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121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121B1
KR102287121B1 KR1020167011179A KR20167011179A KR102287121B1 KR 102287121 B1 KR102287121 B1 KR 102287121B1 KR 1020167011179 A KR1020167011179 A KR 1020167011179A KR 20167011179 A KR20167011179 A KR 20167011179A KR 102287121 B1 KR102287121 B1 KR 102287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absorber
liquid
absorbent article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907A (ko
Inventor
가오리 우메모토
요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8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with channels or deep spot depressions on the up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표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홈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장착시의 오목홈의 변형을 방지하고, 홈 길이 방향으로 체액을 확산하기 쉽게 한다.
(해결수단)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이면 시트 (2) 사이에 흡수체 (4) 가 개재됨과 함께, 상기 흡수체 (4) 의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의 면에 대략 길이 방향을 따른 오목홈 (22) 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오목홈 (22) 의 바닥면에 고압착부 (23) 가 형성된 실금 패드 (1) 이다. 상기 고압착부 (23) 는, 상기 오목홈 (22) 을 홈 길이 방향으로 구획한 단위 구간 (24) 에 있어서, 홈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홈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요소 (25) 를 포함함과 함께, 상기 단위 구간 (24) 의 고압착부 (23) 를 홈 길이 방향으로 반복 정반전시킨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주로는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분비물 시트, 의료용 패드, 토일리트리, 일회용 기저귀 등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흡수체의 표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홈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으로서, 폴리에틸렌 시트 또는 폴리에틸렌 시트 라미네이트 부직포 등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부직포 또는 투액성 플라스틱 시트 등의 투액성 표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를 개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도 수많은 개량이 거듭되고, 특히 경실금 패드 등과 같이 단번에 왈칵 나오는 소변을 작은 면적으로 받아내고, 빠르게 확산시키기 위한, 일시 저류 및 소변 확산 수단의 하나로서, 표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홈을 형성한 것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서는, 흡수체가, 피부 맞닿음면측의 상층 흡수체와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하층 흡수체를 갖고, 그 상층 흡수체와 하층 흡수체가 이루는 가운데가 높은 부분은, 피부 맞닿음면측에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임을 갖고, 상기 패임은, 상기 상층 흡수체를 관통한 개구부이고, 그 개구부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상기 상층 흡수체의 하면에 상기 하층 흡수체가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 에서는, 흡수층은, 면적이 상이한 상부 흡수층과 하부 흡수층이 적층되고, 그 흡수층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표면 시트 및 흡수층에 일체적으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중앙에, 상기 단차의 고부 (高部) 및 저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는, 그 흡수층의 단차부에 있어서 도중에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3 에서는, 엠보스홈 부분의 강화 (剛化) 를 방지함과 함께, 엠보스홈의 체액의 확산을 억제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엠보스홈의 바닥면에,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외측 가장자리까지 도달하지 않는 강압착부를 홈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함과 함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고, 또한 내측 가장자리까지 도달하지 않는 강압착부를 홈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형성한 강압착부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형성한 강압착부가 홈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12590호 일본 특허 제510588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65518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단지 오목홈을 형성한 것만으로는, 오목홈에는 흡수체가 개재되지 않고 강성이 낮은 부분이기 때문에, 장착시에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의 다리압을 받았을 때에 오목홈이 변형되기 쉽고, 이 오목홈의 변형에 의해서 체액의 일시 저류나 액 확산 수단으로서의 효과가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엠보스홈의 일방측 가장자리로부터 타방측 가장자리까지 도달하지 않는 강압착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엠보스홈의 강성이 어느 정도 높아지고, 다리압에 대한 변형을 다소는 경감시키는 효과를 갖지만, 반드시 충분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강압착부가 엠보스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체액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다 넓은 범위에서 대량의 체액을 흡수할 필요가 있는 실금 패드 등에 있어서는, 홈 길이 방향을 따라 체액이 확산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흡수체의 표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홈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장착시의 오목홈의 변형을 방지하고, 홈 길이 방향으로 체액을 확산시키기 쉽게 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투액성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됨과 함께, 상기 흡수체의 투액성 표면 시트측의 면에 대략 길이 방향을 따른 오목홈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오목홈의 바닥면에 고압착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고압착부는, 상기 오목홈을 홈 길이 방향으로 구획한 단위 구간에 있어서, 홈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홈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요소를 포함함과 함께, 상기 오목홈의 일방측의 측단으로부터 타방측의 측단까지 실질적으로 횡단하여 형성되고, 상기 단위 구간의 고압착부를 홈 길이 방향으로 반복 정반전시킨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오목홈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압착부의 패턴으로서, 상기 오목홈을 홈 길이 방향으로 구획한 단위 구간에 있어서, 홈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홈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요소를 포함함과 함께, 상기 오목홈의 일방측의 측단으로부터 타방측의 측단까지 실질적으로 횡단하여 형성되고, 상기 단위 구간의 고압착부를 홈 길이 방향으로 반복 정반전시킨 패턴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고압착부의 상기 경사 요소가 홈 길이 방향에 대하여 오목홈의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횡단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오목홈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착시에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다리압을 받았을 때, 오목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체액의 일시 저류 및 체액 확산 수단으로서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목홈의 바닥면에 홈 길이 방향을 따른 지그재그 형상의 고압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고압착부에 유도되어 체액이 홈 길이 방향을 따라 확산되기 쉬워지고, 단번에 왈칵 나온 체액을 보다 넓은 범위의 흡수체에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횡단한다는 것은, 고압착부가 연속선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점선이나 도중에서 이간되는 선 등과 같이 불연속선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청구항 2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경사 요소는, 직선, 곡선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경사 요소는 직선, 곡선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상기 고압착부의 경사 요소에만 주목해 보면, 전체로서의 패턴은, 상기 경사 요소를 직선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홈 길이 방향을 따른 지그재그 형상의 절선 (折線) 으로 형성되고, 또한 경사 요소를 곡선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파상선이나 대략 반원호의 연속 형성선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청구항 3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고압착부는, 상기 경사 요소의 양단부 또는 그 근방으로부터 대략 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홈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만곡상으로 형성된 아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청구항 1,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고압착부는, 상기 경사 요소의 양단부 또는 그 근방으로부터 대략 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홈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만곡상으로 형성된 아치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장착시에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다리압을 받았을 때, 상기 아치 요소가 이 폭 방향의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키고, 오목홈의 강성을 더욱 더 높이도록 작용한다.
