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165B1 - 승마 운동기 및 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 - Google Patents

승마 운동기 및 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165B1
KR102259165B1 KR1020200126349A KR20200126349A KR102259165B1 KR 102259165 B1 KR102259165 B1 KR 102259165B1 KR 1020200126349 A KR1020200126349 A KR 1020200126349A KR 20200126349 A KR20200126349 A KR 20200126349A KR 102259165 B1 KR102259165 B1 KR 10225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estrian
exercise machine
equestrian exercise
present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숙희
조상호
조단비
Original Assignee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9/00Toy animals for riding
    • A63G19/20Toy animals for riding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히 한 승마 운동기와 이동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는 베이스판을 포함하고, 베이스판의 상부의 타 측에는 돌출 프레임이 구비되며, 둘레와 상부에는 타측 상부가 개방된 외측 케이스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돌출 프레임의 내부 하부인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전방에는 회전판이 관통 고정되는 종방향 회전축이 구비되고 고정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일 측에 구비되고, 종방향 회전축이 구비되어 종방향 회전축이 상기 회전판에 동력 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하단부가 상기 회전판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를 통해 편심 연결되어 하부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 타 측에 승강과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작동축과; 상기 돌출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축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축 유동 고정수단과;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연결 함몰홈이 형성되고 연결 함몰홈의 상부가 상기 작동축의 상부에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며, 일 측의 상부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부의 중앙부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부가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말 모형과;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어 모터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와; 탑이 구비되는 탑차와; 상기 탑의 타 측의 하부에 하부의 하부 힌지부를 중심으로 외측 방향의 수평으로 개방되게 구비되는 타측 하부문과; 상기 탑의 타 측인 타측 하부문의 상부에 상부를 중심으로 개방되며, 상기 타측 하부문의 상부에 탑의 상부 타 측에 외측으로 개방되는 상부 개방문, 상기 상부 개방문의 하단에 외측으로 개방되는 절첩문을 구비하는 타측 상부 개방수단과; 상기 타측 하부문의 내측에 구비되고 외측 방향의 수평으로 펼쳐지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 골조와 하부의 하부 골조로 구성되는 하부 난간, 상기 하부 난간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하부 난간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부 난간을 구비하는 난간부와; 상기 타측 하부문이 하부 힌지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수평되게 개방되고 상기 하부난간과 상부난간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하부가 지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지지 다리부와; 상기 각각의 승마 운동기의 일 측인 탑 내부의 일 측에 간격으로 구비되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마 운동기 및 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Equestrian sports equipment and equestrian sports vehicles equipped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승마 운동기 및 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히 한 승마 운동기와 이동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horse riding)는 말과 사람이 일체가 되어야 하는 운동으로서 정신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신체를 바르게 교정시키며, 장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폐활량을 늘리며, 관절염과 빈혈 및 변비를 예방하고, 허리를 유연하게 해주며, 신체의 리등감을 기르며, 골반으로 튼튼하게 해주는 운동이다.
그리고 승마는 살아있는 말을 직접타고 운동하면 운동 효과가 뛰어나나 말을 직접타고 운동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는 적은 비용으로 승마 운동을 할 수 있는 승마 운동기가 알려져 있다.
