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489B1 -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 - Google Patents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8489B1 KR102288489B1 KR1020190072426A KR20190072426A KR102288489B1 KR 102288489 B1 KR102288489 B1 KR 102288489B1 KR 1020190072426 A KR1020190072426 A KR 1020190072426A KR 20190072426 A KR20190072426 A KR 20190072426A KR 102288489 B1 KR102288489 B1 KR 1022884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composite
- carbon composite
- nanoporous carbon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5—Diamond
- C01B32/28—After-treatment, e.g. purification, irradiation, separation or recovery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나노 다이아몬드와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나노기공성(nano-porous) 탄소 복합체로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나노 다이아몬드의 함량이 약 3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이고, 상기 그라파이트의 표면에 히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아민기(-NH2), 암모늄기(-NH4), 및 인산기(-PO4) 중의 1종 이상이 부착되어 있는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첨가되었을 때 인장강도와 인장신율을 모두 함께 개선할 수 있는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러한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물질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특히, 무기 첨가제를 폴리머 물질에 첨가하여 폴리머 복합체를 형성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한편, 탄소계 무기 첨가제를 폴리머 물질에 첨가하여 인장 강도가 개선되면 인장 신율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폴리머에 첨가되었을 때 인장강도와 인장신율이 모두 함께 개선시킬 수 있는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가 첨가된 폴리머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나노 다이아몬드와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나노기공성(nano-porous) 탄소 복합체로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나노 다이아몬드의 함량이 약 3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이고, 상기 그라파이트의 표면에 히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아민기(-NH2), 암모늄기(-NH4), 및 인산기(-PO4) 중의 1종 이상이 부착되어 있는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약 40 nm 내지 약 90 nm의 평균 입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30 m2/g 내지 100 m2/g의 BET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상기 그라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 약 10 중량부 내지 약 50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그라파이트는 복수의 탄소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갖고, 상기 카본 블랙의 입자가 상기 복수의 탄소층들 사이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활성탄 약 5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폴리머 매트릭스 90 중량% 내지 99 중량%; 및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1 중량%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polymer composite)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강도의 1.1배 내지 4.5배이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신율은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신율의 1.1배 내지 6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강도의 1.2배 내지 2.8배이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신율은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신율의 1.7배 내지 5.5배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산화 방지제 0.05 중량% 내지 0.2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기계적 밀링 머신(mechanical milling machine) 내에 그라파이트, 개질 화합물, 및 나노 다이아몬드의 혼합물을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기계적 밀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기공성(nano-porous) 탄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밀링을 수행하는 단계가 약 50℃ 내지 약 4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개질 화합물은 히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아민기(-NH2), 암모늄기(-NH4), 및 인산기(-PO4) 중의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화합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화합물은 포름산(HCOOH), 수산화암모늄(NH4OH), 인산(H3PO4), 에탄올(C2H5OH), 메탄올(CH3OH), 및 이소프로필알코올(C3H7OH)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폴리머에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머 복합체는 인장강도와 인장신율이 모두 함께 개선되는 효과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실시예 9의 폴리머 복합체를 압출할 때의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비교예 3의 폴리머 복합체를 압출할 때의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는 실시예 9의 폴리머 복합체를 압출할 때의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비교예 3의 폴리머 복합체를 압출할 때의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개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 개념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 개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 개념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 개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개념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 개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 등의 표현은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 과정에서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나노 다이아몬드와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나노기공성(nano-porous) 탄소 복합체로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나노 다이아몬드의 함량이 약 3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인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의 표면에 히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아민기(-NH2), 암모늄기(-NH4), 및 인산기(-PO4) 중의 1종 이상이 부착되어 있는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나노 다이아몬드의 함량은 약 3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 약 5 중량부 내지 약 28 중량부, 약 8 중량부 내지 약 25 중량부, 약 10 중량부 내지 약 22 중량부, 약 12 중량부 내지 약 20 중량부, 또는 약 12 중량부 내지 약 18 중량부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나노 다이아몬드의 함량이 3 중량부에 미달하면 나노 다이아몬드의 첨가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가 미흡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나노 다이아몬드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폴리머에 첨가하였을 때 인장 강도가 미흡해질 수 있다.