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900B1 - 도어트림용 파스너 - Google Patents

도어트림용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900B1
KR102283900B1 KR1020190136077A KR20190136077A KR102283900B1 KR 102283900 B1 KR102283900 B1 KR 102283900B1 KR 1020190136077 A KR1020190136077 A KR 1020190136077A KR 20190136077 A KR20190136077 A KR 20190136077A KR 102283900 B1 KR102283900 B1 KR 10228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portion
door trim
door
assembly hol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159A (ko
Inventor
홍성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36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9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60J5/0469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for door panels, e.g. he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도어트림용 파스너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용 파스너는 차량 도어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도어트림과 결합하는 상기 도어의 도어패널의 조립공에 체결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가 상기 조립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공 주변의 도어패널에 밀착하도록 상기 헤드부 둘레에 마련되는 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립부는, 고무재로 마련되는 안쪽의 내측립부; 플라스틱재로 마련되는 바깥쪽의 외측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트림용 파스너{fastener of door trim}
차량의 도어를 형성하는 도어트림과 도어패널의 조립에 사용되는 도어트림용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패널과, 도어패널 내측에 조립되는 도어트림을 구비한다.
도어트림은 차량의 실내 쪽을 향하는 도어패널의 내면을 덮어 가림으로써 차량 내부의 장식효과를 높이고, 실내의 차음 및 흡음 성능을 높이며, 자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통상 도어트림을 도어패널에 조립할 때는 파스너가 사용된다.
파스너는 복수개가 도어트림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어패널의 조립공에 체결됨에 따라 도어트림을 도어패널에 고정시키게 된다.
파스너는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도어패널의 조립공에 체결되는 헤드부와, 헤드부가 조립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조립공 주변의 도어패널에 밀착하도록 헤드부 둘레에 마련되는 립부를 구비한다.
도어패널에 밀착하는 립부는 도어패널에 대한 도어트림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파스너의 체결력을 높이고, 조립공을 밀폐시켜 도어패널과 도어트림 사이로 물이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어트림용 파스너에는 플라스틱재와 고무재가 있는데, 그 재질적 특성에 따라 플라스틱재의 경우 도어패널에 대한 체결력은 우수한 반면 밀폐력이 떨어지고, 고무재의 경우 도어패널에 대한 밀폐력은 우수한 반면 체결력이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도어트림이 조립되는 도어패널에 대한 밀폐력과 체결력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는 도어트림용 파스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용 파스너는 차량 도어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도어트림과 결합하는 상기 도어의 도어패널의 조립공에 체결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가 상기 조립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공 주변의 도어패널에 밀착하도록 상기 헤드부 둘레에 마련되는 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립부는, 고무재로 마련되는 안쪽의 내측립부; 플라스틱재로 마련되는 바깥쪽의 외측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와 헤드부와 외측립부는 상호 한 몸을 이루도록 사출성형 되어 일체형 사출물을 이루고, 상기 내측립부는 이중 사출 가공을 통해 상기 일체형 사출물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와 헤드부와 외측립부는 상호 한 몸을 이루도록 사출성형 되어 일체형 사출물을 이루고, 상기 내측립부는 상기 일체형 사출물이 사출성형 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와 외측립부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조립공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와 장착부 사이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트림용 파스너는 상기 연결부 둘레에 결합하는 결합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립부는 상기 결합링을 통해 상기 일체형 사출물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가 상기 조립공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패널에 조립되는 상기 도어트림의 조립방향으로 상기 내측립부의 끝단은 상기 외측립부의 끝단을 통해 상기 도어패널 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내측립부의 끝단은 상기 외측립부의 끝단보다 상기 도어트림의 조립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측립부의 끝단은 상기 내측 립부의 끝단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트림용 파스너에 따르면, 도어패널의 조립공 둘레에 밀착하는 립부가 고무재로 마련되는 안쪽의 제1립부와 플라스틱재로 마련되어 바깥쪽의 제2립부를 포함하므로, 도어트림이 조립되는 도어패널에 대한 밀폐력과 체결력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용 파스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트림용 파스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트림용 파스너에 의해 도어패널과 도어트림이 조립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용 파스너의 일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도어트림용 파스너에 의해 도어패널과 도어트림이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패널에 밀착하는 도어트림용 파스너의 립부 쪽 구조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용 파스너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용 파스너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용 파스너(1)는 차량 도어의 도어트림(2)을 차량 도어의 도어패널(3)에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가 도어트림(2)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어패널(3)의 조립공(3a)에 체결됨에 따라 도어트림(2)을 도어패널(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어트림(2)은 실내 쪽을 향하는 도어패널(3)의 내측 표면을 덮어 가림으로써, 차량 내부의 장식효과를 높이고, 실내의 차음 및 흡음 성능을 높이며, 자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도어트림용 파스너(1)는 도어트림(2)에 장착되는 장착부(10)와, 도어패널(3)의 조립공(3a)에 체결되는 헤드부(20)와, 헤드부(20)가 조립공(3a)에 체결된 상태에서 조립공(3a) 주변의 도어패널(3)에 밀착하도록 헤드부(20) 둘레에 마련되는 립부(30)를 포함한다.
