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578B1 -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 Google Patents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578B1
KR102282578B1 KR1020200126335A KR20200126335A KR102282578B1 KR 102282578 B1 KR102282578 B1 KR 102282578B1 KR 1020200126335 A KR1020200126335 A KR 1020200126335A KR 20200126335 A KR20200126335 A KR 20200126335A KR 102282578 B1 KR102282578 B1 KR 102282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tor
plate
implementing
oper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숙희
조상호
조단비
Original Assignee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 모형에 구비된 안장부의 유동 범위를 넓혀, 등고 운동 및 점프동작을 구현함으로서 승마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과 결합되도록 평편한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부 전후방에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가 형성되는 돌출 프레임, 상기 돌출 프레임의 둘레에 형성되는 외측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회전판, 하단부가 상기 제1 회전판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를 통해 편심되게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제1 개방부에 유동이 가능하게 관통 형성되는 제1 작동축, 상기 제1 개방부의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작동축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제1 모터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회전판, 하단부가 상기 제2 회전판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를 통해 편심되게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제2 개방부에 유동이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제2 작동축, 상기 제2 개방부의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작동축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제2 모터와;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연결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함몰부의 상부에는 하부 양측이 상기 제1 작동축 및 제2 작동축의 상부와 제1 연결 힌지축부 및 제2 연결 힌지축부로 연결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며, 머리부가 일 측 상부에 형성되는 말 모형과; 상기 연결수단의 연결판 상부에 형성되어, 수직대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대에 관통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종방향 회전축을 가지며 점프동작을 구현하는 제3 모터와; 상기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와 연결되고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 모터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Horse riding exercise machine capable of implementing jump motion}
본 발명은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말 모형에 유동 범위를 넓혀 승마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horse riding)는 말과 사람이 일체가 되어야 하는 운동으로서 정신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신체를 바르게 교정시키며, 장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폐활량을 늘리며, 관절염과 빈혈 및 변비를 예방하고, 허리를 유연하게 해주며, 신체의 리듬감을 기르며, 골반으로 튼튼하게 해주는 운동이다.
그리고 승마는 살아있는 말을 직접타고 운동하면 운동 효과가 뛰어나나 말을 직접타고 운동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는 적은 비용으로 승마 운동을 할 수 있는 승마 운동기가 알려져 있다.
이에, 종래의 승마 운동기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82413호의 "무전원 승마 운동기"(이하, "종래의 승마 운동기"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승마 운동기는 사용자가 자기의 힘으로 자기 신체리듬에 맞추고, 허리와 목 관절에도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승마 운동기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안장의 움직임의 범위가 작아 승마 운동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82413호 "무전원 승마 운동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85167호 "스크린 승마운동기구”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말 모형에 구비된 안장부의 유동 범위를 넓혀 승마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말 모형을 승강시켜 안장부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말 모형의 점프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특징은 말 모형에 구비된 안장부의 유동 범위를 넓혀, 등고 운동 및 점프동작을 구현함으로서 승마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과 결합되도록 평편한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부 전후방에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가 형성되는 돌출 프레임, 상기 돌출 프레임의 둘레에 형성되는 외측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회전판, 하단부가 상기 제1 회전판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를 통해 편심되게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제1 개방부에 유동이 가능하게 관통 형성되는 제1 작동축, 상기 제1 개방부의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작동축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제1 모터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회전판, 하단부가 상기 제2 회전판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를 통해 편심되게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제2 개방부에 유동이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제2 작동축, 상기 제2 개방부의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작동축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제2 