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586B1 -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586B1
KR102376586B1 KR1020210125505A KR20210125505A KR102376586B1 KR 102376586 B1 KR102376586 B1 KR 102376586B1 KR 1020210125505 A KR1020210125505 A KR 1020210125505A KR 20210125505 A KR20210125505 A KR 20210125505A KR 102376586 B1 KR102376586 B1 KR 102376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injection
hot air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현
Original Assignee
황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현 filed Critical 황대현
Priority to KR102021012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6Rod-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55Conveyors for extru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30Drawing through a di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후 생산되는 재생원료의 색상이 짙고 탁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폐플라스틱의 재생 과정에서 용융물을 탈색하여 재생원료에 적절한 색감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색상 요구를 충족시키고, 각종 산업자재로써 적합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Plastic recyclable equipment for colouring raw materials}
본 발명은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후 생산되는 재생원료의 색상이 짙고 탁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폐플라스틱의 재생 과정에서 용융물을 탈색하여 재생원료에 적절한 색감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색상 요구를 충족시키고, 각종 산업자재로써 적합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은 산업의 발달과 함께 현대인의 삶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소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에서 생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의 특성상 재활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플라스틱들은 소각될 경우 해로운 성분을 배출하고, 땅 속에 매립되거나 바다로 떠내려가 방치되거나 풍화작용에 의해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모하여 생태계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 적으로 관련 법률을 제정하여 과다한 플라스틱 사용을 제지하고, 플라스틱의 소각 보다는 재활용에 초점을 맞추거나, 생분해가 가능한 바이오 플라스틱을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플라스틱 생산 업계 내에서도 플라스틱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업화 아이템으로 사용하는 기업이 늘고 있으며, 특히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인발압출에 필요한 펠릿을 제작하여 기존의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고 상기 재활용된 플라스틱을 재 펠릿화 할 수 있어 무한적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시스템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플라스틱 제품은 각 분야마다 그 색상이 천차만별로 제조되는 한편, 대체로,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끼리 모아 한번에 재활용 장치에서 재활용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생원료의 색상 표현이 제한적이었다.
즉,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시 서로 다른 색상의 플라스틱을 색상별로 선별해 재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한번에 모아서 재활용 장치에 투입시키기 때문에 재활용이 완료된 플라스틱 재생원료는 대체적으로 여러 색상이 혼합되어 그 색상이 짙고, 탁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재생원료는 미감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다양한 색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는 문제로, 그 활용범위가 제한적이었다.
등록특허 10-2048699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후 생산되는 재생원료의 색상이 짙고 탁해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폐플라스틱의 재생 과정에서 용융물을 탈색하여 재생원료에 적절한 색감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색상 요구를 충족시키고, 각종 산업자재로써 적합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는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폐원료를 용융시키는 제1 용융부, 상기 제1 용융부에서 1차 용융된 용융물을 전달받아 2차 용융시킨 후 가닥의 형태로 인발시키는 제2 용융부, 상기 제2 용융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제2 용융부로부터 인발되는 용융물을 냉각해 경화시키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경화된 스틱을 전달받아 스틱에 잔류된 수분 을 증발시키는 증발부, 상기 증발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건조된 스틱을 전달받아 파쇄하여 입자화시키는 파쇄부 및 상기 제2 용융부에 안료를 첨가하여 탈색하는 탈색부를 포함하는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는, 스틱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틱에 열풍을 분사하는 이동분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분사체는, 상기 컨베이어를 중앙에 두고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설치함;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분사부; 상기 한 쌍의 설치함과 제1 분사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연결배관; 상기 한 쌍의 설치함에 각각 설치되며, 제1 연결배관을 향해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압축기;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배관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연결배관을 통과하는 압축공기를 가열시키는 한 쌍의 제1 가열기;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분사부; 상기 한 쌍의 설치함과 제2 분사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연결배관; 상기 한 쌍의 설치함에 각각 설치되며, 제2 연결배관을 향해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한 쌍의 제2 압축기; 및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배관에 각각 설치되어 제2 연결배관을 통과하는 압축공기를 가열시키는 한 쌍의 제2 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분사부는, 하방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면이 단열재로 커버되며 서로 마주보는 좌우 벽면으로 열풍을 받아들이는 제1 분사하우징; 상기 제1 분사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 분사하우징의 좌우 벽면으로 유입된 열풍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한 쌍의 제1 유도판; 상기 제1 분사하우징의 개방된 하방에 장착되며 열풍이 통과하는 복수의 제1 분사구가 관통 형성되는 제1 확산판; 및 상기 한 쌍의 제1 유도판과 제1 