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461B1 -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461B1
KR102289461B1 KR1020190033290A KR20190033290A KR102289461B1 KR 102289461 B1 KR102289461 B1 KR 102289461B1 KR 1020190033290 A KR1020190033290 A KR 1020190033290A KR 20190033290 A KR20190033290 A KR 20190033290A KR 102289461 B1 KR102289461 B1 KR 10228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vehicle
event
data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263A (ko
Inventor
노찬호
이성진
조지훈
Original Assignee
세기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기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세기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5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3Near field communication [NF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은, 카드 타입의 리모컨에 구비된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이벤트 또는 제1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 또는 차량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이벤트를 플래그에 기초하여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와,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제1 이벤트에 대한 처리, 제2 이벤트에 대한 처리 및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처리를 시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며, 데이터 처리부는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제1 통신부를 통해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제2 통신부를 추가로 이용하여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CARD TYPE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TWO TRANSCEIVER,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출원은,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리모컨은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락/언락(Lock/Unlock) 시키거나 원격 시동과 같이 차량의 간단한 원격제어 기능을 지원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리모컨이 2개 이상의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통신부 별로 각각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해야 하며, 제어부의 수가 증가할수록 그에 따른 소비 전류 및 비용이 증가하며, 제어부 간의 신호 연계를 위해 별도 통신이 필요하고 데이터 지연이 발생한다.
특히, 차량용 리모컨이 카드 타입인 경우에는 많은 수의 회로 부품으로 인해 사이즈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08594호(“도어 제어 시스템”, 공개일: 2015년09월30일)이 있다.
본 발명은, 카드 타입의 리모컨이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소비 전류 및 비용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동작 전류가 낮고 응답 속도가 빠른 근거리용 제1 통신부의 장점과 차량 단말기와 거리가 멀거나 장애물 등으로 통신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한 장거리용 제2 통신부의 장점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함과 동시에 통신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마트 폰 및 차량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카드 타입의 리모컨에 구비된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이벤트 또는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 또는 차량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이벤트를 플래그에 기초하여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제1 이벤트 및 상기 제2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처리,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처리 및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처리를 시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제2 통신부를 추가로 이용하여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카드 타입의 리모컨은, 카드 형상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몸체판; 한 쌍의 상기 몸체판 사이에 제공되며, 일면에 안테나부, 단자부, 스위치부, 제어부를 구비하는 기판; 및 한 쌍의 상기 몸체판 사이에서 상기 기판과 나란하게 제공되며,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통신 거리가 서로 상이한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은 상대적으로 먼 거리 통신이 가능한 로라(LoRa) 통신이고, 상기 제2 무선 통신은 상기 제1 무선 통신보다 통신 거리가 짧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패턴화된 PIFA 안테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기판과 상기 배터리 둘레에 도포되는 충진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제외한 상기 기판과 상기 배터리는 상기 충진제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는 서브 기판 및 상기 서브 기판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기판은 상기 일면 중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단자부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단자부는 한 쌍의 충전 단자 및 한 쌍의 업데이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단자부는 상기 충전 단자를 통한 충전 진행 상태 및 상기 업데이트 단자를 통한 업데이트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소자(LED)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몸체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몸체판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제공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마트 폰 및 차량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 감지부에서, 상기 카드 타입의 리모컨에 구비된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이벤트 또는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 또는 차량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이벤트를 플래그에 기초하여 감지하는 제1 단계; 및 데이터 처리부에서, 상기 제1 이벤트 및 상기 제2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처리,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처리 및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처리를 시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제2 통신부를 추가로 이용하여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벤트 방식과 시분할 방식에 따라 하나의 제어부로 다중 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소비 전류 및 비용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카드 타입의 리모컨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무선 통신 거리가 짧은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제1 통신부를 통해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무선 통신 거리가 긴 제2 통신부를 추가로 이용하여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동작 전류가 낮고 응답 속도가 빠른 근거리용 제1 통신부의 장점과 차량 단말기와 거리가 멀거나 장애물 등으로 통신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한 장거리용 제2 통신부의 장점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차량 단말기 및 카드 타입의 리모컨은 무선 통신 거리가 짧은 제1 통신부와 무선 통신 거리가 긴 제2 통신부 모두를 통해 차량 상태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스마트 폰 및 차량 단말기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에 포함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2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2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4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4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과 차량 단말기 및 스마트 폰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카드 타입의 리모컨에서 기판과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스마트 폰 및 차량 단말기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과, 차량 단말기(100)과, 스마트 폰(30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은 상술한 차량 단말기(100)의 제1 통신부(111)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1 통신부(211) 및 차량 단말기(100)의 제2 통신부(112)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부(212)를 포함하는 통신부(210),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RSSI 측정부(220), 제어부(230),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250),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26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70), 타이머(280)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은 카드 타입으로, 스마트 폰(300)과 스마트 폰(300)의 케이스(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지갑 속에 삽입될 수 있다.