모터와;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연결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함몰부의 상부에는 하부 양측이 상기 제1 작동축 및 제2 작동축의 상부와 제1 연결 힌지축부 및 제2 연결 힌지축부로 연결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며, 머리부가 일 측 상부에 형성되는 말 모형과; 상기 연결수단의 연결판 상부에 형성되어, 수직대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대에 관통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종방향 회전축을 가지며 점프동작을 구현하는 제3 모터와; 상기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와 연결되고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 모터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3 모터는, 일단부가 상기 제3 모터의 종방향 회전축에 연동 회전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 돌출대의 하부와 연결 힌지축부로 연결되는 제1 회전링크와, 상기 연결판의 상부 타 측과 상기 상부 고정부재의 하부 타 측 사이에 양단부가 연결 힌지축부(9.51)로 결합되는 제2 회전링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말 모형에 구비된 안장부의 유동 범위를 넓혀 승마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 효과가 우수한 승마 운동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말 모형을 승강시켜 안장부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등고 운동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말 모형의 점프 동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말이 점핑하는 것과 같은 점프 운동도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도 1의 A-A선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도 1의 B-B선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도 2의 C-C선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도 4의 D부 확대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등고 운동을 할 때, 각 모터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점프동작을 할 때, 각 모터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등고 운동을 하기 전의 말 모형이 수평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등고 운동을 할(언덕을 내려갈) 때, 말 모형의 머리부가 하강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등고 운동을 할(언덕을 올라갈) 때, 말 모형의 머리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e)는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점프 운동을 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도 1의 A-A선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도 1의 B-B선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도 2의 C-C선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도 4의 D부 확대도이고,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등고 운동을 할 때, 각 모터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점프동작을 할 때, 각 모터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등고 운동을 할(언덕을 내려갈) 때, 말 모형의 머리부가 하강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c)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등고 운동을 할(언덕을 올라갈) 때, 말 모형의 머리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e)는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점프 운동을 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는 말 모형(8)에 구비된 안장부의 유동 범위를 넓혀, 등고 운동 및 점프동작을 구현함으로서 충분한 승마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본체(1), 제1 모터(10), 제2 모터(20), 제3 모터(30), 말 모형(8) 및 조작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본체(1)는, 바닥과 결합되도록 평편한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베이스판(1.1), 상기 베이스판(1.1) 상부의 전, 후방에 제1 개방부(1.21) 및 제2 개방부(1.22)가 형성되는 돌출 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는, 돌출 프레임(1.2)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도록 돌출 프레임(1.2)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된 외측 케이스(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 케이스(1.3) 전, 후방에는, 사용자가 후술할 말 모형(8)에 용이하게 기승할 수 있도록 기승 발판(1.31)이 단차지게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개방부(1.21)는, 제1 작동축(12)의 상부가 승강과 각도 변경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긴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개방부(1.22)는, 제2 작동축(22)의 상부가 승강과 각도 변경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관통 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긴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제1 모터(10)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회전판(11)과, 하단부가 상기 제1 회전판(11)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H)를 통해 편심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제1 개방부(1.21)에 유동이 가능하게 관통 형성되는 제1 작동축(12)과, 상기 제1 개방부(1.2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작동축(12)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작동축(12)은, 하단부가 상기 제1 회전판(11)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H)를 통해 편심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돌출 프레임(1.2)에 형성된 제1 개방부(1.21)에 유동이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작동축(12)은 하단부에 구비된 하부 힌지축부(H)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되고 제1 회전판(11)의 회전을 통해 