확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보조가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분사부는, 상방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면이 단열재로 커버되며 서로 마주보는 좌우 벽면으로 열풍을 받아들이는 제2 분사하우징; 상기 제2 분사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2 분사하우징의 좌우 벽면으로 유입된 열풍을 상방으로 유도하는 한 쌍의 제2 유도판; 상기 제2 분사하우징의 개방된 상방에 장착되며 열풍이 통과하는 복수의 제2 분사구가 관통 형성되는 제2 확산판; 및 상기 한 쌍의 제2 유도판과 제2 확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보조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배관 각각은, 상기 설치함에 연결되는 제1 수직배관; 상기 제1 수직배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로 제1 고정유로가 형성되어 제1 수직배관과 연통되며 일측으로 제1 고정실린더가 돌출 형성되는 제1 고정블럭; 상기 제1 고정실린더의 외측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로 제1 회전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유로와 연통되며 상부로 제1 회전실린더가 돌출 형성되는 제1 회전블럭; 및 상기 제1 회전실린더와 제1 분사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되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배관 각각은, 상기 설치함에 연결되는 제2 수직배관; 상기 제2 수직배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로 제2 고정유로가 형성되어 제2 수직배관과 연통되며 일측으로 제2 고정실린더가 돌출 형성되는 제2 고정블럭; 상기 제2 고정실린더의 외측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로 제2 회전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유로와 연통되며 하부로 제2 회전실린더가 돌출 형성되는 제2 회전블럭; 및 상기 제2 회전실린더와 제2 분사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되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오링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오링 사이에는 제1 고정실린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밀폐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유로의 입구는 제1 수직배관과 결합되는 제1 고정블럭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1 고정유로의 출구는 상기 제1 밀폐홈이 형성된 제1 고정실린더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오링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오링 사이에는 제2 고정실린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밀폐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유로의 입구는 제2 수직배관과 결합되는 제2 고정블럭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 고정유로의 출구는 상기 제2 밀폐홈이 형성된 제2 고정실린더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고정블럭의 제1 회전블럭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1 고정실린더 주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상기 제1 고정홈을 마주보는 면에는 제1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1 고정볼이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며, 상기 제2 고정블럭의 제2 회전블럭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2 고정실린더 주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블럭의 상기 제2 고정홈을 마주보는 면에는 제2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2 고정볼이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설치함 사이에는 컨베이어를 가로지르도록 스테빌라이저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탈색부 구성을 통해 용융물을 탈색하여 재생원료에 적절한 색감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색상 요구를 충족시키고, 각종 산업자재로써 적합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냉각을 위해 물에 침지시킨 스틱을 보다 빠르게 건조시킴으로써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동분사체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이동분사체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이동분사체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분사부와 제2 분사부의 단면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연결배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연결배관의 단면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 연결배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2 연결배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연결배관이 일정 각도로 회전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이하, 재활용 장치라 함)은 크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원료를 용융시키는 제1 용융부(1), 상기 제1 용융부(1)에서 1차 용융된 용융물을 전달받아 2차 용융시킨 후 가닥의 형태로 인발시키는 제2 용융부(2), 상기 제2 용융부(2)의 후단에 배치되어 제2 용융부(2)로부터 인발되는 용융물을 냉각해 경화시키는 냉각부(3), 상기 냉각부(3)의 후단에 배치되어 경화된 스틱을 전달받아 스틱에 잔류된 수분 을 증발시키는 증발부(4), 상기 증발부(4)의 후단에 배치되어 건조된 스틱을 전달받아 파쇄하여 입자화시키는 파쇄부(5) 및 상기 제2 용융부(2)에 안료를 첨가하여 용융물을 탈색 또는 변색하는 탈색부(6)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폐원료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len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아미드(PA, polyamide) 등의 가 역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원료일 수 있다.
먼저, 제1 용융부(1)는 폐원료를 전달받아 적절한 크기로 절단시킨 후 전단 물을 가열해 액화 상태의 용융물을 형성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용융부(1)로 투입되기 전 폐원료의 표면에 잔류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세척시키는 세척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용융부(1)는 폐원료가 투입되는 함체 형상의 제1 챔버(1a), 상기 제1 챔버(1a)의 내공간을 가열시키는 가열수단(미도시) 및 상기 제1 챔버(1a)에 내장되며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용융된 용융물을 후단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스크류(1b)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챔버(1a)의 선단에 마련된 호퍼로 폐원료를 투입하면, 호퍼 내부에 마련된 한 쌍의 파쇄롤러가 서로 내측을 향해 회전하면서 폐원료를 소정의 크기로 파쇄시킨다.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 폐원료는 제1 챔버(1a)의 내공간으로 낙하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제1 이송스크류(1b)를 타고 이송되면서 동시에 가열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열수단의 설치 위치는 제1 챔버(1a) 내공간의 온도를 가열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제1 챔버(1a) 내공간 적소에 배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제1 이송스크류(1b)에 내장되는 형태로 마 련될 수 있다.