장착부(10)가 장착되도록 도어트림(2)에는 장착브래킷(2a)이 형성되고, 장착브래킷(2a)에는 장착공(2c)이 마련될 수 있다.
장착공(2c)은 일측으로 개방되고, 장착부(10)는 측방으로부터 장착공(2c)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홈(11)을 구비할 수 있다.
장착부(10)는 축부(12)와, 축부(12)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지지부(13,14)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3,14)는 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고, 장착홈(11)은 한 쌍의 지지부(13,14) 사이의 축부(12) 둘레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홈(11)이 장착공(2c)에 끼워진 상태에서 축부(12)는 장착공(2c) 안쪽에 위치하고, 한 쌍의 지지부(13,14)는 장착공(2c) 둘레의 장착브래킷(2a) 양면을 지지할 수 있다.
장착부(10)는 경우에 따라 도어트림(2)과 일체로 성형되어 도어트림용 파스너(1)가 도어트림(2)과 하나의 부품처럼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헤드부(20)는 장착부(10)의 축부(12) 중앙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0)는 도어패널(3)의 조립공(3a)보다 최대 직경이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0)는 조립공(3a)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직경이 탄력적으로 축소되었다가 조립공(3a)을 통과한 상태에서 직경이 복원되면서 조립공(3a)에 걸려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헤드부(20)의 직경이 탄력적으로 축소될 수 있도록 헤드부(20) 내부에는 중공부(20a)가 마련될 수 있다.
립부(30)는 헤드부(20)와 지지부(13) 사이의 둘레로부터 헤드부(20) 둘레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연장되고, 내면과 외면 사이의 두께가 얇은 통 모양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조립공(3a) 둘레의 도어패널(3)의 표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립부(30)의 내면과 외면 사이의 두께는 연장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립부(30)는 고무재로 마련되는 안쪽의 내측립부(40)와, 플라스틱재로 마련되는 바깥쪽의 외측립부(50)를 포함하여 안쪽과 바깥 쪽으로 다른 재질을 통해 이중 구조를 갖는다.
내측립부40()는 밀착성이 우수한 고무재로 마련되어 외측립부(50) 안쪽에서 조립공(3a) 둘레를 폐쇄함으로써, 도어트림(2)과 도어패널(3) 사이로 물이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외측립부(50)는 고무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큰 플라스틱재로 마련되어 내측립부(40)를 도어패널(3) 쪽으로 압박하면서 도어패널(3)을 지지하는 도어트림(2)의 지지력이 커지도록 도어트림용 파스너(1)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립부(30)가 고무재와 플라스틱재를 통해 이중구조를 갖는 도어트림용 파스너(1)는 도어패널(3)에 대한 밀폐력과 체결력이 동시에 보장될 수 있다.