말 모형의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14)은, 상기 제1 작동축(12)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14)은, 제1 작동축(12)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 프레임(1.2)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개방부(1.21)인 긴 홀의 하부 양측에 브래킷에 의해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축(141)과, 상기 수평축(141)에 관통되어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대(142)와, 상기 이동대(142)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브래킷(143)과, 상기 베어링 브래킷(143)에 구비된 회전축(145)이 관통 조립되어 상기 회전축(145)을 중심으로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 작동축(12)의 상부가 승강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는 축 관통부재(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제2 모터(20)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회전판(21)과, 하단부가 상기 제2 회전판(21)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H)를 통해 편심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제2 개방부(1.22)에 유동이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제2 작동축(22)과, 상기 제2 개방부(1.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작동축(22)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작동축(22)은, 하단부가 상기 제2 회전판(21)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H)를 통해 편심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돌출 프레임(1.2)에 형성된 제2 개방부(1.22)에 유동이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 작동축(22)은 하단부에 구비된 하부 힌지축부(H)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되고 제2 회전판(21)의 회전을 통해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24)은, 제2 작동축(22)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24)은, 돌출 프레임(1.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작동축(12)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 프레임(1.2)의 제2 개방부(1.22)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브래킷(241)과, 상기 베어링 브래킷(241)에 구비되는 회전축(243)이 관통 조립되어 상기 회전축(243)을 중심으로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2 작동축(12)의 상부가 승강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는 축 관통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말 모형(8)은, 내부에 하부가 개방된 연결 함몰부(G)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함몰부(G)의 상부에는 하부 양측이 상기 제1 작동축(12) 및 제2 작동축(22)의 상부와 제1 연결 힌지축부(13) 및 제2 연결 힌지축부(23)로 연결되는 연결수단(9)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말 모형(8)은, 말 형상의 전방으로 두 개의 앞다리부(8.1)가 형성되고, 상부에 머리부(8.2)가 형성되며, 말 형상의 후방으로 두 개의 뒷다리부(8.3)가 형성되고, 상부의 중앙부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부(8.4)가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수단(9)은, 제1 작동축(12) 및 제2 작동축(22)의 상부가 승강되면서 각도가 변경될 때, 말 모형(8)도 연동되게 각도가 변경되고 승강될 수 있도록 하부 양 측에 상기 제1 작동축(12) 및 제2 작동축(22)이 연결되는 제1 연결 힌지축부(13) 및 제2 연결 힌지축부(23)가 구비되고, 상부 일 측에는 수직대(9.11)가 구비되는 판 형상의 연결판(9.1)과, 상기 수직대(9.11)의 후방에 구비되고 수직대(9.11)에 관통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종방향 회전축(33)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제3 모터(30)는, 상기 연결수단(9)의 연결판(9.1) 상부에 형성되어, 수직대(9.11)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대(9.11)에 관통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종방향 회전축(33)과, 상기 연결 함몰부(G)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부의 일측에는 하부 돌출대(9.31)가 구비되는 상부 고정부재(9.3)와, 일단부가 상기 종방향 회전축(33)에 연동 회전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 돌출대(9.31)의 하부와 연결 힌지축부(311)로 연결되는 제1 회전링크(31)와, 상기 연결판(9.1)의 상부 타 측과 상기 상부 고정부재(9.3)의 하부 타 측 사이에 일, 타단부가 연결 힌지축부(211)로 연결되는 제2 회전링크(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상기 조작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모터(10), 제2 모터(20) 및 제3 모터(3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들(10, 20, 30)을 조작 제어하는 것으로, 조작 제어박스 또는 리모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는 사용자가 말 모형(8)에 기승한 상태에서 말 모형(8)을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등고 운동(a) 및 점프 동작(b)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말 모형(8)에 사용자가 기승한 상태에서 등고 운동을 할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사용자나 승마 운동기의 주위의 조종자가 조작 제어부를 조작 제어하여 제1, 2 모터(10, 20)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3 모터(30)를 정지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2 모터(10, 20)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1, 2 회전판(11, 21)이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 회전판(11)의 둘레에 편심되게 하부 힌지축부(H)로 연결된 제1 작동축(12)의 하부가 각도가 변경되면서 승강을 반복하고, 이와 동시에 제2 회전판(21)의 둘레에 편심되게 하부 힌지축부(H)로 연결된 제2 작동축(22)의 하부가 각도가 변경되면서 승강을 반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2 회전판(11, 21)의 각 하부 힌지축부(H)는 원점(상사점)에서 회전을 시작하여 등고 운동을 시작하기 위한 영점(하사점)에 도착하여, 등고 운동 명령에 따른 회전각도 만큼 정역회전을 반복 수행한다.
