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887B1 -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887B1
KR101564887B1 KR1020150091251A KR20150091251A KR101564887B1 KR 101564887 B1 KR101564887 B1 KR 101564887B1 KR 1020150091251 A KR1020150091251 A KR 1020150091251A KR 20150091251 A KR20150091251 A KR 20150091251A KR 101564887 B1 KR101564887 B1 KR 10156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backing plate
contac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9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887B1/ko
Priority to US15/011,431 priority patent/US9820575B2/en
Priority to EP16157678.0A priority patent/EP310876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4Separate chairs, connectible together into a r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collapsi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1 좌판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좌판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1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어 상기 제1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하는 제1 등판부를 구비하는 제1 관람석의자 및 상기 제1 좌판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2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좌판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2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어 1 상기 제2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하는 제2 등판부를 구비하는 제2 관람석의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람석의자는, 상기 제1 등판부가 상기 제1 좌판부로부터 기립되어, 도복된 상태의 상기 제2 등판부를 상기 제2 좌판부로부터 기립되도록 하거나 기립된 상태의 상기 제2 등판부의 상기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2 관람석의자는, 상기 제2 등판부가 상기 제2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어, 기립된 상태의 상기 제1 등판부를 상기 제1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도록 하거나 도복된 상태의 상기 제1 등판부의 상기 도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등판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좌판부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2 등판부의 회동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회동부로부터 상기 제2 등판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 등판부와 동시에 기립 또는 상기 제2 등판부와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제2 등판부와 접촉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등판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2 회동부 및 상기 제2 회동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등판부와 동시에 기립 또는 상기 제1 등판부와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등판부와 상기 제2 등판부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접촉부의 대향면은 면접촉 될 수 있다.

Description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Rotation adjustment system for seat}
본 발명은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의 관람석 의자가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기립 또는 도복 되도록 하는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람석은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다수의 가동 관람석단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접힐 수 있으며, 접힌 경우에는 접힌 공간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펼쳐 놓은 경우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공간과 좌석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가동 관람석단 중 어느 한 관람석단에 배치된 관람석은 복수의 관람석의자로 구성되며, 각 관람석의자는 상측에 위치한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이동중에 회동되어 보관상태로 위치 전환될 수 있으나, 상기 상측에 위치한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경우, 각 관람석의자가 사용되기 위한 회동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했다. 또한, 하측에 위치한 관람석단이 상측의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더라도, 관람석의자를 접어야 할 경우에도 각 관람석의자를 개별적으로 회동하여 사용상태에서 비사용상태로 전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관람석단에 배치된 복수의 관람석의자를 동시에 회동시켜 사용상태에서 비사용상태로 또는 비사용상태에서 사용상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기립 및 도복 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사용상태나 사용자가 착석할 수 없는 비사용상태의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는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1 좌판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좌판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1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어 상기 제1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하는 제1 등판부를 구비하는 제1 관람석의자 및 상기 제1 좌판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2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좌판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2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어 1 상기 제2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하는 제2 등판부를 구비하는 제2 관람석의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람석의자는, 상기 제1 등판부가 상기 제1 좌판부로부터 기립되어, 도복된 상태의 상기 제2 등판부를 상기 제2 좌판부로부터 기립되도록 하거나 기립된 상태의 상기 제2 등판부의 상기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2 관람석의자는, 상기 제2 등판부가 상기 제2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어, 기립된 상태의 상기 제1 등판부를 상기 제1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도록 하거나 도복된 상태의 상기 제1 등판부의 상기 도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등판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좌판부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2 등판부의 회동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회동부로부터 상기 제2 등판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 등판부와 동시에 기립 또는 상기 제2 등판부와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제2 등판부와 접촉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등판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2 회동부 및 상기 제2 회동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등판부와 동시에 기립 또는 상기 제1 등판부와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등판부와 상기 제2 등판부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접촉부의 대향면은 면접촉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상기 제1 회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좌판부로부터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상기 전면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2 좌판부로부터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상기 제2 등판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 등판부와 상기 제2 등판부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상기 제1 등판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 등판부와 상기 제2 등판부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은, 상기 제1 등판부와 상기 제2 등판부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의 일면이 상기 돌출부에 의해 은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은, 상기 제1 등판부와 상기 제2 등판부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와 상기 돌출부는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절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절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은, 상기 돌출부의 크기는 상기 접촉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점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상기 제1 절곡부의 폭의 길이는, 상기 제2 절곡부의 폭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은, 상기 제1 절곡부의 폭의 길이는, 상기 제2 절곡부의 폭의 길이보다 상기 접촉부의 두께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관람석의자를 동시에 회동시켜 사용상태 또는 비사용 상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람석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 외력에 의해 사용상태에서 비사용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부상을 입거나 불편을 겪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람석의자의 등판부가 좌판부를 향해 회동되는 회동 속도를 저감시켜 상기 등판부 및 좌판부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이 적용된 관람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를 확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도 6의 B를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도 8의 C를 확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도 10의 D를 확대한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도 12의 E를 확대한 확대도.
