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422B1 -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 Google Patents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422B1
KR102287422B1 KR1020190071940A KR20190071940A KR102287422B1 KR 102287422 B1 KR102287422 B1 KR 102287422B1 KR 1020190071940 A KR1020190071940 A KR 1020190071940A KR 20190071940 A KR20190071940 A KR 20190071940A KR 102287422 B1 KR102287422 B1 KR 102287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n
stopper
coupling pi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233A (ko
Inventor
이범호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42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파이프(12)와,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에 구비되는 결합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00)는, 결합핀(15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측 개구부(112)와 상기 결합핀(150)이 하부로 내려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측 개구부(1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과 연결되는 박스 형상의 결합몸체(110)와,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스토퍼핀(130)과,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핀(140)과, 상기 가이드핀(140)이 끼워지도록 가이드채널(152)이 구비되고 상부 타격 시에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삽입 결합되게 하기 위한 결합핀(150)과, 상기 스토퍼핀(130)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150)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게 상기 결합핀(150)을 밀기 위한 스토퍼(160)와, 상기 스토퍼(160)에 결합되어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170)를 포함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Horizontal units of system scaffold}
본 발명은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의 결합부가 경사재에 붙어 있어 수평재로 인정을 받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고,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의 결합부가 양쪽 모두 갈고리 형태로 되어 있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없는 단점도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는 경사재로 인해 경사재 바깥쪽에 중간난간대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단점도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에 관한 것이다.
한국산업안전공단은 KOSHA Code C-29-2007에서 시스템 비계 안전작업 지침을 규정하고 있다.
우선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시스템 비계"라 함은 수직재, 수평재, 가새재 등 각의 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조립형 비계로 고소작업에서 작업자가 작업장소에 접근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작업대를 지칭하는 가설 구조물을 말한다.
"수직재"라 함은 비계의 상부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는 부재로 비계를 조립할 때 수직으로 세우는 부재를 말한다.
"수평재"라 함은 수직재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연결하는 부재를 말한다.
"가새재"라 함은 비계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이나 수평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수평재와 수평재, 수직재와 수직재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부재를 말한다.
"접합부"라 함은 수직재에 용접으로 고정하여 수직재와 수평재 및 가새재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게 만든 부재를 말한다.
"연결조인트"라 함은 수직재와 수직재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한 부재를 말한다.
"받침철물"이라 함은 수직재의 하부에 설치하여 비계의 수직 및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조절형 받침대를 말한다.
"벽 연결재"라 함은 강관, 클램프, 앵커 및 벽 연결용 철물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비계와 구조체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풍하중, 충격 등의 수평 및 수직하중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설치하는 버팀대를 말한다.
또한, 구조 및 설치 기준으로 다음과 규정하고 있다.
수평재는 본체와 결합부가 일체화된 구조이어야 한다.
수평재는 수직재에 결합핀 등의 결합 방법에 의해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안전난간의 용도로 사용되는 수평재의 설치 높이는 작업발판면으로부터 90 ㎝ 이상 120 ㎝ 이하 이어야 하며 중간난간대는 상부난간대와 작업발판면의 중간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 비계 안전작업 지침은 작업현장에서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시스템 비계는 수직재 설치 후 상단에 수평재를 설치하고 발판을 거치한 다음 상부난간대와 중간난간대를 설치한다.
