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38B1 -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938B1
KR102280938B1 KR1020190145548A KR20190145548A KR102280938B1 KR 102280938 B1 KR102280938 B1 KR 102280938B1 KR 1020190145548 A KR1020190145548 A KR 1020190145548A KR 20190145548 A KR20190145548 A KR 20190145548A KR 102280938 B1 KR102280938 B1 KR 102280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charging
agent
charg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093A (ko
Inventor
정민교
Original Assignee
대영채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채비(주) filed Critical 대영채비(주)
Priority to KR102019014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9Fuel consumption; Energy use; Emission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B60K2370/1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은, 전기차에 설치되며, 전기차의 ECU(Electroinc Control Unit) 및 전기차에 탑재된 전자 장비와 데이터 연동되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전기차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며,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 연동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및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획득된 배터리 정보 및 차량운행 직접정보,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획득된 차량운행 간접정보,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획득된 충전 상황 정보를 전달받아 전기차 충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편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편의 정보를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며,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차 식별정보 및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요금 정산을 수행하는 충전 정산 서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CHARGING SERVICE SYSTEM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공간에 주차된 전기차 충전 및 사용과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 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대기보존법 제정에 의하여 EV의 보급이 의무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그린카(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구동시 배터리가 방전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충전을 해야한다. 충전 시간은 완충전기를 사용시 4 내지 9시간, 급속 충전시 30분 내지 1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터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완속 충전 또는 급속 충전 속도가 개선되고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충전 케이블을 전기자동차의 충전 단자에 연결하여 전기 에너지를 충전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며, 통상적으로 고속 또는 저속 충전 타입을 지원한다.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충전기의 시스템 공급 가격을 낮추기 위해 하나의 메인 충전기에 여러 개의 충전기 터미널을 연결하여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전기자동차(EV)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가정용 충전설비를 비롯하여 언제 어디서나 EV를 충전할 수 있도록 많은 충전소 또는 충전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향후 전기차 충전소의 확대 및 그 서비스 인프라 확대에 발맞춰 전기차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아래의 특허문헌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고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41237호(2018.03.22. 공고)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및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보다 효과적이고 정밀하게 측정하고,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최적 경로 및 출발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은, 전기차에 설치되며, 전기차의 ECU(Electroinc Control Unit) 및 전기차에 탑재된 전자 장비와 데이터 연동되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전기차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며,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 연동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및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획득된 배터리 정보 및 차량운행 직접정보,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획득된 차량운행 간접정보,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획득된 충전 상황 정보를 전달받아 전기차 충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편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편의 정보를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며,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차 식별정보 및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요금 정산을 수행하는 충전 정산 서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주차 공간 또는 충전소에 입차된 전기차의 차량번호가 식별된 경우, 식별된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수행하여, 해당 전기차 사용자의 충전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충전 소비패턴에 맞춰 생성한 서비스 편의 정보를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및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되; 서비스 편의 정보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해당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향후 운행 스케쥴 정보에 기준할 때,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요구되는 필요 충전량 정보, 소요 충전 시간 정보, 최적 또는 권장 운행 경로 정보, 최적 주행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현재 배터리 잔량 또는 금회 충전량을 고려할 때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함에 있어서 재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최적 또는 권장 운행 경로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재충전을 해야 하는 중간 지점을 예측하고 예측된 중간 지점에 인접한 충전소를 경유하거나 또는 충전 소비패턴에 따라 해당 전기차 사용자가 선호하는 충전소를 경유하도록 하는 운행 경로를 생성하여,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및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의 구동에 따라 휴대통신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의 구동에 따라 전기차의 내부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GUI를 통해 사용자가 전기차 주차 