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724B1 -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724B1
KR102280724B1 KR1020190114834A KR20190114834A KR102280724B1 KR 102280724 B1 KR102280724 B1 KR 102280724B1 KR 1020190114834 A KR1020190114834 A KR 1020190114834A KR 20190114834 A KR20190114834 A KR 20190114834A KR 102280724 B1 KR102280724 B1 KR 10228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rame
frame
locking
ring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286A (ko
Inventor
장원선
박선양
Original Assignee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to KR102019011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7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에 의해 중량물이 이동되면서 충돌되거나 크레인의 요동에 의해 중량물이 낙하되어 크레인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위치되는 베이스부재(100)와, 베이스부재(100)에서 상부로 기립되는 메인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관리자를 보호하는 보호부재(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Crane safety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크레인에 의해 중량물이 이동되면서 충돌되거나 크레인의 요동에 의해 중량물이 낙하되어 크레인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토목 공사 현장이나 조선소, 자재의 이송이 빈번한 건축현장과 같은 대형 생산 현장에서는 자재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여러 중대형 크레인을 가동하거나, 지상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무빙 크레인과 같은 크레인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크레인에는 인양물에 줄걸이를 할 수 있는 후크가 포함된다.
인양물을 걸기위해 후크를 이동시키는 중, 또는 후크에 인양물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후크가 장애물 사이로 이동하면서 후크가 장애물과 충돌해 장애물을 전복시키거나, 이동과정에서 후크에 걸려있는 줄걸이가 풀리면서 크레인이 전복되어 사람이나 다른 물체를 파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근하는 물체를 지상으로부터 먼거리 등의 이유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더라도 위치 및 주변 상황을 운전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타워 크레인의 레이져 스캔 충동 방지 시스템이 제안된바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7032호(2012. 10. 12.공고) "레이져 스캔 충돌 방지 시스템"이 그것이다.
상시 타워 크레인의 충돌 방지 시스템은 회전 운동하는 지브 전방 붐과 후방 붐을 최대 30m 범위에 포함하도록 레이저 스캔 센서를 어댑터와 함께 설치하고, 다른 크레인의 붐, 와이어가 접근했을시 출력 값을 상부 박스에 설치된 PLC로 받아서, 거리와 방향에 따라 동작 신호를 운전실의 디스플레이에 보내 거리 표시값에 따라서 알람과 램프가 근접하는 물체의 방향에 대해 동작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크레인 후크에 무거운 인양물을 거는 과정에서 후크가 스윙되어 일어나는 사고나 무거운 중량물의 인양과정과 이송 과정에서 후크의 기울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충돌사고를 감독하는 감독관의 안전확보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레인에 의해 중량물이 이동되면서 충돌되거나 크레인의 요동에 의해 중량물이 낙하되어 크레인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는,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위치되는 베이스부재(100)와, 베이스부재(100)에서 상부로 기립되는 메인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관리자를 보호하는 보호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메인프레임(20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210)과, 연결프레임(210)의 상단에 형성된 상태로 보호부재(3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연결프레임(21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하단이 연결되는 하부연결프레임(211)과, 하부연결프레임(211)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암형결합부(212)와, 하부연결프레임(211)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암형결합부(213)와, 지지프레임(220)에 상단이 연결되는 상부연결프레임(214)과,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암형결합부(212)에 결합되거나 하부암형결합부(213)에 결합되는 하부수형결합부(215)와, 상부연결프레임(214)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암형결합부(212)에 결합되는 상부수형결합부(2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연결프레임(21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하단이 연결되는 하부연결프레임(211)과, 지지프레임(220)에 상단이 연결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상부연결프레임(214)과, 하부연결프레임(211)에 구비된 상태로 상부연결프레임(214)의 승강을 가이드하면서 승강된 상태를 록킹시키는 록킹부(250)를 포함하고, 록킹부(250)는 하부연결프레임(211)이 고정되고 