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636B1 - 관람석 다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람석 다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636B1
KR101568636B1 KR1020150067922A KR20150067922A KR101568636B1 KR 101568636 B1 KR101568636 B1 KR 101568636B1 KR 1020150067922 A KR1020150067922 A KR 1020150067922A KR 20150067922 A KR20150067922 A KR 20150067922A KR 101568636 B1 KR101568636 B1 KR 10156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viewstand
contact
shelf
rota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6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04H3/123Telescopic grand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은, 관람객이 착석 가능한 제1 관람석, 제2 관람석 및 제3 관람석과 각각 연결 가능한 제1 관람석단, 제2 관람석단 및 제3 관람석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관람석단, 상기 제2 관람석단 및 상기 제3 관람석단은, 상대적인 위치 이동에 의해 제3단의 관람석단이 되어 상기 제1 관람석단 내지 제3 관람석단 모두에 상기 관람객이 착석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상기 제3 관람석단의 하부로 은닉되어 상기 제2 관람석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하되, 상기 제3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3 관람석의 착석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여 제2단의 관람석단이 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람석 다단 시스템{Seats multi-step system}
본 발명은 관람석 다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 단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른 배치를 통해 단의 높이와 단의 개수가 상이한 관람석을 제공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철식 관람석은 복수의 관람석단이 출몰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관람석을 의미한다.
접철식 관람석은 주로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관람석단이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수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좌석을 확보하게 해준다.
또한, 접철식 관람석은 관람석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공간을 넓힐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운반이 필요한 경우 복수의 관람석단이 적층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접철식 관람석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한국등록특허 10-056178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관람석이 사용되기 위해 펼쳐진 경우에는 각 단의 관람석이 사용가능하나, 각 단 중 어느 하나의 단이 상부측 단의 하측으로 위치 이동되면, 위치 이동된 단과 그 상부측의 단의 관람석은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임의의 한 단이 사용되기 위해 펼쳐진 경우, 그 상부의 단을 지지하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각 단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나, 임의의 한 단이 보관되기 위해 그 상부의 단의 하측으로 이동된 경우, 그 상부의 단을 지지할 수 없게 되어 이동된 단뿐만 아니라 그 상부의 단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접철식 관람석이 배치되는 환경에 따라 임의적으로 각 단을 보관상태로 전환하면, 의도치 않은 단까지 비사용상태가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접철식 관람석단 중 임의의 단의 사용상태와 비사용상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접철식 관람석단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는 접철식 관람석단을 활용할 수 있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은, 관람객이 착석 가능한 제1 관람석, 제2 관람석 및 제3 관람석과 각각 연결 가능한 제1 관람석단, 제2 관람석단 및 제3 관람석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관람석단, 상기 제2 관람석단 및 상기 제3 관람석단은, 상대적인 위치 이동에 의해 제3단의 관람석단이 되어 상기 제1 관람석단 내지 제3 관람석단 모두에 상기 관람객이 착석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상기 제3 관람석단의 하부로 은닉되어 상기 제2 관람석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하되, 상기 제3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3 관람석의 착석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여 제2단의 관람석단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상기 제2 관람석이 배치되는 제2 선반부, 상기 제2 선반부의 높이를 규정하며 상기 제2 선반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선반부가 상기 제3 관람석단의 하부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제3 관람석단과 접촉되어 상기 제3 관람석단을 지지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3 관람석단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롤러부 및 상기 회전롤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선반부와 연결되는 회전롤러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제3 관람석단은, 상기 제3 관람석이 배치되며, 상기 제2 관람석단이 상기 하부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제3 선반부 및 상기 제3 선반부의 높이를 규정하며 상기 제3 선반부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선반부는, 상기 제2 관람석단이 상기 하부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회전롤러부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회전롤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은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회전롤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된 경우, 상기 회전롤러부의 이동 경로를 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회전롤러부는, 상기 접촉부와 접촉된 경우, 상기 접촉부를 따라 회전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제2 선반부와 상기 제3 선반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회전롤러부와 