청구항 4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경사 요소는, 일중선 또는 이중선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경사 요소를 이중선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오목홈의 강성이 보다 확실히 높아짐과 함께, 더욱 더 체액의 확산이 순조롭게 실시되게 된다.
청구항 5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측의 면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름과 함께 체액 배출 부위를 포함하는 길이 방향 범위에 걸쳐, 압착에 의하지 않고 형성된 흡수체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따라 상기 고압착부를 포함하는 엠보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흡수체에 미리 압착에 의하지 않고 흡수체 오목부를 형성해 두고, 이 흡수체 오목부에 대하여,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따라 상기 고압착부를 포함하는 엠보스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흡수체 오목부는, 흡수체를 압착하여 형성함으로써 바닥부의 폴리머나 펄프가 고밀도가 된 것에 비해, 체액 흡수시의 바닥부의 솟아오름이 매우 작게 억제되고, 체액 흡수 후에도 오목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엠보스부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홈 폭보다 작은 엠보스 폭으로 부여되어 있는 청구항 5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청구항 7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엠보스부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홈 폭보다 큰 엠보스 폭으로 부여되고, 상기 엠보스부의 부여에 의해,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흡수체가 압착된 고밀도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5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엠보스부는, 상기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흡수체 오목부의 홈 폭보다 작은 엠보스 폭으로 부여해도 되고, 상기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흡수체 오목부의 홈 폭보다 큰 엠보스 폭으로 부여해도 된다. 특히, 후자의 흡수체 오목부의 홈 폭보다 큰 엠보스 폭으로 부여한 경우에는, 흡수체 오목부의 바닥부의 양측에, 상기 흡수체가 압착된 고밀도 영역이 형성되게 되고, 오목홈의 강성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오목홈의 바닥부에, 중앙부로부터 양측부를 향하여 섬유 밀도가 높아지는 밀도 구배가 형성되기 때문에, 흡수된 체액이 모관 작용에 의해 중앙부로부터 양측부를 향하여 확산되기 쉬워지고, 오목홈 내의 체액을 흡수체측으로 보다 빠르게 이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체의 표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홈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장착시의 오목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홈 길이 방향으로 체액이 확산되기 쉬워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금 패드 (1) 의 일부 파단 전개도이다.
도 2 는 그 II-II 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의 III-III 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의 (A) ∼ (F) 는, 고압착부 (23) 의 평면 패턴이다.
도 5 의 (A) ∼ (C) 는, 고압착부 (23) 의 평면 패턴이다.
도 6 은 압착부 (27) 를 형성한 경우의 고압착부 (23) 의 평면 패턴이다.
도 7 의 (A) ∼ (D) 는, 본 발명에 해당하지 않는 고압착부의 평면 패턴이다.
도 8 은 흡수체 (4) 의 단면도이다.
도 9 의 (A) 는 체액의 침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 는 흡액시의 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의 (A) 는 엠보스 부여 전의 단면도, (B) 는 엠보스 부여 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실금 패드 (1) 의 기본 구성]
본 발명에 관련된 실금 패드 (1) 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소변 등을 빠르게 투과시키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이들 양 시트 (2, 3) 사이에 개재 장착된 면상 (綿狀) 펄프 또는 합성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 (4) 와, 필요에 따라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흡수체 (4) 사이에 배치되는 친수성의 세컨드 시트 (6) 와, 상기 흡수체 (4) 의 대략 측 가장자리부를 기립 기단 (基端) 으로 하고, 또한 적어도 체액 배출 부위 (H) 를 포함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구간 내에 있어서 피부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입체 개더 (BS, BS) 를 형성하는 사이드 부직포 (7, 7) 로 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흡수체 (4) 의 주위에 있어서는, 그 길이 방향 단 가장자리부에서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핫 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시일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서 접합되고, 또한 그 양측 가장자리부에서는 흡수체 (4) 보다 측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가 핫 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시일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상기 흡수체 (4) 는, 형상 유지 및 확산성 향상을 위해, 도시하지 않은 크레이프지나 부직포 등의 피포 (被包) 시트에 의해 위요할 수 있다.
