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600B1 - 블리스터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블리스터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600B1
KR102286600B1 KR1020190081055A KR20190081055A KR102286600B1 KR 102286600 B1 KR102286600 B1 KR 102286600B1 KR 1020190081055 A KR1020190081055 A KR 1020190081055A KR 20190081055 A KR20190081055 A KR 20190081055A KR 102286600 B1 KR102286600 B1 KR 102286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oduct
packaging container
point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519A (ko
Inventor
김형민
Original Assignee
김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민 filed Critical 김형민
Priority to KR102019008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6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65B11/52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one sheet being rendered plastic, e.g. by heating, and forced by fluid pressure, e.g. vacuum, into engagement with the other sheet and contents, e.g. skin-, blister-, or bubbl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제품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에 제품을 담아 포장하는 블리스터 포장 장치로서, 제품투입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에 제품을 투입하는 제품 투입부, 덮개부착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의 외곽을 따라 덮개부착부분에 덮개를 부착하는 덮개 부착부, 덮개절단지점에서 포장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를 덮개부착부분의 외곽을 따라 일부만 남기고 절단하는 덮개 절단부, 용기수거지점에서 포장용기를 덮개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포장용기 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품투입지점과 덮개부착지점은 제1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고, 덮개부착지점과 덮개절단지점과 용기수거지점은 제2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90도로 구성된다. 복수의 제품 수용 홈이 형성된 포장용기에 대한 포장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작업 공간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리스터 포장 장치{ Apparatus for Blister Packaging }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제품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에 대한 블리스터 포장을 효율적으로 수행함과 아울러 작업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블리스터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리스터 포장 방식은 그 간편함과 용이성으로 인하여, 화장품, 칫솔, 배터리, 전구, 청소용품, 가정용품, 전기/전자 제품, 문구류 등 각종 제품에 대한 포장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블리스터 포장 기술에 관한 예로서, 등록특허 10-0384421호의 '블리스터 포장기'는 제품을 포장하는 필름이 감겨진 PVC 언코일러, 제품을 넣기 전에 제품 형상대로 몰드(상하금형)를 이용하여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유니트, 필름이 180도 방향을 꺽어 진행하기 위한 방향전환 로울러, 성형 유니트로부터 성형된 용기에 제품을 투입하기 위한 제품 주입유니트, 이미 제품을 넣은 상태에서 알루미늄 덮개로 밀폐하기 위한 실링 유니트, 제품을 일정 포장단위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 유니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로울러에 감겨진 필름(예: PET 필름)을 풀면서 포장용기를 성형하는 공정까지 포함되면, 필름이 롤 형태라는 특성 때문에, 그 내부에 이물질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품의 위생이 중요한 분야에는 이러한 블리스터 포장 방식을 이용하기 어렵다.
또한, 성형된 포장용기에 제품을 넣는 공정부터 포장이 이루어지는 여러 공정을 수행하는 각 파트가 모두 일렬로 배치되면, 포장 장치가 차지하는 작업 공간이 너무 길어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어렵다. 이는 결국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제품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에 대한 블리스터 포장을 효율적으로 수행함과 아울러 작업 공간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블리스터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리스터 포장 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품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에 제품을 담아 포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리스터 포장 장치는, 제품투입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에 제품을 투입하는 제품 투입부; 롤에 감겨있는 덮개의 이동을 처리하는 덮개 구동부; 덮개부착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의 외곽을 따라 덮개부착부분에 덮개를 부착하여 상기 각 제품 수용 홈을 밀폐하는 덮개 부착부; 덮개절단지점에서, 포장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를 상기 덮개부착부분의 외곽을 따라 일부만 남기고 절단하는 덮개 절단부; 용기수거지점에서, 상기 각 제품 수용 홈이 밀폐된 포장용기를 상기 덮개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포장용기 분리부; 및 작업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블리스터 포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패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품투입지점과 덮개부착지점은 제1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착지점과 덮개절단지점과 