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미세한 파티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약 40 nm 내지 약 90 nm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약 45 nm 내지 약 80 nm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약 50 nm 내지 약 70 nm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평균 입경은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입자들이 갖는 입경의 산술 평균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입경은 동적 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DLS) 또는 주사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에 의하여 측정된 입경으로 대표될 수 있다.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평균 입경이 너무 작으면 비표면적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가역용량의 손실이 발생하거나 및/또는 불필요한 부반응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평균 입경이 너무 크면 부피 팽창에 따른 응력으로 인해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입자 자체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입자의 기계적 강도가 약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약 30 m2/g 내지 약 100 m2/g의 BET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약 35 m2/g 내지 약 90 m2/g, 약 40 m2/g 내지 약 80 m2/g, 또는 약 45 m2/g 내지 약 70 m2/g의 BET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BET 표면적이 너무 크면 고온에서 급격하게 산화되어 폴리머에 혼입되었을 때 가공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BET 표면적이 너무 작으면,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첨가에 따라 기대되는 인장 신율 개선의 효과가 미흡해질 수 있다.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표면은 특정 작용기로 개질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표면에는 히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아민기(-NH2), 암모늄기(-NH4), 및 인산기(-PO4) 중의 1종 이상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이루는 그라파이트의 탄소에 히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아민기(-NH2), 암모늄기(-NH4), 및 인산기(-PO4) 중의 1종 이상이 직접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에 포함된 나노 다이아몬드의 표면에 히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아민기(-NH2), 암모늄기(-NH4), 및 인산기(-PO4) 중의 1종 이상이 직접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들은, 예를 들면, 공유 결합에 의하여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이루는 그라파이트의 탄소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들은, 예를 들면, 공유 결합에 의하여 상기 나노 다이아몬드의 탄소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카본 블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상기 그라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0 중량부 내지 약 500 중량부의 카본 블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그라파이트는 탄소 원자들이 벌집 모양으로 연속 배열된 판상의 원자 배열 구조를 갖는다. 또한 카본 블랙은 수 nm 내지 수백 nm의 크기를 갖는 비결정질의 탄소 입자이다.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에 있어서, 그라파이트를 이루는 판상 구조의 각 원자층 사이에 카본 블랙 입자들이 삽입되어(intercalated)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의 육각 구조를 이루는 각 원자층의 일부 탄소 원자들 사이의 공유 결합은 결손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은 상기 그라파이트의 원자층 사이에 단순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은 상기 그라파이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결된(sintered)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활성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상기 그라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5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 또는 약 10 중량부 내지 약 20 중량부의 활성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높은 비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전체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활성 면적을 증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화학적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원소를 포집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폴리머 복합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폴리머 매트릭스 약 9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및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1 중량%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polymer composite)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는 상기 탄소 복합체가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 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 내에 분포하는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는 위에서 설명한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상기 PET, PP, LDPE, HDPE, PS 중 2종 이상이 블렌딩(blending)된 블렌딩 혼합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상기 PET, PP, LDPE, HDPE, PS 중 2종 이상이 공중합된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상기 