도 14는 도 2의 F를 확대한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이 적용된 관람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은,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관람석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다수의 관람석단(1)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접힐 수 있으며, 접힌 경우에는 접힌 공간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고, 펼쳐 놓은 경우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공간과 좌석을 확보할 수 있는 관람석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은 높이를 달리하는 각 단에 배치되는 각각의 관람석 의자에 사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한 단의 복수의 관람석 의자를 동시에 기립되도록 하여 착석 기능을 제공하거나 동시에 도복 되도록 하여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관람석단(1) 중 어느 한 단의 관람석 의자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을 설명한다.
즉, 특정 단(P)에 배치되는 제1 관람석의자(100) 및 제2 관람석의자(200)를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수의 관람석단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은, 제1 좌판부(120) 및 제1 등판부(110)를 구비하는 제1 관람석의자(100)와 제2 좌판부(220) 및 제2 등판부(210)를 구비하는 제2 관람석의자(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의자(100) 및 상기 제2 관람석의자(200)는, 플레이트 형상의 관람석단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이동되거나 상부에 위치한 관람석단의 하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의자(100)는 제1 좌판부(120) 및 제1 등판부(1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좌판부(12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등판부(110)는 상기 제1 좌판부(120)에 착석한 사용자가 기댈 수 있도록 상기 제1 좌판부(120)와 대략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좌판부(120)는, 상기 관람석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등판부(110)가 회동되는 축을 제공하는 제1 고정부(122) 및 상기 제1 고정부(122)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1 착석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22)는, 상기 제1 착석부(124)의 폭과 대응되는 너비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고정부(122a) 및 제1-2 고정부(122b)를 구비하여, 상기 제1-1 고정부(122a)와 상기 제1-2 고정부(122b) 사이에 상기 제1 착석부(124)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고정부(122a) 및 제1-2 고정부(12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착석부(124)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착석부(124)는 사용자가 착석하여 편안함을 느끼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줄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등판부(110)는,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기립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제1 좌판부(120)의 착석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좌판부(120)를 향해 도복 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제1 좌판부(120)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등판부(110)는, 상기 제1 좌판부(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좌판부(120)에 착석한 사용자가 기댈 수 있도록 상기 제1 좌판부(120)와 대략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등판부(110)는, 상기 제1 고정부(12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부(112) 및 상기 제1 회동부(112)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착석부(124)에 착석한 사용자가 기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지지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114)는, 상기 제1-1 고정부(122a)와 연결되는 제1-1 회동부(112a) 및 상기 제1-2 고정부(122b)와 연결되는 제1-2 회동부(112b)를 구비하여, 상기 제1-1 회동부(112a)와 상기 제1-2 회동부(112b) 사이에 상기 제1 지지부(114)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회동부(112a) 및 상기 제1-2 회동부(112b)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114)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지부(114)는 사용자가 기대어 편안함을 느끼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줄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좌판부(220)는, 상기 제1 좌판부(1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관람석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등판부(210)가 회동되는 축을 제공하는 제2 고정부(222) 및 상기 제2 고정부(222)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2 착석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222)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고정부(222a) 및 제2-2 고정부(222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1 고정부(222a) 및 상기 제2-2 고정부(222b)는 상술한 상기 제1-1 고정부(122a) 및 상기 제1-2 고정부(122b)와 그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등판부(210)는, 상기 제2 고정부(22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동부(212) 및 상기 제2 회동부(212)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착석부(224)에 착석한 사용자가 기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지지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동부(212)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회동부(212a) 및 제2-2 회동부(212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1 회동부(212a) 및 제2-2 회동부(212b)는 상술한 상기 제1-1 회동부(112a) 및 상기 제1-2 회동부(112b)와 그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 등판부(110)는, 상기 제2 등판부(210)의 회동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회동부(112)로부터 상기 제2 등판부(210)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 등판부(210)와 동시에 기립 및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제2 등판부(210)와 접촉되는 돌출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등판부(210)와 인접한 상기 제1-2 회동부(112b)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1 연결부(112b-1) 및 상기 제1 