다음, 차량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 거리가 상이한 제1 통신부(111) 및 제2 통신부(112)를 포함하는 통신부(110), 도어락 제어부(141)와 시동 제어부(142)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부(140),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150),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16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70)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폰(300)은 상술한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의 제1 통신부(211)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1 통신부(311), 제어부(330),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350),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360)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부(111, 211, 311)는 제1 안테나(ANT1)를 통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일 수 있으며, 제2 통신부(112, 212)는 제2 안테나(ANT2)를 통해 비교적 먼 거리 통신이 가능한 로라(LoRa)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일 수 있다. 제1 통신부(111, 211, 311)의 통신 거리는 제2 통신부(112, 212)의 통신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술한 로라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블루투스 통신은 와이파이 통신이나 지그비 통신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LoRa 통신은 FSK(Frequency Shift Keying), ASK(Amplitude Shift Keying), PSK(Pase Shift Keying) 등의 통신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에 포함된 제어부(23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플래그 설정부(231), 이벤트 감지부(232) 및 데이터 처리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그 설정부(231)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에 구비된 스위치(입력부(250)에 대응됨) 조작이 발생되는 경우 혹은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 플래그를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데이터는 차량 제어 데이터와 차량 상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제어 데이터는, 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락이나 시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일 수 있으며, 차량 상태 데이터는, 예를 들면 차량 제어 데이터에 따라 도어락이나 시동을 제어한 후 제어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232)는 설정된 플래그에 기초하여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에 구비된 스위치(입력부(250)에 대응됨)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이벤트 또는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스마트 폰(300) 또는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데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제1 이벤트에 대한 처리, 제2 이벤트에 대한 처리 및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300)으로 전송하는 처리를 시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제2 통신부(212)를 추가로 이용하여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부(233)는, 감지된 이벤트가 제1 이벤트이면,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차량 상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제1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33)는, 감지된 이벤트가 제2 이벤트이면, 스마트 폰(300)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차량 상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제2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 처리부(233)는,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 이상이면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며,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 미만이면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 설정된 응답 시간 동안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상태 데이터는,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고,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와 이전에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시간적으로 늦게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는 무시하며,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이전에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와 상이한 경우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벤트 감지부(232)는 일정한 주기로 카운팅되는 타이머(280)에 의한 제3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더 감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3 이벤트가 감지되면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차량 상태 부가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차량 부가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수신된 차량 부가 데이터를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스마트 폰(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상태 부가 데이터는, 예를 들면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도난 감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2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2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4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4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b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절전 모드(S310), 이벤트 감지(S320), 제1 이벤트에 대한 처리(S330, S340), 제2 이벤트에 대한 처리(S350, S360), 차량 상태 데이터 전송 (S370)을 포함하는 메인 루틴(S30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절전 모드(S310) 상태에서, 이벤트 감지부(232)는 제1 이벤트 또는 제2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S320).
구체적으로, 이벤트 감지부(232)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에 구비된 스위치(입력부(250)에 대응됨)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이벤트 또는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스마트 폰(300) 또는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 또는 차량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S320).
도 4a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20을 설명하는 흐름도로, 제1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즉, 플래그 설정부(231)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에 구비된 스위치(입력부(250)에 대응됨) 조작이 발생되는지 판단하며(S411), 판단 결과 스위치 조작이 발생되면,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S412). 스위치 조작에 의해 플래그가 설정되면 이벤트 감지부(232)는 제1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20을 설명하는 흐름도로, 제2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즉, 플래그 설정부(231)는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며(S421), 판단 결과 차량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면 스마트 폰(300)으로부터 전송된 차량 데이터인지를 더 판단한다(S422). 만약 스마트 폰(300)으로부터 전송된 차량 데이터라면, 차량 데이터가 차량 제어 데이터인지 판단한다(S423). 차량 제어 데이터라면 플래그 설정부(231)는 대응하는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S424).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제어 데이터가 수신됨에 의해 플래그가 설정되면 이벤트 감지부(232)는 제2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차량 데이터가 차량 제어 데이터가 아니라면 스마트폰(300)과의 블루투스 연결 유지를 위한 제어 신호 등일 것이므로 그에 따른 응답 회신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425).