상부연결프레임(214)이 상하로 관통되는 상하홀(255)이 형성되는 록킹바디(251)와, 록킹바디(251)에 내장된 상태로 상하홀(255)의 측방으로 이동되어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홀에 삽입되어서 록킹되는 록킹로드(252)와, 록킹바디(251)에 구비된 상태로 록킹로드(252)를 이동시켜서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홀에 록킹로드(253)가 삽입되게 하고, 록킹로드(252)를 반대로 이동시켜서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홀에서 록킹로드(252)가 분리되게 하는 로드조작부(2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록킹로드(252)는 복수로 구성되어 록킹바디(251)에서 양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되며, 로드조작부(253)는 록킹로드(252)의 기어치에 교합되는 피니언(254)과, 피니언(254)을 회전시키는 손잡이(255)를 포함하고, 피니언(254)의 상부 및 하부에 록킹로드(252)들이 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지지프레임(220)은 보호부재(300)의 하부에서 내주면의 둘레에 지지되는 하부링(221)과, 보호부재(300)의 상부에서 내주면의 둘레에 지지되는 상부링(222)과, 하부링(221) 및 상부링(222)에 양단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샤프트(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링(221)은 보호부재(300)의 직경보다 작고 상부링(2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지지프레임(220)은 하부링(221) 및 상부링(222)에 구비된 상태로 보호부재(300)에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하고, 고정부재(230)는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고무블록으로 구성되거나 일측이 절개된 고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보호부재(300)는 상부로 볼록하면서 투명한 우산 형태나 캡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거치대(400)는 메인프레임(200)의 지지프레임(220)에 걸리는 걸쇠(410)와, 걸쇠(410)에 걸린 상태로 무전기가 수용되는 포켓(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크레인에 의해 중량물이 이동되면서 충돌되거나 크레인의 요동에 의해 중량물이 낙하되어 크레인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연결프레임 및 상부연결프레임이 분해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연결프레임 및 상부연결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부연결프레임 및 상부연결프레임의 전체적인 길이가 축소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록킹부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록킹부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위치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베이스프레임(100)에서 상부로 기립되는 메인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관리자를 보호하는 보호부재(300)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원형의 링으로 구성되어 지면에 고르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00)는 일반성인이 수용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리자는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0)은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프레임(20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210)과, 연결프레임(210)의 상단에 형성된 상태로 보호부재(3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연결프레임(210)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샤프트로 구성되어 베이스프레임(100) 및 지지프레임(220)에 양단이 볼트나 용접에 의해 연결되므로 지지프레임(220)의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들이 베이스프레임(100) 및 지지프레임(220)의 사이에서 후방에 위치되므로 베이스프레임(100) 및 지지프레임(220)의 사이에서 전방이 개방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베이스프레임(100) 및 지지프레임(220)의 사이에서 전방을 통해 편리하게 드나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나드는 과정에서 샤프트들에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연결프레임(210)들에는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걸이샤프트(217)가 연결될 수 있다. 걸이샤프트(217)가 수평상태이면서 양단이 연결프레임(210)들에 연결되므로 연결프레임(210)들의 기립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걸이샤프트(217)에는 현황판이 걸려서 사용되거나 안전모 등이 걸려서 보관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20)은 보호부재(300)의 하부에서 내주면의 둘레에 지지되는 하부링(221)과, 보호부재(300)의 상부에서 내주면의 둘레에 지지되는 상부링(222)과, 하부링(221) 및 상부링(222)에 양단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샤프트(223)를 포함한다.
하부링(221)은 보호부재(300)의 직경보다 작고 상부링(2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보호부재(300)의 하부에서 내주면에 지지된다.
상부링(222)은 하부링(22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보호부재(300)의 상부에서 내주면에 지지된다.
