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193B1 -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193B1
KR102280193B1 KR1020210016602A KR20210016602A KR102280193B1 KR 102280193 B1 KR102280193 B1 KR 102280193B1 KR 1020210016602 A KR1020210016602 A KR 1020210016602A KR 20210016602 A KR20210016602 A KR 20210016602A KR 102280193 B1 KR102280193 B1 KR 102280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ring agent
heating
main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필
이원재
최주연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보안전
이원재
최주연
하이로드켐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보안전, 이원재, 최주연, 하이로드켐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보안전
Priority to KR102021001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20Arrangements for agit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g. for stirring, mixing or homogen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marking-out the location of the markings; Guiding or steering devices for marking apparatus, e.g. s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는 차량에 탑재되되, 가열된 열매체를 이용하여 차선 도색용 주제와 경화제를 가열하고 주제와 경화제의 가열온도가 유지된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차량에 탑재되되, 공급유닛으로부터 가열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으며, 가열된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한 차선도색제를 도로에 분사하는 분사유닛; 및 차량에 탑재되되, 공급유닛과 분사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공급유닛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으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압력 유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TRAFFIC LANE PAINTING DEVICE WITH TWO LIQUID TYP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車道)에는 띠 모양의 각종 차선이 도색(塗色)되며, 차선은 차량을 원활하게 통행시키고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차선은 주행방향과 주행간격 등의 식별을 위한 백색차선 및 반대편 차선과의 구분을 위한 중앙차선인 황색차선 등이 있다.
이러한 차선을 그리기 위한 도료의 종류에는 가열형, 상온형, 수용성, 융착식, 이액형 등이 있으며, 도료의 종류에 맞게 차선 도색장치도 다양하게 구성된다.
특히, 이액형 도료를 사용하는 차선 도색장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 분사하면서 차선을 도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차선도색제를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면서 차선을 도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에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 30분~1시간 정도 차선 도색작업을 진행한 후 재차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므로 분사노즐 등에 경화가 발생되면 차선도색 작업을 연속하여 진행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초래한다.
따라서, 연속하여 차선 도색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차선 도색작업을 함에 있어서 차선도색제의 경화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차선 도색장치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77612호(2005.08.03.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선 도색용 주제와 경화제를 가열하고 주제와 경화제의 가열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주제와 경화제를 연속하여 공급함으로써 차선 도색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차선도색제의 경화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용 이액형 처선 도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탑재되되, 가열된 열매체를 이용하여 차선 도색용 주제와 경화제를 가열하고 주제와 경화제의 가열온도가 유지된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차량에 탑재되되,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가열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으며, 가열된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한 차선도색제를 도로에 분사하는 분사유닛; 및 차량에 탑재되되, 상기 공급유닛과 상기 분사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유닛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으며,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압력 유지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닛은, 가열된 열매체를 이용하여 주제를 가열하는 주제 가열부와, 상기 주제 가열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주제 가열부로부터 가열된 주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가 충진된 주제 저장부와, 상기 주제 저장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주제를 상기 주제 가열부와 상기 주제 저장부와 상기 압력 유지유닛을 거쳐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하는 주제 공급펌프를 구비한 주제 공급모듈; 및 열매체를 이용하여 경화제를 가열하는 경화제 가열부와, 상기 경화제 가열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경화제 가열부로부터 가열된 경화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가 충진된 경화제 저장부와, 상기 경화제 저장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경화제를 상기 경화제 가열부와 상기 경화제 저장부와 상기 압력 유지유닛을 거쳐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하는 경화제 공급펌프를 구비한 경화제 공급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 가열부는, 열매체가 충진된 제1 가열용기와, 상기 제1 가열용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가열용기 내의 열매체를 가열하는 제1 버너와, 상기 제1 가열용기에 충진된 열매체에 침지되며 주제가 내부에서 이동되는 동안 가열된 열매체에 의해 주제가 가열되는 나선형의 제1 코일관을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 가열부는, 열매체가 충진된 제2 가열용기와, 상기 제2 가열용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가열용기 내의 열매체를 가열하는 제2 버너와, 상기 제2 가열용기에 충진된 열매체에 침지되며 경화제가 내부에서 이동되는 동안 가열된 열매체에 의해 경화제가 가열되는 나선형의 제2 코일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 저장부는, 상기 제1 코일관에 연통되며 가열된 주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 저장용기와,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가 충진되고 상기 제1 저장용기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저장용기 내의 주제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제1 보온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 저장부는, 상기 제2 코일관에 연통되며 가열된 경화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2 저장용기와,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가 충진되고 상기 제2 저장용기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저장용기 내의 경화제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제2 보온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유지유닛은, 상기 제1 저장용기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저장용기로부터 주제를 공급받으며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주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주제 압력 유지부; 상기 제2 저장용기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저장용기로부터 경화제를 공급받으며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경화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경화제 압력 유지부; 및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가 