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133B1 -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133B1
KR102279133B1 KR1020157017071A KR20157017071A KR102279133B1 KR 102279133 B1 KR102279133 B1 KR 102279133B1 KR 1020157017071 A KR1020157017071 A KR 1020157017071A KR 20157017071 A KR20157017071 A KR 20157017071A KR 102279133 B1 KR102279133 B1 KR 102279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file
emitting means
illuminated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490A (ko
Inventor
마레크 가웰
마틴 왤스
마틴 ?枯?
아테스 메수트
Original Assignee
노보마틱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보마틱 아게 filed Critical 노보마틱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9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the fastening being onto or by the lamp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by artificial light sources positioned in front of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81Signs, boards or panels having a curved sha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9Edge illuminated signs, boards or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LED 형태의 조명 수단이 상부에 배열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크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프레이밍(framing)하기 위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조명 프레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게이밍 장치에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발명에 따라서, 은폐 수단은, 조명 수단으로부터 방출된 광에 대해서 프레임 내부 공간을 은폐(shadowing)하기 위해서, 프레임 상에 제공된 조명 수단과 연관된다.

Description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ILLUMINATED FRAME SYSTEM}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LED 형태의 발광(lighting) 수단이 상부에 배열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크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프레이밍(framing)하기 위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에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슬롯 머신 및/또는 오락 기계 또는 베팅(betting) 단말기 형태의 게이밍 장치의 스크린 주위에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고,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은, 게이밍 장치의 윤곽선을 강조(highlight)할 수 있고, 또한 특정 하우징 섹션을 조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명된 하우징 섹션 또는 그 상부에 배열된 운영자 제어 요소가 보다 잘 보이게 할 수 있고, 또한 전체 게이밍 장치를 강조할 수 있고 그리고 - 예를 들어 많은 수의 다른 게이밍 장치를 갖춘 게이밍 장소에서 - 게이밍 장치가 보다 관심을 끌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목적은 조명 및 가시성을 증폭하기 위해서 큰 조명 세기를 달성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게이밍 장치 전방에 서있는 플레이어 또는 장치 운영자가, 과다한 광 효과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서 눈이 부시거나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또는 심지어 이러한 게이밍 장치의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가시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EP 18 65 477 A1은 복수의 스크린을 가지는 슬롯 머신을 개시하고, 그러한 슬롯 머신에서 2개의 주요 스크린이 프레임 스트립에 의해서 측부(side)에서 프레이밍되었고, 그러한 프레임 스트립 상에 복수의 LED가 피팅되고(fitted) 반사부 지역이 제공되어, 프로세스에서 플레이어의 눈을 피로하게 하지 않게 하면서, 여러 가지 광 효과를 생성한다.
US 7,396,282는 스크린이 장치 하우징과 관련하여 상승된 또는 높아진 방식으로 배열되는 게이밍 장치를 추가적으로 개시하며, 그에 따라 홈-유사 리세스 갭이 칼라 방식으로 돌출하는, 스크린의 프레이밍과 프레이밍 아래에 위치되는 하우징 전방부 사이에 형성되고, LED 스트립이 리세스 갭 내에 배열되어 인접한 하우징 섹션을 조명한다. LED 스트립은 칼라와 유사한, 스크린의 돌출하는 프레이밍 엣지 아래에서 광을 방출하고, 그에 따라 스크린은 장치 하우징 위로 부유하는(floating) 인상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LED 스트립이, 예를 들어, JP 09-258676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US 2010/0027255 A1는 예를 들어 x-선 이미지를 백라이팅(backlighting)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광 박스(light box)를 개시하며, 조명될 수 있는 패널이 모듈형 디자인의 프레임에 의해서 프레이밍되고, 프레임 내에서는 내부를 향해서 개방된 슬롯-유사 리세스가 LED 수용을 위해서 제공된다. LED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이, 패널을 조명하기 위해서, 내부를 향해서 개방되는 슬롯으로부터 조명될 수 있는 패널의 좁은 측부 내로 공급된다.
스크린을 프레이밍 하기 위한 이러한 종류의 조명형 프레임에는 이제까지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상이한 포맷의 스크린이 게이밍 장치에서 종종 이용되고, 이는, 지금까지, 상이한 조명형 프레임 포맷이 반드시 제공되도록 유도하거나, 단지 하나라면, 충분히 큰 조명형 프레임 포맷이 이용되도록 유도하고, 비교적 작은 스크린을 정확하게 프레이밍할 수 없었고 아마도 눈부심 현상 및 비교적 열등한 가시성을 수용해야 했다. 이와 관계없이, 이제까지, 발광 수단의 배열은 결코 최적이라 할 수 없다. 스크린의 관찰자 또는 게이밍 장치의 운영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눈부심 효과는 열등한 조명 및 낮은 발광 효과를 수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입부에서 설명된 종류의 개선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종류의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을 포함하는 개선된 게이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그러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및 장치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회피하고 종래 기술을 유리한 방식으로 개발한다. 하나의 특별한 목표는 비용-효과적으로 생산되고 상이한 스크린 포맷 및 크기에 대해서 단순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고, 스크린의 관찰자를 눈부시게 하지 않고 그리고 스크린 상의 디스플레이의 가시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큰 조명 세기 및 밝은 조명을 허용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은 제1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에 의해서, 그리고 또한 청구항 제22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게이밍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청구 대상이다.
그에 따라, 프레임 내부의 방향으로 발광 수단을 은폐(shade) 또는 보이지 않게 하는 것(balnk-off)이 제안되고, 그에 따라 발광 수단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이 프레임에 의해서 프레이밍되고 디스플레이 기구가 의도된 방식으로 내부에 배열되는 프레임 내부로부터 멀리 유지되고, 광은 프레임 전방 측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멀어지는 프레임의 전방 측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절반-공간(half-space) 내로 방출된다. 발명에 따라서, 발광 수단에 의해서 방출되는 광으로부터 프레임 내부를 은폐하기 위한 은폐 수단이, 프레임 상에 제공된 발광 수단과 연관된다. 그러한 은폐 수단으로 인해서, 발광 수단에 의해서 방출되는 광이 프레임 내부로 입사되지 않고, 오히려 프레임 전방 측부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방출될 수 있을 것이다. 심지어 큰 파워의 밝은 발광 수단이 이용될 때에도, 떠돌이(stray) 광 및 방 반사에 의한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가시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큰 조명 세기 및 밝은 조명 및 그에 따른 양호한 가시성을 가지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이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다.
