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874B1 - 승마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승마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874B1
KR101868874B1 KR1020170166657A KR20170166657A KR101868874B1 KR 101868874 B1 KR101868874 B1 KR 101868874B1 KR 1020170166657 A KR1020170166657 A KR 1020170166657A KR 20170166657 A KR20170166657 A KR 20170166657A KR 101868874 B1 KR101868874 B1 KR 101868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shaft
driving
mode
motion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철
Original Assignee
피제이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제이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제이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6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874B1/ko
Priority to PCT/KR2018/015162 priority patent/WO20191122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운동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용자가 탈 수 있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가 타원운동을 하면서, 피칭운동 및 롤링운동 중에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도록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가동축, 상기 가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마동작구동부,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마운동기구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본 발명은 승마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라 함은 살아 움직이는 말과 함께하는 운동으로서, 말의 움직임에 적응하여 신체적 적응 능력 및 균형 감각을 발달시키고, 신체의 유연성을 길러서 올바른 신체 발달을 돕도록 하는 전신운동이다. 또한, 승마는 신체를 바르게 교정해주고, 허리를 유연하게 하며, 신체의 리듬감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 집중력을 기르고, 폐활량을 늘리며, 담력을 길러주고, 전신운동으로 인한 소화기 계통의 건강에도 도움을 주며, 여성들의 경우, 몸매 관리와 함께 골반이 튼튼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승마는 상술한 것과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승마를 위한 장소까지 이동하는데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낙마시 부상의 위험이 상존하여 운동으로 즐기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승마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단점을 보완하여, 실제 말을 타지 않은 상태에서도 그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승마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승마운동기구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7869호의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연결축과,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유동부와, 유동부에 씌워진 모형말을 포함하는 승마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2개의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구비된 2개의 출력단에 연결된 캠과, 상기 캠과 연결된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간격을 두고 구비된 종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를 연결하는 쇽업저버와, 상기 종동링크를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틀체를 이루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승마운동기구는 제자리에서 움직이는 것에 불과하여 이용자에게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달리 현실감을 제공하지 못하여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용자가 승마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운동모드에 따라 움직임을 달리 하여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실제 승마를 하는 것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승마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용자가 탈 수 있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가 타원운동을 하면서, 피칭운동 및 롤링운동 중에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도록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가동축, 상기 가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마동작구동부 및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장부는 타원운동을 하면서 피칭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둘 이상의 가동축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가동축은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둘 이상의 가동축은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가동축과 제2 가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동축과 제2 가동축은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상기 안장부의 세로방향의 중앙선을 따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가동축은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상기 안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동축은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장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동축은 일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동축은 일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상기 제1 가동축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제2 가동축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동축은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1 가동축과, 상기 제1-1 가동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의 회전력을 상하 수직 방향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1-2 가동축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가동축은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타단이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동축이 상하운동을 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가동축이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을 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동축이 관통하는 제1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가동축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 가동축이 관통하는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가동축에 양단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마동작구동부는 상기 제1 가동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가동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동축은 타단부가 상기 제1 구동부와 연결된 제1 회전플레이트의 제1 연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가동축은 타단부가 상기 제2 구동부와 연결된 제2 회전플레이트의 제2 연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선택된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의 제1 연결부와 제2 회전플레이트의 제2 연결부의 회전위상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동모드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비해 회전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위상만큼 뒤쳐져서 회전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동일 위상에서 