시스템 비계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상부난간대와 중간난간대가 없는 상태에서 작업발판에 올라가 상부난간대와 중간난간대를 설치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바닥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추락 사고를 방지하고자 상부난간대를 먼저 설치한 후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상부로 올라가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 비계를 연구하고 개발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46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의 결합부가 경사재에 붙어 있어 수평재로 인정을 받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고,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의 결합부가 양쪽 모두 갈고리 형태로 되어 있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없는 단점도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는 경사재로 인해 경사재 바깥쪽에 중간난간대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단점도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수평파이프(12)와,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에 구비되는 결합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00)는, 결합핀(15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측 개구부(112)와 상기 결합핀(150)이 하부로 내려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측 개구부(1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과 연결되는 박스 형상의 결합몸체(110)와,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스토퍼핀(130)과,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핀(140)과, 상기 가이드핀(140)이 끼워지도록 가이드채널(152)이 구비되고 상부 타격 시에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삽입 결합되게 하기 위한 결합핀(150)과, 상기 스토퍼핀(130)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150)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게 상기 결합핀(150)을 밀기 위한 스토퍼(160)와, 상기 스토퍼(160)에 결합되어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17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몸체(110)는 상기 스토퍼(160) 및 상기 탄성부재(17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몸체(110)에는 상기 수평파이프(12)가 일부 삽입되는 결합홈(122)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결합홈(122)을 통해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이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몸체(110)의 제1 측면부(120a)에는 제1 관통홀(116)과 제2 관통홀(11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부(120a)와 마주하는 제2 측면부(120b)에도 제1 관통홀(116)과 제2 관통홀(11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핀(130)은 상기 제1 관통홀(116)을 통해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핀(140)은 상기 제2 관통홀(118)을 통해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핀(130)이 상기 스토퍼(160)에 구비된 관통홀(162)로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160)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160)는 상기 스토퍼핀(13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외력에 의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상기 결합핀(150)이 압력을 받지 않는 한 상기 결합핀(150)이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고, 외력에 의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상기 결합핀(150)이 압력을 받아 상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탄성부재(170)가 상기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상기 결합핀(15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상기 결합핀(150)은 상기 스토퍼(160)와 마주하는 면이 경사형 형상을 갖고 그 외관이 쐐기형 구조를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핀(150)의 이동은 상기 가이드채널(152)을 따라 가이드되고, 상기 결합핀(150)이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압력을 받았을 때 움직일 수 있는 최대 거리는 상기 가이드채널(152)의 길이 내로 제한된다.
상기 결합핀(1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상기 탄성부재(170)가 상기 스토퍼(160)를 결합핀(150) 쪽으로 밀고 있어 상기 결합핀(150)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며 상기 가이드핀(140)은 상기 가이드채널(152)의 하단부에 놓여있게 되고, 상기 결합핀(150)의 가이드채널(152) 하단부에 상기 가이드핀(140)이 위치하고 있어 상기 결합핀(150)이 위로 올라가지 못한다.
상기 결합핀(150)에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160)가 밀리면서 상기 결합핀(150)이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가이드핀(140)은 상기 가이드채널(152)의 상단부에 놓여있게 된다.
상기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에 끼워진 상기 결합핀(150)에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결합핀(150)이 상부로 올라가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170)에 의해 상기 스토퍼(160)가 상부로 올라온 상기 결합핀(150)을 밀고 있으므로 상기 결합핀(15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상기 결합부(100)는 상기 수평파이프(10)의 양쪽 말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00)가 구비된 상기 수평파이프(12)의 타단에는 갈고리 모양의 후크(20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경사재(16) 연결을 위한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가 결합부(100)에 인접하여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양쪽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에 경사재(16)가 결합되어 수평재(1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의 결합부가 경사재에 붙어 있어 수평재로 인정을 받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고,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의 결합부가 양쪽 모두 갈고리 형태로 되어 있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없는 단점도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는 경사재로 인해 중간난간대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고 억지로 설치하더라도 경사재 바깥쪽에 중간난간대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단점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재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결합몸체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수평재의 결합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결합몸체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결합몸체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결합몸체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결합몸체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1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재를 이용하여 시스템 비계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는, 수평파이프(12)와,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에 구비되는 결합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00)는, 결합핀(15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측 개구부(112)와 상기 결합핀(150)이 하부로 내려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측 개구부(1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과 연결되는 박스 형상의 결합몸체(110)와,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스토퍼핀(130)과,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핀(140)과, 상기 가이드핀(140)이 끼워지도록 가이드채널(152)이 구비되고 상부 타격 시에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삽입 결합되게 하기 위한 결합핀(150)과, 상기 스토퍼핀(130)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150)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게 상기 결합핀(150)을 밀기 위한 스토퍼(160)와, 상기 스토퍼(160)에 결합되어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17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몸체(110)는 상기 스토퍼(160) 및 상기 탄성부재(17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몸체(110)에는 상기 수평파이프(12)가 일부 삽입되는 결합홈(122)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결합홈(122)을 통해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이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몸체(110)의 제1 측면부(120a)에는 제1 관통홀(116)과 제2 관통홀(11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부(120a)와 마주하는 제2 측면부(120b)에도 제1 관통홀(116)과 제2 관통홀(11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핀(130)은 상기 제1 관통홀(116)을 통해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핀(140)은 상기 제2 관통홀(118)을 통해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핀(130)이 상기 스토퍼(160)에 구비된 관통홀(162)로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160)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160)는 상기 스토퍼핀(13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외력에 의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상기 결합핀(150)이 압력을 받지 않는 한 상기 결합핀(150)이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고, 외력에 의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상기 결합핀(150)이 압력을 받아 상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탄성부재(170)가 상기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상기 결합핀(15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상기 결합핀(150)은 상기 스토퍼(160)와 마주하는 면이 경사형 형상을 갖고 그 외관이 쐐기형 구조를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핀(150)의 이동은 상기 가이드채널(152)을 따라 가이드되고, 상기 결합핀(150)이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압력을 받았을 때 움직일 수 있는 최대 거리는 상기 가이드채널(152)의 길이 내로 제한된다.