그러한 은폐 수단이 원칙적으로 상이한 디자인들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서, 은폐 수단이 프레임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프레임 섹션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거나 프레임 내부의 방향으로 발광 수단을 보이지 않게 하거나 은폐하는 프레임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발광 수단과 프레임 내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은폐 엣지가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프레임 상의 세장형 프로파일 스트립 또는 프로파일 엣지 형태로, 프레임에 피팅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 상의 이러한 종류의 은폐 수단에 대한 대안 또는 부가물로서, 은폐 수단이 또한, 예를 들어 발광 수단에 피팅되는 은폐 엣지 형태로, 발광 수단 자체에 피팅될 수 있고 LED 홀더 또는 발광 수단 홀더에 체결될 수 있거나 그 내부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발광 수단이, 발광 수단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이 프레임에 의해서 프레이밍되는 프레임 내부로부터 멀리 유지되고 프레임 전방 측부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방출되는 방식으로, 프레임 내에서 리세스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유리하게,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부분이, 발광 수단을 수용하기 위해서 및/또는 발광 수단을 리세스된 방식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프레임 전방 측부의 방향으로 개방된, 홈-유사 프로파일 리세스를 가지며, 발광 수단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내부에 배열되도록 의도된 프레임 내부에 대해서 보이지 않게 가려지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그에 따라 발광 수단에 의해서 방출되는 광이 프레임 내부로 입사되지 않고, 오히려 프레임 전방 측부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방출될 수 있을 것이다.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의 발광 수단이 복수의 및/또는 모든 프레임 부분 내에서 리세스된 방식으로 유리하게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프레임 부분이 바람직하게, 특히 복수의 또는 모든 프레임 부분 위에서 멀리 연장하고 발광 수단이 내부에 배열될 수 있는 슬롯-유사 프로파일 함몰부 형태의, 홈-유사 프로파일 리세스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프로파일 리세스가, 전체 프레임 위에서 외주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발광 수단이 희망 위치 내에서 가변적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대략적으로 슬롯-유사 프로파일 리세스가 특히 프레임 전방 부분 내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고, 프레임 전방 측부의 전방에 위치된 절반-공간의 방향으로 개방되어, 프로파일 리세스 내에 수용된 발광 수단이 프레임 전방 측부로부터 멀리 절반-공간 내로 광을 복사할 수 있도록,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LED 스트립 형태의, 연속적인 발광 수단 스트립이 프레임 부분들 사이의 계면 위에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고 프레임 상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 부분 각각이 유리하게, 프레임 전방 측부의 방향으로, 다시 말해서 스크린을 관찰하는 사람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프로파일 리세스가 발광 수단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디자인될 수 있는 볼록한 프로파일 섹션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프로파일 리세스의 제공으로 인해서, 발광 수단은, 프레임 내부 내에 배열되는 스크린의 방향으로 보이지 않게 가려져서, 발광 수단으로부터 스크린 상으로의 원치 않는 입사가 방지되도록,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가시성 및 콘트라스트가 고품질을 유지한다.
이러한 종류의 프로파일 리세스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물로서, 프레임 내부의 방향으로 발광 수단을 보이지 않게 가리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 수단과 연관되는 은폐 엣지를 가지는 프레임 부분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은폐 엣지가, 예를 들어, 볼록한, 스트립-유사 프로파일 윤곽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전술한 방식에서, 발광 수단의 리세스형 배열 또는 프레임 부분 내에서 발광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프로파일 리세스가 제공된다면, 프레임 내부 및 프레임 내부에 배열되는 스크린의 방향으로 발광 수단을 보이지 않게 가리기 위해서, 프레임 내측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프로파일 리세스의 측면(flank)이, 특히 충분한 높이로 인해서, 은폐 엣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및/또는 상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 내부의 방향으로 보이지 않게 가리는 방식으로 발광 수단을 배열하는 것은, 발광 수단에 의해서 방출되는 광이 프레임 내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첫 번째로, 스크린 상의 원치 않는 반사를 피할 수 있고 스크린의 충분히 큰 콘트라스트가 보장된다. 두 번째로, 조명형 프레임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이 또한 스크린을 관찰하는 사람의 눈으로 직접적으로 진입하지 않는다.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발광 수단은, 의도한 바에 따라 스크린의 전방에 서 있는 스크린 관찰자의 눈이 발광 수단을 직접적으로 보지 않을 수 있도록 또는 또는 발광 수단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이 스크린 관찰자의 눈으로 직접적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프레임 상에서 보이지 않게 가려지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은폐 수단에 의해서 발광 수단에 대해서 보이지 않게 가려지는 프레임 내부가, 프레임에 의해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유닛이 의도된 바에 따라서 내부에 배열될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고, 다시 말해서 스크린 표면을 통과하고 프레임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고, 예를 들어, 프레임에 의해서 경계지어지고 그 주요 축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으로의 의도된 관찰 축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거나 프레임 부분에 의해서 규정되는 프레임 평면 상으로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내부 원통 또는 프리즘 또는 원뿔 형태로, 관찰 위치의 방향으로 프레임 전방 측부를 넘어서 전방부를 향해서 프레임 윤곽을 지나서 특정 범위까지 유리하게 연장 또는 돌출할 수 있는 프레임 평면을 적어도 포함한다.
스크린 및/또는 관찰자의 방향으로 발광 수단을 은폐하는 것으로 인해서, 큰 광 세기를 생성하는 발광 수단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양호한 가시성 및 그에 따른 잠재적 고객을 높은 수준으로 유인하는 것이 먼 범위에서, 예를 들어 카지노에서 달성될 수 있는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레임 시스템의 조명력이 가까운 범위에서 방해가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따라,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은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광고 수단을 형성하고, 그러한 수단은, 가까운 범위에서 방해가 되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흥미를 가지는 사용자 및 잠재적인 고객을 먼 거리로부터 유인할 수 있다.
