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209B1 -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 - Google Patents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209B1
KR102279209B1 KR1020210033542A KR20210033542A KR102279209B1 KR 102279209 B1 KR102279209 B1 KR 102279209B1 KR 1020210033542 A KR1020210033542 A KR 1020210033542A KR 20210033542 A KR20210033542 A KR 20210033542A KR 102279209 B1 KR102279209 B1 KR 102279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rotated
workpiece
power transmiss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성옥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씨엠 filed Critical (주)에이치씨엠
Priority to KR102021003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exter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축; 상기 중심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중공의 제1회전체; 상기 중심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되, 상기 제1회전체의 중공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2회전체; 및 일측이 상기 제1회전체의 전면부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회전체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다수의 공작물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으로 상기 공작물파지부가 회전되는 연삭기 크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A bearing-type grinder cramp}
본 발명은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연삭기 크램프에서 구동력만으로 공작물의 파지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삭기 크램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에 시간 차이를 두고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제2회전체에 전달된 구동력이 제1회전체에 전달되기 전에 제2회전체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으로 공작물의 파지가 이행될 수 있어, 별도의 파지에 수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삭숫돌을 이용해 공작물의 면을 깎는 기계를 말하며, 이러한 연삭기로서는 베드형, 테이블형 등이 있다.
또한, 가공하는 부분에 따라 원통면을 연삭하는 원통연삭기와, 보스 등의 내경을 연마하는 내면연삭기, 평면 등을 연삭하는 평면연삭기 등이 있다.
제1종래기술에 따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86634호를 살펴본다.
제1종래기술은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2몸체부는 모두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대신, 어느 하나는 베이스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만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 상에서 제1,2몸체부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더브테일 형태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몸체부에 결합된 척킹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페룰의 척킹을 유지하는 척킹핀의 압력은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1종래기술에 따른 연삭기는 척킹핀 사이에 연삭작업을 행할 공작물의 척킹, 언척킹을 수작업으로 행함으로써 공작물의 장착과 배출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어 생산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제2종래기술에 따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01400호를 살펴본다.
제2종래기술에는 로터 가공장치가 나타나 있는데, 상기 가공장치는 선반의 일측에 센터 지지봉을 설치하고, 선반의 타측에 설치된 스핀들 샤프트 사이에 가공하고자 하는 로터 샤프트를 설치하되, 센터지지봉과 로터 샤프트 사이에는 돌리개가 설치된다. 여기서, 돌리개는 로터 샤프트가 회전할 때 로터 샤프트를 지지하면서 이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선반의 일측에 설치된 드라이빙 암에 의해 회전된다.
그러나 제2종래기술에서 돌리개는 로터 샤프트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된 고정홀을 갖는 돌리개를 사용해야 하므로 로터 샤프트의 크기에 맞게 각각의 돌리개를 제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터 샤프트의 크기마다 각각 다른 돌리개를 제조하면, 돌리개의 제조비용이 증대되므로 로터 샤프트의 가공비용 역시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상술한 종래 기술들에 나타나 있는 돌리개는 공작물의 외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여 외경에 따라 다수의 돌리개를 구비해야 하는 비용의 문제가 있고, 설사 공작물의 외경에 어느 정도 대응이 된다고 할지라도 공작물 파지와 해제를 수작업으로 행해야하므로 생산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동으로 공작물 파지될 수 있는 연삭기 크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공작물을 파지함에 있어서 별도의 수작업이 없이 공급되는 구동력만으로 구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공작물이 파지되도록 하며, 나아가 파지해지시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는 구동력으로 파지해제가 이행될 수 있는 연삭기 크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크기가 일정한 직경 범위 내에 해당되는 다양한 크기의 공작물을 공작물파지부의 변경없이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정한 범위 내에서 공작물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공작물파지부를 변경하지 않고 곧바로 연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연삭기 크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는, 중심축(100); 상기 중심축(10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중공의 제1회전체(200); 상기 중심축(10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되, 상기 제1회전체(200)의 중공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2회전체(300); 및 일측이 상기 제1회전체(200)의 전면부(240)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회전체(300)의 전면부(3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다수의 공작물파지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체(300)의 회전으로 상기 공작물파지부(400)가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회전체(300)의 후면부(350)는 상기 제1회전체(200)의 후면부(250)의 내측면을 대면한 상태에서 회전되며,