이로 인하여 제1, 2 작동축(2)(3)의 상부도 각도가 변경되면서 승강을 반복하고, 제1,2 작동축(12,22)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수단(9)이 승강을 반복하여 상부의 말 모형(8)의 안장부(84)가 승강을 반복함으로써 등고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a, b, c)을 참조하여 등고 운동 과정을 설명하면, 말 모형(8)의 승강 시 말 모양의 승강 각도를 원하는 승강 각도로 조정할 경우에는, 제1 모터(10)의 회전축과 제2 모터(20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달리하면서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말 모형(8)의 승강 각도를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2 모터(10, 20)의 정방향의 회전을 통해 말 모형(8)을 승강시킴으로써 말 모형(8)의 안장부(8.4)가 승강되는 등고 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의 말 모형(8)에 사용자가 기승한 상태에서 점프 동작을 할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사용자나 승마 운동기의 주위의 조종자가 조작 제어부의 조작 제어를 통해, 제1, 2 모터(10, 20)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2 작동축(12, 22)의 상부가 승강을 반복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 모터(10, 20)를 조작 제어함과 동시에 제3 모터(30)를 조작 제어하여, 상기 제1, 2 작동축(12, 22)의 상부가 반복적으로 상승되는 순간에는 제3 모터(30)의 종방향 회전축(33)을 제1 회전링크(31)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회전링크(31)의 회전 단부에 구비된 연결 힌지축부(311)를 상승시킴으로써 제1 회전링크(31)에 연결된 상부 고정부재(9.3)의 일 측이 상부 고정부재(9.3)의 타 측 하부에 위치된 제2 회전링크(32)의 상부를 중심으로 상승되게 하여 말 모형(8)의 머리부(8.2)를 상승시켜 상승 점프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2 모터(10, 20)를 조작 제어함과 동시에 제3 모터(30)를 조작 제어하여, 상기 제1, 2 작동축(12, 22)의 상부가 반복적으로 하강되는 순간에는 제3 모터(30)의 종방향 회전축(33)을 제1 회전링크(31)가 하강되는 방향 회전시켜 제1 회전링크(31)의 회전 단부에 구비된 연결 힌지축부(311)를 하강시킴으로써 제1 회전링크(31)에 연결된 상부 고정부재(9.3)의 일 측이 상부 고정부재(9.3)의 타 측 하부에 위치된 제2 회전링크(32)의 상부를 중심으로 하강되게 하여 말 모형(8)의 머리부(8.2)를 하강시켜 하강 점프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되게 한다.
도 8(a, b, c, d, e)을 참조하여 점프 운동을 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말 모형(8)의 승강 시 말 모양의 승강 각도를 원하는 승강 각도로 조정할 경우에는, 제1 모터(10)의 회전축과 제2 모터(20)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달리하면서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말 모형(8)의 승강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점프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말 모형(8)의 승강 시 말 모양의 승강 각도를 원하는 승강 각도로 조정할 경우에는, 제1 모터(10)의 회전축과 제2 모터(20의 회전축 및 제3 모터(30)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달리하면서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말 모형(8)의 승강 각도를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2 모터(10, 20)가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2 작동축(12, 22)의 상부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연결수단(9)에 구비된 제3 모터(30)를 작동시켜 제1 회전링크(31)의 상부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함으로써, 말 모형(8)의 머리부(8.2)가 높이 상승되었다가 하강되는 점프 운동도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등고 운동 및 점프 운동 시 말 모형에 구비된 안장부의 유동 범위를 넓힘으로써 승마 운동의 효과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본체
1.1 : 베이스판
1.2 : 돌출 프레임
1.21 : 제1 개방부
1.22 : 제2 개방부
1.3 : 외측 케이스
1.31 : 기승 발판
8 : 말 모형
8.1 : 앞다리부
8.2 : 머리부
8.3 : 뒷다리부
8.4 : 안장부
9 : 연결수단
9.1 : 연결판
9.11 : 수직대
9.3 : 상부 고정부재
9.31 : 하부 돌출대
10 : 제1 모터
11 : 제1 회전판
12 : 제1 작동축
13 : 제1 연결 힌지축부
14 : 제1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
141 : 수평축
142 : 이동대
143 : 베어링 브래킷
144 : 축 관통부재
145 : 회전축
20 : 제2 모터
21 : 제2 회전판
22 : 제2 작동축
23 : 제2 연결 힌지축부
24 : 제2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
241 : 베어링 브래킷
242 : 축 관통부재
243 : 회전축