PET, PP, LDPE, HDPE, PS 중 2종 이상이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상기 PET, PP, LDPE, HDPE, PS 중 1종의 주쇄에 다른 1종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약 20,000 내지 약 3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을 스탠다드로 사용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약 1.0 내지 약 30의 다분산도(polydispersity index, PI)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약 1.0 내지 약 15의 다분산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약 1.0 내지 10의 다분산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 중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함량은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 중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함량은 약 1.5 중량% 내지 약 8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 중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함량은 약 2 중량% 내지 약 6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에 의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강도와 인장신율이 동시에 증가하는 놀라운 결과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폴리머의 인장 강도와 인장 신율은 하나가 증가하면 다른 하나가 감소하는 트레이드 오프 (trade-off) 관계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폴리머의 인장 강도가 증가하면 인장 신율이 감소하고, 또는 폴리머의 인장 신율이 증가하면 인장 강도가 감소한다. 그러나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첨가하면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 강도와 인장 신율이 동시에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강도의 약 1.1배 내지 약 4.5배이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신율은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신율의 약 1.1배 내지 약 6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강도의 약 1.2배 내지 약 2.8배이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신율은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신율의 약 1.7배 내지 약 5.5배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산화 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전체 중량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0.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예를 들면,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예를 들면,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tert-부틸-4-히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 4,6-비스(옥틸티오메틸)-o-크레졸, 4,6-비스[(도데실티오)메틸]-o-크레졸, 2,4-디메틸-6-(1-메틸펜타데실)페놀,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DL-α-토코페롤, 2-tert-부틸-6-(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2-[1-(2-히드록시-3,5-디-tert-펜틸페닐)에틸]-4,6-디-tert-펜틸페닐아크릴레이트, 4,4'-티오비스(6-tert-부틸-3-메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ert-부틸페닐)부탄,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2,6-디부틸-4-메틸페놀(2,6-di-tert-butyl-4-methylphenol) 등일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디스테아릴 디설파이드(distearyl disulfide), 디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3,3-thiodipropionate) 등일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예를 들면,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2-에틸헥실디페닐포스파이트, 트리알킬포스파이트, 트리시클로알킬포스파이트, 트리아릴포스파이트, 트리알킬포스페이트, 트리시클로알킬포스페이트, 트리아릴포스페이트, 디메틸에틸포스페이트, 트리-(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 butylphenyl) phosphite), 디-2,4-디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di-(2,4-di-t-butylphenyl)pentaerythritol phosphite) 등일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볼 밀링 머신(ball milling machine) 내에 그라파이트, 개질 화합물, 및 나노 다이아몬드의 혼합물을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볼 밀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기공성(nano-porous) 탄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계적 밀링 머신(mechanical milling machine) 내에 그라파이트, 개질 화합물, 및 나노 다이아몬드의 혼합물을 도입한다(S110).
상기 그라파이트와 나노 다이아몬드는 상용으로 입수 가능한 임의의 제품일 수 있다.
상기 개질 화합물은 히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아민기(-NH2), 암모늄기(-NH4), 및 인산기(-PO4) 중의 1종 이상의 작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포름산(HCOOH), 수산화암모늄(NH4OH), 인산(H3PO4), 에탄올(C2H5OH), 메탄올(CH3OH), 이소프로필알코올(C3H7OH)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기계적 밀링을 수행할 수 있다(S120). 상기 기계적 밀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밀링(milling) 공정, 볼밀링(ball milling) 공정, 제트 밀링(jet milling) 공정 등 합금을 분말 합금으로 분쇄하기 위한 공지의 방법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볼밀링 공정 시간을 조절함에 따라 그라파이트 및/또는 나노 다이아몬드의 분쇄된 분말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그라파이트 및 나노 다이아몬드를 약 20 시간 내지 약 50시간 동안 볼 밀링함으로써 이들을 원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볼 밀링에 있어서, 볼 밀링 머신은 약 150 rpm 내지 약 600 rpm의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또 상기 혼합물은 예를 들면 그라파이트의 발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약 50℃ 내지 약 400℃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제조 - 실시예 1>
볼 밀링 머신 내에 그라파이트 8g, 나노다이아몬드 1g, 및 포름산(HCOOH) 0.5 ml를 혼합하여 장입한 후, 250℃에서 26 시간 동안 200 rpm의 회전 속도로 볼 밀링을 수행하여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8>
볼 밀링 머신 내에 장입된 각 성분들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BET 표면적 및 평균 입경 측정>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8의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분말에 대하여 BET 표면적 및 평균 입경을 측정하였다. BET 표면적은 ISO 9277에 따라 측정하였고, 평균 입경은 DLS 법으로 측정하였다.