한편, 단계 S422에서의 판단 결과, 스마트 폰(300)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데이터가 아니라면,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인지를 더 판단할 수 있다(S426). 차량 상태 데이터라면 플래그 설정부(231)는 대응하는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S424).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상태 데이터가 수신됨에 의해 플래그가 설정되면 이벤트 감지부(232)는 제2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차량 데이터가 차량 상태 데이터가 아니라면 차량 단말기(100)와의 블루투스 연결 유지를 위한 제어 신호 등일 것이므로 그에 따른 응답 회신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427).
한편,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40을 설명하는 흐름도로,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제2 통신부(212)를 추가로 이용하여 차량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는 예시이다.
즉, 도 5a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 설정된 응답 시간 동안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면, 감지된 이벤트가 제1 이벤트이면(S330), 데이터 처리부(233)는 출력부(260)를 통해 제1 통신부(211)가 동작 상태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며(S521), 이후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522).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차량 단말기(100)는 제1 통신부(111)와 제2 통신부(112) 모두를 통해 차량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데이터 처리부(233)는, 기 설정된 응답 시간 동안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523).
판단 결과,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였다면, 이후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차량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524).
만약, 단계 S523에서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응답 시간 동안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데이터 처리부(233)는 출력부(260)를 통해 제2 통신부(212)가 동작 상태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며(S526), 이후 제2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527). 이후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2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가 전송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528).
이후, 이후 데이터 처리부(233)는 데이터 중복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525).
즉,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이전에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시간적으로 늦게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는 무시하며,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이전에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와 상이한 경우에는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중복 검사는 별도의 타이머(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차량 상태 데이터가 수신될 때 타이머를 개시하며,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 동안 추가로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와 이전에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의 동일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중복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a는 감지된 이벤트가 제1 이벤트인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감지된 이벤트가 제2 이벤트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의 단계 S340을 설명하는 흐름도로,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제2 통신부(212)를 추가로 이용하여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는 예시이다.
즉, 도 5b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 이상이면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며,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 미만이면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5b를 참조하면, 감지된 이벤트가 제1 이벤트이면(S330), RSSI 측정부(220)는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는 데이터 처리부(233)로 전달될 수 있다(S511).
이후, 데이터 처리부(233)는 측정된 RSSI가 기 설정된 값, 즉 기 설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512).
판단 결과, 측정된 RSSI가 기 설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 이상이면, 데이터 처리부(233)는 출력부(260)를 통해 제1 통신부(211)가 동작 상태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며(S513), 이후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514).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차량 단말기(100)는 제1 통신부(111)와 제2 통신부(112) 모두를 통해 차량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 모두를 통해 차량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515). 이후,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의 데이터 중복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516).
즉,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 각각을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이전에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시간적으로 늦게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는 무시하며,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 각각을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이전에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와 상이한 경우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512에서의 판단 결과, 측정된 RSSI가 기 설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 미만이면, 데이터 처리부(233)는 출력부(260)를 통해 제2 통신부(212)가 동작 상태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며(S517), 이후 제2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518). 이후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2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단말기(100)가 전송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519).
즉,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이전에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시간적으로 늦게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는 무시하며,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이전에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와 상이한 경우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타이머(280)에 의한 타이머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이벤트 감지부(232)는 일정한 주기로 카운팅되는 타이머(280)에 의한 제3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더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부(233)는 제3 이벤트가 감지되면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차량 상태 부가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차량 부가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수신된 차량 부가 데이터를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스마트 폰(3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 부가 데이터는, 예를 들면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도난 감지 데이터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과 차량 단말기 및 스마트 폰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과 차량 단말기(100)가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스마트 폰(300)의 제1 통신부(311)를 통해 차량 제어 데이터가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의 제1 통신부(211)로 전송될 수 있다(S601).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은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응답 신호(Ack)를 전송할 수 있다(S602).
다음,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은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100)의 제1 통신부(111)로 전송할 수 있으며(S603), 이후 차량 단말기(100)는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응답 신호(Ack)를 전송할 수 있다(S604).
이후 차량 단말기(100)는 차량 제어 데이터에 따라 차량 제어부(140)를 통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S605), 이후 차량 단말기(100)는 제1 통신부(111) 및 제2 통신부(112) 모두를 통해 차량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607).