상기 접촉부의 접촉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회전롤러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은 채,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경우 변화되고, 상기 회전롤러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롤러부와 상기 회전롤러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부가 상기 회전롤러지지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회전롤러부는,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접촉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관람석단 중 사용자가 원하는 관람석단의 착석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관람석단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관람석단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관람석단이 보관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한 관람석단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접철식 관람석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보관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사용상태의 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사용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보관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사용상태의 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사용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1)은, 관람객이 착석 가능한 제1 관람석(C1), 제2 관람석(C) 및 제3 관람석(C3)과 각각 연결 가능한 제1 관람석단(10), 제2 관람석단(20) 및 제3 관람석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C1), 제2 관람석(C2) 및 제3 관람석(C3)은 각각의 관람석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관람석단에 장착된 경우 각각의 관람석단으로부터 회동되어 사용상태 또는 보관상태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사용상태란 관람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관람석이 기립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보관상태란 각 관람석단으로부터 관람석이 회동되어 관람객이 착석할 수 없도록 도복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단(10), 상기 제2 관람석단(20) 및 상기 제3 관람석단(30)은 상대적인 위치 이동에 의해 제3단의 관람석단이 되어 상기 제1 관람석단(10) 내지 제3 관람석단(30) 모두에 상기 관람객이 착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단의 관람석단은, 제1 관람석단(10)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관람석단(20) 및 제3 관람석단(3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관람석단(10)은 제2 관람석단(20)의 하부로 은닉되거나 상기 제2 관람석단(20)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관람석단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관람석단(20)은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은닉되거나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관람석단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대적인 위치 이동이란, 상기 제1 관람석단(10), 상기 제2 관람석단(20) 및 상기 제3 관람석단(30) 중 임의의 관람석단이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관람석단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측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3 관람석단(30)은 위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관람석단(10)은 상기 제2 관람석단(20)과 함께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관람석단(20)의 하측 또는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측으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제2 관람석단(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대적인 위치 이동이란, 상기 제1 관람석단(10), 제2 관람석단(20) 및 제3 관람석단(30)의 배치가 달라지도록 하는 각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람석단(20)은,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은닉되어 상기 제2 관람석(C2)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하되, 상기 제3 관람석단(30)에 연결되는 상기 제3 관람석(C3)의 착석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여 제2단의 관람석단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은닉되도록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2 관람석(C2)이 기립될 수 있는 공간이 상실되어 관람객이 착석할 수 없게 되며, 상기 제3 관람석단(30)은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하부로 은닉되도록 위치 이동되어도 제3 관람석(C3)의 착석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본 발명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접철식 관람석은 임의의 관람석단이 상측에 위치한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측의 관람석단을 지지할 수 없어 상기 상측의 관람석단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나, 본 발명의 관람석 다단 시스템(1)은 상측의 관람석단의 착석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관람석단(10)은, 상기 제1 관람석(C1)이 배치되는 제1 선반부(110), 상기 제1 선반부(110)의 높이를 규정하며 상기 제1 선반부(11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지부(120)의 하측에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관람석단(10)이 상기 복수의 롤러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람석단(20)은, 상기 제2 관람석(C2)이 배치되는 제2 선반부(210), 상기 제2 선반부(210)의 높이를 규정하며 상기 제2 선반부(21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220) 및 상기 제2 선반부(210)가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제3 관람석단(30)과 접촉되어 상기 제3 관람석단(30)을 지지하는 연결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선반부(210)는, 상기 제2 관람석(C2)이 