일측이 상기 제2회전체의 후면부(3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동력전달핀(330); 및 상기 동력전달핀(330)의 타측이 결합되는 동력전달구동편(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핀(330)은 상기 제1회전체의 후면부(250)를 관통하며, 상기 동력전달구동편(150)은 상기 제1회전체의 후면부(25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회전체(200)의 후면부(250)에는 일정한 길이의 원호 형태의 전달핀이동홀(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구동편(150)이 상기 제1회전체의 후면부(250)의 외측면의 일측을 축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구동편(150)의 타측에 결합된 동력전달핀(330)이 상기 전달핀이동홀(2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회전체의 전면부(240)에 돌출된 제1돌출핀(220); 및
상기 제2회전체의 전면부(340)에 돌출된 제2돌출핀(3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작물파지부(400)의 일측이 상기 제1돌출핀(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공작물파지부(400)의 타측이 상기 제2돌출핀(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작물파지부(400)는, 상기 제1돌출핀(22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형성된 제1돌출핀삽입홈(460); 상기 제1돌출핀삽입홈(460)의 위치에서 상기 중심축(100)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제2돌출핀(32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형성된 제2돌출핀삽입홀(440); 및 상기 제2돌출핀삽입홀(440)의 위치에서 상기 중심축(100)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공작물파지부(400)의 말단부분에 위치되는 공작물접촉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공작물접촉부(420)는 상기 중심축(10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장측접촉부(424) 및 단측접촉부(422)로 분기된 상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측접촉부(424)는 상기 단측접촉부(422)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체(300)가 회전됨에 따라, 다수의 상기 공작물접촉부(4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단측접촉부와 다른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단측접촉부가 먼저 대면하고, 이후 어느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장측접촉부와 다른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장측접촉부가 대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축(100)과 상기 제1회전체(200) 사이에는 제1베어링부(270)가 억지끼움으로 상기 중심축(100)과 상기 제1회전체(20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100)과 상기 제2회전체(300) 사이에는 제2베어링부(370)가 억지끼움으로 중심축(100)과 상기 제2회전체(30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베어링부(270)가 상기 제2베어링부(370)보다 뒤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체(300)가 상기 제1회전체(200)의 중공의 내측에서 회전되고, 상기 제2회전체(300)가 회전된 이후에 상기 제1회전체(200)가 회전되기 시작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연삭기 크램프에서 구동력만으로 공작물을 파지할 수 있어, 파지에 별도의 수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생산효율성이 증대된다. 구체적으로,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에 시간 차이를 두고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이러한 구동력 전달에 따른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공작물파지부가 일방향으로 작동되어 공작물이 파지됨에 따라 생산효율성이 증대된다.
또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연삭되는 공작물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공작물파지부의 구조적인 변경없는 상태에서 다양한 크기의 공작물을 연삭할 수 있는 바, 하나의 연삭기로 다양한 크기의 공작물을 연삭할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에서 공작물파지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에서 공작물파지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는 중심축(100), 제1회전체(200), 제2회전체(300) 및 공작물파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된 중심축(100)을 축으로 하여 구동력공급판(10)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력공급판(10)에 의한 구동력이 제1회전체(200) 및 제2회전체(30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중심축(100)이 정지된 상태에서, 구동력공급판(10)의 구동력이 제1회전체(200) 및 제2회전체(300)에 전달되면서 본 연삭기 크램프에 공작물이 파지되면서 연삭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회전체(200)는 중심축(10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제2회전체(300) 또한 중심축(10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되, 중공의 제1회전체(200)의 내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중심축(100)과 제1회전체(200) 사이에는 제1베어링(270)이 억지끼움으로 장착되어 있어, 제1회전체(200)가 중심축(10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심축(100)과 제2회전체(300) 사이에는 제2베어링(370)이 억지끼움으로 장착되어 있어, 제2회전체(300)가 중심축(10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중심축(100)의 길이방향으로 제1베어링(270)이 제2베어링(370)보다 뒤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회전체(200)가 제1베어링에 결합되고, 중공 형태의 제1회전체(200)의 내측에 제2회전체(300)가 제2베어링(370)에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력공급판(1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이 우선적으로 제2회전체(300)에 전달되어 제2회전체(300)가 제1회전체(200)의 중공의 내측에서 회전되고, 이후 구동력이 제1회전체(200)에 전달되어 제1회전체(200)의 회전이 시작될 수 있다.