이후,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은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중복 검사를 수행할 있다(S608).
이후,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은 제1 통신부(211)를 통해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609).
상술한 도 6에서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과 차량 단말기(100)가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과 차량 단말기(100)가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도 3, 도 5a 내지 도 5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 통신부(111, 211, 311)는 제1 안테나(ANT1)를 통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일 수 있으며, 제2 통신부(112, 122)는 제2 안테나(ANT2)를 통해 비교적 먼 거리 통신이 가능한 로라(LoRa)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일 수 있으며, 제1 통신부(111)의 통신 거리는 제2 통신부(112)의 통신 거리보다 짧을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술한 로라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블루투스 통신은 와이파이 통신이나 지그비 통신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LoRa 통신은 FSK(Frequency Shift Keying), ASK(Amplitude Shift Keying), PSK(Pase Shift Keying) 등의 통신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카드 타입의 리모컨에서 기판과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는 한 쌍의 몸체판(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판(100)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몸체판(1110)과 제2 몸체판(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판(1110)과 제2 몸체판(1120)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판(1100)은 PET-G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몸체판(11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판(1100)은 사각형의 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몸체판(11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카드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판(1100)의 외측 표면에는 다양한 정보가 인쇄된 인쇄층(1130)이 제공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인쇄층을 덮어 보호하는 코팅층(1140)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몸체판(100)은 추후 설명하는 기판(1200)과 배터리(1300)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 및 보호하는 케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은 기판(12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00)은 두께가 얇은 회로기판(PCB) 또는 연성회로기판(FPCB)일 수 있으며, 일면에 안테나부(1210), 단자부(1220), 스위치부(1230), 제어부(1240)를 구비할 수 있다.
기판(1200)은 한 쌍의 몸체판(1100), 즉 제1 몸체판(1110)과 제2 몸체판(11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기판(1200) 및 기판(1200) 상에 구비되는 안테나부(1210), 단자부(1220), 스위치부(1230) 및 제어부(1240) 등은 제1 몸체판(1110)과 제2 몸체판(1120) 사이에 고정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안테나부(1210)는 통신 거리가 서로 상이한 제1 안테나(1211)와 제2 안테나(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210)는 차량 단말기,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제1 안테나(1211)는 제1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안테나(1212)는 제2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무선 통신은 상대적으로 먼 거리 통신이 가능한 로라(LoRa) 통신이고, 제2 무선 통신은 제1 무선 통신보다 통신 거리가 짧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일 수 있다.
제1 안테나(1211)와 제2 안테나(1212)는 기판(1200)의 일면에 패턴화된 PIFA 안테나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테나(1211)와 제2 안테나(1212)는 기판(1200)의 일면에서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기판(1200)이 네 개의 변에 해당하는 네 개의 측면을 가지는 경우, 제1 안테나(1211)와 제2 안테나(1212)는 서로 상이한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를 통해서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고, 신호의 송수신 성능 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부(1220)는 한 쌍의 충전 단자(1221) 및 한 쌍의 업데이트 단자(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단자(1221)와 업데이트 단자(1222)는 기판(1200)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몸체판(110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충전 단자(1221)는 외부 전원 단자와 연결되어 배터리(1300)를 충전할 수 있다. 업데이트 단자(1222)는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작업으로 제품 사양 변경 등에 따른 지원 업무가 용이해지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자부(1220)는 충전 단자(1221)를 통한 배터리(1300)의 충전 진행 상태 및 업데이트 단자(1222)를 통한 제어부(1240)의 업데이트 진행 상태 등을 나타내는 발광소자(LED)(1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발광소자(1223)는 몸체판(110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발광소자(1223)에서 발광하는 빛을 통해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스위치부(1230)는 기판(1200) 상에 실장되는 서브 기판(1231) 및 서브 기판(1231)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기판(1231)은 기판(1200)의 일면 중 안테나부(1210)와 제어부(1240) 및 단자부(1220)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서브 기판(1231)은 기판(1200) 상에 스위치(1232)를 직접 장착하는 경우 발생되는 높이 편차를 보완할 수 있다.
스위치(1232)는 돔 스위치 또는 택트 스위치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가 서브 기판(123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스위치(1232)가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두 개 이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위치(1232)는 기판(1200)이 아닌 서브 기판(1231) 상에 설치됨으로써 두께 조정(깊이 보정)을 통해 추후 설명하는 충진제(1400)가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택감 및 불량율이 개선될 수 있다.
