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208B1 -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208B1
KR101250208B1 KR1020100107843A KR20100107843A KR101250208B1 KR 101250208 B1 KR101250208 B1 KR 101250208B1 KR 1020100107843 A KR1020100107843 A KR 1020100107843A KR 20100107843 A KR20100107843 A KR 20100107843A KR 101250208 B1 KR101250208 B1 KR 10125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eat plate
chair
sliding
auxilia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942A (ko
Inventor
김영아
이소현
방세희
Original Assignee
김영아
방세희
이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아, 방세희, 이소현 filed Critical 김영아
Priority to KR102010010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20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0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wood or plastics
    • A47C4/10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wood or plastics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보조 의자를 구비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하면서도 2인 이상의 착좌시의 하중 지지 및 작동의 신뢰성이 우수한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 좌판, 상기 좌판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좌판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의자로서, 상기 좌판의 일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좌판 상면의 하측에 배치되고, 인출시 상기 프레임에 의해 타측이 지지되는 보조 좌판, 상기 보조 좌판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좌판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 및 상기 보조 지지부가 상기 보조 좌판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지지부의 상측 단부와 상기 보조 좌판의 일측 단부측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조 의자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여 공간활용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CHAIR HAVING SLIDE TYPE SEAT}
본 발명은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좌판 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보조 의자를 구비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하면서도 2인 이상의 착좌시의 하중 지지 및 작동의 신뢰성이 우수한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2), 지지부(4) 및 등받이(1)로 구성되며, 사람이 좌판(2) 부위에 착좌하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좌판(2)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횡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의 부재들이 양측의 프레임(3)에 지지되고, 좌판(2)의 모서리 부위에는 각각 지면에 대해 소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도록 4개의 지지부(4)가 구비된다.
상기 등받이(1)는 사람이 등을 기대서 착좌상태의 편안함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프레임(3)과 연결되되 등받이가 생략되는 의자도 존재한다.
상기 의자의 좌판 및 지지부 등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최근에는 경량화 및 미관의 우수함을 제공하는 데 주안을 두고 양산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의자들은 대부분 1인이 착좌하는 구성을 가지는데, 2인 이상이 함께 착좌하는 구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좌판(2) 부위가 2배 이상 연장되어야 하는데, 공간적인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컴퓨터용 의자와 같은 경우 공동작업을 위해서 2인이 함께 착좌할 필요성이 존재하는데, 항상 2인이 착좌할 수 있도록 제작되면 공간적인 비효율성이 존재하게 되어 필요시에 2개의 의자를 인접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조 의자가 의자에 수납이 가능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적인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2인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는, 등받이, 좌판, 상기 좌판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좌판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의자로서, 상기 좌판의 일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좌판 상면의 하측에 배치되고, 인출시 상기 프레임에 의해 타측이 지지되는 보조 좌판, 상기 보조 좌판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좌판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 및 상기 보조 지지부가 상기 보조 좌판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지지부의 상측 단부와 상기 보조 좌판의 일측 단부측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조 의자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여 공간활용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는, 상기 좌판은 양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좌판은 상기 좌판을 이루는 파이프 내부의 공간에 수납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일측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조 의자가 좌판의 중공 파이프 내부에 수납 가능하므로 미관이 우수하고 작동의 신뢰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는, 상기 보조 좌판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보조 좌판을 이루는 파이프 내부의 공간에 수납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일측으로 인출되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조 지지부가 보조 좌판의 내부에 수납되어 미관이 우수하고 공간활용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는,상기 보조 좌판을 이루는 파이프 내부의 공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힌지장치가 결합되는 힌지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지부를 상기 보조 좌판으로부터 인출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보조 좌판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보조 지지부가 하방으로 회동 가능한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조 지지부의 회동이 용이하며 정확한 동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는, 상기 좌판은 양측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호간에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좌판은 상기 좌판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좌판 사이의 공간에 보조 의자가 수납되므로 공간활용 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는, 상기 일측의 프레임에는 상기 보조 좌판이 배열된 막대 형상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좌판은 상기 홀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조 의자의 슬라이딩 인출시 정확한 가이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는,상기 좌판에 횡방향으로 결합된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보조 좌판의 타측 단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의해 왕복 운동이 가이드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조 의자의 슬라이딩 인출시 부드럽고 정확한 동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는, 상기 힌지장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좌판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의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와의 결합부위의 외주면에 상호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의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 지지부를 지면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고정하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조 지지부의 지지상태 또는 절첩상태의 록킹의 신뢰성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는,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의 축방향 일측으로의 이동시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보조 지지부가 상기 보조 좌판에 대해 회동 가능한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조 지지부의 록킹 및 록킹 해제동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는,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를 축방향 타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자동적인 록킹이 가능하므로 작동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는, 좌판의 내부 또는 사이의 공간에서 보조 의자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여 공간활용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지지부의 지지상태 또는 절첩상태의 록킹 동작이 용이하고 및 자동적인 동작이 가능한 힌지장치가 구비되어 보조 의자의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의 인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의 좌판을 이루는 좌판 파이프, 보조 좌판 파이프 및 보조 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동.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의 보조 지지부가 지지상태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의 레일과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록킹 가능한 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의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보조 의자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의자의 일단부측에는 절첩 가능한 보조 지지부가 구비된다.
