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539B1 -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539B1
KR102279539B1 KR1020197035672A KR20197035672A KR102279539B1 KR 102279539 B1 KR102279539 B1 KR 102279539B1 KR 1020197035672 A KR1020197035672 A KR 1020197035672A KR 20197035672 A KR20197035672 A KR 20197035672A KR 102279539 B1 KR102279539 B1 KR 10227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instruction
data file
action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949A (ko
Inventor
김성수
지나영
민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젠
Publication of KR20190137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92Schedu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06Means for preparing replicas of specimens, e.g. for microscopal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55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i.e. part programme or machine function execution, e.g. selection of a programm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2035/00891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 G01N2035/0091GUI [graphical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9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spiration or dispense of liqui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235Sharing of data between process control and maintenance management compu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을 이용하여 검체(specimen) 내 표적 핵산 분자(target nucleic acid molecule) 검출에 사용되는 검출용 조성물(detection composition)을 준비하는 준비 장치(preparation instrument)를 제어하는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기
본 발명은 통합적 작업 처리 파일을 사용한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 증폭 검사법은 특정 유전자를 증폭하여 상기 유전자의 유무를 판별하는 체외진단검사기술이다. 인간을 비롯한 각종 동물, 식물 등에서 유래하는 다양한 검체를 이용하여 유전자 증폭 검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전자 증폭 반응을 저해하는 물질을 생체시료로부터 제거하고, 핵산을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렇게 추출된 핵산은 증폭용 반응액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핵산추출물 준비 및 증폭용 반응액 준비 등의 검출 조성물 준비 작업은 처음에는 실험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였으나, 준비 과정에서의 휴먼 에러(human error), 비용이나 시간 측면에서의 비효율성 등의 문제로 인하여, 검출용 조성물 준비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화 준비 장치(예를 들어, Liquid Handling Instruments)들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자동화 준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중 하나는 자동화 준비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소 단위 행위들을 정의하고 상기 단위 행위들의 조합으로 준비하고자 하는 작업 행위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화 준비 장치가 용액 분획기인 파이펫터(pipettor)를 사용하는 경우, 파이펫터를 분획용 팁으로 이동시키는 행위, 파이펫터에 분획용 팁을 고정시키는 행위, 분획용 팁이 고정된 파이펫터를 일정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행위, 일정한 깊이로 분획용 팁을 용기에 삽입하는 행위 등의 최소 기본 행위들이 존재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하나의 단위 행위로 정의된다. 또한, 집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집게의 이동, 물건을 집고 이동시키는 행위에 관련된 수 개의 기본 행위들이 각각 단위 행위로 정의될 수 있다. 가열기를 사용하는 경우, 일정시간 가열하는 행위도 단위 행위로 정의될 수 있다.
자동화 준비 장치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이 핵산추출물의 준비 작업인 경우, 샘플 튜브에서 검체를 분획하는 행위, 분획된 검체에 세포 용해용 용액을 분주하는 행위, 가열 행위 등의 행위를 시작으로 핵산의 분리 및 정제를 위한 일련의 행위를 거쳐 최종적으로 분리된 핵산을 수집하는 행위를 진행하여야 한다.
상기 각각의 작업 행위를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정의된 단위 행위 중 필요한 단위 행위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준비하고자 하는 작업 행위가 실행되도록 한다.
자동화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자동화 준비 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는 모든 단위 행위들은 단위 행위를 나타내는 변수(단위 행위 변수)로 처리될 수 있다.
특정 작업 행위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작업 행위에 필요한 단위 행위 변수를 선택하고 적합한 변수 값을 부여하면, 작업 행위 구동 순서에 따라 작업 행위별 부여된 변수 값이 처리되어 선택된 변수에 해당하는 단위 행위들이 구동되면서 상기 특정 작업 행위가 실행된다.
변수 값은 다양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행위 변수가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단위 행위에 해당하는 것이면 변수 값은 목표 위치의 좌표에 해당하는 값일 수 있다. 단위 행위 변수가 파이펫터를 특정한 높이로 올리거나 내리는 단위 행위에 해당하는 것이면, 변수 값은 높이에 대한 값일 수 있다. 한편, 변수 값은 특정 단위 행위 변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변수 값은 다양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동화 준비 장치의 실제 동작은 “작업처리파일”을 통하여 제어된다.
통상적으로 자동화 준비 장치의 운영자는 준비 장치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 별로 필요한 정보를 정리한 관리 자료를 작성한다.
관리 자료에는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작업 행위, 각각의 작업 행위를 구성하는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는 변수 및 변수 값 등을 기재한다.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을 자동화 준비 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해서 관리 자료를 참조하여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을 준비 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래밍 작업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작업처리파일”을 제작한다.
그런데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의 유형이 서로 다르면, 해당 준비 작업의 수행에 필요한 작업 행위의 구성이 서로 다르므로, 결국 준비 작업 유형 별로 “작업처리파일”을 각각 제작하여야 한다.
준비 작업의 유형이 동일하더라도 추가적인 선택 항목에 따라 필요한 작업 행위 구성이 일부 차이가 날 수 있다. 예들 들어, 핵산 추출물을 준비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라도 검체의 종류 또는 표적 핵산서열의 종류에 따라 일부 작업 행위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작업처리파일”은 각각 제작되어야 하므로 실시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 간에 작업 행위가 조금이라도 상이한 준비 작업에 대하여는 모두 별도의 “작업처리파일”을 제작하여야 한다.