회전하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비해 회전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위상만큼 앞서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동모드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 운동을 반복하는 반복운동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반복운동모드에서 상기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해진 회전각도 범위에서 반복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에 의하면 이용자가 승마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운동모드에 따라 움직임을 달리 하여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실제 승마를 하는 것과 동일하게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승마운동기구의 안장부, 가동축 및 승마동작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안장부의 롤링운동 및 피칭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운동모드에 따른 안장부, 가동축의 운동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체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1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는 바닥에 설치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용자가 탈 수 있는 안장부(200), 상기 안장부(200)가 타원운동을 하면서, 피칭운동(pitching movement) 및 롤링운동(rolling movement) 중에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도록 상기 안장부(200)의 하부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가동축(300, 400), 상기 가동축(300, 40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마동작구동부(500) 및 상기 승마동작구동부(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조작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가 설치되어 이용자가 운동을 하고자 하는 위치의 바닥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0)는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100)는 상기 바닥에 설치되되 이동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에서 후술하는 주요 구성요소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기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10)와 상기 베이스부(110)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중앙기둥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후술하는 승마동작구동부(500)와 같은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기둥부(120)는 상기 베이스부(110)에서 상부를 향해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기둥부(120)의 내측에는 전술한 가동축(300, 400)이 수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중앙기둥부(120)의 단부에는 상기 안장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부(110)와 상기 중앙기둥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후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중앙기둥부(120)가 상기 베이스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10)와 중앙기둥부(120)는 이용자가 상기 안장부(200)에 탑승하는 경우에 상기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부(110)와 중앙기둥부(120)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안장부(200)는 이용자가 탈 수 있는 탑승부(210)와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를 조작할 수 있는 구동조작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탑승부(2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탑승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죽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용자로 하여금 실제 말을 탑승하는 느낌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탑승부(210)는 이용자가 타는 경우에 이용자의 엉덩이 부분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조작부(230)는 상기 안장부(200)의 앞쪽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탑승부(210)에 탑승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조작부(230)를 조작하여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의 운동을 조작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조작부(230)는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의 구동 시작을 조작하는 스타트(start) 버튼(232)과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의 구동을 종료시키는 종료(stop) 버튼(23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상기 안장부(200)의 탑승부(210)에 탑승한 다음, 이용자는 상기 스타트 버튼(232)을 눌러서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의 구동 시작을 명령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를 사용하는 중에 운동을 멈추고 싶으면 상기 종료 버튼(234)을 눌러서 용이하게 구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장부(200)의 양측에는 이용자가 상기 안장부(200)에 탑승하는 경우에 이용자의 발을 거치할 수 있는 등자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등자부(250)는 상기 안장부(200)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아래를 향해 늘어진 등자로프(252)와, 상기 등자로프(252)의 단부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등자(2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등자로프(252)는 상기 안장부(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아래를 향해 늘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등자로프(252)의 단부에 등자(254)가 구비되어, 이용자가 상기 안장부(200)에 탑승하는 경우에 이용자의 발을 상기 등자(254)에 거치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신장은 나이, 성별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장부(200)에서 늘어진 상기 등자로프(252)의 길이가 고정된다면 이용자 중의 일부는 상기 안장부(200)에 탑승하여 상기 등자(254)에 발을 거치하기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등자부(250)는 상기 등자로프(252)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장부(200)의 내측에 상기 등자로프(25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와 같은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를 조작하여 상기 등자로프(25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장이 상이한 이용자들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는 이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7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용자가 상기 안장부(200)에 탑승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를 용이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상기 안장부(200)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앞쪽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지지기둥(7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7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10)의 전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기둥(730)의 단부에 디스플레이부(700)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상기 지지기둥(730)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720)와, 상기 고정부(720)에 구비되는 스크린(7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20)는 상기 지지기둥(730)의 단부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상기 