충진되고 상기 주제 압력 유지부와 상기 경화제 압력 유지부가 수용되며, 상기 주제 압력 유지부 내의 주제 및 상기 경화제 압력 유지부 내의 경화제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수용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열용기와 상기 제1 보온용기와 상기 수용용기는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열용기에서 가열된 열매체는 순차로 상기 제1 보온용기와 상기 수용용기 및 상기 제1 가열용기로 순환되며, 상기 제2 가열용기와 상기 제2 보온용기와 상기 수용용기는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열용기에서 가열된 열매체는 순차로 상기 제2 보온용기와 상기 수용용기 및 상기 제2 가열용기로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유지유닛과 상기 분사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 유지유닛에서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압력 유지유닛에서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는 혼합기; 및 상기 혼합기에 연결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차선도색제를 도로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차선 도색용 주제와 경화제를 가열하고 주제와 경화제의 가열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주제와 경화제를 압력 유지유닛 및 분사유닛에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차선 도색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차선 도색작업을 함에 있어서 차선도색제의 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선 도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 및 경화제와 열매체의 공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 가열부 및 경화제 가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 저장부 및 경화제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유지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선 도색장치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선 도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 및 경화제와 열매체의 공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 가열부 및 경화제 가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 저장부 및 경화제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유지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100)는, 차량(C)의 전방에 설치되어 도로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도로를 건조시키는 전처리유닛(600)과, 차량(C)에 탑재되되 차선 도색용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는 공급유닛(200)과, 차량(C)에 탑재되되 공급유닛(200)으로부터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으며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압력 유지유닛(300)과, 차량(C)에 탑재되되 압력 유지유닛(300)으로부터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아 주제와 경화제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유닛(400)과, 차량(C)에 탑재되되 필터유닛(400)을 거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아 혼합하며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차선도색제를 도로에 분사하는 분사유닛(5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유닛(600)은 차량(C)의 전방에 설치되어 차선이 도색될 도로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도로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차선을 도색함에 있어서 도로 표면에 이물질이 있거나 도로 표면이 젖은 상태인 경우에 차선 도색에 앞서 도로 표면의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유닛(600)은 연료가 연소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고온 및 고압의 열풍을 이용하여 도로 표면의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처리유닛(600)은 내부에 연소공간(S)이 형성된 본체부(610)와, 본체부(610)의 폭방향(Y방향) 양측부에 설치된 점화플러그(630)와, 분기되어 본체부(610)의 폭방향(Y방향) 양측부에 결합되어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호스(640)와, 본체부(610)의 길이방향(X방향) 전방에 형성되어 열풍을 도로에 분사하는 복수의 열풍분사구(620)와, 본체부(610)에 결합되어 복수의 열풍분사구(620)에서 분사되는 열풍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650)와, 본체부(610)에 연결되어 본체부(610)를 회전시켜 도로에 대한 복수의 열풍분사구(6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660)를 포함한다.
본체부(610)는 차량(C)의 전방에 배치되며 연료의 연소공간(S)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료는 LPG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610)의 내부에서 연소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연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체부(610)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량(C)의 폭방향(Y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610)의 내부에는 연료와 압축공기가 공급되며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S)이 마련된다.
연소공간(S) 내에서 연료가 연소 및 폭발되며, 연료의 연소 및 폭발에 의해 발생된 고온 및 고압의 열풍은 후술할 열풍분사구(620)를 통해 분사된다.
그리고 본체부(610)의 폭방향 양측부에는 연소공간(S) 내에서 연료를 발화 연소시키기 위해 점화플러그(63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부(610) 내부의 연소공간(S)에 연료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호스(640)가 본체부(610)의 폭방향(Y방향) 양측부에 결합된다. 공급호스(640)는 일단부가 분기되어 연료가 저장된 연료탱크(미도시)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미도시)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본체부(610)의 폭방향(Y방향) 양측부에 연소공간(S)에 연통되게 결합된다.
연료와 압축공기는 혼합된 상태로 공급호스(640)를 통해 본체부(610)의 연소공간(S)에 공급되며, 연소공간(S) 내에 연료와 압축공기가 고르게 분포되고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해 공급호스(640)의 타단부는 분기되어 본체부(610)의 폭방향 양측부에 연소공간(S)에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소공간(S) 내에서 연료의 연소를 촉진 및 원활하게 하고 연료의 연소에 따른 고압의 열풍을 열풍분사구(620)를 통해 분사할 수 있도록 고압의 압축공기가 연소공간(S)에 공급된다.
그리고 열풍분사구(620)는 도로에 대향되는 본체부(610)의 전방에 복수 개 형성되고 본체부(61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열풍분사구(620)는 연소공간(S)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연소공간(S)에서 발생된 열풍을 도로에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열풍분사구(620)는 본체부(610)의 전방에 형성된 관통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열풍분사구(620)의 단면형상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650)는 본체부(610)에 결합되어 복수의 열풍분사구(62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열풍의 방향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65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본체부(610)에 결합되고 타측이 본체부(6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650)의 타측은 열풍분사구(620)를 감싸는 방향으로 라운딩지게 형성될 수 있다. 라운딩지게 형성된 가이드부(650)의 타측이 열풍분사구(620)를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본체부(610)의 전방에서 열풍분사구(620)를 바라보는 경우에 가이드부(650)에 의해 열풍분사부가 보이지 않는다. 이는 열풍분사구(620)에서 분사되는 열풍이 분산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집중되어 도로 표면의 이물질 및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또한 본체부(610)의 연소공간(S)에서 연료가 연소 및 폭발하는 경우에 화염이 열풍분사구(620)를 통해 본체부(610) 및 열풍분사구(620)의 외부로 분출될 수 있으므로 화염으로 인한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각도조절부(660)는 본체부(610)에 연결되어 본체부(610)를 회전시킴으로써 도로에 대한 복수의 열풍분사구(620)의 각도를 조절한다.