일부 작업 행위에만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작업처리파일”을 각각 제작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뿐 만 아니라, 관리하여야 하는 “작업처리파일”의 수가 증가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한편, 특정 작업 행위 자체의 삭제 또는 추가가 필요한 경우, 또는 특정 작업 행위의 실행에 필요한 단위 행위 변수 또는 변수 값의 삭제, 추가 또는 변경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의 유형이 서로 다르고, 추가적인 선택 항목에 따라 필요한 작업 행위 구성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일부 작업 행위는 공통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공통 작업 행위에 관련된 편집이 필요한 경우, 동일한 작업을 “작업처리파일”별로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고, 최초 개발자의 부재 시에는 새로운 개발자가 효과적으로 유지·보수하기 어려워 전체 작업시간을 연장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처리파일”을 제작하고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마다 준비 장치를 제어하는 작업처리파일을 제작하여야 하는 방식을 개선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준비 작업별 작업 데이터 파일과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준비 장치를 제어하면서 다양한 준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체(specimen) 내 표적 핵산 분자(target nucleic acid molecule) 검출에 사용되는 검출용 조성물(detection-composition)을 준비하는 준비 장치(preparation instrument)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체(specimen) 내 표적 핵산 분자(target nucleic acid molecule) 검출에 사용되는 검출용 조성물(detection-composition)을 준비하는 준비 장치(preparation instrument)의 제어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검체(specimen) 내 표적 핵산 분자(target nucleic acid molecule) 검출에 사용되는 검출용 조성물(detection composition)을 준비하는 준비 장치(preparation instrument)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을 특정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에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택 필드(option field)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출용 조성물은 핵산 추출물 및 핵산 증폭용 반응액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택 필드 각각에서 사용자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정보에 따라 작업 데이터 파일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은 상기 핵산 추출물 준비에 필요한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을 포함하는 작업 목록(work list) 또는 상기 핵산 증폭용 반응액 준비에 필요한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을 포함하는 작업 목록(work list)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행위들을 상기 준비 장치에서 구현시키는 데 사용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명칭 정보 및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상기 작업 행위들의 순서에 따라, 상기 작업 행위들에 배정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와 매칭되는 인스트럭션을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검색하는 단계로서,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은 상기 준비 장치에서 작동시키고자 하는 모든 작업 행위들을 구현시키는데 사용되는 인스트럭션들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준비 장치에서 파이펫팅(pipetting)을 수행하는 파이펫터를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고, 액체를 분주, 흡입 또는 이송시키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및 검색된 인스트럭션들을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준비 장치에서 상기 작업 행위들이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의 결정은, 상기 선택정보 및 상기 선택정보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리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실시되고, 상기 관리 데이터 파일은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선택정보에 따라 요구되는 작업 데이터 파일이 포함 하는 작업 행위들, 작업 행위 각각에 대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 및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의 생성은, 하나의 관리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거나, 두 개 이상의 관리 데이터 파일에서 각각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고, 조합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는, 상기 검색된 인스트럭션들이 구현시키는 작업 행위들의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는 단위 행위 변수 및 상기 단위 행위 변수들에 배정된 변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각각의 인스트럭션은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행위 변수들은 인스트럭션이 구현시키는 작업 행위의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고,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 중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변수 값을 제공받은 단위 행위 변수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어느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둘 이상의 작업 행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어느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 중 사용되는 단위 행위 변수들을 서로 다르게 하여 둘 이상의 작업 행위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준비 장치 제어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의 게시 또는 편집을 위한 작업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준비 장치의 작동(operation) 중 작업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중지된 작업 행위에 대한 상태 정보 표시 또는 이후 작업 행위의 편집을 위한 작업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선택정보가 기록된 셋팅(setting)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셋팅 데이터 파일에 기록된 선택정보를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 연동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검체(specimen) 내 표적 핵산 분자(target nucleic acid molecule) 검출에 사용되는 검출용 조성물(detection composition)을 준비하는 준비 장치(preparation instrument)를 제어하는 기기(device)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디스플레이(display),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을 특정하기 위하여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택 필드(option field)를 표시하고 상기 검출용 조성물은 핵산 추출물 및 핵산 증폭용 반응액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택 필드 각각에서 사용자 선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정보에 따라 작업 데이터 파일을 결정하며,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은 상기 핵산 추출물 준비에 필요한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을 포함하는 작업 목록(work list) 및/또는 상기 핵산 증폭용 반응액 준비에 필요한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을 포함하는 작업 목록(work list)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행위들을 상기 준비 장치에서 구현시키는 데 사용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명칭 정보 및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상기 작업 행위들의 순서에 따라, 상기 작업 행위들에 배정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와 매칭되는 인스트럭션을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검색하며,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은 상기 준비 장치에서 작동시키고자 하는 모든 작업 행위들을 구현시키는데 사용되는 인스트럭션들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준비 장치에서 파이펫팅(pipetting)을 수행하는 파이펫터를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고, 액체를 분주, 흡입 또는 이송시키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인스트럭션들을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준비 장치에서 상기 작업 행위들이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기기는, 상기 메모리는, 선택정보에 따라 요구되는 작업 데이터 파일이 포함하는 작업 행위들, 작업 행위 각각에 대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 및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데이터 파일은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정보 및 상기 선택정보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리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의 결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기기는,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관리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여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거나, 두 개 이상의 관리 데이터 파일에서 각각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고, 조합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기기는,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는, 상기 검색된 인스트럭션들이 구현시키는 작업 행위들의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는 단위 행위 변수 및 상기 단위 행위 변수들에 배정된 변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기기는,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각각의 인스트럭션은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행위 변수들은 인스트럭션이 구현시키는 작업 행위의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고,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 중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변수 값을 제공받은 단위 행위 변수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기기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어느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둘 이상의 작업 행위를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기기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 중 사용되는 단위 행위 변수들을 서로 다르게 하여 둘 이상의 작업 행위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기기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준비 장치 제어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의 게시 또는 편집을 위한 작업 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기기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준비 장치의 작동(operation) 중 작업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중지된 작업 행위에 대한 상태 정보 표시 또는 이후 작업 행위의 편집을 위한 작업 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비 장치의 제어 기기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정보가 기록된 셋팅(setting)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고, 상기 셋팅 데이터 파일에 기록된 선택정보를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 연동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기는 준비 작업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인 작업 처리 파일을 제작하는 대신 하나의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을 제작하고, 이를 작업 데이터 파일과 연동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준비 작업을 보다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준비 작업 각각에 대하여 작업 처리 파일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공통적인 사항에 대하여 수정, 삭제 및 추가 등의 관리 행위를 수행하려면, 개별적인 작업 처리 파일 각각을 편집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을 운영하고, 보다 편집이 용이한 작업 데이터 파일을 이용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인스트럭션에 배정된 단위 행위 변수들에 대하여 제공되는 변수 값을 조절하여, 하나의 인스트럭션으로 둘 이상의 작업 행위를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을 제작하고,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S200)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기기(300)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데이터 파일로부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데이터 파일 및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의 구성 및 상호작용(interaction)을 통해 인스트럭션이 처리되는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100) 및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검출용 조성물 준비 시스템은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100) 및 준비 장치를 제어하는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를 포함한다. 검출용 조성물 준비 시스템은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100)가 검체(specimen) 내 표적 핵산 서열(target nucleotide sequence) 검출에 사용되는 검출용 조성물(detection-composition) 준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검출용 조성물 준비 과정은 검체로부터 핵산 추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용 반응액 제작 및 이들이 결합된 핵산 추출 및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용 반응액 제작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100)의 제어 방법(S200)은,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를 통해 구현되며 각 단계별 동작은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의 각 구성요소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20) 그리고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메모리(330)를 포함한다.
이 밖에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는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는 소프트웨어 제어형이다.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100) 제어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로 제어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320)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메모리(33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320)에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작업 데이터 파일/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처리부(322), 작업 데이터 파일 생성부(324) 및 셋팅 데이터 파일 생성부(326)를 포함한다.