모드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는, 휴대통신단말에 데이터 입력된 금일 또는 익일의 사용자 스케쥴 정보와 현재 주차 위치 정보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는, 전기차의 시동 정지 이전에 전기차의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와 현재 주차 위치 정보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스케쥴 정보 및 현재 주차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주차 위치로부터 사용자 스케쥴 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사용자 스케쥴 정보에 포함된 요일 및 스케쥴 예정 시간에서의 통계적 교통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였을 때 예측되는 예측 연비 정보를 산출하며,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예측 연비 정보를 기준으로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배터리 예상 소모량 및 운행 예상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 정보 전송하며,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 산출된 배터리 예상 소모량과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예상 소모량에 비해 부족한 경우,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준으로 예측 산출되는 최대 운행 거리를 고려하였을 때 최대 운행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에 관한 후보군을 추출하고, 후보군 중 어느 하나를 권장 충전소로 결정하며, 권장 충전소를 경유하는 운행 경로로 운행이 이루어질 때의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운행 예상 시간에 권장 충전소에서의 충전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충전 예상 시간을 합산한 시간을 최종 운행 예상 시간으로 산출하고,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 산출된 최종 운행 예상 시간에 근거하여 권장 출발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권장 충전소 정보, 최종 운행 예상 시간 정보, 예상 운행 경로 정보, 권장 출발 시간 정보를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 정보 전송하며,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권장 충전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추출된 후보군들 중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예상 운행 경로에 가장 근접한 위치의 전기차 충전소를 권장 충전소로 결정하거나, 또는 후보군에 해당하는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들로부터 획득된 시간대별 충전 대기율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권장 출발 시간에 출발이 이루어진 경우에 각 전기차 충전소에 도착할 예측 시간대에서의 충전 대기율을 추출하고, 충전 대기율이 가장 낮은 전기차 충전소를 권장 충전소로 결정하며, 서비스 편의 정보는, 전기차 이동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및 위치의 날씨 및 기온을 나타내는 정보인 주변 날씨 정보를 포함하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기온에 따른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인 기온-주행거리 상관 관계 정보 및 주변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 배터리의 현재의 충전량에 따른 주행 가능한 거리인 잔여 주행 거리를 산출하여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 정보 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충전기 설치와 동작 시 입력되는 충전기 점검정보 및 충전기의 기준 전압, 전류, 충전 시퀀스, 통신타이밍, 누설전력, 이상동작(fault error), 경고사항(warning), 입출력 데이터, 노이즈 증감, 커넥터, 전력선 및 신호의 단선(open), 단락(short)데이터를 포함하는 충전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충전기의 이상유무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에서, 충전 비용을 지불 또는 결제하는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확인하거나 선불 카드의 경우에 잔액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충전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기차의 충전을 수행하며, 전기차 충전에 따른 전력 사용량의 전력 또는 전기차 충전에 소요된 충전 시간을 기초로 충전에 대한 통화 요금을 산출하고, 전기차 충전에 대하여 산출된 요금을 사용자가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전기차 사용자들에게 전기차 충전 및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차 산업 및 전기차 관련 서비스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의 일정을 참조하여 전기자동차가 운행될 것으로 예상하는 경로 및 거리를 자동적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 및 거리에 기반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충전량만큼 충전함으로써 운행되는 시간 동안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가 목표 충전량만큼 충전하지 않고 타 충전 장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충전량 관련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전기자동차가 타 충전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목표 충전량만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전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기차에 설치되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및 전기차 사용자 소지의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구현 가능한 다양한 편의 서비스들에 관한 서비스 구현 순서도.
도 5는 전기차 충전 결재시스템의 흐름도.
도 6은 누전차단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순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전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기차에 설치되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및 전기차 사용자 소지의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구현 가능한 다양한 편의 서비스들에 관한 서비스 구현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은, 전기차(10)에 설치되며, 전기차의 ECU(Electroinc Control Unit) 및 전기차에 탑재된 전자 장비와 데이터 연동되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 전기차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통신단말(20)에 설치되며,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 연동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 및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50)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50-1, 50-2)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차 식별정보 및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50)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50-1, 50-2)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요금 정산을 수행하는 충전 정산 서버(도시를 생략함)가 더 포함된다.
또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충전기 설치와 동작 시 입력되는 충전기 점검정보 및 충전기의 기준 전압, 전류, 충전 시퀀스, 통신타이밍, 누설전력, 이상동작(fault error), 경고사항(warning), 입출력 데이터, 노이즈 증감, 커넥터, 전력선 및 신호의 단선(open), 단락(short)데이터를 포함하는 충전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충전기의 이상유무를 진단한다.