상기 결합핀(1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상기 탄성부재(170)가 상기 스토퍼(160)를 결합핀(150) 쪽으로 밀고 있어 상기 결합핀(150)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며 상기 가이드핀(140)은 상기 가이드채널(152)의 하단부에 놓여있게 되고, 상기 결합핀(150)의 가이드채널(152) 하단부에 상기 가이드핀(140)이 위치하고 있어 상기 결합핀(150)이 위로 올라가지 못한다.
상기 결합핀(150)에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160)가 밀리면서 상기 결합핀(150)이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가이드핀(140)은 상기 가이드채널(152)의 상단부에 놓여있게 된다.
상기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끼워진 상기 결합핀(150)에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결합핀(150)이 상부로 올라가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170)에 의해 상기 스토퍼(160)가 상부로 올라온 상기 결합핀(150)을 밀고 있으므로 상기 결합핀(15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상기 결합부(100)는 상기 수평파이프(10)의 양쪽 말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00)가 구비된 상기 수평파이프(12)의 타단에는 갈고리 모양의 후크(20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경사재(16) 연결을 위한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가 결합부(100)에 인접하여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양쪽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에 경사재(16)가 결합되어 수평재(10)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KOSHA Code C-29-2007에서 시스템 비계 안전작업 지침을 규정하고 있다.
첫째, 수평재는 본체와 결합부가 일체화된 구조이어야 한다.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의 결합부가 경사재에 붙어 있어 수평재로 인정을 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수평재는 수직재에 결합핀 등의 결합 방법에 의해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의 결합부는 양쪽 모두 갈고리 형태로 되어 있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없다.
셋째, 안전난간의 용도로 사용되는 수평재의 설치 높이는 작업발판면으로부터 90 ㎝ 이상 120 ㎝ 이하 이어야 하며 중간난간대는 상부난간대와 작업발판면의 중간에 설치하여야 한다.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는 경사재로 인해 중간난간대를 설치하지 않으며(경사재 때문에 중간난간대 설치가 어려움), 억지로 설치하더라도 경사재 바깥쪽에 중간난간대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의 어려움이 있고, 중간난간대를 설치하는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시스템 비계를 구성한다.
수평재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결합부를 부착시킨다.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의 결합부는 갈고리 형태 였으나, 한쪽 또는 양쪽을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결합부로 변경시킨다.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는 경사재로 인해 중간난간대 설치가 어려웠으나, 경사재를 바깥쪽에 배치하여 중간난간대를 발판 안쪽에서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변경시킨다.
이하에서, 상술한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재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재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결합몸체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수평재의 결합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8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결합몸체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결합몸체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13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수평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결합몸체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재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결합몸체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8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하기 전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0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1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을 타격한 후 결합부와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재(10)는 수평파이프(12)와,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적어도 하나의 일단에 구비되는 결합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00)는 결합핀(15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측 개구부(112)와 상기 결합핀(150)이 하부로 내려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측 개구부(1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과 연결되는 박스 형상의 결합몸체(110)와,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스토퍼핀(130)과,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핀(140)과, 상기 가이드핀(140)이 끼워지도록 가이드채널(152)이 구비되고 상부 타격 시에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삽입 결합되게 하기 위한 결합핀(150)과, 상기 스토퍼핀(130)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150)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게 상기 결합핀(150)을 밀기 위한 스토퍼(160)와, 상기 스토퍼(160)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170)를 포함한다.