메모리(330)는 작업 데이터 파일 저장부(332), 관리 데이터 파일 저장부(334) 및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저장부(336)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의 동작을 명료히 설명하기 위해 기능적으로 구분된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부(part)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단일의 구성요소로 구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프로그램의 일부를 구성하는 컴퓨터 명령들의 집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연산처리 장치에 의해 해당 부(part)의 기능이 발현될 수 있다.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구분하여 나타내기 위하여 개별적인 저장부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의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사용자 컴퓨터와 같은 단일의 정보처리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요소들은 상기 단말기에 구현되고 다른 일부 구성요소들은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는 준비 장치(100)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반도체 프로세서를 구성하는 논리회로들의 집합으로 구성요소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에 의해 구현되는 준비 장치(100)는 자동화된 액체 취급 장치(automated liquid handling apparatus)이다. 자동화된 액체 취급 장치는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실험실의 자동화를 위해 지정된 컨테이너로부터 원하는 양의 시약, 샘플 또는 다른 액체를 자동적 및 프로그램적으로 흡입 및/또는 분배할 수 있다. 자동화된 액체 취급 장치의 다양한 구성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준비 장치(100)의 모든 부품은 통합된 장치로서 설계되고 하우징 내에 위치된다.
자동 준비 장치(100) 데크(deck)의 상부에 자동으로 상하, 좌우, 전후의 이동이 가능한 파이펫팅 모듈(pippeting module)이 존재한다. 파이펫팅 모듈은 독립적으로 또는 종속적으로 이동하고 작동하는 파이펫터(pippetor)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펫터의 말단에 팁(tip) 또는 니들(needle)을 결합하여 용액의 흡입(aspirate) 및 분주(dispense)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준비 장치(100)는, 예를 들면 스위스 소재의 해밀톤 컴퍼니(Hamilton company)에 의한 장치이다. 예컨대, 해밀톤 스타(Hamilton STAR), 해밀톤 님부스(Hamilton NIMBUS), 해밀톤 스타플러스(Hamilton STARplus), 해밀톤 스타렛(Hamilton STARlet)이다.
이하에서는 도 2및 도 3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S100)의 각 단계별 동작과 상기 단계별 동작을 제어하는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의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S200)을 도시하는 전체 처리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단계에서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는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을 특정한다. 이를 위해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의 프로세서(320)는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를 포함하는 선택 사항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선택 필드(option field)를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한다.
검출용 조성물은 핵산 추출물 및 핵산 증폭용 반응액 (예를 들어, PCR용 반응액)을 포함한다.
준비 장치(100)는 핵산 추출물 준비 작업 또는 핵산 증폭용 반응액 준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핵산 추출물 준비 작업 및 핵산 증폭용 반응액 준비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는 준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는 프로세서(320)에 의해 제어되며, 메모리(330)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선택 필드와 같은 데이터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들 (예컨대, 관리 데이터 파일, 작업 데이터 파일 및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복수의 선택 필드에 대한 사용자 선택정보, 사용자가 직접 바코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추가 정보 등의 선택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3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ci Random Access Memory), 룸(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1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선택 필드에 대한 선택정보 입력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310)는 사용자의 선택 필드 선택 행위를 위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터치패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프로세서(320)는 디스플레이(310)에 입력된 사용자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각 선택 필드는 준비 장치(100)를 이용하여 준비하고자 하는 작업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작업을 위해 설정된 복수의 객체(예컨대 검출용 조성물 타입,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 검사 제품, 소모품 등)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 필드 및 각 선택 필드 각각에 주어진 복수의 아이템 목록을 디스플레이(310)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각 선택 필드에서 아이템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외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설정 윈도우를 디스플레이(310)에 디스플레이 하여 정보를 설정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필드에서는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각각에 대한 작업 수행에 필요한 도구들 예컨대, 핵산 추출 시약(추출 키트) 혹은 PCR용 반응액 제작에 필요한 시약(소위 마스터 믹스, Master Mix)이 담겨진 용기의 바코드 정보, 상기 마스터 믹스 제조 시 믹스를 수행하는 사이클(cycle)의 횟수, 샘플의 개수, 상기 시약, PCR용 반응액, 샘플과 같은 액체의 볼륨(volume), 상기 작업 수행의 문제점 확인과 신뢰성 검증을 위한 양성 대조군(PC), 음성 대조군(NC) 혹은 내부 대조군(IC)의 개수, 클롯(clot) 모니터링 기능 사용 여부, 안티-드롭 컨트롤(Anti-Drop Control, ADC) 기능 사용 여부가 선택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 시약 및 대조군들은 각각 준비 장치(100)에 미리 장착되고 준비 장치(100)가 식별 가능하게 바코드 표지될 수 있다.
수신된 선택정보 중 일부는 준비 장치(100)에서 수행하여야 할 작업을 특정하고 필요한 작업 데이터 파일의 선택 또는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선택정보 중 일부는 작업의 진행 중의 논리적 판단이나 장치의 세부적 제어를 위한 정보(예를 들어, 변수 값)로 사용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프로세서(320)는 수신된 선택정보에 따라 메모리(330)의 작업 데이터 파일 저장부(332)에 저장된 작업 데이터 파일들에서 작업 데이터 파일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에 의한 작업 데이터 파일의 결정은 수신된 선택정보에 따라 작업 데이터 파일 생성부(324)에서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실시될 수 있다.
작업 데이터 파일은 핵산 추출물 준비에 필요한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을 포함하는 작업 목록(work list) 및/또는 핵산 증폭용 반응액 준비에 필요한 시계열(time series)적 작업 행위들을 포함하는 작업 목록(work list)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 데이터 파일은 작업 목록에 포함된 상기 작업 행위들을 준비 장치(100)에서 구현시키는 데 사용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의 명칭 정보 및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포함한다.
시계열 작업 행위들은 프로세서(320)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준비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각각의 작업 행위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준비 장치(100)는 핵산 추출용 시약 배치부, 핵산 증폭용 시약 배치부, 검체 배치부, 핵산 추출부, 핵산 추출물 배치부, 핵산 증폭용 반응액 제조부 및 파이펫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준비 장치(100)는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이 핵산 추출물인 경우 검체 배치부, 핵산 추출용 시약 배치부 및 핵산 추출부로 구성된 데크(deck) 상에서 인스트럭션에 따라 파이펫팅부의 파이펫터를 제어하여 핵산 추출물 준비 작업 행위를 수행한다.
준비 장치(100)는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이 PCR용 반응액인 경우, PCR 시약 배치부, 핵산 추출물 배치부, PCR용 반응액 제조부로 구성된 데크 상에서 인스트럭션에 따라 파이펫팅부의 파이펫터를 제어하여 PCR용 반응액 준비 작업 행위를 수행한다.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은 실제 작업 행위가 일어나는 순서로 작업 목록에 기재될 수 있다. 또는,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은 실제 작업 행위가 일어나는 순서대로 작업 목록에 기재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프로세서에 의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프로세서가 작업 행위의 순서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작업 목록에 작업 행위들을 기재하는 경우, 각각의 작업 행위의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를 함께 기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작업 데이터 파일은 고유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작업 데이터 파일은, 제 1 영역 내지 제 3 영역을 포함한다.