배치되도록 일정 너비와 길이의 판넬 형태일 수 있으며, 단수 또는 복수의 제2 관람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22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제2 선반부(210)가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지지부(220)의 높이는 상기 제1 선반부(110)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2 관람석(C2)에 착석한 관람객이 상기 제1 관람석(C1)에 착석한 관람객에 의해 시야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220)의 하측에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상기 복수의 롤러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제2 선반부(210)가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3 관람석단(30)과 접촉되어 상기 제3 관람석(C3) 및 상기 제3 관람석(C3)에 착석한 관람객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선반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선반부(210)의 폭 방향으로까지 배치되어 상기 하중을 분산시켜, 내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관람석단(10) 및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제1 관람석(C1) 및 제3 관람석(C3)의 착석 기능만 가능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단의 관람석단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은닉되고, 상기 제1 관람석단(10)이 상기 제2 관람석단(20)의 하부로 위치 이동되면, 제1단의 관람석단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관람석단(30)은, 상기 제3 관람석(C3)이 배치되며,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하부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230)와 접촉되는 제3 선반부(310) 및 상기 제3 선반부(310)의 높이를 규정하며 상기 제3 선반부(310)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지지부(320)는 하측에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위치 이동이 상기 복수의 롤러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지지부(120), 제2 지지부(220) 및 제3 지지부(320)는 그 형성 길이에 따라, 각각의 지지부가 지지하는 선반부에 의자가 배치된 상태 또는 배치되지 않은 상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각 지지부(120, 220, 320)의 길이는 각 선반부(110, 210, 310)에 관람석(C1, C2, C3)이 도복된 상태로 각 관람석단이 위치 이동될 수 있을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관람석(C1, C2, C3)이 배치된 상태로, 제2단의 관람석단을 구성하도록 각 관람석단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각 지지부(120, 220, 320)의 길이는 각 선반부(110, 210, 310)각 보관상태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각 선반부(110, 210, 310)에 관람석(C1, C2, C3)이 배치될 수 없을 만큼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 관람석단이 인접한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하측으로 이동되는 관람석을 제거한 상태로 위치이동 시켜야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 관람석단(10) 내지 제3 관람석단(30)을 이용하여 제2단의 관람석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어느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관람석단의 관람석은 제거한 상태가 되어야 사용자가 원하는 관람석단을 구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관람석단은, 전체 관람석단의 높이를 낮추어 제한된 공간에 더 높은 관람석단을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관람석 다단 시스템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관람석 다단 시스템은 지지부의 길이만을 달리하여 다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이하, 상기 연결부(230)에 의해 상기 제3 선반부(310)가 지지되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관람석단(10) 내지 제3 관람석단(30)으로 제2단의 관람석단을 구성하는 방법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람석단(20)이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은닉되도록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1 관람석단(10)이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경우만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1)의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제3 관람석단(30)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롤러부(232) 및 상기 회전롤러부(232)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선반부(210)와 연결되는 회전롤러지지부(2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부(232)는, 상기 제3 관람석단(30)과의 접촉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선반부(210)가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관람석단(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제2 선반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롤러부(232)는, 구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관람석단(30)과의 접촉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롤러부(232)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롤러지지부(234)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롤러부(232)가 상기 회전롤러지지부(234)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선반부(310)는,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상기 하부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회전롤러부(232)와 접촉되는 접촉부(312) 및 상기 회전롤러부(232)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3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12)는,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은닉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롤러부(232)가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롤러부(232)와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312)는, 