이하, 더욱 상기 실금 패드 (1) 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서술하면,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적어도 차수성 (遮水性) 을 갖는 시트재가 사용되는데, 그 밖에 방수 필름을 개재하여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후에 부직포 시트 (이 경우에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불투액성 이면 시트를 구성한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짓무름 방지의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재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 축 또는 2 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 시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어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는, 구멍이 있는 또는 구멍이 없는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솜 등의 천연 섬유로 할 수 있고,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서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 가공법 중, 스판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한 점에서 우수하고, 서멀본드법은 부피가 크고 소프트한 점에서 우수하다.
상기 흡수체 (4) 는, 예를 들어 플러프상 펄프 등의 흡수성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 (8) 에 의해 구성되고, 도시예에서는 평면 형상이 패드 길이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긴 대략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8) 는 예를 들어 입상 분말이 되고, 흡수체 (4) 를 구성하는 펄프 중에 분산 혼입되어 있다.
상기 펄프로는,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화학 펄프, 용해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고, 활엽수 펄프보다는 섬유 길이가 긴 침엽수 펄프가 기능 및 가격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흡수체 (4) 를 피포 시트로 위요하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흡수체 (4) 사이에 피포 시트가 개재되게 되고, 흡수성이 우수한 상기 피포 시트에 의해서 체액을 빠르게 확산시킴과 함께, 이들 소변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펄프의 겉보기 중량은, 100 g/㎡ ∼ 600 g/㎡, 바람직하게는 200 g/㎡ ∼ 500 g/㎡ 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8) 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염 가교물, 자기 가교한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에스테르-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가교물의 비누화물,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가교물, 폴리술폰산염 가교물이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수팽윤성 폴리머를 부분 가교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흡수량, 흡수 속도가 우수한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염계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 성능을 갖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가교 밀도 및 가교 밀도 구배를 조정함으로써 흡수력 (흡수 배율) 과 흡수 속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머의 겉보기 중량은, 150 g/㎡ ∼ 500 g/㎡, 바람직하게는 200 g/㎡ ∼ 450 g/㎡ 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흡수체 (4) 에는 합성 섬유를 혼합해도 된다. 상기 합성 섬유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및 이것들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2 종을 혼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융점이 높은 섬유를 심으로 하고 융점이 낮은 섬유를 초로 한 심초형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분할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는, 체액에 대한 친화성을 갖도록, 소수성 섬유의 경우에는 친수화제에 의해서 표면 처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컨드 시트 (6) 는, 체액에 대하여 친수성을 갖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솜 등의 천연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소재 자체에 친수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거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를 친수화제에 의해서 표면 처리하고 친수성을 부여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컨드 시트 (6) 는, 탄성을 갖게 하기 위해, 이면측 (흡수체 (4)) 에 다공의 필름층을 갖고 있어도 되고, 또한 피포 시트와의 적층 시트로 해도 되고, 나아가서는 펄프를 포함하는 소재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금 패드 (1) 의 표면측 양측부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또한 실금 패드 (1)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사이드 부직포 (7, 7) 가 형성되고, 이 사이드 부직포 (7, 7) 의 외측 부분이 측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가 측방으로 연장되고, 이것들 측방으로 연장된 사이드 부직포 (7) 부분과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부분을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하여 측부 플랩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로는, 중요시하는 기능 면에서 발수 처리 부직포 또는 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변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감촉을 높이는 것 등의 기능을 중시하면, 실리콘계, 파라핀계, 알킬크로믹클로라이드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SSMS 나 SMS, SMMS 등의 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체액의 흡수성을 중시하면, 합성 섬유의 제조 과정에서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산화 생성물 등을 공존시켜 중합시키는 방법이나, 염화 제 2 주석과 같은 금속염으로 처리하고, 표면을 부분 용해하여 다공성으로 하고 금속의 수산화물을 침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 섬유를 팽윤 또는 다공성으로 하고, 모세관 현상을 응용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이드 부직포 (7) 로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재생 섬유 등을 소재로 하여,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7) 는, 적절히 접혀, 상기 흡수체 (4) 의 대략 측 가장자리 근방 위치를 기립 기단으로 하여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좌우 한 쌍의 내측 입체 개더 (10, 10) 와, 상대적으로 상기 내측 입체 개더 (10) 보다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흡수체 (4) 보다 측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및 사이드 부직포 (7) 에 의해서 형성된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좌우 한 쌍의 외측 입체 개더 (11, 11) 로 이루어지는 2 중 개더 구조의 입체 개더 (BS) 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입체 개더 (BS) 는, 내측 입체 개더 (10) 또는 외측 입체 개더 (11) 중 어느 것만으로 이루어지는 1 중 개더 구조이어도 되고, 사이드 부직포 (7) 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피부측으로 기립한 입체 개더상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내측 입체 개더 (10) 및 외측 입체 개더 (11) 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양측단을 각각 패드 이면측으로 되접어 꺾어 폭 방향 내측 및 폭 방향 외측에 각각 2 중 시트 부분 (7a, 7b) 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폭 방향 내측의 2 중 시트 부분 (7a) 내부에 양단 또는 길이 방향의 적절한 위치가 고정된 1 개 또는 복수 개의, 도시예에서는 1 개의 사상 (絲狀) 탄성 신축 부재 (12) 가 배치 형성됨과 함께, 상기 폭 방향 외측의 2 중 시트 부분 (7b) 내부에 양단 또는 길이 방향의 적절한 위치가 고정된 1 개 또는 복수 개의, 도시예에서는 2 개의 사상 탄성 신축 부재 (13, 13) 가 배치되고, 상기 폭 방향 내측의 2 중 시트 부분 (7a) 의 기단부가 흡수체 (4) 의 측부에 배치 형성되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상면에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됨과 함께, 폭 방향 외측의 2 중 시트 부분 (7b) 의 기단부가 상기 흡수체 (4) 보다 측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의 측단부에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상기 폭 방향 내측의 2 중 시트 부분 (7a) 에 의해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내측 입체 개더 (10) 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폭 방향 외측의 2 중 시트 부분 (7b) 에 의해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외측 입체 개더 (1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는, 패드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상 탄성 신축 부재 (12, 13) 가 배치 형성되지 않음과 함께, 상기 폭 방향 내측의 2 중 시트 부분 (7a) 이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서 흡수체 (4) 측에 접합되어 있다.