작업 데이터 파일의 제 1 영역은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작업 목록에 대한 작업 행위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영역은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을 준비하기 위한 작업 행위들이 준비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실행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이 검체로부터 핵산을 추출하는 작업인 경우, 작업 목록은 용해 공정(Lysis), 비드 바인딩 공정(Bead Binding), 세정 공정(Washing)을 기반으로 하는 세부 각 작업 행위들을 시간 순서로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해 공정(Lysis)은 프로테나이제(Protenase) K 분주, 내부 대조군(IC) 분주, 플레이트의 Magnet 에서 Heater 로 이동, 용해용 버퍼 분주 및 검체 분주라는 작업 행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 행위들 각각은‘PK_Dispense’, ‘IC_Dispense’, ‘Move_DWP_from_Magnet_to_Heater_1’, ‘Lysis_Buffer_Dispense’ 및 ‘Sample_Dispense’ 의 명칭으로 기재될 수 있다.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이 PCR용 반응액 준비 작업인 경우, 작업 목록은 마스터 믹스(master mix) 제조, 마스터 믹스 튜브에 분주 및 추출된 핵산을 튜브에 분주하는 작업 행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 행위들 각각은 ‘Build Master mix’, ‘Distribute Master mix to the tube’ 및 ‘Transfer extracted nucleic acid to the tube’의 명칭으로 기재될 수 있다.
제 1 영역의 정보는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작업 행위를 식별하고, 식별된 작업 행위가 실제 준비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경우 이를 프로세서(320)가 디스플레이(310)에 현재 실행되고 있는 작업 행위를 사용자에게 안내(guide)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2 영역은 프로세서(320)가 준비 장치(100)를 제어하여 제 1 영역에 배열된 각각의 작업 행위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 작업 행위 각각에 배정된 인스트럭션에 대한 명칭 정보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instruction)은 준비 장치(100)에서 특정 작업 행위가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어를 의미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은 준비 장치(100)에 실행시키는 작업 행위를 실질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저장부(336)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준비 장치에서 작업 행위를 실제 제어하는 통상의 작업 처리 파일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인스트럭션의 명칭 정보는 작업 데이터 파일의 작업 행위들을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을 이용하여 실행시키기 위해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두 파일은 인스트럭션의 명칭 정보를 통해 연결되어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의 인스트럭션의 명칭 정보를 통해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상기 명칭으로 정의되는 인스트럭션으로 연결된다.
용해 공정(Lysis)에 포함된 작업 행위 Protenase K 분주에 대하여 인스트럭션 명칭으로‘Disp_PKmix’을 사용할 수 있다. 내부 대조군(IC) 분주에 대하여는‘Disp_IC’, 플레이트의 Magnet 에서 Heater 로 이동에 대하여는 ‘Move_DWP’, 용해용 버퍼 분주에 대하여는 ‘Disp_Buffer’ 및 검체 분주에 대하여는 ‘Disp_Sample’를 사용할 수 있다.
제 3 영역은 제 2 영역의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에 연결된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는 작업 행위를 구성하는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는 변수 및 상기 단위 행위 변수들에 배정된 변수 값을 포함한다.
하나의 작업 행위는 복수 개의 단위 행위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해 공정에서 하나의 작업 행위인 검체 분주(Sample_Dispense)는 용액 분주기의 검체 튜브로의 이동행위, 검체 튜브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팁을 제어하는 행위, 검체 튜브에서 검체를 흡입하는 행위, 용해용 플레이트로의 이동 행위 등의 복수의 단위 행위에 의하여 구현된다.
한편, 각각의 단위 행위들의 실행을 위하여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행위들은 각각 샘플 튜브 위치정보, 검체 흡입 시 샘플 튜브 바닥으로부터의 높이정보, 검체를 흡입하는 양(volume), 용해용 플레이트의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한다.
제 3 영역은 특정 작업 행위를 구성하는 단위 행위들 및 이들에 대한 추가 정보를 포함하며, 제 2 영역의 인스트럭션 명칭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이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실행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단위 행위들은 단위 행위 변수로 나타낼 수 있고, 단위 행위의 구현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 정보는 변수 값으로 처리된다. 용액 분주기의 검체 튜브로의 이동행위는 ‘Start_Location’, 검체 튜브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팁을 제어하는 행위는 ‘Asp_Bottom_Height’, 검체 튜브에서 검체를 흡입하는 행위는 ‘Asp_position’등의 변수 명칭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변수 값은 대표적으로 수치 값이다. 단위 행위 변수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위 행위에 대한 구현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값이 리드(read)되어 특정 작업 행위를 구현할 수 있다. 변수 값은 문자일 수 있다.
특정 수치 값 또는 특정 문자는 해당 단위 행위 변수가 나타내는 단위 행위는 실행되지 않도록 처리하라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데이터 파일은 작업 행위들을 포함하는 작업 목록을 포함하기 위한 구조적 효율성을 위해 정보가 저장된 영역의 할당 공간을 균일하게 x축과 y축이 일치시킬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x축에는 준비 장치에서 작동시키고자 하는 모든 작업 행위들 각각을 구성하는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는 단위 행위 변수들이 배열될 수 있고, y축에는 시계열적 작업 행위 들이 배열될 수 있다. 이때, y축에 배열된 각각의 작업 행위에 대하여 x축에 기록되는 각각의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는 각 작업 행위의 단위 행위들에 해당하는 단위 행위 변수들을 제외한 단위 행위 변수들에는 0 또는 널(null)이 변수 값으로 기록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S230 단계에서 작업 데이터 파일을 결정하기 위하여 메모리(330)에 저장된 작업 데이터 파일을 호출하거나 작업 데이터 파일 생성부(324)에서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메모리(330)에 선택정보에 의하여 조합될 수 있는 작업들 각각에 대한 작업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선택 필드에서 입력된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정보와 매칭되는 작업 데이터 파일을 작업 데이터 파일 저장부(332)에서 선발하고, 선발된 작업 데이터 파일로 결정한다.
준비 작업 진행 시 사용자에 따라 선택 필드 각각에 대한 선택정보들의 조합은 다양할 수 있으며, 선택정보의 다양한 조합에 맞는 다양한 작업 데이터 파일의 제공이 필요하다.
