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492B1 - 접철식 관람석 - Google Patents

접철식 관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492B1
KR102285492B1 KR1020180167307A KR20180167307A KR102285492B1 KR 102285492 B1 KR102285492 B1 KR 102285492B1 KR 1020180167307 A KR1020180167307 A KR 1020180167307A KR 20180167307 A KR20180167307 A KR 20180167307A KR 102285492 B1 KR102285492 B1 KR 102285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d
grandstand
disposed
spect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921A (ko
Inventor
홍병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시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시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시팅
Priority to KR102018016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492B1/ko
Priority to PCT/KR2019/011924 priority patent/WO2020130293A1/ko
Publication of KR2020007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04H3/126Foldable, retractable or tiltable tribu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Toys (AREA)

Abstract

접철식 관람석의 일 실시예는, 접철되는 복수의 관람단을 포함하는 접철식 관람석에 있어서, 상기 관람석의 전면 하부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 상기 관람석의 후면 하부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단이 상기 제1프레임과 대향하고 후단이 상기 제2프레임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관람석{Foldable bleacher}
실시예는,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고, 관람객과 작업자에게 안전한 구조를 가진 접철식 관람석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접철식 관람석은 관람객이 머무르며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관람단을 구비하고, 이러한 관람단을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관람석이다. 또한, 접철식 관람석은 전체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특정 장소에 고정된 구조의 관람석에 비해 그 효용성이 높다.
즉, 접철식 관람석은 실외의 대규모 체육시설, 실내의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복수의 관람단이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설치장소로 이동이 완료된 관람석은 각 관람단이 펼쳐지게 되고, 이로써 관람객들은 관람석을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장소에서 사용이 완료된 관람석은 다시 접히게 되고, 접힌 상태에서 이동하여 보관되거나 다른 설치장소로 이동하여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접철식 관람석은 접히거나 펼쳐지고, 관람석 전체가 이동하므로, 여러가지 작업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접철식 관람석의 설치, 이동 및 관람객의 사용시,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와 관람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접철식 관람석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고, 관람객과 작업자에게 안전한 구조를 가진 접철식 관람석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접철식 관람석의 일 실시예는, 접철되는 복수의 관람단을 포함하는 접철식 관람석에 있어서, 상기 관람석의 전면 하부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 상기 관람석의 후면 하부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단이 상기 제1프레임과 대향하고 후단이 상기 제2프레임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3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관람단 각각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상기 관람단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한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상기 제1“‡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의 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패드; 및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의 전단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2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는 마그네틱 커플링(magnetic coupling)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상기 제1“‡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의 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3패드; 및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의 후단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4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패드와 상기 제4패드는 마그네틱 커플링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패드는, 전류를 인가받아 전자석이 되어 금속재질의 상기 제2패드와 마그네틱 커플링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패드는, 전류를 인가받아 전자석이 되어 금속재질의 상기 제4패드와 마그네틱 커플링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지 않고, 상기 제3패드와 상기 제4패드의 일부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는 경우, 상기 제2방향으로 보아, 상기 관람석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은 펼쳐진 상태가 되고, 상기 관람석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은 상기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의 일부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고, 상기 제3패드와 상기 제4패드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방향으로 보아 상기 관람석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은 펼쳐진 상태가 되고, 상기 관람석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은 상기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전부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고, 상기 제3패드와 상기 제4패드가 전부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관람단은 상기 제3방향으로 전부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는 것일 수 있다.