결합부(100)는 수평파이프(12)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결합홈(122)을 통해 수평파이프(12)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결합몸체(110)에는 수평파이프(12)가 일부 삽입되는 결합홈(122)이 구비되어 있다. 수평파이프(12)가 결합홈(122)에 일단이 삽입되고, 결합몸체(110)와 수평파이프(12)가 용접 결합되거나 결합수단 등을 통해 결합된다.
결합몸체(110)는 박스 형상(상하부가 일부 뚫려있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박스 형상은 단면이 사각 형태인 박스, 단면이 육각 형태인 박스, 단면이 원형 형태인 박스, 단면이 타원 형태인 박스 등의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그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결합몸체(110)에는 결합핀(15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측 개구부(112)와, 결합핀(150)이 하측으로 내려오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측 개구부(114)가 구비되어 있다. 결합몸체(110)의 제1 측면부(120a)에는 제1 관통홀(116)과 제2 관통홀(118)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측면부(120a)와 마주하는 제2 측면부(120b)에도 제1 관통홀(116)과 제2 관통홀(118)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몸체(110)는 스토퍼(160) 및 탄성부재(17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스토퍼핀(130)은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결합몸체(110)의 측면에 구비된 제1 관통홀(116)을 통해 스토퍼핀(130)이 결합몸체(11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스토퍼핀(130)은 둥근 막대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160)는 스토퍼핀(130)에 결합되고 결합핀(150)을 밀어서 결합핀(150)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핀(130)이 스토퍼(160)에 구비된 관통홀(162)로 삽입되어 스토퍼(160)과 결합될 수 있고, 스토퍼(160)는 스토퍼핀(130)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탄성부재(170)는 스토퍼(160)에 결합되어 결합핀(150) 쪽으로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는 통상적인 토션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170)는 결합핀(150) 쪽으로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결합핀(150)이 외력에 의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압력을 받지 않는 한 결합핀(150)이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또한, 결합핀(150)이 외력에 의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상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탄성부재(170)가 결합핀(150) 쪽으로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결합핀(15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스토퍼핀(130)은 제2 측면부(120b)에 구비된 제1 관통홀(116)로 삽입되고 스토퍼(160)에 구비된 관통홀(162)을 통과하고 탄성부재(170)와 결합된 후 제1 측면부(120a)에 구비된 제1 관통홀(116)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핀(140)은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결합몸체(110)의 측면에 구비된 제2 관통홀(118)을 통해 가이드핀(140)이 결합몸체(11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가이드핀(140)은 둥근 막대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핀(140)은 제2 측면부(120b)에 구비된 제2 관통홀(118)로 삽입되고 가이드채널(152)을 통과한 후 제1 측면부(120a)에 구비된 제2 관통홀(118)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핀(150)은 가이드핀(140)이 끼워지도록 가이드채널(152)이 구비되고 상부 타격 시에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삽입 결합된다. 접합부(22)는 수직재(20)에 구비되고, 접합부(22)에는 결합핀(150) 하부가 끼워질 수 있는 홈(24)이 마련되어 있다.
결합핀(150)은 그 외관이 쐐기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핀(150)은 스토퍼(160)와 마주하는 면이 경사형 형상을 갖는 쐐기형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핀(150)의 이동은 가이드채널(152)을 따라 가이드된다. 결합핀(150)이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압력을 받았을 때 움직일 수 있는 최대 거리는 가이드채널(152)의 길이 내로 제한된다.
결합핀(1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탄성부재(170)가 스토퍼(160)를 결합핀(150) 쪽으로 밀고 있어 결합핀(150)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며, 가이드핀(140)은 가이드채널(152)의 하단부에 놓여있게 되고, 결합핀(150)의 가이드채널(152) 하단부에 가이드핀(140)이 위치하고 있어 결합핀(150)이 위로 올라가지 못한다.
결합핀(150)에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결합핀(150)을 상부에서 타격하는 경우)에 상기 외력에 의해 스토퍼(160)가 밀리면서 결합핀(150)이 아래로 내려가고 가이드핀(140)은 가이드채널(152)의 상단부에 놓여있게 된다. 결합핀(150)의 머리 부분을 타격하면 그 힘에 의해 스토퍼(160)가 밀리면서 결합핀(150)이 아래로 내려간다.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결합핀(150)이 삽입되었을 때, 수평재(10)의 일단은 수직재(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핀(15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결합핀(150)을 상부에서 타격하는 경우)에 결합핀(150)이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아래로 내려온 결합핀(150) 하부가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끼워지게 되면, 수평재(10)의 일단은 수직재(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끼워진 결합핀(150)을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압력을 가했을 때(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결합핀(150)을 타격하는 경우), 결합핀(150)이 상부로 올라가게 되고, 탄성부재(170)에 의해 스토퍼(160)가 상부로 올라온 결합핀(150)를 밀고 있으므로 결합핀(15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부(100)를 수직재(20)로부터 이탈(분리)시킬 수 있다.