각도조절부(660)는 일측이 차량(C)에 연결되고 타측이 본체부(610)에 연결되어 본체부(610)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각도조절부(660)는 차량(C)에 연결된 지지부재(661)와, 지지부재(6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지지바(662)와, 일측이 제1 지지바(662)에 결합되고 타측이 본체부(610)에 결합되어 제1 지지바(662)와 본체부(610)가 함께 회전되게 하는 제1 결합부재(663)와, 일측이 지지부재(661)에 연결되고 타측에 배치된 로드(665)가 제1 지지바(662)에 연결된 실린더부재(664)를 포함한다(도 2 참조).
지지부재(661)는 차량(C)의 전방에 결합되어 본체부(610) 및 실린더부재(664)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661)는 한 쌍의 수직바(661a)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수직바(661a)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수평바(661b)에 의해 상호 결합된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재(661)의 상단부가 차량(C)의 전방에 결합되고 지지부재(661)의 하단부에 본체부(610) 및 실린더부재(664)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지지부재(661)의 상단부는 차량(C)의 전방에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661)의 하단부에는 제1 지지바(66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1 지지바(662)는 긴 막대형상을 가지며 일단부가 지지부재(661)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재(661)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지지바(662)의 타단부와 본체부(610)를 상호 연결하고 제1 지지바(662)와 본체부(610)가 함께 회전되도록 제1 지지바(662)의 타단부와 본체부(610) 사이에 제1 결합부재(663)가 마련된다.
제1 결합부재(663)의 일측은 제1 지지바(662)에 결합되며, 제1 결합부재(663)의 타측은 본체부(6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재(663)는 제1 지지바(662)에 결합된 제1 링크(663a)와 본체부(610)의 후방에 결합된 제2 링크(663b)가 볼트(663c)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되게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610)와 제1 지지바(662)를 결합할 수 있는 형태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실린더부재(664)는 일측이 제2 지지바(666)를 매개로 지지부재(661)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에 배치된 로드(665)가 제2 결합부재(667)를 매개로 제1 지지바(662)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지지바(666)는 긴 막대형상을 가지며 일단부가 지지부재(661)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재(661)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실린더부재(664)의 일측이 제2 지지바(666)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제2 결합부재(667)의 일측은 제1 지지바(662)에 결합되고 제2 결합부재(667)의 타측에 실린더부재(664)의 로드(66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실린더부재(664)의 로드(665)가 신축되는 경우에 제2 결합부재(667)의 일측에 결합된 제1 지지바(662)와 제1 결합부재(663)를 매개로 제1 지지바(662)와 결합된 본체부(610)는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처럼 실린더부재(664)의 로드(665)를 신축시켜 본체부(610)를 회전시킴으로써 본체부(610)의 전방에 배치된 복수의 열풍분사구(620)의 도로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200)은 열매체(M)를 이용하여 차선 도색용 주제와 경화제가 상호 혼합되기 용이한 상태로 가열하고, 가열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는 동안 주제와 경화제의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급유닛(200)은 차량(C)의 후방에 배치된 적재부에 탑재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유닛(200)은 주제를 공급하는 주제 공급모듈(210)과,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 공급모듈(230)을 포함한다.
주제 공급모듈(210)은 열매체(M)를 이용하여 주제를 가열하고 가열된 주제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제 공급모듈(210)은 백색차선 및/또는 황색차선을 도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주제 공급모듈(210)이 1개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백색 및 황색 색상의 주제를 별개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백색 및 황색 색상의 주제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주제 공급모듈(210)이 2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제 공급모듈(210)은 가열된 열매체(M)를 이용하여 주제를 가열하는 주제 가열부(211)와, 주제 가열부(211)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주제 가열부(211)로부터 가열된 주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M)가 충진된 주제 저장부(215)와, 주제 저장부(215)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주제를 주제 가열부(211)와 주제 저장부(215)와 압력 유지유닛(300)을 거쳐 분사유닛(500)으로 공급하는 주제 공급펌프(218)를 포함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 가열부(211)는 열매체(M)가 충진된 제1 가열용기(212)와, 제1 가열용기(212)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1 가열용기(212) 내의 열매체(M)를 가열하는 제1 버너(213)와, 제1 가열용기(212)에 충진된 열매체(M)에 침지되며 주제가 내부에서 이동되는 동안 가열된 열매체(M)에 의해 주제가 가열되는 나선형의 제1 코일관(214)을 포함한다.
제1 가열용기(212)는 밀폐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열매체(M)가 충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매체(M)는 물, 부동액, 오일 등을 포함한다. 한편, 제1 가열용기(212)의 상부에는 압력 게이지(미도시), 압력조절밸브(미도시), 온도계(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열용기(212)의 내부에 충진된 열매체(M)를 가열하기 위해 제1 가열용기(212)의 하부에는 제1 버너(213)가 마련된다. 제1 버너(213)에 의해 제1 가열용기(212) 내의 열매체(M)는 약 60~75℃로 가열된다.
그리고 제1 가열용기(212)의 내부에는 열매체(M)와 열교환 방식으로 주제를 가열할 수 있도록 제1 가열용기(212) 내에 충진된 열매체(M)에 나선형 형태의 제1 코일관(214)이 침지된다.
주제 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주제는 제1 코일관(214)으로 공급되며 주제가 제1 코일관(214)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열매체(M)와의 열교환방식에 의해 가열된다. 제1 코일관(214)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주제는 약 50~55℃로 가열된다.