제1 용융부(1)에서 1차 용융된 용융물은 제2 용융부(2)로 전달되어 위의 과 정을 재차 거치게 된다.
제2 용융부(2)는 전술한 제1 용융부(1)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 명은 생략하나, 제2 용융부(2)의 후단에는 인발 압출기(2a)가 설치되어, 용융물을 가닥의 형태로 압축해 냉각부(3)로 낙하시킨다. 상기 인발 압출기(2a)는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냉각부(3)에는 일정 량의 물이 저류되어 있으며, 제2 용융부(2)에서 가닥의 형태로 인발된 용융물이 물과 접촉되는 순간 급냉되어 고체형의 스틱으로 상변화된다.
다음으로, 탈색부(6)는 제2 용융부(2)에 설치되어 제2 용융부(2)에서 용융되어진 용융물 상에 무기안료를 적정 비율로 투입한다.
탈색부(6)는 저장된 무기안료를 제2 용융부(2)를 향해 일정 비율로 배출시킬 수 있는 선에서 공지된 구조를 따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제2 용융부(2) 내부에서는 용융물과 안료가 적절히 배합이 이루어진 후 안료의 색상 대로 스틱이 인발 사출되어질 수 있다.
증발부(4)는 냉각부(3)에서 물에 한 번 침지되었던 스틱을 전달받아 스틱에 잔류한 수분을 완전히 건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증발부(4)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스틱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0) 및 상기 컨베이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틱에 열풍을 분사하는 이동분사체(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증발부(4)는 컨베이어(10)에 의해 이동 중인 스틱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열풍을 가해 스틱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10)의 벨트는 하부에서 블로우되는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망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분사체(20)는 크게, 설치함(100), 제1 분사부(200), 제1 연결배관(300), 제1 압축기(400), 제1 가열기(500), 제2 분사부(600), 제2 연결배관(700), 제2 압축기(800) 및 제2 가열기(9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설치함(100)은 컨베이어(10)를 중앙에 두고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압축기(400)와 제2 압축기(800)를 지지한다.
한 쌍의 설치함(100) 각각은 이동지지대(3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특히, 이동지지대(30)의 하단에는 이동캐스터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이동분사체(20)를 컨베이어(10)의 길이방향(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설치가 가능해지는 구조가 갖춰진다.
또한, 한 쌍의 설치함(100) 사이에는 컨베이어(10)를 가로지르도록 스테빌라이저(SB)가 연결 설치되어 이동분사체(20)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해 구조 안정성을 보장한다.
다음으로, 제1 분사부(200)는 컨베이어(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압축기(400)와 제1 가열기(500)를 통해 생성된 열풍을 컨베이어(10)를 향해 하향 분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1 압축기(400)가 제1 연결배관(300)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면 이 압축공기는 제1 연결배관(300) 내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뒤 제1 분사부(200)를 통해 넓은 면적으로 분사되어 컨베이어(10)에 이동 중인 스틱에 가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분사부(200)는 하방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면이 단열재(211)로 커버되며 서로 마주보는 좌우 벽면으로 열풍을 받아들이는 제1 분사하우징(210), 상기 제1 분사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 분사하우징(210)의 좌우 벽면으로 유입된 열풍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한 쌍의 제1 유도판(220), 상기 제1 분사하우징(210)의 개방된 하방에 장착되며 열풍이 통과하는 복수의 제1 분사구(231)가 관통 형성되는 제1 확산판(230) 및 상기 한 쌍의 제1 유도판(220)과 제1 확산판(23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보조가열기(2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분사하우징(210)의 좌우 측면은 한 쌍의 제1 연결배관(300)과 각각 연결 설치되어 내부로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분사하우징(210) 내면에 마련된 단열재(211)는 제1 분사하우징(210) 내부로 전달된 열풍의 열손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제1 분사하우징(210) 내부에는 제1 유도판(220)과 제1 보조가열기(24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 유도판(220)은 제1 분사하우징(210)의 측면으로 유입된 열풍이 제1 확산판(230)을 향해 선회할 수 있도록 열풍을 하방으로 유도한다.