또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로부터 획득된 배터리 정보 및 차량운행 직접정보,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로부터 획득된 차량운행 간접정보,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20)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50-1, 50-2)로부터 획득된 충전 상황 정보를 전달받아 전기차 충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편의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서비스 편의 정보를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50),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50-1, 50-2)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기차(10)의 ECU와의 관계에서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 ECU 연동부(110), 해당 전기차(10)에 탑재된 다른 전자 장비(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단말, GPS 모듈, 안테나 모듈 등)와의 관계에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탑재 장비 연동부(120), 해당 전기차(10) 이외의 외부 통신 장비와의 통신 연동을 수행하는 외부 통신 연동부(130), 메모리(140), 정보 처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하드웨어 모듈로서 전기차에 설치될 수도 있고, 앱(App) 형태로 구현되어 전기차의 하드웨어 모듈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교류 충전 방식을 채용한 전기차의 경우 통신을 하지 않아 차량의 상태를 알 수 없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배터리 충전 전에 차량 정보를 입력하면 배터리 충전시의 충전량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충전 관련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초기 정보가 입력되면, 전기차 충전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충전방식 전환점까지 누적 충전량을 산출하고, 그 누적 산출량이 충전방식 전환점에 도달한 이후부터는 해당 차량의 초기정보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분할기준시간 당 충전량을 산출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목표충전량 정보까지의 후행충전량을 기산하는 방식이 함께 적용될 수 있으며, 분할기준시간은 누적충전량의 증가에 따라 시간 간격이 점차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매 분할기준시간의 충전량을 상기 후행충전량으로부터 차감하여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5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전기차 연동부(210), 휴대통신단말(20) 내의 각종 정보 및 앱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정보 연동부(220), 휴대통신단말(20) 이외의 외부 통신 장비와의 통신 연동을 수행하는 외부 통신 연동부(230), 메모리(240), 정보 처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는 앱(App) 형태로 구현되어 휴대통신단말(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 연동부(310), 사용자 단말 연동부(320), 충전소/스테이션 연동부(330), 교통 정보 연동부(340), 메모리(350), 서비스 처리부(370), 데이터베이스(36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다음과 같은 편의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할 때,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주차 공간 또는 충전소에 입차된 전기차의 차량번호가 식별된 경우[도 4의 S110, S120 참조], 식별된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수행하여[도 4의 S130 참조], 해당 전기차 사용자의 충전 소비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충전 소비패턴에 맞춰 생성한 서비스 편의 정보를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 및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도 4의 S140 참조].
이때, 제공되는 서비스 편의 정보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로부터 수신된 해당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 또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로부터 수신된 향후 운행 스케쥴 정보에 기준할 때,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요구되는 필요 충전량 정보, 소요 충전 시간 정보, 최적 또는 권장 운행 경로 정보, 최적 주행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도 4의 S150, S160 참조].
또한, 서비스 편의 정보는, 전기차 이동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및 위치의 날씨 및 기온을 나타내는 정보인 주변 날씨 정보를 포함하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기온에 따른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인 기온-주행거리 상관 관계 정보 및 주변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 배터리의 현재의 충전량에 따른 주행 가능한 거리인 잔여 주행 거리를 산출하여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인전트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 정보 전송한다.