스크린(71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710)은 상기 고정부(7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스크린(710)은 상기 고정부(7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710)은 이용자가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를 사용하는 경우에 각종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린(710)이 제공하는 운동정보는 운동시작시각, 운동종료시각, 운동시간, 운동모드, 운동속도 등을 포함하는 운동기구정보와, 이용자가 운동을 하는 중에 소모한 칼로리 등을 포함하는 이용자운동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710)은 이용자가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중에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배경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경화면은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의 운동모드 또는 운동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하여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710)은 단순히 정보 제공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으로 구성되어 이용자가 명령 또는 조작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상기 스크린(710)을 조작하여 운동모드, 운동속도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크린(710)도 전술한 구동조작부(230)의 일부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마운동기구(1000)는 이용자가 상기 안장부(200)에 탑승하는 경우에 이용자가 잡아당길 수 있는 고삐(8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삐(8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720)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안장부(200)에 탑승한 이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적절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삐(800)는 상기 스크린(710) 또는 상기 구동조작부(230)와 서로 신호를 주고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상기 고삐(800)의 양측을 잡아당기게 되면 운동속도를 줄이는 명령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구동조작부(230) 또는 상기 스크린(7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조작부(230)는 상기 승마동작구동부(500)의 구동속도를 줄이게 되어 운동속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710)은 운동속도가 줄어들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늦춰진 운동속도에 맞춰 배경화면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상기 고삐(800)의 양측 중에 어느 한쪽만을 잡아당기게 되면, 이용자가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로 판단하여 상기 스크린(710)은 이용자가 잡아당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배경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삐(800)를 당기는 명령은 전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용자가 상기 고삐(800)를 당기는 형태, 당기는 방향, 당기는 힘 등에 따라 다양한 명령신호가 생성되도록 미리 결정되어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부(110)의 내측에는 상기 승마동작구동부(500)가 설치되며, 상기 중앙기둥부(120)의 내측에는 상기 승마동작구동부(500)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안장부(200)를 운동시키는 가동축(300, 400)이 설치된다.
도 2는 상기 베이스부(110)와 중앙기둥부(120)의 내측에 설치된 가동축(300, 400)과 승마동작구동부(5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본체(100)를 생략하고 내부의 가동축(300, 400)과 승마동작구동부(500)를 중심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1000)의 경우 이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가 탑승하는 안장부(200)의 움직임을 종래기술에 비해 다양하게 구성하며, 특히 말이 달리는 속도에 대응하여 복수의 운동모드를 구비하고, 각 운동모드에서 상기 안장부(200)의 움직임을 달리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안장부(200)의 움직임이 달라지게 되어 실제 말을 타고 달리는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안장부(200)는 전술한 둘 이상의 가동축(300, 400)에 의해 타원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피칭운동(pitching movement) 및 롤링운동(rolling movement) 중에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피칭운동이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부(200)가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중앙선(A)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회동운동을 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장부(200)가 피칭운동을 하는 경우에 상기 안장부(200)에 앉은 이용자는 앞뒤로 흔들리는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롤링운동이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부(200)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세로중앙선(B)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회동운동을 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장부(200)가 롤링운동을 하는 경우에 상기 안장부(200)에 앉은 이용자는 좌우로 흔들리는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안장부(200)가 타원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피칭운동을 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안장부(200)의 하부에는 둘 이상의 가동축(300, 4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동축(300, 400)의 운동에 의해 상기 안장부(200)가 운동을 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1000)의 경우 상기 안장부(200)를 운동시키는 가동축이 종래기술과 같이 1개의 가동축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안장부(200)의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도록 둘 이상의 가동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장부(200)에 연결되는 가동축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상기 안장부(200)의 움직임이 다양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안장부(200)에 탑승한 이용자는 다양한 움직임으로 인해 실제 말을 타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1000)에서 상기 둘 이상의 가동축은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장부(2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둘 이상의 가동축(300, 400)은 상기 안장부(20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동축(300, 400)이 2개의 가동축으로 구성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3개 이상의 가동축을 구비한 구성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상기 제2 가동축(400)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은 상기 안장부(200)의 하부에 연결되며, 이때 상기 안장부(200)의 세로방향의 중앙선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동축(300)의 일단부와 제2 가동축(400)의 일단부는 상기 안장부(200)의 하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일직선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의 운동에 의해 상기 안장부(200)가 타원운동과 함께 피칭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상기 안장부(200)가 타원운동과 함께 롤링운동을 가능하게 하려면 전술한 제1 가동축과 제2 가동축이 상기 안장부(200)에 가로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베이스부(110)의 바닥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2)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의 상면에 전술한 승마동작구동부(50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승마동작구동부(500)는 