[오목홈의 구성]
본 실금 패드 (1) 에서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 (피부면측) 에 패드 길이 방향을 따라 체액 유입용 오목홈 (22) 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오목홈 (22) 의 바닥면에 소정 패턴의 고압착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홈 (22) 은,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에 배출된 체액을 받아내어, 체액을 일시 저류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의 체액의 확산을 촉진하고, 또한 흡수체 (4) 로의 체액의 흡수 속도를 빠르게 하여,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오목홈 (22) 은,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 투액성 표면 시트 (3) 로부터 흡수체 (4) 에 걸친 구성 부재를 일체적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한 것이어도 되는데, 후 단락에서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와 같이, 미리 상기 흡수체 (4) 에 흡수체 오목부 (20) 를 형성해 두고, 이 흡수체 오목부 (20) 를 따라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 흡수체 (4) 보다 상층측의 구성 부재를 압착하는 엠보스부 (21) 를 형성함으로써 형성한 것이, 다리압에 의한 오목홈 (22)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 등의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착부 (23) 는, 주변의 오목홈 (22) 의 바닥면보다 더욱 깊게 압착된 부분이고, 오목홈 (22) 의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압착부 (23)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오목홈 (22) 을 홈 길이 방향으로 구획한 가상의 단위 구간 (24) 에 있어서, 홈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홈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요소 (25) 를 포함함과 함께, 오목홈 (22) 의 폭 방향의 일방측의 측단으로부터 타방측의 측단까지 실질적으로 횡단하여 형성되고, 상기 단위 구간 (24) 의 고압착부 (23) 를 홈 길이 방향으로 반복 정반전시킨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홈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 구간 (24) 에 형성된 고압착부 (23) 가, 정배치와, 홈 길이 방향으로 반전시킨 역배치가 교대로 배치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압착부 (23) 가 실질적으로 횡단하여 형성된다는 것은, 고압착부 (23) 가 폭 방향의 일방측의 측단으로부터 타방측의 측단까지 연속되는 연속선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 및 점선이나 도중에서 이간되는 간헐선 (도 5 의 (C) 참조) 등과 같이 불연속선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의 양방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것에 의해서, 오목홈 (22) 의 바닥면에 고압착부 (23) 의 경사 요소 (25) 가 홈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이 지그재그 형상의 고압착부 (23) 가 보강 요소가 되어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오목홈 (22) 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요컨대, 홈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홈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의 압력에 추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해서도 내력을 갖게 되고, 오목홈 (22) 의 강성을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착시에 다리의 복잡한 움직임에 따른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의 다리압이 부하되어도, 오목홈 (22) 의 변형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체액의 일시 저류 및 체액 확산 수단으로서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지그재그 형상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 7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만 경사진 패턴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이 경사 방향을 따른 방향의 외력에 대해서는 충분한 강도를 갖지만, 경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외력에 대해서는 강도가 낮고, 오목홈의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상기 경사 요소 (25) 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오목홈 (22) 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 길이 방향을 따른 지그재그 형상의 고압착부 (23) 를 따라 체액이 유도되기 때문에, 홈 길이 방향을 따른 체액의 확산이 촉진되고, 단번에 왈칵 나온 체액을 보다 넓은 범위의 흡수체 (4) 에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위 구간 (24)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오목홈 (22) 을 홈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획한 영역으로서, 홈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홈 폭 방향을 따른 평행한 2 개의 직선과, 오목홈 (22) 의 양 측면으로 둘러싸인 사각형 영역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위 구간 (24) 내에는, 고압착부 (23) 가 홈 폭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인접하는 단위 구간 (24, 24) 끼리에서는, 이것들 구간의 경계선을 기점으로 하여 고압착부 (23) 의 경사 요소 (25) 가 홈 길이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단위 구간 (24) 의 고압착부 (23) 를 홈 길이 방향으로 반복 정반전시킨 패턴」이란, 상기 고압착부 (23) 가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상기 단위 구간 (24) 을, 상기 단위 구간 (24) 의 홈 길이 방향 단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패드 폭 방향선 (S) 에서 반복하여 되접어 꺾음으로써 형성된 패턴을 말한다.