접철식 관람석의 일 실시예는, 상기 관람석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하고, 복수의 상기 관람단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관람석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과 결합하고, 상기 관람석이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이동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관람단의 전부 또는 일부가 펼쳐지거나, 상기 관람단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프레임과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는 마그네틱 커플링 방식으로 구비됨으로써, 다른 기구적 결합수단에 비해, 결합 및 결합해제를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고,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커플링 방식으로 구비됨으로써 강한 자기력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결합해제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현저히 억제하여 관람객 및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장치는 관람석의 후방부가 접힌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제3프레임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관람석의 상태가 변하는 것을 억제하여, 관람석을 사용하는 관람객 또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장치는 관람석의 전방부가 접힌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제3프레임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관람석의 상태가 변하는 것을 억제하여, 관람석을 사용하는 관람객 또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형태를 유지하면서 관람석을 이동시키는 경우, 관람석은 관람단이 전부 또는 일부 펼쳐진 상태에 비해 부피가 현저히 줄어들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해 지고,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하여 겹쳐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 중 관람석의 형태의 변형으로 인한 작업능률의 저하와 작업자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관람석은 구동부와 이동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관람석의 전체 이동, 관람단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접거나 펼치는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접철식 관람석이 전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제2패드 및 제4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의 접철식 관람석에서 관람석의 전방부는 펼쳐지고 관람석의 후방부는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접철식 관람석에서 관람석의 전방부는 접히고 관람석의 후방부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접철식 관람석 전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각 도면에서 제1방향은 y축방향, 제2방향은 x축방향, 그리고 제3방향은 z축방향으로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의 접철식 관람석이 전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제2패드(412) 및 제4패드(42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접철식 관람석은 접철되는 복수의 관람단(10)을 포함하고, 각 관람단(10)은 제2방향을 따라 관람석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관람객은 각 관람단(10)에서 관람을 할 경우에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관람단(10)에는 관람객이 앉을 수 있는 의자가 배치되고, 이러한 의자는 제1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실시예의 접철식 관람석에서 각 관람단(10)은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접힐 수 있다. 이때, 관람단(10)이 접힌다는 것은 각 관람단(10)이 상하방향 즉,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관람단(10)이 펼쳐진다는 것은 각 관람단(10)이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고, 따라서 관람객이 각 관람단(10)에서 관람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각 관람단(10) 전체가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관람석은 관람단(10) 전체가 접힌 상태에서 이동하여, 배치장소에서 관람단(10) 전체 또는 일부가 펼쳐져 관람객이 상기 관람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관람석은 이동시에는 관람단(10)이 접히고, 사용시에는 관람단(10)이 펼쳐짐으로써, 특정장소에 고정된 구조의 관람석과 비교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관람석은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제3프레임(300) 및 결합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각 프레임들은 관람단(10)을 지지하기 위해 제3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물, 기타의 구조물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관람석은 접히거나 펼쳐지기 위한 구조 즉, 접철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추가적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상기 관람석의 전면 하부에 배치되고,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00)은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방향은, 도 1을 참조하면, 관람석의 폭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예를 들어, 관람석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관람단(10)에 고정되어 상기 최전방의 관람단(10)과 함께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상기 관람석의 후면 하부에 배치되고,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200)은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예를 들어, 관람석의 최후방에 배치되는 제3프레임(300)과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최후방의 제3프레임(300)은 관람석의 최후방에 배치되는 관람단(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프레임(200)은 상기 최후방의 관람단(10)과 함께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프레임(300)은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상기 제2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되고,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프레임(300)은 길이방향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프레임(300)은 전단이 상기 제1프레임(100)과 대향하고 후단이 상기 제2프레임(200)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프레임(300)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3프레임(300)은 복수의 상기 관람단(1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프레임(300)은 각 관람단(10)을 지지하면서 제2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용이한 이동을 위해 지면과 롤링 접촉하는 휠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프레임(300)은 제2방향 이동 시 상호 접촉에 의한 마찰력 발생을 줄이기 위해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롤링하는 별도의 휠이 다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3프레임(300)은 복수의 관람단(10)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총 10개의 관람단(10)이 구비되고, 마찬가지로 제3프레임(300)도 총 10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3프레임(300)과 관람단(1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10개보다 적거나 10개보다 많게 구비될 수도 있다.
각각의 제3프레임(300)은 각각의 관람단(10)과 수직 구조물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3프레임(300) 및 이에 고정된 관람단(10)은 일체로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제3프레임(300)은, 관람석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3프레임(300)들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따라서, 관람석 전체가 접힌 상태에서는 각각의 제3프레임(300)이 제1방향으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3프레임(300) 각각은 서로 인접하지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열되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관람석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3프레임(300)은 관람석의 중앙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관람석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제3프레임(300)은 상기 제1프레임(100)과 고정적으로 또는 일체로 결합하고, 관람석의 최후방에 배치되는 제3프레임(300)은 상기 제2프레임(200)과 고정적으로 또는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최전방의 제3프레임(300)과 제1프레임(100) 간 결합을 위해, 그리고 상기 최후방의 제3프레임(300)과 제2프레임(200) 간 결합을 위해, 후술하는 결합장치(400)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후술하는 결합장치(400)는 이러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3프레임(300)들과 제1프레임(100) 또는 제2프레임(200) 간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의 관람석에서,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300)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상기 관람단(10)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한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람단(10)은 전부 또는 일부가 접힐 수 있다.