연결부(112b-1)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좌판부(120)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 절곡부(112b-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면 방향이란,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를 기준으로 기립되었을 때, 상기 제1 연결부(112b-1)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제1 좌판부(120)에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향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곡부(112b-2)는 상기 제1 좌판부(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제1 절곡부(112b-2)로부터 상기 제2 등판부(110)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제1 절곡부(112b-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절곡부(112b-1)로부터 상기 제2 등판부(210)를 향해 돌출된 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제1 절곡부(112b-2)로부터 상기 제2 등판부(210)를 향해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돌출부(130)가 접촉부(230)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13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제1 절곡부(112b-2)의 연결부분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등판부(210)는, 상기 제2 회동부(212)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1 등판부(110)와 동시에 기립 및 도복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130)와 접촉되는 접촉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등판부(110)와 인접한 상기 제2-1 회동부(212a)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2 연결부(212a-1) 및 상기 제2 연결부(212a-1)로부터 상기 전면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2 좌판부(220)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 절곡부(212a-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부(212a-2)는 상기 제2 좌판부(2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230)는 상기 제2 절곡부(212a-2)로부터 상기 제1 등판부(110)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230)는, 상기 돌출부(13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절곡부(212a-2)로부터 상기 제1 등판부(110)를 향해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절곡부(212a-2)와 상기 접촉부(230)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23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230)와 상기 제2 절곡부(212a-2)의 연결부분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230)는, 상기 제2 절곡부(212a-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점 줄어들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230)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제1 등판부(110)를 향해 돌출된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를 향해 도복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 기립된 경우 상기 접촉부(230)에 의해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만약 상기 접촉부(230)의 모서리가 각진 상태로 형성된다면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제2 좌판부(220)에 착석하는 경우 각진 상기 접촉부(23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접촉부(23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등판부(110)와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 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접촉부(230)의 대향면은 면 접촉될 수 있다.
즉, 판 형상의 상기 돌출부(130)의 후면 방향의 면과 판 형상의 상기 접촉부(230)의 전면 방향의 면은, 상기 제1 등판부(110)와 상기 제2 등판부(120)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 되는 경우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등판부(110)와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 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접촉부(230)는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230)의 전면 방향의 면은 상기 돌출부(130)의 후면 방향의 면과 접촉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접촉부(230)의 중첩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 상기 제1 절곡부(112b-2)의 폭의 길이는, 상기 제2 절곡부(212a-2)의 폭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절곡부(112b-2)의 폭의 길이가 상기 제2 절곡부(212a-2)의 폭의 길이보다 상기 접촉부의 두께만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접촉부(230)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절곡부(112b-2)와 상기 제2 절곡부(212a-2)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접촉부(230)의 접촉과 이격에 따라 상기 제1 등판부(110)와 상기 제2 등판부(210)는 연동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확장하면, 상기 제1 관람석의자(100)는,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기립되어, 도복된 상태의 상기 제2 등판부(210)를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 기립되도록 하거나 기립된 상태의 상기 제2 등판부(210)의 상기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관람석의자(200)는,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를 향해 도복되어, 기립된 상태의 상기 제1 등판부(110)를 상기 제1 좌판부(120)를 향해 도복되도록 하거나 도복된 상태의 상기 제1 등판부(110)의 상기 도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관람석의자(100)와 상기 제2 관람석의자(200)의 상대적 위치 이동관계를 이하 도 6 내지 도 1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7은 도 6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의 C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1 관람석의자(100) 및 제2 관람석의자(200)가 착석 기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람석의자(100) 또는 상기 제2 관람석의자(20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대적으로 위치 이동되는 관람석의자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모두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등판부(11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모두 기립되면, 상기 제1 등판부(110)의 돌출부(13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의 접촉부(230)가 