상기 회전롤러부(232)에 사용된 재질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회전롤러부(232)에 사용된 재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314)는, 상기 회전롤러부(232)가 상기 접촉부(312)와 접촉되면서 회전되어 위치 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롤러부(232)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314)는, 상기 회전롤러부(232)의 단면적의 형상 즉, 상기 회전롤러부(232)가 구일 경우에는 원형상으로, 상기 회전롤러부(232)가 원기둥형상일 경우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314)는, 상기 회전롤러부(232)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된 경우, 상기 회전롤러부(232)의 이동 경로를 규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314)에 수용된 상기 회전롤러부(232)는, 상기 수용부(314)에 의해 이동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롤러부(232)는, 상기 접촉부(312)를 따라 이동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부(314)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314)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접촉부(312)를 따라 이동되기 위해서는 상기 수직 방향과 반대 방향의 외력이 요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선반부(210)와 상기 제3 선반부(310)의 이격 거리는, 상기 회전롤러부(232)와 상기 접촉부(312)의 접촉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관람석단(20) 및 상기 제3 관람석단(30) 모두에 관람객이 착석 가능한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선반부(210)와 상기 제3 선반부(310)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은닉되도록 이동되는 중에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선반부(210)가 상기 제3 선반부(310)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중에, 상기 회전롤러부(232)가 상기 접촉부(312)와 접촉되면, 상기 제2 선반부(210)와 상기 제3 선반부(310)의 이격 거리는 커지게 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회전롤러부(232)의 길이가 상기 제2 선반부(210)와 상기 제3 선반부(310)의 이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롤러부(232)가 상기 접촉부(312)와 접촉되면, 상기 제2 선반부(210)와 상기 제3 선반부(3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선반부(210)와 상기 제3 선반부(310)의 이격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부(232)가 상기 수용부(314)에 수용되면, 상기 제2 선반부(210)와 상기 제3 선반부(310) 중 적어도 하나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롤러부(232)가 상기 수용부(314)에 수용되면, 상기 제3 관람석단(30)에 가해지는 하중은 상기 회전롤러부(232)를 따라 지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하부로 은닉되도록 위치 이동되어도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제3 관람석(C3)은 관람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착석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람석단(20)이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제2 관람석단(20)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수용부(314)에 수용된 상기 회전롤러부(232)가 상기 수용부(314)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접촉부(312)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312)와 접촉된 상기 회전롤러부(232)는 회전되어 상기 접촉부(312)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관람석단(30)의 전방으로 인출된 상기 제2 관람석단(20)은 관람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착석 기능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은 연결부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연결부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1230)는, 상기 회전롤러부(1232)와 상기 회전롤러지지부(123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부(1232)가 상기 회전롤러지지부(1234)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부(1232)는, 상기 접촉부(1312)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접촉부(13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1314)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는, 상기 회전롤러부(1232)가 상기 접촉부(1312)와 접촉되면, 상기 회전롤러부(1232)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회전롤러부(1232)가 상기 회전롤러지지부(1234)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롤러부(1232)가 상기 수용부(1314)에 수용되면, 상기 회전롤러부(1232)에 의해 압착이 해제되어 상기 회전롤러부(1232)가 상기 회전롤러지지부(12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관람석단 내지 제3 관람석단으로 이루어진 관람석 다단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관람석 다단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관람석단이 복수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각 관람석단은 상술한 연결부, 접촉부 및 수용부를 구비하여, 다단이 배치된 각 관람석의 상대적인 위치 이동에 따라 다양한 배치의 다단 관람석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10단의 관람석단은, 각 관람석단의 상대적인 위치 이동으로, 1단 내지 10단의 관람석단 중 임의의 관람석단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같은 단의 관람석단을 형성하더라도 각 단의 높이가 상이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관람석 다단 시스템
10: 제1 관람석단
20: 제2 관람석단
30: 제3 관람석단
C1: 제1 관람석
C2: 제2 관람석
C3: 제3 관람석
110: 제1 선반부
120: 제1 지지부
210: 제2 선반부
220: 제2 지지부
230: 연결부
232: 회전롤러부
234: 회전롤러지지부
310: 제3 선반부
320: 제3 지지부
312: 접촉부
314: 수용부

Claims (11)

  1. 관람객이 착석 가능한 제1 관람석, 제2 관람석 및 제3 관람석과 각각 연결 가능한 제1 관람석단, 제2 관람석단 및 제3 관람석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관람석단, 상기 제2 관람석단 및 상기 제3 관람석단은,