용기수거지점은 제2 방향으로 일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90도이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 구동부는, 제1 로울러와 제2 로울러, 및 상기 제1 로울러와 제2 로울러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는 로울러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로울러에서 풀려 상기 덮개 부착부에 공급되고, 상기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에 부착되고 남은 부분이 상기 제2 로울러에 의해 회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품 투입부는, 상기 제품투입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에 일대일 대응하여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제품 투입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품 투입 노즐은 액상 제품을 저장하는 탱크로부터 액상 제품을 공급받아, 공기압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유출구를 통해 상기 액상 제품을 일정량씩 투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 부착부는 상기 덮개를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가열하는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덮개 절단부는 상기 덮개절단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상단에서 커터가 내려와 상기 덮개부착부분의 외곽을 누름으로써 상기 덮개를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용기 분리부는 상기 용기수거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에 일대일 대응하여 구비되는 진공식 흡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진공식 흡착 수단으로 상기 각 제품 수용 홈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의 중앙 부분을 흡착한 후 아래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포장용기를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롤 형태의 필름을 이용하여 포장용기를 성형하는 공정이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포장용기에 대한 위생 검사를 철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약품 포장, 화장품 포장 등 제품의 위생이 중요한 포장 분야에도 무리없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품 투입부와 덮개 부착부가 배치되는 제1 방향과, 덮개 부착부와 덮개 절단부와 포장용기 분리부가 배치되는 제2 방향은 90도를 이루도록 구성되므로,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덮개의 일부를 남겨 놓는 덮개 절단 방식과 진공식 흡착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덮개의 이동을 이용한 포장용기의 공정별 이동을 유지하면서도, 포장이 완료된 용기를 덮개 필름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떼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리스터 포장 용기의 일 실시예에 관한 블록도,
도 2는 포장용기의 공정별 위치와 본체 구조에 관한 예,
도 3은 복수 개의 제품 수용 홈이 형성된 포장용기에 관한 예,
도 4는 액상 제품을 투입하는 제품 투입부에 관한 예,
도 5는 두 로울러 사이에서 풀리고 감기면서 이동하는 덮개의 예,
도 6은 덮개가 포장용기에 부착되는 덮개부착부분을 설명하는 예,
도 7은 덮개가 절단되는 부분을 설명하는 예,
도 8은 포장용기 분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
도 9는 포장용기에 부착된 부분이 이탈된 후 제2로울러에 감기면서 회수되는 덮개의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리스터 포장 장치(100)의 일 실시예에 관한 블럭도이고, 도 2는 포장용기의 공정별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블리스터 포장 장치(100)는 일정한 재질의 소재(예: 합성수지 필름)를 성형하여 만들어진 포장용기에 피(被)포장물(제품)을 투입하고, 덮개를 씌워 접착함으로써, 제품이 투입되고 덮개로 덮인 포장 단위체를 만든다.
포장용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품을 독립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제품 수용 홈이 형성된다.
포장용기와 제품 수용 홈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에는 과자류, 화장품, 전기용품, 생활용품, 자동차용품, 문구류 등 다양한 제품이 수용될 수 있다.
도 3은 4 개의 제품 수용 홈(31)이 형성된 포장용기(30)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합성수지 필름을 성형하여 만들어진 포장용기(30)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고, 각 제품 수용 홈(31)에 제품을 투입한 후, 포장용기(30)의 각 제품 수용 홈(31)은 밀폐된다.
여기서 밀폐의 정도는 제품의 종류와 포장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공기가 통할 수 없을 정도의 완전한 밀폐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고, 전기용품이나 문구류의 포장과 같이 그 제품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정도의 느슨한 밀폐 상태로 충분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된 포장용기는 처음에 블리스터 포장 장치 본체(101)의 용기투입지점(P1)에 놓이고, 이후 각 포장 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제품투입지점(P2), 덮개부착지점(P3), 덮개절단지점(P4), 용기수거지점(P5)으로 순차 이동한다.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포장 공정이 이루어지는 순서를 나타내며, 포장 용기(30)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기도 한다.
용기투입지점(P1)과 제품투입지점(P2)의 사이, 제품투입지점(P2)과 덮개부착지점(P3)의 사이에서 포장용기(30)가 이동하는 것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포장용기(30)가 덮개부착지점(P3), 덮개절단지점(P4), 및 용기수거지점(P5)으로 순차 이동하는 것은 덮개의 이동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덮개부착지점(P3)에서 덮개 부착부(120)에 의해 포장용기(30)의 상부면에 덮개가 부착되면, 덮개가 이동함에 따라 포장용기(30)도 이동하게 된다.
포장용기(30)가 제품투입지점에 위치하면(P2), 제품 투입부(110)가 포장용기(30)의 각 제품 수용 홈(31)에 제품을 투입한다.