연결샤프트(223)들이 방사상으로 분산되면서 하부링(221) 및 상부링(222)에 연결되므로, 관리자가 연결샤프트(223)들의 사이를 통해 외부를 주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링(221) 및 상부링(222)의 이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샤프트(223)들은 보호부재(300)의 내주면에 고르게 지지되도록 곡선으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링(222)에 의해 보호부재(300)의 상부가 지지되고 하부링(221)에 의해 보호부재(300)의 하부가 지지되므로, 보호부재(300)의 지지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20)은 하부링(221) 및 상부링(222)에 구비된 상태로 보호부재(300)에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230)는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고무블록으로 구성되어 하부링(221) 및 상부링(222)에 각각 부착되어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230)가 일측이 절개된 고무링으로 구성되어 절개된 부분을 강제로 벌려서 하부링(221) 및 상부링(222)에 각각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220)이 보호부재(300)에 삽입되면 하부링(221) 및 상부링(222)에 각각 구비된 고정부재(230)들이 보호부재(300)의 내주면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호부재(300)에 외부의 충격이 전달되어도 고정부재(230)에서 충격이 완화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200)은 베이스부재(100)에서 연결프레임(210)의 하부에 연결되고, 지지프레임(220)에서 연결프레임(2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결프레임(210)의 기립된 상태를 보강하는 보강샤프트(240)를 포함한다. 보강샤프트(240)는 볼트나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보호부재(300)는 상부로 볼록하면서 투명한 우산 형태나 캡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호부재(300)의 볼록한 부분이 상부를 향하는 상태에서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므로 관리자의 두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낙하되는 중량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부재(300)가 투명하게 형성됨에 따라 관리자가 보호부재(300)를 벗어나지 않는 상태로 외부를 주시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보호부재(300)의 하부에 안전하게 피신한 상태에서 보호부재(300)를 통해 크레인의 동작을 주시하면서 휴대하는 무선마이크를 이용하여 크레인조종사에게 크레인작업을 관리 및 감독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휴대하는 무선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자신이 직접 크레인을 원격으로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300)에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외선차단필름(310)이 부착될 수 있어서, 야외의 햇빛으로부터 관리자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차단필름(310)이 부착됨에 따라 보호부재(300)의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부재(300)의 파손됨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결프레임(21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하단이 연결되는 하부연결프레임(211)과, 하부연결프레임(211)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암형결합부(212)와, 하부연결프레임(211)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암형결합부(213)와, 지지프레임(220)에 상단이 연결되는 상부연결프레임(214)과,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암형결합부(212)에 결합되거나 하부암형결합부(213)에 결합되는 하부수형결합부(215)와, 상부연결프레임(214)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암형결합부(212)에 결합되는 상부수형결합부(216)를 포함한다.
상부암형결합부(212)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어서 하부수형결합부(215)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하부수형결합부(215)가 상부의 상부암형결합부(212)에 결합되면 하부연결프레임(211) 및 상부암형결합부(212)의 전체적인 길이가 증대될 수 있다. 물론, 하부수형결합부(215)가 하부의 상부암형결합부(212)에 결합되면 하부연결프레임(211) 및 상부암형결합부(212)의 전체적인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프레임(21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서 관리자가 자신의 키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수형결합부(216)가 상부암형결합부(212)에 1차로 결합되면서 하부수형결합부(215)가 하부암형결합부(213)에 2차로 결합되면,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연결프레임(210)의 전체적인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21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하단이 연결되는 하부연결프레임(211)과, 지지프레임(220)에 상단이 연결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상부연결프레임(214)과, 하부연결프레임(211)에 구비된 상태로 상부연결프레임(214)의 승강을 가이드하면서 승강된 상태를 록킹시키는 록킹부(250)를 포함한다.
하부연결프레임(211)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단이 록킹부(250)에 고정된다.
상부연결프레임(214)은 복수로 구성되어 하단이 록킹부(250)를 관통한다.
록킹부(250)는 하부연결프레임(211)이 고정되고 상부연결프레임(214)이 상하로 관통되는 상하홀(256)이 형성되는 록킹바디(251)와, 록킹바디(251)에 내장된 상태로 상하홀(256)의 측방으로 이동되어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홀에 삽입되어서 록킹되는 록킹로드(252)와, 록킹바디(251)에 구비된 상태로 록킹로드(252)를 이동시켜서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홀에 록킹로드(252)가 삽입되게 하고, 록킹로드(252)를 반대로 이동시켜서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홀에서 록킹로드(252)가 분리되게 하는 로드조작부(253)를 포함한다.