단일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에 동시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마동작구동부(500)는 상기 제1 가동축(30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10)와, 상기 제2 가동축(40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530)를 각각 별개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별개로 구비하게 되면 각 구동부를 각 가동축에 직접 연결시킬 수 있어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바로 가동축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일 구동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가동축과 연결되는 구성이 단순하며, 나아가 각 구동부를 별개로 제어하게 되어 제어가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는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12)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는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구동부(510)는 제1 회전플레이트(514)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가동축(300)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구동부(5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가동축(300)의 타단부가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의 제1 연결부(516)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가동축(300)은 상기 승마동작구동부(500)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1 가동축(310)과, 상기 제1-1 가동축(3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승마동작구동부(500)의 회전력을 상하 수직 방향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1-2 가동축(33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1 가동축(310)의 타단부가 전술한 제1 회전플레이트(514)에 연결되며, 상기 제1-1 가동축(310)의 일단부는 상기 제1-2 가동축(33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2 가동축(330)은 상기 제1-1 가동축(310)의 일단부의 회전축(3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구동부(5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1 가동축(310)의 타단부가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2 가동축(330)은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하 수직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안장부(200)로 전달하게 된다. 이경우, 상기 제1-2 가동축(330)의 일단부가 상기 안장부(2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구동부(510)가 구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구동부(510)의 회전구동력은 상기 제1-1 가동축(310) 및 제1-2 가동축(330)을 거쳐 상하 수직방향의 운동으로 전환되어 상기 안장부(200)로 전달된다.
결국, 상기 제1 가동축(300)은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상기 안장부(200)에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가동축(400)은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장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동축(400)은 상기 승마동작구동부(500)에 타단이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안장부(2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제2 가동축(400)의 타단부는 상기 승마동작구동부(500)의 제2 구동부(530)에 연결된 제2 회전플레이트(534)의 제2 연결부(536)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가동축(400)의 일단부는 상기 안장부(2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에서 상기 제2 구동부(530)가 구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가동축(400)은 상하운동과 동시에 틸팅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가동축(400)의 틸팅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가동축(400)의 일단부는 상기 안장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장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2 가동축(40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21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장부(200)에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이 연결되며, 나아가 상기 제1 가동축(300) 및 제2 가동축(400)에 의해 상기 안장부(200)가 타원운동 및 피칭운동을 동시에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가동축(300)의 일단부가 상기 안장부(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장부(200)의 하부에 상기 제1 가동축(300)의 말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바(214)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이 동시에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가동축(300)은 일단부가 상기 안장부(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동축(400)은 일단부가 상기 안장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안장부(200)의 다양한 움직임과 함께 율동적인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이 단순히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의 구동에 의해서만 운동을 하게 된다면, 상기 안장부(200)에 앉은 이용자에게 매우 딱딱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장부(200)에 앉은 이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움직임과 함께 각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동축(300)이 상하운동을 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610)와, 상기 제2 가동축(400)이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을 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6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동축(300)이 관통하는 제1 플레이트(9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610)가 상기 제1 플레이트(910)와 상기 제1 가동축(300)에 양단이 연결될 수 있다. 고정된 상기 제1 플레이트(910)에 상기 제1 탄성부재(610)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하로 이동하는 제1 가동축(3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가동축(300)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부재(610)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910)는 수직 지지바(940, 942, 944)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수직 지지바(940, 942, 944)의 상단부에는 탑 플레이트(9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동축(300)은 상기 탑 플레이트(950)를 관통하여 상기 안장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플레이트(910)와 상기 탑 플레이트(950)에는 각각 상기 제1 가동축(300)이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이 상기 제1 가동축(3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동축(400)을 살펴보면, 상기 제2 가동축(400)이 관통하는 제2 플레이트(930)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630)는 상기 제2 플레이트(930)와 상기 제2 가동축(400)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된 상기 제2 플레이트(930)에 상기 제2 탄성부재(630)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을 하는 제2 가동축(4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가동축(400)의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재(630)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가동축(400)은 상기 제2 플레이트(930)와 전술한 탑 플레이트(950)를 