프레임에 피팅되는 발광 수단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을 희망하는 방향으로 표적화된 방식으로 지향시키기 위해서, 발광 수단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포획하고 그러한 광을 미리 결정된 방출 방향으로, 특히 프레임 전방 측부로부터 먼쪽의 프레임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표적화된 방식으로 방출하는, 특히 렌즈 및/또는 반사부 배열체(arrangement) 형태의, 광학적 시스템이 발광 수단과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방출된 광이 원뿔 또는 쐐기 형태로 방출 방향 주위로, 예를 들어 ±10°로 또는 다른 희망 확장 각도로 확장되는 방식으로, 광학적 시스템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 수단으로부터 광을 포획하고 그러한 광을 희망하는 복사 방향으로 편향시키거나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가, 특히, 프레임 상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조명 과제에 따라서, 이러한 방출 방향이 상이하게 배향될 수 있을 것이고, 상이한 영역들을 부분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조명하기 위해서 상이한 방향들로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반사부가 또한 복수의 발광 수단과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스크린 또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에 근접하여 서 있는 관찰자를 은폐(shading)하지 않고도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보다 더 큰 광 세기 또는 조명 세기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가,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사부에 의해서 포획되는 광이, 프레임 전방 측부로부터 멀리, 프레임의 전방 내의, 영역 또는 절반-공간 내로 방출되는 및/또는 프레임에 의해서 프레이밍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멀리 방출되는 방식으로, 발광 수단에 대해서 디자인되고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반사부가 프레임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을 것이며, 방출된 광이, 반사부에 의해서 방출될 때, 광의 원뿔 또는 쐐기의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광의 희망 전파에 따라서, 상기 방출 방향이 또한 프레임 평면에 대한 수직으로부터 ±5°또는 ±10°의 편차 또는 ±25°이상의 편차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반사부의 이용으로 인해서, 발광 수단이, 발광 수단의 위치 및 배향 모두와 관련하여, 보다 자유롭고 보다 독립적인 희망 방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발광 수단으로부터의 일차적인 광을 프레임형 스크린 또는 스크린 관찰자로부터 멀리 유지할 수 있고, 이차적인 광, 즉 반사부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을 희망하는 방향을 따라 표적화된 방식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가 프로파일 리세스 내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프로파일 리세스 내에는 발광 수단이 리세스된 방식으로 수용된다. 특히, 프로파일 리세스의 외측 측면, 즉 발광 수단에 대해서 프레임의 외부에 위치되는 프로파일 리세스의 측면이 반사적 디자인을 가질 수 있거나 반사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발광 수단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의 주요 축이 프레임 중심으로부터 멀리 실질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지향되는 방식으로 발광 수단이 배열될 수 있을 것이고, 주요 축은, 특히, 발광 수단이 상부에 배열되는 프레임 부분의 길이방향 축에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프레임 평면에 대해서 적어도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 구성에 따라서, 주요 축의 배향으로부터 ±10° 또는 달리 ±25°의 편차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LED가 발광 수단으로서 이용될 때, LED는 절반-공간 내로 광을 자체적으로 방출하고, 그 주요 축은 일반적으로 LED 지지부 또는 LED 회로 기판을 수직 방식으로 통과한다. 자체적으로 부정확한 방향으로 비춰지는 광을 희망하는 방출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반사부가 반사부 지역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반사부 지역은 프레임 외주방향으로 연장하고 주요 축에 대해서 경사진다. 반사부 지역이 프로파일 리세스의 외측 측면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모듈형 디자인이 프레임에 대해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고, 프레임은 복수의 교환가능한 모듈형 요소로부터 가변적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스크린을 위한 상이한 포맷 및/또는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상의 프레임을 비용-효과적으로 생산하고 단순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프레임은 서로 양립가능한(compatible) 프레임 모듈로 유리하게 구성되고, 서로 교환될 수 있을 것이고 상이한 구성으로 함께 배치될 수 있을 것이고, 프레임 부분은 고정형 프레임 구조물을 획득하기 위해서 서로 연결된다. 특히,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프레임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 단부 섹션에서, 상호 결속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상보적인 연결 수단을 가진다. 프레임 부분의 단부 섹션에서의 상보적인 연결 수단으로 인해서, 프레임 부분이 서로 교환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제한된 수의 프레임 부분으로 상이한 프레임이 단순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원칙적으로, 상이한 프레임 형상,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측부가 개방된, U-형상 또는 단지 L-형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링 방식으로 외주방향으로 폐쇄된 프레임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프레임은 모든 측부 상에서 하나 이상의 스크린을 프레이밍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한 장착을 허용하기 위해서, 동시에, 안정적인 프레임 구조를 성취하기 위해서, 연결 수단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분의 단부 섹션에서 함께 플러깅될 수 있는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프레임 부분이 바람직하게, 도구 없이, 단순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고, 고정되고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에 더하여, 추가적인 연결 수단, 예를 들어 나사 또는 클램핑 홀더와 같은 신속-작용 클램핑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연결 수단은 또한 선택적으로 적절한 도구, 예를 들어 스크류드라이버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을 것이다.
안정적인 연결을 성취하기 위해서,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이, 프레임의 횡단면에서 볼 때, 서로에 대해서 합치되는(matched) 단면 윤곽을 가질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2개의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이 함께-플러깅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피팅되어 서로 지역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비틀림방향으로(tortionally) 강건한(stiff) 연결을 획득하기 위해서,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이 3차원적으로 곡선형으로 또는 볼록한 방식으로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고 3-차원적인 결합 윤곽에 의해서 서로에 대해서 지역적으로 지탱(bear)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이 하드-차인(hard-chine) 윤곽으로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윤곽의 하드 차인의 길이방향이 플러깅 방향으로 연장된다. 유리하게,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이, 프레임 길이방향 및/또는 프레임 외주방향으로 함께 플러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유리하게 디자인된다.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분이, 적어도 전방 측부 및/또는 가시적 측부에서 이음매 없이 및/또는 단차부 없이, 서로 결합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이 윤곽화된다. 비록 서로 연결되는 인접한 프레임 부분들이 그들의 플러그-유형의 섹션들에 의해서 중첩되지만, 프레임 윤곽 또는 프로파일 윤곽이 2개의 프레임 부분의 계면 위에서 연속적인 방식으로 계속되도록, 플러그 연결이 유리하게 디자인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프레임 부분이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의 영역 내에서 단차부-유사 프로파일 돌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프레임 부분의 가시적 프로파일 섹션이 단차부-유사 프로파일 돌부에서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과 병합된다. 