30 : 제3 모터
31 : 제1 회전링크
311 : 연결 힌지축부
32 : 제2 회전링크
321 : 연결 힌지축부
33 : 종방향 회전축
G : 연결 함몰부
H : 하부 힌지축부

Claims (2)

  1. 말 모형에 구비된 안장부의 유동 범위를 넓히고, 승강시켜 등고 운동 및 점프동작을 구현함으로서 승마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본체(1), 제1 모터(10), 제2 모터(20), 제3 모터(30), 말 모형(8) 및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는, 바닥과 결합되도록 평편한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 상부 전후방에 제1 개방부(1.21) 및 제2 개방부(1.22)가 형성되는 돌출 프레임(1.2)과, 상기 돌출 프레임(1.2)의 둘레에 형성되는 외측 케이스(1.3)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모터(10)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회전판(11)과, 하단부가 상기 제1 회전판(11)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H)를 통해 편심되게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제1 개방부(1.21)에 유동이 가능하게 관통 형성되는 제1 작동축(12)과, 상기 제1 개방부(1.21)의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작동축(12)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모터(20)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회전판(21)과, 하단부가 상기 제2 회전판(21)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H)를 통해 편심되게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제2 개방부(1.22)에 유동이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제2 작동축(22)과, 상기 제2 개방부(1.22)의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작동축(22)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말 모형(8)은,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연결 함몰부(G)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함몰부(G)의 상부에는 하부 양측이 상기 제1 작동축(12) 및 제2 작동축(22)의 상부와 제1 연결 힌지축부(13) 및 제2 연결 힌지축부(23)로 연결되는 연결수단(9)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 모터(30)는, 점프동작을 구현하도록 상기 연결수단(9)의 연결판(9.1) 상부에 형성되어, 수직대(9.11)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대(9.11)에 관통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종방향 회전축(33)과, 일단부가 상기 종방향 회전축(33)에 연동 회전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하부 돌출대(9.31)의 하부와 연결 힌지축부(311)로 연결되는 제1 회전링크(31)와, 상기 연결판(9.1)의 상부 타 측과 상부 고정부재(9.3)의 하부 타 측 사이에 양단부가 연결 힌지축부(9.51)로 결합되는 제2 회전링크(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10), 제2 모터(20) 및 제3 모터(30)와 연결되고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 모터를 조작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개방부(1.21) 및 제2 개방부(1.22)에는, 상기 제1 작동축(12)과 제2 작동축(22)의 상부가 승강과 각도 변경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긴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작동축(12)은, 상기 하부 힌지축부(H)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어 제1 회전판(11)의 회전을 통해 말 모형을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14)은, 상기 돌출 프레임(1.2)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개방부(1.21)인 긴 홀의 하부 양측에 브래킷에 의해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축(141)과, 상기 수평축(141)에 관통되어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대(142)와, 상기 이동대(142)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브래킷(143)과, 상기 베어링 브래킷(143)에 구비된 회전축(145)이 관통 조립되어 상기 회전축(145)을 중심으로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 작동축(12)의 상부가 승강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는 축 관통부재(144)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작동축(22)은, 상기 하부 힌지축부(H)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되고 제2 회전판(21)의 회전을 통해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작동축 유동 