제2회전체(300)가 중공 형태의 제1회전체(20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바, 제2회전체(300)의 후면부(350)는 제1회전체(200)의 후면부(250)의 내측면을 대면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체의 후면부(350)에는 동력전달핀(330)이 결합될 수 있다. 동력전달핀(330)은 중심축(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회전체의 후면부(350)에 결합되어 뒤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체의 후면부(250)에는 일정한 길이의 원호 형태의 전달핀이동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회전체의 후면부(350)에 결합되어 뒤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동력전달핀(330)이 이러한 전달핀이동홀(230)로 관통된 상태일 수 있다.
동력전달핀(330)이 전달핀이동홀(230)로 관통된 상태에서 원호 형태의 전달핀이동홀(2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동력전달핀(330)이 결합된 제2회전체(300)가 회전될 수 있다.
동력전달핀(330)의 일측이 제2회전체의 후면부(350)에 결합되고 전달핀이동홀(230)로 관통된 상태에서, 동력전달핀(330)의 타측에는 동력전달구동편(1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구동력공급판(10)이 연결바(15)를 통해 동력전달구동편(150)에 연결된 상태인 바, 구동력공급판(10)의 구동력이 연결바(15)를 통해 동력전달구동편(150)에 전달될 수 있다. 동력전달구동편(150)에 전달된 구동력은 동력전달핀(330)을 거쳐 제2회전체(300)에 전달되고, 제2회전체(300)에 전달된 이후 동력전달구동편(150)을 거쳐 제1회전체(2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회전체(200)까지 구동력이 전달된 상태에서는 제1회전체(200)와 제2회전체(300)가 회전되는 상태일 수 있다.
동력전달구동편(150)은 상술한 동력전달핀(330)이 삽입되는 동력전달핀삽입홀(152), 동력전달핀삽입홀(152)의 위쪽에 형성된 제1회전체결합홀(154), 제1회전체결합홀(154)의 위쪽에 형성된 구동력전달홈(156)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구동편(150)의 아래에 형성된 동력전달핀삽입홀(152)에 제2회전체의 후면부(350)에 결합된 동력전달핀(330)이 삽입되어, 동력전달구동편(150)의 전달된 구동력이 동력전달핀(3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동력전달핀삽입홀(152)의 위쪽에 형성된 제1회전체결합홀(154)에는 제1회전체의 후면부(250)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된 결합바(255)가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회전체결합홀(154)은 결합바(255)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결국, 동력전달구동편(150)이 제1회전체의 후면부(25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회전체결합홀(154)의 위쪽에 형성된 구동력전달홈(156)에는 구동력공급판(10)에 결합된 연결바(15)가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력공급판(10)의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결국, 구동력공급판(10)의 구동력이 연결바(15)를 거쳐 구동력전달홈(156)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제1회전체결합홀(154)에 결합바(255)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력전달홈(156)에 전달된 회전 구동력은 결합바(255)를 축으로 하여 동력전달핀삽입홀(15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핀삽입홀(152)이 회전됨에 따라 동력전달핀삽입홀(152)에 삽입된 동력전달핀(330)이 전달핀이동홀(230)을 따라 회전되며, 동력전달핀(330)의 회전으로 제2회전체(300)가 정지된 상태의 제1회전체(200)의 중공의 내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체(300)가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다수의 공작물파지부(400)의 회전으로 연삭되는 공작물이 파지된 이후, 계속적으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이 결합바(255)를 거쳐 제1회전체(200)에 전달되어 제1회전체(200)가 회전될 수 있다.