서로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회동되면,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접촉부(23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등판부(210)는, 상기 제1 등판부(110)가 도복되어도 위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등판부(110)는, 상기 제2 등판부(210)가 기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등판부(210)와 독립적으로 기립 또는 도복되도록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회동되어 도복되면, 상기 제1 좌판부(120)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없게 되며, 상기 제2 등판부(210)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모두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등판부(21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등판부(110)는, 상기 제2 등판부(210)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등판부(210)의 접촉부(230)는 상기 제1 등판부(110)의 돌출부(130)와 접촉된 상태로 회동되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제1 등판부(110) 또한 상기 제1 좌판부(120)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접촉부(230)는, 상기 접촉부(230)의 회동 경로 상에 배치된 상기 돌출부(130)와 함께 이동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2 등판부(210)와 상기 제1 등판부(110)는 연동되어 도복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모두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를 향해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제2 등판부(210)는 상기 제1 등판부(110)와 접촉되어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를 향해 도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기립된 상기 제2 등판부(210)에 외력을 가하여 도복시킴으로써, 기립된 상기 제1 등판부(110) 또한 도복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D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E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1 관람석의자(100) 및 제2 관람석의자(200)가 착석 기능이 상실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람석의자(100) 또는 상기 제2 관람석의자(20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대적으로 위치 이동되는 관람석의자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모두 도복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등판부(21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모두 도복되면, 상기 제1 등판부(110)의 돌출부(13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의 접촉부(230)가 서로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 회동되면,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접촉부(23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등판부(110)는,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도복되어도 위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 등판부(210)는, 상기 제1 등판부(110)가 도복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등판부(110)와 독립적으로 기립 또는 도복되도록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 회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접촉부(230)가 배치된 구도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모두 도복된 경우, 상기 제2 등판부(210)의 상기 제2 좌판부(220)에 대한 회동은 상기 제1 등판부(110)와 독립적으로 가능하나, 상기 제1 등판부(110)의 상기 제1 좌판부(120)에 대한 회동은 상기 제2 등판부(210)와의 연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독립적인 회동은 될 수 없다.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 회동되어 기립되면, 상기 제2 좌판부(220)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모두 도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등판부(11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등판부(210)는, 상기 제1 등판부(110)와 연동되어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등판부(110)의 돌출부(130)는 상기 제2 등판부(210)의 접촉부(230)와 접촉된 상태로 회동되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제2 등판부(210) 또한 상기 제2 좌판부(220)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돌출부(130)의 회동 경로 상에 배치된 상기 접촉부(230)와 함께 이동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등판부(110)와 상기 제2 등판부(210)는 연동되어 기립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2 등판부(210)가 모두 도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기립되는 경우, 상기 제1 등판부(110)는 상기 제2 등판부(210)와 접촉되어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 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복된 상기 제1 등판부(110)에 외력을 가하여 기립시킴으로써, 도복된 상기 제2 등판부(210) 또한 기립시킬 수 있다.
도 14는 도 2의 F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은,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기립된 경우,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1 좌판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를 향해 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복방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복방지부(300)는,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1 좌판부(120)에 동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복방지부(300)는,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회동되는 회동축과 상이한 위치에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1 좌판부(120)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도복방지부(300)에 의해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등판부(110) 및 상기 제1 좌판부(120)는 상기 도복방지부(300)과 관통되어 장착되도록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복방지부(300)는 상기 관통홀(H)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복방지부(300)가 상기 관통홀(H)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회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도복방지부(300)가 상기 관통홀(H)에서 이탈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도복방지부(300)는,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기립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 