제1 유도판(220)은 열풍을 큰 저항 없이 유도하도록 호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1 분사하우징(210)의 좌우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중인 열풍이 서로 충돌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제1 유도판(220)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 열풍은 제1 분사하우징(210)에서 배출되기 전 제1 유도판(220)의 직하방에 놓인 제1 보조가열기(240)에 의해 한번 더 가열조건에 노출되어 가열되어진 뒤 제1 확산판(230)에 충돌하게 된다.
한편, 제1 보조가열기(240)는 제1 분사하우징(210)의 내부를 가열하고 있기 때문에, 밀폐 분위기의 제1 분사하우징(210)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이에, 제1 보조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열풍은 제1 보조하우징 내부에서 열교환을 통해 더욱 고온의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어질 수 있게 된다.
제1 보조가열기(240)는 열풍과의 접촉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코일 형태의 열선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1 확산판(230)에 충돌된 열풍은 제1 확산판(230)에 형성된 제1 분사구(2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컨베이어(10)에 이동 중인 스틱의 상면에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열풍은 제1 확산판(230)에 충돌하게 되어 토출 압력이 감압되어진 상태에서 제1 분사구(23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지기 때문에 컨베이어(10)에서 이동 중인 스틱을 요동시키지 아니하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통상, 스틱은 얇은 필라민트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작은 풍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요동치면서 컨베이어(10)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는바, 충분히 감압된 열풍을 스틱에 제공함으로써 컨베이어(10)에서의 스틱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열풍이 토출되기 전 제1 확산판(230)에서 넓게 확산작용이 일어나 외부로 토출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10)에 적치된 스틱의 보다 넓은 면적을 향해 열풍이 가해지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연결배관(300)은 상기 한 쌍의 설치함(100)과 제1 분사부(200)를 각각 연결하며, 압축공기(또는 열풍)이 이동되는 관로를 제공한다.
각각의 설치함(100)에 설치된 한 쌍의 제1 압축기(400)가 한 쌍의 제1 연결배관(300) 각각을 향해 압축공기를 제공하면 압축공기는 제1 연결배관(300)을 타고 제1 분사부(200)의 좌우 방향으로 제공되는 한편, 제1 연결배관(300)에는 제1 연결배관(300)을 통과하는 압축공기를 가열시키는 제1 가열기(500)가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가열시키게 된다.
이때, 제1 가열기(500)는 제1 연결배관(3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부착 설치되어 제1 연결배관(300)을 전체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는 선에서 공지된 전열장치, 예컨대, 탄소섬유 발열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분사부(600)는 컨베이어(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 압축기(800)와 제2 가열기(900)를 통해 생성된 열풍을 컨베이어(10)를 향해 상향 분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2 압축기(800)가 제2 연결배관(700)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면 이 압축공기는 제2 연결배관(700) 내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뒤 제2 분사부(600)를 통해 넓은 면적으로 분사되어 컨베이어(10)에 이동 중인 스틱에 가해질 수 있다.
제2 분사부(600)는 전술한 제1 분사부(200)와 그 구조가 동일하며, 다만, 열풍을 컨베이어(10)의 하방에서 제공해 스틱의 하면을 건조시키도록 한다는데 차이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분사부(600)는 상방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면이 단열재(611)로 커버되며 서로 마주보는 좌우 벽면으로 열풍을 받아들이는 제2 분사하우징(610), 상기 제2 분사하우징(6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2 분사하우징(610)의 좌우 벽면으로 유입된 열풍을 상방으로 유도하는 한 쌍의 제2 유도판(620), 상기 제2 분사하우징(610)의 개방된 상방에 장착되며 열풍이 통과하는 복수의 제2 분사구(631)가 관통 형성되는 제2 확산판(630) 및 상기 한 쌍의 제2 유도판(620)과 제2 확산판(630)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보조가열기(6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2 분사하우징(610)의 좌우 측면은 한 쌍의 제2 연결배관(700)과 각각 연결 설치되어 내부로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분사하우징(610) 내면에 마련된 단열재(611)는 제2 분사하우징(610) 내부로 전달된 열풍의 열손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제2 분사하우징(610) 내부에는 제2 유도판(620)과 제2 보조가열기(64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2 유도판(620)은 제2 분사하우징(610)의 측면으로 유입된 열풍이 제2 확산판(630)을 향해 선회할 수 있도록 열풍을 상방으로 유도한다.
