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142B1 -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스크린겸용 유리칠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스크린겸용 유리칠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142B1
KR102286142B1 KR1020190106763A KR20190106763A KR102286142B1 KR 102286142 B1 KR102286142 B1 KR 102286142B1 KR 1020190106763 A KR1020190106763 A KR 1020190106763A KR 20190106763 A KR20190106763 A KR 20190106763A KR 102286142 B1 KR102286142 B1 KR 10228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glass substrate
glass
screen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252A (ko
Inventor
최영주
Original Assignee
최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주 filed Critical 최영주
Priority to KR102019010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1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17/002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for flat glass, e.g. floa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06Blackboard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10Writing surfac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78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e.g. an oxide of zin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으며 스크린과 영사막 또는 유리칠판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리칠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기판의 전면은 뛰어난 평탄도를 갖도록 하여 필기도구를 활용하여 필기시 사각거리는 소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슬롯 노즐을 이용한 슬롯다이 코팅을 하고 유리기판의 배면에는 광확산 특성을 갖도록 스프레이 방식의 코팅을 함으로서 어떤 각도에서나 필기 내용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자정작용 특성을 활용함으로서 각종 필기도구에 대한 지움 특성이 매우 뛰어난 반사방지 유리칠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스크린겸용 유리칠판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blackboard usable as a screen with anti-reflection and self-cleaning properties}
본 발명은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으며 스크린과 영사막 또는 유리칠판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리칠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기판의 외곽 표면은 뛰어난 평탄도를 갖도록 하여 필기도구를 활용하여 필기시 사각거리는 소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슬롯 노즐을 이용한 슬롯다이 코팅을 하고 유리기판의 배면에는 광확산 특성을 갖도록 스프레이 방식의 코팅을 함으로서 어떤 각도에서나 필기 내용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자정작용 특성을 활용함으로서 각종 필기도구에 대한 지움 특성이 매우 뛰어난 반사방지 유리칠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로젝터용 스크린의 경우 장초점의 스크린으로부터 단초점용 스크린으로 터치가 가능한 판서형 스크린의 발전되고 최근 멀티터치가 가능한 스크린으로 변화되고 있어 스크린 및 칠판시장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분야이다.
최근 컴퓨터 산업의 발달과 함께 회의실이나 사무실 등에서 회의나 세미나를 개최할 때 빔 프로젝터나 오에치피(OHP) 그리고 TV 겸용 컴퓨터용 스크린과 같은 영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화 되고 있다. 그래서 미처 영사막(Projection screen)을 따로 구비되지 못한 경우에는 판서용(板書用)으로 준비된 화이트보드나 유리칠판을 영사막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영사막에다 판서를 하기도 하지만 종래의 영사막은 프로젝터에서 투영된 영상물의 휘도를 높여주는 처리를 한 것이 대부분으로 판서를 할 경우 필기성과 지움특성이 매우 나쁘고 장기적으로 영사막의 기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화이트 보드나 유리칠판을 사용할 경우 영상물이 해상도가 불량하거나 색상이 변질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분필을 사용하는 일반 칠판의 경우, 분필 가루의 비산으로 인해 필기자의 건강을 저해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분필을 사용하지 않고, 수성펜이나 유성펜과 같은 전용 필기도구를 사용하는 화이트 보드(white board)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이트 보드는 바탕 색상이 흰색인데다 표면 광택도가 높기 때문에 이를 장시간 주시하게 되면, 눈이 쉽게 피로를 느끼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이트 보드 대신에 녹색 등을 바탕색으로 사용하여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제품도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제품은 표면처리 물질로서 내구성이 약한 고분자 재료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표면이 쉽게 마모되고 필기내용이 잘 지워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철판에 법랑(Porcelain enamel)을 입힌 칠판 겸용 영사막 제품도 소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철판과 법랑의 접합력 및 표면 처리의 문제, 즉 철판에 법랑질을 입히고 열처리 하는 과정, 즉