그리고 제1 코일관(214)에서 가열된 주제는 제1 배관(P1)을 따라 이동된 후 주제 저장부(215)에 저장된다.
주제 저장부(215)는 주제 가열부(211)에서 가열된 주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가열된 주제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 저장부(215)는 제1 코일관(214)에 연통되며 가열된 주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 저장용기(216)와,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M)가 충진되고 제1 저장용기(216)가 수용되며 제1 저장용기(216) 내의 주제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제1 보온용기(217)를 포함한다.
제1 저장용기(216)는 제1 코일관(214)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제1 코일관(214)에서 가열된 주제는 제1 배관(P1)을 따라 이동된 후 제1 저장용기(216)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1 저장용기(216)에 저장된 주제의 가열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제1 저장용기(216)는 제1 보온용기(217)에 수용된다.
제1 보온용기(217)의 내부에는 가열된 열매체(M)가 충진되어 제1 저장용기(216) 내의 주제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한편, 제1 버너(213)에 의해 제1 가열용기(212) 내에서 가열된 열매체(M)는 제1 순환펌프(W1)에 의해 제1 순환배관(CP1)을 따라 이동된 후 제1 보온용기(217)의 내부로 공급된다.
즉, 제1 가열용기(212) 내에서 가열된 열매체(M)가 제1 보온용기(217)의 내부로 공급되어 제1 보온용기(217) 내의 열매체(M)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이로써 제1 저장용기(216) 내의 주제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제1 저장용기(216) 내에 저장된 주제는 제1 저장용기(216)에 연통되게 연결된 주제 공급펌프(218)에 의해 제2 배관(P2)을 따라 이동된 후 후술할 압력 유지유닛(300)의 주제 압력 유지부(310)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주제 가열부(211)의 제1 코일관(214)에서 가열된 주제는 제1 저장용기(216)에 저장된 후 주제 공급펌프(218)를 통해 후술할 주제 압력 유지부(310)와 필터유닛(400)을 거친 후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된다.
주제 공급펌프(218)는 주제를 제1 가열용기(212)와 제1 저장용기(216)와 주제 압력 유지부(310)로 공급하는 공급압력을 제공하고 또한 분사유닛(500)의 분사노즐(530)을 통해 차선도색제가 분사되는 분사압력을 제공한다.
또한 경화제 공급모듈(230)은 열매체(M)를 이용하여 경화제를 가열하고 가열된 경화제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경화제 공급모듈(230)은 열매체(M)를 이용하여 경화제를 가열하는 경화제 가열부(231)와, 경화제 가열부(231)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경화제 가열부(231)로부터 가열된 경화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M)가 충진된 경화제 저장부(235)와, 경화제 저장부(235)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경화제를 경화제 가열부(231)와 경화제 저장부(235)와 압력 유지유닛(300)을 거쳐 분사유닛(500)으로 공급하는 경화제 공급펌프(238)를 포함한다.
경화제 가열부(231)는 열매체(M)가 충진된 제2 가열용기(232)와, 제2 가열용기(232)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2 가열용기(232) 내의 열매체(M)를 가열하는 제2 버너(233)와, 제2 가열용기(232)에 충진된 열매체(M)에 침지되며 경화제가 내부에서 이동되는 동안 가열된 열매체(M)에 의해 경화제가 가열되는 나선형의 제2 코일관(234)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제2 가열용기(232)는 밀폐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열매체(M)가 충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매체(M)는 물, 부동액, 오일 등을 포함한다. 한편, 제2 가열용기(232)의 상부에는 압력 게이지(미도시), 압력조절밸브(미도시), 온도계(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열용기(232)의 내부에 충진된 열매체(M)를 가열하기 위해 제2 가열용기(232)의 하부에는 제2 버너(233)가 마련된다. 제2 버너(233)에 의해 제2 가열용기(232) 내의 열매체(M)는 약 60~75℃로 가열된다.
그리고 제2 가열용기(232)의 내부에는 열매체(M)와 열교환 방식으로 경화제를 가열할 수 있도록 제2 가열용기(232) 내에 충진된 열매체(M)에 나선형 형태의 제2 코일관(234)이 침지된다.
경화제 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된 경화제는 제2 코일관(234)으로 공급되며 경화제가 제2 코일관(234)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열매체(M)와의 열교환방식에 의해 가열된다. 제2 코일관(234)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경화제는 약 50~55℃로 가열된다.
그리고 제2 코일관(234)에서 가열된 경화제는 제5 배관(P5)을 따라 이동된 후 경화제 저장부(235)에 저장된다.
경화제 저장부(235)는 경화제 가열부(231)에서 가열된 경화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가열된 경화제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경화제 저장부(235)는 제2 코일관(234)에 연통되며 가열된 경화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2 저장용기(236)와,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M)가 충진되고 제2 저장용기(236)가 수용되며 제2 저장용기(236) 내의 경화제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제2 보온용기(237)를 포함한다(도 5 참조).
제2 저장용기(236)는 제2 코일관(234)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제2 코일관(234)에서 가열된 경화제는 제5 배관(P5)을 따라 이동된 후 제2 저장용기(236)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2 저장용기(236)에 저장된 경화제의 가열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제2 저장용기(236)는 제2 보온용기(237)에 수용된다.
