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737B1 -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737B1
KR102288737B1 KR1020200042056A KR20200042056A KR102288737B1 KR 102288737 B1 KR102288737 B1 KR 102288737B1 KR 1020200042056 A KR1020200042056 A KR 1020200042056A KR 20200042056 A KR20200042056 A KR 20200042056A KR 102288737 B1 KR102288737 B1 KR 10228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rotating
motor
rotation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160A (ko
Inventor
강성권
김평수
Original Assignee
삼보계량시스템(주)
김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계량시스템(주), 김평수 filed Critical 삼보계량시스템(주)
Publication of KR20200135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27B9/243Endless-strand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27B9/2407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the conveyor being constituted by rollers (roller hearth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40Arrangements of controlling or monit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스크랩(metal scrap)을 선별기로 이송시 일정량씩 공급되도록 구성한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부하 발생시 과부하량에 따라 1차적으로 회전챔버를 탄성매체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하고, 2차적으로 회전편을 출몰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출몰시키며, 3차적으로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함께 제어함으로써 스크랩 걸림 등으로 인해 과부하 발생하는 기기 중단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SYSTEM FOR DETERMINATE QUANTITY SUPPLYING OF METAL SCRAP}
본 발명은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 스크랩(metal scrap)을 선별기로 이송시 일정량씩 공급되도록 구성한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종류 이상의 금속 스크랩 혼합물을 종류별로 분류하기 위하여 금속 선별기를 사용한다.
이때, 정확한 선별을 위해 금속 선별기로 공급되는 금속 스크랩 혼합물을 선별기의 수용량에 따라 일정량씩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대부분 스크류 형태의 이송수단을 사용하고 있으나, 스크랩 자체가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둘러싼 하우징 사이에 끼거나 한 번에 많은 스크랩이 이송될 경우 모터에 과부하 등이 발생하면서 기기가 파손되어 시스템 가동이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였다. 즉, 호퍼 등과 같은 저장장치를 통해 공급하는 경우 일정한 양의 스크랩이 공급되지 않아 과공급으로 인한 막힘 현상 또는 공급부족으로 인한 처리량 부족 등의 문제로 많은 비용 및 시간이 투입되므로, 작업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한편, 정량 공급 장치와 관련하여 공개된 대부분의 종래기술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라기 보단 이론적인 정량공급시스템에 국한된다. 즉, 공개특허 제10-2013-0104273호에 소개된 금속 스크랩 공급장치의 경우 정량공급을 위한 스크랩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고, 센서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금속 스크랩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정량 공급을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며, 전술한 문제점에 여전히 노출된 상태이다.
(0001)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10427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호퍼 등과 같은 저장장치에 많은 양의 스크랩(원료)을 공급한 상태에서도 스크랩의 정량 공급을 가능하게 하며, 일정한 크기 이상의 스크랩으로 인한 엉킴 등의 문제 발생시에도 지속적인 정량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은, 스크랩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호퍼에 투입된 스크랩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의 타측으로 이송된 스크랩을 일정량씩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정량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제어부에 연결된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탄성매체에 의해 일정 간격 승강되고, 내측에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출몰구동수단이 구비되며, 다수 개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회전챔버; 및 상기 출몰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출몰되는 다수 개의 회전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부하에 따른 제1기준값 이상의 암페어 값이 측정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모터 부하에 따른 제2기준값 이상의 암페어 값이 측정되면 정회전하는 상기 모터를 일정 시간동안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부하에 따른 제3기준값 이상의 암페어 값이 측정되면 상기 출몰구동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회전편을 상기 회전챔버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편은 정회전하는 일단부의 단면적에 비해 역회전하는 타단부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정회전시 스크랩을 상기 회전챔버의 하부로 긁어내려 배출시키고 역회전시 스크랩을 상기 회전챔버의 상부로 퍼올려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최종적으로 정량공급수단을 통해 스크랩을 이송수단에서 배출시키므로, 