동력전달구동편(150)으로 전달된 회전 구동력은 결합바(255)를 축으로 동력전달구동편(150)을 회전시키면서 동력전달핀(330)이 원호 형태의 전달핀이동홀(23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고, 전달핀이동홀(230)을 따라 이동되는 동력전달핀(330)에 따라 제2회전체(300)가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체(300)가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됨에 따라 공작물파지부(400)가 공작물을 파지하게 되고, 공작물파지부(400)에서의 공작물 파지가 이루어진 이후 더 이상 동력전달핀(330)이 원호 형태의 전달핀이동홀(230)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구동편(150)이 결합바(255)를 축으로 하여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결합바(255)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어 결합바(255)가 결합된 제1회전체(200)에 전달되어 제1회전체(200)가 회전되게 될 수 있다. 제1회전체(200)가 회전되는 경우 동시에 제2회전체(300)가 회전될 수 있다.
제1회전체(200)의 전면부(240)에는 전면을 향하여 돌출된 제1돌출핀(220)이 형성되어 있고, 제2회전체(300)의 전면부(340)에는 전면을 향하여 돌출된 제2돌출핀(320)이 형성될 수 있다. 공작물파지부(400)의 일측이 제1돌출핀(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공작물파지부(400)의 타측이 제2돌출핀(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크램프에서 공작물파지부(400)가 다수로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수의 공작물파지부(400)는 서로 일정한 각도에서 대칭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공작물을 파지할 수 있다.
공작물파지부(400)는 제1돌출핀삽입홈(460), 제2돌출핀삽입홀(440) 및 공작물접촉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핀삽입홈(460)에는 제1돌출핀(220)이 삽입되어 장착되되, 제1돌출핀(220)이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도록 일정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핀삽입홀(440)은 제1돌출핀삽입홈(460)의 위치에서 중심축(100)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제2돌출핀(32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공작물접촉부(420)는 제2돌출핀삽입홀(440)의 위치에서 중심축(100) 방향으로 향하여 공작물파지부(400)의 말단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1돌출핀삽입홈(460)에 삽입된 제1돌출핀(220)이 정지된 상태이고, 정지된 제1돌출핀(220)이 제1돌출핀삽입홈(160)에 삽입된 상태인 바, 제1돌출핀삽입홈(460)이 그 자리에서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2회전체(300)가 회전됨에 따라 제2돌출핀(320)도 회전되며, 제2돌출핀(320)이 회전됨에 따라 제2돌출핀(320)이 삽입된 제2돌출핀삽입홀(440)이 회전될 수 있다. 결국, 제1돌출핀삽입홈(460)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2돌출핀삽입입홀(440)이 회전됨에 따라 공작물접촉부(420)가 회전될 수 있다.
공작물접촉부(420)에 공작물이 파지되고 공작물접촉부(42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돌출핀삽입홀(440)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2회전체(300)가 회전되면서 공작물이 파지되고, 파지가 완료된 이후 제2돌출핀삽입홀(440)이 회전되지 않는 바 제2회전체(300)도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2회전체(300)가 회전되지 않은 바, 상술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핀(330)이 회전되지 않고, 나아가 동력전달구동편(150)도 결합바(255)를 축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이 결합바(255)에 전달되는 바, 정지된 상태의 제1회전체(200)가 회전되면서 동시에 제2회전체(300)가 회전된다. 이미 공작물은 공작물파지부(400)에 파지된 상태인 바, 제1회전체(200) 및 제2회전체(300)의 회전으로 공작물이 회전되면서 연삭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크램프는 공작물접촉부(420)의 크기나 구조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 범위 내의 다양한 공작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작물접촉부(420)는 중심축(10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장측접촉부(424) 및 단측접촉부(422)로 분기된 상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장측접촉부(424)는 단측접촉부(422)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2회전체(300)가 회전됨에 따라, 다수의 공작물접촉부(4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단측접촉부와 다른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단측접촉부가 먼저 대면하고, 이후 어느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장측접촉부와 다른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장측접촉부가 대면할 수 있다.
즉, 제1회전체(200)가 정지되고 제2회전체(30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단측접촉부(422)끼리 먼저 대면하고, 단측접촉부(422)끼리 대면한 상태에서 공작물이 파지되지 않은 상태라면, 제2회전체(300)가 더 회전됨에 따라 장측접촉부(424)끼리 대면하면서 공작물이 파지될 수 있다.
제1회전체(200)가 정지되고 제2회전체(30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우선적으로 대면하는 단측접촉부(422) 사이의 간격은 장측접촉부(424) 사이의 간격보다 더 넓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큰 직경의 공작물이 파지될 수 있다.