포장용기(30)가 덮개부착지점(P3)에 위치하면, 덮개 부착부(120)가 포장용기(30)의 상부면에 덮개를 부착한다.
포장용기(30)가 덮개절단지점(P4)에 위치하면, 덮개 절단부(130)가 덮개부착부분의 외곽을 따라 일부만 남기고 절단하며, 용기수거지점(P5)에 위치하면, 포장용기 분리부(140)가 포장용기(30)를 덮개에서 완전히 분리한다.
제어패널부(160)는 작업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블리스터 포장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패널부(160)는 작업자로부터 작업의 시작, 작업의 종료, 작업의 일시 정지, 선택적 작업 등 다양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블리스터 포장 장치(100)의 구동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패널부(160)는 작업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양한 입력 수단과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용기(30)가 블리스터 포장 장치(100)의 용기투입지점(P1)에 배치되는 것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성형된 포장용기가 모여 있는 곳으로부터 자동화된 공정에 의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품 투입부(110)는 제품투입지점(P2)에 위치한 포장용기(30)의 각 제품 수용 홈(31)에 제품을 투입하며, 제품 투입부(110)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품이 고형물이라면 등록특허 10-0384421호에 개시된 예와 같이 진동 이송기 등에 의해 제품을 정렬시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이 액상 화장품 등의 유체이면, 정량 실린더 등에 의해 노즐로 일정량을 충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제품 투입부(110)는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품투입지점(P2)에 위치한 포장용기(30)의 각 제품 수용 홈(31)에 일대일 대응하여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제품 투입 노즐(1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품 투입 노즐(111)은 액상 제품을 저장하는 탱크(113)로부터 액상 제품을 공급받으며, 포장용기(30)의 각 제품 수용 홈(31)을 향하는 유출구(115)는 공기압 제어에 따라 개폐된다. 즉, 공기압을 통해 유출구(115)의 개방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액상 제품을 일정량씩 포장용기(30)로 투하할 수 있다.
한편, 용기투입지점(P1), 제품투입지점(P2), 덮개부착지점(P3), 덮개절단지점(ㅖ4), 및 용기수거지점(P5)은 모두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블리스터 포장 장치(100)가 차지하는 작업 공간이 너무 길어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제품투입지점(P2)과 덮개부착지점(P3)이 일렬 배치되는 방향과, 덮개부착지점(P3)과 덮개절단지점(P4)과 용기수거지점(P5)이 일렬 배치되는 방향은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품투입지점(P2)과 덮개부착지점(P3)이 일렬 배치된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덮개부착지점(P3)과 덮개절단지점(P4)과 용기수거지점(P5)이 일렬 배치된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할 때,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블리스터 포장 장치(100)의 본체(101)는 도시된 것처럼 90도로 꺾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자면,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덮개(20)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덮개 구동부(150)는 제1 로울러(151), 제2 로울러(152), 및 제1 로울러(151)와 제2 로울러(152)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는 로울러 구동부(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는 제1 로울러(151)에 감겨있다가 풀려 덮개 부착부(120)에 공급되며, 제2로울러(152)에 감기면서 회수된다.
제2로울러(152)에 감기면서 회수되는 덮개는 포장용기(30)의 각 제품 수용 홈(31)에 부착되고 남은 부분이다.
각 제품 수용 홈(31)에 제품이 투입된 포장용기(30)는 덮개부착지점(P3)으로 이동하고, 덮개 부착부(120)는 덮개부착지점(P3)에 위치한 포장용기(30)의 상부면에 덮개를 부착하여 각 제품 수용 홈(31)을 밀폐한다.
포장용기(30)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의 재질은 비닐류, 알루미늄 포일 등 제품의 종류와 포장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덮개는 코팅을 하여 열을 공급하고 압력을 가함으로써 접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덮개 부착부(120)는 포장용기(30)의 상부면이 덮개로 덮힌 상태에서 포장용기(30)의 각 제품 수용 홈(31)의 외곽을 따라 일정 부분(덮개부착부분)에 압력을 가하면서 가열하는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각 제품 수용 홈(31)의 외곽을 따라 일정 부분(덮개부착부분, 51)에서 덮개가 포장용기(30)에 부착된다.