결합부(100)가 결합된 수평파이프(12)의 타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모양의 후크(hook)(20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후크(200)는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후크(200)는 접합부(22)의 홈(24)에 삽입될 수 있게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다. 후크(200)는 외측부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사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내측부는 안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결착홈을 갖는 갈고리 모양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후크(200)는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에 걸처지므로, 접합부(22)를 기준으로 후크(200)의 회전에 따라 수평파이프(12)가 연동되어 회동될 수 있다. 후크(200)의 내측부와 접합부(22)의 홈(24)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수평재(10)가 용이하게 수직재(20)에 결착될 수 있게 한다.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후크(200)가 걸려 있을 때, 수평재(10)의 일단은 수직재(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합부(100)가 결합된 수평파이프(12)의 타단에는 갈고리 모양의 후크(200) 대신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결합부(1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경사재(16) 연결을 위한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가 결합부(100)와 인접하여 수평파이프(12)의 양쪽에 구비될 수 있으며,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에 경사재(16)가 결합되어 수평재(10)를 구성할 수 있다.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를 통해 수평파이프(120)의 양단에 경사재(16)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는 수평파이프(12)의 바깥쪽에 위치되도록 하고, 수평파이프(12)의 바깥쪽에 위치된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에 경사재(16)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는 경사재로 인해 중간난간대 설치가 어려웠고, 억지로 설치하더라도 경사재 바깥쪽에 중간난간대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중간난간대를 설치하는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재(16)를 수평파이프(12)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하여 중간난간대를 작업발판 안쪽에서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 선행난간공법의 수평재는 경사재로 인해 중간난간대 설치가 어려웠으나, 경사재(16)를 바깥쪽에 배치함으로써 중간난간대를 작업발판 안쪽에서 쉽게 부착할 수가 있고,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억제될 수 있다.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와 반대되는 쪽의 경사재(16) 일단에 경사재 체결부(18)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재(16)에 구비된 경사재 체결부(18)를 통해 경사재(16)가 수직재(20)에 결합될 수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재를 이용하여 시스템 비계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재를 이용하여 시스템 비계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수평파이프(12)의 일단에 결합부(100)가 구비되고 타단에 후크(2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a)에 연결된 제1 경사재(16a)와 제1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a)에 연결된 제2 경사재(16b)가 구비되어 있는 수평재(10a)를 준비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 비계의 수직재(20a, 20b, 20c, 20d)를 설치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파이프(12)의 일단에 구비된 후크(200)를 수직재(20a)에 구비된 제1 접합부(22a)의 홈에 끼워 건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파이프(12)의 타단에 구비된 결합부(100)의 결합핀(150)을 반대편 수직재(20b)에 구비된 제2 접합부(22b)의 홈에 끼워 건다. 하단 작업발판(40a)에서 제2 접합부(22b)에 결합부(100) 거치 시 제2 접합부(22b)의 홈에 바로 체결하지 못하고 다른 곳에 부딪혀도 결합핀(150)의 가이드채널(152) 하단에 가이드핀(140)이 걸려 있어 결합핀(150)이 위로 올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제2 접합부(22b)의 홈에 바로 체결하지 못하더라도 결합핀(150)이 고정되어 있어 반복 작업으로 체결이 가능하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파이프(12)에 연결된 제1 경사재(16a)의 경사재 체결부(18a)를 수직재(20b)에 구비된 제3 접합부(22c)(제1 접합부(22a) 및 제2 접합부(22b)보다 아래에 위치한 접합부)에 체결한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파이프(12)에 연결된 제2 경사재(16b)의 경사재 체결부(18b)를 수직재(20a)에 구비된 제4 접합부(22d)(제1 접합부(22a) 및 제2 접합부(22b)보다 아래에 위치한 접합부)에 체결한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재(10b)를 수직재(20a)와 수직재(20d) 사이에 설치하고, 수평재(10c)를 수직재(20b)와 수직재(20c) 사이에 설치한다. 이 경우 수평재(10b, 10c)는 경사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수평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재(10b)와 수평재(10c) 사이에 작업발판(40b)을 설치한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발판(40b)으로 올라가 수평재(10a)의 결합핀(150)을 타격하여 결합부(100)가 제2 접합부(22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결합부(100)가 제2 접합부(22b)에 체결된 다음, 결합핀(150) 머리를 망치로 타격하게 되면 스토퍼(160)가 밀리면서 결합핀(150)이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결합핀(150)이 제2 접합부(22b)의 홈에 꽉 끼이게 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결착된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쪽 수직재(20c)와 수직재(20d) 사이에 중간난간대(30a, 30b)를 설치한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재(16a, 16b)가 설치된 쪽에 중간난간대(30c)를 작업발판(40b) 안쪽에서 설치한다. 경사재(16a, 16b)가 수평파이프(12) 바깥쪽에 가도록 배치함으로써 중간난간대(30c)를 작업발판(40b) 안쪽에서 쉽게 설치 가능하다.