다만, 통상적으로, 검출용 조성물을 준비 하는 장치의 경우,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의 조합에 따라 준비 작업의 작업 목록이 거의 결정될 수 있다. 즉, 작업 목록의 작업 행위들은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고, 다른 선택정보는 특정 작업 행위 시에 부수적으로 필요한 정보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준비 가능한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가“핵산추출물”, “PCR 반응액”이고,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가 “호흡기 감염 미생물 패널 1(RP1)”, “성인성 질환 미생물 패널 1(STI P1)”이며, 선택 가능한 샘플 랙이 32 Sample Rack, 5 x 12 Rack, 5 x 18 Rack이고, 선택 가능한 샘플 랩웨어가 1.5ml Tube, 1.2ml Tube, 1.6ml Tube, 1.5ml & 1.2ml Tube, 1.5ml Tube & 1.6ml Tube, 1.2ml & 1.6ml Tube, 1.5ml & 1.2ml & 1.6ml Tube인 경우, 준비 가능한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는 작업 데이터 파일 (특히, 작업 목록)을 제작하는 데 고려하지만, 샘플 랙이나 샘플 랩웨어는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택정보 중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의 조합을 기준으로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들의 작업 데이터 파일들을 제작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작업 데이터 파일은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에 따라 제작되고,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개수 및 표적 핵산분자의 종류 개수의 조합 개수만큼 작업 데이터 파일을 제작하고,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은 같고, 표적 핵산분자의 종류가 다른 경우, 일부 표적 핵산분자들은 동일한 작업 목록에 의하여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하나의 작업 데이터 파일을 제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선택정보에 따라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 데이터 파일을 작업 데이터 파일 생성부(324)에서 생성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작업 데이터 파일의 결정”은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실시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20)는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 생성부(324)에서 작업 데이터 파일의 생성을 위하여 메모리(330)의 관리 데이터 파일 저장부(334)에 저장된 관리 데이터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관리 데이터 파일은 선택정보에 따라 요구되는 작업 데이터 파일이 포함하는 작업 행위들, 작업 행위 각각에 대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 및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 데이터 파일은 기본적으로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추가적으로 준비 장치의 환경 조건(environment condition)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온도, 바코드 카운트(barcode_count), 시간범위) 및 작업 행위 각각에 대한 디스크립션(description) 정보를 부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 데이터 파일은 작업 데이터 파일에 대한 데이터 파일로서 작업 데이터 파일에 더하여 부가적인 정보를 더 추가하여 가지고 있는 것이다.
관리 데이터 파일도 작업 데이터 파일처럼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에 따라 제작되고,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 관리 데이터 파일은 관리 데이터 파일 저장부(334)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S200)은,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를 통해 구현되며 각 단계별 동작은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의 각 구성요소에 의해 제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관리 데이터 파일로부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하나의 관리 데이터 파일(410, 420)로부터 하나의 준비 작업 데이터 파일(412, 422)이 생성되는 예이다.
관리 데이터 파일을 제작하고 이로부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는 방법의 일 장점은 작업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적은 수의 파일을 제작해도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이 (i) 핵산추출물 제작, (ii) PCR 반응액 제작, 그리고 (iii) 핵산추출물 및 PCR 반응액의 동시 제작인 경우, 상기 3가지 타입 별로 3가지 작업 데이터 파일을 준비하여야 한다. 그런데, 관리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는 방법의 경우, (i) 핵산추출물 제작, (ii) PCR 반응액 제작에 대한 2개의 관리 데이터 파일만을 준비하여도, 상기 (i) 및 (ii)의 조합으로 (iii)의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상기 예와 같이 두 개의 관리 데이터 파일(410, 420)로부터 작업 데이터 파일(432)이 생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또 다른 예는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 작업이 PCR용 반응액 제작인 경우, 샘플 수에 따라 작업을 1회 수행하거나 유사한 작업을 추가적으로 한 번 더 수행하여야 한다. 작업 데이터 파일을 이용한다면, 상기 수행 횟수를 고려하여 2가지의 작업 데이터 파일을 제작하여야 한다. 반면, 관리 데이터 파일의 경우, 2가지 경우를 하나의 관리 데이터 파일에 모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선택정보에서 제공되는 샘플 수에 따라 적합한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킬 수 있다. 도 4의 (c)는 상기 예와 같이 하나의 관리 데이터 파일(410)을 이용하여 동일 작업이 반복되는 작업 데이터 파일(442)을 생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관리 데이터 파일은 정보의 관리, 저장 및 전달을 목적으로 하므로,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직접 장치를 제어하여야 하는 작업 처리 파일 보다 효율적으로 수월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포함하고 있는 정보 중 일부를 추출해 내거나 다른 관리 데이터 파일의 정보와 병합 등의 가공이 가능한 파일이다.
프로세서(320)는 하나의 관리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작업 목록 내의 작업 행위들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여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관리 데이터 파일(410)로부터 서로 다른 작업 목록을 갖는 2 이상의 작업 데이터 파일(452, 462)을 생성시킬 수 있다 (참조: 도 4의 (d)).
선택적으로, 프로세서(320)는 두 개 이상의 관리 데이터 파일에서 각각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고, 조합하여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작업 목록 내에 기재된 작업 행위들 순서에 따라 추출되거나 순서가 변경되어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작업 행위에 대하여 배정되어 있는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 및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 등도 함께 추출될 수 있다.
작업 데이터 파일은 제어 장치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고,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작업 처리 파일(즉,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과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작업 데이터 파일은 이미 정의된 프레임에 맞춰지도록 제작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정보는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는 형식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한을 갖는 작업 데이터 파일을 바로 제작하는 방식은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 방법 및 장치는 정보의 입력, 관리, 가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관리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여 다양한 준비 작업에 필요한 작업 데이터 파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320)는 S240 단계에서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저장부(336)에 저장된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S230 단계에서 결정된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의 순서에 따라, 작업 행위들에 배정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와 매칭되는 인스트럭션을 검색한다.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은 준비 장치에서 작동시키고자 하는 모든 작업 행위들을 구현시키는 데 사용되는 인스트럭션들을 모두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320)는 작업 행위들이 준비 장치에서 구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준비 장치에서 핵산 추출물 제작 및 PCR 반응액 제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작과 관련된 모든 작업 행위들을 구현시키는 데 사용되는 인스트럭션들을 모두 포함한다.
인스트럭션은 준비 장치에서 파이펫팅(pipetting)을 수행하는 파이펫터를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고, 액체를 분주, 흡입 또는 이송시키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한다.
S250 단계에서 프로세서(320)는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검색된 인스트럭션을 결정된 작업 데이터 파일의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처리한다.
프로세서(320)는 검색된 인스트럭션들을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인스트럭션을 처리하여 S260 단계에서 준비 장치에서 작업 행위들이 구현되도록 준비 장치를 제어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메모리(330)는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을 포함하는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저장부(336)을 포함한다.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각각의 인스트럭션은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위 행위들은 단위 행위 변수로 나타낼 수 있고,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연관된 단위 행위들이 지정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인스트럭션은 서로 다른 단위 행위들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은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지정된, 배정된 또는 정의된 단위 행위 변수들” 또는 “인스트럭션과 연관된 단위 행위 변수들”을 표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의 작업 데이터 파일/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처리부(322)는 작업 데이터 파일의 작업 행위들에 배정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를 이용하여 매칭되는 인스트럭션을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인스트럭션에 상기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에 연결된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제공하여 검색된 인스트럭션에 의하여 해당 작업 행위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은 인스트럭션에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의 변수 값에 따라 해당 단위 행위 변수가 나타내는 단위 행위가 구현되도록 프로세서(220)를 지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는 검색된 인스트럭션이 구현시키는 작업 행위를 구성하는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는 단위 행위 변수 및 상기 단위 행위 변수들에 배정된 변수 값을 포함한다.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각각의 인스트럭션은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20)는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 중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변수 값을 제공받은 단위 행위 변수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스트럭션을 처리하여 해당 작업 행위가 준비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은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 각각은 하나의 시간 구간에서 복수의 인스트럭션들 중 하나를 실행하는 루프(loop), 이프 덴(if/then) 등의 제어 구조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작업 데이터 파일 및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통해 인스트럭션이 처리되는 과정을 예시한다.