상기 경사 요소 (25) 는, 오목홈 (22) 의 길이 방향 중심선 (L) 을 홈 폭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에 걸쳐 연장되는 선이고, 반드시 홈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간된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경사 요소 (25) 는, 1 개의 단위 구간 (24) 내에 있어서, 홈 길이 방향의 일방측 (전측 또는 후측) 으로만 경사진 성분을 갖고 있고, 이것과는 반대의 홈 길이 방향의 타방측으로 경사진 성분을 갖고 있지 않다.
상기 경사 요소 (25) 는, 도 4 의 (A), (B), (F)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에 의해서 구성해도 되고, 도 4 의 (C) ∼ (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선에 의해서 구성해도 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직선과 곡선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해도 된다. 경사 요소 (25) 에만 착안하여 보았을 때, 상기 경사 요소 (25) 를 직선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고압착부 (23) 의 홈 길이 방향을 따른 전체의 패턴이 지그재그 형상의 절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 요소 (25) 를 곡선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파상선 또는 대략 반원호의 연속 형성선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고압착부 (23) 는, 도 4 의 (B) ∼ (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요소 (25) 에 의해서만 구성해도 되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요소의 고압착부를 조합한 패턴으로 구성해도 된다. 다른 요소의 조합에 의한 패턴으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압착부 (23) 는, 상기 경사 요소 (25) 의 양단부에 연속하여, 또는 그 근방의 상기 경사 요소 (25) 의 양단부로부터 이간되어, 대략 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홈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만곡상으로 형성된 아치 요소 (26) 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치 요소 (26) 를 형성함으로써, 장착시에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의 다리압을 받았을 때, 상기 아치 요소 (26) 가 이 외력에 대하여 대항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오목홈 (22) 의 강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치 요소 (26) 가 구비된 고압착부 (23) 의 구체적 패턴으로서,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 개의 단위 구간 (24) 에 있어서, 상기 고압착부 (23) 가, 홈 폭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하여 홈 길이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의 대각선상으로 연장되는 경사 요소 (25) 와, 상기 경사 요소 (25) 의 홈 폭 방향 일방측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속하여 대략 홈 길이 방향의 타방측으로 연장되고, 홈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반원호상의 일방측 아치 요소 (26a) 와, 상기 경사 요소 (25) 의 홈 폭 방향 타방측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속하여 대략 홈 길이 방향의 일방측으로 연장되고, 홈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반원호상의 타방측 아치 요소 (26b) 로 구성됨으로써, 가로 방향의 대략 S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위 구간 (24) 의 고압착부 (23) 를 홈 길이 방향으로 반복 정반전시킨 홈 전체로서의 패턴은, 가로 방향의 하트 형상을 교대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늘어놓은 외관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의장성이 우수함과 함께, 상기 아치 요소 (26a, 26b) 가 촘촘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하여 대항력이 발휘되기 쉬워진다. 또한, 동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치 요소 (26) 가, 인접하는 단위 구간 (24, 24) 에서 1 개의 홈 폭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만곡상으로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동 도 5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요소 (25) 와 아치 요소 (26) 사이가 이간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경사 요소 (25) 는, 도 4 의 (A) ∼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단위 구간 (24) 에 있어서 일중선으로 구성해도 되고, 도 4 의 (E), (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이중선으로 해도 된다. 이중선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오목홈 (22) 의 강성이 보다 확실히 높아지게 됨과 함께, 보다 더 체액의 확산이 순조로워진다. 도 4 의 (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 요소 (25) 가 원호상의 곡선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 도시예와 같이 원호의 방향이 뒤가 맞대지도록 배치하면, 전체로서 반원호의 방향이 교대로 반대 방향이 되는 배치가 되기 때문에, 좌우 양측으로부터의 다리압에 대하여 균등하게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경사 요소 (25) 가 평행하는 원호상의 곡선에 의해서 형성된 경우, 홈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동 형상의 도형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강성차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고압착부 (23) 에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압착부 (23) 보다 더욱 깊은 압착부 (27, 27…) 를 형성해도 된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압착부 (27) 는, 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도트로 되어 있다. 