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142B1 - 합성수지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142B1
KR102283142B1 KR1020200017174A KR20200017174A KR102283142B1 KR 102283142 B1 KR102283142 B1 KR 102283142B1 KR 1020200017174 A KR1020200017174 A KR 1020200017174A KR 20200017174 A KR20200017174 A KR 20200017174A KR 102283142 B1 KR102283142 B1 KR 10228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unit
air
air discharge
ex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희만
Original Assignee
(주)진만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만케미칼 filed Critical (주)진만케미칼
Priority to KR102020001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4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1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grinding, e.g. by triturating; by sieving; by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는, 용융된 원료를 압출하여 케이블 형태의 합성수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합성수지를 절단하여 가공된 합성수지를 획득하는 합성수지 가공장치에 있어서, 합성수지의 원료가 수용된 채, 용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용융된 합성수지를 복수의 케이블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를 침수시켜 냉각하는 수냉부, 침수되어 젖은 합성수지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 상기 수분제거부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합성수지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합성수지를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가공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plastic}
본 발명은 합성수지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융된 원료를 압출하여 케이블 형태의 합성수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합성수지를 절단하여 가공된 합성수지를 획득하는 합성수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품을 생산할 때 불량이 발생되거나, 이미 제품으로 사용되다가 수명이 끝난 플라스틱 사출품을 폐기할 때, 이를 수거하여 다시 플라스틱 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재생하게 된다. 이러한 폐플라스틱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가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생장치에 폐플라스틱을 재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폐플라스틱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로 깨끗이 플라스틱을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세척 건조된 폐플라스틱을 입자 형태로 잘게 분쇄한다.
이어서, 잘게 분쇄된 폐플라스틱을 용융로에 투입하여 히터에 의해 용융시키고, 이렇게 용융된 플라스틱을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압출한다.
그리고, 이렇게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압출되는 플라스틱을 커터에 의해 다시 잘게 절단하여 입자 형태로 만들고, 이렇게 재생된 플라스틱 입자를 포대에 담아 출시하게 된다.
이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대기 중에 있는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할 필요가 있다. 특히, 플라스틱 압출물은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이송된다. 이송된 플라스틱 압출물을 플라스틱 입자로 만들기 위해서는 냉각 후 컷팅을 해야 하는데, 이때, 플라스틱 압출물을 냉각수에 의해 냉각시키게 된다.
즉, 플라스틱의 생산량이 많은 관계로 압출 시 가장 빠른 시간에 냉각을 해야 하기 때문에, 냉각수를 이용하는 수냉식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수냉식 방식에 의해 젖은 플라스틱 압출물을 건조하는데 따른 시간 소요가 상당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해결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839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된 원료를 압출하여 케이블 형태의 합성수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합성수지를 절단하여 가공된 합성수지를 획득하는 합성수지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는, 용융된 원료를 압출하여 케이블 형태의 합성수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합성수지를 절단하여 가공된 합성수지를 획득하는 합성수지 가공장치에 있어서, 합성수지의 원료가 수용된 채, 용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용융된 합성수지를 복수의 케이블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를 침수시켜 냉각하는 수냉부, 침수되어 젖은 합성수지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 상기 수분제거부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합성수지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합성수지를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부는, 상기 원료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장착되고, 복수의 압출공이 형성된 압출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분제거부는, 상기 젖은 합성수지를 요동시켜, 표면에 붙은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 및 상기 젖은 합성수지에 송풍하여 건조시키는 공기분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상기 수냉부는, 상기 압출헤드부의 하부측에 위치한 채, 물이 수용된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연결부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압출헤드부는,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연결되되, 상기 수냉부를 향해 기울어진 채,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압출공을 통해 배출된 합성수지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상기 복수의 압출공은, 중력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어, 배출되는 합성수지가 자중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는 상기 압출헤드부의 상기 연결부로의 장착 또는 상기 연결부로부터의 장착 해제를 구현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출헤드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압출헤드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압출헤드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 상기 위치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톱니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톱니부 및 상기 제2 톱니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출헤드부는, 상기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톱니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2 