이하, 의자의 좌판이 배열되는 좌우방향을 양측 또는 횡방향으로, 보조 의자가 슬라이딩 인출되는 방향을 일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의자의 정면과 후면으로 이어지는 방향을 종방향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의자는 종래의 의자와 같이 좌판(20), 프레임(30) 및 지지부(40)를 구비한다. 다만, 도면에서는 등받이가 구비되어있지만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좌판(20)은 사각 형상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부(40)의 개수 및 위치 또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좌판(20)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에서 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프레임(30)을 지면에 대해 하중을 지지한다. 다만, 상기 프레임(30)은 의자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상기 좌판(20)측에는 보조 좌판(50)이 슬라이딩 인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1인 사용시 상기 보조 좌판(50)은 좌판(20) 측으로 수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일측으로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좌판(20)에서 연장되는 형상으로 2인이 착좌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판(20)과 보조 좌판(50)은 높이방향으로 단차가 최소화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 좌판(50)의 일측의 단부측에는 보조 지지부(60)가 배치된다. 상기 보조 지지부(60)는 상기 보조 좌판(50)의 일측 모서리 부위에 2개가 배치된 것이 도시되었지만, 경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개념에서 상기 보조 좌판(50)은 상기 좌판(2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좌판(20)은 바람직하게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좌판(50)은 상기 중공의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좌판(20) 및 보조 좌판(50)을 이루는 구조는 이하 도 3을 기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판 및 보조 좌판을 이루는 파이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좌판(20)은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로 긴 형상의 중공의 파이프인 제1 파이프(2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조 좌판(50)을 이루는 제2 파이프(52)는 상기 제1 파이프(21)의 내부의 중공의 공간에 수납되며, 제1 파이프(21)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제1 파이프(21)가 가로로 긴 형상의 막대형상인 모습이 도시되었지만, 좌판(20) 전체가 일체의 중공의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보조 좌판(50)은 좌판(2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며, 제1 파이프(21)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파이프(52)의 타측 단부 및 제1 파이프(21)의 일측 단부에서는 보조 좌판(50)의 인출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stopper)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 구조는 걸림돌기 및 걸림턱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와이어와 같이 장력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 등 다양한 지지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부(60)는 상기 제2 파이프(52)의 일측 단부에서 힌지 장치(9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힌지 장치(90)에 의해 보조 지지부(60)는 제2 파이프(52)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고, 제2 파이프(52)와 평행한 방향으로 절첩되어 보조 좌판(50)의 수납시 보관이 가능하도록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한편, 상기 보조 지지부(60)는 제2 파이프(52)의 수납시 제1 파이프(21)의 하측으로 절첩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2 파이프(52)의 내부에 수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 파이프(52)는 제1 파이프(21)와 마찬가지로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좌판(20)의 수납과정을 상술하면, 보조 지지부(60)가 제2 파이프(52)의 내부 즉, 타측 방향으로 수납되면 제2 파이프(52)가 보조 지지부(60)를 내부에 수용한 채로 제1 파이프(21)의 내부로 슬라이딩 되어 수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수납되는 경우 보조 좌판(50) 및 보조 지지부(60)는 좌판(20)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어 미관적으로도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부(60)가 상기 제2 파이프(52)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힌지 장치(90) 또한 제2 파이프(52)의 내부로 함께 슬라이딩 되어 수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장치(90)는 일측이 힌지 고정부재(미도시)에 고정되고, 타측이 보조 지지부(60)에 연결된다.