상기 압착부 (27) 를 형성함으로써,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오목홈 (22) 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압착부의 패턴으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예시하면, 도 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길이 방향을 따른 직선 (길이 방향 중심선) 과 교차하지 않는 패턴으로 형성한 것은, 그 직선 부분에서 오목홈의 바닥부가 접혀 구부러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동 도 7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에 걸쳐 일정한 방향으로 경사진 패턴으로 형성한 것은, 홈 폭 방향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강성이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동 도 7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에 평행한 선에 의해서 형성한 것은, 홈 길이 방향으로의 체액의 확산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동 도 7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폭 방향의 일방측 가장자리로부터 타방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타방측 가장자리까지 도달하지 않은 고압착부와, 홈 폭 방향의 타방측 가장자리로부터 일방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일방측 가장자리까지 도달하지 않은 고압착부를 교대로 배치한 패턴으로 형성한 것은, 홈 폭 방향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강성이 낮고, 홈 길이 방향으로의 체액의 확산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오목홈 (22) 의 변형을 더욱 더 발생시키기 어렵게 함과 함께, 체액 흡수 후에도 오목홈 (22) 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게 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를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흡수체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의 면 (피부측의 면) 에, 패드 길이 방향을 따름과 함께 체액 배출 부위 (H) 를 포함하는 길이 방향 범위에 걸쳐, 압착에 의하지 않고 형성된 흡수체 오목부 (20) 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의 면에 있어서, 주위의 흡수체보다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측으로 움푹하게 한, 바닥면을 갖는 비관통형의 오목부이고, 압착에 의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적섬 (積纖), 또는 (B) 흡수체 오목부 (20) 의 바닥부의 두께로 형성된 하층 흡수체 (4a) 와,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된 상층 흡수체 (4b) 의 적층 구조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바닥부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측의 부분, 비피부측의 부분) 에 개재되는 흡수체 (4) 부분은, 펄프의 겉보기 중량이 70 g/㎡ ∼ 210 g/㎡, 바람직하게는 90 g/㎡ ∼ 190 g/㎡ 로 하는 것이 좋고, 폴리머의 겉보기 중량이 60 g/㎡ ∼ 200 g/㎡, 바람직하게는 80 g/㎡ ∼ 180 g/㎡ 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가 형성된 흡수체 (4) 의 피부측에,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필요에 따라 세컨드 시트 (6) 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 (피부면측) 으로부터의 엠보스에 의해,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내부에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를 따라, 상기 고압착부 (23) 를 포함하는 엠보스부 (21) 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엠보스부 (21) 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흡수체 (4) 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된다. 이 때,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홈 폭보다 작은 선단의 폭을 갖는 엠보스에 의해서 부여함으로써, 엠보스부 (21) 가 흡수체 오목부 (20) 의 홈 폭보다 작은 엠보스 폭으로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엠보스부 (21) 의 엠보스 폭을 흡수체 오목부 (20) 의 홈 폭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를 형성함으로써 흡수체 (4) 의 피부측면에 형성된 모서리부가 찌부러져 둥그스름한 상태가 되고, 표면으로부터는 전체로서 비피부측으로 감에 따라 홈 폭이 좁아지는 오목홈의 내측으로 팽출되도록 만곡된 경사상의 측면을 갖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므로, 외력이 가해져 홈 폭이 약간 좁아졌다고 해도, 즉시 오목홈이 완전히 소실되는 것은 아니고, 바닥면측으로부터 서서히 좁아지게 되므로, 체액의 흡수 성능이 약간 저하되지만 어느 정도의 흡수 성능은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예와 같이,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흡수체 (4) 사이에 세컨드 시트 (6) 가 배치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엠보스부 (21) 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세컨드 시트 (6) 를 적층한 상태로 일체적으로 부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수체 (4) 가 피포 시트에 의해서 위요되는 경우, 상기 피포 시트에 대해서도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함께 엠보스가 부여된다.
상기 엠보스부 (21) 는, 패드 폭 방향에 대해서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할 수 있고 (도 9), 후 단락에서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 오목부 (20) 보다 큰 치수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 또한, 패드 길이 방향에 대해서도, 작은 치수로 형성할 수 있고, 초과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엠보스부 (21) 는, 흡수체 오목부 (20) 의 바닥부에 대하여 열 융착되지 않고, 단지 압력을 부가한 것만이어도 되고,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세컨드 시트 (6) 와 흡수체 (4) 에 함유시킨 합성 섬유를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시키고,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세컨드 시트 (6) 를 흡수체 (4) 에 접합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엠보스부 (21) 의 엠보스 폭 (A) 을 흡수체 오목부 (20) 의 홈 폭 (B) 보다 작게 형성한 경우에는, 도 9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을 흐르는 체액이 엠보스부 (21) 에 유입되면,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세컨드 시트 (6) 를 투과하여 흡수체 오목부 (20) 의 측면과 투액성 표면 시트 (3) 사이에 형성된 버퍼 존 (Z) 내에 일시 저류된다. 그 후, 흡수체 오목부 (20) 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확산됨과 함께, 흡수체 오목부 (20) 의 측면을 통하여 흡수체 (4) 내에 흡수 유지된다. 따라서, 단번에 대량의 배뇨가 있었던 경우라도, 상기 버퍼 존 (Z) 에 일시 저류됨으로써, 빠르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가 압착에 의하지 않고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내에 체액이 침투하여 흡수체 오목부 (20) 주변의 폴리머 (8) 나 펄프가 흡수함으로써 팽창한 경우에, 압착에 의해서 바닥부에 펄프나 폴리머의 고밀도 영역이 형성된 것에 비해, 바닥부의 솟아오름이 매우 작게 억제되게 된다. 또한, 이 흡수체 오목부 (20) 에 대하여,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엠보스에 의해 부여된 상기 엠보스부 (21)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체 오목부 (20) 의 양 측면이 내측으로 팽출되어도, 흡수체 오목부 (20) 내에 개재된 투액성 표면 시트 (3) 가 팽창하려고 하는 양 측면을 확실히 눌러 넣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양 측면의 팽창도 작게 억제되게 된다. 