이에, 종래의 승마 운동기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82413호의 "무전원 승마 운동기"(이하, "종래의 승마 운동기"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승마 운동기는 사용자가 자기의 힘으로 자기 신체리듬에 맞추고, 허리와 목 관절에도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승마 운동기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승마 운동기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안장의 움직임의 범위가 작아 승마 운동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82413호 "무전원 승마 운동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85167호 "스크린 승마운동기구”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단순히 하여 저가로 제조가 가능한 승마 운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말 모형에 구비된 안장의 유동 범위를 넓혀 충분한 승마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승마 운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마 운동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놀이 공원이나 행사장 등에서 어린이나 어른 등이 승마 놀이도 할 수 있도록 하는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마 운동 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보면서 승마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으로 펼쳐져 탑승 발판의 역할을 하는 타 측 하부문의 외측에 수직의 난간부를 설치하여 승마 운동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수평으로 펼쳐진 타 측 하부문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특징은, 베이스판을 포함하고, 베이스판의 상부의 타 측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돌출 프레임이 구비되며, 둘레와 상부에는 타 측 상부가 개방된 외측 케이스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돌출 프레임의 내부 하부인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전방에는 회전판이 관통 고정되는 종방향 회전축이 구비되고 고정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일 측에 구비되고, 종방향 회전축이 구비되어 종방향 회전축이 상기 회전판에 동력 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하단부가 상기 회전판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를 통해 편심 연결되어 하부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 타 측에 승강과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작동축과; 상기 돌출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축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축 유동 고정수단과;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연결 함몰홈이 형성되고 연결 함몰홈의 상부가 상기 작동축의 상부에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며, 일 측의 상부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부의 중앙부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부가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말 모형과;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어 모터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와; 후방에 탑이 구비되는 탑차와; 상기 탑의 타 측의 하부에 하부의 하부 힌지부를 중심으로 외측 방향의 수평으로 개방되게 구비되는 타측 하부문과; 상기 탑의 타 측인 타측 하부문의 상부에 상부를 중심으로 개방되게 구비되는 타측 상부 개방수단과; 상기 타측 하부문의 내측에 구비되고 외측 방향의 수평으로 펼쳐지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 골조와 하부의 하부 골조로 구성되는 하부 난간, 상기 하부 난간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하부 난간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부 난간을 구비하는 난간부와; 상기 타측 하부문이 하부 힌지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수평되게 개방되고 상기 하부난간과 상부난간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하부가 지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지지 다리부와; 상기 탑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전후 간격을 두고 다수로 고정되는 각각의 승마 운동기의 일 측인 탑 내부의 일 측에 전후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이나 주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전방 승마 자세를 촬영하는 다수의 전방부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각 승마 운동기에 연결되는 각 조작 제어부는 각 승마 운동기의 일 측에 구비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와 하나의 전방부 카메라가 연결되어 조작을 통해 각 승마 운동기의 일 측에 구비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와 하나의 전방부 카메라를 작동시켜 각 승마 운동기에 기승한 사용자의 전방 승마 운동 자세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게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히 하여 저가로 제조가 가능한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승마 운동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말 모형에 구비된 안장부의 유동 범위를 넓혀 충분한 승마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운동 효과가 우수한 승마 운동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마 운동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놀이 공원이나 행사장 등에서 어린이나 어른 등이 승마 놀이도 할 수 있도록 하는 승마 운동 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마 운동 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보면서 승마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마 자세의 교정도 가능한 승마 운동 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으로 펼쳐져 탑승 발판의 역할을 하는 타 측 하부 문의 외측에 수직의 난간부를 설치하여 승마 운동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수평으로 펼쳐진 타 측 하부 문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승의 안전성이 확보된 승마 운동 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B-B선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후방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5의 C-C선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타 측 하부문과 