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639B1 -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639B1
KR102289639B1 KR1020190118999A KR20190118999A KR102289639B1 KR 102289639 B1 KR102289639 B1 KR 102289639B1 KR 1020190118999 A KR1020190118999 A KR 1020190118999A KR 20190118999 A KR20190118999 A KR 20190118999A KR 102289639 B1 KR102289639 B1 KR 102289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arian cancer
prognosis
protein
predicting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676A (ko
Inventor
김희승
송권화
임화선
이은지
박수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8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6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49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ova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8Prognosis of disease develo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G01N2333/47Assays involving proteins of known structure or function as defined in the subgroups
    • G01N2333/4701Details
    • G01N2333/4703Regulators; Modulating a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G01N2333/47Assays involving proteins of known structure or function as defined in the subgroups
    • G01N2333/4701Details
    • G01N2333/4703Regulators; Modulating activity
    • G01N2333/4704Inhibitors; Supres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n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은 HIF-1ß(Hypoxia-inducible factor-1 beta) 및 VHL(von Hippel-Lindau)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난소암, 특히 상피성 난소암(epithelial ovarian cancer)의 가장 흔한 조직학적 유형인 고등급 장액성(high-grade serous cystadenocarcinoma) 난소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차 치료 후 조직을 대상으로 특정 바이오마커의 발현을 분석하여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난소암 환자가 적절한 예후 조치를 받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BIOMARKERS FOR PROGNOSIS PREDICTION OF OVARIAN CANCER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또는 키트 및 난소암의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산소증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암성화(carcinogenesis) 및 암진행(progression)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상피성 난소암의 경우 HIF-1α(hypoxia-inducible factor-1 alpha) 및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정도만 평가되어 있다.
그러나, 상피성 난소암이라 하더라도, 고등급 장액성(high-grade serous cystadenocarcinoma), 저등급 장액성(low-grade serous cystadenocarcinoma), 자궁내막양(endometrioid adenocarcinoma), 투명세포(clear cell carcinoma) 난소암 등 다양한 조직학적 유형이 존재하고, 각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예후 예측을 위한 저산소증 관련 유전자들의 역할에 대한 평가는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전체 상피성 난소암 중 70 % 내지 80 %를 차지하는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을 대상으로 예후 예측을 위한 특이성 저산소증 유전자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소암, 특히 상피성 난소암(epithelial ovarian cancer)의 가장 흔한 조직학적 유형인 고등급 장액성(high-grade serous cystadenocarcinoma) 난소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차 치료 후 조직을 대상으로 특정 바이오마커의 발현을 분석하여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난소암 환자가 적절한 예후 조치를 받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난소암의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HIF-1ß(Hypoxia-inducible factor-1 beta) 및 VHL(von Hippel-Lindau)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난소암은 고등급 장액성(high-grade serous cystadenocarcinoma) 난소암일 수 있다.
상기 난소암의 진행에 따라, 상기 HIF-1ß의 발현은 증가하고, 상기 VHL의 발현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쌍, 프로브 또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상기 HIF-1ß의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 서열번호 1 또는 2일 수 있다.
서열번호 1: 5'-AGGAACAGATGCAGGAATGG-3' (Forward)
서열번호 2: 5'-GGCTGGTAGCCAACAGTAGC-3' (Reverse)
상기 VHL의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 서열번호 3 또는 4일 수 있다.