제2 유도판(620)은 열풍을 큰 저항 없이 유도하도록 호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2 분사하우징(610)의 좌우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중인 열풍이 서로 충돌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제2 유도판(620)에 의해 상방으로 유도된 열풍은 제2 분사하우징(610)에서 배출되기 전 제2 유도판(620)의 직상방에 놓인 제2 보조가열기(640)에 의해 한번 더 가열조건에 노출되어 가열되어진 뒤 제2 확산판(630)에 충돌하게 된다.
제2 보조가열기(640)는 열풍과의 접촉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코일 형태의 열선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2 확산판(630)에 충돌된 열풍은 제2 확산판(630)에 형성된 제2 분사구(6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컨베이어(10)에 이동 중인 스틱의 하면에 가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연결배관(700)은 상기 한 쌍의 설치함(100)과 제2 분사부(600)를 각각 연결한다.
각각의 설치함(100)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압축기(800)가 한 쌍의 제2 연결배관(700) 각각을 향해 압축공기를 제공하면 압축공기는 제2 연결배관(700)을 타고 제2 분사부(600)의 좌우 방향으로 제공되는 한편, 제2 연결배관(700)에는 제2 연결배관(700)을 통과하는 압축공기를 가열시키는 제2 가열기(900)가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가열시키게 된다.
이때, 제2 가열기(900)는 제2 연결배관(7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부착 설치되어 제2 연결배관(700)을 전체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는 선에서 공지된 전열장치, 예컨대, 탄소섬유 발열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10)에 놓인 스틱의 직상방 또는 직하방에서 열풍을 가하게 되면, 열풍의 분사 면적이 제1 확산판(230)과 제2 확산판(630)의 면적으로 한정되는바 상대적으로 스틱과의 투영면적이 좁아지게 되어 컨베이어(10) 위를 넓게 배열되어 이동 중인 스틱을 커버하기 어려워 진다. 또한, 스틱의 직경, 길이 등에 따라 열풍의 분사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게 될 경우 건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분사부(200)와 제2 분사부(600)에서 분사되는 열풍의 방향을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의 연결배관을 일정 각도로 회전절곡하여 컨베이어(10)를 기준으로 제1 분사부(200)와 제2 분사부(600)를 일정 각도로 회전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제1 연결배관(300) 각각은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서, 상기 설치함(100)에 연결되는 제1 수직배관(310), 상기 제1 수직배관(3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로 제1 고정유로(321)가 형성되어 제1 수직배관(310)과 연통되며 일측으로 제1 고정실린더(322)가 돌출 형성되는 제1 고정블럭(320), 상기 제1 고정실린더(322)의 외측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로 제1 회전유로(331)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유로(321)와 연통되며 상부로 제1 회전실린더(332)가 돌출 형성되는 제1 회전블럭(330) 및 상기 제1 회전실린더(332)와 제1 분사하우징(210) 사이에 결합되되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배관(3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배관(310), 제1 고정블럭(320), 제1 회전블럭(330) 및 제1 절곡배관(340)은 내부가 서로 연통되어 열풍을 제1 분사부(2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수직배관(310)은 설치함(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1 압축기(400)와 직결된다.
제1 고정블럭(320)은 제1 수직배관(31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원통형의 제1 고정실린더(3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고정실린더(322)는 제1 회전블럭(330)의 개방된 제1 회전유로(331)의 입구(331a)를 향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제1 고정실린더(322)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오링(350)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오링(350) 사이에는 제1 고정실린더(3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밀폐홈(36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유로(321)의 입구(321a)는 제1 수직배관(310)과 결합되는 제1 고정블럭(320)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1 고정유로(321)의 출구(321b)는 상기 제1 밀폐홈(360)이 형성된 제1 고정실린더(322)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수직배관(310)을 통해 제1 고정유로(321)의 입구(321a)로 유입된 열풍은 제1 고정실린더(322)의 제1 밀폐홈(360) 외측으로 유출되어 제1 회전블럭(330)의 제1 회전유로(33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회전블럭(330)은 제1 고정블럭(320)의 제1 고정실린더(322)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이때, 제1 회전블럭(330)의 내부로 삽입 결합된 제1 고정실린더(322)는 제1 밀폐홈(360) 구성으로 인해 제1 고정유로(321)의 출구(321b)가 제1 회전블럭(330)의 내부에서 폐색되지 아니하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이에, 제1 회전블럭(33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더라도 제1 고정유로(321)의 출구(321b)가 항시 개방된 상태가 갖춰지게 되어 열풍이 제1 회전유로(331)로 유입될 수 있다.