관람석을 이동시키거나 보관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람단(10) 전부가 접힌 상태가 되어, 관람석의 이동 또는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관람석 전체를 사용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람단(10) 전체가 펼쳐진 상태가 되어 관객이 관람단(10) 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단(10)의 일부는 펼쳐지고 나머지는 접힌 상태가 되어, 관람객이 전체 관람석의 일부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비교적 좁은 공간에 관람석을 배치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결합장치(400)는 상기 제3프레임(300)을 상기 제1프레임(100) 또는 상기 제2프레임(200)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장치(400)는 관람석의 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관람석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사용자 및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관람단(10) 전부가 접힌 상태에서, 결합장치(400)는 제3프레임(300)을 제1프레임(100) 또는 제2프레임(20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고, 이에 따라 복수의 관람단(10) 전부가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특히 관람석의 이동 중에 관람단(10)의 적어도 일부가 펼쳐져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관람단(10) 중 관람석의 후방부(22)에 배치되는 부분은 접히고 나머지는 펼쳐진 상태에서, 결합장치(400)는 접힌 관람단(10)에 구비되는 제3프레임(300)을 제2프레임(20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고, 이에 따라 복수의 관람단(10) 일부가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관람단(10) 중 관람석의 전방부(21)에 배치되는 부분은 접히고 나머지는 펼쳐진 상태에서, 결합장치(400)는 접힌 관람단(10)에 구비되는 제3프레임(300)을 제1프레임(10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고, 이에 따라 복수의 관람단(10) 일부가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관람단(10)의 일부는 접히고 나머지는 펼쳐진 상태를 결합장치(400)가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관람객이 있는 상태에서 관람단(10)의 적어도 일부가 펼쳐지거나 접혀 관람객이 다치는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장치(400)는 제1결합부(410) 및 제2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410)는 상기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3프레임(300)을 서로 결합시키고 제1패드(411) 및 제2패드(4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드(411) 내지 제4패드(422)는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1프레임(100) 내지 제3프레임(300)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1패드(411)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프레임(100)에 상기 제1“‡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300)의 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패드(411)는 제1프레임(100)에서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패드(412)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300)의 전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패드(411)와 제2패드(412)는 제2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패드(411)와 상기 제2패드(412)는 마그네틱 커플링(magnetic coupling) 방식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패드(411)는 전력케이블(401)이 연결되고, 상기 전력케이블(401)을 통해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제1패드(411)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패드(411)는 전류를 인가받아 전자석이 되어 금속재질의 상기 제2패드(412)와 마그네틱 커플링 될 수 있다.
즉,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제1패드(411)와 제2패드(412)가 결합함으로써 이들이 부착되는 제1프레임(100)과 제3프레임(300)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제1패드(411)에 전류인가가 해제되면 제1패드(411)와 제2패드(412) 간 마그네틱 커플링은 해제되고, 따라서 제1프레임(100)과 제3프레임(300) 간 결합도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관람단(10)이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프레임(100)과 제3프레임(300)이 서로 가까워지고, 이에 따라 제1패드(411)와 제2패드(412)는 서로 접촉하거나 매우 인접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때, 제1패드(411)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패드(411)와 제2패드(412)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 되고, 이에 따라 제1프레임(100)과 제3프레임(300)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제1패드(411)에 전류 인가가 해제되면 제1프레임(100)과 제3프레임(300) 간 결합이 해제되고, 제3프레임(300)은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결합부(420)는 상기 제2프레임(200)과 상기 제3프레임(300)을 서로 결합시키고 제3패드(421) 및 제4패드(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패드(421)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200)에 상기 제1“‡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300)의 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3패드(421)는 제2프레임(200)에서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패드(422)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4프레임의 후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패드(421)와 제4패드(422)는 제2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패드(421)와 상기 제4패드(422)는 마그네틱 커플링 방식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패드(421)는 전력케이블(401)이 연결되고, 상기 전력케이블(401)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3패드(421)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3패드(421)는 전류를 인가받아 전자석이 되어 금속재질의 상기 제4패드(422)와 마그네틱 커플링 될 수 있다.