수평재 해체 시에는 결합핀(150) 하단을 하부향에서 상방향으로 망치 등으로 타격하면 결합핀(150)이 올라가 접합부의 홈에서 빠지게 되며, 탄성부재(170)에 의해 스토퍼(160)가 결합핀(150)을 밀고 있어 결합핀(150)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며, 수평재(100)를 용이하게 수직재(20)로부터 이탈시킬 수가 있다.
또한, 수평재 해체 시에는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에 체결된 후크(200)를 들어올리면 수평파이프(12)의 타단도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의 홈으로부터 이탈시킬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수평재
12: 수평파이프
14: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
16: 경사재
18: 경사재 체결부
20: 수직재
22: 접합부
24: 접합부의 홈
30a, 30b, 30c: 중간난간대
100: 결합부
110: 결합몸체
112: 상측 개구부
114: 하측 개구부
120a:결합몸체의 제1 측면부
120b: 결합몸체의 제2 측면부
130: 스토퍼핀
140: 가이드핀
150: 결합핀
160: 스토퍼
170: 탄성부재
116, 118, 162: 관통홀

Claims (11)

  1. 수평파이프(12); 및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에 구비되는 결합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00)는,
    결합핀(15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측 개구부(112)와 상기 결합핀(150)이 하부로 내려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측 개구부(1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과 연결되는 박스 형상의 결합몸체(110);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스토퍼핀(130);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핀(140);
    상기 가이드핀(140)이 끼워지도록 가이드채널(152)이 구비되고 상부 타격 시에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22)의 홈(24)에 삽입 결합되게 하기 위한 결합핀(150);
    상기 스토퍼핀(130)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150)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게 상기 결합핀(150)을 밀기 위한 스토퍼(160); 및
    상기 스토퍼(160)에 결합되어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17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몸체(110)는 상기 스토퍼(160) 및 상기 탄성부재(17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접합부(22)는 수직재(20)에 구비되고,
    상기 접합부(22)에는 상기 결합핀(150) 하부가 끼워질 수 있는 홈(24)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몸체(110)의 제1 측면부(120a)에는 제1 관통홀(11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부(120a)와 마주하는 제2 측면부(120b)에도 제1 관통홀(116)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핀(130)은 제2 측면부(120b)에 구비된 제1 관통홀(116)로 삽입되고 스토퍼(160)에 구비된 관통홀(162)을 통과하고 탄성부재(170)와 결합된 후 제1 측면부(120a)에 구비된 제1 관통홀(116)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160)는 상기 스토퍼핀(130)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핀(130)과 결합된 상기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110)에는 상기 수평파이프(12)가 일부 삽입되는 결합홈(1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122)을 통해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일단이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110)의 제1 측면부(120a)에는 제2 관통홀(11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부(120a)와 마주하는 제2 측면부(120b)에도 제2 관통홀(118)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핀(130)은 상기 제1 관통홀(116)을 통해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핀(140)은 상기 제2 관통홀(118)을 통해 상기 결합몸체(110)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핀(130)이 상기 스토퍼(160)에 구비된 관통홀(162)로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160)와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160)는 상기 스토퍼핀(13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외력에 의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상기 결합핀(150)이 압력을 받지 않는 한 상기 결합핀(150)이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고,
    외력에 의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상기 결합핀(150)이 압력을 받아 상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탄성부재(170)가 상기 결합핀(150) 쪽으로 상기 스토퍼(160)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상기 결합핀(15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150)은 상기 스토퍼(160)와 마주하는 면이 경사형 형상을 갖고 그 외관이 쐐기형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150)의 이동은 상기 가이드채널(152)을 따라 가이드되고,
    상기 결합핀(150)이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압력을 받았을 때 움직일 수 있는 최대 거리는 상기 가이드채널(152)의 길이 내로 제한되며,