서열번호 3: 5'-CCCAAATGTGCAGAAAGACC-3' (Forward)
서열번호 4: 5'-AGGCAGACAAGTCACCAACC-3' (Reverse)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HIF-1ß(Hypoxia-inducible factor-1 beta) 및 VHL(von Hippel-Lindau)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대조군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소암의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난소암, 특히 상피성 난소암(epithelial ovarian cancer)의 가장 흔한 조직학적 유형인 고등급 장액성(high-grade serous cystadenocarcinoma) 난소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차 치료 후 조직을 대상으로 특정 바이오마커의 발현을 분석하여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난소암 환자가 적절한 예후 조치를 받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정상난소(normal ovary) 및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high-grade serous ovarian carcinoma; HGSO)에서의 HIF-1ß 및 VHL의 기저 발현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세포주인 OV90에서 (가) cisplatin의 IC50 결정과 (나) IC50의 cisplatin 투여 후 저산소증 심화에 따라 OV90 세포 생존율의 증가(항암제 저항성 증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세포주인 OV90에 cisplatin 투여 후 저산소증 심화에 따른 (가) CBP, (나) P300, (다) HIF-1α, (라) HIF-1ß, (마) FIH, (바) VHL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저산소증 심화에 따라 HIF-1ß mRNA 발현이 증가하고 VHL mRNA 발현은 감소한다.
도 4는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세포주인 OV90에서 cisplatin 투여 후 저산소증 심화에 따라 HIF-1ß 단백질 발현 증가 및 VHL 단백질 발현 감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세포인 OV90을 대상으로 proliferation assay를 이용하여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NAC(N-acetylcysteine)의 농도 범위를 결정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1 mM 내지 10 mM을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농도의 범위로 확인하였다.
도 6은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세포인 OV90을 대상으로 (가) NAC 점진적 증가에 따른 OV90에서의 활성산소 감소 및 (나) NAC에 cisplatin 추가에 의한 활성산소 감소 억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세포주인 OV90에서 cisplatin 투여 후 NAC의 증가에 따라 HIF-1ß 단백질 발현 증가 및 VHL 단백질 발현 감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환자에서 저산소증 유전자 발현에 따른 무진행생존률 비교 평가 결과((가) CBP; (나) P300; (다) HIF-1α; (라) HIF-1ß; (마) FIH; (바) VHL)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중 HIF-1ß의 발현이 낮을수록, VHL의 발현이 높을수록 무진행생존률이 유의하게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피성 난소암의 가장 흔한 조직학적 유형인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차 치료 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HIF-1ß과 VHL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을 대상으로 조직에서의 HIF-1ß 발현 증가 및 VHL의 발현 감소는 저산소증의 심화를 의미하여, 이는 항암제 저항성의 증가를 유도하여 생존율 저하 및 예후 불량을 예측할 수 있다.
즉,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이 진행할 경우 저산소증이 심화되고, 저산소증이 심화되면서 HIF-1ß의 발현이 증가고 VHL의 발현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에서 HIF-1ß의 기저 발현은 산소의 전달이 충분한 정상 난소 조직과 비교하여 낮고, VHL의 기저 발현은 역으로 정상 난소 조직과 비교하여 높다.
또한, 인체유래 불멸화된 난소암 세포주(immortalized ovarian cancer cell line)에서 저산소증이 심화됨에 따라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에서의 항암제 저항성이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조직에서의 HIF-1ß 발현 증가 및 VHL의 발현 감소는 생존율 저하로 이어지고, 예후 불량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은 HIF-1ß(Hypoxia-inducible factor-1 beta) 및 VHL(von Hippel-Lindau)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진단"은 병태 생리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양상에서의 진단은 난소암의 여부 및/또는 그 정도, 즉, 진행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며, 치료 또는 수술 후의 예후, 즉 재발 가능성의 여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마커(marker)"란 정상군 개체와 난소암을 가진 개체를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는 물질로, 본 발명의 난소암을 가지는 개체에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 폴리펩티드, 단백질 또는 핵산, 유전자 지질, 당지질, 당단백질 또는 당 등과 같은 유기 생체 분자들을 모두 포함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난소암을 가지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조직에서 변화되는 단백질 또는 유전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난소암 환자에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 마커인 HIF-1ß 및 VHL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마커의 검출 및/또는 정량에 사용될 수 있는 분자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예를 들어,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쌍, 프로브 또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전자들의 핵산 정보는 Genebank 등에 알려져 있으므로, 당업자는 상기 서열을 바탕으로 이들 유전자의 특정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를 디자인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프라이머쌍"은 표적 유전자 서열을 인지하는 정방향(Forward) 및 역방향(Reverse)의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모든 조합의 프라이머쌍을 포함하고, 상세하게는 특이성 및 민감성을 가지는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프라이머 쌍이다. 프라이머의 핵산 서열이 시료내 존재하는 비-표적 서열과 불일치하는 서열이어서, 상보적인 프라이머 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표적 유전자 서열만 증폭하고 비특이적 증폭을 유발하지 않는 프라이머일 때, 높은 특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HIF-1ß의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 서열번호 1 또는 2일 수 있고, 상기 VHL의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 서열번호 3 또는 4일 수 있다.