제어부(1240)는 LoRa IC(1241), PCM IC(1242), Reset IC(1243), G-sensor(1244), Charger IC(1245), EEPROM(12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40)는 안테나부(1210), 단자부(1220) 및 스위치부(1230)와 연결될 수 있다.
LoRa IC(1241)는 chirp-ss 변조를 이용한 Sub 1GHz 이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안정적인 원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PCM IC(1242)는 배터리가 최소전압 이하로 완전 방전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Reset IC(1243)는 외부의 ESD 유입으로 리모컨(200)의 주 기능(MCU)이 래치업 발생 시 재작동을 하게 한다. G-sensor(1244)는 3축 가속도 센서로 사용자의 움직임 및 움직임 강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절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움직임이 없을 경우 단계적으로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인터벌을 길게 조정하거나 중지 또는 리모컨(SK)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결된 상태라면 통신 속도를 늦추는 방식으로 자체 소비 전류를 절감시킬 수 있다. Charger IC(1245)는 배터리(1300) 방전 시 세팅된 값으로 배터리(1300) 충전을 실행할 수 있다. EEPROM(1246)은 배터리(1300) 방전, 리셋 등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데이터를 저장 및 보호하며,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200)은 배터리(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300)는 한 쌍의 몸체판(1100) 사이에서 기판(1200)과 나란하게 제공되며, 기판(1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1300)는 전체적으로 얇은 판 구조를 가지며, 기판(1200)과 연결되어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기판(1200)과 배터리(1300)는 제1 몸체판(1110)과 제2 몸체판(1120) 사이에서 충진제(1400)에 의해 둘레가 도포될 수 있다.
충진제(1400)는 수지와 같이 비전기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기판(1200)과 배터리(1300) 둘레에 도포되어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단자부(1220)와 스위치부(1230)를 제외한 기판(1200)과 배터리(1300)는 충진제(14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특히, 스위치부(1230)의 경우 서브 기판(1231)이 기판(1200)의 일면과의 사이에 서브 기판(1231)의 두께만큼 단차를 이루고 있으므로 기판(1200)의 일면을 덮는 충진제(1400)는 서브 기판(1231)의 표면까지 넘어가지 않고 서브 기판(1231)의 둘레를 따라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판(110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 즉 제1 몸체판(1110)의 내측면과 제2 몸체판(1120)의 내측면에는 각각 접착층(1500)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타입의 리모컨은 얇은 두께의 컴팩트한 카드형 구조를 가지면서도 필요에 따라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가능하여 제품 사양 변경 등에 따른 지원 업무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과 프로그램 업데이트는 몸체판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충전 단자와 한 쌍의 업데이트 단자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통신 거리가 상이한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구비하여 원거리 통신및 단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특히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의 배치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안테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높이가 낮은 스위치와 기판 사이에 높이 편차를 보완하기 위한 서브 기판을 더 구비함으로써 원하는 제품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고, 충진제 침투를 방지하여 택감 및 불량율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벤트 방식과 시분할 방식에 따라 하나의 제어부로 다중 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소비 전류 및 비용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카드 타입의 리모컨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무선 통신 거리가 짧은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제1 통신부를 통해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무선 통신 거리가 긴 제2 통신부를 추가로 이용하여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동작 전류가 낮고 응답 속도가 빠른 근거리용 제1 통신부의 장점과 차량 단말기와 거리가 멀거나 장애물 등으로 통신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한 장거리용 제2 통신부의 장점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차량 단말기 및 카드 타입의 리모컨은 무선 통신 거리가 짧은 제1 통신부와 무선 통신 거리가 긴 제2 통신부 모두를 통해 차량 상태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 부'는 다양한 방식, 예를 들면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 소프트웨어 모듈, 마이크로 코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로직 회로,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 펌웨어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차량 단말기 200: 카드 타입의 리모컨
300: 스마트 폰 110, 210: 통신부
111, 211, 311: 제1 통신부 112, 212: 제2 통신부
220: RSSI 측정부 130, 230, 330: 제어부
231: 플래그 설정부 232: 이벤트 감지부
233: 데이터 처리부 150, 250, 350: 입력부
160, 260, 260: 출력부 170, 270: 저장부
280: 타이머 290, 390: 배터리

Claims (11)

  1. 스마트 폰 및 차량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카드 타입의 리모컨에 구비된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이벤트 또는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 또는 차량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이벤트를 플래그에 기초하여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제1 이벤트 및 상기 제2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처리,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처리 및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처리를 시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제2 통신부를 추가로 이용하여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상태 데이터는,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모두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모두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모두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시간적으로 늦게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는 무시하며,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모두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를 각각 상기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감지된 이벤트가 상기 제1 이벤트이면, 상기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 상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며,