공작물의 직경이 이러한 단측접촉부(422)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직경보다 작은 경우, 단측접촉부(422)끼리 대면한 상태에서 파지되지 않는 바, 제1회전체(200)가 정지되고 제2회전체(300)가 계속 회전되어 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하는 장측접촉부(424)끼리 대면하면서 공작물이 파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파지부(420)에 파지될 수 있는 공작물은, 장측접촉부(424)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공작물에서부터 단측접촉부(422)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공작물까지 포함할 수 있다. 공작물파지부(420)의 구조적 변경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한 직경 범위 내에서 다양한 직경을 갖는 공작물이 파지될 수 있다.
나아가, 단측접촉부(422)에서 공작물이 접촉되는 부분에 접촉말단삽입부(422-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접촉말단삽입부(422-1)에 접촉말단부(422-2)가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말단부(422-2)를 교체함으로써 단측접촉부(422) 사이의 간격을 더 좁히거나 더 넓힐 수 있어서, 파지할 수 있는 공작물의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측접촉부(424)에서 공작물이 접촉되는 부분에 접촉말단삽입부(424-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접촉말단삽입부(424-1)에 접촉말단부(424-2)가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말단부(424-2)를 교체함으로써 장측접촉부(424) 사이의 간격을 더 좁히거나 더 넓힐 수 있어서, 파지할 수 있는 공작물의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접촉말단부(422-2)가 장착된 상태의 단측접촉부(422)는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갈수록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측접촉부(422)의 소정의 지점까지 갈수록 단측접촉부(422)의 중심에서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장측접촉부(424)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크램프에서 공작물이 파지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의 (a)는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회전체(200) 및 제2회전체(300)가 정지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공작물접촉부(420)도 중심축(100)에 멀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b)는 구동력공급판(10)의 구동력이 연결바(15), 동력전달구동편(150) 및 동력전달핀(230)을 거쳐 제2회전체(300)에 전달된 상태이고, 제1회전체(200)에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이다.
정지 상태의 제1회전체(200)의 제1돌출핀(2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 제1돌출핀삽입홈(460)이 그 자리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제2회전체(300)의 회전으로 제2돌출핀(320)이 삽입된 제2돌출핀삽입홀(440)이 제2회전체(30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공작물파지부(400)가 제1돌출핀(220)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공작물접촉부(420)가 중심축(10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우선적으로 단측접촉부(422)끼리 서로 대면하는 바, 단측접촉부(422) 간의 간격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공작물이 파지될 수 있다. 이때 파지될 수 있는 공작물의 직경은 장측접촉부(422) 간의 간격에 상응하는 공작물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단측접촉부(422) 사이에 공작물이 파지된 경우, 더 이상 공작물접촉부(420)가 회전되지 않고, 나아가 공작물파지부(400) 전체가 회전되지 않는다. 이후 계속적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은 동력전달구동편(150)이 결합된 결합바(255)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제1회전체(200)가 회전되기 시작한다. 공작물파지부(400)에 공작물이 파지된 상태에서 제1회전체(200)와 제2회전체(300)가 같이 회전되면서 공작물의 연삭 가공이 진행된다(도 6의 (d)).
도 6의 (c)의 경우, 공작물의 직경이 이러한 단측접촉부(422)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직경의 공작물의 경우이다. 이때 공작물의 직경이 단측접촉부(422) 사이의 간격보다 작아 단측접촉부(422)에 파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달된 구동력이 제2회전체(300)에 전달되어 제2회전체(300)만이 상술한 (b) 단계보다 더 회전된다.
제2회전체(300)가 더 회전됨에 따라 제2돌출핀삽입홀(440)이 제2회전체(30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공작물파지부(400)가 제1돌출핀(220)을 축으로 하여 더 회전되며, 이에 따라 공작물접촉부(420)에서 단측접촉부(422)끼리의 대면을 거친 후 장측접촉부(424)끼리가 대면된다.
장측접촉부(424) 사이의 간격은 단측접촉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아지는 바, 단측접촉부(422) 사이에서 파지되지 않은 공작물이 장측접촉부(424) 사이에는 파지될 수 있다.