소부 과정에서 표면이 유리화 되어 표면 조도가 낮아지고, 반사율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더욱이 제조단가가 너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 특허공개 제2006-0069642호(공개일자; 2006.06.22.)에는 강사 가 스크린 상에 간단한 수식이나 부가 설명 또는 밑줄을 긋는 등의 직접적인 판서를 가능하게 하므로 수강생 또는 피교육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강의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젝터 스크린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프로젝터 스크린은 강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화상 데이터를 가진 소스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스크린에 출력해 주는 프로젝터에 상기 프로젝터의 출력 내용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내용을 레이져 포인터를 통해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광변색성 색소를 적층 또는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프로젝트 스크린은 판서를 하기 위해 레이져 포인터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유리기판을 이용한 칠판도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406753호(공고일자; 2006.01.24.)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유리기판의 배면에 도색층을 도색하여 유리본체를 제조하고, 상기 유리본체와 벽면 사이에 완충부재를 삽입하고 접착제로 접착한 다음, 유리본체의 테두리 면에는 장식부재를 부착하고, 장식부재의 저면에는 받침대를 설치한 유리칠판이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유리칠판은 화이트 보드와 마찬가지로 전용 필기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분필가루가 날릴 우려가 없고, 바탕 색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강한 장점은 있으나, 표면의 광택도가 높기 때문에 필기 내용이 잘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가 생기기도 하고, 눈이 쉽게 피로해 지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유리칠판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표면의 반사광을 난반사 시키려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예컨대, 불산 등과 같은 화학물질로 유리 표면을 부식시키거나, 작은 모래입자를 고압, 고속으로 유리표면에 분사하여 요철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 무광택 처리된 유리칠판은 그 표면에 무수한 미세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미세공극에 필기도구의 색소가 침착되어 필기 내용이 잘 지워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하기의 참고문헌으로 소개하고 있는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59220(공개일자 : 2010년06월04일)의 배면영사막 겸용 유리칠판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방 유리기판과 후방 유리기판이 나란히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유리기판의 전면에는 수성펜 등으로 판서(板書)를 할 수 있는 저반사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유리기판 사이에는 후방 유리기판의 후방에서 조사(照射)되는 각종 영상물을 전방 유리기판의 전방으로 투영(投映)해 주는 광확산필름(Diffusion film)이 삽입되어 있어서 판서용으로는 물론, 배면영사막(Rear projection screen)으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배면영사막 겸용 유리칠판에 관한 기술을 소개하고 있으나 저반사 요철면은 요철에 의해 판서시에 요철면 때문에 사각거리는 소리를 수반하여 청각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보드펜의 색상물질이 지워지지 않아 잔재가 남는 등의 문제점과 광학산 필름을 사용함으로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 : 등록번번호 10-0751444(2007년08월16일) 특허문헌 2 : 공개번호 10-2010-0059220(2010년06월04일)
이에 본 발명은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유리칠판을 제조함으로서 유리기판의 전면은 뛰어난 평탄도를 갖으면서도 저반사를 특성을 갖도록 하여 보드마커 또는 보드펜 및 유성매직 등의 필기도구를 활용하여 판서시 사각거리는 소리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정작용 특성에 의해 유성매직을 포함한 다양한 모든 필기도구의 판서도 완벽하게 지워질 수 있도록 슬롯 노즐을 이용한 슬롯다이 방식으로 코팅을 하고 유리기판의 후면에는 광확산 특성을 갖으면서 반사반지 기능을 갖지만 전체적인 광투과도는 증가하도록 스프레이 방식의 코팅을 함으로서 전면과 후면 어느 방향에서 영사를 하더라도 깨끗하고 완벽한 화질을 유지하고 어떤 각도에서 영사가 되더라도 영사의 내용과 필기 내용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도가 높아 해상도가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유리 후면에 코팅되어 이중상이 있는 기존 문제점을 유리 전면과 후면에 모두 코팅함으로서 이중상이 맺히지 않는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포함하는 유리칠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포함하는 유리기판은 두께가 10~1,000 nm 로 유리기판 전면에 슬롯 노즐을 이용하여 광투과도가 2% 이상 향상되고 표면 거칠기가 100 nm 이하로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유리기판의 후면에 두께가 1㎛이하로 광확산 특성을 갖도록 헤이즈를 주기 위한 스프레이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된 유리기판은 스크린 및 칠판(화이트보드) 겸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능을 갖도록 사용하는 코팅소재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산화물(M2O)인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륨(K2O), 산화리튬(Li2O)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고; 무기산 화합물; 및 물(H2O);을 포함하며;
