제2파울몸체부
52 : 제2파울구속부 60 : 제3파울부

Claims (7)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트라이커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래치레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래치레버부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파울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울부는 구속된 상기 래치레버부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억제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시트에 장착되는 베이스판부;
    상기 베이스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레버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레버축부; 및
    상기 베이스판부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레버축부와 마주보는 베이스레버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레버부는
    상기 베이스레버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레버몸체부;
    상기 레버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삽입을 유도하는 레버삽입부;
    상기 레버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울부에 걸려 잠금 상태가 되는 레버걸림부; 및
    상기 베이스레버축부에 감기고, 상기 베이스판부에 일단부가 걸리며, 상기 베이스레버절곡부에 타단부가 걸려 상기 레버몸체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울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파울축부; 및
    상기 베이스판부의 타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와 마주보는 베이스파울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부는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레버걸림부에 걸려 상기 레버몸체부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1파울부;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레버삽입부와의 이격된 공간을 제거하는 제2파울부; 및
    상기 제1파울부와 상기 제2파울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파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울부는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레버걸림부와 접촉되어 상기 레버몸체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파울몸체부;
    상기 제1파울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걸림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제1파울걸림부;
    상기 제1파울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파울확장부;
    상기 제1파울확장부에 형성되는 제1파울돌기부; 및
    상기 제1파울돌기부에 결합되고 외력을 제공하는 제1파울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울부는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파울몸체부; 및
    상기 제2파울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레버부의 회전으로 상기 레버걸림부와 이격되면 이동되어 상기 레버삽입부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파울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파울부는
    상기 베이스파울축부에 감기는 제3파울감김부;
    상기 제3파울감김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파울절곡부에 걸리는 제3파울걸림부;
    상기 제3파울감김부의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파울몸체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파울몸체부; 및
    상기 제3파울감김부의 타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파울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파울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KR1020190168257A 2019-12-16 2019-12-16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KR10229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257A KR102290029B1 (ko) 2019-12-16 2019-12-16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257A KR102290029B1 (ko) 2019-12-16 2019-12-16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52A KR20210076752A (ko) 2021-06-24
KR102290029B1 true KR102290029B1 (ko) 2021-08-17

Family

ID=7660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257A KR102290029B1 (ko) 2019-12-16 2019-12-16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0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176B1 (ko) 2013-10-31 2015-01-30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유격자동보상구조를 적용한 충격감쇄형 래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85B1 (ko) * 2004-01-14 2005-12-22 평화정공 주식회사 요동 방지형 시트백 래치
KR101187808B1 (ko) * 2010-05-06 2012-10-05 평화정공 주식회사 시트백 래치
KR101154803B1 (ko) * 2010-09-30 2012-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래치 구조
KR102062686B1 (ko) * 2013-08-30 2020-01-06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176B1 (ko) 2013-10-31 2015-01-30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유격자동보상구조를 적용한 충격감쇄형 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52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2477B2 (en)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inertial secondary catch position
KR101047562B1 (ko)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록킹장치
KR101013905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 록킹 어셈블리
KR101935921B1 (ko) 차량용 도어래치
US9109381B2 (en)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JP2014505617A (ja) 座席の折り畳み式背もたれ用ロック装置
JP3887265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
KR102290029B1 (ko) 차량용 시트백 록킹장치
JP5471921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のストッパ構造
KR101662900B1 (ko) 차량용 후드래치
JP629842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094429B2 (ja) 収納装置
KR101640687B1 (ko) 리어시트의 시트백 록킹장치
JP4733118B2 (ja) 車両部品および衝突の場合に開口に対して枢動可能な部品を保護する方法
JP618276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2013220779A (ja) シート部材固定用留め具
KR101826005B1 (ko) 차량의 시트 래치
JP6075941B2 (ja) 車両のシートバックロック構造
JP2017087929A (ja) シートロック装置
KR101755828B1 (ko)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JP2008502528A5 (ko)
KR101868109B1 (ko)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KR101596572B1 (ko) 자동차용 래치장치
KR100893078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의 폴딩장치
JP2021025347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