서열번호 1: 5'-AGGAACAGATGCAGGAATGG-3' (Forward)
서열번호 2: 5'-GGCTGGTAGCCAACAGTAGC-3' (Reverse)
서열번호 3: 5'-CCCAAATGTGCAGAAAGACC-3' (Forward)
서열번호 4: 5'-AGGCAGACAAGTCACCAACC-3' (Rever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프로브"란 시료 내의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상기 결합을 통하여 특이적으로 시료 내의 표적 물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프로브 분자의 종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PNA(peptide nucleic acid), LNA(locked nucleic acid),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단백질, RNA 또는 DNA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브는 바이오 물질로서 생물에서 유래되거나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생체 외에서 제조된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효소, 단백질, 항체, 미생물, 동식물 세포 및 기관, 신경세포, DNA 및 RNA일 수 있으며, DNA는 cDNA, 게놈 D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며, RNA는 게놈 RNA, mRNA, 올리고뉴 클레오티드를 포함하며, 단백질의 예로는 항체, 항원, 효소, 펩타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특정 mRNA의 서열에 상보적인 핵산 서열을 함유하고 있는 DNA 또는 RNA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서, mRNA 내의 상보적인 서열에 결합하여 mRNA의 단백질로의 번역을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상기 유전자들의 mRNA에 상보적이고 상기 mRNA에 결합할 수 있는 DNA 또는 RNA 서열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유전자 mRNA의 번역, 세포질 내로의 전위(translocation), 성숙(maturation) 또는 다른 모든 전체적인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필수적인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길이는 6 내지 100 염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60 염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염기일 수 있다. 상기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통상의 방법으로 시험관 내에서 합성되어 생체 내로 투여하거나 생체 내에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합성되도록 할 수 있다. 시험관 내에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는 한가지 예는 RNA 중합효소 I를 이용하는 것이다. 생체 내에서 안티센스 RNA가 합성되도록 하는 한 가지 예는 다중클로닝부위(MCS)의 기원이 반대 방향에 있는 벡터를 사용하여 안티센스 RNA가 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티센스 RNA는 서열 내에 번역 중지 코돈이 존재하도록 하여 펩타이드 서열로 번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커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예를 들어, 상기 마커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으며, 상기 항체는 다중클론 항체 또는 단일클론 항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항체"는 항원성 부위에 대해서 지시되는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항체는 마커 단백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하며, 다클론 항체, 단클론 항체 및 재조합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항체를 생성하는 것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항체는 2 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 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이란 적어도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뜻하며, Fab, F(ab'), F(ab') 2 및 Fv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키트는 상기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트는 난소암 진단 마커인 HIF-1ß 및 VHL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그 유전자의 mRNA 또는 그 단백질의 발현양을 측정함으로써, 난소암을 진단할 수 있다.
상기 키트에는 난소암 진단 마커 유전자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 예를 들어,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쌍, 프로브 또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고,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 예를 들어, 상기 마커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 항체의 면역결합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키트는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키트, DNA 칩 키트,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래피드(rapid) 키트 또는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키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는 분석 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 성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키트는 역전사 중합효소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일 수 있다.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키트는 마커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인 각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한다. 프라이머는 상기 각 유전자의 핵산서열에 특이적인 서열을 가지는 뉴클레오타이드로서, 약 7 bp 내지 50 bp의 길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bp 내지 30 bp 의 길이이다. 또한, 대조군 유전자의 핵산 서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키트는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pH 및 마그네슘 농도는 다양할 수 있음), 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dNTPs), Taq-폴리머라아제 및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DNA 칩 키트는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가 부착되어 있는 기판, 및 형광표식 프로브를 제작하기 위한 시약, 제제, 효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은 대조군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키트는 LISA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진단 키트일 수 있다.