장측접촉부(424)에 공작물이 파지된 상태에서, 더 이상 공작물접촉부(420)가 회전되지 않고, 나아가 공작물파지부(400) 전체가 회전되지 않는다. 이후 계속적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은 동력전달구동편(150)이 결합된 결합바(255)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제1회전체(200)가 회전되기 시작한다. 공작물파지부(400)에 공작물이 파지된 상태에서 제1회전체(200)와 제2회전체(300)가 같이 회전되면서 공작물의 연삭 가공이 진행된다(도 6의 (d)).
결국, 단측접촉부(422)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직경의 공작물에서 장측접촉부(424)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직경의 공작물까지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크램프에서 파지될 수 있어, 일정한 직경 범위 내의 다양한 직경의 공작물을 공작물파지부(400)의 구조적 변경이 없이 파지할 수 있는 바, 작업의 효율성이 될 수 있다.
공작물의 파지해제는 연삭 가공이 이루어진 이후, 정지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제2회전체(300)가 회전됨에 따라 파지해제될 수 있다. 즉, 파지되는 상태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동력전달구동편(150), 동력전달핀(330)을 거쳐 제2회전체(300)로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공작물파지부(400)가 파지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파지해제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구동력공급판 15: 연결바
100: 중심축
150: 동력전달구동편
152: 동력전달삽입홀 154: 제1회전체결합홀 156: 구동력전달홈
200: 제1회전체
220: 제1돌출핀 230: 전달핀이동홀 240: 전면부 250: 후면부 255: 결합바
270: 제1베어링부
300: 제2회전체
320: 제2돌출핀 330: 동력전달핀 340: 전면부 350: 후면부
370: 제2베어링부
400: 공작물파지부
420: 공작물접촉부
422: 단측접촉부 422-1: 접촉말단삽입부 422-2: 접촉말단부
424: 장측접촉부 424-1: 접촉말단삽입부 424-2: 접촉말단부
440: 제1돌출핀삽입홀 460: 제2돌출핀삽입홈

Claims (6)

  1. 중심축(100);
    상기 중심축(10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중공의 제1회전체(200);
    상기 중심축(10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되, 상기 제1회전체(200)의 중공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2회전체(300); 및
    일측이 상기 제1회전체(200)의 전면부(240)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회전체(300)의 전면부(3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다수의 공작물파지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체(300)의 회전으로 상기 공작물파지부(400)가 회전되며,
    상기 제1회전체의 전면부(240)에 돌출된 제1돌출핀(220); 및
    상기 제2회전체의 전면부(340)에 돌출된 제2돌출핀(3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작물파지부(400)의 일측이 상기 제1돌출핀(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공작물파지부(400)의 타측이 상기 제2돌출핀(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공작물파지부(400)는,
    상기 제1돌출핀(22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형성된 제1돌출핀삽입홈(460);
    상기 제1돌출핀삽입홈(460)의 위치에서 상기 중심축(100)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제2돌출핀(32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형성된 제2돌출핀삽입홀(440); 및
    상기 제2돌출핀삽입홀(440)의 위치에서 상기 중심축(100)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공작물파지부(400)의 말단부분에 위치되는 공작물접촉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공작물접촉부(420)는 상기 중심축(10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장측접촉부(424) 및 단측접촉부(422)로 분기된 상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측접촉부(424)는 상기 단측접촉부(422)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체(300)가 회전됨에 따라, 다수의 상기 공작물접촉부(4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단측접촉부와 다른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단측접촉부가 먼저 대면하고, 이후 어느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장측접촉부와 다른 하나의 공작물접촉부의 장측접촉부가 대면하는 연삭기 크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300)의 후면부(350)는 상기 제1회전체(200)의 후면부(250)의 내측면을 대면한 상태에서 회전되며,
    일측이 상기 제2회전체의 후면부(3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동력전달핀(330); 및
    상기 동력전달핀(330)의 타측이 결합되는 동력전달구동편(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핀(330)은 상기 제1회전체의 후면부(250)를 관통하며,
    상기 동력전달구동편(150)은 상기 제1회전체의 후면부(25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삭기 크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200)의 후면부(250)에는 일정한 길이의 원호 형태의 전달핀이동홀(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구동편(150)이 상기 제1회전체의 후면부(250)의 외측면의 일측을 축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구동편(150)의 타측에 결합된 동력전달핀(330)이 상기 전달핀이동홀(230)을 따라 이동되는 연삭기 크램프.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100)과 상기 제1회전체(200) 사이에는 제1베어링부(270)가 억지끼움으로 상기 중심축(100)과 상기 제1회전체(20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100)과 상기 제2회전체(300) 사이에는 제2베어링부(370)가 억지끼움으로 중심축(100)과 상기 제2회전체(30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베어링부(270)가 상기 제2베어링부(370)보다 뒤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체(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체(300)가 상기 제1회전체(200)의 중공의 내측에서 회전되고, 상기 제2회전체(300)가 회전된 이후에 상기 제1회전체(200)가 회전되기 시작하는 연삭기 크램프.