따라서, 흡액시에 팽창된 폴리머 (8) 나 펄프에 의해서 흡수체 오목부 (20) 가 막혀 체액의 흡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는, 압착에 의하지 않고, 적섬이나 흡수체 (4a, 4b) 의 적층 구조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수체의 압착에 의한 압밀화나 가열 융착에 의한 경화 등이 없고, 흡수체 본래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장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엠보스에 의해,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내부에 상기 엠보스부 (21)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체 오목부 (20) 내에 투액성 표면 시트 (3) 가 개재되게 되고, 외력이 가해져도 흡수체 오목부 (20) 가 찌부러지기 어렵고, 체액을 빠르게 흡수하는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기 엠보스부 (21) 의 엠보스 폭 (A) 을, 흡수체 오목부 (20) 의 홈 폭 (B)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경우 (A < B), 이것들의 비 A/B 는, 0.5 이상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0.8 미만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 오목부 (20) 의 측면과 투액성 표면 시트 (3) (세컨드 시트 (6)) 사이에, 침투한 체액이 일시 저류됨과 함께 고흡수성 폴리머 (8) 나 펄프가 흡수하여 팽윤되었을 때에 완충 영역이 되는 버퍼 존 (Z, Z) 이 적절히 형성된다. 또,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를 오목홈상으로 형성한 경우, 발구배를 고려하여 양 측면이 경사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때에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홈 폭 (B) 은, 흡수체 오목부 (20) 의 바닥부측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측) 의 폭을 취하도록 한다.
한편,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엠보스부 (21) 의 엠보스 폭 (A) 은,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홈 폭 (B) 과 동등 이상의 선단의 폭을 갖는 엠보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홈 폭 (B) 이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 ≥ B). 이 경우, 동 도 10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엠보스부 (21) 의 부여에 의해,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바닥부의 양측에, 흡수체 (4) 가 압착된 고밀도 영역 (28, 28) 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오목홈 (22) 의 강성이 높아짐과 함께, 오목홈 (22) 의 바닥부에, 중앙부로부터 양측부를 향하여 섬유 밀도가 높아지는 밀도 구배가 형성되므로, 흡수된 체액이 모관 작용에 의해 중앙부로부터 양측부를 향하여 확산되기 쉬워지고, 오목홈 (22) 내의 체액을 흡수체 (4) 측으로 보다 빠르게 이행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형태예]
(1) 상기 형태예에서는, 상기 오목홈 (22) 은, 패드 폭 방향의 중앙부에 1 조 (條) 만 형성했지만,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조 형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체액의 패드 길이 방향으로의 확산이 보다 촉진됨과 함께, 체액의 흡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 상기 형태예에서는, 상기 고압착부 (23) 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투액성 표면 시트 (3) 로부터 흡수체 (4) 에 걸친 구성 부재에 일체적으로 부여되어 있었지만, 흡수체 (4) 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흡수체 (4) 에만 부여하거나, 또는 피포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피포 시트 및 흡수체 (4) 에 일체적으로 부여한 것이어도 된다. 적어도 흡수체 (4) 에 상기 고압착부 (23) 를 형성해 두면, 장착시의 오목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홈 길이 방향을 따라 체액이 확산되기 쉬워진다.
1 : 실금 패드,
2 : 불투액성 이면 시트,
3 : 투액성 표면 시트,
4 : 흡수체,
6 : 세컨드 시트,
7 : 사이드 부직포,
8 : 고흡수성 폴리머,
10 : 내측 입체 개더,
11 : 외측 입체 개더,
12·13 : 사상 탄성 신축 부재,
20 : 흡수체 오목부,
21 : 엠보스부,
22 : 오목홈,
23 : 고압착부,
24 : 단위 구간,
25 : 경사 요소,
26 : 아치 요소

Claims (7)

  1. 투액성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됨과 함께, 상기 흡수체의 투액성 표면 시트측의 면에 길이 방향을 따른 오목홈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오목홈의 바닥면에 고압착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고압착부는, 상기 오목홈을 홈 길이 방향으로 구획한 단위 구간에 있어서, 홈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홈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요소를 포함함과 함께, 상기 오목홈의 일방측의 측단으로부터 타방측의 측단까지 실질적으로 횡단하여 형성되고, 상기 단위 구간의 고압착부를 홈 길이 방향으로 반복 정반전시킨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압착부는, 상기 경사 요소의 양단부 또는 그 근방으로부터 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홈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만곡상으로 형성된 아치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아치 요소는, 상기 경사 요소의 일방의 단부 또는 그 근방과, 타방의 단부 또는 그 근방의 양자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단위 구간에서 상기 경사 요소의 홈 길이 방향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측의 단부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요소는, 직선, 곡선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요소는, 일중선 또는 이중선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측의 면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름과 함께 체액 배출 부위를 포함하는 길이 방향 범위에 걸쳐 형성된 흡수체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따라 상기 고압착부를 포함하는 엠보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부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홈 폭보다 작은 엠보스 폭으로 부여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부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홈 폭보다 큰 엠보스 폭으로 부여되고, 상기 엠보스부의 부여에 의해,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흡수체가 압착된 고밀도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167011179A 2013-11-05 2014-11-05 흡수성 물품 KR102287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9051 2013-11-05
JP2013229051A JP6031428B2 (ja) 2013-11-05 2013-11-05 吸収性物品
PCT/JP2014/079311 WO2015068718A1 (ja) 2013-11-05 2014-11-05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907A KR20160081907A (ko) 2016-07-08
KR102287121B1 true KR102287121B1 (ko) 2021-08-05