타 측 상부 개방수단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타측 하부문과 타측 상부 개방수단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에서 본도면(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층계부를 타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층계부를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을 구성하는 난간부와 층계부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타 측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B-B선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1)는 구조를 단순히 하여 저가로 제조가 가능하고, 안장부의 유동 범위를 넓혀 충분한 승마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본체(11), 고정 브래킷(12), 모터(13), 작동축(15), 축 유동 고정수단(16), 말 모형(17), 조작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상기 본체(11)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베이스판(111)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판(111)의 상부의 타 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돌출 프레임(112)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상기 본체(11)는, 후술할 말 모형(17)에 기승한 사용자의 다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돌출 프레임(112)의 둘레와 상부를 커버하게 구비되고 타 측 상부가 개방된 외측 케이스(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 케이스(113)의 전, 후방에는, 사용자가 후술할 말 모형(17)에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기승 발판(113a)이 단차지게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상기 고정 브래킷(12)은, 상기 돌출 프레임(112)의 내부 하부인 상기 베이스판(111)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전방에는 회전판(122)이 관통 고정되는 종방향 회전축(121)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상기 모터(13)는, 상기 베이스판(111)의 상부 일 측에 구비되고, 종방향 회전축(131)이 구비되어 상기 종방향 회전축(131)이 상기 회전판(122)에 동력 전달수단(14)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122)을 회전시키는 역할은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동력 전달수단(14)은, 상기 모터(13)의 종방향 회전축(131)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터(13)의 종방향 회전축(131)에 구비된 제1 풀리(141)와, 상기 베이스판(111)의 상부 중간에 종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동력 전달축과, 상기 동력 전달축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풀리(141)와 제1 벨트(B1)로 연결되고 제1 풀리(141)의 피치원보다 피치원이 크게 형성된 제2 풀리(142)와, 상기 동력 전달축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풀리(142)보다 피치원이 작게 형성되는 제3 풀리(143)와, 상기 회전판(122)의 둘레에 형성되는 둘레 풀리부(144)와, 상기 제3 풀리(143)와 둘레 풀리부(144)를 연결하는 제2 벨트(B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상기 작동축(15)은, 하단부가 상기 회전판(122)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151)를 통해 편심 연결되어 하부 힌지축부(151)를 중심으로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본체(11)의 상부 타측에 승강과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 힌지축부(151)는, 상기 회전판(122)의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힌지축과, 상기 작동축(15)의 하단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축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상기 축 유동 고정수단(16)은, 상기 본체(11)를 구성하는 돌출 프레임(11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축(15)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상기 축 유동 고정수단(16)은, 상기 작동축(15)의 상부가 원활하게 승강되고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 프레임(112) 상부의 개방된 부분에 고정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판(161)과, 상기 상판(161)의 상부에 고정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 하부가 개방된 구홈(163)이 형성되는 수직관부(162)와, 상기 구홈(163)의 내부에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작동축(15)의 상부가 승강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축 관통 승강홀(165)이 형성되는 회전볼(1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상기 말 모형(17)은, 내부에 하부가 개방된 연결 함몰홈(G)이 형성되고 연결 함몰홈(G)의 상부가 상기 작동축(15)의 상부에 연결수단(152)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상기 말 모형(17)은, 일 측에 두 개의 앞 다리부(171)가 형성되고, 일 측의 상부에 머리부(172)가 형성되며, 타 측에 두 개의 뒷 다리부(173)가 형성되고, 상부의 중앙부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부(174)가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수단(152)은, 상기 작동축(15)의 상부가 승강되면서 각도가 변경될 때 말 모형(17)도 연동되게 각도가 변경되고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174)의 바로 하부인 상기 말 모형(17)의 연결 함몰홈(G)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부재(152a)와, 상기 수평부재(152a)의 하부 타측에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작동축(15)의 상부가 연결 고정되는 연결관(15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의 상기 조작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모터(13)와, 후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디스플레이부(26), 전방부 카메라(C1) 및 후방부 카메라(C2)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11)의 외부에 구비되어 모터(13)를 조작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작 제어박스 또는 리모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제어부에서는 조작을 통해 모터(13)를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말 모형(17)의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마 운동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1)를 사용하여 승마 운동 또는 승마 놀이를 할 경우에는, 먼저 사용자가 말 모형(17)의 안장부(174)에 기승한다.