[표 1]
<폴리머 복합체의 제조 - 실시예 9>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폴리머 매트릭스로 하여 실시예 1의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PET, 실시예 1의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및 산화방지제를 93:5:2의 중량비로 블렌딩하여 이축압출기를 통해 시편을 제작하였다. 산화방지제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터셔리-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을 사용하였다. 상기 이축압출기는 입구 온도 270℃, 중간온도 280℃, 및 출구 온도 265℃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6>
각각 실시예 2 내지 8의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첨가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대신 그라파이트를 첨가한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 측정>
실시예 9 내지 16, 및 비교예 1 및 2의 시편들에 대하여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을 측정하였다. 각 시편 크기는 70mm x 13mm x 3 mm (길이 x 폭 x 두께)로 하고 100 mm/분의 인장 속도를 적용하여 ASTM D638에 따라 인장 강도 및 신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표 2]
비교예 1 및 2의 결과를 비교하면, 순수한 PET(비교예 1)에 비하여 순수한 PET에 그라파이트를 첨가하면 인장신율이 개선되나 인장강도가 열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6의 결과들을 비교예 1의 결과와 대조하면, 인장강도와 인장신율이 모두 함께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7>
실시예 9의 폴리머 복합체에 경화제로서 메타페닐렌디아민을 더 첨가하여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9의 복합체 97.5 중량부에 경화제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실시예 17의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내지 24>
각각 실시예 9의 폴리머 복합체 대신 실시예 10 내지 16의 폴리머 복합체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9 내지 16, 및 비교예 1 및 2의 시편들에 대하여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을 측정하여 표 3에 정리하였다.
[표 3]
표 3을 참조하면, 경화제를 첨가하면 인장강도는 대체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
구성 성분을 하기 표 4와 같이 조정한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4]
도 2는 실시예 9의 폴리머 복합체를 압출할 때의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3은 비교예 3의 폴리머 복합체를 압출할 때의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압출시 폴리머 복합체가 냉각수 내부로 적절히 잠겨서 공정이 진행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압출시 PET의 물성이 과도하게 변성되어 압출 장치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려 부적절하게 유출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이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비교예 3의 이러한 가공 특성은 첨가된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BET 표면적이 과도하게 커서 산화방지제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산화가 급속도로 진행된 결과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14)
- 나노 다이아몬드와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나노기공성(nano-porous) 탄소 복합체로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나노 다이아몬드의 함량이 3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이고,
상기 그라파이트의 표면에 히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아민기(-NH2), 암모늄기(-NH4), 및 인산기(-PO4) 중의 1종 이상이 공유결합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40 nm 내지 90 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BET 표면적이 30 m2/g 내지 10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 10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는 복수의 탄소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갖고,
상기 카본 블랙의 입자가 상기 복수의 탄소층들 사이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성탄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 폴리머 매트릭스 90 중량% 내지 99 중량%; 및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1 중량%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polymer composite).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강도의 1.1배 내지 4.5배이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신율은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신율의 1.1배 내지 6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강도의 1.2배 내지 2.8배이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인장신율은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인장신율의 1.7배 내지 5.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 제 6 항에 있어서,
산화 방지제 0.05 중량% 내지 0.2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 기계적 밀링 머신(mechanical milling machine) 내에 그라파이트, 개질 화합물, 및 나노 다이아몬드의 혼합물을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50℃ 내지 400℃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기계적 밀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나노 기공성(nano-porous) 탄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 삭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화합물은 히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아민기(-NH2), 암모늄기(-NH4), 및 인산기(-PO4) 중의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화합물은 포름산(HCOOH), 수산화암모늄(NH4OH), 인산(H3PO4), 에탄올(C2H5OH), 메탄올(CH3OH), 및 이소프로필알코올(C3H7OH)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기공성 탄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2426A KR102288489B1 (ko) | 2019-06-18 | 2019-06-18 |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2426A KR102288489B1 (ko) | 2019-06-18 | 2019-06-18 |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4400A KR20200144400A (ko) | 2020-12-29 |