ELISA 키트는 상기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한다. 항체는 각 마커 단백질에 대한 특이성 및 친화성이 높고 다른 단백질에 대한 교차 반응성이 거의 없는 항체로, 단클론 항체, 다클론 항체 또는 재조합 항체이다. 또한 ELISA 키트는 대조군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ELISA 키트는 결합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시약, 예를 들면, 표지된 2차 항체, 발색단(chromophores), 효소(예: 항체와 컨주게이트됨) 및 그의 기질 또는 항체와 결합할 수 있는 다른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키트는 분석결과를 알 수 있는 신속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래피드(rapid) 키트일 수 있다. 래피드 키트는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한다. 항체는 각 마커 단백질에 대한 특이성 및 친화성이 높고 다른 단백질에 대한 교차 반응성이 거의 없는 항체로, 단클론 항체, 다클론 항체 또는 재조합 항체이다. 또한, 래피드 키트는 대조군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래피드 키트는 결합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시약, 예를 들면, 특이항체와 2 차 항체가 고정된 나이트로 셀룰로오스 멤브레인, 항체가 결합된 비드에 결합된 멤브레인, 흡수패드와 샘플 패드 등 다른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키트는 질량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MS/MS 모드인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키트일 수 있다. SIM(Selected Ion Monitoring)이 질량분석기의 소스 부분에서 한 번 충돌하여 생긴 이온을 이용하는 방법인 반면, MRM은 상기 한 번 깨진 이온 중에서 특정 이온을 한 번 더 선택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또 다른 MS의 소스를 한 번 더 통과시켜 충돌시킨 후 이 중에서 얻은 이온들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분석 방법들을 통하여, 정상 대조군, 또는 동일 개체의 단백질 발현 수준과 난소암을 가진 개체에서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비교할 수 있고, 또한, 난소암 마커 유전자에서 단백질로의 유의한 발현량 증감여부를 판단하여, 난소암의 발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난소암의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은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HIF-1ß(Hypoxia-inducible factor-1 beta) 및 VHL(von Hippel-Lindau)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예후가 이미 알려져 있는 대조군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제공방법은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HIF-1ß 및 VHL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은 상기 마커 유전자의 mRNA 발현양 또는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의 발현양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개체의 시료로부터 mRNA 또는 단백질을 분리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체의 난소암 조직을 단백질 추출용 버퍼 또는 핵산 추출용 버퍼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 후, 얻어진 상등액을 개체의 시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난소암의 진단 또는 난소암 치료 후의 예후, 즉 재발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대상을 의미한다. 상기 개체는 척추동물, 포유동물, 또는 인간(Homo sapien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또는 소변일 수 있다.