관통하여 상기 안장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동축(400)은 상하운동과 함께 틸팅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제2 플레이트(930)와 전술한 탑 플레이트(950)에 형성된 관통홀은 소정길이 연장된 장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이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에 의해 운동을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탄성부재(610)와 제2 탄성부재(63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움직임과 함께 탄력적인 움직임을 느끼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1000)는 상기 안장부(200)에 둘 이상의 가동축이 연결되어 이용자에게 다양한 움직임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이용자에게 복수의 운동모드 또는 운동속도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선택한 운동모드 또는 운동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조작부(230)가 상기 승마동작구동부(500)의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운동모드는 예를 들어 말이 달리는 속도에 대응하여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말이 평보로 이동하는 경우, 즉 상대적으로 가장 천천히 달리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정된 모드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2 모드는 말이 상기 평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빠른 속도인 구보로 이동하는 경우, 즉 상대적으로 중간 속도로 달리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정된 모드에 해당한다. 나아가, 상기 제3 모드는 말이 속보로 이동하는 경우, 즉 상대적으로 가장 빨리 달리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정된 모드에 해당한다.
이때, 이용자가 전술한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복수의 운동모드 중에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구동조작부(230)는 선택된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의 회전속도 및 회전위상 중에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동축(300)은 타단부가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의 제1 연결부(516)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가동축(400)은 타단부가 상기 제2 회전플레이트(534)의 제2 연결부(536)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선택된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의 제1 연결부(516)와 제2 회전플레이트(534)의 제2 연결부(536)의 회전위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 각 운동모드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이용자가 제1 모드, 즉 평보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제1 구동부(510), 제2 구동부(530), 제1 가동축(300) 및 제2 가동축(400)의 운동에 따른 상기 안장부(200)의 움직임을 도시한다. 도 4에서는 제1 가동축(300) 또는 제2 가동축(4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또는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1바퀴(360도) 회전하는 과정을 90도 단위로 분할하여 도시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516) 및 제2 연결부(536)가 회전하기 위한 초기 위치를 살펴보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연결부(516)가 상기 제2 연결부(536)에 비해 회전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위상(α1)만큼 뒤쳐져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전플레이트(514, 53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제2 연결부(536)가 상기 제1 연결부(516)에 비해 미리 결정된 위상(α1)만큼 앞서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상기 제1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구동조작부(230)는 상기 제1 연결부(516)가 상기 제2 연결부(536)에 비해 회전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위상(α1)만큼 뒤쳐지도록, 또는 상기 제2 연결부(536)가 상기 제1 연결부(516)에 비해 미리 결정된 위상(α1)만큼 앞서도록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또는 제2 회전플레이트(534)를 배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장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에 비해 전방부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어서,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및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연결부(516)와 상기 제2 연결부(536)도 마찬가지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에 연결된 상기 안장부(200)는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전방부와 후방부가 동일한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도 4의 (C)와 같이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및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가동축(300)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딩바(214)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장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B)에 비해 후방부에 비해 전방부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어서, 도 4의 (D)와 같이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및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안장부(200)는 전체적으로 하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안장부(200)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이용자가 제2 모드, 즉 속보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제1 구동부(510), 제2 구동부(530), 제1 가동축(300) 및 제2 가동축(400)의 운동에 따른 상기 안장부(200)의 움직임을 도시한다. 도 5에서는 제1 가동축(300) 또는 제2 가동축(4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또는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1바퀴(360도) 회전하는 과정을 90도 단위로 분할하여 도시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516) 및 제2 연결부(536)가 회전하기 위한 초기 위치를 살펴보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연결부(516)와 상기 제2 연결부(536)가 동일 위상으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구동조작부(230)는 상기 제1 연결부(516)와 상기 제2 연결부(536)가 동일 위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및 제2 회전플레이트(534)를 배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장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및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연결부(516)와 상기 제2 연결부(536)도 마찬가지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에 연결된 상기 안장부(200)는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전방부와 후방부가 동일한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도 5의 (C)와 같이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및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가동축(300)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딩바(214)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장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B)에 비해 전체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어서, 도 5의 (D)와 같이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및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안장부(200)는 전체적으로 더 하강하게 된다.