디스플레이(310)을 통해 시계열적 작업 행위 A, C, D 및 F로 이루어진 제1 준비 작업이 실행되도록 선택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320)는 제1 작업 데이터 파일(510)을 결정한다.
제1 작업 데이터 파일(510)은 시계열적 작업 행위 A, C, D 및 F를 포함하는 작업 목록을 나타내는 제1 영역, 각각의 작업 행위를 제어할 인스트럭션 Ⅰ1, Ⅰ3, I4 및 I6의 명칭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 그리고 각각 인스트럭션의 실행과 연관된 단위 행위를 단위 행위 변수로 나타내는 제3 영역을 포함한다. 한편,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단위 행위 변수에는 변수 값들이 배정되어 있다.
작업 행위 A에 대하여 살펴보면, 작업 행위 A는 인스트럭션 I1에 의하여 구현되며, 이에 따라,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 I1이 배정된다. 또한, 인스트럭션 I1과 연관된 단위 행위들은 단위 행위 01, 단위 행위 03, 단위 행위 06, 단위 행위 09, 단위 행위 12 및 단위 행위 15이며, 각각의 단위 행위 변수에 대한 변수 값이 배정되어 있다.
도 5에서,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Ⅰ(540)은 준비 장치에서 작동시키고자 하는 모든 작업 행위들에 대한 인스트럭션 I1 내지 I10 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단위 행위 변수들이 선언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스트럭션 I1에 대하여 선언된 변수는 단위 행위 01, 단위 행위 03, 단위 행위 06, 단위 행위 09, 단위 행위 12 및 단위 행위 15이다.
프로세서(320)은 제1 작업 데이터 파일(510)에서 제1 작업 행위인 “A”에 배정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가 “I1”임을 파악하고,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Ⅰ(540)의 인스트럭션 I1 내지 I10 중에서 이와 매칭되는 인스트럭션 I1을 검색해 낸다. 다음,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 “I1”에 연관된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인 단위 행위 변수 정보 (즉, 단위 행위 01, 단위 행위 03, 단위 행위 06, 단위 행위 09, 단위 행위 12 및 단위 행위 15 및 이에 대한 변수 값을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Ⅰ(340)의 인스트럭션 “I1”에 제공한다.
프로세서(320)는 인스트럭션 “I1”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 중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통하여 제공되는 단위 행위 01, 단위 행위 03, 단위 행위 06, 단위 행위 09, 단위 행위 12 및 단위 행위 15 및 이에 대한 변수 값에 따라 인스트럭션 “I1”을 처리하고, 작업 행위 A가 준비 장치에서 구현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320)는 제1 작업 데이터 파일(310)에서 다음 순위 작업 행위인 “C”에 배정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가“I3”임을 파악하고,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Ⅰ(540)의 인스트럭션 I1 내지 I10 중에서 이와 매칭되는 인스트럭션 “I3”을 검색해 낸다. 다음, 프로세서(320)는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 “I3”에 연관된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인스트럭션 “I3”을 처리하고, 인스트럭션 “I3“이 작업 행위 “C”를 구현하도록 한다. 프로세서(320)는 제1 작업 데이터 파일의 작업 행위들의 순서에 따라 상기 단계를 반복하며,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는 최종적으로 준비하고자 하는 제1 준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Ⅰ(340)은 제1 준비 작업과 다른 준비 작업을 수행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을 통하여 시계열적 작업 행위 A, B, F 및 H로 이루어진 제2 준비 작업이 실행되도록 선택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320)는 도 3의 제2 작업 데이터 파일(320)을 결정한다. 제2 작업 데이터 파일(520)에서 시계열적 작업 행위 A, B, F 및 H는 각각 인스트럭션 I1, I2, I6, 및 I8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는 제2 작업 데이터 파일(520)과 인스트럭션 I1, I2, I6, 및 I8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Ⅰ(540)을 이용하여 제2 준비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제1 준비 작업 및 제2 준비 작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준비 작업이 포함하는 작업 행위들을 실행시키는 인스트럭션들로 구성된 제1 작업 처리 파일 및 제2 작업 처리 파일 각각 제작하였다.
본 발명의 준비 장치 제어 방법(S200)은 개별적인 작업 처리 파일을 제작하는 대신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을 한번 제작한다. 대신에 작업 데이터 파일을 운영하여 준비 작업 각각 달라지는 작업 목록 및 포함되는 작업 행위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작업 데이터 파일과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의 사용은 보다 효율적이고 수월하게 다양한 준비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Ⅰ(540)에서 어느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둘 이상의 작업 행위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제3 준비 작업을 위한 제3 작업 데이터 파일(530) 정보를 보면, 제3 준비 작업이 작업 행위 H, D, E, G로 이루어지고, 작업 행위 H는 인스트럭션 I8, 작업 행위 D는 인스트럭션 I4, 그리고 작업 행위 E는 인스트럭션 I5 가 사용될 때, 작업 행위 G는 인스트럭션 I8을 다시 사용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어느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 중 사용되는 단위 행위 변수들을 서로 다르게 하여 둘 이상의 작업 행위가 구현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 Ⅰ(540)은 인스트럭션 “Ⅰ8”에는 “단위 행위 28, 단위 행위 32, 단위 행위 36, 단위 행위 40, 단위 행위 48, 단위 행위 49, 단위 행위 53, 단위 행위 54 및 단위 행위 55”로 구성된 단위 행위 변수들이 선언되어 있다.
제3 작업 데이터 파일(530)에서 작업 행위“H”에 배정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는 “I8”이며, 연결된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는 단위 행위 28, 단위 행위 32, 단위 행위 36, 단위 행위 40, 단위 행위 48, 단위 행위 49 및 단위 행위 53으로 구성된 단위 행위 변수 및 이에 대한 변수 값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작업 행위“G”에 배정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도 “I8” 이지만, 연결된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는 단위 행위 28, 단위 행위 32, 단위 행위 36, 단위 행위 49, 단위 행위 53, 단위 행위 54 및 단위 행위 55로 구성된 단위 행위 변수 및 이에 대한 변수 값 정보를 포함한다.
즉, 작업 행위 H 및 작업 행위 G는 동일한 인스트럭션 “I8”에 의하여 제어되지만 관여하는 단위 행위 변수(즉, 단위 행위)의 조합이 서로 달라서, 결과적으로 서로 다른 작업 행위가 실행되도록 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관리 데이터 파일 및/또는 작업 데이터 파일의 제작, 관리, 이용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또는, 프로그램) 및 통합 인스트럭션의 제작, 관리, 이용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는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존재하거나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존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소프트웨어(들)이 수행되거나, 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소프트웨어(들)이 수행된다.