상기 mRNA 발현 수준의 측정은, 예를 들어, 역전사효소 중합반응(RT-PCR),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competitive RT-PCR), 실시간 역전사 효소 중합효소반응(real time quantitative RT-PCR), 정량적 중합효소반응(quantitativ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method), 노던 블랏팅(Nothern blotting) 또는 DNA 칩 방법(DNA chip technology)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 발현 수준의 측정은, 예를 들어,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 면역조직화학염색법(immunohistochemical staining),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nent Fixation Assay) 또는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방법은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예후가 이미 알려져 있는 대조군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난소암 환자의 시료에서 마커 유전자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고, 예후가 이미 알려져 있는 대조군의 동일한 마커 유전자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환자 시료에서 마커 유전자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더 증가하거나 또는 더 감소하는 정도에 따라 난소암 여부 및 그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난소암 환자가 치료 또는 수술 후의 환자일 경우, 재발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에서 종양의 진행에 따른 저산소증의 심화에 따라 HIF-1ß의 발현이 증가하고 VHL의 발현이 감소하며, 이러한 HIF-1ß와 VHL의 발현 변화가 예후 불량 인자임을 세포주, 조직 및 임상의 단계적 유효성 평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1) 신선동결조직(fresh frozen tissue)을 이용한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에서 HIF-1ß의 낮은 기저 발현 및 VHL의 높은 기저 발현
정상 난소와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신선동결조직을 각각 5 개씩 확보한 후 각 조직으로부터 RNA를 추출하고 cDNA(complementary DNA)를 합성하였다. 이후, 암성화 및 암진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저산소증 유전자 6 개, CBP(cAMP-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binding protein), P300(adenovirus early region 1A-binding protein P300), FIH(factor-inhibiting hypoxia-inducible factor), VHL(von Hippel-Lindau), HIF-1α, HIF-1ß를 대상으로 정방향(forward) 및 역방향(reverse) 프라이머를 아래 표 1과 같이 제작하였다.
Gene Strand 5'→3' RT size qRT size
CBP Forward AGGACCTGACGTACCTGTGC 363 114
Reverse AATGACTCTGGGTCCTGTCG
P300 Forward ATATGCCACCATGGAGAAGC 481 147
Reverse ATGGACCAGAGACTGGATGC
FIH Forward CCCATACCCTGTTCATCACC 469 121
Reverse GTGCAGCGTGCAATACTAGC
VHL Forward CCCAAATGTGCAGAAAGACC 486 109
Reverse AGGCAGACAAGTCACCAACC
HIF-1α Forward TCAGCTATTTGCGTGTGAGG 475 178
Reverse AGCACCAAGCAGGTCATAGG
HIF-1ß Forward AGGAACAGATGCAGGAATGG 308 177
Reverse GGCTGGTAGCCAACAGTAGC
저산소증 관련 유전자들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시행하여 mRNA의 기저 발현을 정상 난소 및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신선동결조직에서 비교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HIF-1ß는 정상 난소조직보다 mRNA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VHL는 정상 난소조직보다 mRNA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2) 저산소증 심화에 따른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에서의 항암제 저항성 증가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세포주인 OV90을 이용하여 대표 항암제인 cisplatin의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을 측정하여 50 umol/L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OV90의 배양 조건을 정상, 저산소증(O2 5 %, 3 %, 1 %)으로 단계적으로 구획하여 cisplatin의 IC50 농도에서의 세포 생존율을 비교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정상 조건에서는 cisplatin 투여 후 OV90 세포의 생존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저산소증의 심화에 따라 OV90 세포의 생존율이 증가하여 저산소증 심화에 따라 항암제 저항성을 획득함을 확인하였다.
(3) 저산소증 심화에 따른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에서의 HIF-1ß의 발현 증가 및 VHL의 발현 감소
정상, 저산소증(O2 5 %, 3 %, 1 %)으로 단계적으로 구획하여 cisplatin을 투여한 후 OV90 세포주로부터 RNA를 추출하여 cDNA를 합성 후 quantitative RT-PCR을 시행하였고, 저산소증의 심화에 따라 저산소증 관련 유전자들의 mRNA 발현을 비교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가)는 CBP, (나)는 P300, (다)는 HIF-1α, (라)는 HIF-1ß, (마)는 FIH, (바)는 VHL에 대한 결과이다.