즉,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제3패드(421)와 제4패드(422)가 결합함으로써 이들이 부착되는 제2프레임(200)과 제3프레임(300)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제3패드(421)에 전류인가가 해제되면 제3패드(421)와 제4패드(422) 간 마그네틱 커플링은 해제되고, 따라서 제2프레임(200)과 제3프레임(300) 간 결합도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관람단(10)이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프레임(200)과 제3프레임(300)이 서로 가까워지고, 이에 따라 제3패드(421)와 제4패드(422)는 서로 접촉하거나 매우 인접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때, 제3패드(421)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3패드(421)와 제4패드(422)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고, 이에 따라 제2프레임(200)과 제3프레임(300)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제3패드(421)에 전류 인가가 해제되면 제2프레임(200)과 제3프레임(300) 간 결합이 해제되고, 제3프레임(300)은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프레임(2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프레임(300)과 제1프레임(100) 또는 제2프레임(200)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400)는 마그네틱 커플링 방식으로 구비됨으로써, 다른 기구적 결합수단에 비해, 결합 및 결합해제를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고,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커플링 방식으로 구비됨으로써 강한 자기력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결합해제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현저히 억제하여 관람객 및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의 접철식 관람석에서 관람석의 전방부(21)는 펼쳐지고 관람석의 후방부(22)는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석은 전방부(21)만 펼친 상태이고 후방부(22)는 접힌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관람객이 많지 않거나, 좁은 공간에 관람석을 배치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경우 실시예의 결합장치(400)를 사용하여 제3프레임(300)을 제2프레임(200)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관람석 후방부(22)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관람석 후방부(22)의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관람석의 전방부(21)가 펼쳐진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이 각 관람단(10), 각 제3프레임(300) 또는 이들과 결합하는 기타 구조물에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패드(411)와 상기 제2패드(412)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지 않고, 상기 제3패드(421)와 상기 제4패드(422)의 일부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는 경우, 상기 제2방향으로 보아, 상기 관람석의 전방부(21)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10)은 펼쳐진 상태가 되고, 상기 관람석의 후방부(22)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10)은 상기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 즉,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총 10개의 관람단(10)을 가진 관람석에서, 총 4개의 접힌 상태의 관람단(10)이 관람석의 후방부(22)를 형성하고, 총 6개의 펼친 상태의 관람단(10)이 관람석의 전방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최전방의 제3프레임(300)은 제1프레임(100)에 고정적으로 또는 일체로 결합하고 결합장치(400)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최후방의 제3프레임(300)은 제2프레임(200)에 고정적으로 또는 일체로 결합하고 결합장치(400)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패드(411)와 상기 제2패드(412)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지 않으므로 최전방 제3프레임(300)을 제외한 나머지 제3프레임(300)들은 제1프레임(100)과 결합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항상 제2프레임(200)에 고정되는 최후방 제3프레임(300)과 제3패드(421)와 제4패드(422) 간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결합하는 3개의 제3프레임(300)이 제2프레임(200)과 결합하여, 총 4개의 제3프레임(300)이 제2프레임(200)에 결합함으로써 관람석의 후방부(22)에는 총 4개의 관람단(10)이 겹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장치(400)는 관람석의 후방부(22)가 접힌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제3프레임(300)이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관람석의 상태가 변하는 것을 억제하여, 관람석을 사용하는 관람객 또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의 접철식 관람석에서 관람석의 전방부(21)는 접히고 관람석의 후방부(22)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석은 후방부(22)만 펼친 상태이고 전방부(21)는 접힌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관람객이 많지 않거나, 좁은 공간에 관람석을 배치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관람객의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관람객의 위치를 높일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경우 실시예의 결합장치(400)를 사용하여 제3프레임(300)을 제1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관람석 전방부(21)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관람석 전방부(21)의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관람석의 후방부(22)가 펼쳐진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별도의 상기 고정수단이 각 관람단(10), 각 제3프레임(300) 또는 이들과 결합하는 기타 구조물에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패드(411)와 상기 제2패드(412)의 일부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고, 상기 제3패드(421)와 상기 제4패드(422)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방향으로 보아, 상기 관람석의 후방부(22)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10)은 펼쳐진 상태가 되고, 상기 관람석의 전방부(21)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10)은 상기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 즉,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총 10개의 관람단(10)을 가진 관람석에서, 총 6개의 접힌 상태의 관람단(10)이 관람석의 전방부(21)를 형성하고, 총 4개의 펼친 상태의 관람단(10)이 관람석의 후방부(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최전방의 제3프레임(300)은 제1프레임(100)에 고정적으로 또는 일체로 결합하고 결합장치(400)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최후방의 제3프레임(300)은 제2프레임(200)에 고정적으로 또는 일체로 결합하고 결합장치(400)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패드(421)와 상기 제4패드(422)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지 않으므로 최후방 제3프레임(300)을 제외한 나머지 제3프레임(300)들은 제2프레임(200)과 결합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항상 제1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최전방 제3프레임(300)과 제1패드(411)와 제2패드(412) 간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결합하는 5개의 제3프레임(300)이 제1프레임(100)과 결합하여, 총 6개의 제3프레임(300)이 제1프레임(100)에 결합함으로써 관람석의 전방부(21)에는 총 6개의 관람단(10)이 겹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장치(400)는 관람석의 전방부(21)가 접힌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제3프레임(300)이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관람석의 상태가 변하는 것을 억제하여, 관람석을 사용하는 관람객 또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의 접철식 관람석 전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프레임(300)이 전부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과 결합함으로써 각 관람단(10)들이 전부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형태를 유지하면서 관람석을 이동시키는 경우, 관람석은 관람단(10)이 전부 또는 일부 펼쳐진 상태에 비해 부피가 현저히 줄어들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해 