하기 화학식에서, 알칼리 산화금속들의 몰수인
Figure 112019089192003-pat00001
이고, 실리카의 몰수인
Figure 112019089192003-pat00002
이며;
[화학식] (x1Na 2O+x2K2O+x3Li2O)·ySiO2·nH 2O
상기 화학식의 코팅소재 100중량부 기준으로 (M2O+SiO2)은 0.1~10 중량부이고 무기산 화합물 0.01 ~ 2 중량부와 나머지의 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리기판의 전면코팅 방식인 슬롯노즐을 이용한 슬롯다이 방식의 코팅방법은 부착되는 두께를 기준으로, 0~2%구간인 시작구간; 2%~98%구간인 가속구간; 98%~100%구간인 종료구간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별로 각각 상이한 제어를 통하여 유리기판 전체에 유니폼한 두께를 갖는 코팅 도막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리기판의 후면코팅 방식인 스프레이 코팅방법은 스프레이 노즐이 구경을 나노소재의 코팅에 적합하도록 1파이 이하로 하며 최적의 코팅을 위하여 노즐의 높이와 유량 및 공기압 등 최적의 제어를 위해 상이한 정량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에 따라 해상도가 높은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필기구를 사용하더라도 쉽게 지울 수 있는 유리칠판의 제조가 가능하여 용도가 매우 다양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나노 세라믹 코팅은 나노미터 사이즈의 두께를 갖는 코팅으로 유리기판에 어떠한 반작용이 없으며 일반 유리기판에 비하여 기계적 특성 즉 9H이상의 매우 높은 경도와 마모(내스크래치)특성을 가지고 있어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광투과도가 코팅 전후비교시 2%이상 증가하고 반사율 역시 2%이하로 감소시켜 광학적 효과 또한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겸용 유리칠판은 회의실이나 사무실, 세미나실 등에서 판서용으로는 물론, 스크린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복합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서 특히 강의용이나 세미나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서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필기성과 지움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스크린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해상도와 휘도가 높아서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며, 나아가 보는 사람의 시선을 자극하거나 사각 지역이 생기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근 멀티 터치 프로젝터를 활용한 전자칠판의 활용에 본 발명기술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LCD(LED)형 전자칠판의 76인치 이상의 화면이 불가능하지만 프로젝터용의 스크린의 경우 80인치 이상의 대형 화면에 적용이 가능하여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코팅 두께를 나타낸는 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코팅에 따른 이중상에 의한 효과
도 4는 본 발명의 코팅에 따른 광투과 효과
도 5는 본 발명의 코팅시 물에 의한 자정작용 특성
도 6은 본 발명의 유리종류에 따른 접촉각 특성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포함하는 유리칠판의 제조방법은 유리기판의 전면은 투명하고 깨끗하며 평탄도가 수십~수백나노미터 수준으로 코팅할 수 있도록 나노 세라믹소재를 슬롯노즐을 이용한 슬롯다이 또는 바 코팅방식을 이용함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거나 모재로 사용하는 모든 유리에 비하여 광투과도는 2% 이상 증가하고 반사율은 2%이하로 감소할 수 있도록 하며 표면의 평탄도 또는 표면 거칠기를 100nm 이하 수준으로 유니폼하게 하여 판서시에 사각거리는 소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리표면의 자정작용 특성을 활용하여 유성매직 또는 페인트 등을 포함한 어떠한 필기구를 사용하더라도 완벽하게 지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리기판의 후면은 상기의 나노 세라믹 소재를 1,000nm 이하로 스프레이 코팅함으로서 스프레이시 발생하는 헤이즈를 이용하여 광확산을 도모하며 반사방지와 함께 광투과율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기판의 전면과 후면에 나노 세라믹소재를 코팅함으로서 반사율의 감소와 더불어 광투과율을 증가시킴으로서 영상의 질인 해상도를 높이고 반사방지에 의한 가독성을 높이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성 을 갖는 코팅소재인 나노 무기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산화물(M2O)인 산화나 트륨(Na2O), 산화칼륨(K2O), 산화리튬(L i2O)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고; 무기산 화합물; 및 물(H2O);을 포함하며;
하기 화학식에서, 알칼리 산화금속들의 몰수인
Figure 112019089192003-pat00003
이고, 실 리카의 몰수인
Figure 112019089192003-pat00004
이며;
[화학식] (x1Na2O +x2K2O+x3Li2O)·ySiO2·nH2 O
상기 화학식의 나노무기조성물 100중량부에서 (M2O+SiO2)은 0.1~10 중 량부이고 무기산 화합물 0.01 ~ 2 중량부와 나머지의 물을 포함하도 록 하여 제조한다.