제2 보온용기(237)의 내부에는 가열된 열매체(M)가 충진되어 제2 저장용기(236) 내의 경화제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한편, 제2 버너(233)에 의해 제2 가열용기(232) 내에서 가열된 열매체(M)는 제2 순환펌프(W2)에 의해 제4 순환배관(CP4)을 따라 이동된 후 제2 보온용기(237)의 내부로 공급된다.
즉, 제2 가열용기(232) 내에서 가열된 열매체(M)가 제2 보온용기(237)의 내부로 순차로 공급되고 순환되어 제2 보온용기(237) 내의 열매체(M)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이로써 제2 저장용기(236) 내의 경화제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제2 저장용기(236) 내에 저장된 경화제는 제2 저장용기(236)에 연통되게 연결된 경화제 공급펌프(238)에 의해 제6 배관(P6)을 따라 이동된 후 후술할 압력 유지유닛(300)의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경화제 가열부(231)의 제2 코일관(234)에서 가열된 경화제는 제2 저장용기(236)에 저장된 후 경화제 공급펌프(238)를 통해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와 후술할 필터유닛(400)을 거친 후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된다.
경화제 공급펌프(238)는 경화제를 제2 가열용기(232)와 제2 저장용기(236)와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로 공급하는 공급압력을 제공하고 또한 후술할 분사유닛(500)의 분사노즐(530)을 통해 차선도색제가 분사되는 분사압력을 제공한다.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유지유닛(300)은 공급유닛(200)과 분사유닛(500) 사이에 마련되어 공급유닛(200)으로부터 가열된 주제 및 경화제를 공급받으며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압력 유지유닛(300)은 분사유닛(500)에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차선도색제의 분사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즉, 압력 유지유닛(300)은 분사유닛(500)에 공급되는 주제 및 경화제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아울러 압력 유지유닛(300)은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분사유닛(500)에서 분사되는 차선도색제의 분사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 유지유닛(300)은 차량(C)의 후방에 배치된 적재부에 탑재될 수 있다.
압력 유지유닛(300)은 제1 저장용기(216)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제1 저장용기(216)로부터 주제를 공급받으며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되는 주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주제 압력 유지부(310)와, 제2 저장용기(236)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제2 저장용기(236)로부터 경화제를 공급받으며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되는 경화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와,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M)가 충진되고 주제 압력 유지부(310)와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가 수용되며 주제 압력 유지부(310) 내의 주제 및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 내의 경화제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수용용기(350)를 포함한다.
주제 압력 유지부(310)는 주제가 저장된 제1 저장용기(216)에 연통되게 연결된 주제 공급펌프(218)에 의해 주제를 공급받으며(주제는 제1 저장용기(216)에서 제2 배관(P2)를 따라 이동된 후 주제 압력 유지부(310)으로 공급됨), 주제 공급펌프(218)의 구동에 따른 주제 공급펌프(218)의 압력 변동에 따른 수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화하여 주제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분사유닛(500)으로 공급한다.
주제 압력 유지부(310)는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며, 주제 공급펌프(218)의 압력 변동은 주제 압력 유지부(310)의 내부에 수용된 기체에 의해 흡수되거나 완화된다. 즉 주제 압력 유지부(310)의 내부에 수용된 기체는 댐핑(damping)역할을 하므로, 주제 공급펌프(218)에서 주제 압력 유지부(310)로 공급되는 주제의 공급량에 따라 주제 압력 유지부(310) 내의 수위 변동은 내부에 수용된 기체에 의해 흡수되거나 완화되어 분사유닛(500)방향으로 공급되는 주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주제 압력 유지부(310)에는 압축공기 공급원(미도시)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압축공기 공급원은 주제 압력 유지부(310) 내에 설정된 수위가 압력변화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하여 주제 압력 유지부(310) 내의 기체 압력 및 주제의 수위가 적정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는 경화제가 저장된 제2 저장용기(236)에 연통되게 연결된 경화제 공급펌프(238)에 의해 경화제를 공급받으며(경화제는 제2 저장용기(236)에서 제6 배관(P6)를 따라 이동된 후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으로 공급됨), 경화제 공급펌프(238)의 구동에 따른 경화제 공급펌프(238)의 압력 변동에 따른 수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화하여 경화제 공급량을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분사유닛(500)으로 공급한다.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는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며, 경화제 공급펌프(238)의 압력 변동은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의 내부에 수용된 기체에 의해 흡수되거나 완화된다.