    상기 결합핀(1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상기 탄성부재(170)가 상기 스토퍼(160)를 결합핀(150) 쪽으로 밀고 있어 상기 결합핀(150)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며 상기 가이드핀(140)은 상기 가이드채널(152)의 하단부에 놓여있게 되고, 상기 결합핀(150)의 가이드채널(152) 하단부에 상기 가이드핀(140)이 위치하고 있어 상기 결합핀(150)이 위로 올라가지 못하며,
    상기 결합핀(150)에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160)가 밀리면서 상기 결합핀(150)이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가이드핀(140)은 상기 가이드채널(152)의 상단부에 놓여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20)에 구비된 접합부에 끼워진 상기 결합핀(150)에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결합핀(150)이 상부로 올라가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170)에 의해 상기 스토퍼(160)가 상부로 올라온 상기 결합핀(150)을 밀고 있으므로 상기 결합핀(15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0)는 상기 수평파이프(10)의 양쪽 말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0)가 구비된 상기 수평파이프(12)의 타단에는 갈고리 모양의 후크(2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11. 제1항에 있어서, 경사재(16) 연결을 위한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가 결합부(100)에 인접하여 상기 수평파이프(12)의 양쪽에 구비되며,
    상기 경사재 연결 플레이트(14)에 경사재(16)가 결합되어 수평재(1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KR1020190071940A 2019-06-18 2019-06-18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KR102287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40A KR102287422B1 (ko) 2019-06-18 2019-06-18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40A KR102287422B1 (ko) 2019-06-18 2019-06-18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33A KR20200144233A (ko) 2020-12-29
KR102287422B1 true KR102287422B1 (ko) 2021-08-09

Family

ID=7409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940A KR102287422B1 (ko) 2019-06-18 2019-06-18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4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0743A (ja) * 2007-05-10 2008-11-20 Tohan Kogyo Kk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2012036634A (ja) * 2010-08-06 2012-02-23 Krh Kk 仮設足場用筋交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813Y2 (ja) * 1993-09-13 1996-11-13 アルインコ株式会社 足場等の部材連結装置
KR101741467B1 (ko) 2015-11-24 2017-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계용 수평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0743A (ja) * 2007-05-10 2008-11-20 Tohan Kogyo Kk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2012036634A (ja) * 2010-08-06 2012-02-23 Krh Kk 仮設足場用筋交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33A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4587B1 (en) Improvements in roof anchors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US8833520B2 (en) Fall safety barrier
KR101028378B1 (ko) 안전 핸드레일
CN108699847B (zh) 侧护板、具有至少一个这种侧护板的天花板模板系统及用于架设这种侧护板的方法
KR20120008002U (ko) 건축물의 외벽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도어가 구비된 비계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CA2570528A1 (en) Fittings for builders' trestles
KR102287422B1 (ko)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JP4519015B2 (ja) 多孔板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811001B1 (ko) 작업 발판을 구비하는 원형 강관 버팀보
KR20110112101A (ko)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JP4079931B2 (ja) 戸建住宅用足場の取付構造
KR20120008001U (ko) 상하로 개폐되는 안전도어가 설치된 비계
KR100913112B1 (ko) 추락방지대 설치용 브래킷
GB2415225A (en) Kickboard bracket and telescopic rail for builders' trestle
KR20130116451A (ko)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EP1867806A1 (en) Removable protection for intermediate stages of scaffolding
KR200281445Y1 (ko) 비계설치용 브라켓
KR100645108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JP3638761B2 (ja) H形枠組み足場
KR102146245B1 (ko) 건축공사용 낙하방지수단 고정구조
CN216196422U (zh) 一种建筑施工架
KR100680277B1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