플라스틱재로 마련되는 외측립부(50)는 장착부(10) 및 헤드부(20)와 함께 상호 한 몸을 이루도록 사출성형 되어 일체형 사출물(100)을 이루고, 고무재로 마련되는 내측립부(40)는 이중 사출 가공을 통해 외측립부(50)에 지지되도록 일체형 사출물(10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가 조립공(3a)에 조립되면, 립부(30)는 내측립부(40)가 외측립부(50)에 의해 도어패널 쪽으로 압박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조립공(3a) 둘레의 도어패널(3)에 밀착될 수 있다.
도어패널(3)에 조립되는 도어트림(2)의 조립방향으로 내측립부(40)의 끝단이 외측립부(50)의 끝단을 통해 도어패널(3) 쪽으로 가압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립부(40)의 끝단은 외측립부(50)의 끝단보다 도어트림(2)의 조립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일 변형례가 도시된 도 4 및 도 5와 같이, 도어트림용 파스너(1)는 장착부(10)와 헤드부(20)와 외측립부(50)는 상호 한 몸을 이루도록 사출성형 되어 일체형 사출물(100)을 이루고, 내측립부(40)는 사출성형 된 일체형 사출물(100)의 헤드부(20)와 외측립부(50) 사이에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20)는 조립공(3a)에 체결되는 체결부(21)와, 장착부(10)의 축부(12)와 체결부(21) 사이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2) 둘레에는 결합링(60)이 결합하고, 내측립부(40)는 결합링(60)을 통해 상기 일체형 사출물(100)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링(60)은 헤드부(20)의 연결부(22) 둘레에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이를 결합링(60)의 내주와 연결부(22) 외주 사이에는 상호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61) 및 수나사(22a)가 가공될 수 있다.
결합링(60)은 헤드부(20)의 체결부(21)를 통과하여 연결부(22) 둘레에 결합할 수 있고, 결합링(60)의 내주가 체결부(21)를 통과할 때 체결부(21)는 중공부(20a)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결합링(60)은 내측립부(40)과 같은 고무재로 마련되어 내측립부(4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 결합링(60)은 사출성형 되고, 고무재의 내측립부(40)는 이중사출 가공을 통해 결합링(60)과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일체형 사출물(100)에 대한 내측립부(40)의 결합방식이 전술한 이중 사출 가공이나 나사결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측립부(40)는 고무재로 마련되어 플라스틱재로 마련되는 외측립부(50) 안쪽의 헤드부(20) 둘레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범이 내에서 접착이나, 열융착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일체형 사출물(100)에 한 몸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조립공(3a) 둘레를 탄력적으로 밀폐하는 내측립부(40)의 탄성변형범위가 커질 수 있도록 내측립부(40)와 외측립부(50) 사이는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도 내측립부(40)의 끝단은 외측립부(50)의 끝단보다 도어패널(3)에 조립되는 도어트림(2)의 조립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마련되어 헤드부(20)가 조립공(3a)에 체결된 상태에서 내측립부(40)의 끝단은 외측립부(50)의 끝단을 통해 도어패널(3) 쪽으로 가압되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도 6과 같이, 헤드부(20)가 조립공(3a)에 체결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내측립부(40)의 끝단이 외측립부(50)의 끝단을 통해 도어패널(3) 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내측립부(40)의 끝단은 외측립부(50)의 끝단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례가 도시된 도 7과 같이, 외측립부(50)는 연장방향의 끝단부 쪽으로 둘레가 복수의 절개부(51)를 통해 절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절개부(51) 사이사이의 외측립부(50)는 내측립부(40)를 지지하는 외측지지부(52)를 형성할 수 있다.