스크랩의 이송량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양의 스크랩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과부하 발생시 과부하량에 따라 1차적으로 회전챔버를 탄성매체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하고, 2차적으로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하며, 3차적으로 회전편을 출몰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출몰시킴으로써 스크랩 걸림 등으로 인해 과부하 발생하는 기기 중단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편의 일단부를 좁게 형성하고 타단부를 일단부에 비해 넓게 형성함으로써, 정회전시는 물론 역회전시에도 스크랩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중단없는 스크랩 정량 공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의한 구성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공급수단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출몰구동수단과 회전편의 연결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편의 구성 및 형상 단면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의한 구성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공급수단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출몰구동수단과 회전편의 연결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편 형상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은 호퍼(10), 이송수단(20) 및 정량공급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퍼(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호퍼(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스크랩(미도시)이 투입된다. 스크랩은 주로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한 금속 재질의 스크랩이 사용되며, 다른 재질의 스크랩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호퍼(10)의 하부는 이송수단(20)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호퍼(10)의 상부로 투입된 스크랩은 호퍼(10)의 개방된 하부로 떨어짐과 동시에 이송수단(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호퍼(10)의 하단부와 이송수단(20)의 상부는 근접하게 설치되어 이송수단(20)의 상부에 위치된 스크랩이 호퍼(10)의 하단부와 이송수단(20)의 상부 틈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호퍼(10)의 하단부는 이송수단(20)의 이송 동작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이송수단(20)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송수단(20)의 이송 동작에만 간섭되지 않는다면 호퍼(10)의 하부 내측면이 이송수단(20)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호퍼(10)의 선단면(도 1을 기준으로 우측면) 하부는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이송수단(20)은 벨트 컨베이어가 적용될 수 있으며,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연동된다. 이때, 모터축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거나 간접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풀리 등으로 회전축을 연결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모터와의 연결 회전 방식은 공지된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송수단(20)은 저속 회전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송수단(20)의 회전속도는 스크랩의 크기 및 공급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송수단(20)을 따라 이송수단(20)의 이송방향 단부로 이송된 스크랩은 호퍼(10)의 선단면 하부 개방된 공간을 통해 호퍼(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스크랩이 호퍼(10)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는 이송수단(20)의 타측(도 1을 기준으로 우측) 상부에 위치된다. 즉, 이송수단(20)에서 완전히 떨어지지(분리되지) 않고 이송수단(2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정량공급수단(30)은 상기와 같이 이송수단(20)의 타측 상부에 위치된 스크랩을 일정량씩 이송수단(20)의 이송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송수단(20)의 타측으로 이송된 스크랩 더미는 이송수단(20)의 회전에 따라 그대로 이송수단(20)으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정량공급수단(30)에 의해 조금씩 긁어내려져 이송수단(20)으로부터 일정량씩 배출된다. 따라서, 이송수단(20)의 회전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배출'이란 이송수단(20)의 회전에 의해 이송수단(20)의 상부에 위치된 스크랩이 이송수단(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말하며, 이송수단(20)으로부터 분리된 스크랩은 금속 선별기(미도시)로 바로 투입되거나 금속 선별기와 연결된 또 다른 이송용 컨베이어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량공급수단(30)은 호퍼(10)의 선단면과 거의 근접하게 설치되며, 이송수단(20)의 타측 상부에 위치된다.