좌판부(120)에 착석하는 경우, 예상치 못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등판부(110)가 도복되어 상기 제1 좌판부(120)에 착석한 사용자가 상기 제1 등판부(110)에 의해 상해를 입거나 또는 불편함을 겪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은, 상기 제2 좌판부(220)와 상기 제2 등판부(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를 향해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제2 등판부(210)의 회동 속도를 저감시키며,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 기립되는 경우, 상기 제2 등판부(210)의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는 완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400)는,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를 향해 도복 되도록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등판부(210)의 빠른 회동 속도에 의해 상기 제 2 좌판부(220)와 충돌하고 그로 인해,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등판부(210)와 상기 제2 좌판부(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등판부(210)의 상기 제2 좌판부(220)를 향한 회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400)는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를 향해 도복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 기립되는 경우 상기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등판부(210)의 상기 제2 좌판부(220)로부터의 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400)는, 유압 또는 공압식 실린더 일 수 있으며, 탄성 변형과 탄성 변형에 따른 복원력을 구비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2 등판부(210)와 동시에 기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제2 좌판부(220)를 향하여 도복 되면, 상기 제1 등판부(110) 또한 상기 제2 등판부(210)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좌판부(120)로부터 도복 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2 등판부(210)가 상기 완충부(400)에 의해 상기 제2 좌판부(210)를 향한 회동 속도가 저감되면, 상기 제1 등판부(110)도 상기 제2 등판부(210)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좌판부(120)를 향한 회동 속도가 저감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400)는 상기 제2 좌판부(220)와 상기 제2 등판부(210) 사이에 배치되지만, 상기 제1 등판부(110)가 상기 제1 좌판부(120)를 향해 회동되는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관람석의자와 제2 관람석의자의 상대적인 위치 이동에 관하여 주로 설명하였으나, 서두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람석 회동 조절 장치는, 복수의 관람석의자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관람석의자의 제2-1 회동부에는 접촉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2 회동부에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관람석의자와 인접한 제3 관람석의자와 상기 제2 관람석의자는 상기 제1 관람석의자와 상기 제2 관람석의자의 상대적인 위치 이동관계가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관람석의자가 복수개인 경우, 각 관람석의자는 접촉부와 돌출부가 구비되어 인접한 관람석의자와의 관계에서 동시에 기립되거나 도복될 수 있으며, 또 일정조건 하에서 개별적으로 기립 및 도복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다단 관람석단
100: 제1 관람석의자
200: 제2 관람석의자
110: 제1 등판부
120: 제1 좌판부
210: 제2 등판부
220: 제2 좌판부
130: 돌출부
230: 접촉부
300: 도복방지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1 좌판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좌판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1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어 상기 제1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하는 제1 등판부를 구비하는 제1 관람석의자; 및
    상기 제1 좌판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2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좌판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2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어 상기 제2 좌판부의 착석 기능이 상실되도록 하는 제2 등판부를 구비하는 제2 관람석의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람석의자는,
    상기 제1 등판부가 상기 제1 좌판부로부터 기립되어, 도복된 상태의 상기 제2 등판부를 상기 제2 좌판부로부터 기립되도록 하거나 기립된 상태의 상기 제2 등판부의 상기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2 관람석의자는,
    상기 제2 등판부가 상기 제2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어, 기립된 상태의 상기 제1 등판부를 상기 제1 좌판부를 향해 도복되도록 하거나 도복된 상태의 상기 제1 등판부의 상기 도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등판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좌판부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2 등판부의 회동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회동부로부터 상기 제2 등판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 등판부와 동시에 기립 또는 상기 제2 등판부와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제2 등판부와 접촉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등판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2 회동부 및 상기 제2 회동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등판부와 동시에 기립 또는 상기 제1 등판부와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등판부와 상기 제2 등판부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접촉부의 대향면은 면접촉되고,