선택 정보에 따라 작업 데이터 파일이 제공되고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에 따라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원하는 작업 행위들이 정확히 배치되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추출 검출용 조성물 종류의 작업 목록에 포함된 IC 분주(IC_Dispense) 작업 행위에 대해서는 준비 작업 전에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수행하거나 혹은 검출용 조성물 종류의 특성 상 불필요한 작업 행위인 경우 해당 작업 행위는 작업 목록에서 스킵(skip)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는 준비 장치 제어하여 준비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디스플레이(310)에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의 게시(notice) 또는 편집을 위한 작업 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작업 목록을 확인하거나, 필요한 작업 행위만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준비 장치 제어 기기(300)는 준비 장치의 작동(operation) 중 작업이 중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310)에 중지된 작업 행위에 대한 상태 정보 제공 또는 이후 작업 행위의 편집을 위한 작업 창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추출 검출용 조성물 종류에 대한 준비 작업 행위 시 검체 또는 시약을 흡입하고 분배하는 분주하는 과정에서 클롯(Clot)이 감지되거나, 흡입 혹은 분주 행위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310)상에서 별도의 윈도우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샘플의 위치를 확인하고 샘플 튜브에 정확한 볼륨을 분주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작업이 중지된 해당 작업 행위를 작업 데이터 파일의 작업 목록상에서 표시해 주고, 남은 작업 행위만이 진행될 수 있도록 작업 행위 옵션을 제공하여 필요한 작업 행위만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S220 단계의 선택정보를 이용하여 셋팅(setting)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셋팅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는 셋팅 데이터 파일 생성부(326)를 포함한다.
셋팅 데이터 파일은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에 따른 준비 작업의 유형 정보, 검사 제품을 이용하여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 정보, 준비 장치의 작업 수행에 필요한 도구들(소모품들) 정보(추출된 핵산이 담기는 labware, PCR용 반응 혼합물이 담기는 튜브/플레이트(tube/plate) 등)를 포함하는 선택정보를 포함한다.
이 밖에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바코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추가 정보(extraction kit, PC, NC, Cartridge Count 등 )등의 선택정보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셋팅 데이터 파일의 정보들은 결정하여야 하는(혹은 결정된) 작업 데이터 파일의 정보이거나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을 이용하여 인스트럭션을 처리할 때 필요한 단위행위 변수 및 변수 값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팅 데이터 파일은 수신된 선택 정보에 따른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검사 제품 그리고 상기 검사 제품을 이용하여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이에 따른 해당 작업 데이터 파일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셋팅 데이터 파일에 기록된 선택정보를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 연동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셋팅 데이터 파일에 기록된 선택정보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른 인스트럭션 처리 시 단위 행위 변수들의 처리 시퀀스(sequence)가 변동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의도에 따른 선택정보 중 도구들(소모품들)은 예컨대, 샘플 랩웨어는 튜브의 종류에 따라 변수 값이 서로 다르게 배정될 수 있다.
작업 행위를 구성하는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는 변수들 중 예컨대, 검체 튜브에서 검체를 흡입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변수인 경우 튜브의 종류에 따라 검체를 흡입하는 볼륨(volume)도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도구들을 이용해 단위 행위를 구현해야 하는 경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른 인스트럭션 처리 시 도구들의 종류 각각에 대한 단위 행위 변수들의 처리 시퀀스를 다르게 하거나, 선택정보에 부합되게 변수 값이 다르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검체(specimen) 내 표적 핵산 분자(target nucleic acid molecule) 검출에 사용되는 검출용 조성물(detection composition)을 준비하는 준비 장치(preparation instrument)를 제어하는 방법: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을 특정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에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택 필드(option field)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출용 조성물은 핵산 추출물 및 핵산 증폭용 반응액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택 필드 각각에서 사용자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정보에 따라 작업 데이터 파일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은 상기 핵산 추출물 준비에 필요한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을 포함하는 작업 목록(work list) 또는 상기 핵산 증폭용 반응액 준비에 필요한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을 포함하는 작업 목록(work list)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행위들을 상기 준비 장치에서 구현시키는 데 사용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명칭 정보 및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상기 작업 행위들의 순서에 따라, 상기 작업 행위들에 배정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와 매칭되는 인스트럭션을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검색하는 단계로서,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은 상기 준비 장치에서 작동시키고자 하는 모든 작업 행위들을 구현시키는데 사용되는 인스트럭션들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준비 장치에서 파이펫팅(pipetting)을 수행하는 파이펫터를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고, 액체를 분주, 흡입 또는 이송시키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및
    검색된 인스트럭션들을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준비 장치에서 상기 작업 행위들이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의 결정은,
    상기 선택정보 및 상기 선택정보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리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실시되고, 상기 관리 데이터 파일은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선택정보에 따라 요구되는 작업 데이터 파일이 포함하는 작업 행위들, 작업 행위 각각에 대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 및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의 생성은,
    하나의 관리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거나, 두 개 이상의 관리 데이터 파일에서 각각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고, 조합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는,
    상기 검색된 인스트럭션들이 구현시키는 작업 행위들의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는 단위 변수 및 상기 단위 변수들에 배정된 변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각각의 인스트럭션은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행위 변수들은 인스트럭션이 구현시키는 작업 행위의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고,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 중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변수 값을 제공받은 단위 행위 변수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어느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둘 이상의 작업 행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 중 사용되는 단위 행위 변수들을 서로 다르게 하여 둘 이상의 작업 행위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장치 제어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의 게시 또는 편집을 위한 작업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장치의 작동(operation) 중 작업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중지된 작업 행위에 대한 상태 정보 표시 또는 이후 작업 행위의 편집을 위한 작업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정보가 기록된 셋팅(setting)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셋팅 데이터 파일에 기록된 선택정보를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 연동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하는 방법.