특히, 제1 고정유로(321)의 출구(321b)로 유출된 열풍은 한 쌍의 제1 오링(350) 사이에서 밀폐되어 제1 회전유로(331)로 집중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제1 회전유로(331)로 유입된 열풍은 제1 회전유로(331)의 출구(331b)가 형성된 제1 회전실린더(332)를 통해 제1 절곡배관(3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제1 압축기(400)에서 제공된 압축공기는 제1 수직배관(310), 제1 고정유로(321), 제1 회전유로(331), 제1 절곡배관(340)을 연속적으로 통과해 열풍으로 가열된 뒤 제1 분사부(200)로 공급되는 한편 제1 회전블럭(330)을 일정 각도로 제자리 회전시키더라도 제1 고정유로(321)의 출구(321b)가 폐색되지 아니하는 구조로 인해, 열풍이 제1 분사부(200)를 향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블럭(33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특정 위치에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 제1 고정블럭(320)의 제1 회전블럭(330)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1 고정실린더(322) 주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고정홈(370)이 함몰 형성되며, 제1 회전블럭(330)의 상기 제1 고정홈(370)을 마주보는 면에는 제1 탄성스프링(38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1 고정볼(390)이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 고정홈(37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제1 고정볼(390)이 제1 고정홈(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는 특별한 외력을 가해지지 않는 이상 제1 회전블럭(330)이 회전되지 아니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1 회전블럭(330)을 임의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제1 고정볼(390)이 제1 고정홈(370)을 빠져 나와 인접한 제1 고정홈(370)에 단계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방식으로 제1 회전블럭(330)의 제자리 회전 및 고정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제1 회전블럭(33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 회전블럭(330) 상부로 연결 결합된 제1 분사부(20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열풍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한 쌍의 제2 연결배관(700)은 전술한 제1 연결배관(300)과 상하 대칭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1 연결배관(300)의 구조와 동일하며 단지 설치 위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 대략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예컨대, 한 쌍의 제2 연결배관(700) 각각은 설치함(100)에 연결되는 제2 수직배관(710), 상기 제2 수직배관(7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로 제2 고정유로(721)가 형성되어 제2 수직배관(710)과 연통되며 일측으로 제2 고정실린더(722)가 돌출 형성되는 제2 고정블럭(720), 상기 제2 고정실린더(722)의 외측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로 제2 회전유로(731)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유로(721)와 연통되며 하부로 제2 회전실린더(732)가 돌출 형성되는 제2 회전블럭(730) 및 상기 제2 회전실린더(732)와 제2 분사하우징(610) 사이에 결합되되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배관(7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배관(710), 제2 고정블럭(720), 제2 회전블럭(730) 및 제2 절곡배관(740)은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2 수직배관(710)은 설치함(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제2 압축기(800)와 직결된다.
제2 고정블럭(720)은 제2 수직배관(71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원통형의 제2 고정실린더(7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고정실린더(722)는 제2 회전블럭(730)의 개방된 제2 회전유로(731)의 입구(731a)를 향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제2 고정실린더(722)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오링(750)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오링(750) 사이에는 제2 고정실린더(7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밀폐홈(76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고정유로(721)의 입구(721a)는 제2 수직배관(710)과 결합되는 제2 고정블럭(720)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 고정유로(721)의 출구(721b)는 상기 제2 밀폐홈(760)이 형성된 제2 고정실린더(722)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블럭(730)은 제2 고정블럭(720)의 제2 고정실린더(722)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이때, 제2 회전블럭(730)의 내부로 삽입 결합된 제2 고정실린더(722)는 제2 밀폐홈(760) 구성으로 인해 제2 고정유로(721)의 출구(721b)가 제2 회전블럭(730)의 내부에서 폐색되지 아니하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제2 회전유로(731)로 유입된 열풍은 제2 회전유로(731)의 출구(731b)가 형성된 제2 회전실린더(732)를 통해 제2 절곡배관(7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제2 압축기(800)에서 제공된 압축공기는 제2 수직배관(710), 제2 고정유로(721), 제2 회전유로(731), 제2 절곡배관(740)을 연속적으로 통과해 열풍으로 가열된 뒤 제2 분사부(600)로 공급되는 한편 제2 회전블럭(730)을 일정 각도로 제자리 회전시키더라도 제2 고정유로(721)의 출구(721b)가 폐색되지 아니하는 구조로 인해, 열풍이 제2 분사부(600)를 향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제2 회전블럭(73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특정 위치에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 제2 고정블럭(720)의 제2 회전블럭(730)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2 고정실린더(722) 주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 고정홈(770)이 함몰 형성되며, 제2 회전블럭(730)의 상기 제2 고정홈(770)을 마주보는 면에는 제2 탄성스프링(78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2 고정볼(790)이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 고정홈(77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제2 