이때, 만일 현재 배터리 잔량 또는 금회 충전량을 고려할 때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함에 있어서 재충전이 요구되는 경우라면,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최적 또는 권장 운행 경로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재충전을 해야 하는 중간 지점을 예측하고 예측된 중간 지점에 인접한 충전소를 경유하거나 또는 충전 소비패턴에 따라 해당 전기차 사용자가 선호하는 충전소를 경유하도록 하는 운행 경로를 생성하여,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 및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의 실시예 이외에도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다음과 같은 편의 서비스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의 구동에 따라 휴대통신단말(20)의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의 구동에 따라 전기차(10)의 내부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GUI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전기차 주차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는 휴대통신단말(20)에 데이터 입력된 금일 또는 익일의 사용자 스케쥴 정보와 현재 주차 위치 정보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고,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는 전기차(10)의 시동 정지 이전에 전기차의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와 현재 주차 위치 정보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스케쥴 정보 및 현재 주차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주차 위치로부터 사용자 스케쥴 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사용자 스케쥴 정보에 포함된 요일 및 스케쥴 예정 시간에서의 통계적 교통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였을 때 예측되는 예측 연비 정보를 산출하며,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상기 예측 연비 정보를 기준으로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배터리 예상 소모량 및 운행 예상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로 정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 산출된 배터리 예상 소모량과 현재 배터리 잔량 간의 비교 결과 현재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예상 소모량에 비해 부족한 경우라면,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준으로 예측 산출되는 최대 운행 거리를 고려하였을 때 최대 운행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에 관한 후보군을 추출하고, 후보군 중 어느 하나를 권장 충전소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권장 충전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추출된 후보군들 중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예상 운행 경로에 가장 근접한 위치의 전기차 충전소를 권장 충전소로 결정하거나, 또는 후보군에 해당하는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들로부터 획득된 시간대별 충전 대기율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권장 출발 시간에 출발이 이루어진 경우에 각 전기차 충전소에 도착할 예측 시간대에서의 충전 대기율을 추출하고, 충전 대기율이 가장 낮은 전기차 충전소를 권장 충전소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권장 충전소를 경유하는 운행 경로로 운행이 이루어질 때의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운행 예상 시간에 권장 충전소에서의 충전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충전 예상 시간을 합산한 시간을 최종 운행 예상 시간으로 산출하고,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 산출된 최종 운행 예상 시간에 근거하여 권장 출발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권장 충전소 정보, 최종 운행 예상 시간 정보, 예상 운행 경로 정보, 권장 출발 시간 정보를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200)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100)로 정보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전기차 사용자들에게 전기차 충전 및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차 산업 및 전기차 관련 서비스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차 충전시 결재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전기차 충전 결재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의 수행하고,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50-1, 50-2)에서, 충전 비용을 지불 또는 결제하는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확인하거나, 선불 카드의 경우에 잔액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S10)하는데, 여기서 사용자의 확인은 신용 카드, 회원 카드 등의 다양한 카드에 대한 승인 또는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전기차의 충전을 수행(S30)하는데, 전기차의 충전은 충전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수행된다.
전기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전기차 충전에 대한 통화 요금을 산출(S50)하는데, 여기서 통화 요금은 전기차 충전에 따른 전력 사용량의 전력 요금을 변환하여 산출할 수도 있고 또는 전기차 충전에 소요된 충전 시간을 기초로 산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기차 충전에 대하여 산출된 요금이 사용자에게 결제(S70)된다.
도 5에서는 전기차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전기차 충전에 대한 통화 요금이 부과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황에 따라서는 전기차 충전을 수행하기 이전에 먼저 사용자가 충전량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통화요금이 지불 또는 결제되고, 그 후에 통화요금에 따른 전기차 충전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차 충전기의 누전차단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다양한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한 경미한 누전현상으로 전기차 충전기의 누전차단기 OFF 상태가 발생할 경우 전문 인력의 출동서비스가 필요 없이 전기차 충전기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복구시키는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6은 누전차단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서비스가 시작되면 직ㆍ교류누전검출부가 공급 전원의 누전여부를 검출한다(S31).
누전 발생 여부에 따라, 누전이 발생된 경우에는 누전 차단기를 OFF 작동시키고(S32),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충전서비스를 수행한다(S37).