상기의 코팅장치에 따른 조성물의 변경은 전처리장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 며 특히, 모재 표면의 친수여부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포함시켜 부착특성을 개선시 키고, 색상을 위한 칼라안료의 분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 으며 조성물의 생산시간 단축 및 화학반응의 촉진 등을 위해 촉매제를 추가로 포함 시킬 수 있다.
상기 첨가되는 용매(물+무기산화합물)의 양은 첨가 되는 알칼리 산화금속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 보다 크며, 무기산 화합물은 주로 인산 또는 붕산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에서 X는 나노 무기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 산화금속(M 2O)들의 몰수이며 y는 실리카(SiO2)의 몰수로서 실리카의 몰수는 항상 알칼리 금속의 몰수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Figure 112019089192003-pat00005
를 만족하여야 하며, 산화나트륨(Na2O)의 몰수 x 1, 산화칼륨(K2O)의 몰수 x2, 산화리튬(Li2O)의 몰수 x 3중에서 상기 X(X=x1+x2+x 3)는 항상 0보다 큰 수로서 X〉0를 만족하며, 각각의 알칼리 산화금속들 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수로서
Figure 112019089192003-pat00006
와 같이 표현할 수 있 다.
또한 기존 발명에서는 Na2O를 50% 이상 포함하는 나노무기조성물로 제조 되 어 도막두께가 일정 이상이 될 경우 백화현상의 원인이 되고 열처리(소성)시 공기 층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본 발명에서 x1
Figure 112019089192003-pat00007
x2+x3의 식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제조할 경우 광학특성, 친수특성 및 내수성(내구성)에서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타났으며 Na2O의 최적의 함량은 X(X=x1+x2+x3)와 대비하여 30±10% 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나노 무기조성물의 PH는 11이하일 경우 고형화가 진행되어 제조에 어려움이 있으며 13이상이면 다양한 기능성이 감소되어 11~13사이의 PH가 가장 적합하다.
또한, 상기 나노 무기조성물의 박막 표면의 접촉각은 20° 이하의 친수특성을 나타내며 자정작용 또는 이지클린(Easy-Clean) 특성을 갖으며 표면경도는 9H이상으로 높은 마모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의 나노 무기조성물은 헤이즈(탁도)를 제어하여 광택도를 유광 또는 무광형태로 할 수 있으며 투명기판의 경우 반투명과 불투명 등 다양하게 헤이즈(탁도)를 구현함으로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란도와 헤이즈 그리고 탁도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투명기판의 투명도에 따라 달라지는 투명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유광 또는 무광등과 같이 코팅 표면의 광택도와 광확산도를 나타낼 수 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강판과 같이 판재로 이루어진 모재의 경우 스프레이 코팅 또는 바와 디핑 방식의 코팅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라 할 수 있으며 양산을 위한 자동화에도 가장 적합할 수 있기때문에 이와 같은 코팅방법을 서로 순차적 또는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두께로 코팅도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노즐의 높이, 유량, 이동속도, 고형분 함량, 공기압 등을 제어함으로서 이를 달성할 수 있다.