즉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의 내부에 수용된 기체는 댐핑역할을 하므로, 경화제 공급펌프(238)에서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로 공급되는 경화제의 공급량에 따라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 내의 수위 변동은 내부에 수용된 기체에 의해 흡수되거나 완화되어 분사유닛(500)방향으로 공급되는 경화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에는 압축공기 공급원(미도시)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압축공기 공급원은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 내에 설정된 수위가 압력변화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 내의 기체 압력 및 경화제의 수위가 적정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용기(350)의 내부에는 가열된 열매체(M)가 충진되어 내부에 수용된 주제 압력 유지부(310) 내의 주제와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 내의 경화제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버너(213)에 의해 제1 가열용기(212) 내에서 가열된 열매체(M)는 제1 순환펌프(W1)에 의해 제1 순환배관(CP1)을 따라 이동된 후 제1 보온용기(217)의 내부로 공급되고 제1 보온용기(217)의 내부에 공급된 가열된 열매체(M)는 제2 순환배관(CP2)을 따라 이동된 후 수용용기(350)의 내부로 공급되어 수용용기(350) 내의 열매체(M)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제2 버너(233)에 의해 제2 가열용기(232) 내에서 가열된 열매체(M)는 제2 순환펌프(W2)에 의해 제4 순환배관(CP4)을 따라 이동된 후 제2 보온용기(237)의 내부로 공급되고 제2 보온용기(237)의 내부에 공급된 가열된 열매체(M)는 제5 순환배관(CP5)을 따라 이동된 후 수용용기(350)의 내부로 공급되어 수용용기(350)의 내의 열매체(M)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가열용기(212)와 제1 보온용기(217)와 수용용기(350)는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제1 순환펌프(W1)에 의해 제1 가열용기(212)에서 가열된 열매체(M)는 순차로 제1 순환배관(CP1)을 따라 제1 보온용기(217)로 공급되고 제2 순환배관(CP2)을 따라 수용용기(350)로 공급되며 제3 순환배관(CP3)을 따라 제1 가열용기(212)의 내부로 재공급되어 순환된다. 또한 제2 가열용기(232)와 제2 보온용기(237)와 수용용기(350)는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제2 순환펌프(W2)에 의해 제2 가열용기(232)에서 가열된 열매체(M)는 순차로 제4 순환배관(CP4)을 따라 제2 보온용기(237)로 공급되고 제5 순환배관(CP5)을 따라 수용용기(350)로 공급되며 제6 순환배관(CP1)을 따라 제2 가열용기(232)의 내부로 재공급되어 순환된다.
이처럼 열매체(M)를 순환시켜 수용용기(350) 내의 열매체(M)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제 압력 유지부(310) 내의 주제의 온도 및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 내의 경화제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400)은 압력 유지유닛(300)과 분사유닛(500) 사이에 마련되어 압력 유지유닛(300)에서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필터유닛(400)은 차량(C)의 후방에 배치된 적재부에 탑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장치(100)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 공급유닛(200), 압력 유지유닛(300), 각종 배관 등에 경화된 주제 또는 경화제 등이 잔존할 수 있으므로,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되는 주제 및 경화제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또한 기타 주제와 경화제에 이물질이 함유된 경우 등에도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필터유닛(400)은 소정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분사유닛(500)으로 유입되는 방지하기 위해 메쉬망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물질이 분사유닛(5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필터유닛(400)은 주제 압력 유지부(310)에서 제3 배관(P3)을 통해 공급되는 주제에 함유된 이물질과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에서 제7 배관(P7)을 통해 공급되는 경화제에 함유된 이물질을 별개로 필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500)은 공급유닛(200)과 압력 유지유닛(300)과 필터유닛(400)을 거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아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고,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차선도색제를 도로에 분사하여 도로에 차선을 도색한다.
분사유닛(500)은 압력 유지유닛(300) 및 필터유닛(400)을 거쳐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는 혼합기(mixer,510)와, 혼합기(510)에 연결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차선도색제를 도로에 분사하는 분사노즐(5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510)에는 주제 압력 유지부(310)에서 필터유닛(400)을 거친 주제가 공급되는 제4 배관(P4)과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에서 필터유닛(400)을 거친 경화제가 공급되는 제8 배관(P8)이 별개로 연통되게 연결된다.
혼합기(510)에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는 혼합기(510)의 내부에 마련된 스크류 등에 의해 혼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혼합기(510)는 공지된 믹스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혼합기(510)에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차선도색제는 연속하여 분사노즐(530)로 공급되고 도로에 분사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주제 및 경화제가 공급유닛(200)과 압력 유지유닛(300)과 필터유닛(400) 및 분사유닛(500)으로 이동되는 동안 주제 및 경화제가 이동되는 배관 등에는 히팅코일(미도시)이 설치되어 주제 및 경화제가 이동되는 동안에도 주제 및 경화제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100)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선 도색장치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100)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은, 차선이 도색될 도로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도로를 건조시키는 도로 전처리단계(S100)와, 백색 또는 황색 색상의 주제와 경화제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단계(S200)와, 주제와 경화제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300)와, 가열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차선도색제를 도로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먼저, 도로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도로를 건조시키는 도로 전처리 단계(S100)는 차량(C)의 전방에 설치된 전처리유닛(600)을 이용하여 차선이 도색될 도로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도로의 수분을 건조시킨다. 즉, 차선을 도색함에 있어서 도로에 이물질이 있거나 도로가 젖은 상태인 경우에 차선 도색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먼저 차량(C)의 전방에 설치된 전처리유닛(600)을 이용하여 도로의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610)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홀(620)이 차선을 도색할 도로를 향하도록 실린더부재(664)의 로드(665)를 신장시킨다. 그리고 본체부(610)의 내부에 LPG가스와 압축공기를 공급한 후, 점화플러그(630)를 이용하여 LPG가스를 본체부(610)의 내부에서 연소 및 폭발시킨다. LPG가스의 폭발에 의해 발생된 압력에 의해 LPG가스의 연소 및 폭발에 의한 고열의 열풍은 복수의 열풍분사구(620)을 통해 도로에 분사되며, 복수의 열풍분사구(620)에서 배출된 고열의 열풍을 이용하여 도로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차선이 도색될 도로를 건조시킨다.