    감지된 이벤트가 상기 제2 이벤트이면,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 상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 이상이면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차량 단말기로 상기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 미만이면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차량 단말기로 상기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기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 설정된 응답 시간 동안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차량 단말기로 상기 차량 제어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일정한 주기로 카운팅되는 타이머에 의한 제3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더 감지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3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차량 상태 부가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상태 부가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수신된 차량 상태 부가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상태 부가 데이터는,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도난 감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지그비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위한 트랜시버이며,
    상기 제2 통신부는, 로라(LoRa)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인,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한 무선 통신 거리는,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무선 통신 거리보다 짧은,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10. 스마트 폰 및 차량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 감지부에서, 상기 카드 타입의 리모컨에 구비된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이벤트 또는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 또는 차량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이벤트를 플래그에 기초하여 감지하는 제1 단계; 및
    데이터 처리부에서, 상기 제1 이벤트 및 상기 제2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처리,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처리 및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처리를 시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제2 통신부를 추가로 이용하여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상태 데이터는,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모두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모두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모두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시간적으로 늦게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는 무시하며,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모두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수신된 차량 상태 데이터를 각각 상기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033290A 2018-11-13 2019-03-25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89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044 2018-11-03
KR20180139044 2018-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63A KR20200056263A (ko) 2020-05-22
KR102289461B1 true KR102289461B1 (ko) 2021-08-17

Family

ID=707371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807A KR102217231B1 (ko) 2018-11-03 2019-03-22 카드 타입의 스마트 키를 이용한 rssi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033290A KR102289461B1 (ko) 2018-11-13 2019-03-25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807A KR102217231B1 (ko) 2018-11-03 2019-03-22 카드 타입의 스마트 키를 이용한 rssi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72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4358A (zh) * 2020-05-29 2020-09-1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无钥匙进入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254181B1 (ko) * 2020-12-22 2021-05-20 (주)디티 WiFi 및 LoRa 게이트웨이 일체형 AP 통합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WiFi 및 LoRa 게이트웨이 일체형 AP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488A (ja) * 2003-10-31 2005-05-26 Mitsuba Corp 車両のセキュリティ制御装置
KR20090080410A (ko) * 2008-01-21 2009-07-24 김응열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41807B1 (ko) * 2010-03-03 2012-05-07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자동차 스마트키 리모컨의 무선주파수 신호 세기 자동 조절 장치
KR20140036540A (ko) * 2012-09-17 2014-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Rf 센서 및 유리창 깨짐 감지 센서를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50108594A (ko) 2014-03-18 2015-09-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도어 제어시스템
KR20160013334A (ko) * 2014-07-24 2016-02-04 대우전자부품(주) 스마트 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방법
KR102286733B1 (ko) * 2015-12-09 2021-08-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그 수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63A (ko) 2020-05-22
KR102217231B1 (ko) 2021-02-19
KR20200052202A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0198B2 (en) Multi-band identification and ranging
KR102289461B1 (ko)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50170444A1 (en) Keyless entry system
US2013024457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P2984735B1 (en) Wireless device charging system having a shared antenna
US20110234380A1 (en) Data collection system and wireless tag
JP507423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応答器
US10340748B2 (en)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wireless power receiving terminal, and wireless power supply method
JP6847981B2 (ja) 無線電池システム
JP2016047983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3217045A (ja) 携帯機
JP2013185344A (ja) 充電機能付き電子キー
JP201113527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9962724B (zh) 调制指数设置电路、nfc设备及其操作方法
US9384606B2 (en) Passive keyless system
EP431803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ging operation
JP4919490B2 (ja) 無線認証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る入出場管理システム
JP5795502B2 (ja) 電子キー
JP2007018470A (ja) 所在がわかる電池
JP2009100288A (ja) 車両用通信モジュール
KR20160034579A (ko) 트랜스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차량
US20230092743A1 (en) Method for ultra high frequency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and location of a portable device for "hands-free" access to a motor vehicle
KR101455695B1 (ko)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CN220820713U (zh) 车载单元辅助设备
KR200401789Y1 (ko) 거리이격 감지장치가 장착된 핸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