톱니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톱니부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결부로부터 장착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상기 탈수부는, 상기 수냉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냉부로부터 이탈된 합성수지가 안착된 채, 이동되는 탈수롤러부 및 상기 탈수롤러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탈수롤러부를 따라 이동되는 합성수지를 상하로 요동시키는 요동롤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요동롤러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롤러부의 상측에 안착된 합성수지는, 회전되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과 상기 돌출부의 높이 차에 따라 상하로 요동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상기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는, 상기 압출부로부터 상기 분쇄부를 향해 이동되며, 상기 탈수롤러부는, 상기 압출부와 상기 분쇄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탈수롤러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탈수롤러편은, 이동되는 합성수지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탈수롤러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탈수롤러편은,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이동되는 합성수지에 의해 회전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원주 방향으로 함입된 복수의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함입부는, 복수의 케이블 형태로 압출된 합성수지가 분리된 채,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상기 복수의 탈수롤러편은, 상기 압출부로부터 상기 분쇄부를 향해 이동되는 합성수지에 의해 제3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요동롤러부는, 상기 제3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4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측에 안착된 합성수지에 대한 반발력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상기 공기분사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공기분사편, 제2 공기분사편 및 제3 공기분사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공기분사편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공기배출부 및 제1-2 공기흡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공기배출부와 상기 제1-2 공기흡입부의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가 이동되고, 상기 제1-1 공기배출부는, 상기 제1-2 공기흡입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2 공기흡입부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제1-2 공기흡입부는, 상기 제1-1 공기배출부로부터 배출된 공기 및 물방울을 흡입하며, 상기 제2 공기분사편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공기배출부 및 제2-2 공기흡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공기배출부와 상기 제2-2 공기흡입부의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가 이동되며, 상기 제2-1 공기배출부는, 상기 제2-2 공기흡입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2 공기흡입부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제2-2 공기흡입부는, 상기 제2-1 공기배출부로부터 배출된 공기 및 물방울을 흡입하고,상기 제3 공기분사편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1 공기배출부 및 제3-2 공기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1 공기배출부와 상기 제3-2 공기배출부 사이로 합성수지가 이동되고, 상기 제3-1 공기배출부는, 상기 제3-1 공기배출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2 공기배출부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제3-2 공기배출부는, 상기 제3-1 공기배출부를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는, 상기 수분제거부와 상기 분쇄부 사이에 배치되며, 이격되어 이동된 복수의 케이블 형태의 합성수지를 중첩되도록 모으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집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압착롤러부 및 제2 압착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분제거부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합성수지는, 상기 제1 압착롤러부와 상기 제2 압착롤러부 사이로 이동되면서,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의 분자구조 변형, 색상 변색, 기공 발생 등을 최소화하여 폐플라스틱을 신재료와 동일한 물성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원료공급부 및 압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압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설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수분제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분쇄부 및 반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1)는, 용융된 원료를 압출하여 케이블 형태의 합성수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합성수지를 절단하여 가공된 합성수지를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원료공급부(10)는, 합성수지의 원료가 투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투입된 합성수지의 원료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합성수지의 원료는 고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부(10)는, 투입된 합성수지의 원료가 용융되는 용융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투입된 고체 상태의 합성수지의 원료는 상기 용융부(15)에서 액화되어 변형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압출부(20)는, 상기 원료공급부(10)에서 용융된 합성수지를 복수의 케이블 형태로 압출할 수 있다.
용융된 합성수지는, 압출부(20)의 압출공(H)을 통해 압출되어, 단면이 원형인 케이블 형태로 압출될 수 있다.
상기 수냉부(30)는, 상기 압출부(20)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P, 도 6 참조)를 침수시켜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수냉부(30)는, 상기 압출부(20)에 의해 압출되는 합성수지의 압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냉부(30)는, 물이 담긴 수조 형태로 고온으로 압출된 합성수지가 자중에 의해 침전된 채, 물에 의해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분제거부(40)는, 침수되어 젖은 합성수지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분제거부(40)는, 상기 수냉부(30)로부터 외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물에 젖은 표면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분제거부(40)는, 상기 젖은 합성수지를 요동시켜, 표면에 붙은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41) 및 상기 젖은 합성수지에 송풍하여 건조시키는 공기분사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쇄부(50)는, 상기 수분제거부(40)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합성수지를 분쇄할 수 있다.