유리하게,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이 단차부 형태로 오프셋된 방식으로 가시적 프로파일 섹션의 프로파일 윤곽을 계속적으로 연결하고(continue), 그에 따라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이 인접한 프레임 부분의 가시적인 프로파일 섹션의 후방 측부 뒤에서 정확하게 피팅되어 플러그-연결될 수 있을 것이고, 프로세스에서, 인접한 프레임 부분의 프로파일 섹션과 정확하게 피팅되어 지역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이한 프레임 형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복수의 프레임 부분이 상이하게 성형된 프레임 부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직선형 및 굽힘형 프레임 부분, 특히 원호 형상으로 곡선화된 및/또는 굽혀진 프레임 부분이 이용될 수 있고 서로 조합 또는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추가적이고, 가능하게는 독립적인 양태에 따라서, 굽혀진 프레임 부분이 굽혀진 프레임 부분 별로 상이한 재료로 생산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재료 성질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고, 예를 들어, 경질 및 연성 및/또는 강성 및 탄성 재료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공차가 보상될 수 있거나 보다 양호한 형상결합-피팅(form-fitting) 연결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레임 부분의 상이한 형상을 위한 생산이 단순화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굽혀진 프레임 부분, 바람직하게 원호 형상의 프레임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생산될 수 있는 한편, 직선형 프레임 부분이 금속 부분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둥근 또는 원호-형상의 프레임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는 한편, 직선형 프레임 부분이 굽혀진 시트-금속 프로파일 또는 시트-금속 엣지 프로파일로서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전술한 방식에서,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이 단차부-유사 프로파일 돌부에 의해서 형성된다면, 굽혀진 프레임 부분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생성된 프레임 부분이, 바람직하게 양 단부 섹션에, 단차부-유사 프로파일 돌부가 형성된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을 가질 수 있을 것인 한편, 직선형 프레임 부분 및 금속으로 생성된 프레임 부분이, 프로파일 돌부가 없는,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의 모듈형 디자인으로 인해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은 높은 수준의 가변성을 가지고, 그러한 높은 수준의 가변성은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이 개별적인 장치 또는 장치의 그룹, 특히 게이밍 장치의 그룹으로 선택적으로 할당될 수 있게 한다. 예로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은, 프레임 부분의 상응하는 구성을 고려하여,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게이밍 장치에 직접적으로 피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프레임 부분의 상응하는 상이한 구성을 고려할 때,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이 또한 게이밍 장치의 그룹과 연관될 수 있을 것이고, 예를 들어, 몇몇 플레이어 또는 예를 들어 보너스 게임 형태의 게이밍 장치를 위해서 의도된 게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큰 스크린을 프레이밍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게이밍 장치가 조명형 프레임과 관련하여 전방에 배향되는 방식으로, 특히 게이밍 장치의 사용자 위치가 프레임의 내측 영역에서 보이지 않게 위치되는 방식으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이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이 또한, 예를 들어, 장치, 특히 게이밍 장치의 그룹이 서로에 대해서 섬(island) 또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치의 섬과 연관될 수 있을 것이고, 하나 이상의 스크린이 복수의 장치와 공동으로 연관되고 스크린 또는 스크린들이 하나 이상의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에 의해서 프레이밍된다. 예로서, 섬의 중심에서 대향하는 측부들의 방향으로 배향된 스크린이, 예를 들어, 배면-대-배면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고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에 의해서 또는 복수의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들에 의해서 프레이밍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은 이어서 대향하는 측부들의 방향으로 조명을 제공하도록 유리하게 디자인되거나 대향하는 측부들의 방향으로 광을 비추는 발광 수단을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이한 측부들의 방향으로 배향된 복수의 스크린이 또한 이러한 종류의 장치의 그룹에 대해서 할당될 수 있을 것이고, 예를 들어 환형 또는 다각형 방식으로, 상이한 측부들의 방향으로 유사하게 배향된 상응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에 의해서 스크린이 프레이밍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은, 게이밍 장치 하우징에 대한 체결에 의하지 않고 그리고 프레이밍하고자 하는 스크린에 대한 체결에 의하지 않고,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유닛을 형성하는 자가-지지 구조물을 형성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 내부의 방향으로 3차원적으로 윤곽화된 프레임 프로파일 섹션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는 플레이트-유사 유지 프레임을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부가적인 구조적 강도로 서로에 대해서 연결되는 프레임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서 서로 유리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지 플랜지가, 상호 결속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상보적인 연결 수단을 가질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연결 수단에 의해서 상이한 프레임 부분들의 유지 플랜지들이 서로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예로서, 연결 수단이, 키이 및 키이홀 방식으로 또는 퍼즐(puzzle) 부분 연결 피스 방식으로 윤곽화될 수 있고 상호 결속 방식으로 결속될 수 있는 상호 결속 부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연결된 상태에서, 유지 플랜지가, 유리하게 프레임 평면에 대해서 공통 평면적인 방식으로, 프레임 평면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공통 평면 내에서 적어도 대략적으로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유지 플랜지에 의해서 공동으로 형성되는 이러한 평면은, 특히 스크린이 편평한 스크린인 경우에, 프레이밍하고자 하는 스크린을 위한 접촉지지(abutment) 면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을 것이다.
서로에 대한 유지 플랜지의 연결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유지 플랜지가 중앙의, 공통 프레임 지지부에 체결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중앙의, 공통 프레임 지지부는 프레임에 의해서 폐쇄되는 프레임 내부 내에서 유리하게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 지지부가, 예를 들어, 지지 프로파일, 예를 들어 골격(framework) 프로파일의 형태일 수 있으나, 또한 샤시-유사 형상 부분의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닥 스탠드가 프레임에 피팅될 수 있을 것이고,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을, 바닥 스탠드에 의해서 공간 내에서 자립(freestanding) 방식으로 바닥 상에서 직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가능하게, 바닥 스탠드를 제거한 후에, 프레임이 또한 벽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벽 연결 수단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시 한번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프레임이, 예를 들어 하우징 패널 상에, 예를 들어 게이밍 장치 상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패널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이 프레임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고, 추가적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 내부에 배열되는, 프레임 지지부 상에 체결 수단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 및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서로 나란히 배열된 3개의 편평한 스크린을 프레임이 둘러싸는,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프레임 내부에 배열되고 프레임 부분이 체결되는 프레임 지지부가 도시된, 도 1과 유사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의 개략적이고, 원근적이며, 부분적으로 요약된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프레임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프레임 부분의 플러그-유형 프로파일 섹션을 보여주는, 3개의 프레임 부분의 원근적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단부 섹션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프로파일 돌부(projection)에 의해서 오프셋된 플러그-유형 프로파일 섹션을 보여주는, S 형상으로 곡선화된 프레임 부분의 원근적인 개별적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직선형 프레임 부분의 원근적인 개별적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프레임 부분 자체의 단부 섹션이, 프로파일 돌부 없이, 플러그-유형 프로파일 섹션을 형성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발광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외주방향 프로파일 리세스를 보여주는, 원호 형태로 곡선화된 프레임 부분의 원근적인 개별적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볼록한 프레임 프로파일 윤곽화 및 내부에 형성된 홈-유사 프로파일 중공부를 보여주고, 또한 프로파일 중공부 내의 발광 수단의 배열을 보여주는, 프레임 부분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발광 수단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은폐 엣지를 보여주는, 도 7과 유사한 프레임 부분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1)이 자가-지지 구조물의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고 바닥 스탠드(24)를 가지며, 그러한 바닥 스탠드(24)로, 바닥 스탠드(24)에 체결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1) 및 가능하게는 스크린(6)이 자립 방식으로 바닥 상에서 직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로서, 바닥 스탠드(24)가 베이스 플레이트(26)에 연결된 2개의 지지 받침대(feet)(25)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1)이 벽에 체결되기 위한 벽 체결 수단을 가질 수 있거나 게이밍 장치 콘솔 상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프레임 시스템(1)이 프레임 지지부(19)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프레임 지지부는, 본 경우에, 예를 들어 골격 구조물의 형태이고 또는 막대 프레임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 지지부(19)가 바닥 스탠드(24)에 체결되고 하나 이상의 스크린(6)을 프레이밍하는 프레임(2)을 지지한다.