스프레이 코팅방식의 경우 노즐의 높이가 높아지면 단위 면적당 모재표면에 부착되는 조성물의 양이 감소하여 도막 두께가 감소하고 반대로 노즐의 높이가 낮아질수록 모재에 부착되는 조성물의 양이 증가하여 도막두께는 증가될 것이며 모재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면 부착되는 조성물의 양은 감소하고 이동속도가 감소하면 부착되는 조성물의 양은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물리적인 법칙이다. 또한 고형분의 함량이 낮으면 코팅 두께가 감소하고 고형분 함량이 많으면 코팅 두께가 두꺼워진다. 조성물의 분출되는 공기압을 제어함으로써 표면 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외에 조성물의 유량을 직접 제어하여 도막의 상태와 두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스프레이 방식의 코팅에 따른 실시예는 코팅 도막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코팅도막을 형성할 경우 아래와 같은 계산식을 활용하여 실시한다.
스프레이 방식의 코팅도막 형성을 위한 조건들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9089192003-pat00008
Ht : 코팅 두께
Q : 유량(ul/min)
C : 점도 또는 농도( 고형분 함량)
U : 모재의 이동속도(m/min)
t : 코팅 횟수
W : 스프레이 면적 (m2)
h : 노즐 의 높이(m)
상기와 같이 나노 무기조성물의 부착을 위한 코팅이 마무리되면 열처리를 위 한 소성을 통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기의 표현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의하였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의미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1. 연필경도(Pencil hardness)
ASTM D3363의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용 연필을 끼우고, 일정 하중(1Kg)을 가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9H ~ 1H, F, HB, 1 B ~ 6B로 나타내었으며, 9H의 경우 최고로 단단한 것이며, 6B의 경우 가장 약한 경도를 나타낸다.
2. 부착력 내지 접착력(Adhension)
ASTM D3359의 기준에 따라 측 정하였다.
나노 무기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막에 cutter로 바둑판 모양의 흠을 낸 후, 그 위에 3M 테이프를 완전 밀착시킨 후 일정한 힘으로 떼어내어 코팅층과 기재와의 밀착 정도를 관찰하였다. 측정결과는 0B, 1B, 2B, 3B, 4B, 5B로 기재하였으며, 수 치는 아래와 같다.
0B: 측정 후 코팅 막이 65% 이상 손실된 경우.
1B: 측정 후 코팅 막이 35 ~ 65 % 정도 손실된 경우.
2B: 측정 후 코팅 막이 15 ~ 35% 정도 손실된 경우.
3B: 측정 후 코팅 막이 5 ~ 15% 정도 손실된 경우.
4B: 측정 후 코팅 막이 5% 미만 손실된 경우.
5B: 측정 후 코팅 막의 손 실이 없는 경우.
3. 이지-클린성(Pollution resistant)
코팅막에 유성 매직을 칠한 다음, 물(수 돗물)을 뿌린 후 매직이 지워지는 정도로 측정하였으며, 한 포인트에 10회 연속 실시한 결과에 대해 아래와 같이 기재하였다. ◎ : 아주 좋음, ○ : 좋음, △ : 보통, X : 나쁨
4. 접촉각(Contact angle)
코팅막에 물 한 방울을 떨어 뜨린 후 코팅 막 위의 물의 형태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하였다. 이 는 코팅막의 친수성 정도를 알 수 있는 실험으로 초친수성 또는 친수 성인 경우 클린성이 더 좋게 나온다. 접촉각이 20±5도인 경우는 친수성, 10±2도인 경우에는 초친수성이라 할 수 있다.
5. 내수성
90℃의 온도에서 모재를 12시간 동안 방치한 결과 코팅막의 상태를 측정하였다.