도 6은 이용자가 제3 모드, 즉 속보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제1 구동부(510), 제2 구동부(530), 제1 가동축(300) 및 제2 가동축(400)의 운동에 따른 상기 안장부(200)의 움직임을 도시한다. 도 6에서는 제1 가동축(300) 또는 제2 가동축(4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또는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1바퀴(360도) 회전하는 과정을 90도 단위로 분할하여 도시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516) 및 제2 연결부(536)가 회전하기 위한 초기 위치를 살펴보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연결부(516)가 상기 제2 연결부(536)에 비해 회전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위상(α2)만큼 앞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전플레이트(514, 53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제2 연결부(536)가 상기 제1 연결부(516)에 비해 미리 결정된 위상(α2)만큼 뒤쳐서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상기 제3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구동조작부(230)는 상기 제1 연결부(516)가 상기 제2 연결부(536)에 비해 회전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위상(α2)만큼 앞서도록, 또는 상기 제2 연결부(536)가 상기 제1 연결부(516)에 비해 미리 결정된 위상(α2)만큼 뒤쳐지도록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또는 제2 회전플레이트(534)를 배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장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에 비해 전방부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어서,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및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연결부(516)와 상기 제2 연결부(536)도 마찬가지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동축(300)과 제2 가동축(400)에 연결된 상기 안장부(200)는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전방부와 후방부가 동일한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도 6의 (C)와 같이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및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가동축(300)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딩바(214)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장부(200)는 도 6의 (B)에 비해 전체적으로 하강하게 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에 비해 후방부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어서, 도 6의 (D)와 같이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514) 및 제2 회전플레이트(534)가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안장부(200)는 전체적으로 하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안장부(200)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이용자에 따라서는 전술한 운동모드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일부구간 운동만 반복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가 전술한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복수의 운동모드 중에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고 나아가 상기 선택된 운동모드에서 특정 구간의 운동이 반복되는 반복운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가 선택한 상기 반복운동모드에서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 중에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해진 회전각도 범위에서 반복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미리 정해진 특정운동이 반복되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정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가 반복하여 운동하는 회전각도가 미리 정해져서 상기 구동조작부(2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조작부(2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가 모두 반복운동을 하거나,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 중에 어느 하나가 반복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510)가 반복운동을 하는 경우에 0도에서 20도까지 회전각도 범위가 설정되고, 상기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구동부(510)가 반복운동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구동부(510)와 제2 구동부(530)가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경우에 비해 특정운동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운동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본체
200 : 안장부
250 : 등자부
300 : 제1 가동축
400 : 제2 가동축
500 : 승마동작구동부
700 : 디스플레이부
800 : 고삐
1000 : 승마운동기구

Claims (17)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용자가 탈 수 있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가 타원운동을 하면서, 피칭운동 및 롤링운동 중에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도록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가동축;
    상기 가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마동작구동부; 및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둘 이상의 가동축은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가동축과 제2 가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축은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동축은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축과 제2 가동축은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상기 안장부의 세로방향의 중앙선을 따라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상기 제1 가동축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제2 가동축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축은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1 가동축과,