누전차단기가 OFF 작동된 이후 누전여부를 다시 검출하여(S33), 누전상태가 계속 되면, 누전 발생을 제어부가 통신모듈을 통해 누전발생 정보를 알리고(S34),
누전 현상이 검출되지 않으면 공급전압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 후(S35), 누전차단기를 ON 상태로 복구하고(S36), 정상적으로 충전서비스를 수행하여(S37) 충전 절차를 완료한다(S38).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전기차 충전기의 고장원인 중 80%가 넘는 순시 누전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OFF 작동 현상에 대해, 순간적인 누전현상이라면 곧바로 누전차단기를 복구하며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재가동시켜 사용자들에게 충전 서비스를 신속하게 재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전기차 100: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110:ECU 연동부 120:탑재 장비 연동부
130:외부 통신 연동부 140,240,350:메모리
150,250:정보 처리부 200: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210:전기차 연동부 220:단말 정보 연동부
230:외부 통신 연동부 300: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
310:전기차 연동부 320:사용자 단말 연동부
330:충전소/스테이션 연동부 340:교통정보 연동부
370:서비스 처리부

Claims (4)

  1. 삭제
  2. 전기차에 설치되며, 전기차의 ECU(Electroinc Control Unit) 및 전기차에 탑재된 전자 장비와 데이터 연동되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전기차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며,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 연동되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및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획득된 배터리 정보 및 차량운행 직접정보,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획득된 차량운행 간접정보,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획득된 충전 상황 정보를 전달받아 전기차 충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편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편의 정보를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며,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차 식별정보 및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 또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요금 정산을 수행하는 충전 정산 서버가 더 포함되며,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주차 공간 또는 충전소에 입차된 전기차의 차량번호가 식별된 경우, 식별된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수행하여, 해당 전기차 사용자의 충전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충전 소비패턴에 맞춰 생성한 서비스 편의 정보를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및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되;
    서비스 편의 정보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해당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향후 운행 스케쥴 정보에 기준할 때,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요구되는 필요 충전량 정보, 소요 충전 시간 정보, 최적 또는 권장 운행 경로 정보, 최적 주행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현재 배터리 잔량 또는 금회 충전량을 고려할 때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함에 있어서 재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최적 또는 권장 운행 경로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재충전을 해야 하는 중간 지점을 예측하고 예측된 중간 지점에 인접한 충전소를 경유하거나 또는 충전 소비패턴에 따라 해당 전기차 사용자가 선호하는 충전소를 경유하도록 하는 운행 경로를 생성하여,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 및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의 구동에 따라 휴대통신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의 구동에 따라 전기차의 내부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GUI를 통해 사용자가 전기차 주차 모드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는,
    휴대통신단말에 데이터 입력된 금일 또는 익일의 사용자 스케쥴 정보와 현재 주차 위치 정보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는,
    전기차의 시동 정지 이전에 전기차의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와 현재 주차 위치 정보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스케쥴 정보 및 현재 주차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주차 위치로부터 사용자 스케쥴 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사용자 스케쥴 정보에 포함된 요일 및 스케쥴 예정 시간에서의 통계적 교통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였을 때 예측되는 예측 연비 정보를 산출하며,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예측 연비 정보를 기준으로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배터리 예상 소모량 및 운행 예상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 정보 전송하며,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 산출된 배터리 예상 소모량과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예상 소모량에 비해 부족한 경우,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준으로 예측 산출되는 최대 운행 거리를 고려하였을 때 최대 운행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에 관한 후보군을 추출하고, 후보군 중 어느 하나를 권장 충전소로 결정하며,
    권장 충전소를 경유하는 운행 경로로 운행이 이루어질 때의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운행 예상 시간에 권장 충전소에서의 충전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충전 예상 시간을 합산한 시간을 최종 운행 예상 시간으로 산출하고,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 산출된 최종 운행 예상 시간에 근거하여 권장 출발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권장 충전소 정보, 최종 운행 예상 시간 정보, 예상 운행 경로 정보, 권장 출발 시간 정보를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 정보 전송하며,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권장 충전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추출된 후보군들 중 향후 운행 목적지까지의 예상 운행 경로에 가장 근접한 위치의 전기차 충전소를 권장 충전소로 결정하거나, 또는 후보군에 해당하는 전기차 충전소 관리 단말들로부터 획득된 시간대별 충전 대기율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권장 출발 시간에 출발이 이루어진 경우에 각 전기차 충전소에 도착할 예측 시간대에서의 충전 대기율을 추출하고, 충전 대기율이 가장 낮은 전기차 충전소를 권장 충전소로 결정하며,