  11. 검체(specimen) 내 표적 핵산 분자(target nucleic acid molecule) 검출에 사용되는 검출용 조성물(detection composition)을 준비하는 준비 장치(preparation instrument)를 제어하는 기기(device)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디스플레이(display),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준비하고자 하는 검출용 조성물을 특정하기 위하여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택 필드(option field)를 표시하고 상기 검출용 조성물은 핵산 추출물 및 핵산 증폭용 반응액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택 필드 각각에서 사용자 선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정보에 따라 작업 데이터 파일을 결정하며,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은 상기 핵산 추출물 준비에 필요한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을 포함하는 작업 목록(work list) 및/또는 상기 핵산 증폭용 반응액 준비에 필요한 시계열적 작업 행위들을 포함하는 작업 목록(work list)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행위들을 상기 준비 장치에서 구현시키는 데 사용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명칭 정보 및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상기 작업 행위들의 순서에 따라, 상기 작업 행위들에 배정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와 매칭되는 인스트럭션을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검색하며,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은 상기 준비 장치에서 작동시키고자 하는 모든 작업 행위들을 구현시키는데 사용되는 인스트럭션들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준비 장치에서 파이펫팅(pipetting)을 수행하는 파이펫터를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고, 액체를 분주, 흡입 또는 이송시키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인스트럭션들을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준비 장치에서 상기 작업 행위들이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선택정보에 따라 요구되는 작업 데이터 파일이 포함하는 작업 행위들, 작업 행위 각각에 대한 인스트럭션 명칭 정보 및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데이터 파일은 검출용 조성물의 종류 및 표적 핵산 분자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정보 및 상기 선택정보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리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의 결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관리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여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거나, 두 개 이상의 관리 데이터 파일에서 각각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고, 조합하여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는,
    상기 검색된 인스트럭션들이 구현시키는 작업 행위들의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는 단위 행위 변수 및 상기 단위 행위 변수들에 배정된 변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각각의 인스트럭션은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행위 변수들은 인스트럭션이 구현시키는 작업 행위의 단위 행위들을 나타내고,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대하여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 중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정보에 따라 변수 값을 제공받은 단위 행위 변수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서 어느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둘 이상의 작업 행위를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선언된 단위 행위 변수들 중 사용되는 단위 행위 변수들을 서로 다르게 하여 둘 이상의 작업 행위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준비 장치 제어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작업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작업 행위들의 게시 또는 편집을 위한 작업 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준비 장치의 작동(operation) 중 작업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중지된 작업 행위에 대한 상태 정보 표시 또는 이후 작업 행위의 편집을 위한 작업 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정보가 기록된 셋팅(setting)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고, 상기 셋팅 데이터 파일에 기록된 선택정보를 상기 통합 인스트럭션 파일에 연동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KR1020197035672A 2017-06-29 2018-06-29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기 KR102279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64 2017-06-29
KR20170082664 2017-06-29
PCT/KR2018/007392 WO2019004769A1 (en) 2017-06-29 2018-06-29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ETECTION COMPOSITION PREPARATION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949A KR20190137949A (ko) 2019-12-11
KR102279539B1 true KR102279539B1 (ko) 2021-07-20

Family

ID=6474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672A KR102279539B1 (ko) 2017-06-29 2018-06-29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48658B2 (ko)
EP (1) EP3645997B1 (ko)
KR (1) KR102279539B1 (ko)
ES (1) ES2959865T3 (ko)
FI (1) FI3645997T3 (ko)
PL (1) PL3645997T3 (ko)
PT (1) PT3645997T (ko)
WO (1) WO2019004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478A1 (ko)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3243922A1 (ko) * 2022-06-15 2023-12-21 주식회사 씨젠 기술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43764A1 (ko) * 2022-08-25 2024-02-29 주식회사 씨젠 용기 위치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진단 시스템
WO2024090987A1 (ko) * 2022-10-25 2024-05-02 주식회사 씨젠 분자 진단용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2260A (ja) * 2010-04-28 2011-11-17 Shimadzu Corp ゲル状液滴封入媒体を用いたデバイス及び液滴操作方法
US20140094971A1 (en) * 2012-10-01 2014-04-03 Eppendorf Ag Laboratory Machine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Treatment of Laboratory Sampl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6147B1 (en) * 1999-05-13 2001-12-04 The Perkin-Elmer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rticles of manufacture, and user interfaces for performing automated biological assay preparation and macromolecule purification
JP2001195463A (ja) * 2000-01-06 2001-07-19 Canon Inc 作業標準作成システム、作業標準作成方法、分散型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の記憶媒体
CA2467248A1 (en) * 2001-11-20 2003-05-30 Exact Sciences Corporation Automated sample preparation methods and devices
US20040259111A1 (en) * 2002-12-10 2004-12-23 Rosetta Inpharmatics Llc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n assay ready biological sample
US7939310B2 (en) 2003-08-06 2011-05-10 University Of Massachusetts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nucleic acid sequences
EP2359289A4 (en) * 2008-11-26 2015-11-11 Illumin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SEQUENCING DATA
US9169515B2 (en) * 2010-02-19 2015-10-27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nucleic acid sequencing validation, calibration and normalization
EP3709303A1 (en) * 2010-12-14 2020-09-16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un-time sequencing run quality monitoring
KR102580747B1 (ko) 2015-11-03 2023-09-20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의료 기기, 의료 검사 요청 제어 시스템, 의료 검사 요청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US11080848B2 (en) * 2017-04-06 2021-08-03 Lucira Health, Inc. Image-based disease diagnostics using a mobile device
US10146909B2 (en) * 2017-04-06 2018-12-04 Diassess Inc. Image-based disease diagnostics using a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2260A (ja) * 2010-04-28 2011-11-17 Shimadzu Corp ゲル状液滴封入媒体を用いたデバイス及び液滴操作方法
US20140094971A1 (en) * 2012-10-01 2014-04-03 Eppendorf Ag Laboratory Machine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Treatment of Laboratory Samples
JP2015536643A (ja) 2012-10-01 2015-12-24 エッペンドル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実験試料の自動処理のための実験機器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5997B1 (en) 2023-09-13
KR20190137949A (ko) 2019-12-11
US20210156876A1 (en) 2021-05-27
US11448658B2 (en) 2022-09-20
PL3645997T3 (pl) 2024-03-25
WO2019004769A1 (en) 2019-01-03
PT3645997T (pt) 2023-10-26
ES2959865T3 (es) 2024-02-28
EP3645997A1 (en) 2020-05-06
FI3645997T3 (fi) 2023-11-01
EP3645997A4 (en)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539B1 (ko) 검출용 조성물 준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기
US20200004512A1 (en) Visual protocol designer
JP6641345B2 (ja) 分子診断試験の分布及び試験間のコンパチビリティ判断のための外部ファイル
US6326147B1 (en) Methods, apparatus, articles of manufacture, and user interfaces for performing automated biological assay preparation and macromolecule purification
CN105518462A (zh) 动态测定选择和样本制备装置和方法及其机器可读介质
EP2843418B1 (en) Sample analyzer and sample analyzing method
CN104718456B (zh) 实验室机器和用于自动处理实验室样本的方法
EP2613155B1 (en) Direct pipetting in computer-controlled liquid handling workstations
US200801776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Storing, and Executing Workflows For Laboratory Processes
EP2040080A2 (en) Sample analyzer and method for analyzing samples
JP2022000656A (ja) 自動分析装置
JP5805486B2 (ja) 検体分析装置
JP7088901B2 (ja) システム
US20170153260A1 (en) Laboratory Instrument &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80028871A1 (en) Sample processing apparatus and sample processing method
JP2011185821A (ja) 検体分析装置及び検体搬送方法
CN107462739A (zh) 向自动化样品分析仪供给消耗品
JP6824006B2 (ja) 自動分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738696B2 (ja) 生化学分析装置
JP2022171444A (ja) 卓上試料前処理装置
WO2020056592A1 (zh) 一种样本架的取出方法、样本处理系统和体外检测设备
Kaplan Robolab-User Manu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