고정볼(790)이 제2 고정홈(7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는 특별한 외력을 가해지지 않는 이상 제2 회전블럭(730)이 회전되지 아니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2 회전블럭(730)을 임의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제2 고정볼(790)이 제2 고정홈(770)을 빠져 나와 인접한 제2 고정홈(770)에 단계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방식으로 제2 회전블럭(730)의 제자리 회전 및 고정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제2 회전블럭(73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 회전블럭(730) 하부로 연결 결합된 제2 분사부(60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열풍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사부(200)와 제2 분사부(600)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도 회전시켜 배치시킬 수 있어 상황에 맞는 건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배관(310)과 제2 수직배관(710)의 컨베이어(10)를 향하는 방향에는 흡입팬(311,711)이 설치되어 스틱을 향해 분사되어진 열풍을 다시 제1 수직배관(310)과 제2 수직배관(710) 내부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에, 스틱을 향해 1회성으로 분사되어 소실되는 열풍을 스틱 주변에서 빠르게 흡입하여 다시 재가열해 순환시킴으로써 폐열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열효율이 대폭 향상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제1 용융부
2: 제2 용융부
3: 냉각부
4: 증발부
5: 파쇄부
6: 탈색부

Claims (5)

  1. 폐원료를 용융시키는 제1 용융부, 상기 제1 용융부에서 1차 용융된 용융물을 전달받아 2차 용융시킨 후 가닥의 형태로 인발시키는 제2 용융부, 상기 제2 용융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제2 용융부로부터 인발되는 용융물을 냉각해 경화시키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경화된 스틱을 전달받아 스틱에 잔류된 수분 을 증발시키는 증발부, 상기 증발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건조된 스틱을 전달받아 파쇄하여 입자화시키는 파쇄부 및 상기 제2 용융부에 안료를 첨가하여 탈색하는 탈색부를 포함하는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는,
    스틱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틱에 열풍을 분사하는 이동분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분사체는,
    상기 컨베이어를 중앙에 두고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설치함;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분사부;
    상기 한 쌍의 설치함과 제1 분사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연결배관;
    상기 한 쌍의 설치함에 각각 설치되며, 제1 연결배관을 향해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압축기;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배관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연결배관을 통과하는 압축공기를 가열시키는 한 쌍의 제1 가열기;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분사부;
    상기 한 쌍의 설치함과 제2 분사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연결배관;
    상기 한 쌍의 설치함에 각각 설치되며, 제2 연결배관을 향해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한 쌍의 제2 압축기; 및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배관에 각각 설치되어 제2 연결배관을 통과하는 압축공기를 가열시키는 한 쌍의 제2 가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사부는,
    하방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면이 단열재로 커버되며 서로 마주보는 좌우 벽면으로 열풍을 받아들이는 제1 분사하우징;
    상기 제1 분사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 분사하우징의 좌우 벽면으로 유입된 열풍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한 쌍의 제1 유도판;
    상기 제1 분사하우징의 개방된 하방에 장착되며 열풍이 통과하는 복수의 제1 분사구가 관통 형성되는 제1 확산판; 및
    상기 한 쌍의 제1 유도판과 제1 확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보조가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분사부는,
    상방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면이 단열재로 커버되며 서로 마주보는 좌우 벽면으로 열풍을 받아들이는 제2 분사하우징;
    상기 제2 분사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2 분사하우징의 좌우 벽면으로 유입된 열풍을 상방으로 유도하는 한 쌍의 제2 유도판;
    상기 제2 분사하우징의 개방된 상방에 장착되며 열풍이 통과하는 복수의 제2 분사구가 관통 형성되는 제2 확산판; 및
    상기 한 쌍의 제2 유도판과 제2 확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보조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배관 각각은,
    상기 설치함에 연결되는 제1 수직배관;
    상기 제1 수직배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로 제1 고정유로가 형성되어 제1 수직배관과 연통되며 일측으로 제1 고정실린더가 돌출 형성되는 제1 고정블럭;
    상기 제1 고정실린더의 외측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로 제1 회전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유로와 연통되며 상부로 제1 회전실린더가 돌출 형성되는 제1 회전블럭; 및
    상기 제1 회전실린더와 제1 분사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되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배관 각각은,
    상기 설치함에 연결되는 제2 수직배관;
    상기 제2 수직배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로 제2 고정유로가 형성되어 제2 수직배관과 연통되며 일측으로 제2 고정실린더가 돌출 형성되는 제2 고정블럭;
    상기 제2 고정실린더의 외측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로 제2 회전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유로와 연통되며 하부로 제2 회전실린더가 돌출 형성되는 제2 회전블럭; 및