    서비스 편의 정보는,
    전기차 이동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및 위치의 날씨 및 기온을 나타내는 정보인 주변 날씨 정보를 포함하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기온에 따른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인 기온-주행거리 상관 관계 정보 및 주변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 배터리의 현재의 충전량에 따른 주행 가능한 거리인 잔여 주행 거리를 산출하여 사용자 정보 연동 에이전트 또는 전기차 정보 연동 에이전트로 정보 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서버는,
    충전기 설치와 동작 시 입력되는 충전기 점검정보 및 충전기의 기준 전압, 전류, 충전 시퀀스, 통신타이밍, 누설전력, 이상동작(fault error), 경고사항(warning), 입출력 데이터, 노이즈 증감, 커넥터, 전력선 및 신호의 단선(open), 단락(short)데이터를 포함하는 충전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충전기의 이상유무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장치에서, 충전 비용을 지불 또는 결제하는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확인하거나 선불 카드의 경우에 잔액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충전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기차의 충전을 수행하며,
    전기차 충전에 따른 전력 사용량의 전력 또는 전기차 충전에 소요된 충전 시간을 기초로 충전에 대한 통화 요금을 산출하고,
    전기차 충전에 대하여 산출된 요금을 사용자가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145548A 2019-11-14 2019-11-14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KR102280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548A KR102280938B1 (ko) 2019-11-14 2019-11-14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548A KR102280938B1 (ko) 2019-11-14 2019-11-14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093A KR20210059093A (ko) 2021-05-25
KR102280938B1 true KR102280938B1 (ko) 2021-07-26

Family

ID=7614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548A KR102280938B1 (ko) 2019-11-14 2019-11-14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9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522B1 (ko) * 2021-06-10 2021-09-27 송정훈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CN113532466A (zh) * 2021-07-28 2021-10-22 车主邦(北京)科技有限公司 充电导航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852505B (zh) * 2021-09-26 2023-10-27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充电中断故障的监控及处置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CN114140937B (zh) * 2021-11-29 2023-04-07 宁波三星智能电气有限公司 分布式充电装置共享方法、共享装置、路侧泊车系统
CN114274827B (zh) * 2021-12-06 2024-05-17 上海电享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云端服务与本地控制结合的充电场站控制系统
KR102413963B1 (ko) * 2021-12-09 2022-06-28 정창균 전기차 충전기
CN114379407A (zh) * 2021-12-27 2022-04-22 安徽绿舟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电池的定位运营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223B1 (ko) * 2010-11-18 201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
KR20120107810A (ko) * 2011-03-22 2012-10-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KR101841237B1 (ko) 2017-12-06 2018-03-22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충전상태 모니터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093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38B1 (ko)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US10023063B2 (en) Location-based electric power mediation module, electric vehicle, mediation server, and user certification socket or connector
JP6034198B2 (ja) グリッド統合された自動車のための電気自動車装置
TWI453135B (zh) 控制電動車充電程序的方法、電動車充電控制系統以及電動車充電系統
US85948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aggregation of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for real-time auctioning of ancillary services, and real-time lowest cost matching electric vehicle energy demand to charging services
US20140203077A1 (en) Intelligent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KR20200011292A (ko) 전기차를 위한 충전 및 결제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46995B1 (ko)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US20120086396A1 (en)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charging efficiency control and providing adaptive charging service
CN109155016A (zh) 用于对电动车辆充电的方法和设备
EP3597475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structure
CN109195828A (zh) 用于对电动车辆充电的方法和设备
US202202524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Travel Routes Based On Vehicle Travel Range And Overhead Costs
KR101413291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US105258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JP2009225638A (ja) 電力中継装置および電力中継システム
KR20120076524A (ko)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98100B1 (ko) 위치기반 전력중개용 전기자동차 및 위치기반 전력중개용 중개서버
KR102557612B1 (ko) 전기차 충전기를 연계한 수요 관리 방법
CN103847536B (zh) 电动车辆充电监控的车用装置及其方法
KR102414493B1 (ko) 전기이동체를 위한 충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충방전 시스템
KR102433299B1 (ko)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기반 스마트 충전 시스템
CN114379407A (zh) 一种新能源汽车电池的定位运营系统及方法
KR100420302B1 (ko) 주행거리에 기초한 보험료산정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118523A (ko) 전기차의 충전량 산출 및 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