다음, 사용자나 주위의 승마 운동기(1)의 조종자가 조작 제어부를 작동시켜 상기 모터(13)를 정방향(시계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모터(13)의 종방향 회전축(131)과 동력 전달수단(14)으로 연결되는 회전판(122)이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회전판(122)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판(122)의 둘레에 편심 구비된 하부 힌지축부(151)로 연결된 작동축(15)의 하부가 각도가 변경되면서 승강을 반복하고, 이로 인하여 작동축(15)의 상부도 각도가 변경되면서 승강을 반복함에 따라, 작동축(15)의 상부에 연결된 말 모형(17)의 각도가 변경되면서 승강을 반복함으로써 승마 운동 또는 승마 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1)는 하나의 모터(13)만을 사용하면서 말 모형(17)을 유동되게 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히 하여 저가로 제조가 가능한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승마 운동기(1)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1)는 회전판의 둘레에 작동축(15)의 하단부를 편심 연결하여 말 모형(17)을 각도가 변경되면서 승강을 반복되게 함에 따라 말 모형(17)에 구비된 안장부(174)의 유동 범위를 넓힘으로써, 충분한 승마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운동 효과가 우수한 승마 운동기(1)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후방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도 5의 C-C선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타 측 하부문과 타 측 상부 개방수단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타측 하부문과 타측 상부 개방수단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에서 본도면(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층계부를 타 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층계부를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을 구성하는 난간부와 층계부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타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2)은 승마 운동기(1)를 차량에 설치하여 놀이 공원이나 행사장 등에서 어린이나 어른 등이 승마 놀이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탑차(21), 타측 하부문(22), 타측 상부 개방수단(23), 난간부(24), 지지 다리부(25), 디스플레이부(26) 및 상술한 본 발명의 승마 운동기(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상기 탑차(21)는, 전방에 운전석과 조수석을 가지는 케빈이 구비되고 케빈의 후방의 적재부에는 탑(211)이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상기 타측 하부문(22)은, 상기 탑차(21)를 구성하는 탑(211)의 타 측의 하부에 하부의 하부 힌지부(221)를 중심으로 외측 방향의 수평으로 개방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 힌지부(221)를 중심으로 탑(211)의 외측 방향으로 수평되게 펼쳐진 상태에서 차랴의 탑승 발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상기 타측 상부 개방수단(23)은, 상기 탑(211)의 타 측인 타측 하부문(22)의 상부에 상부를 중심으로 개방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상기 타측 상부 개방수단(23)은,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탑(211)의 타 측인 타측 하부문(22)의 상부에 탑(211)의 상부 타 측에 구비된 상부 힌지부(231a)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개방되게 구비되고 전, 후 단부와 상기 탑(211)의 상부의 전, 후방 사이에는 공지된 개폐댐퍼(D)가 구비되는 상부 개방문(231)과, 상기 상부 개방문(231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 힌지부(232a)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개방되게 접혀지고 전, 후 단부와 상부 개방문의 전, 후방 사이에는 공지된 개폐댐퍼(D)가 구비되는 절첩문(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상기 디스플레이부(26)는, 각각의 승마 운동기(1)의 전방부인 탑(21) 내부의 일 측에 전후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것으로 모니터와 같은 공지된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은,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부(26)의 중앙이나 주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전방 승마 자세를 촬영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전방부 카메라(C1)가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은, 각 승마 운동기(1)의 타 측 상부에 지지대(P)의 고정에 의해 구비되는 다수 개의 후방부 카메라(C2)를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승마 운동기(1)에 연결되는 각각의 상기 조작 제어부는, 각 승마 운동기(1)의 일 측에 구비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부(26)와 하나의 전방부 카메라 (C1)가 연결되어 조작을 통해 각 승마 운동기(1)의 일 측에 구비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부(26)와 하나의 전방부 카메라 (C1)를 작동시켜 각 승마 운동기(1)에 기승한 사용자의 전방 승마 운동 자세를 디스플레이부(26)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승마 운동기(1)에 연결되는 각각의 상기 조작 제어부는, 각 승마 운동기(1)의 타 측 상부에 구비된 하나의 후방부 카메라 (C2)가 연결되어 조작을 통해 각 승마 운동기(1)의 타 측에 구비된 하나의 후방부 카메라 (C2)를 작동시켜 각 승마 운동기(1)에 기승한 사용자의 후방 승마 운동 자세를 각 승마 운동기(1)의 일 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6)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2)은, 상기 탑(211)의 후방의 타 측에 일측 