KR1020210033542A 2021-03-15 2021-03-15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 KR102279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42A KR102279209B1 (ko) 2021-03-15 2021-03-15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42A KR102279209B1 (ko) 2021-03-15 2021-03-15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209B1 true KR102279209B1 (ko) 2021-07-19

Family

ID=7712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542A KR102279209B1 (ko) 2021-03-15 2021-03-15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2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510A (ja) * 1991-09-02 1993-03-09 Kondo:Kk 円筒研削盤用自動チヤツク装置
JPH11309651A (ja) * 1998-04-30 1999-11-09 Nakayama Seiko Kk 円筒研削盤用ワークドライブ装置
JP2006315152A (ja) * 2005-05-16 2006-11-24 Nakayama Seiko Kk 円筒研削盤用ワークドライブ装置
KR101221414B1 (ko) * 2012-09-06 2013-01-11 서명석 연삭기용 워크 드라이버
KR101897197B1 (ko) * 2018-05-21 2018-09-10 방성옥 지렛대식 연삭기 크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510A (ja) * 1991-09-02 1993-03-09 Kondo:Kk 円筒研削盤用自動チヤツク装置
JPH11309651A (ja) * 1998-04-30 1999-11-09 Nakayama Seiko Kk 円筒研削盤用ワークドライブ装置
JP2006315152A (ja) * 2005-05-16 2006-11-24 Nakayama Seiko Kk 円筒研削盤用ワークドライブ装置
KR101221414B1 (ko) * 2012-09-06 2013-01-11 서명석 연삭기용 워크 드라이버
KR101897197B1 (ko) * 2018-05-21 2018-09-10 방성옥 지렛대식 연삭기 크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1417B2 (ja) 1回の緊締でワークの外輪郭および内輪郭を研削する方法および研削盤
US71475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grinding a rotationally symmetric machine part
JP4226551B2 (ja) 長手方向穴を備える回転対称な機械部品を外面研削および内面研削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7137916B2 (ja) 内面研削装置
CZ304903B6 (cs) Způsob a zařízení k broušení centrických ložiskových čepů klikových hřídelů
KR102279209B1 (ko) 베어링식 연삭기 크램프
JP5148400B2 (ja) 歯車研削盤
KR101897197B1 (ko) 지렛대식 연삭기 크램프
KR101508642B1 (ko) 널링공구 교체식 소재 자동 널링 가공장치
KR101125945B1 (ko) 대칭 또는 비대칭 구조부를 가지는 이형재를 연마하기 위한 센터리스 연마장치
JPH10309663A (ja) ワークドライブ装置
JP4195343B2 (ja) 内面研削盤
JP5128511B2 (ja) 一対の給油孔を備えたドリル用ワーク、及び孔付ワークの芯出し方法、並びに芯出し装置
JP3974363B2 (ja) 内面加工方法及び装置
KR101981481B1 (ko) 자동차 미션용 솔레노이드 바디 연마장치
JP2020082319A (ja) 工具ユニット
CN112171407B (zh) 支承装置和具备其的加工装置
TWI285146B (en) Work-piece holder and multiple-jig assembly of grinder
JP2000317799A (ja) 外径鍔2面同時研削方法およびその研削盤
JP2021094692A (ja) 円筒研削装置
JPH0553849U (ja) センタ研磨装置
JP2007301651A (ja) テープラップ装置の被加工物回転駆動装置
JPH0641773Y2 (ja) 工作機械用のワーク回転駆動装置
JPH09277146A (ja) 内面研磨装置
JP2004082308A (ja) フェルールの外周面研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