둘레가 복수의 절개부(51)를 통해 절개된 외측립부(50)는 립부(20)가 도어패널(3)에 지지되는 과정에서 외측지지부(52) 사이가 원주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외측지지부(52)가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내측립부(40)를 지지하게 되어 내측립부(40)의 탄성변형 범위가 더욱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1: 도어트림용 파스너 2: 도어트림
2c: 장착공 3: 도어패널
3a: 조립공 10: 장착부
11: 장착홈 12: 축부
13,14: 지지부 20: 헤드부
21: 체결부 22: 연결부
30: 립부 40: 내측립부
50: 외측립부 60: 결합링
100: 일체형 사출물

Claims (7)

  1. 차량 도어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도어트림과 결합하는 상기 도어의 도어패널의 조립공에 체결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가 상기 조립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공 주변의 도어패널에 밀착하도록 상기 헤드부 둘레에 마련되는 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립부는,
    고무재로 마련되어 상기 조립공 둘레를 폐쇄하는 안쪽의 내측립부;
    상기 내측립부를 지지하도록 플라스틱재로 마련되는 바깥쪽의 외측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조립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립부가 상기 외측립부의 끝단을 통해 상기 도어패널 쪽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내측립부의 끝단은 상기 외측립부의 끝단보다 상기 도어트림의 조립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외측립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외측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지지부들은 상호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그 사이가 절개되는 도어트림용 파스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헤드부와 외측립부는 상호 한 몸을 이루도록 사출성형 되어 일체형 사출물을 이루고,
    상기 내측립부는 이중 사출 가공을 통해 상기 일체형 사출물과 일체로 마련되는 도어트림용 파스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헤드부와 외측립부는 상호 한 몸을 이루도록 사출성형 되어 일체형 사출물을 이루고,
    상기 내측립부는 상기 일체형 사출물이 사출성형 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와 외측립부 사이에 결합하는 도어트림용 파스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조립공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와 장착부 사이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둘레에 결합하는 결합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립부는 상기 결합링을 통해 상기 일체형 사출물에 결합하는 도어트림용 파스너.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립부의 끝단은 상기 내측 립부의 끝단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도어트림용 파스너.
KR1020190136077A 2019-10-30 2019-10-30 도어트림용 파스너 KR10228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077A KR102283900B1 (ko) 2019-10-30 2019-10-30 도어트림용 파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077A KR102283900B1 (ko) 2019-10-30 2019-10-30 도어트림용 파스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59A KR20210051159A (ko) 2021-05-10
KR102283900B1 true KR102283900B1 (ko) 2021-08-02

Family

ID=7591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077A KR102283900B1 (ko) 2019-10-30 2019-10-30 도어트림용 파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9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131A (ja) * 2000-06-22 2002-01-09 Daiwa Kasei Ind Co Ltd クリップ
JP2008089006A (ja) * 2006-09-29 2008-04-17 Piolax Inc 部品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0228A (ja) * 1992-02-27 1993-09-17 Toyoda Gosei Co Ltd 組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131A (ja) * 2000-06-22 2002-01-09 Daiwa Kasei Ind Co Ltd クリップ
JP2008089006A (ja) * 2006-09-29 2008-04-17 Piolax Inc 部品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59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764B1 (ko) 폐쇄 플러그
KR101713746B1 (ko) 차량용 오버슬램 범퍼
US5659924A (en) Grommet with flexible sealing passage
JP2008543257A (ja) 棒状物体の壁貫通部における密封用シール要素
US11052840B2 (en) Grommet for wire harness
KR102283900B1 (ko) 도어트림용 파스너
US20070261912A1 (en) Integrated audio speaker surround
US20240003176A1 (en) Fasteners
US7878544B2 (en) Seal for steering assemblies
JP2007162733A (ja) クッション部材およびクッション部材の成形方法
KR20180072393A (ko) 훼스너
KR102540927B1 (ko) 차량용 클립
KR101739488B1 (ko) 허브 베어링 소음 저감 기능과 먼지 차단 기능을 겸비한 통합형 커버 및 그것의 드라이브 샤프트 설치 구조
KR102295273B1 (ko) 패스너 조립체
JP2008207608A (ja) 動力伝達軸
JP6975023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グロメット取付構造
CN111663875A (zh) 车辆前机盖总成和车辆
JP2021132426A (ja) グロメット
KR101818724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의 소음 및 진동 차단구조
CN209956076U (zh) 车辆前机盖总成和车辆
JP7247857B2 (ja) グロメット
KR200151298Y1 (ko) 자동차의 도어 가니쉬 장착구조
KR102392298B1 (ko)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KR102296601B1 (ko) 차량용 도어 가니쉬 장착구조
KR100517695B1 (ko) 차량의 흡음재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