상기 반출부(60)는, 상기 분쇄부(50)에 의해 분쇄된 합성수지(P)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로, 본 발명의 합성수지 가공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원료공급부 및 압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압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압출부(20)는, 상기 원료공급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21) 및 상기 연결부(21)의 선단에 장착되고, 복수의 압출공(H)이 형성된 압출헤드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냉부(30)는, 상기 압출헤드부(23)의 하부측에 위치한 채, 물이 수용된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출부(20)의 상기 연결부(21)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출헤드부(23)는, 상기 연결부(21)의 선단에 연결되되, 상기 수냉부(30)를 향해 기울어진 채,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압출공(H)을 통해 배출된 합성수지(P)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출헤드부(23)는 상기 복수의 압출공(H)이 상기 수냉부(30)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압출공(H)으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P)가 자중에 의해 상기 수냉부(3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압출헤드부(23)가 상기 수냉부(30)와 수직하게 배치되면, 복수의 압출공(H)으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P)는 자중에 의해 꺾이게 되며, 꺾인 부분은 압출 압력 또는 합성수지(P) 재료의 불균일한 입자크기에 따라 단절되거나, 이동 정체에 따라 두께가 균일하지 못한 합성수지(P)가 제조되도록 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압출헤드부(23)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압출공(H)으로부터 압출된 방향과 중력 방향이 수직한 것이 아닌, 예각을 형성하도록 하여, 압출된 합성수지(P)의 단절 또는 불균일한 두께로 제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압출공(H)은, 중력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어, 배출되는 합성수지(P)가 자중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압출공(H)은, 중력 방향으로 표시한 가상의 직선(점선)들이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압출되는 합성수지(P)의 양을 확보함과 동시에 서로 간에 들러붙지 않도록 하여, 고품질의 합성수지(P)가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압출공(H)이 중력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면, 압출되는 중에 자중에 의해 꺾이면서 하부측에서 배출되는 합성수지(P)와 들러붙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들러붙은 합성수지(P)의 부착력에 의해 압출 중인 합성수지(P)가 단절되거나 들러붙은 합성수지(P)가 붙은 상태로 냉각되어, 후공정인 분쇄부(50)에서의 분쇄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설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70)는, 상기 압출헤드부(23)의 상기 연결부(21)로의 장착 또는 상기 연결부(21)로부터의 장착 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압출헤드부(23)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 톱니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70)는, 상기 압출헤드부(23)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본체부(71), 상기 본체부(71)에 연결되고, 상기 압출헤드부(23)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73), 상기 위치이동부(73)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톱니부(23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톱니부(75) 및 상기 제2 톱니부(75)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출헤드부(23)는, 상기 제1 톱니부(231)와 상기 제2 톱니부(75)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2 톱니부(75)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결부(21)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톱니부(75)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결부(21)로부터 장착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출헤드부(23)는, 가공하고자 하는 합성수지(P)의 크기에 따라 다른 크기의 압출공(H)이 형성된 압출헤드부(23)로 교체될 수 있다.
또는, 압출헤드부(23)의 파손/손상으로 인해, 수리를 하거나 새것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도 연결부(21)로부터 장착 또는 해체될 수 있는데, 상기 설치부(70)는 상기 압출헤드부(23)의 상기 연결부(21)로의 장착 또는 해체에 이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수분제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부(41)는, 탈수롤러부(411) 및 요동롤러부(4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수롤러부(411)는, 상기 수냉부(3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냉부(30)로부터 이탈된 합성수지(P)가 안착된 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요동롤러부(413)는, 상기 탈수롤러부(411)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탈수롤러부(411)를 따라 이동되는 합성수지(P)를 상하로 요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동롤러부(413)는, 원통부(413a) 및 돌출부(41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413a)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13b)는, 상기 원통부(41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원통부(413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동롤러부(413)의 상측에 안착된 합성수지(P)는, 회전되는 상기 원통부(413a)의 외주면과 상기 돌출부(413b)의 높이 차에 따라 상하로 요동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출부(20)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P)는, 상기 압출부(20)로부터 상기 분쇄부(5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탈수롤러부(411)는, 상기 압출부(20)와 상기 분쇄부(5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탈수롤러편(411a, 411b, 411c, 411d, 411e, 411f, 411g, 411h)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탈수롤러편(411a, 411b, 411c, 411d, 411e, 411f, 411g, 411h)은, 이동되는 합성수지(P)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탈수롤러편(411a, 411b, 411c, 411d, 411e, 411f, 411g, 411h)을 구성하는 각각의 탈수롤러편(411a, 411b, 411c, 411d, 411e, 411f, 411g, 411h)은, 회전축(414) 및 접촉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15)는, 상기 회전축(414)에 장착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이동되는 합성수지(P)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15)는, 원주 방향으로 함입된 복수의 