프레임 지지부(19)가 평면형의 편평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고 프레임(2)에 의해서 둘러싸인 프레임 내부 내에 배열될 수 있고, 프레임 지지부(19)는, 프레임(2)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 내에서 유리하게 연장하거나 평면에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6)이 프레임 지지부(19)에 체결될 수 있을 것이나, 가능하게는,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프레임 지지부(19) 상에 장착되는 프레임(2)에 체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이, 원칙적으로, 링의 방식으로 폐쇄되는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인 윤곽을 가질 수 있을 것이나, 프레임(2)이 정확히 직사각형이거나 4개의 정확하게 직선형인 가장자리(limb)로 구성될 필요가 없고, 둥근 부분 및 볼록한 또는 꺾인(kinked) 섹션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2)은 유리하게 복수의 모듈형 프레임 부분(2a, 2b, 2c, ..., 2n)으로 이루어지고, 그러한 프레임 부분(2a, 2b, 2c, ..., 2n)은 유리하게, 둥글게 처리된 방식으로 윤곽화되거나 원호 형태로 곡선화되는 프레임 부분(2a), 특히 S 형상으로, 멀리 굽혀지거나(bent away) 및/또는 반대 방향들로 굽혀지거나 꺽여지는 프레임 부분(2c), 및 직선형 프레임 부분(2b)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직선형, 곡선형 및/또는 꺽임형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프레임 부분으로 인해서, 상이하게 성형된 프레임(2)이 조립될 수 있을 것이고, 프레이밍되는 스크린에 합치되도록 프레임을 윤곽화하는 것(contouring)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태로 윤곽화된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프레임 부분(2a)이 프레임(2)의 둥근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는 반면, 반대 방향들로 꺾인 방식으로 또는 S 형상으로 윤곽화된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프레임 부분(2c)이 프레임(2)의 중앙 섹션 내에 포함되어 볼록한 프레임 부분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 부분(2a, 2b, 2c, ..., 2n)은, 그 단부 섹션(7 및 8)에서, 연결 수단(9)을 가지고, 그러한 연결 수단에 의해서 프레임 부분이 서로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연결 수단(9)은 유리하게, 함께 플러그 결합되어, 2개의 인접한 프레임 부분을 상호 결속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고 프레임 부분을 강성(rigid) 방식으로 함께 유지하는, 플러그-유형의 연결 수단이거나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10 및 11)의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도 3 그리고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10)이 프로파일 돌부(12)에 의해서 둥근 또는 꺾인 프레임 부분(2a 및 2c)에서 인접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섹션과 관련하여 오프셋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프레임 후방 측부의 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플러그-유형 프로파일 섹션(10)은 인접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섹션의 윤곽을 계속 연결하거나 프로파일링된 횡단면의 인접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섹션에 상응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10)이 인접한 직선형 프레임 부분(2b)의 프레임 프로파일의 후방 측부 상에 정확하게 피팅되어 지역적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고, 또는 후방 면에서 직선형 프레임 부분(2b)에 플러그-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직선형 프레임 부분(2b)의 경우에, 프레임 부분의 단부 섹션은, 프로파일 돌부가 없이 프레임 부분(2b)을 프로파일링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는,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11)을 형성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프레임 부분(2a, 2b, 2c, ..., 2n)은, 특히 프레임 부분들 사이의 계면에 걸쳐 단차가 없는 방식으로 그리고 "매끄럽게" 통과하고 프레임 전방 측부의 방향으로, 즉 스크린의 관찰자의 방향으로 3-차원적인 방식으로 볼록한 부분을 유리하게 형성할 수 있는, 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볼록한 방식으로 미리-곡선화될 수 있는, 연속적으로 균일한 프레임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프레임(2)의 외주방향 프로파일 섹션(13)이 또한 볼록할 수 있을 것이고, 동시에, 횡단면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오목한 디자인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프로파일 리세스 형태의 채널-유사 또는 슬롯-유사 프로파일 리세스(14)가, 프레임 전방 측부의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을 형성하는 프로파일 섹션(13) 내에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고, 도 1과 함께 도 7을 참조하면, 프로파일 리세스가 프레임(2)의 전체 외주에 걸쳐서 연장할 수 있거나 균일하게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행으로 배열된 복수의 LED 형태인, 발광 수단(3)이 채널-유사 프로파일 리세스(14) 내에 수용되거나 배열되고, LED(4)는 스트립-유사 장착 보드 상에 배열될 수 있거나 프로파일 리세스(14) 내에 배열되는 LED 스트립의 일부일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수단(3)은, 이러한 경우에, LED(4)에 의해서 방출된 광의 주요 축(21)이 프레임 외주방향에 대해서 횡단방향 외측으로, 특히 대략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및/또는 프레임 부분(2a, 2b, ..., 2n)에 의해서 규정된 프레임 평면(35)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방식으로 프로파일 리세스(14) 내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발광 수단(3)은, 프레이밍된 프레임 내부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광을 복사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렌즈 및/또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는 광학적 시스템(36)이 발광 수단과 연관될 수 있을 것이고, 발광 수단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은 광학적 시스템에 의해서 포획되고 미리 결정된 방출 방향(29)으로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방출되며, 그러한 방출 방향은, 특히, 도 7을 참조하여, 프레임 전방 측부로부터 멀리 프레임 평면(35)에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발광 수단(3)은, 특히, 홈-유사 프로파일 리세스(14)의 내측 측면 상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고 광을 프로파일 리세스(14)의 대향하는 외측 측면(27) 상으로 비출수 있을 것이다. 외측 측면(27)이, 예를 들어 거울형 또는 반사 표면 코팅에 의해서, 반사부(15)의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반사부(15)가 복수의 발광 수단과 연관된다. 이러한 경우에, 반사부(15)가 편평한 거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나, 대안으로서, 또한 각각의 발광 수단(3)이 "그 발광 수단의" 반사부 지역으로 할당되도록, 예를 들어 중공형 래스터 또는 트레이 래스터(tray raster) 형태의, 발광 수단 배열체 또는 래스터 분포에 합치되는 양각(relief)-유사 표면 윤곽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개별적인 반사부가 또한 발광 수단(3)과 연관될 수 있을 것이고, 개별적인 반사부가, 예를 들어, 발광 수단 지지부에 직접적으로 피팅될 수 있고 그리고 발광 수단 주위의 외피 형태로 곡선화될 수 있다. 특히, LED 또는 다른 작은, 특히 점 형태의(punctiform), 광원이 이용될 때, 예를 들어, DE 102 50 383 A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유사 장착 홀더에 의해서 LED 회로 기판에 또는 다른 광원 홀더에 체결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컵- 또는 플루트(flute)-유사 반사부에 의해서, 광원이 프레이밍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반사부가 반사부 베이스 내의 통로 리세스를 가질 수 있을 것이고, LED 또는, 일반적으로, 광원이 통로 리세스를 통해서 반사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LED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LED와 개별적으로 연관되는 이러한 종류의 반사부의 디자인 및 체결과 관련하여 문헌 DE 102 50 383 A1를 참조하며, 그러한 문헌의 내용이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 내용의 일부로서 간주된다.
다소 반-구형(semi-spherical) 방식으로 광을 절반-공간으로 종종 비추는 LED의 일반적인 방출 특성과 상이한, 그리고 프레임 조건에 합치되는 방출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WO 2013/041137 A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반사 비임 형성체(former)가 LED와 또는 가능하게는 또한 다른 발광 수단(3)과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비임 형성체가 반사적 디자인의 광-통로 또는 비임-형성 개구부를 가질 수 있을 것이고, 그 경사 및 길이에 의해서, 예를 들어 광의 방출된 원뿔의 각도 분포의 포커스의 특정 방출 각도 또는 편향 형태의 생성된 방출 특성이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반사적 비임 형성체의 디자인 및 배열 그리고 그러한 비임 형성체를 LED 또는 발광 수단(3)에 할당하는 것과 관련하여 문헌 WO 2013/041137 A1를 참조하며, 그러한 문헌의 내용이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 내용의 일부로서 간주된다.