그 결과, 저산소증의 심화에 따라 CBP, P300, FIH, VHL는 감소하고, HIF-1α와 HIF-1ß의 발현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을 시행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cisplatin 투여 후 저산소증 심화에 따라 OV90 세포주에서 HIF-1ß의 단백질 발현은 증가하고, VHL의 단백질 발현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암제 저항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산소의 증가가 활성산소 억제제인 NAC의 적용에 의한 저산소증 유도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전에, 도 5와 같이,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세포인 OV90의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NAC의 농도가 1 mM 내지 10 mM임을 proliferation assay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이후, DCF(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형광 염료(fluorescent dye)를 이용하여 NAC의 점진적인 농도 증가에 따라 활성산소가 점진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NAC와 cisplatin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 활성산소의 유의한 감소가 확인되지 않아, 저산소증의 심화에 따른 활성산소의 감소가 cisplatin에 의해 억제되어 항암제 저항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을 시행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활성산소의 감소를 위한 NAC의 농도를 증가하면서 cisplatin을 투여할 경우, NAC의 증가에 따라 OV90 세포주에서 HIF-1ß의 단백질 발현은 증가하고, VHL의 단백질 발현은 감소함을 확인하여, 저산소증의 심화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4)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조직에서의 HIF-1ß 발현 증가 및 VHL의 발현 감소에 따른 생존율 저하
149 명의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인자와 조직에서의 저산소증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환자의 조직을 대상으로 면역화학조직검사를 시행하고, 염색 강도(intensity; 1, 약; 2, 중; 3, 강)와 염색 분포(percentage; 1, <25 %; 2, 25 % 내지 50 %; 3, 51 % 내지 75 %; 4, >75 %)의 곱셈에 의한 점수가 6 이상일 경우 고발현(high-expression)으로 정의하고, 6 미만일 경우 저발현(low-expression)으로 정의하였다.
임상병리학적 인자 고등급장액성 난소암(n=149, %) P300 41 (27.5)
저발현 108 (72.5)
나이 (평균, 범위) 54 (28, 80) 고발현
FIGO 병기 HIF-1α
1기 5 (3.4) 저발현 61 (40.9)
2기 6 (4) 고발현 88 (59.1)
3기 112 (75.1) HIF-1 ß
4기 26 (17.5) 저발현 88 (59.1)
최적종양감축술
(잔여종양크기 ≤1 cm)
고발현 61 (40.9)
FIH
성공 82 (55) 저발현 40 (26.8)
실패 67 (45) 고발현 109 (73.2)
CBP VHL
저발현 37 (24.8) 저발현 128 (85.9)
고발현 112 (75.2) 고발현 21 (14.1)
또한,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저산소증 유전자의 발현 정도에 따른 무진행생존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서 (가)는 CBP, (나)는 P300, (다)는 HIF-1α, (라)는 HIF-1ß, (마)는 FIH, (바)는 VHL에 대한 결과이다.
상기 도 8을 참고하면, HIF-1 ß가 저발현을 보이는 경우, VHL가 고발현을 보이는 경우 무진행생존율의 향상을 보였다.
또한,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환자들의 무진행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찾기 위해 다변수 Cox 분석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임상병리학적 인자 Adjusted HR 95% Confidence interval P value
FIGO 병기 I-II기 0.273 0.085-0.878 0.029
최적종양감축술 0.593 0.397-0.884 0.010
HIF-1ß 저발현 0.657 0.443-0.975 0.037
VHL 고발현 0.381 0.165-0.878 0.023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HIF-1 ß이 저발현된 경우 hazard ratio (HR) = 0.657로 34.3 %의 위험률이 감소하고, VHL이 고발현된 경우 HR = 0.381로 62.9 %의 위험률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피성 난소암 중 가장 흔한 조직학적 유형인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의 예후 인자인 HIF-1ß와 VHL을 예후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로 이용할 수 있고, 임상적으로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 대상 HIF-1ß와 VHL의 조직 발현을 확인하여 예후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치료 계획 수립 및 상담(counseling)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120> BIOMARKERS FOR PROGNOSIS PREDICTION OF OVARIAN CANCER AND USES THEREOF <130> CDP20190753 <140> 10-2019-0118999 <141> 2019-09-26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sequence <400> 1 aggaacagat gcaggaatg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sequence <400> 2 ggctggtagc caacagtagc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sequence <400> 3 cccaaatgtg cagaaagacc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sequence <400> 4 aggcagacaa gtcaccaacc 20

Claims (9)

  1. HIF-1ß(Hypoxia-inducible factor-1 beta) 및 VHL(von Hippel-Lindau)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소암은 고등급 장액성(high-grade serous cystadenocarcinoma) 난소암인 것인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소암의 진행에 따라, 상기 HIF-1ß의 발현은 증가하고, 상기 VHL의 발현은 감소하는 것인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쌍, 프로브 또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인 것인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HIF-1ß의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 서열번호 1 또는 2인 것인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서열번호 1: 5'-AGGAACAGATGCAGGAATGG-3' (Forward)
    서열번호 2: 5'-GGCTGGTAGCCAACAGTAGC-3' (Reverse)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VHL의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 서열번호 3 또는 4인 것인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서열번호 3: 5'-CCCAAATGTGCAGAAAGACC-3' (Forward)
    서열번호 4: 5'-AGGCAGACAAGTCACCAACC-3' (Reverse)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것인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키트.