덮개 부착부(120)를 통해 덮개부착부분(51)에 덮개가 부착된 포장용기(30)는 덮개절단지점(P4)으로 이동한다. 이때의 이동은 덮개(20)에 포장용기(30)가 붙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1로울러(151)에서 제2로울러(152)로 이동하는 덮개(20)에 달린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 절단부(130)는 포장용기(30)가 덮개절단지점(P4)에 위치하면, 도 7에 도시된 예와 같이, 포장용기(30)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를 덮개부착부분(51)의 외곽을 따라 절단한다(71).
덮개 절단부(130)가 덮개를 절단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덮개 절단부(130)는 덮개절단지점(P4)에 위치한 포장용기(30)의 상단에서 커터가 내려와 덮개부착부분(51)의 외곽(71)을 누름으로써 덮개를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단되는 부분(71)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커터의 형태가 구성된다.
특히, 절단은 전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부(73)가 절단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지도록 이루어진다. 이것은 포장용기(30)가 덮개(20)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덮개(20)의 이동을 통해 용기수거지점(P5)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포장용기(30)가 덮개부착지점(P3)에서 덮개절단지점(P4)을 거쳐 용기수거지점(P5)으로 이동하는 것은, 덮개(20)의 이동에 따라, 덮개(20)에 달린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덮개(20)를 이용하여 포장용기(30)를 이동시킨다.
덮개 절단부(130)를 통해 절단이 이루어진 후, 덮개(20)가 제2로울러(15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포장용기(30)는 용기수거지점(P5)으로 이동하며, 포장용기 분리부(140)는 각 제품 수용 홈(31)이 밀폐된 포장용기(30)를 덮개(2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다.
포장용기 분리부(140)가 용기수거지점(P5)에 위치한 포장용기(30)를 덮개(20)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자면, 포장용기 분리부(140)는 용기수거지점(P5)에 위치한 포장용기(30)의 각 제품 수용 홈(31)에 일대일 대응하여 구비되는 진공식 흡착 수단(141)을 이용하여 포장용기(30)를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공식 흡착 수단(141)은 진공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붙거나 떨어지는 것으로서, 포장용기(30)의 각 제품 수용 홈(31)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의 중앙 부분에 접촉하여 그 부분에 흡착한다.
그리고, 진공 흡착 수단(141)을 아래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강제로 눌러주면, 포장용기(30)의 상부면에 절단되지 않고 일부 남아있던 부분(73)이 떨어지고, 포장용기(30)는 아래로 떨어져 수거된다. 수거되는 이 포장용기들은 제품 투입과 덮개 부착이 완료된 상태이다.
포장용기 분리부(140)를 통해 분리되어 떨어지는 포장 완료된 포장 단위체들은 별도의 수거함에 모으거나, 별도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운반되는 등 다양하게 처리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자면, 포장용기 분리부(140)를 통해 포장 단위체가 이탈된 후, 덮개(20)는 포장용기(30)의 각 제품 수용 홈(31)을 밀폐하기 위해 사용된 부분(21)이 제거된 상태로 제2로울러(152)에 감겨 회수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20: 덮개 30: 포장용기
31: 제품 수용 홈 51: 덮개부착부분
71: 덮개절단부분 100: 블리스터 포장 장치
101: 본체 110: 제품 투입부
111: 제품 투입 노즐 113: 탱크
115: 유출구 120: 덮개 부착부
130: 덮개 절단부 140: 포장용기 분리부
141: 진공식 흡착 수단 150: 덮개 구동부
151, 152: 로울러 153: 로울러 구동부
160: 제어패널부

Claims (6)

  1. 적어도 2개 이상의 제품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에 제품을 담아 포장하는 블리스터 포장 장치로서,
    제품투입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에 제품을 투입하는 제품 투입부;
    롤에 감겨있는 덮개의 이동을 처리하는 덮개 구동부;
    덮개부착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의 외곽을 따라 덮개부착부분에 덮개를 부착하여 상기 각 제품 수용 홈을 밀폐하는 덮개 부착부;
    덮개절단지점에서, 포장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를 상기 덮개부착부분의 외곽을 따라 일부만 남기고 절단하는 덮개 절단부;
    용기수거지점에서, 상기 각 제품 수용 홈이 밀폐된 포장용기를 상기 덮개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포장용기 분리부; 및
    작업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블리스터 포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용기가 상기 덮개부착지점에서 상기 덮개절단지점을 거쳐 상기 용기수거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덮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덮개에 달린 상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품투입지점과 덮개부착지점은 제1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착지점과 덮개절단지점과 용기수거지점은 제2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90도이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덮개 구동부는, 제1 로울러, 제2 로울러, 및 상기 제1 로울러와 제2 로울러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는 로울러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로울러에서 풀려 상기 덮개 부착부에 공급되며, 상기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에 