KR102288489B1 true KR102288489B1 (ko) | 2021-08-10 |
Family
ID=7409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2426A KR102288489B1 (ko) | 2019-06-18 | 2019-06-18 |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84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9378B1 (ko) * | 2021-01-13 | 2022-12-1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미노-관능성 나노다이아몬드로 강화된 에폭시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51937A (ja) * | 2002-05-31 | 2004-02-19 | Univ Nihon | 高分子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JP4808353B2 (ja) * | 2000-01-27 | 2011-11-02 | サントル・ナシオナル・ドウ・ラ・ルシエルシユ・シアンテイフイク(セー・エヌ・エール・エス) | 活性炭と膨張黒鉛を含む複合材料 |
JP2015127364A (ja) * | 2013-12-27 | 2015-07-09 | カルボデオン リミティド オサケユイチア | ナノダイヤモンド含有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
KR101654638B1 (ko) * | 2014-11-20 | 2016-09-0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이브리드 필러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872208B1 (ko) * | 2011-09-27 | 2018-06-29 | 주식회사 예일전자 | 탄소복합체로 코팅된 실리콘 산화물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7648A (ja) * | 1994-06-22 | 1996-01-12 | Shin Etsu Polymer Co Ltd | 導電性樹脂組成物 |
KR101840168B1 (ko) * | 2017-07-21 | 2018-03-20 | 한국과학기술원 | 방향족 헤테로 고리와 극성기를 포함하는 기능기로 표면개질된 탄소나노소, 탄소나노소재-고분자 복합소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2019
- 2019-06-18 KR KR1020190072426A patent/KR1022884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08353B2 (ja) * | 2000-01-27 | 2011-11-02 | サントル・ナシオナル・ドウ・ラ・ルシエルシユ・シアンテイフイク(セー・エヌ・エール・エス) | 活性炭と膨張黒鉛を含む複合材料 |
JP2004051937A (ja) * | 2002-05-31 | 2004-02-19 | Univ Nihon | 高分子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1872208B1 (ko) * | 2011-09-27 | 2018-06-29 | 주식회사 예일전자 | 탄소복합체로 코팅된 실리콘 산화물 및 그 제조방법 |
JP2015127364A (ja) * | 2013-12-27 | 2015-07-09 | カルボデオン リミティド オサケユイチア | ナノダイヤモンド含有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
KR101654638B1 (ko) * | 2014-11-20 | 2016-09-0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이브리드 필러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cientific Reports, 2019, vol. 9, No.2893, pp.1-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4400A (ko) | 2020-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hofner et al. | Nanofiber‐reinforced polymers prepared by fused deposition modeling | |
US10125237B2 (en) | Heat radiation sheet and heat radiation device | |
US11916264B2 (en) | Low-cost, high-performance composite bipolar plate | |
CN100519156C (zh) | 碳纤维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 |
EP3268415B1 (en)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mposite articles having enhanced electrical properties | |
WO2013058181A1 (ja) | 樹脂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樹脂複合材料 | |
HUE030291T2 (en) | Master Blends for Composite Materials with Increased Conductivity Properties, Method for Composite Materials, and Composite Materials | |
US20080207824A1 (en) | Method for Dispersing Carbon Nanotubes in a Polymer Matrix | |
KR20180080229A (ko) | 평활성이 우수한 유기-무기 복합막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내열 세퍼레이터재 | |
DE112019001954T5 (de) | Harzzusammensetzung, Formprodukt und dessen Verwendung | |
KR102288489B1 (ko) |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나노기공성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 | |
TW201708424A (zh) | 碳奈米管凝集體及其製造方法與包含其之熱塑性樹脂組合物 | |
JP5782181B2 (ja) | 樹脂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樹脂複合材料 | |
KR101621126B1 (ko) | 압출용 고분자 펠릿, 고분자 복합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EP2534193A1 (de) | Verwendung von mischungen zur herstellung schlagzähmodifizierter thermoplastischer zusammensetzungen | |
JP5171786B2 (ja) | 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ー集合体、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ーの製造方法及び炭素繊維複合材料の製造方法 | |
EP3147260A1 (en) | Carbon material, resi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carbon material and resin composite material | |
DE112011100850T5 (de) | Ethylenpolymerpellet und Extrusionsverfahren unter Verwendung desselben | |
JP2011127055A (ja) | 鉛筆芯 | |
JP2013116965A (ja) | 炭素繊維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炭素繊維複合材料 | |
WO2019058911A1 (ja) | ゴム組成物 | |
CN112778745B (zh) | 改性聚苯醚和热塑性弹性体及它们的制备方法和应用及用于制备热塑性弹性体的组合物 | |
CN1343739A (zh) | 一种辐照交联聚乙烯微孔材料及其制备方法 | |
CN103732679A (zh) | 树脂复合材料及树脂复合材料的制造方法 | |
CN108659299B (zh) | 一种防排水板用组合物及制备防排水板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