그리고 백색 또는 황색 색상의 주제와 경화제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단계(S200)는 차량(C)의 후방에 적재된 공급유닛(200)을 이용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설정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한다.
주제 저장탱크에 저장된 주제는 제1 코일관(214)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제1 가열용기(212) 내의 가열된 열매체(M)와 열교환방식에 의해 가열되고, 경화제 저장탱크에 저장된 경화제는 제2 코일관(234)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제2 가열용기(232) 내의 가열된 열매체(M)와 열교환방식에 의해 가열된다.
그리고 제1 코일관(214)을 따라 이동된 주제는 제1 저장용기(216)에 저장되고 제2 코일관(234)을 따라 이동된 경화제는 제2 저장용기(236)에 저장된다. 이때 제1 저장용기(216)는 가열된 열매체(M)가 수용된 제1 보온용기(217)에 수용되므로 제1 저장용기(216)에 저장된 주제의 가열온도가 유지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저장용기(236)는 가열된 열매체(M)가 수용된 제2 보온용기(237)에 수용되므로 제2 저장용기(236)에 저장된 경화제의 가열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주제는 주제 공급펌프(218)에 의해 순차로 제1 코일관(214), 제1 저장용기(216),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되는데, 주제 공급펌프(218)의 압력 변동에 의해 시간에 따른 주제의 공급량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시간에 따른 주제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제1 저장용기(216)와 분사유닛(500) 사이에 주제 압력 유지부(310)를 마련한다. 즉, 주제 압력 유지부(310)에 의해 주제의 공급량 즉, 주제의 공급압력 및 분사유닛(500)에서 분사되는 차선도색제의 분사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경화제는 경화제 공급펌프(238)에 의해 순차로 제2 코일관(234), 제2 저장용기(236),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되는데, 경화제 공급펌프(238)의 압력 변동에 의해 시간에 따른 경화제의 공급량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시간에 따른 경화제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제2 저장용기(236)와 분사유닛(500) 사이에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를 마련한다. 즉,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에 의해 경화제의 공급량 즉, 경화제의 공급압력 및 분사유닛(500)에서 분사되는 차선도색제의 분사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제 압력 유지부(310)와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에 각각 수용된 주제와 경화제의 가열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주제 압력 유지부(310)와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는 가열된 열매체(M)가 충진된 수용용기(350)에 수용된다.
한편, 제1 가열용기(212)와 제1 보온용기(217)와 수용용기(350)에 충진된 열매체(M)는 제1 가열용기(212)에서 가열된 후 제1 순환펌프(W1)에 의해 순차로 제1 보온용기(217)와 수용용기(350) 및 제1 가열용기(212)의 내부로 순환되며, 제2 가열용기(232)와 제2 보온용기(237)와 수용용기(350)에 충진된 열매체(M)는 제2 가열용기(232)에서 가열된 후 제2 순환펌프(W2)에 의해 순차로 제2 보온용기(237)와 수용용기(350) 및 제2 가열용기(232)의 내부로 순환된다.
그리고 주제와 경화제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300)는 차량(C)의 후방에 적재된 필터유닛(400)을 이용하여 주제와 경화제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주제 압력 유지부(310)에서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되는 주제는 필터유닛(400)을 거치는 동안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에서 분사유닛(500)으로 공급되는 경화제는 필터유닛(400)을 거치는 동안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가열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차선도색제를 도로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S400)는 분사유닛(500)을 이용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고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차선도색제를 도로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한다.
주제 압력 유지부(310)를 거친 주제와 경화제 압력 유지부(330)를 거친 경화제는 각각 분사유닛(500)의 혼합기(510)에 공급되어 혼합되어 차선도색제를 이룬다. 그리고 차선도색제는 분사노즐(530)을 통해 도로에 분사되어 차선을 도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차선 도색장치 200: 공급유닛:
210: 주제 공급모듈 211: 주제 가열부
212: 제1 가열용기 213: 제1 버너
214: 제1 코일관 215: 주제 저장부
216: 제1 저장용기 217: 제1 보온용기
218: 주제 공급펌프 230: 경화제 공급모듈
231: 경화제 가열부 232: 제2 가열용기
233: 제2 버너 234: 제2 코일관
235: 경화제 저장부 236: 제2 저장용기
237: 제2 보온용기 238: 경화제 공급펌프
300: 압력 유지유닛 310: 주제 압력 유지부
330: 경화제 압력 유지부 350: 수용용기
400: 필터유닛 500: 분사유닛
510: 혼합기 530: 분사노즐
600: 전처리유닛 610: 본체부
620: 열풍분사구 630: 점화플러그
640: 공급호스 650: 가이드부
660: 각도조절부

Claims (8)

  1. 차량에 탑재되되, 가열된 열매체를 이용하여 차선 도색용 주제와 경화제를 가열하고 주제와 경화제의 가열온도가 유지된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차량에 탑재되되,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가열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으며, 가열된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한 차선도색제를 도로에 분사하는 분사유닛; 및
    차량에 탑재되되, 상기 공급유닛과 상기 분사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유닛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으며,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압력 유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유닛은,
    가열된 열매체를 이용하여 주제를 가열하는 주제 가열부와, 상기 주제 가열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주제 가열부로부터 가열된 주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가 충진된 주제 저장부와, 상기 주제 저장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주제를 상기 주제 가열부와 상기 주제 저장부와 상기 압력 유지유닛을 거쳐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하는 주제 공급펌프를 구비한 주제 공급모듈; 및