부착되고 남은 부분이 상기 제2 로울러에 의해 회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장용기 분리부는 상기 용기수거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에 일대일 대응하여 구비되는 진공식 흡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각 진공식 흡착 수단으로 상기 각 제품 수용 홈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의 중앙 부분을 흡착한 후 아래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포장용기를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블리스터 포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투입부는, 상기 제품투입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각 제품 수용 홈에 일대일 대응하여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제품 투입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 투입 노즐은 액상 제품을 저장하는 탱크로부터 액상 제품을 공급받아, 공기압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유출구를 통해 상기 액상 제품을 일정량씩 투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착부는 상기 덮개를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가열하는 방식으로 부착하고,
    상기 덮개 절단부는 상기 덮개절단지점에 위치한 포장용기의 상단에서 커터가 내려와 상기 덮개부착부분의 외곽을 누름으로써 상기 덮개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 장치.
  6. 삭제
KR1020190081055A 2019-07-05 2019-07-05 블리스터 포장 장치 KR102286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055A KR102286600B1 (ko) 2019-07-05 2019-07-05 블리스터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055A KR102286600B1 (ko) 2019-07-05 2019-07-05 블리스터 포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519A KR20210004519A (ko) 2021-01-13
KR102286600B1 true KR102286600B1 (ko) 2021-08-04

Family

ID=7414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055A KR102286600B1 (ko) 2019-07-05 2019-07-05 블리스터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6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520A (ja) * 2001-06-01 2002-12-18 Mitsubishi Heavy Ind Ltd 内実トレイ容器シートの切断装置における星形打抜装置
KR101425417B1 (ko) 2013-02-19 2014-08-01 하이퍼포장 주식회사 다분할 포장팩의 연속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359B1 (ko) * 2017-07-03 2019-06-0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블리스터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520A (ja) * 2001-06-01 2002-12-18 Mitsubishi Heavy Ind Ltd 内実トレイ容器シートの切断装置における星形打抜装置
KR101425417B1 (ko) 2013-02-19 2014-08-01 하이퍼포장 주식회사 다분할 포장팩의 연속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519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5251B2 (ja) 段ボールブランクの折曲げステーション、及び段ボールブランクから得られる段ボール箱の中に物品を梱包するための機械
JP6918585B2 (ja) ヒートシール可能な材料で作製されたバッグにある量の流動製品を充填するための自動包装機
US8381497B2 (en) Method and packaging machine for packaging products
US9073656B2 (en) Sealing station and method for cutting a cover film
CN107848642A (zh) 包装机
CN104875912B (zh) 一种用于多产品合包装的包装生产线
EP2871031B1 (en) Disposable production line for filling and finishing a product
CN105667854B (zh) 自动装箱流水线及包装箱体的方法
MX2011007241A (es) Maquina colocadora de separadores protectores de botellas contenidas en cajas de embalaje.
EP3215421B1 (en) Horizontally arranged wrap packaging system
EP3638589A1 (en) Packing station and method for ceramic slabs
KR102286600B1 (ko) 블리스터 포장 장치
US3882656A (en)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30019787A (ko) 종이컵 자동 포장 장치
AU2014278374A1 (en) Ferris wheel-type vacuum packaging system and method
HU212397B (en) Apparatus for filling and closing packages for packing liquids
CN112208854A (zh) 一种点火器类火工品内包装自动包装工艺方法及装置
KR101323825B1 (ko) 블리스터 포장기
CN103717497B (zh) 组装设备、组装方法和封装组合件
US20230059420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enclosure, a regulated atmosphere, and functional treatments for perishable products
CH700070B1 (en) Machine for the preparation and packaging of strips impregnated with a perfumed essence.
US32281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ing christmas tree balls or similar delicate objects
EP3263467B1 (en) A filling machine for capsules
CN107235187B (zh) 一种轴管件制袋装袋机
CN111498161A (zh) 一种自动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