Family

ID=5304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179A KR102287121B1 (ko) 2013-11-05 2014-11-05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71000B2 (ko)
EP (1) EP3067028B1 (ko)
JP (1) JP6031428B2 (ko)
KR (1) KR102287121B1 (ko)
CN (1) CN105722484B (ko)
WO (1) WO2015068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8440B2 (ja) * 2014-06-13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6031668A1 (ja) * 2014-08-29 2016-03-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38872B2 (ja) * 2015-07-31 2017-05-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91569B1 (ja) * 2015-09-07 2017-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50719B2 (ja) * 2016-02-29 2017-12-20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242423B2 (ja) * 2016-03-29 2017-12-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466390A1 (en) 2017-10-09 2019-04-10 Grupo P.I. Mabe S.A. de C.V. Sanitary napkin for heavy uterine bleeding
MY196723A (en) 2017-12-21 2023-05-02 Essity Hygiene & Health Ab Absorbent article with reduced sagging
EP3727260B1 (en) 2017-12-21 2022-11-02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 sealing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WO2019125264A1 (en) 2017-12-21 2019-06-2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strong channel sealing bonds
CN111246825A (zh) * 2017-12-21 2020-06-05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适用于新生儿的吸收性物品和制造吸收性物品的方法
WO2019125231A1 (en) 2017-12-21 2019-06-2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reduced sagg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ES2973311T3 (es) * 2017-12-21 2024-06-19 Essity Hygiene & Health Ab Artículo absorbente con una disposición de sello que comprende puntos de soldadura y método para fabricar el artículo absorbente
WO2019125229A1 (en) 2017-12-21 2019-06-2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a sealing arrangement having constant wid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JP7086730B2 (ja) * 2018-06-04 2022-06-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49965B2 (ja) * 2018-08-29 2022-04-07 大王製紙株式会社 脇用汗取りパッド
JP2023065958A (ja) * 2021-10-28 2023-05-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555A (ja) 2001-07-30 2003-02-12 Shiseido Co Ltd 生理用ナプキン
KR100420817B1 (ko) * 1998-11-30 2004-03-0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채널이 있는 흡수제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884B1 (ko) 1970-11-16 1976-02-24
WO2000032147A1 (en) * 1998-11-30 2000-06-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nnel
US6563013B1 (en) * 1998-11-30 2003-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nnel
JP4058281B2 (ja) 2002-03-12 2008-03-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05884B2 (ja) 2007-01-17 2012-12-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32264B2 (ja) 2007-11-07 2013-01-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58380B2 (ja) * 2008-05-15 2013-08-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871123B2 (en) * 2008-08-05 2014-10-28 Johnson & Johnson Ind. E Com. Ltda.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r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regions and a second region surrounding each of the first regions
JP5452960B2 (ja) 2009-03-31 2014-03-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13129327A1 (ja) * 2012-02-29 2013-09-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128976B1 (en) * 2014-04-08 2018-06-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flow control materials
JP5938440B2 (ja) * 2014-06-13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817B1 (ko) * 1998-11-30 2004-03-0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채널이 있는 흡수제품
JP2003038555A (ja) 2001-07-30 2003-02-12 Shiseido Co Ltd 生理用ナプ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22484B (zh) 2019-06-28
WO2015068718A1 (ja) 2015-05-14
JP2015089382A (ja) 2015-05-11
EP3067028A4 (en) 2016-11-23
US10071000B2 (en) 2018-09-11
CN105722484A (zh) 2016-06-29
EP3067028B1 (en) 2018-07-04
JP6031428B2 (ja) 2016-11-24
KR20160081907A (ko) 2016-07-08
US20160250084A1 (en) 2016-09-01
EP3067028A1 (en) 201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121B1 (ko) 흡수성 물품
JP4035341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2015089382A5 (ko)
JP5992381B2 (ja) 吸収性物品
CN108366894B (zh) 吸收性物品
JP6371814B2 (ja) 吸収性物品
KR101782763B1 (ko) 흡수성 물품
JP6138872B2 (ja) 吸収性物品
JP2015047432A5 (ko)
KR102319944B1 (ko) 흡수성 물품
JP6484416B2 (ja) 吸収性物品
JP6081422B2 (ja) 吸収性物品
JP2018050987A5 (ko)
WO2016148192A1 (ja) 吸収性物品
JP2017029352A5 (ko)
JP6108435B2 (ja) 表面シートの製造方法
JP6484417B2 (ja) 吸収性物品
JP5938438B2 (ja) 吸収性物品
JP5957329B2 (ja) 吸収性物品
JP6232482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表面シート
JP6436960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