    상대적인 위치 이동에 의해 제3단의 관람석단이 되어 상기 제1 관람석단 내지 제3 관람석단 모두에 상기 관람객이 착석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상기 제3 관람석단의 하부로 은닉되어 상기 제2 관람석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하되, 상기 제3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3 관람석의 착석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여 제2단의 관람석단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상기 제3 관람석단의 하부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제3 관람석단과 접촉되어 상기 제3 관람석단을 지지하며, 상기 제3 관람석단의 하부로 은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관람석단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상기 제2 관람석이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선반부 및
    상기 제2 선반부의 높이를 규정하며 상기 제2 선반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3 관람석단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롤러부 및 상기 회전롤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선반부와 연결되는 회전롤러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람석단은,
    상기 제3 관람석이 배치되며, 상기 제2 관람석단이 상기 하부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제3 선반부 및 상기 제3 선반부의 높이를 규정하며 상기 제3 선반부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선반부는, 상기 제2 관람석단이 상기 하부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회전롤러부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회전롤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회전롤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된 경우, 상기 회전롤러부의 이동 경로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부는,
    상기 접촉부와 접촉된 경우, 상기 접촉부를 따라 회전되어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반부와 상기 제3 선반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회전롤러부와 상기 접촉부의 접촉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회전롤러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은 채,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경우 변화되고, 상기 회전롤러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롤러부와 상기 회전롤러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부가 상기 회전롤러지지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부는,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접촉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KR1020150067922A 2015-05-15 2015-05-15 관람석 다단 시스템 KR101568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922A KR101568636B1 (ko) 2015-05-15 2015-05-15 관람석 다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922A KR101568636B1 (ko) 2015-05-15 2015-05-15 관람석 다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636B1 true KR101568636B1 (ko) 2015-11-12

Family

ID=5461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922A KR101568636B1 (ko) 2015-05-15 2015-05-15 관람석 다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726B1 (ko) * 2019-11-29 2020-10-19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흔들림 방지용 잠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다단 관람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601B1 (ko) * 2014-11-18 2015-04-20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 다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601B1 (ko) * 2014-11-18 2015-04-20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 다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726B1 (ko) * 2019-11-29 2020-10-19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흔들림 방지용 잠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다단 관람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8987B2 (ja) 伸縮式階段状観覧席
KR101989051B1 (ko)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US10561245B2 (en) Theater seating
RU2761944C2 (ru) Компоновка кинозалов в многозальных кинотеатрах и кинозал для многоэкранного кинотеатра
JP2015504495A (ja) 映画館構造および映画館構造を建設するための方法
US11263864B2 (en) Gaming devices configurable in a sawtooth-shaped geometric arrangement
KR101568636B1 (ko) 관람석 다단 시스템
KR102223928B1 (ko) 사용과 보관이 간편한 수납식 관람석 의자
KR101564887B1 (ko)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KR101510601B1 (ko) 관람석 다단 시스템
KR101758694B1 (ko) 관람석 시트 부착용 휴대 테이블
KR102071108B1 (ko) 가상현실 스포츠 펍 시스템
KR101530705B1 (ko) 관람용 의자 조립체
KR200447896Y1 (ko) 수납식 관람석의 가동 안내장치
JP7375293B2 (ja) 重なった欄干が保管される側面組立体、ベース組立体をカバーする後側カバー組立体およびこれらを含む多段観覧席
KR101517340B1 (ko) 접철식 관람석 배치 시스템
JP7088548B2 (ja) 収納式観覧席
KR101892130B1 (ko) 수납식 관람석의 록킹장치
KR101829131B1 (ko) 공연장용 의자
KR101445031B1 (ko) 공연장 간이좌석
RU70283U1 (ru) Театральное помещение
KR101565301B1 (ko) 테이블용 다리장치
RU65078U1 (ru) Зрительный зал для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шоу
KR101341735B1 (ko) 관람석의 이동 방향 전환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람석 운반 장치
JP2010187830A (ja) 自由構成の組立て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