힌지부(212a)를 통해 개방되는 후방 타측 개방문(212)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탑(211)의 일 측에는 상부 힌지부(213a)를 중심으로 개방되는 유지 보수문(2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2)은, 상기 타측 하부문(22)의 내측에는 타측 하부문(22)이 외측 방향의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내측의 타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난간부(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난간부(24)는, 난간부(24)의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타측 하부문(22)의 내측에 구비되고 타측 하부문(22)이 외측 방향의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외측 단부 힌지부(241a)를 중심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전, 후방에 구비되는 수직 골조(P1)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골조(P2)를 포함하는 하부 난간(241)과, 상기 하부 난간(241)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하부 난간(241)의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 힌지부(242a)를 통해 수직으로 세워지고 전, 후방에는 수직 골조(P1)가 구비된 상부 난간(2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2)은, 상기 타측 하부문(22)이 하부 힌지부(221)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수평 개방되고 상기 하부 난간(241)과 상부 난간(242)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타측 하부문(22)의 외측 단부와 하부 난간(241)의 하부 골조(P2)에 상부가 분리 연결수단(251)으로 고정되어 하부가 지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지지 다리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상기 지지 다리부(25)는, 상기 하부 난간(241)과 상부 난간(242)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타측 하부문(22)의 외측 단부와 하부 난간(241)의 하부 골조(P2)을 분리 가능하게 지면에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탭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골조(P2)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판과 상판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는 수직판과 수직판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하판 및 상기 탭홀에 관통 체결되어 하단이 상기 하부 골조(P2)의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분리 연결수단(251)과, 상기 분리 연결수단(251)의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하부에는 수직 탭홀이 형성되는 수직관(252)과, 상기 수직 탭홀에 체결되고 하단이 지면에 밀착되는 높이 조정볼트(2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2)은, 상기 타측 하부문(22)이 외측 방향의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타측 하부문(22)의 전, 후방에는 층계부(27)가 더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상기 층계부(27)는, 난간부(24)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다단의 층계 발판(271a)이 구비되고 외측에는 전후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수직관(271b)이 구비된 층계 본체(271)와, 층계 본체(271)의 외측에 구비되는 두 개의 수직관(271b)에 두 개의 수직 골조(P3)가 삽입되게 고정되는 층계 난간부(272)와, 상기 층계 난간부(272)와 난간부(24)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개 수직골조(P1)(P3)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립 연결수단(2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조립 연결수단(273)은, 층계부(27)를 간단이 조립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난간부(24)의 수직골조(P1)에 연결되는 층계부(27)의 수직골조(P3)에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난간부(24)의 수직골조(P1)의 안쪽으로 돌출되고 각각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볼트 관통홀이 형성되는 일 측 고정판(273a) 및 타 측 고정판(273b)과, 상기 일 측 고정판(273a) 및 타 측 고정판(273b)의 볼트 관통홀에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고정 볼트(27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상기 승마 운동기(1)는, 전술한 본 발명의 승마 운동기(1)로서 상기 탑(21)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전후 간격을 두고 다수로 고정되는 것이다. 즉 각각의 승마 운동기(1)는 탑(21)의 하면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수단이나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 차량(2)은, 차량을 놀이 공원이나 행사장 등에 이동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탑차(21)를 놀이 공원이나 행사장으로 이동시켜 주차시킨다.
다음, 상기 탑차(21)의 탑(211)의 타 측에 구비된 타측 하부문(22)을 수평으로 개방시킨다. 그리고 타측 하부문(22)을 수평으로 개방시킨 다음 타측 하부문(22)의 상부에 구비된 난간부(24)의 하, 상부 난간(241)(242)을 수직으로 세운다. 그런 다음 하부 난간(241)의 하부 골조(P2)와 타측 하부문(22)의 외측에 다수의 지지 다리부(25)를 설치하여 수평으로 펼쳐진 타측 하부문(22)을 지면에 지지하여 고정한다.
다음, 상기 난간부(24)의 전, 후방에 층계부(27)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각 층계부(27)의 수직 골조(P3)에 구비된 조립 연결수단(273)을 난간부(24)의 수직 난간부(24)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한다.