정량공급수단(30)은 회전챔버(31), 회전편(32)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챔버(31)의 좌우 길이 및 직경 등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좌우 길이는 이송수단(20)의 좌우 폭에 대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경은 회전챔버(31)의 회전시 회전챔버(31)에 결합된 회전편(32)에 의해 스크랩을 일정량씩 긁어내릴 수 있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챔버(31)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회전챔버(31) 역시 모터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간접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회전챔버(31)는 상하 승강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란 수직상하방향은 물론 경사진 상하방향도 포함한다. 승강실린더(미도시)에 회전챔버(31)의 양측 단부를 결합시키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매체(33)인 스프링을 결합하여 스프링의 압축/팽창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스프링을 결합할 경우 스크랩을 일정량 긁어내릴 때 스크랩의 엉킴 또는 규격 이상의 큰 스크랩이 투입되었을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챔버(3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걸림 현상을 예방하고, 회전챔버(31)를 회전시키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도시 하였으나, 이송수단(20)의 이송 단부에도 이송롤러(도면부호 미기재)의 하부에 스프링을 결합하여 스크랩의 엉킹 또는 규격 이상의 큰 스크랩이 투입되었을 경우 이송수단의 이송 단부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회전편(32)은 회전챔버(31)의 둘레면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스크랩을 긁어내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회전챔버(31)의 둘레면에 일정한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다수 개를 결합할 수 있으며, 회전편(32)의 두께, 길이 및 형상 등은 스크랩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에 맞춰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는 회전편(32)을 평평한 판상으로 도시하였으나, 플레이트 형태는 물론 밴딩되거나 절곡 또는 굴곡진 형태의 다양한 형상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회전챔버(31)의 내측에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출몰구동수단(31-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출몰구동수단(31-1)은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장치로써, 일례로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 또는 도 4의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 스크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출몰구동수단(31-1)은 회전편(32)의 하부에 결합된다. 회전편(32)의 하부는 회전챔버(31)의 내부에 위치된다. 회전챔버(31)에는 각각의 회전편(32)의 결합위치에 맞춰 가이드홀(31-2)이 형성되며, 가이드홀(31-2)을 통해 회전챔버(31)로부터 회전편(32)이 출몰된다. 따라서, 가이드홀(31-2)은 출몰구동수단(31-1)의 이송축 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회전편(32) 각각이 하나의 출몰구동수단(31-1)에 연결될 경우 회전챔버(31) 내부의 한정된 공간에 출몰구동수단(31-1)의 설치가 용치치 않을 수 있으므로, 회전챔버(3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 위치한 하나의 열에 위치된 회전편(32)들의 하부를 하나의 연결프레임(미도시)으로 연결하고, 출몰구동수단(31-1)은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어 출몰구동수단(31-1) 작동시 하나의 열에 위치한 회전편(32)들이 동시에 출몰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편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회전편의 형상 단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와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회전편(32)은 총 6개의 열(A, B, C, D, E, F)로 구성되므로 6개의 출몰구동수단(31-1)을 구성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회전편(32)의 출몰 동작은 하나의 열에 위치된 회전편(32)들만 출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회전챔버(31)에 구성된 회전편(32) 모두가 동시에 출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편(32)은 회전챔버(31)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모터에 걸리던 부하가 해소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출몰 동작 자체는 매우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즉, 회전편(32)이 회전챔버(31)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스크랩에 걸리던 부위가 사라지므로 모터에 걸리던 부하가 바로 해소되며, 부하 해소와 함께 회전편(32)이 다시 회전챔버(31)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출몰 동작은 매우 빠른 시간 이내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회전편(32)의 이송 동작은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2단 구성시 1단에서 회전챔버(31)의 내측으로 절반만 삽입되고 2단에서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4단 구성시 1단에서 회전챔버(31)의 내측으로 절반만 삽입, 2단에서 회전챔버(31)의 내측으로 모두 삽입, 3단에서 회전챔버(31)의 외측으로 절반만 돌출, 4단에서 회전챔버(31)의 외측으로 모두 돌출 등 모터에 걸리는 부하량에 따라 다수의 단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편(32)은 정회전하는 일단부의 단면적에 비해 역회전하는 타단부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회전편(32) 타단부의 단면적은 스크랩의 크기에 대응되며,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회전편(32)은 정회전시 스크랩을 회전챔버(31)의 하부로 긁어내려 배출시키고 역회전시 스크랩을 회전챔버(31)의 상부로 퍼올려서 배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즉, 모터에 부하가 걸리면 정회전하던 모터가 역회전하면서 회전챔버(31)도 함께 역회전한다. 이때, 회전챔버(31)에 결합된 회전편(32) 타단부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므로 회전편(32)의 타단부가 스크랩을 퍼올리는 역할을 수행하며, 퍼올려진 스크랩은 회전챔버(31)의 상부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회전챔버(31)의 정역회전에 상관없이 스크랩은 항상 일정량씩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부하에 따른 설비의 중단없이 항상 일정한 스크랩 공급이 가능하다.