◎ : 아주 좋음, ○ : 좋음, △ : 보통, X : 나쁨
6. 투과율
UV-Visible Spe ctrometer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영역부터 자외선 영역까지에서 유리 판에 코팅된 코팅막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유리기판의 전면코팅 방식인 슬롯노즐을 이용한 슬롯다이 방식의 코팅방법에 따른 코팅두께 제어를 상술하면 부착되는 두께를 기준으로,코팅 시작시기에서 종료시기까지 유니폼한 두께가 코팅될 수 있도록 각 구간별 토출량과 갠트리속도변화를 주는 것으로 는 방법과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처음 코팅을 시작하는 부분은 코팅을 안정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코팅의 두께가 높아지며 조성물이 오버플로우 되어 스테이지 오염 및 언코팅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여야 하며 시작단계를 지나 정상적으로 코팅이 되는 부분에서는 토출량이 적을수록 갠트리 스피드를 낮춰 안정적인 토출을 유지해 준다. 초기 비드 형성과정으로 인해 시작부 20mm 구간은 코팅 도막 두께가 두꺼워지고, 종료 구간은 코팅 끝맺음부로 가속구간보다 속도가 줄어 토출되기 때문에 끝단 10mm 구간에서 두께 편차가 발생하지만 전체적인 코팅도막의 Uniformity는 우수하고 코팅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나노 세라믹 코팅 후 실시예
시험 항목 기준 시험 결과 시험 방법 시험 규격 대응 규격
접촉각 10° ≥ 물방울을 표면에 떨어뜨린 후 이루는 각도 측정 ASTM D 5946
가시광선투과율 85% 90% 가시광선영역(380~780nm)
투과율측정
KS L 2514
연필경도 9H 9H 연필로일정한 무게(1kg)로
45o로 밀어 긁히는 정도
KS M ISO 15184:2013 ASTM D3363
내산성 표면상태 이상없음 23℃±2℃,1mol/L
염산 5%, 24hr 침지
KS M ISO 2812-1:2012 JIS R 3221
내마모성 10mg ≥ 1mg 마모감량, CS-17, 500g, 100회 회전 ASTM D4060-14 JIS R 3221
부착성 100/100 100/100 100개의 바둑판눈의 접착테이프 박리확인 KS D 6711 ASTM D 3359
자정작용 3색 유성매직 모두 지워짐 유성매직의 지워지는 정도
스크린 겸용 유리칠판의 발명에 따른 차이점
구분 일반 유리칠판 발명이 적용된 유리칠판
특징 핫스팟 ( 눈부심 현상) 심함
(글씨나 화질의 판독이 불가능한 사각지대 존재함 )
눈부심 전혀 없음/사각지대 없음
기반기술 LCD 기반/LCD 또는LED 기판 사용 프로젝트형 기반/유리기판에 나노Ceramic 코팅
화면 크기 80인치 이상 기술적 어려움 300인치 이상도 가능
사용자 환경 인체 유해함
(전자파/안구건조증 심함)
없음
사무실 환경 회의 시 판서용 화이트 보드와
프로젝터 사용시는 천정의 블라인드를 따로 사용
겸용 사용 가능함으로 매우 편함
판서 기능 보드마커펜 불가능/오로지 전자펜 사용 전자펜, 손, 보드마커, 유성매직,
유기페인트 모두 가능
스크래치 날카로운 것에 긁힘(사용시 매우 주의) 표면경도 9H이상의 우수한 내마모성
가격 매우 고가 저가

Claims (6)

  1. 유리기판 제조단계;
    제조된 유리기판의 세정단계;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산화물(M2O)인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륨(K2O), 산화리튬(Li2O)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고; 무기산 화합물; 및 물(H2O);을 포함하며;
    하기 화학식에서, 알칼리 산화금속들의 몰수인
    Figure 112021018936060-pat00017
    이고, 실리카의 몰수인
    Figure 112021018936060-pat00018
    이며;
    [화학식] (x1Na 2O+x2K2O+x3Li2O)·ySiO2·nH 2O
    상기 화학식의 코팅소재 100중량부에서 (M2O+SiO2)은 0.1~10 중량부이고 무기산 화합물 0.01 ~ 2 중량부와 나머지의 물을 포함하는 코팅소재 제조단계;
    상기 유리기판 전면에 슬롯 노즐을 이용하여 100 nm 이하의 표면 거칠기로 제어하여 10~1,000 nm 두께로 제조된 코팅소재를 코팅하는 단계;
    코팅 후 코팅면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유리기판의 후면에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1㎛이하로 도막 두께를 제어하며, 광확산 특성을 갖도록 스프레이 코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겸용 유리칠판용 유리코팅방법.