록킹바디(251)는 하부연결프레임(211)들에 양측이 고정되어 수평상태를 이루고, 양단에서 상하홀(256)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록킹로드(252)들이 상하홀(256)들로 이동됨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록킹로드(252)는 복수로 구성되어 록킹바디(251)에서 양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된다. 이러한, 록킹로드(252)는 측방으로 이동되어 상하홀(256)의 측방으로 관통된다.
로드조작부(253)는 록킹로드(252)의 기어치에 교합되는 피니언(254)과, 피니언(254)을 회전시키는 손잡이(255)를 포함한다. 여기서, 피니언(254)의 상부 및 하부에 록킹로드(252)들이 교합된다. 따라서, 손잡이(255)를 회전시키면 피니언(254)이 회전되므로 교합된 록킹로드(252)들이 양측으로 이동되어 상부연결프레임(214)들의 홀에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되고, 손잡이(255)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피니언(254)도 반대로 회전되므로 교합된 록킹로드(252)들이 양측에서 중앙으로 이동되어 상부연결프레임(214)들의 홀에서 각각 분리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피니언(254)을 이용하여 두 개의 록킹로드(252)를 이동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록킹로드(252)들의 록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하부연결프레임(211)에서 상부연결프레임(214)을 승강시켜서 연결프레임(21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의 무선기가 거치되도록 메인프레임(200)에 구비되는 거치대(400)를 포함한다.
거치대(400)는 메인프레임(200)의 지지프레임(220)에 걸리는 걸쇠(410)와, 걸쇠(410)에 걸린 상태로 무전기가 수용되는 포켓(420)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걸쇠(410)는 지지프레임(220)의 하부연결프레임(221)에 걸리도록 상부가 절곡되게 형성되고, 포켓(420)이 걸리도록 하부가 절곡되게 형성된다. 즉, 전체적인 형상이 'S'형태나 'C'형태를 이루게 된다.
포켓(420)은 걸쇠(410)가 관통되어서 걸리도록 상부에 홀이 형성되고 무선기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하부에 형성된다. 이때, 무전기가 수용부에 삽입되면 양측 및 하부가 걸려서 고정되면서 전면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관리자가 무전기의 전면에 형성된 스위치를 조작하면서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크레인에 의해 중량물이 이동되면서 충돌되거나 크레인의 요동에 의해 중량물이 낙하되어 크레인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베이스프레임 200 : 메인프레임
210 : 연결프레임 211 : 하부연결프레임
212 : 상부암형결합부 213 : 하부암형결합부
214 : 상부연결프레임 215 : 하부수형결합부
216 : 상부수형결합부 217 : 걸이샤프트
220 : 지지프레임 221 : 하부링
222 : 상부링 223 : 연결샤프트
240 : 보강샤프트 250 : 록킹부
251 : 록킹바디 252 : 록킹로드
253 : 로드조작부 254 : 피니언
255 : 손잡이 256 : 상하홀
300 : 보호부재 400 : 거치대
410 : 걸쇠 420 : 포켓

Claims (10)

  1.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위치되는 베이스부재(100)와,
    베이스부재(100)에서 상부로 기립되는 메인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관리자를 보호하는 보호부재(300)를 포함하고,
    메인프레임(20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210)과,
    연결프레임(210)의 상단에 형성된 상태로 보호부재(3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0)을 포함하고,
    연결프레임(21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하단이 연결되는 하부연결프레임(211)과,
    지지프레임(220)에 상단이 연결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상부연결프레임(214)과,
    하부연결프레임(211)에 구비된 상태로 상부연결프레임(214)의 승강을 가이드하면서 승강된 상태를 록킹시키는 록킹부(250)를 포함하고,
    록킹부(250)는
    하부연결프레임(211)이 고정되고 상부연결프레임(214)이 상하로 관통되는 상하홀(255)이 형성되는 록킹바디(251)와,
    록킹바디(251)에 내장된 상태로 상하홀(255)의 측방으로 이동되어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홀에 삽입되어서 록킹되는 록킹로드(252)와,
    록킹바디(251)에 구비된 상태로 록킹로드(252)를 이동시켜서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홀에 록킹로드(253)가 삽입되게 하고, 록킹로드(252)를 반대로 이동시켜서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홀에서 록킹로드(252)가 분리되게 하는 로드조작부(2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프레임(21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하단이 연결되는 하부연결프레임(211)과,
    하부연결프레임(211)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암형결합부(212)와,
    하부연결프레임(211)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암형결합부(213)와,
    지지프레임(220)에 상단이 연결되는 상부연결프레임(214)과,
    상부연결프레임(214)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암형결합부(212)에 결합되거나 하부암형결합부(213)에 결합되는 하부수형결합부(215)와,