지고,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하여 겹쳐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 중 관람석의 형태의 변형으로 인한 작업능률의 저하와 작업자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패드(411)와 상기 제2패드(412)가 전부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고, 상기 제3패드(421)와 상기 제4패드(422)가 전부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관람단(10)은 상기 제3방향으로 전부 서로 겹쳐진 상태 즉,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0개의 관람단(10)을 가진 관람석에서, 최전방의 제3프레임(300)은 전단이 제1프레임(100)에 고정적으로 또는 일체로 결합하고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결합되지 않지만, 최전방의 제3프레임(300)은 후단이 제2프레임(200)과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최후방의 제3프레임(300)은 후단이 제2프레임(200)에 고정적으로 또는 일체로 결합하고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결합되지 않지만, 최후방의 제3프레임(300)은 전단이 제1프레임(100)과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나머지 8개의 제3프레임(300)은 전단이 제1프레임(100)과, 후단이 제2프레임(200)과 각각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총 10개의 제3프레임(300)은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에 결합하고,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이러한 결합상태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제1패드(411) 및 제3패드(421)에 전류인가를 해제하여 마그네틱 커플링을 해제하고, 관람석을 사용할 수 있도록 관람단(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펼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내용 중에서 제3프레임(300)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3프레임(300)에 관한 설명에서 예시된 개수는 2배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관람석은 구동부(500) 및 이동지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00)는 상기 관람석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100)과 결합하고, 복수의 상기 관람단(10)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500)는 구동모터(510) 및 상기 구동모터(51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구동휠(5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00)는 관람단(10)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켜 관람단(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500)가 구동하여 관람석 전체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동지지부(600)는 상기 관람석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200)과 결합하고, 상기 관람석이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관람석 전체를 어느 하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때 이동지지부(600)가 관람석이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관람석이 배치장소에 배치되고, 관람단(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펼쳐지는 경우에 이동지지부(600)는 움직이지 않고, 구동부(500)는 이동지지부(600)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관람단(10)이 전부 또는 일부 펼쳐질 수 있다.
반대로, 관람석이 전부 또는 일부가 접히는 경우에 이동지지부(600)는 움직이지 않고,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이동지지부(600)에 대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관람단(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관람석은 구동부(500)와 이동지지부(600)를 구비함으로써, 관람석의 전체 이동, 관람단(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접거나 펼치는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관람단
21: 관람석의 전방부
22: 관람석의 후방부
100: 제1프레임
200: 제2프레임
300: 제3프레임
400: 결합장치
401: 전력케이블
410: 제1결합부
411: 제1패드
412: 제2패드
420: 제2결합부
421: 제3패드
422: 제4패드
500: 구동부
510: 구동모터
520: 구동휠
600: 이동지지부

Claims (10)

  1. 접철되는 복수의 관람단을 포함하는 접철식 관람석에 있어서,
    상기 관람석의 전면 하부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
    상기 관람석의 후면 하부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단이 상기 제1프레임과 대향하고 후단이 상기 제2프레임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프레임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3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관람단 각각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상기 관람단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한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며,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상기 제1“‡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의 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패드; 및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의 전단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2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는 마그네틱 커플링(magnetic coupling)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상기 제1?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의 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3패드; 및
    복수의 상기 제3프레임의 후단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4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3패드와 상기 제4패드는 마그네틱 커플링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관람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는,
    전류를 인가받아 전자석이 되어 금속재질의 상기 제2패드와 마그네틱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관람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패드는,
    전류를 인가받아 전자석이 되어 금속재질의 상기 제4패드와 마그네틱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관람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지 않고, 상기 제3패드와 상기 제4패드의 일부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는 경우,
    상기 제2방향으로 보아, 상기 관람석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은 펼쳐진 상태가 되고, 상기 관람석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은 상기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관람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의 일부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고, 상기 제3패드와 상기 제4패드는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방향으로 보아 상기 관람석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은 펼쳐진 상태가 되고, 상기 관람석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람단은 상기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관람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전부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고, 상기 제3패드와 상기 제4패드가 전부 서로 마그네틱 커플링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관람단은 상기 제3방향으로 전부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관람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석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하고, 복수의 상기 관람단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관람석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과 결합하고, 상기 관람석이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이동지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관람단의 전부 또는 일부가 펼쳐지거나, 상기 관람단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3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관람석.