다음, 상기 탑차(21)의 타 측에 구비된 타측 상부 개방수단(23)을 개방한다. 그런 다음 승마 운동기(1)의 사용자가 상기 층계부(27)와 난간부(24)를 지나 말 모형(17)에 기승한 후, 사용자 또는 주변의 승강 운동기의 조종자가 각 승마 운동기(1)를 제어하고, 각 승마 운동기(1)의 일, 타 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6), 전방부 카메라(C1) 및 후방부 카메라(C2)를 조작 제어함으로써, 각 승마 운동기(1)에 기승한 사용자가 자신의 자세를 디스플레이부(26)를 통해 보면서 승마 자세를 교정하면서 승마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마 운동기(1)를 차량에 설치하여 놀이 공원이나 행사장 등에서 어린이나 어른 등이 승마를 즐길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승마 운동 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6)를 보면서 승마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마 자세의 교정도 가능한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으로 펼쳐져 탑승 발판의 역할을 하는 타측 하부문(22)의 외측에 수직의 난간부(24)를 설치하여 승마 운동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수평으로 펼쳐진 타측 하부문(22)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승의 안전성이 확보된 승마 운동 차량(2)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타측 하부문(22)을 닫은 상태에선 난간부(24)를 탑(211)의 내부로 접어 적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난간부(24)의 적재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으로 펼쳐져 탑승 발판의 역할을 하는 타측 하부문(22)의 전, 후방에 층계부(27)를 구비하여 승마 운동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수평으로 펼쳐진 타측 하부문(22)에 용이하게 올라 갈 수 있게 함으로써 승마 운동기(1)에 기승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승마 운동기
11 : 본체
111 : 베이스판
112 : 돌출 프레임
113 : 외측 케이스
12 : 고정 브래킷
121 : 종방향 회전축
122 : 회전판
13 : 모터
131 : 종향향 회전축
14 : 동력 전달수단
141 : 제1 풀리
142 : 제2 풀리
143 : 제3 풀리
144 : 둘레 풀리부
15 : 작동축
151 : 하부 힌지축부
152 : 연결수단
16 : 축 유동 고정수단
161 : 상판
162 : 수직관부
163 : 구홈
164 : 회전볼
165 : 축관통 승강홀
17 : 말 모형
G : 연결 함몰부
2 : 승마 운동 차량
21 : 탑차
211 : 탑
212 : 타측 개방문
213 : 유지 보수문
22 : 타측 하부문
221 : 하부 힌지부
23 : 타측 상부 개방수단
231 : 상부 개방문
232 : 절첩문
24 : 난간부
241 : 하부 난간
242 : 상부 난간
25 : 지지 다리부
251 : 분리 연결수단
252 : 수직관
253 : 높이 조정볼트
26 : 디스플레이부
27 : 층계부
271 : 층계 본체
272 : 층계 난간부
273 : 조립 연결수단
C1 : 전방부 카메라
C2 : 후방부 카메라
D : 개폐 댐퍼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바닥과 결합되도록 평편한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베이스판(111), 상기 베이스판(111) 상부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돌출 프레임(112), 상기 돌출 프레임(112)의 둘레에 형성되어 타 측 상부가 개방된 외측 케이스(113)로 이루어지는 본체(11)와, 상기 돌출 프레임(112)의 내부 하부인 상기 베이스판(111)에 고정되고 전방에는 회전판(122)이 관통 고정되는 종방향 회전축(121)이 구비되는 고정 브래킷(12)과, 상기 베이스판(111)의 상부 일 측에 구비되고, 종방향 회전축(131)이 구비되어 상기 종방향 회전축(131)이 상기 회전판(122)에 동력 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122)을 회전시키는 모터(13)와, 하단부가 상기 회전판(122)의 둘레에 하부 힌지축부(151)를 통해 편심 연결되어 하부 힌지축부(151)를 중심으로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본체(11)의 상부 타 측에 승강과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작동축(15)과, 상기 돌출 프레임(11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축(15)의 상부를 승강과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돌출 프레임(112) 상부의 개방된 부분에 고정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판(161), 상기 상판의 상부에 고정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 하부가 개방된 구홈(163)이 형성되는 수직관부(162), 상기 구홈(163)의 내부에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작동축(15)의 상부가 승강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축 관통 승강홀(165)이 형성되는 회전볼(164)로 이루어진 축 유동 고정수단(16)과,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연결 함몰홈(G)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함몰홈(G)의 상부가 상기 작동축(15)의 상부에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며, 일 측의 상부에 머리부(172)가 형성되고, 상부의 중앙부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부(174)가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말 모형(17)과, 상기 모터(13)와 연결되고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13)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로 구성되는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승마 운동기(1)가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는 탑(211)이 구비되는 탑차(21)와;