    상부연결프레임(214)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암형결합부(212)에 결합되는 상부수형결합부(2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록킹로드(252)는 복수로 구성되어 록킹바디(251)에서 양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되며,
    로드조작부(253)는 록킹로드(252)의 기어치에 교합되는 피니언(254)과, 피니언(254)을 회전시키는 손잡이(255)를 포함하고,
    피니언(254)의 상부 및 하부에 록킹로드(252)들이 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프레임(220)은
    보호부재(300)의 하부에서 내주면의 둘레에 지지되는 하부링(221)과,
    보호부재(300)의 상부에서 내주면의 둘레에 지지되는 상부링(222)과,
    하부링(221) 및 상부링(222)에 양단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샤프트(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하부링(221)은 보호부재(300)의 직경보다 작고 상부링(2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지지프레임(220)은 하부링(221) 및 상부링(222)에 구비된 상태로 보호부재(300)에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하고,
    고정부재(230)는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고무블록으로 구성되거나 일측이 절개된 고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부재(300)는 상부로 볼록하면서 투명한 우산 형태나 캡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거치대(400)는
    메인프레임(200)의 지지프레임(220)에 걸리는 걸쇠(410)와,
    걸쇠(410)에 걸린 상태로 무전기가 수용되는 포켓(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KR1020190114834A 2019-09-18 2019-09-18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KR10228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34A KR102280724B1 (ko) 2019-09-18 2019-09-18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34A KR102280724B1 (ko) 2019-09-18 2019-09-18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86A KR20210033286A (ko) 2021-03-26
KR102280724B1 true KR102280724B1 (ko) 2021-07-21

Family

ID=7525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834A KR102280724B1 (ko) 2019-09-18 2019-09-18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7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436A (ja) * 1995-02-17 1996-08-27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ビンのヘッドガ−ド
KR20100000235U (ko) * 2008-06-30 2010-01-07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변압기 맨홀의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KR20120008635U (ko) * 2011-06-08 2012-12-18 이경복 이동식 안전작업대
KR20150145940A (ko) * 2014-06-20 2015-12-31 (주)한국에어로테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86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5831B1 (en) Mobile lift unit
CN107522147B (zh) 一种建筑用高安全性升降式施工台
CN204625039U (zh) 一种安全吊塔
US9453556B2 (en) Rope connecting support for use in crane vehicle when hoist rope is stretched
KR102280724B1 (ko)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CN110799443B (zh) 施工用吊舱设备及配有施工用吊舱设备的施工车
US20050006175A1 (en) Apparatus for controlled stabilized descent
CN213031847U (zh) 一种悬崖秋千
JPH06219688A (ja) ラフィングジブのバックストップ組立体
CN212224866U (zh) 一种建筑工程管理用安全围栏
NL2010422C2 (nl) Steigermodule alsmede lift geschikt voor een dergelijke steigermodule.
JP5508488B2 (ja) スケータークレーン
JP2001003379A (ja) マンホール安全ガード
CN205204691U (zh) 一种声光一体安全塔吊
KR102612322B1 (ko) 4방향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CN214739752U (zh) 一种建筑工程用可调节式支撑装置
JP3220879U (ja) 自立式草刈用飛散防止ネット
CN213011678U (zh) 一种便于操作的起重机
EP3425157B1 (en) Demountable assembly for lifting windows
KR102437874B1 (ko) 고소 작업차량
KR102646249B1 (ko)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CN220928618U (zh) 一种景观桥侧面装饰施工用载人吊篮装置
CN217680407U (zh) 一种安全性高的载人吊篮
NL2020293B1 (en) Demountable assembly for lifting windows
CN213202071U (zh) 一种地下隧道检测机器人吊装用扶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