함입부(415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함입부(415a)는, 복수의 케이블 형태로 압출된 합성수지(P)가 분리된 채,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탈수롤러편(411a, 411b, 411c, 411d, 411e, 411f, 411g, 411h)은, 상기 압출부(20)로부터 상기 분쇄부(50)를 향해 이동되는 합성수지(P)에 의해 제3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방향은 접촉된 합성수지(P)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주행방향은 복수의 탈수롤러편(411a, 411b, 411c, 411d, 411e, 411f, 411g, 411h)의 합성수지(P)의 접촉영역에서의 접선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요동롤러부(413)는, 상기 제3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4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측에 안착된 합성수지(P)에 대한 반발력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동롤러부(413)와 접촉된 합성수지(P)는, 주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받게 되므로, 합력에 따라 상측으로 튀고,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것이 반복되어 표면에 묻은 물기가 털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부(43)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공기분사편(431), 제2 공기분사편(432) 및 제3 공기분사편(4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분사편(431)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공기배출부(431a) 및 제1-2 공기흡입부(43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공기배출부(431a)와 상기 제1-2 공기흡입부(431b)의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P)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1 공기배출부(431a)는, 상기 제1-2 공기흡입부(431b)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2 공기흡입부(431b)를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2 공기흡입부(431b)는, 상기 제1-1 공기배출부(431a)로부터 배출된 공기 및 물방울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분사편(431)을 지나는 합성수지(P)는 자체적으로 회전을 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1 공기배출부(431a)로부터 상기 제1-2 공기흡입부(431b)로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합성수지(P)의 상면에 체류하는 물기들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공기흡입부(431b)가 공기를 흡입하는 이유는, 상하에서 모두 공기를 분사하는 경우 물기가 비산되어 재차 합성수지(P)의 표면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공기분사편(432)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공기배출부(432a) 및 제2-2 공기흡입부(43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공기배출부(432a)와 상기 제2-2 공기흡입부(432b)의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P)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1 공기배출부(432b)는, 상기 제2-2 공기흡입부(432a)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2 공기흡입부(432a)를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2 공기흡입부(432a)는, 상기 제2-1 공기배출부(432b)로부터 배출된 공기 및 물방울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분사편(432)을 지나는 합성수지(P)는 자체적으로 회전을 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2-1 공기배출부(432b)로부터 상기 제2-2 공기흡입부(432a)로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합성수지(P)의 하면에 체류하는 물기들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2 공기흡입부(432a)가 공기를 흡입하는 이유는, 상하에서 모두 공기를 분사하는 경우 물기가 비산되어 재차 합성수지(P)의 표면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 공기분사편(433)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1 공기배출부(433a) 및 제3-2 공기배출부(43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1 공기배출부(433a)와 상기 제3-2 공기배출부(433b) 사이로 합성수지(P)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1 공기배출부(433a)는, 상기 제3-2 공기배출부(433b)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2 공기배출부(433b)를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3-2 공기배출부(433b)는, 상기 제3-1 공기배출부(433a)를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분사편(431) 및 상기 제2 공기분사편(432)에 의해 물기가 제거된 합성수지(P)는 최종적으로 상기 제3 공기분사편(433)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제3-1 공기배출부(433a) 및 상기 제3-2 공기배출부(433b)는 모두 공기를 분사하여, 합성수지(P)의 표면에 묻은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제3-1 공기배출부(433a) 및 제3-2 공기배출부(433b) 모두가 공기를 배출하는 이유는, 합성수지(P)의 표면에 물기가 거의 없는 상태로서 바람의 세기로만 합성수지(P)의 표면 물기를 건조시키기 위함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의 분쇄부 및 반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가공장치(1)는, 수집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80)는, 상기 수분제거부(40)와 상기 분쇄부(50) 사이에 배치되며, 이격되어 이동된 복수의 케이블 형태의 합성수지(P)를 중첩되도록 모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집부(80)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압착롤러부(81) 및 제2 압착롤러부(8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분제거부(40)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합성수지(P)는, 상기 제1 압착롤러부(81)와 상기 제2 압착롤러부(82) 사이로 이동되면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분쇄부(50)는, 상기 수집부(80)에 의해 수집된 합성수지(P) 묶음을 분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부(80)가 상기 합성수지(P)를 중첩되도록 하여, 상기 분쇄부(50)에 의한 분쇄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수지(P)는 금속의 칼날에 의해 쉽게 분쇄되는 바, 합성수지(P)가 중첩되어도 분쇄 하는데 에는 크게 무리가 없다. 이에, 건조 및 냉각을 위해 펼쳐진 합성수지(P)를 중첩되도록 하여, 분쇄부(5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펼쳐진 합성수지(P)를 한꺼번에 분쇄하여 분쇄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합성수지 가공장치
10: 원료공급부
15: 용융부
20: 압출부
30: 수냉부
40: 수분제거부
50: 분쇄부
60: 반출부
70: 설치부
80: 수집부

Claims (9)

  1. 용융된 원료를 압출하여 케이블 형태의 합성수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합성수지를 절단하여 가공된 합성수지를 획득하는 합성수지 가공장치에 있어서,