만약 프레임(2)이 전술한 방식으로 프로파일 리세스(14)를 가진다면, 반사부(15)는 프로파일 또는 프로파일 리세스의 프레임 측면(27)에 피팅되고, 발광 수단(3)이 광을 비추는 프레임 측면(27) 또는 프레임 측면에 피팅되는 반사부(15)는, 도 7의 방출 방향(29)에 대한 화살표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반사된 광이 프레임(2)에 의해서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프레임 전방 측부로 방출되는 방식으로 유리하게 배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수단(3)이 내부에 배열되는 프로파일 리세스(14)가 횡단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하게 윤곽화된 측면(27 및 28)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내측 측면(28)이 프레임(2)에 의해서 규정되는 프레임 평면에 거의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할 수 있는 한편, 외측 프랭크(27)가, 예를 들어 약 30° 내지 60°의 각도로, 프레임 평면에 대해서 예각으로 경사질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수단(3)이 프레임(2)에 의해서 폐쇄된 프레임 내부(30)로부터 보이지 않게 가려지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그에 따라 발광 수단(3)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이 프레임 내부(30) 내의 스크린(6) 상으로 진입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프로파일 리세스(14)의 전방에서 프레임 내부(30)의 방향으로 위치된 프로파일 엣지가, 프레임 내부 및 그 내부에 배열된 스크린(6)으로부터 발광 수단(3)을 보이지 않게 가리는 은폐 엣지(16)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폐 엣지(32)가 또한 발광 수단(3)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을 것이고, 예를 들어 은폐 엣지가, 인쇄 회로 기판에 또는 발광 수단(3)이 상부에 안착되는 발광 수단 홀더에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거나 발광 수단(3) 자체 상에 안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은폐 엣지(32)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내부(30)를 은폐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2) 내에서 리세스되는, 발광 수단(3)의 가려지는 배열, 및/또는 반사부 또는 가능하게는 예를 들어 렌즈와 같은 다른 광학적 수단에 의해서 제어가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3)에 의한 광 출력의 제어가, 특히, 조명되는 프레임이, 프레이밍된 스크린을 보기 위한 미리 결정된 스크린 관찰자 위치에서, 먼 범위에서 비교적 큰 조명력 및/또는 비교적 큰 지각력 및/또는 비교적 큰 광 세기를 그리고 가까운 범위에서 비교적 작은 조명력 및/또는 비교적 작은 지각력 및/또는 비교적 작은 광 세기를 가지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보이지 않게 가려지는 내측 영역이, 의도된 관찰자 위치에 위치하는 관찰자가 프레임 내에서 리세스된 발광 수단을 직접적으로 볼 수 없도록 및/또는 출력 광의 작은 부분만이 관찰자에게 도달하도록, 프레임 전방 측부의 방향으로 또는 프레임 전방 측부(33)를 지나서 멀리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및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에 의해서 프레이밍된 디스플레이 기구의 크기에 따라서, 관찰자 위치가, 예를 들어,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으로부터 0.3 m 내지 2 m의 거리에 있을 수 있을 것이고, 매우 큰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의 경우에, 예를 들어 5 m 또는 10 m의 비교적 더 먼 관찰자 위치 거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프레임 내에 배열되는 발광 수단이 프레임으로부터 시작되는 광의 링을 방출할 수 있거나, 출력 광이, 적어도 관찰자 위치의 방향으로, 프레임 내부와 교차하는(cut out) 링으로 전파될 수 있을 것이고, 프레임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광의 링이 확장될 수 있거나 링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먼 범위에서 또는 거리를 두고 관찰할 때, 조명되는 링이 큰 광 세기로 완전히(fully) 또는 명료하게 보여질 수 있다.
프레임(2) 조립에 이용되는 프레임 부분(2a, 2b, 2c, ..., 2n)이 유리하게 동일한 재료로 모두 생산되지 않는다. 특히, 굽혀진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프레임 부분(2a 및 2c)이 플라스틱으로 생산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플라스틱 사출-성형된 부분일 수 있을 것인 한편, 직선형의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프레임 부분(2b)이 금속으로 생산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굽혀진 시트-금속 프로파일 또는 시트-금속 엣지 프로파일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프레임 부분(2b 및 2c)의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 지지부(19)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볼록하게 윤곽화된 프로파일 섹션(13)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편평한 유지 플랜지(18)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유지 플랜지(18)가 플레이트-유사 디자인일 수 있을 것이고, 프레임 부분이 서로 연결될 때, 공통 평면 내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유리하게, 플레이트-유사 유지 플랜지(18)가, 바람직하게 연결 수단(20)에 의해서, 프레임 지지부(19)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해서 연결되고, 연결 수단은 상호 결속 방식으로,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키이 및 키이홀-유사 상호 결속 섹션 형태로 작용한다.

Claims (23)

  1. 프레임(2)을 포함하는, 스크린(6)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프레이밍하기 위한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으로서, 상기 프레임 상에는, 프레임(2)을 조명하기 위한 발광 수단(3)이 배열되고, 상기 프레임(2)은, 내부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배열될 프레임 내부(30)를 프레이밍하고, 복수의 프레임 부분(2a, 2b, ..., 2n)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 수단(3)에 의해서 방출되는 광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내부(30)를 은폐하기 위한 은폐 수단(31)이 상기 발광 수단(3)과 연관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분(2a, 2b, ..., 2n)이 서로 연결되고, 그 단부 섹션(7, 8)에서, 상호 결속 방식으로 결합가능한 상보적인 연결 수단(9)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수단(3)을 리세스형 방식으로 배열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프레임 부분(2a, 2b, ..., 2n) 위에서 연장되고 프레임 전방 측부의 방향으로 개방되는, 홈-유사 프로파일 리세스(14)가 제공되고, 상기 홈-유사 프로파일 리세스(14)의 경계를 정하는 프로파일 측면(28)이 상기 프레임 내부(30)에 대해서 상기 프로파일 리세스 내에 리세스되는 발광 수단(3)을 보이지 않게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 수단(31)이, 상기 프레임(2)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은폐 엣지(16)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부분(2a, 2b, ..., 2n)의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 내부(30)에 대해서 발광 수단(3)을 보이지 않게 가리기 위한, 스트립-유사 프로파일 윤곽 형태의, 은폐 엣지(16)를 구비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 수단(31)이, 상기 발광 수단에 피팅된 적어도 하나의 은폐 엣지(32)를 가지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유사 프로파일 리세스(14)가 전체 프레임(2) 위에서 외주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디자인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분(2a, 2b, ..., 2n) 각각이, 프레임 전방 측부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한 프로파일 섹션(13)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한 프로파일 섹션(13) 내에서 상기 프로파일 리세스(14)가 상기 발광 수단(3)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발광 수단(3)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의 주요 축(21)이, 프레임(2)에 의해서 규정되는 프레임 평면(35) 내에서 또는 프레임 평면(35)에 평행하게, 프레임 내부(30)로부터 멀리 실질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지향되는 방식으로, 상기 발광 수단(3)이 배열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방출 방향(29)으로, 프레임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프레임 전방 측부로부터 멀리, 상기 발광 수단(3)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을 포획하고 방출하기 위한 광학적 시스템(36)이 상기 발광 수단(3)과 연관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3)에 의해서 방출되는 광을 포획하고 상기 포획된 광을 상기 방출 방향(29)으로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15)가 상기 프레임(2) 상에 제공되거나 상기 발광 수단(3) 상에 제공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15)에 의해서 포획되는, 상기 발광 수단(3)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프레임 전방 측부(33)로부터 멀리, 상기 프레임 전방 측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절반-공간(34) 내로 방출되거나 상기 프레임(2)에 의해서 프레이밍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멀리 방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반사부(15)가 윤곽화되고 배향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15)가, 상기 프레임 외주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발광 수단(3)에 의해서 방출되는 광의 주요 축(14)에 대해서 경사진 반사부 지역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 지역이, 프로파일 리세스(14)의 측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11. 