제어부(미도시)는 회전챔버(3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의 동작과 회전편(32)을 출몰시키기 위한 출몰구동수단(31-1)을 컨트롤한다. 즉, 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정회전/역회전)과 출몰구동수단(31-1)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또한, 회전챔버(31)의 승강구조를 위해 실린더를 적용하거나, 기타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승강구조를 적용시에도 각각의 동작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컨트롤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모터 구동시 측정되는 암페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모터에 발생되는 암페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수단은 제어부와 연결된다. 이때, 제1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1기준값보다 암페어 값이 낮게 측정될 경우 모터의 회전속도를 높이고, 제1기준값보다 암페어 값이 높게 측정될 경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평상시 설정된 회전속도로 운행되다가 일정 암페어 값 이상의 부하 발생시 회전속도를 저감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모터 부하에 따른 제2기준값 이상의 암페어 값이 측정되면 모터를 역회전시키고, 제2기준값 미만의 암페어 값이 측정되면 모터를 정회전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평상시 정회전시키다가 일정 암페어 값 이상의 부하 발생시 역회전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모터 부하에 따른 제3기준값 이상의 암페어 값이 측정되면 출몰구동수단(31-1)을 동작시켜 회전편(32)을 회전챔버(31)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기준값 미만의 암페어 값이 측정되면 출몰구동수단(31-1)을 동작시켜 회전편(32)을 회전챔버(31)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평상시 회전편(32)이 모두 외부 방향 최대치로 노출된 상태로 동작하다가 일정 암페어 값 이상의 부하 발생시 회전편(32)을 회전챔버(31)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전술한 제1기준값, 제2기준값 및 제3기준값은 설비의 규모나 스크랩의 크기와 양에 따라 각각의 값을 변동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각각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1기준값 < 제2기준값 < 제3기준값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출몰구동수단(31-1)의 동작과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정회전/역회전)의 조절 등은 회전챔버(31)의 승강구조와 함께 모터의 과부하 및 기기 파손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호퍼(10)로 투입되는 스크랩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호퍼(10)의 양 측면에는 지지프레임(11)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호퍼(10)가 이송수단(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해준다. 지지프레임(11)의 하단부는 바닥 등에 지지되며, 지지프레임(11)의 하부에 로드셀(40)을 설치할 수 있다. 로드셀(40) 역시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로드셀(40)을 통해 측정된 중량을 통해 스크랩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로드셀(40)을 통해 측정된 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호퍼(10)로 투입되는 스크랩의 양을 파악하기 위한 레벨센서(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호퍼(10)의 상부를 통해 금속 스크랩을 투입한다. 투입된 스크랩은 호퍼(10)의 하부로 이동하여 이송수단(20)의 상부 컨베이어 벨트에 위치된다. 이송수단(20)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시계방향)으로 저속 회전하며, 이송수단(20)에 의해 스크랩은 호퍼(10)의 내부에서 호퍼(10)의 우측, 즉, 이송수단(20)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송수단(20)의 우측으로 이동한 스크랩은 호퍼(10)의 우측 하단부 개방된 공간을 통해 이송수단(20)의 우측 단부로 이동하며, 정량공급수단(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수단(20)의 우측 단부로 이송된 스크랩을 일정량씩 이송수단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이송수단(20)의 우측 단부로 이송된 스크랩은 회전편(32)에 의해 긁어내려져 배출되므로 이송된 스크랩의 양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양의 스크랩을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된 스크랩은 다음 이송용 컨베어어에 공급되거나, 금속 선별기에 바로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스크랩의 크기가 기준치보다 크거나 한 번에 많은 양의 스크랩이 이송되었을 경우 또는 기타의 상황 등에 의해 회전챔버(31)가 스크랩에 걸려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챔버(31)가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지 않고 최초 탄성매체(33)에 의해 회전챔버(3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스크랩을 긁어내리게 되므로 걸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으로도 해결되지 않을 경우, 즉, 모터에 흐르는 암페어 값이 제1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저감시킨다. 회전속도가 저감된 상태에서 모터에 흐르는 암페어 값이 제1기준값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다시 모터의 회전속도를 정상 속도로 운전한다.
그러나, 상기 제1기준값에 따른 조치 상태에서도 모터에 흐르는 암페어 값이 제2기준값보다 높아질 경우 모터의 회전방향을 정회전 상태에서 역회전 상태로 구동한다. 이때, 정회전시에도 회전편(32)에 의해 스크랩이 긁어내려저 배출되지만 역회전시에도 회전편(32)에 의해 스크랩이 퍼올려져 배출된다. 역회전 상태로 일정시간(수초 내외)을 구동시킨 후 모터에 흐르는 암페어 값이 제2기준값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다시 모터의 회전방향이 정회전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나, 상기 제2기준값에 따른 조치 상태에서도 모터에 흐르는 암페어 값이 제3기준값보다 높아질 경우 출몰구동수단(31-1)을 동작시켜 회전편(32)을 회전챔버(31)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회전편(32)이 회전챔버(31)의 내측으로 이동시 원통형의 회전챔버(31)만 회전하므로 모터에 흐르는 암페어 값은 즉시 제3기준값보다 낮아지며, 회전편(32)은 다시 회전챔버(31)의 외부로 돌출된다.