  9.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HIF-1ß(Hypoxia-inducible factor-1 beta) 및 VHL(von Hippel-Lindau)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예후가 이미 알려져 있는 대조군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난소암의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KR1020190118999A 2019-09-26 2019-09-26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289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99A KR102289639B1 (ko) 2019-09-26 2019-09-26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99A KR102289639B1 (ko) 2019-09-26 2019-09-26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76A KR20210036676A (ko) 2021-04-05
KR102289639B1 true KR102289639B1 (ko) 2021-08-18

Family

ID=7546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999A KR102289639B1 (ko) 2019-09-26 2019-09-26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2673B (zh) * 2022-04-30 2023-07-28 重庆大学附属肿瘤医院 一种检测isyna1表达水平的试剂在制备卵巢癌干性鉴别试剂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ynecol Oncol. 2007 Aug, 106(2): 311-317.
Int J Mol Med. 2014 May, 33(5): 1236-124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76A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nn et al. Prognostic molecular marker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KR101032607B1 (ko) 간암 진단용 단백질성 마커
EP1924710B1 (en) Methods of diagnosing ovarian cancer
JP2011526693A (ja) 転移に関連する徴候および決定因子、ならびにそれらの使用方法
US20130143753A1 (en) Methods for predicting outcome of breast cancer, and/or risk of relapse, response or survival of a patient suffering therefrom
US9353416B2 (en) Gene relating to estimation of postoperative prognosis for breast cancer
KR20130046457A (ko) 신규한 대장암 진단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대장암 진단 키트
KR102289639B1 (ko)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JP6192122B2 (ja) 結腸直腸癌診断および予測のためのバイオマーカー
Hu et al. Incidence, clinicopathologic features, her2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profile, and Oncotype DX results of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low breast cancers: experience from a single academic center
JP5403534B2 (ja) 食道癌の予後予測のための情報を提供する方法
CN114164273B (zh) 一种鳞癌的预后标志物、预后风险评估模型的建立方法及其应用
KR101786309B1 (ko) 사이클린(Cyclin) D1 b 를 이용한 갑상선암의 진단 방법
KR102499664B1 (ko) 암의 진단용 조성물
KR101238196B1 (ko) 대장암의 간 전이 진단용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1815253B1 (ko) 간 섬유화 진단용 바이오마커 cxcl14
KR102448589B1 (ko) 췌장암의 전이를 예측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00085390A (ko) Ripk3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증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US20170029898A1 (en) Novel method for screening for prostate cancer
RU2817940C1 (ru)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риска летального исхода в первые 4 года от начала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го лечения у больных плоскоклеточным раком легкого
KR20190023708A (ko) 폐 편평상피세포암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폐 편평상피세포암 진단방법
EP4317458A1 (en) Follicular thyroid cancer-specific marker
US20220090198A1 (en) Analysis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urolithiasis
US20230045066A1 (en) Biomarkers for diagnosing breast cancer and uses thereof
JP2017529074A (ja) 治療剤に対する抵抗性の診断に使用するためのERCC1アイソフォーム3のmRNAおよび/またはタンパク質ならびにこのmRNAおよび/またはタンパク質を使用する治療剤に対する抵抗性を診断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