    합성수지의 원료가 수용된 채, 용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용융된 합성수지를 복수의 케이블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를 침수시켜 냉각하는 수냉부;
    침수되어 젖은 합성수지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
    상기 수분제거부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합성수지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합성수지를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부는,
    상기 원료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장착되고, 복수의 압출공이 형성된 압출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분제거부는,
    상기 젖은 합성수지를 요동시켜, 표면에 붙은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 및 상기 젖은 합성수지에 송풍하여 건조시키는 공기분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냉부는,
    상기 압출헤드부의 하부측에 위치한 채, 물이 수용된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연결부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압출헤드부는,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연결되되, 상기 수냉부를 향해 기울어진 채,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압출공을 통해 배출된 합성수지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복수의 압출공은,
    중력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어, 배출되는 합성수지가 자중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압출헤드부의 상기 연결부로의 장착 또는 상기 연결부로부터의 장착 해제를 구현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출헤드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압출헤드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압출헤드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 상기 위치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톱니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톱니부 및 상기 제2 톱니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출헤드부는,
    상기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톱니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2 톱니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톱니부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결부로부터 장착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수냉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냉부로부터 이탈된 합성수지가 안착된 채, 이동되는 탈수롤러부 및 상기 탈수롤러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탈수롤러부를 따라 이동되는 합성수지를 상하로 요동시키는 요동롤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요동롤러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롤러부의 상측에 안착된 합성수지는,
    회전되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과 상기 돌출부의 높이 차에 따라 상하로 요동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는, 상기 압출부로부터 상기 분쇄부를 향해 이동되며,
    상기 탈수롤러부는,
    상기 압출부와 상기 분쇄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탈수롤러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탈수롤러편은, 이동되는 합성수지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탈수롤러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탈수롤러편은,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이동되는 합성수지에 의해 회전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원주 방향으로 함입된 복수의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함입부는,
    복수의 케이블 형태로 압출된 합성수지가 분리된 채,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가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탈수롤러편은,
    상기 압출부로부터 상기 분쇄부를 향해 이동되는 합성수지에 의해 제3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요동롤러부는,
    상기 제3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4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측에 안착된 합성수지에 대한 반발력이 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공기분사편, 제2 공기분사편 및 제3 공기분사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공기분사편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공기배출부 및 제1-2 공기흡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공기배출부와 상기 제1-2 공기흡입부의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가 이동되고,
    상기 제1-1 공기배출부는,
    상기 제1-2 공기흡입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2 공기흡입부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제1-2 공기흡입부는,
    상기 제1-1 공기배출부로부터 배출된 공기 및 물방울을 흡입하며,
    상기 제2 공기분사편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공기배출부 및 제2-2 공기흡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공기배출부와 상기 제2-2 공기흡입부의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가 이동되며,
    상기 제2-1 공기배출부는,
    상기 제2-2 공기흡입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2 공기흡입부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제2-2 공기흡입부는,
    상기 제2-1 공기배출부로부터 배출된 공기 및 물방울을 흡입하고,
    상기 제3 공기분사편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1 공기배출부 및 제3-2 공기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1 공기배출부와 상기 제3-2 공기배출부 사이로 합성수지가 이동되고,
    상기 제3-1 공기배출부는,
    상기 제3-2 공기배출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2 공기배출부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제3-2 공기배출부는,
    상기 제3-1 공기배출부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가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부와 상기 분쇄부 사이에 배치되며, 이격되어 이동된 복수의 케이블 형태의 합성수지를 중첩되도록 모으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집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압착롤러부 및 제2 압착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분제거부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합성수지는, 상기 제1 압착롤러부와 상기 제2 압착롤러부 사이로 이동되면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가공장치.