상기 힌지 고정부재는 상기 힌지 장치(90)와 연결되어 보조 지지부(60)와 함께 제2 파이프(52)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지지부(60)가 완전히 인출되는 경우 힌지 고정부재의 단부측에 연결된 힌지 장치(90)가 외부로 노출되고 보조 지지부(60)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 지지부(60)가 제2 파이프(52)로부터 완전히 인출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파이프(52)의 일측 단부측과 상기 힌지 고정부재에는 상기한 스토퍼 구조가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의자가 좌판(20)과 프레임(30) 및 지지부(40)로 구성되는 점은 제1실시예와 같고, 상기 좌판(20)은 횡방향으로 긴 막대가 종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개념에서는 상기 보조 좌판(70)은 좌판과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종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보조 좌판(70)의 수납시 상기 보조 좌판(70)은 좌판(20)의 이격된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판(20)의 막대 사이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대략 상기 보조 좌판(70)을 이루는 막대의 종방향 폭에 대응된다. 따라서, 보조 좌판(70)이 수납된 경우 보조 좌판(70)의 막대들은 상기 좌판(20)의 막대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좌판(20)의 일측을 지지하는 프레임(30)에는 상기 보조 좌판(70)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들은 상기 좌판(20)의 이격된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보조 좌판(70)이 상기 이격된 사이의 공간에 정확하게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좌판(70)의 타측 단부 및 상기 일측 프레임에는 보조 좌판(70)의 완전 인출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가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조 지지부(80)는 상기 보조 좌판(70)의 일측 단부측에 배치되며, 보조 좌판(70)의 인출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보조 좌판(7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조 좌판(70)의 수납시에는 보조 좌판(70)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절첩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좌판(70)과 보조 지지부(80)는 힌지 장치(9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5는 보조 좌판과 보조 지지부의 연결부위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보조 좌판(70)의 일단부의 하측에는 힌지 장치(90)가 연결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지지부(80)는 상기 힌지 장치(90)에 연결되어 보조 좌판(7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보조 좌판(70)의 수납시 상기 보조 지지부(80)는 보조 좌판(70)의 하면에 인접하도록 절첩되어 수납된다.
이 경우, 상기한 일측 프레임에 보조 지지부(80)가 수납과정에서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 좌판(70)은 상기 일측 프레임의 홀을 통해 슬라이딩 되되, 상기 보조 지지부(80)는 상기 일측 프레임으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 지지부(80)의 절첩시 상기 보조 좌판(70)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프레임에 의한 간격 만큼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힌지 장치(90)는 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보조 좌판이 좌판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는 방식으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별도의 가이드부재가 생략될 수 있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정확하게 일측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별도의 부재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의 가이드부재인 롤러와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20) 측에는 레일(72)이 결합되고 보조 좌판(70)측에는 롤러(71)가 결합된다. 상기 롤러(71)는 보조 좌판(70)의 소정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이 상기 레일(72)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좌판(70)은 롤러(71)에 의해 좌판(20)의 레일(72) 상에서 지지되면서 정확하게 일측으로 슬라이딩 가이드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작동의 편리성과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도 7은 상기한 힌지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힌지 장치(90)는 보조 좌판(50, 70)과 결합하는 보조 좌판 결합부재(91), 상기 보조 지지부(60, 80)와 결합하는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92) 및 상기 보조 좌판 결합부재(91)와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92) 상호간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축(9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보조 좌판 결합부재(91)는 회전축(93)과 고정결합되고,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92)는 상기 회전축(93)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소정 부위에서 회전축(93)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92)에 결합된 보조 지지부(60, 80)는 보조 좌판(50, 70)에 대해 90도로 회전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보조 좌판(50, 70)의 수납시 보조 좌판(50, 70) 측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 장치(90)는 절첩상태 또는 지지상태에서 회동상태를 로킹할 수 있는 로킹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92)의 회전축(93)을 감싸는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9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93)의 외주면에는 걸림홈(9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94)은 대략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95)가 걸림홈(94)에 걸림되어 절첩상태와 지지상태에서 각각 회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로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92)는 회전축(9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92)가 보조 좌판 결합부재(91)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로킹 상태가 해제되어 보조 지지부(60, 80)가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면 걸림돌기(95)가 걸림홈(94)에 걸림되어 회동이 로킹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92)가 로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92)가 로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선택에 따라 회전축(93)과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92)의 사이 또는 보조 좌판 결합부재(91)와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92)의 사이에서 탄성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로킹수단을 구비한 힌지 장치(90)를 구비함으로써 보조 지지부(60, 80)를 종방향으로 미는 동작을 통해 로킹이 해제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보조 좌판(50, 70)을 절첩상태 또는 지지상태로 회전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로킹상태가 되어 보조 지지부(60, 80)를 동작하는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20...좌판 21...제1 파이프