고정수단(24)은, 상기 돌출 프레임(1.2)의 제2 개방부(1.22)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브래킷(241)과, 상기 베어링 브래킷(241)에 구비되는 회전축(243)이 관통 조립되어 상기 회전축(243)을 중심으로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2 작동축(22)의 상부가 승강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는 축 관통부재(242)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수단(9)은, 상기 제1 작동축(12) 및 제2 작동축(22)의 상부가 승강되면서 각도가 변경될 때, 상기 말 모형(8)도 연동되게 각도가 변경되고 승강될 수 있도록 하부 양 측에 상기 제1 작동축(12) 및 제2 작동축(22)이 연결되는 제1 연결 힌지축부(13) 및 제2 연결 힌지축부(23)가 구비되고, 상부 일 측에는 수직대(9.11)가 구비되는 판 형상의 연결판(9.1)과, 상기 수직대(9.11)의 후방에 구비되고 수직대(9.11)에 관통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종방향 회전축(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2. 삭제
KR1020200126335A 2020-09-28 2020-09-28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KR102282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335A KR102282578B1 (ko) 2020-09-28 2020-09-28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335A KR102282578B1 (ko) 2020-09-28 2020-09-28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578B1 true KR102282578B1 (ko) 2021-07-28

Family

ID=7712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335A KR102282578B1 (ko) 2020-09-28 2020-09-28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57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167B1 (ko) 2002-07-25 2005-04-22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2413B1 (ko) 2013-05-20 2014-04-17 임용택 무전원승마운동기
KR20140143903A (ko) * 2013-06-10 2014-12-18 박중언 승마 운동 기구
US20160030827A1 (en) * 2013-03-15 2016-02-04 William Ronald Greenwood Horse riding training aid
KR20160085018A (ko) * 2015-01-07 2016-07-15 박중언 승마 운동 기구
KR101868874B1 (ko) * 2017-12-06 2018-06-19 피제이비 주식회사 승마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167B1 (ko) 2002-07-25 2005-04-22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030827A1 (en) * 2013-03-15 2016-02-04 William Ronald Greenwood Horse riding training aid
KR101382413B1 (ko) 2013-05-20 2014-04-17 임용택 무전원승마운동기
KR20140143903A (ko) * 2013-06-10 2014-12-18 박중언 승마 운동 기구
KR20160085018A (ko) * 2015-01-07 2016-07-15 박중언 승마 운동 기구
KR101868874B1 (ko) * 2017-12-06 2018-06-19 피제이비 주식회사 승마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7530B2 (ja) 乗馬用運動器具
KR20040067809A (ko) 밸런스 훈련장치
KR102282578B1 (ko)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JP5028348B2 (ja) 揺動型運動装置
US20060009334A1 (en) Rowing device with a lifting device
JP2006122596A (ja) 揺動型運動装置
KR100193217B1 (ko) 자동 운동 기구
JP2007167289A (ja) 揺動型運動装置
KR102125146B1 (ko) 접이식 휴대형 좌식 스텝퍼
CN111388938A (zh) 一种智能跳绳训练机及方法
KR102291708B1 (ko) 승마 운동기
WO2008018223A1 (fr) Dispositif pour exercices de flexion et d'étirement
JP3039967U (ja) 健康回復機
KR102259165B1 (ko) 승마 운동기 및 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
KR10146320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CN107469286A (zh) 一种压腿器
CN217408316U (zh) 一种可自动活动的床装置
KR200354045Y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2340918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체 승하강 어셈블리
CN214910010U (zh) 一种康复医疗肩周训练椅
CN214597183U (zh) 一种三维动画摇摆机
CN208176825U (zh) 一种前驱椭圆机的电动扬升装置
KR101427046B1 (ko) 승마 운동 기구
JP3119813U (ja) 揺れる揺りかご
CN2560388Y (zh) 具有改良掀转结构的电动跑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