    Figure 112021018936060-pat00019

    Ht : 코팅 두께
    Q : 유량(ul/min)
    C : 점도 또는 농도( 고형분 함량)
    U : 모재의 이동속도(m/min)
    t : 코팅 횟수
    W : 스프레이 면적 (m2)
    h : 노즐 의 높이(m)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소재를 이용하여 코팅 후 유리기판의 광투과율은 최소 2% 이상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겸용 유리칠판용 유리코팅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소재를 이용하여 코팅 후 유리기판의 광반사율은 최소 2% 이상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겸용 유리칠판용 유리코팅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코팅 후 유리기판의 표면경도는 9H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겸용 유리칠판용 유리코팅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코팅 후 이중상이 맺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겸용 유리칠판용 유리코팅방법.
KR1020190106763A 2019-08-29 2019-08-29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스크린겸용 유리칠판 제조방법 KR10228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63A KR102286142B1 (ko) 2019-08-29 2019-08-29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스크린겸용 유리칠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63A KR102286142B1 (ko) 2019-08-29 2019-08-29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스크린겸용 유리칠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52A KR20210026252A (ko) 2021-03-10
KR102286142B1 true KR102286142B1 (ko) 2021-08-04

Family

ID=7514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763A KR102286142B1 (ko) 2019-08-29 2019-08-29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스크린겸용 유리칠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1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924B1 (ko) * 2017-09-21 2019-01-22 성창환 친수 및 오염방지 기능을 갖는 나노세라믹 코팅유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444B1 (ko) 2006-06-12 2007-08-23 주식회사 에스엘디 무광택 유리기판의 제조방법
KR20100059220A (ko) 2008-11-26 2010-06-04 주식회사 에스엘디 배면영사막 겸용 유리칠판
KR20160046934A (ko) * 2014-10-20 2016-05-02 엔라이팅 주식회사 내부광추출층을 구비한 유연성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924B1 (ko) * 2017-09-21 2019-01-22 성창환 친수 및 오염방지 기능을 갖는 나노세라믹 코팅유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52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1370B2 (ja) 膜付き曲げ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7326702B2 (ja) 防汚膜付き透明基板および静電容量型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式液晶表示装置
JPWO2017135261A1 (ja) 透光性構造体
EP3178796B1 (en) Glass article comprising anti-glare surface
JP4893539B2 (ja) アンチグレア層を有する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267698A1 (en) Anti-glare surface treatment method and articles thereof
KR20180104002A (ko) 개선된 촉각 표면을 갖는 밀봉부
JPWO2013051620A1 (ja) 低反射膜付き物品の製造方法
WO2015186753A1 (ja) 機能膜付き化学強化ガラス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物品
EP2181380B1 (en) Interactive enamelled visual communication panel
JP6733678B2 (ja) 反射型スクリーン
CN209417512U (zh) 反射型屏幕
WO2007029351A1 (ja) 映写黒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744797B2 (en) Projection and communication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KR101024302B1 (ko) 영사막 겸용 유리칠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9178243A (ja) クリヤー塗料組成物、塗装方法及び塗装体
KR102286142B1 (ko) 반사방지 및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스크린겸용 유리칠판 제조방법
JP7414524B2 (ja) 膜付きガラス基板、物品、および膜付き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2013160799A (ja) 低反射膜付き物品の製造方法
KR100751444B1 (ko) 무광택 유리기판의 제조방법
KR101164859B1 (ko) 스크린 및 칠판 겸용 무광택 판재의 제조방법
JP5868777B2 (ja) 目に優しい短焦点型プロジェクター用マーカーボード
JP2019177622A (ja) 塗装体
JP6686884B2 (ja) 積層体
CN216733658U (zh) 新型uv纳米投影写字白板复合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