KR1020180167307A 2018-12-21 2018-12-21 접철식 관람석 KR102285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07A KR102285492B1 (ko) 2018-12-21 2018-12-21 접철식 관람석
PCT/KR2019/011924 WO2020130293A1 (ko) 2018-12-21 2019-09-16 접철식 관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07A KR102285492B1 (ko) 2018-12-21 2018-12-21 접철식 관람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21A KR20200077921A (ko) 2020-07-01
KR102285492B1 true KR102285492B1 (ko) 2021-08-04

Family

ID=7110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307A KR102285492B1 (ko) 2018-12-21 2018-12-21 접철식 관람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5492B1 (ko)
WO (1) WO20201302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251A (ko)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삼광엔시팅 가변식 관람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8749A (zh) * 2020-12-31 2021-06-01 温州博旺联科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临时看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783B1 (ko) * 2003-03-26 2006-03-1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수납식 관람석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950Y1 (ko) * 1999-05-03 2002-09-13 주식회사 하나로엔지니어링 수납식 관람석의 지지장치
KR100943337B1 (ko) * 2007-10-05 2010-02-19 주식회사 프라코인터내셔날 장애인석이 설치된 수납식 관람석
KR200447896Y1 (ko) * 2009-09-16 2010-03-03 주식회사 호수산업 수납식 관람석의 가동 안내장치
US8800210B2 (en) * 2010-12-10 2014-08-12 Stageright Corporation Seating system
KR101623550B1 (ko) * 2015-10-29 2016-05-24 (주)가온시스템 인출 및 수납되는 수납식 관람석의 직진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783B1 (ko) * 2003-03-26 2006-03-1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수납식 관람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251A (ko)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삼광엔시팅 가변식 관람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21A (ko) 2020-07-01
WO2020130293A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492B1 (ko) 접철식 관람석
US10455941B2 (en) Collapsible butterfly chair
CA2040908C (en) Foldable, multi-level staging and seating support
CA2501762A1 (en) Collapsible bench or seating with canopy
KR102223928B1 (ko) 사용과 보관이 간편한 수납식 관람석 의자
JPH05504B2 (ko)
KR200468957Y1 (ko) 접이식 테이블
KR100370180B1 (ko) 착탈이 가능한 테이블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KR101250208B1 (ko)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KR20200016144A (ko) 전방향 이동식 관람석
CN106388364A (zh) 一种后移式折叠座椅
TW201402429A (zh) 收容棚架的防震構造
JPH0321775A (ja) 段差移動床集合体における個別床のフリーロケーションシステム
US4102087A (en) Stand construction system
KR102126438B1 (ko) 사변 및 수평 배치된 일체형 구조의 다단 관람석
KR101341735B1 (ko) 관람석의 이동 방향 전환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람석 운반 장치
KR102022334B1 (ko) 관람석 의자 보관대
US3069733A (en) Mechanical movers for telescoping gymnasium seating-structures and the like
JP6433803B2 (ja) 屋根構造
JPH10248675A (ja) テーブル展開チェア
KR101568636B1 (ko) 관람석 다단 시스템
CN211173283U (zh) 一种可拼接的折叠式合唱台
KR101967616B1 (ko) 조립식 통로 시스템
CN104818773B (zh) 多功能拼接式活动板房
JP3479786B2 (ja) 伸縮式階段状観覧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