    상기 제1-1 가동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의 회전력을 상하 수직 방향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1-2 가동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축은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타단이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축이 상하운동을 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가동축이 상하운동 및 틸팅운동을 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축이 관통하는 제1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가동축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 가동축이 관통하는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가동축에 양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동작구동부는
    상기 제1 가동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가동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축은 타단부가 상기 제1 구동부와 연결된 제1 회전플레이트의 제1 연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가동축은 타단부가 상기 제2 구동부와 연결된 제2 회전플레이트의 제2 연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선택된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회전플레이트의 제1 연결부와 제2 회전플레이트의 제2 연결부의 회전위상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모드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비해 회전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위상만큼 뒤쳐져서 회전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동일 위상에서 회전하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비해 회전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위상만큼 앞서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모드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 운동을 반복하는 반복운동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운동모드에서
    상기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해진 회전각도 범위에서 반복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KR1020170166657A 2017-12-06 2017-12-06 승마운동기구 KR101868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657A KR101868874B1 (ko) 2017-12-06 2017-12-06 승마운동기구
PCT/KR2018/015162 WO2019112264A1 (ko) 2017-12-06 2018-12-03 승마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657A KR101868874B1 (ko) 2017-12-06 2017-12-06 승마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874B1 true KR101868874B1 (ko) 2018-06-19

Family

ID=6279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657A KR101868874B1 (ko) 2017-12-06 2017-12-06 승마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8874B1 (ko)
WO (1) WO20191122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578B1 (ko) * 2020-09-28 2021-07-28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972Y1 (ko) * 2003-11-27 2004-03-11 김덕신 승마용 운동기구
KR20070010222A (ko) * 2005-07-18 2007-01-24 박진한 승마형 운동기구
JP2008011897A (ja) * 2006-07-03 2008-01-24 Alinco Inc 乗馬型身体鍛練機
KR20170002362U (ko) * 2015-12-23 2017-07-03 조단비 스크린 승마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3815B2 (ja) * 2006-03-28 2010-06-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揺動型運動装置
KR200459597Y1 (ko) * 2009-11-27 2012-04-04 윤지현 승마운동기구
KR101485011B1 (ko) * 2013-06-10 2015-01-26 박중언 승마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972Y1 (ko) * 2003-11-27 2004-03-11 김덕신 승마용 운동기구
KR20070010222A (ko) * 2005-07-18 2007-01-24 박진한 승마형 운동기구
JP2008011897A (ja) * 2006-07-03 2008-01-24 Alinco Inc 乗馬型身体鍛練機
KR20170002362U (ko) * 2015-12-23 2017-07-03 조단비 스크린 승마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578B1 (ko) * 2020-09-28 2021-07-28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2264A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78409B (zh) 具有多个运动模式的运动机器
US4988300A (en) Riding simulator
US7766802B2 (en) Rowing exercise machine with self-aligning pivoting user support
US6551214B1 (en) Apparatus for exercise and rehabilitation of the muscles around the cervical spine and/or the motional pattern of the cervical spine via rotary training motion of the head
KR100996592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JP2004305698A (ja) 乗馬用運動器具
CN101375817A (zh) 摇摆式运动装置
KR102296498B1 (ko) 레터럴 레이즈 머신
KR101188136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CN104093460A (zh) 运动辅助装置
KR101868874B1 (ko) 승마운동기구
KR101188137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101051566B1 (ko) 요동형 운동 장치
CN200987857Y (zh) 手臂力量训练器
US10843025B2 (en) Negative tilting squat machine
KR20070018205A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236003B1 (ko) 승마 운동기구
EP2008634A1 (en) Back twister
KR20070057651A (ko) 운동 건강 기구
KR200444410Y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20150105047A (ko) 승마 동작에 따른 동작 구동장치, 이를 이용한 지능형 헬스케어 승마 운동 기구 및 이의 제어방법
CN113367939B (zh) 骨盆辅助步行训练机构
KR101879435B1 (ko)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KR102361036B1 (ko)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