30...프레임 40...지지부
50...보조 좌판 52...제2 파이프
60...보조 지지부 70...보조 좌판
71...롤러 72...레일
80...보조 지지부 90...힌지 장치
91...보조 좌판 결합부재 92...보조 지지부 결합부재
93...회전축 94...걸림홈
95...걸림돌기

Claims (10)

  1. 등받이, 좌판, 상기 좌판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좌판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의자로서,
    상기 좌판의 일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좌판측에 배치되고, 인출시 상기 프레임에 의해 타측이 지지되는 보조 좌판;
    상기 보조 좌판의 일측에서 상기 보조 좌판을 이루는 파이프 내부의 공간에 수납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일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보조 좌판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 및
    상기 보조 지지부가 상기 보조 좌판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지지부의 상측 단부와 상기 보조 좌판의 일측 단부측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좌판은 양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좌판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좌판을 이루는 파이프 내부의 공간에 수납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일측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좌판을 이루는 파이프 내부의 공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힌지장치가 결합되는 힌지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지부를 상기 보조 좌판으로부터 인출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보조 좌판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보조 지지부가 하방으로 회동 가능한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양측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호간에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좌판은 상기 좌판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프레임에는 상기 보조 좌판이 배열된 막대 형상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좌판은 상기 홀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에 횡방향으로 결합된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보조 좌판의 타측 단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의해 왕복 운동이 가이드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8.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좌판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의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와의 결합부위의 외주면에 상호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의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 지지부를 지면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고정하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의 축방향 일측으로의 이동시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보조 지지부가 상기 보조 좌판에 대해 회동 가능한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지지부 결합부재를 축방향 타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KR1020100107843A 2010-11-01 2010-11-01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KR10125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843A KR101250208B1 (ko) 2010-11-01 2010-11-01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843A KR101250208B1 (ko) 2010-11-01 2010-11-01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942A KR20120045942A (ko) 2012-05-09
KR101250208B1 true KR101250208B1 (ko) 2013-04-08

Family

ID=4626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843A KR101250208B1 (ko) 2010-11-01 2010-11-01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2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165Y1 (ko) * 2020-07-24 2021-02-08 김은중 테이블 겸용 의자
KR20220036490A (ko) * 2020-09-16 2022-03-23 김정도 유실수 화분을 이용한 조경 시설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28B1 (ko) * 2014-01-17 2015-03-13 김창호 요가 의자
KR101708123B1 (ko) * 2015-09-03 2017-02-22 송훈민 휠체어
CN109383361A (zh) * 2018-12-16 2019-02-26 荣成富琪科技有限公司 一种拓展式房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05U (ko) * 1994-06-04 1996-01-17 배점호 2개의 앉음판 구조로 된 의자
KR200269366Y1 (ko) 2001-12-21 2002-03-21 이재훈 쇼파겸용 침대
KR200355128Y1 (ko) 2004-04-02 2004-07-03 김상현 다기능 의자
KR20110005841U (ko) * 2009-12-05 2011-06-13 박지강 이중 구조를 가지는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05U (ko) * 1994-06-04 1996-01-17 배점호 2개의 앉음판 구조로 된 의자
KR200269366Y1 (ko) 2001-12-21 2002-03-21 이재훈 쇼파겸용 침대
KR200355128Y1 (ko) 2004-04-02 2004-07-03 김상현 다기능 의자
KR20110005841U (ko) * 2009-12-05 2011-06-13 박지강 이중 구조를 가지는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165Y1 (ko) * 2020-07-24 2021-02-08 김은중 테이블 겸용 의자
KR20220036490A (ko) * 2020-09-16 2022-03-23 김정도 유실수 화분을 이용한 조경 시설물
KR102537457B1 (ko) * 2020-09-16 2023-05-30 김정도 유실수 화분을 이용한 조경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942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208B1 (ko)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US10499743B2 (en) Disassemblable folding chair
CN106263778A (zh) 机械伸展装置及包括该机械伸展装置的座椅单元
KR101349302B1 (ko) 벽면 부착 의자의 절첩식 다리
CN103040265B (zh) 一种导演椅
WO2011037808A1 (en) Convertible seating device
US20140084765A1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base and modular applications including armchairs, tables, and storage cabinets
US10306988B2 (en) Moon chair
CN213282703U (zh) 落地座椅
CN210169464U (zh) 带可折叠靠背的椅子
KR101892130B1 (ko) 수납식 관람석의 록킹장치
KR20080095824A (ko) 접이식 의자 및 배치 시스템
KR20140058198A (ko)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의자
KR101138348B1 (ko) 예배용 접이식 장의자
KR101389622B1 (ko) 기능성 의자
KR20140103449A (ko) 침대 또는 의자로 변형할 수 있는 가구
US20180132618A1 (en) Convertible Chair
CN211154708U (zh) 一种折叠式板凳
KR101187011B1 (ko) 다기능 낚시의자
CN220045342U (zh) 一种户外折叠靠背椅
KR200494643Y1 (ko) 휴대가 가능한 가변형 낚시좌대
KR20180085964A (ko) 접이식 바닥 의자
KR101565301B1 (ko) 테이블용 다리장치
KR20140104191A (ko) 침대 및 책상 겸용 가구
JP7332232B2 (ja) 介護用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