    상기 탑(211)의 타 측의 하부에 하부의 하부 힌지부(221)를 중심으로 외측 방향의 수평으로 개방되게 구비되는 타측 하부문(22)과;
    상기 탑(211)의 타 측인 타측 하부문(22)의 상부에 상부를 중심으로 개방되며, 상기 타측 하부문(22)의 상부에 탑의 상부 타 측에 외측으로 개방되는 상부 개방문(231), 상기 상부 개방문(231)의 하단에 외측으로 개방되는 절첩문(232)을 구비하는 타측 상부 개방수단(23)과;
    상기 타측 하부문(22)의 내측에 구비되고 외측 방향의 수평으로 펼쳐지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 골조와 하부의 하부 골조로 구성되는 하부 난간(241), 상기 하부 난간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하부 난간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부 난간(242)을 구비하는 난간부(24)와;
    상기 타측 하부문(22)이 하부 힌지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수평되게 개방되고 상기 하부난간(241)과 상부난간(242)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하부가 지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지지 다리부(25)와;
    상기 각각의 승마 운동기(1)의 일 측인 탑 내부의 일 측에 간격으로 구비되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부(26)는, 중앙이나 주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전방 승마 자세를 촬영하는 다수의 전방부 카메라(C1) 및 상기 각 승마 운동기(1)의 후방 상부에 지지대의 고정에 의해 구비되는 다수의 후방부 카메라(C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
KR1020200126349A 2020-09-28 2020-09-28 승마 운동기 및 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 KR102259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349A KR102259165B1 (ko) 2020-09-28 2020-09-28 승마 운동기 및 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349A KR102259165B1 (ko) 2020-09-28 2020-09-28 승마 운동기 및 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165B1 true KR102259165B1 (ko) 2021-06-01

Family

ID=7637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349A KR102259165B1 (ko) 2020-09-28 2020-09-28 승마 운동기 및 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1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167B1 (ko) 2002-07-25 2005-04-22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67353B1 (ko) * 2006-07-27 2007-01-10 주식회사 유성 승마 운동기구
KR101296227B1 (ko) * 2012-03-07 2013-08-13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101382413B1 (ko) 2013-05-20 2014-04-17 임용택 무전원승마운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167B1 (ko) 2002-07-25 2005-04-22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67353B1 (ko) * 2006-07-27 2007-01-10 주식회사 유성 승마 운동기구
KR101296227B1 (ko) * 2012-03-07 2013-08-13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101382413B1 (ko) 2013-05-20 2014-04-17 임용택 무전원승마운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2959B2 (ja) シュミレーションライド装置
JP2000143125A (ja) エレべーター
US10946296B1 (en) Scissor lift construction equipment amusement ride
KR102259165B1 (ko) 승마 운동기 및 그 승마 운동기가 구비된 승마 운동 차량
JP2002166059A (ja) 乗物遊戯装置
KR101923538B1 (ko)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US4251069A (en) Child recreation structure
KR20180096438A (ko) 차량 탑재형 회전놀이기구
KR20100131839A (ko) 회전식 게임장치
CN208396643U (zh) 一种登高梯调节支腿及登高梯
CN205527190U (zh) 一种楼道电梯
CN204778185U (zh) 一种座椅式楼道电梯
JP2019123410A (ja) 移動式ステージ装置
KR102282578B1 (ko) 점프동작 구현이 가능한 승마 운동기
KR101768808B1 (ko) 승강 회전식 놀이기구
CN211809282U (zh) 一种安全培训体验训练车
KR102291708B1 (ko) 승마 운동기
JP5063437B2 (ja) 高架軌条走行システム
KR102569259B1 (ko) 유원지용 자동 그네
CN219290594U (zh) 一种火车型游乐设备
CN214597183U (zh) 一种三维动画摇摆机
CN213285665U (zh) 城市玩具
JP484974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保守・点検方法
CN217778318U (zh) 一种顶开式无门汽车
CN115518370A (zh) 一种浸入式动漫角色体验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