KR1020200017174A 2020-02-12 2020-02-12 합성수지 가공장치 KR10228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74A KR102283142B1 (ko) 2020-02-12 2020-02-12 합성수지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74A KR102283142B1 (ko) 2020-02-12 2020-02-12 합성수지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142B1 true KR102283142B1 (ko) 2021-07-29

Family

ID=7712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174A KR102283142B1 (ko) 2020-02-12 2020-02-12 합성수지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586B1 (ko) * 2021-09-23 2022-03-21 황대현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656Y2 (ja) * 1992-05-21 1997-12-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押出機のストランドダイヘッド
JPH11198136A (ja) * 1998-01-08 1999-07-27 Nippon Zeon Co Ltd ゴムの乾燥方法および乾燥装置
KR20100083937A (ko) 2009-01-15 2010-07-23 주식회사 주안 오염방지 기능을 갖는 폐 수지 압출기용 냉각장치
KR101616991B1 (ko) * 2015-03-13 2016-04-29 (주)씨엠비네트웍스 고무압출기 후속 냉각 건조시스템
KR101778536B1 (ko) * 2017-02-28 2017-09-14 진성테크 (주)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펠릿 제조 장치
KR101865747B1 (ko) * 2017-12-20 2018-06-08 강영순 재생폴리프로필렌 펠릿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656Y2 (ja) * 1992-05-21 1997-12-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押出機のストランドダイヘッド
JPH11198136A (ja) * 1998-01-08 1999-07-27 Nippon Zeon Co Ltd ゴムの乾燥方法および乾燥装置
KR20100083937A (ko) 2009-01-15 2010-07-23 주식회사 주안 오염방지 기능을 갖는 폐 수지 압출기용 냉각장치
KR101616991B1 (ko) * 2015-03-13 2016-04-29 (주)씨엠비네트웍스 고무압출기 후속 냉각 건조시스템
KR101778536B1 (ko) * 2017-02-28 2017-09-14 진성테크 (주)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펠릿 제조 장치
KR101865747B1 (ko) * 2017-12-20 2018-06-08 강영순 재생폴리프로필렌 펠릿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586B1 (ko) * 2021-09-23 2022-03-21 황대현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33832B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ъемно-жгутовой нити
KR102283142B1 (ko) 합성수지 가공장치
CN102802898B (zh) 保险杠的涂料除去装置
KR101778536B1 (ko)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펠릿 제조 장치
KR101229089B1 (ko) 폐수지 재생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 보드의 압출성형장치
CN109291315A (zh) 一种打印耗材废料回收利用装置
CN211221545U (zh) 一种塑料熔融造粒挤出设备
JP5028197B2 (ja) ペレ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ペレット製造装置
KR102041078B1 (ko) 워터젯용 연마재 재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마재 재생 방법
CN209022353U (zh) 一种雨鞋注塑机送料装置
KR101611928B1 (ko) 재활용 용기의 라벨 제거 장치
CN111113966B (zh) 一种电力管道加工方法
JP2006264325A (ja) 熱可塑性樹脂ペレット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57957B2 (ja) 処理装置、シート製造装置、処理方法およびシートの製造方法
CN213198421U (zh) 一种塑料生产用破碎机
CN211054182U (zh) 一种塑料切粒机烘干装置
KR100366232B1 (ko) 가연성쓰레기의 재생연료 제조 장치
KR20060089399A (ko) 창틀골재의 플라스틱 폐기물에 점착된 pp필름 제거장치및 그 방법
JP7157436B2 (ja) 透明カバー層分離回収装置
KR101301555B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제조용 재생원료 가공방법
KR100435074B1 (ko) 연속자동 진공 비닐 재생산 시스템
JP3578792B2 (ja) 再生合成樹脂製ペレットの製造装置
WO2005065829A1 (en) Mixing chamber improvements
CN216506155U (zh) 一种塑胶件加工装置
CN110919891A (zh) 一种制造塑料泡沫颗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