    상기 제2 회전실린더와 제2 분사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되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오링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오링 사이에는 제1 고정실린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밀폐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유로의 입구는 제1 수직배관과 결합되는 제1 고정블럭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1 고정유로의 출구는 상기 제1 밀폐홈이 형성된 제1 고정실린더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오링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오링 사이에는 제2 고정실린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밀폐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유로의 입구는 제2 수직배관과 결합되는 제2 고정블럭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 고정유로의 출구는 상기 제2 밀폐홈이 형성된 제2 고정실린더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블럭의 제1 회전블럭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1 고정실린더 주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상기 제1 고정홈을 마주보는 면에는 제1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1 고정볼이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며,
    상기 제2 고정블럭의 제2 회전블럭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2 고정실린더 주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블럭의 상기 제2 고정홈을 마주보는 면에는 제2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2 고정볼이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설치함 사이에는 컨베이어를 가로지르도록 스테빌라이저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KR1020210125505A 2021-09-23 2021-09-23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KR102376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505A KR102376586B1 (ko) 2021-09-23 2021-09-23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505A KR102376586B1 (ko) 2021-09-23 2021-09-23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586B1 true KR102376586B1 (ko) 2022-03-21

Family

ID=8093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505A KR102376586B1 (ko) 2021-09-23 2021-09-23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5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061B1 (en) * 2002-05-03 2003-09-29 Nokwon C & I Co Ltd Conveyor-type drying system having air injection device
KR20050081193A (ko) * 2005-07-26 2005-08-18 민병창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필렛 및 그의제조방법
KR102048699B1 (ko) 2019-09-02 2019-11-26 황대현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KR102182728B1 (ko) * 2020-06-02 2020-11-24 주식회사 덕창산업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KR102283142B1 (ko) * 2020-02-12 2021-07-29 (주)진만케미칼 합성수지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061B1 (en) * 2002-05-03 2003-09-29 Nokwon C & I Co Ltd Conveyor-type drying system having air injection device
KR20050081193A (ko) * 2005-07-26 2005-08-18 민병창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필렛 및 그의제조방법
KR102048699B1 (ko) 2019-09-02 2019-11-26 황대현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KR102283142B1 (ko) * 2020-02-12 2021-07-29 (주)진만케미칼 합성수지 가공장치
KR102182728B1 (ko) * 2020-06-02 2020-11-24 주식회사 덕창산업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MI20012706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granuli di polimeri termoplastici espandibili ed apparecchiatura adatta allo scopo
KR102048699B1 (ko)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JP2017523934A (ja) 粒体及び/又は液体を供給される3dプリンタヘッドのための粒体/液体流量調節装置
KR102376586B1 (ko) 재생원료의 탈색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PT2176046E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o processamento de material sintético
KR102132782B1 (ko) 용융재 처리 플랜트
CN109333862A (zh) 一种防堵塞的塑料造粒机出料装置
CA2069339A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Granulating Molten Strands
US20090053348A1 (en) Injection Apparatus
KR20190143532A (ko) Pvc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3d 프린터용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2332507B1 (ko) 재생플라스틱 펠릿 제조장치
KR102351836B1 (ko) 바닥재용 고무칩 제조 장치
KR102182728B1 (ko)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CN111688055B (zh) 用于回收聚烯烃的方法
KR102341192B1 (ko) 수중 펠리타이저용 커팅 챔버 하우징
US20150299439A1 (en) Polymer composition from mixed plastic waste
CN206094837U (zh) 一种色母粒干燥装置
ITMI962043A1 (it) Impianto per la granulazione di filamenti plastici avente un modulo di drenaggio/essiccazione
WO1994025708A1 (en) Continuous feed, low pressure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moplastic posts
US200902950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lastic products
KR101064892B1 (ko) 플라스틱 압출기
US20160279829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granulating molten material
KR200490503Y1 (ko) 소형화 가능한 폐합성수지 융해장치
KR101341125B1 (ko) 합성수지 제품의 미끄럼방지 처리장치 및 방법
US7648358B1 (en) Plastic pellet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