    상기 제1 회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좌판부로부터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상기 전면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2 좌판부로부터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상기 제2 등판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 등판부와 상기 제2 등판부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상기 제1 등판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 등판부와 상기 제2 등판부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판부와 상기 제2 등판부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의 일면이 상기 돌출부에 의해 은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판부와 상기 제2 등판부가 동시에 기립 또는 동시에 도복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와 상기 돌출부는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절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절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크기는 상기 접촉부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점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의 폭의 길이는, 상기 제2 절곡부의 폭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의 폭의 길이는, 상기 제2 절곡부의 폭의 길이보다 상기 접촉부의 두께만큼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KR1020150091251A 2015-06-26 2015-06-26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KR10156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251A KR101564887B1 (ko) 2015-06-26 2015-06-26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US15/011,431 US9820575B2 (en) 2015-06-26 2016-01-29 Rotation adjustment system for seats
EP16157678.0A EP3108767A1 (en) 2015-06-26 2016-02-26 Rotation adjustment system for sea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251A KR101564887B1 (ko) 2015-06-26 2015-06-26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887B1 true KR101564887B1 (ko) 2015-11-09

Family

ID=5460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251A KR101564887B1 (ko) 2015-06-26 2015-06-26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20575B2 (ko)
EP (1) EP3108767A1 (ko)
KR (1) KR1015648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226B1 (ko) * 2016-03-02 2016-07-14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 의자
JP2020028665A (ja) * 2018-08-24 2020-02-27 株式会社オカムラ 椅子及び椅子の連動システ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1384B2 (en) * 2014-06-02 2017-04-25 Frederick JACOBS Reconfigurable seating systems
DE102015100598A1 (de) * 2015-01-15 2016-07-21 himolla Polstermöbel GmbH Sitzmöbel
EP3222523B1 (en) * 2016-03-23 2019-09-11 Airbus Operations GmbH Foldable seat ben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161B1 (ko) * 2011-03-10 2013-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KR101510601B1 (ko) * 2014-11-18 2015-04-20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 다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0497A (en) * 1933-05-11 1934-11-13 Thomas P Musgrave System of seating
US2985225A (en) * 1959-04-22 1961-05-23 Heywood Wakefield Co Reclining walk-over seat for vehicles
FR2629767B1 (fr) 1988-04-07 1991-03-15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Banquette repliable et notamment banquett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JP2579193Y2 (ja) * 1991-10-31 1998-08-20 株式会社コトブキ 移動観覧席用椅子
US5456518A (en) * 1993-07-30 1995-10-10 Interkal, Inc. Flexible access seating
US5597139A (en) * 1994-04-15 1997-01-28 Burns Aerospace Corporation Convertible passenger seat assembly
US7204553B2 (en) * 2004-01-13 2007-04-17 Multiple Llc Pew or bench with pivoting seat
DE102008050301B4 (de) * 2008-10-02 2013-08-14 Lear Corp. Kraftfahrzeugsitzsystem
US7938485B1 (en) * 2009-01-14 2011-05-10 Armorworks Enterprises, Llc Variable displacement seating assembly
CA2678573C (en) * 2009-09-14 2017-09-19 Simex Inc. Seat assembly such as for an amusement ride
US9631384B2 (en) * 2014-06-02 2017-04-25 Frederick JACOBS Reconfigurable seating systems
KR101279725B1 (ko) 2010-09-27 2013-06-27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개선된 축 결합 구조를 갖는 접이식 의자
WO2013016050A2 (en) * 2011-07-22 2013-01-31 Irwin Seating Company Nosemount seating system
US8894138B2 (en) * 2012-03-02 2014-11-25 Better Off Clever Llc Collapsible mobile furniture fr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161B1 (ko) * 2011-03-10 2013-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KR101510601B1 (ko) * 2014-11-18 2015-04-20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 다단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226B1 (ko) * 2016-03-02 2016-07-14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 의자
JP2020028665A (ja) * 2018-08-24 2020-02-27 株式会社オカムラ 椅子及び椅子の連動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8767A1 (en) 2016-12-28
US20160374469A1 (en) 2016-12-29
US9820575B2 (en)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887B1 (ko)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
KR101636226B1 (ko) 관람석 의자
US20140312661A1 (en) Suspension chair, modular furniture arrangement and modular furniture kit
KR101157512B1 (ko) 등받이 회동 범위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좌의자
JP2018512206A (ja) 壁面近接型家具部材用リクライニング機構
KR101369947B1 (ko)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테이블
KR20130103988A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JPH09168447A (ja) 座席構造
KR101538342B1 (ko) 의자
KR102196384B1 (ko) 비상상황 시 대피통로가 확보되는 관람석 의자
KR200390001Y1 (ko) 절첩이 가능한 예배용 장의자
JPS6130564B2 (ko)
KR102224239B1 (ko) 관람석 의자용 시트 브라켓
JP6494102B2 (ja) 椅子
JP7096394B2 (ja) 椅子用背凭れ
KR101587900B1 (ko) 객석 의자용 지각
JP6932366B2 (ja) 座起立式椅子
KR101410577B1 (ko) 양방향 착석이 가능한 접이식 의자
JP3434601B2 (ja) 簡易いす
JP2728055B2 (ja) 収納式椅子
JPH11244083A (ja) 車椅子用スペースを確保可能な観覧席用椅子
JP2019055146A (ja) 什器
JP2021065453A (ja) 仕切具
JP6425329B2 (ja) 組み合わせ什器
JP2017093629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