제4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3)을 수용하기 위한 프로파일 리세스(14)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부분(2a, 2b, 2c, ..., 2n)의, 상기 프로파일 리세스(14)에 인접한, 프로파일 섹션이 반사부(15)를 구비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이, 프레이밍된 스크린을 보는 관찰자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먼 범위에서 비교적 큰 광 세기를 가지고 가까운 범위에서 비교적 작은 광 세기를 가지는 방식으로, 상기 발광 수단(3)에 의해서 출력되는 광이 광학적 시스템에 의해서 제어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분(2a, 2b, ..., 2n)의 연결 수단(9)이 함께 플러깅될 수 있는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10, 11)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10, 11)은, 프레임의 횡단면에서 볼 때 서로에 대해서 합치되고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또는 프레임 외주방향으로 함께 플러깅되는 것에 의해서 정확하게 피팅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는, 횡단면적 윤곽을 가지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레임 부분(2a)이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10)의 영역 내에서 단차부-유사 프로파일 돌부(12)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부분(2a)의 가시적 프로파일 섹션이 상기 단차부-유사 프로파일 돌부에서 상기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10)과 병합되고, 상기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10)이 단차부 형태로 오프셋된 방식으로 상기 가시적 프로파일 섹션의 프로파일 윤곽을 계속적으로 연결하고, 추가적인, 인접한 프레임 부분(2b)의 가시적인 프로파일 섹션 뒤의 후방부에서 정확하게 피팅되어 연결되는 플러그일 수 있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부분(2a, 2b, ..., 2n)이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프레임 부분(2b) 및 적어도 하나의 굽혀진 프레임 부분(2a, 2c)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프레임 부분(2b) 및 굽혀진 프레임 부분(2a, 2c)이 상이한 재료로 생성되고, 상기 직선형 프레임 부분(2b)이 금속 프로파일 형태이고, 상기 굽혀진 프레임 부분(2a, 2c)이 플라스틱 프로파일 형태인,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단차부-유사 프로파일 돌부(12)와 함께 형성되는 상기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10)이, 굽혀지거나 플라스틱으로 생성되는 프레임 부분(2a, 2c) 상에 형성되고, 직선형이거나 금속으로 생성되는 프레임 부분(2b)은 프로파일 돌부가 없는 플러그-유형의 프로파일 섹션(11)을 가지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분(2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2)에 의해서 폐쇄되는 상기 프레임 내부 내에서 연장하는 프레임 지지부(19)에 상기 프레임 부분을 체결하기 위한, 상기 프레임 평면(17)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유지 플랜지(18)를 구비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플랜지(18)가 각각 플레이트-유사 디자인이고, 상이한 프레임 부분(2a, 2b, ..., 2n)의 유지 플랜지(18)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상호 결속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상보적 연결 수단(20)을 가지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이 바닥 스탠드(24)에 피팅되고, 상기 바닥 스탠드에 의해서 상기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이 공간 내에서 자립 방식으로 바닥 상에 배열될 수 있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6)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2)에 의해서 폐쇄되는 상기 프레임 내부 내에 제공되는 프레임 지지 부분(19) 상에 배열되는,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21.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 제어 단말기(23), 및 제1항에 따른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에 의해서 프레이밍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6)을 또한 포함하는, 게이밍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밍 장치가 복수의 게이밍 장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배열되고, 상기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게이밍 장치와 함께 연관되는, 게이밍 장치.
  23. 삭제
KR1020157017071A 2012-11-29 2013-11-28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KR102279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2011537.5 2012-11-29
DE202012011537.5U DE202012011537U1 (de) 2012-11-29 2012-11-29 Leuchtrahmensystem
PCT/EP2013/003597 WO2014082748A1 (de) 2012-11-29 2013-11-28 Leuchtrahmen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490A KR20150091490A (ko) 2015-08-11
KR102279133B1 true KR102279133B1 (ko) 2021-07-21

Family

ID=4967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071A KR102279133B1 (ko) 2012-11-29 2013-11-28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2) US9759393B2 (ko)
EP (1) EP2926324B1 (ko)
KR (1) KR102279133B1 (ko)
CN (2) CN104903940B (ko)
AU (1) AU2013351561B2 (ko)
BR (1) BR112015012330B1 (ko)
CA (1) CA2893020C (ko)
CL (1) CL2015001427A1 (ko)
CO (1) CO7400859A2 (ko)
CY (1) CY1121506T1 (ko)
DE (1) DE202012011537U1 (ko)
ES (1) ES2724208T3 (ko)
HR (1) HRP20190606T1 (ko)
HU (1) HUE042472T2 (ko)
LT (1) LT2926324T (ko)
MX (1) MX340208B (ko)
MY (1) MY169182A (ko)
PE (1) PE20151189A1 (ko)
PH (1) PH12015501128A1 (ko)
PL (1) PL2926324T3 (ko)
PT (1) PT2926324T (ko)
RS (1) RS58753B1 (ko)
RU (1) RU2654990C2 (ko)
SI (1) SI2926324T1 (ko)
UA (1) UA118659C2 (ko)
WO (1) WO2014082748A1 (ko)
ZA (1) ZA2015045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11537U1 (de) 2012-11-29 2014-03-06 Novomatic Ag Leuchtrahmensystem
GB2549990B (en) * 2016-05-06 2021-10-20 Urben Tech Limited A Display Unit
USD831116S1 (en) * 2017-05-24 2018-10-16 Wayne Banas Magnetic car top sign
RU2715460C1 (ru) * 2018-09-26 2020-02-28 Владимир Михайлович Златогорский Рекл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804A (ja) 2002-06-24 2004-01-29 Aruze Corp 遊技機
US20100027255A1 (en) 2008-07-29 2010-02-04 Advanced Optoelectronic Technology Inc. Light box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7503B (sv) * 1983-05-05 1986-11-17 Johansson Gert A Hornstycke for ramar
US4729183A (en) * 1984-09-20 1988-03-08 Kroy Inc. Modular frame structure
DE8509511U1 (de) * 1985-03-29 1985-05-09 Rahmen mit System GmbH, 3300 Braunschweig Geschlossener Dekorrahmen
DE29513860U1 (de) * 1995-08-29 1995-10-19 Zollner Gerd Dipl Ing Verblendung an Plakatvitrinen oder Plakattafeln, insbesondere solchen mit Standbeinaufstellung