    열매체를 이용하여 경화제를 가열하는 경화제 가열부와, 상기 경화제 가열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경화제 가열부로부터 가열된 경화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가 충진된 경화제 저장부와, 상기 경화제 저장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경화제를 상기 경화제 가열부와 상기 경화제 저장부와 상기 압력 유지유닛을 거쳐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하는 경화제 공급펌프를 구비한 경화제 공급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가열부는, 열매체가 충진된 제1 가열용기와, 상기 제1 가열용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가열용기 내의 열매체를 가열하는 제1 버너와, 상기 제1 가열용기에 충진된 열매체에 침지되며 주제가 내부에서 이동되는 동안 가열된 열매체에 의해 주제가 가열되는 나선형의 제1 코일관을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 가열부는, 열매체가 충진된 제2 가열용기와, 상기 제2 가열용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가열용기 내의 열매체를 가열하는 제2 버너와, 상기 제2 가열용기에 충진된 열매체에 침지되며 경화제가 내부에서 이동되는 동안 가열된 열매체에 의해 경화제가 가열되는 나선형의 제2 코일관을 포함하는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저장부는, 상기 제1 코일관에 연통되며 가열된 주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 저장용기와,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가 충진되고 상기 제1 저장용기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저장용기 내의 주제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제1 보온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 저장부는, 상기 제2 코일관에 연통되며 가열된 경화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2 저장용기와,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가 충진되고 상기 제2 저장용기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저장용기 내의 경화제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제2 보온용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유지유닛은,
    상기 제1 저장용기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저장용기로부터 주제를 공급받으며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주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주제 압력 유지부;
    상기 제2 저장용기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저장용기로부터 경화제를 공급받으며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경화제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경화제 압력 유지부; 및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가 충진되고 상기 주제 압력 유지부와 상기 경화제 압력 유지부가 수용되며, 상기 주제 압력 유지부 내의 주제 및 상기 경화제 압력 유지부 내의 경화제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용기와 상기 제1 보온용기와 상기 수용용기는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열용기에서 가열된 열매체는 순차로 상기 제1 보온용기와 상기 수용용기 및 상기 제1 가열용기로 순환되며,
    상기 제2 가열용기와 상기 제2 보온용기와 상기 수용용기는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열용기에서 가열된 열매체는 순차로 상기 제2 보온용기와 상기 수용용기 및 상기 제2 가열용기로 순환되는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유지유닛과 상기 분사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 유지유닛에서 상기 분사유닛으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압력 유지유닛에서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는 혼합기; 및
    상기 혼합기에 연결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차선도색제를 도로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20210016602A 2021-02-05 2021-02-05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2280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602A KR102280193B1 (ko) 2021-02-05 2021-02-05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602A KR102280193B1 (ko) 2021-02-05 2021-02-05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193B1 true KR102280193B1 (ko) 2021-07-23

Family

ID=7715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602A KR102280193B1 (ko) 2021-02-05 2021-02-05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1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657Y1 (ko) * 2004-06-09 2004-09-14 주식회사 경풍 순간 경화 차선도색이 가능한 차량 탑재용 차선 도색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색차량
KR20050077612A (ko) 2004-01-28 2005-08-03 하용운 2액 반응형 수지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도색 장치
KR101555524B1 (ko) * 2015-01-23 2015-09-24 이영선 이액형 차선도색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612A (ko) 2004-01-28 2005-08-03 하용운 2액 반응형 수지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도색 장치
KR200361657Y1 (ko) * 2004-06-09 2004-09-14 주식회사 경풍 순간 경화 차선도색이 가능한 차량 탑재용 차선 도색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색차량
KR101555524B1 (ko) * 2015-01-23 2015-09-24 이영선 이액형 차선도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3016B2 (en) Applicator assembly for application of adhesives, sealants and coatings
US5988935A (en) Asphalt repair apparatus with dry, radiant heat source
CH694212A5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Reinigen einer heissen Waermeaustauschvorrichtung.
KR102280193B1 (ko) 차량용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2289359B1 (ko)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 차량용 차선 도색장치
JP2009030963A (ja) スチーム発生装置及びその発生方法
US3086713A (en) Mobile sprayer apparatus
US3833059A (en) Hot gas apparatus for recovery of oil values
US20180142431A1 (en) Portable paving material mixing apparatus
CN111157670B (zh) 一种用于测试多态泡沫控制流淌火的试验装置
US52958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usting crude oil
KR102035160B1 (ko) 차선도색 용해기의 가스통 동결방지장치
RU2690634C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на крупных резервуарах с легковоспламеняющимися и горючими жидкостя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708324B1 (ko) 수직 벽 방수시공장치
RU123785U1 (ru) Автогудронатор
US1804592A (en) Distributing tank
KR20160061138A (ko) 차량용 제설장치
RU2680128C1 (ru) Импульсная многомоду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рошк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2031918B1 (ko) 도로 차선 도색 장치
KR100406110B1 (ko) 코올타르 분사장치
KR101295250B1 (ko) 차량용 제설장치
KR20120122195A (ko) 개질 유황 이송장치
CN105873643B (zh) 采用安全管系统(sps)和其他安全装置的爆炸系统中的放热型可内爆发动机(ieex-em)
GB2167854A (en) Apparatus & method for dispensing thermoplastic materials
US3361358A (en) Apparatus for spreading bituminous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