전술한 제1기준값, 제2기준값 및 제3기준값을 기준으로 한 동작 상태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즉, 제3기준값에 의한 동작 상태가 해소되면 제2기준값에 의한 동작 상태가 결정되고, 제2기준값에 의한 동작 상태가 해소되면 제1기준값에 의한 동자가 상태가 결정된다. 상기의 동작들은 걸림 현상이 재발생할 경우 전술한 동작들이 반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기기 파손으로 인한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 자체가 동작불능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랩의 이송량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양의 스크랩을 공급할 수 있고, 스크랩의 엉킴 문제 등도 자체적으로 해결이 가능하므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호퍼 11 : 지지프레임
20 : 이송수단 30 : 정량공급수단
30 : 회전챔버 31-1 : 출몰구동수단
31-2 : 가이드홀 32 : 회전편
33 : 탄성매체 40 : 로드셀
50 : 레벨센서

Claims (3)

  1. 스크랩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호퍼에 투입된 스크랩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의 타측으로 이송된 스크랩을 일정량씩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정량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제어부에 연결된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탄성매체에 의해 일정 간격 승강되고, 내측에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출몰구동수단이 구비되며, 다수 개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회전챔버;
    상기 출몰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출몰되는 다수 개의 회전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부하에 따른 제1기준값 이상의 암페어 값이 측정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모터 부하에 따른 제2기준값 이상의 암페어 값이 측정되면 정회전하는 상기 모터를 일정 시간동안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부하에 따른 제3기준값 이상의 암페어 값이 측정되면 상기 출몰구동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회전편을 상기 회전챔버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은,
    정회전하는 일단부의 단면적에 비해 역회전하는 타단부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정회전시 스크랩을 상기 회전챔버의 하부로 긁어내려 배출시키고, 역회전시 스크랩을 상기 회전챔버의 상부로 퍼올려서 배출시키는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
KR1020200042056A 2019-05-24 2020-04-07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 KR102288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1175 2019-05-24
KR1020190061175 2019-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60A KR20200135160A (ko) 2020-12-02
KR102288737B1 true KR102288737B1 (ko) 2021-08-12

Family

ID=7379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056A KR102288737B1 (ko) 2019-05-24 2020-04-07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7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365B1 (ko) * 2002-12-13 2009-06-05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형 물질 공급 장치
KR101320482B1 (ko) 2012-03-13 2013-10-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속 스크랩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60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189438U (zh) 圆筒旋转式破碎筛分装置
KR102288737B1 (ko) 스크랩 파쇄품 정량 공급 시스템
KR101375569B1 (ko) 파석 가공장치
KR102404168B1 (ko) 슬러지 파쇄기 및 이를 사용한 파쇄 방법
CN106743723A (zh) 一种绞龙刮板组合式出仓机及其扒粮机构
CN111871755B (zh) 一种基于计算机控制的物料分拣装置
CN218663712U (zh) 链斗式提升机
CN100526181C (zh) 容器的输出装置
CN114987954B (zh) 一种防堵给料装置
CN111392261A (zh) 一种用于盾构施工渣土处理的强制出料式入料斗
US5417375A (en) Material reducing machine
CN211443810U (zh) 带式斗提机
CN211520672U (zh) 一种谷物干燥机用粮食提升机
CN116605599B (zh) 一种饲料运输机
CN106861876B (zh) 连继式自动出土电碓及其碓土方法
CN106081670A (zh) 用于链式卸船机的物料板结破碎装置及链式卸船机
CN214131977U (zh) 一种用于磨机的可有效排出物料的衬板
CN211711955U (zh) 废弃食用菌包下料装置
CN218981711U (zh) 便于清洁的核桃研磨设备
CN210386481U (zh) 一种建筑工程用筛沙机
CN217625717U (zh) 一种刮板机自动卸料装置
CN218201105U (zh) 一种建筑施工用自动上料的筛沙机
CN218143926U (zh) 一种伸缩下料口及螺旋给料机
CN220452740U (zh) 防堵下料阀
CN220871417U (zh) 一种回转窑除渣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