GB2309812A (en) * 1996-02-01 1997-08-06 Selwyn Smith John Double sided display system
JPH09258676A (ja) 1996-03-19 1997-10-03 Yuubunshiya:Kk 発光具
US6732641B2 (en) * 2000-12-22 2004-05-11 Industrial Sol Art & Design, Ltd.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images in an illuminated display device
DE10205405A1 (de) * 2002-02-09 2003-08-21 Thomas Emde Fensterelement
DE10250383B4 (de) 2002-10-29 2007-05-10 Diemount Gmbh Leuchtdiodenanordnung mit Reflektor
US20050129460A1 (en) * 2003-12-11 2005-06-16 Excell Products, Inc. Modular frame corners
JP3838241B2 (ja) * 2004-01-13 2006-10-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7396282B2 (en) 2004-09-20 2008-07-08 Atronic International Gmbh Slant top slot machine with LEDs to illuminate front surface
US7789760B2 (en) * 2004-10-28 2010-09-07 Video Gaming Technologies Gaming machine and a method of lighting the same
JP2006141808A (ja) * 2004-11-22 2006-06-08 Mrd:Kk 遊技機における表示装置
US20060162588A1 (en) * 2005-01-25 2006-07-27 Ronald Salisbury Four-piece modular frame screen printing assembly
DE102005013804A1 (de) * 2005-03-24 2006-09-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leuchtetes Anzeigefenster für LED- und/oder LC-Anzeigen
US20060260161A1 (en) * 2005-05-23 2006-11-23 Keith Hamilton Illuminated Signage With a Means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Data
US7607812B2 (en) * 2006-05-05 2009-10-27 Steven Kim Light-emitting diode panel fixture
JP2007325883A (ja) 2006-06-09 2007-12-20 Aruze Corp 遊技機及び遊技機用表示装置
US8052303B2 (en) * 2006-09-12 2011-11-08 Huizhou Light Engine Ltd. Integrally formed single piece light emitting diode light wire and uses thereof
US20100163791A1 (en) 2006-12-28 2010-07-01 Hiroshi Fukui Porous Silicon-Containing Carbon-Based Composite Material, Electrode and Battery Formed Therefrom
EP2100444A1 (en) * 2007-01-03 2009-09-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mbilight displaying arrangement
WO2008139362A1 (en) * 2007-05-09 2008-11-20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A cover for a light source
DE202008001253U1 (de) * 2008-01-28 2008-04-10 Mirror Image Ag Bildanzeigegerät
US8079739B2 (en) * 2008-04-01 2011-12-20 Cooper James M Interlocking system for hanging decorative lights and fixtures
US7661216B1 (en) * 2008-10-09 2010-02-16 Wampler Richard P Illuminated picture frame
US8376839B2 (en) * 2008-10-21 2013-02-19 Wms Gaming Inc. Gaming machine with improved lighting arrangement
US8419140B2 (en) * 2008-10-28 2013-04-16 John William Ward Chambered cremation URN memorial with attached or integrated electronic imaging device
CN101742871B (zh) * 2008-11-06 2012-05-0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框架结构、脚座及应用该框架结构与该脚座的显示装置
US9022871B2 (en) * 2008-11-10 2015-05-05 Aruze Gaming America, Inc. Gaming machine
KR20100109785A (ko) * 2009-04-01 2010-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DE202009010906U1 (de) * 2009-08-12 2009-10-29 Adp Gauselmann Gmbh Anordnung von Leuchtmitteln in einer Tür eines münzbetätigten Unterhaltungsautomaten
CA2681684A1 (en) * 2009-10-06 2011-04-06 Jvl Corporation Game terminal
AT508564B1 (de) * 2009-11-13 2011-02-15 Novomatic Ag Elektronisches spiel- und/oder unterhaltungsgerät mit einer lichteffektvorrichtung
KR101115561B1 (ko) * 2009-11-27 2012-03-05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장치
US8382189B2 (en) * 2010-10-05 2013-0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lded vanity assembly and method
EP2758708B1 (de) 2011-09-21 2018-03-28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eflektiver strahlformer zum erzeugen einer gewünschten abstrahlcharakteristik aus einer abstrahlcharakteristik einer flächenlichtquelle
US20130258682A1 (en) * 2012-03-29 2013-10-03 Miguel A. Pino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linear light fixtures
DE202012011537U1 (de) 2012-11-29 2014-03-06 Novomatic Ag Leuchtrahmen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804A (ja) 2002-06-24 2004-01-29 Aruze Corp 遊技機
US20100027255A1 (en) 2008-07-29 2010-02-04 Advanced Optoelectronic Technology Inc. Light box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18659C2 (uk) 2019-02-25
RS58753B1 (sr) 2019-06-28
CN104903940B (zh) 2017-03-08
US10161573B2 (en) 2018-12-25
KR20150091490A (ko) 2015-08-11
US20150260355A1 (en) 2015-09-17
RU2015121040A (ru) 2017-01-10
CL2015001427A1 (es) 2015-10-23
CA2893020A1 (en) 2014-06-05
MX2015006772A (es) 2015-08-06
PE20151189A1 (es) 2015-09-12
EP2926324A1 (de) 2015-10-07
CA2893020C (en) 2020-12-15
BR112015012330A2 (pt) 2020-04-22
US20170336034A1 (en) 2017-11-23
HUE042472T2 (hu) 2021-12-28
CY1121506T1 (el) 2020-05-29
PL2926324T3 (pl) 2019-08-30
CN106935142B (zh) 2019-12-03
PT2926324T (pt) 2019-05-31
US9759393B2 (en) 2017-09-12
PH12015501128B1 (en) 2015-08-03
BR112015012330B1 (pt) 2021-09-08
LT2926324T (lt) 2019-04-25
SI2926324T1 (sl) 2019-05-31
PH12015501128A1 (en) 2015-08-03
DE202012011537U1 (de) 2014-03-06
CN104903940A (zh) 2015-09-09
AU2013351561B2 (en) 2017-08-31
EP2926324B1 (de) 2019-02-20
CN106935142A (zh) 2017-07-07
ZA201504594B (en) 2016-09-28
MX340208B (es) 2016-06-30
CO7400859A2 (es) 2015-09-30
MY169182A (en) 2019-02-25
WO2014082748A1 (de) 2014-06-05
ES2724208T3 (es) 2019-09-09
RU2654990C2 (ru) 2018-05-23
HRP20190606T1 (hr) 2019-05-31
AU2013351561A1 (en)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8073B1 (en) Vehicle signal lighting unit
KR102279133B1 (ko) 조명형 프레임 시스템
RU2512123C2 (ru) Система окружающего освеще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отображения
US9135484B2 (en) Data reader with light source arrangement for improved illumination
JP4825708B2 (ja) 照明用灯具
JP4989696B2 (ja) ウォールウォッシャー型照明器具
CN105221960B (zh) 一种led灯具
JP2007163605A (ja) 照明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KR101766361B1 (ko) 그림자 생성장치
JPH0741030Y2 (ja) 展示用見本体
CN112289205A (zh) 炫彩显示组件及电子设备
JP2010073668A (ja) 照明装置
JP2019024854A (ja) 遊技機
JP2019024863A (ja) 遊技機
JP2019024857A (ja) 遊技機
JPH0729683U (ja) 見本体展示装置
JP2019024856A (ja) 遊技機
JP2019024858A (ja) 遊技機
KR20170130900A (ko) 빌딩 외장용 스마트 판넬
JP2007242546A (ja) 照明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